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17B1 -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17B1
KR102593517B1 KR1020220174410A KR20220174410A KR102593517B1 KR 102593517 B1 KR102593517 B1 KR 102593517B1 KR 1020220174410 A KR1020220174410 A KR 1020220174410A KR 20220174410 A KR20220174410 A KR 20220174410A KR 102593517 B1 KR102593517 B1 KR 10259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user terminal
evacuation
pedestrian
shor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경
전성우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7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지역에서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PEDESTRIAN PATH ON THE SHORTEST DISTANCE ALGORITHM USING MAP API}
본 발명은 보행자가 휴양림을 이용할 때 위치 파악하여 돌발 홍수 발생하였을 때 대피 경로를 제공하며 대피 경로로 이동 중 홍수 포인트나 대피하지 못하는 경로의 경우에는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경로 재탐색하여 새로운 경로를 제공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 재난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피해를 받고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 비상사태, 기후 위기라는 용어가 생기고 있다. 이에 현대사회에서도 도시화로 산림지역이 소실되면서 홍수 재해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홍수 피해는 특히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태풍이나 장마 기간으로 인해 강우량이 증가하면서 하천, 계곡, 도시 범람이 생긴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가 도시화를 하여 산림지역을 소실하고 대형화가 되어 자연 재난 발생 비율이 증가한다. 이 중 홍수로 인한 산림지역에서 나타나는 피해는 매년 증가한다. 이러한 피해 중 인명 피해로 이어져 국가에서는 관련 연구나 유지보수 작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지만 인명 피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홍수 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매년 증가하면서 국가에서도 재산 피해로 인해 복구 작업이나 대응 방안으로 대책을 마련한다. 하지만 인명 피해는 안전사고로 이어짐으로 이를 보완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보완할 방법에 대해서는 홍수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주변에 있는 시민들이나 산림지역의 이용객들에게 대피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대피시스템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6092호 (등록일자 2020.07.15.) 한국등록특허 제10-2132186호 (등록일자 2020.07.03.) 한국등록특허 제10-2392733호 (등록일자 2022.04.26.) 한국등록특허 제10-2107279호 (등록일자 2020.04.27.) 한국등록특허 제10-2198594호 (등록일자 2020.12.2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으로 보행자 경로를 탐색하여 기 설정된 지역(예컨대, 휴양림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안전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홍수나 재난 시에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환경에서도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지역에서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이동 경로의 위도 및 경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지역에 입장 시 개인 정보와 위치 정보의 동의를 받아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로 이동하는 도중 돌발 상황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가 대피하지 못하는 경로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재확인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재탐색된 새로운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가 돌발 상황의 마커 반경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를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재확인하여 돌발 상황의 마커 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대피 경로를 재탐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단 거리 알고리즘 중에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의 지역 ID, 주소 및 지역명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지역 정보 또는 지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와 관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GPX(GPS Exchange Format)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발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기 대피소, 및 상기 대피 상황의 위험 반경을 각각 나타내는 마커를 지도상에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지역에서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으로 보행자 경로를 탐색하여 기 설정된 지역(예컨대, 휴양림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안전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홍수나 재난 시에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피 경로로 이동 중 홍수 포인트나 대피하지 못하는 경로일 경우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경로 재탐색하여 새로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의 통신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의 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요청 및 탐색된 경로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공공 데이터를 정제하여 데이터 세트로 생성한 전국 휴양림 정보와 대피소 데이터 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지도상에 표시된 대피소 마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탐색된 지도상의 대피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의 JSON 데이터 출력 및 지도 상의 대피 경로 시각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홍수 이벤트 발생시 재탐색된 대피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가 포함된 통신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름철 집중적인 태풍이나 호우로 인해 침수 및 범람으로 인명 피해가 존재한다. 