KR102593631B1 - 울타리 지주 - Google Patents

울타리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631B1
KR102593631B1 KR1020230111576A KR20230111576A KR102593631B1 KR 102593631 B1 KR102593631 B1 KR 102593631B1 KR 1020230111576 A KR1020230111576 A KR 1020230111576A KR 20230111576 A KR20230111576 A KR 20230111576A KR 102593631 B1 KR102593631 B1 KR 10259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chor
connection structure
center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윤기
신성수
Original Assignee
(유)금란산업개발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은윤기
신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란산업개발, 주식회사 지케이이엔지, 은윤기, 신성수 filed Critical (유)금란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23011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정상에 용접공정이나 용융아연도금공정과 같은 절차를 없앨 수 있어서 제작 및 시공성이 향상되고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한 울타리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 구조물이나 지면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 상기 앵커 플레이트에 걸림되어 이탈이 제한되는 연결 구조체 및 상기 연결 구조체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울타리 지주{Post of a fence}
본 발명은 울타리 지주 및 그 제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작이나 시공시 용접공정이나 도금공정과 같은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한 울타리 지주 및 그 제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차도와 인도 등과 같이 목적, 용도 등이 상이한 2 이상의 영역을 의도적으로 분리하거나 경계 짓기 위해 그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양측간의 이동을 제한하고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울타리는 통상 일정 간격을 가지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들을 연결하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울타리의 지주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1858호(2006.7.20.공고)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4)와 지주(3)의 연결에 있어서 리브편(14)이나 보강부(2)가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결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용접작업이 부가되어 제작 및 시공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 숙련도나 작업 여건에 따라 용접 품질이 일정치 않아 균일한 제품 품질을 확보 및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고온의 용접작업에 노출된 모재의 변형, 용접부 및 그 주변부의 열변형, 열 응력 등에 의한 강도 및 강성 저하 등으로 인해 용접부위가 취약부가 되어 이상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1858호(2006.7.20.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조공정상에 용접공정이나 용융아연도금공정과 같은 절차를 없앨 수 있어서 제작 및 시공성이 향상되고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한 울타리 지주 및 그 제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인 울타리 지주는,
기초 구조물이나 지면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
상기 앵커 플레이트에 걸림되어 이탈이 제한되는 연결 구조체 및
상기 연결 구조체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구조체는 지면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이, 앵커 플레이트에 의해 상측 및 전후좌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중앙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전후측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부와 나란히 형성되며 복수의 앵커볼트용 관통홀이 구비되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앵커 플레이트의 설치시 기초 구조물이나 지면, 고정 플레이트의 내측 단면, 중앙 플레이트의 하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면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구조체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되는 평판 형태의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슬릿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주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용 관통홀이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주 본체는,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와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사이에서 한 쌍의 제1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제1플레이트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 각각의 전후방향 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직각으로 배치 형성되며 제1플레이트측의 단부에 단차를 두어 전후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전측 브래킷 및 후측 브래킷,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측 브래킷 및 후측 브래킷의 홈에 삽입되어 걸림되어 이탈이 제한되는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는,
상기 제1플레이트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측 브래킷 및 후측 브래킷에 접하는 제4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 단부에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전측 브래킷 및 후측 브래킷의 홈에 삽입되는 제5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울타리 지주의 제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앵커 플레이트 및 연결 구조체를 대체할 수 있는 단면의 형상으로 알루미늄을 압출하는 제1단계,