이러한 피해로 인해 제일 큰 재해는 홍수이며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1)과 통신하여 보행자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102)을 통해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에서의 전체적인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현재 이용객의 개인 정보, 목적지인 대피소, 이동 거리, 이동 시간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하, 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보행자를 사용자로 지칭하고 보행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을 사용자 단말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지역을 휴양림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여름철 집중적인 태풍이나 호우로 인해 침수 및 범람으로 인명 피해할 수 있는 모든 지역에 적용될 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과 맵 API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과 맵 API를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에 따른 경로 계산과 특정 맵 API를 사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지만, 특정 최단 거리 알고리즘과 특정 맵 API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탐색된 경로는 JSON 형태와 대피소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하여 보행자가 휴양림을 이용할 때,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돌발 홍수 발생하였을 때 대피 경로를 제공한다. 또는,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보행자가 대피 경로로 이동 중 홍수 포인트나 대피하지 못하는 경로일 경우,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경로 재탐색하여 새로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테스트베드(Test-bed) 휴양림을 선정한 후, 대피 시 사용하게 될 대피소를 임의로 선정하여 데이터 세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휴양림을 사용하는 이용객들에게 안전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홍수나 재난 시에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의 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 구성과 맵 API 구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서비스 동작으로, 대피 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맵 API와 최단 거리 알고리즘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특정 맵 API와 특정 최단 거리 알고리즘(예컨대, Dijkstra)이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현장 답사를 통해 수집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GPX(GPS Exchange Format)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휴양림의 정보나 지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1)에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요청 및 탐색된 경로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101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현재 위치를 저장한다.
단계 S102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로 현재 위치를 전송한다.
단계 S103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로 경로 탐색을 요청한다.
단계 S104에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경로 탐색 요청에 따라, 위도 및 경도가 포함된 사용자 GPS 데이터와, 지역 정보 및 주소가 포함된 대피소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는 사용자 단말(예컨대, 이용객 모바일 기기 등)의 GPS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S105에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를 탐색한다.
단계 S106에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탐색된 경로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한다.
이후,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1)에 대피 경로를 제공한 후, 사용자 단말(101)의 이동 경로인 위도 및 경도를 저장하고, 휴양림의 기본 정보로 현재 이용객이 사용하는 휴양림 명, 주소 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201에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기 설정된 지역에서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한다.
단계 S202에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탐색된 최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 S203에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한다.
단계 S204에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기 설정된 지역(예컨대, 휴양림)에 관련된 지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베이스는 주소, 휴양림 명, 각 휴양림 ID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대피 경로는 JSON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지오 데이터(GeoData)와 1/n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대피 경로에 대한 지오 데이터는 ID, JSON. GPX의 데이터를 가지게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공공 데이터를 정제하여 데이터 세트로 생성한 전국 휴양림 정보와 대피소 데이터 세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지도 상에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나 대피소와 관련된 마커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공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국 휴양림의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사용하기 전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는 정제과정을 통한 휴양림 명, 위도, 경도 데이터만 추출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공공 데이터를 정제하여 데이터 세트로 생성한 전국 휴양림 정보가 나타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테스트베드(Test-bed) 지역의 대피소로 사용이 가능한 건물을 데이터 세트로 생성하여 지도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세트에는 대피소 명(Name),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는 테스트 베드 지역에서의 대피소 데이터 세트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피소에는 휴양림 입구(Recreational forest entrance), 루체 펜션(Luce Pension), 주차장(Parking lot), 안내소(Information), 관리사무소(Management office), 산림문화휴양관(Forest Cultural Recreation Cent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지도상에 표시된 대피소 마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대피소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대피소와 관련된 마커(201)를 생성하고, 지동 상에 대피소 데이터를 마커로 시각화할 수 있다. 