압출된 재료를 앵커 플레이트 및 연결 구조체의 길이만큼 절단하는 제2단계,
절단된 재료에서 앵커볼트용 관통홀과 체결볼트용 관통홀에 해당되는 홀을 가공하는 제3단계,
연결 구조체의 수직 플레이트를 앵커 플레이트의 슬릿에 통과시켜 수평 플레이트를 앵커 플레이트의 중앙 플레이트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하는 제4단계 및
앵커 플레이트 및 연결 구조체의 결합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위치 시킨 후 앵커볼트를 체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울타리 지주 및 그 제조 및 시공방법은 제조공정상에 용접공정이 없어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며, 지주 본체와 앵커 플레이트의 재질이 상이한 경우 앵커 플레이트와 이 앵커 플레이트와 지주 본체를 연결하는 수직 브래킷을 용접작업 후 용융아연도금 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용접작업과 용융아연도금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며, 강도, 강성, 내구성 등의 상품성이 우수한 제품을 쉽게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제작 및 시공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제작 및 시공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는 크게 기초 구조물이나 지면에 앵커볼트(AB)로 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10)와, 앵커 플레이트(10)에 걸림되어 이탈이 제한되는 연결 구조체(20)와, 연결 구조체(20)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본체(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 구조체(20)는 지면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이, 앵커 플레이트(10)에 의해 상측 및 전후좌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리브나 보강편을 용접작업을 통해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앵커 플레이트(10)는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슬릿(11)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중앙 플레이트(12)와, 중앙 플레이트(12)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중앙 플레이트(12)의 전후측 양단에 연결되어 중앙부와 나란히 형성되며 복수의 앵커볼트용 관통홀(13)이 구비되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앙 플레이트(12)의 하측에는 앵커 플레이트(10)의 설치시 기초 구조물이나 지면, 고정 플레이트(14)의 내측 단면, 중앙 플레이트(12)의 하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앙 플레이트(12)의 하면은 고정 플레이트(14)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앵커 플레이트(10)는 ''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 구조체(20)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중앙 플레이트(12)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되는 평판 형태의 수평 플레이트(21)와, 수평 플레이트(21)가 하단에 연결되고 중앙 플레이트(12)의 슬릿(1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지주 본체(3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용 관통홀(22)이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3)로 이루어진다.
즉, 연결 구조체(20)는 ''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용접작업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었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순한 짜맞춤에 의한 조립공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제조나 현장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접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품질의 불균형, 용접부위의 취약성 등과 같은 기존 앵커 플레이트(10)에서 발생되는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0)와 연결 구조체(20)는 알루미늄의 압출로 제작이 되며, 압출 후 절단 및 홀 가공을 통해 완성되는데, 이를 통해 용접부위가 발생치 않으며,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주 본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이나 굴곡진 부분이 있는 사각형 단면의 중공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본체(30)는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수직 플레이트(23)와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플레이트(31)와, 한 쌍의 제1플레이트(31) 사이에서 한 쌍의 제1플레이트(31)를 연결하며 제1플레이트(31)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플레이트(32)와, 제1플레이트(31) 각각의 전후방향 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직각으로 배치 형성되며 제1플레이트(31)측의 단부에 단차를 두어 전후방향으로 홈(G)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전측 브래킷(33) 및 후측 브래킷(34)과, 한 쌍의 제1플레이트(31) 외측에 결합되고 전측 브래킷(33) 및 후측 브래킷(34)의 홈(G)에 삽입되어 걸림되어 이탈이 제한되는 커버 구조체(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플레이트(31) 하단부의 수직 플레이트(23)의 체결볼트용 관통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마찬가지로 체결볼트용 관통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커버 구조체(35)는 제1플레이트(31)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36)와, 제3플레이트(36)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배치되고 전측 브래킷(33) 및 후측 브래킷(34)에 접하는 제4플레이트(37)와, 제4플레이트(37) 단부에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측 브래킷(33) 및 후측 브래킷(34)의 홈(G)에 삽입되는 제5플레이트(38)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제작 및 시공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제조 및 시공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지주의 제조 및 시공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앵커 플레이트(10) 및 연결 구조체(20)를 대체할 수 있는 단면의 형상으로 알루미늄을 압출하는 제1단계(S1)와, 압출된 재료를 앵커 플레이트(10) 및 연결 구조체(20)의 길이만큼 절단하는 제2단계(S2)와, 절단된 재료에서 앵커볼트용 관통홀(13)과 체결볼트용 관통홀(22)에 해당되는 홀을 가공하는 제3단계(S3)와, 연결 구조체(20)의 수직 플레이트(23)를 앵커 플레이트(10)의 슬릿(11)에 끼워 통과시켜 수평 플레이트(21)를 앵커 플레이트(10)의 중앙 플레이트(12)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하는 제4단계(S4)와, 앵커 플레이트(10) 및 연결 구조체(20)의 결합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위치 시킨 후 앵커볼트(AB)를 체결하는 제5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추가하여, 지주 본체(30)를 설치하는데, 수직 플레이트(23)의 체결볼트용 관통홀(22)과 제1플레이트(31)의 체결볼트용 관통홀을 일치되게 정위치 시킨 후에 체결볼트(FB)로 체결하게 되는 제6단계와, 커버 구조체(35)의 제5플레이트(35)를 전측 브래킷(33) 및 후측 브래킷(34)의 홈(G)에 삽입시켜 커버 구조체(35)를 결합시키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접공정 없이 간단히 지주를 제작 및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울타리 지주 및 그 제조 및 시공방법은 제조공정상에 용접공정이 없어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며, 지주 본체와 앵커 플레이트의 재질이 상이한 경우 앵커 플레이트와 이 앵커 플레이트와 지주 본체를 연결하는 수직 브래킷을 용접작업 후 용융아연도금 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용접작업과 용융아연도금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며, 강도, 강성, 내구성 등의 상품성이 우수한 제품을 쉽게 제작 및 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10: 앵커 플레이트 11: 슬릿
12: 중앙 플레이트 13: 앵커볼트용 관통홀
14: 고정 플레이트
20: 연결 구조체 21: 수평 플레이트
22: 체결볼트용 관통홀 23: 수직 플레이트
30: 지주 본체 31: 제1플레이트
32: 제2플레이트 33: 전측 브래킷
34: 후측 브래킷 35: 커버 구조체
36: 제3플레이트 37: 제4플레이트
38: 제5플레이트
AB: 앵커볼트
FB: 체결볼트
G: 홈

Claims (2)

  1. 기초 구조물이나 지면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앵커 플레이트,
    상기 앵커 플레이트에 걸림되어 이탈이 제한되는 연결 구조체 및
    상기 연결 구조체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구조체는 지면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이, 앵커 플레이트에 의해 상측 및 전후좌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슬릿이 형성되는 평판 형태의 중앙 플레이트 및
    상기 중앙 플레이트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전후측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 플레이트와 나란히 형성되며 복수의 앵커볼트용 관통홀이 구비되는 평판 형태의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앵커 플레이트의 설치시 기초 구조물이나 지면, 고정 플레이트의 내측 단면, 중앙 플레이트의 하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면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구조체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되는 평판 형태의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플레이트의 슬릿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주 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용 관통홀이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지주
  2. 삭제
KR1020230111576A 2023-08-24 2023-08-24 울타리 지주 KR10259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576A KR102593631B1 (ko) 2023-08-24 2023-08-24 울타리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576A KR102593631B1 (ko) 2023-08-24 2023-08-24 울타리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631B1 true KR102593631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576A KR102593631B1 (ko) 2023-08-24 2023-08-24 울타리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58Y1 (ko) 2006-04-28 2006-07-20 (주) 케이 이엔씨 지주보강부재
EP3258035A1 (en) * 2016-06-14 2017-12-20 K Manger Konsulenttjenester AS A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a found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58Y1 (ko) 2006-04-28 2006-07-20 (주) 케이 이엔씨 지주보강부재
EP3258035A1 (en) * 2016-06-14 2017-12-20 K Manger Konsulenttjenester AS A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a found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890274B1 (ko) 더블 t형 접합구조를 갖는 기둥과 u형 보를 이용한 반슬림 골조 시공방법
KR20100099683A (ko) 방호 울타리
US11608626B2 (en) Prefabricated post assembly
KR102593631B1 (ko) 울타리 지주
CN111344466B (zh) 水平横杆
KR101182817B1 (ko) 조립식 휀스
KR101828912B1 (ko) 조립식 휀스
KR20230153241A (ko) 스틸커튼월 시공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스틸커튼월 시공구조
KR20090112102A (ko) 강재 보호책
JP5936934B2 (ja) パネル保持構造
KR102428828B1 (ko) 합성보 및 합성보의 시공방법
JP5886330B2 (ja) 太陽光パネル架台
KR20130097520A (ko) 거푸집용 서포터
KR100492719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1880343B1 (ko)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KR102627366B1 (ko) 무용접 찬넬 시스템
KR102244292B1 (ko) 버팀바가 형성된 중하중 스틸 그레이팅
CN213038655U (zh) 一种可拆桁架结构
CN212129885U (zh) 用于脚手架的立柱以及脚手架
KR102429962B1 (ko)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KR102653620B1 (ko) 너트 삽입 통신블록
CN112856182B (zh) 机电安装工程用可调式机电支架及其施工方法
KR102322585B1 (ko) 거푸집용 멍에재
EP3892801B1 (en) Fence panel for construction sit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