휴양림 지도 상에 휴양림 입구, 루체 펜션, 안내소, 주차장, 관리사무소, 산림문화휴양관 등이 파란색 마커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탐색된 지도상의 대피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기 설정된 지역인 테스트 베드 지역의 현장 답사를 통해 GPS 데이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주변 건물을 대피소로 지정하여 데이터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지형 데이터와 지역 정보, 대피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홍수나 재난 시에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탐색된 대피 경로는 도 9의 지도 상에 빨간색 마커(301), 대피소는 초록색 마커(302), 사용자의 출발지는 파란색 마커(303)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탐색된 대피소까지의 대피 경로를 지도에 색상 마커 등으로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 경로의 JSON 데이터 출력 및 지도 상의 대피 경로 시각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돌발 상황(예컨대, 홍수 등) 발생 시, 돌발 상황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거리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 경로를 JSON 데이터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JSON 데이터 형태로 나타낸 대피 경로를 지도에 도 11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상에 water라는 마커(304)는 돌발 홍수라는 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반경 표시로 범람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로, 도 11에 도시된 지도 상에 초록색 마커(302)는 대피소, 파란색 마커(303)는 사용자의 출발지, 빨간색 마커(301)는 사용자가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마커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홍수 이벤트 발생시 재탐색된 대피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된 대피 경로를 지도에 출력하여 결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도 11에서는 돌발 홍수 마커를 인지하지 못하고 대피 경로를 이탈하여 현재 제공되는 경로가 돌발 홍수 마커 반경에 포함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기존에 탐색된 대피 경로를 제외하고 기존 경로를 우회하여 대피소까지 대피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새로운 대피 경로의 재탐색을 진행할 수 있다. 재탐색된 새로운 대피 경로(305)는 도 12에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재탐색된 새로운 대피 경로를 통해 돌발 홍수 마커 반경을 우회하여 대피소까지 대피할 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재탐색이 가능한 경로 출력을 지도에 시각화를 나타낼 수 있으며, 도 11의 결과는 [표 1]과 같고 도 12의 결과는 [표 2]와 같다.
name distance Evacuation time destination
이태준 0.2 km 2 min. management office
전성우 0.1 km 1 min. information
조민우 0.2 km 3 min. forest culture center
홍길동 0.3 km 4 min. information
name distance Evacuation time destination
이태준 0.2 km 2 min. management office
전성우 0.1 km 1 min. information
조민우 0.3 km 4 min. management office
홍길동 0.3 km 4 min. information
[표 1]에서처럼,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경로 탐색 후 홍수 이벤트 반경을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홍수 범위를 벗어나 다른 경로를 재탐색하여 제공하거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다른 경로를 재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경로 재탐색 결과는 [표 2]에서 나타낸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이러한 경로 탐색 결과를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을 통해 최종 결과에서 이용객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정확한 경로 이동을 확인하며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이 가능한 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이러한 경로 탐색 결과를 모니터링이 가능한 웹과 연동하여 이용객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정확한 경로 이동을 확인하며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와 통신하는 관리자 단말(102)을 통해 특정 휴양림 등의 지역을 선택하고, 센서 정보를 확인하고, 이용객 현황을 확인하고, 알림 메시지를 관리하고, 대피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는 통신 모듈(110), 데이터베이스(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4의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101)과 통신한다. 통신 모듈(110)은 관리자 단말(102)과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례로, 데이터베이스(120)는 대피소 데이터, 휴양림의 정보나 지형 데이터, 기 설정된 지역(예컨대, 휴양림)에 관련된 지역 정보, 주소, 휴양림 명, 각 휴양림 ID, JSON 파일 형태의 대피 경로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지역에서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고,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101)에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이동 경로의 위도 및 경도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지역에 입장 시 개인 정보와 위치 정보의 동의를 받아 사용자 단말(101)의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제공된 대피 경로로 이동하는 도중 돌발 상황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가 대피하지 못하는 경로일 경우,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재확인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고, 사용자 단말(101)에 재탐색된 새로운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제공된 대피 경로가 돌발 상황의 마커 반경에 포함되는 경우, 제공된 대피 경로를 제외하고 사용자 단말(101)의 현재 위치를 재확인하여 돌발 상황의 마커 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대피 경로를 재탐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 중에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20)는 기 설정된 지역의 지역 ID, 주소 및 지역명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지역 정보 또는 지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탐색된 최단 경로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20)는 탐색된 최단 경로와 관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GPX(GPS Exchange Format)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단말(101)의 출발지, 사용자 단말(101)의 이동 경로, 대피소, 및 대피 상황의 위험 반경을 각각 나타내는 마커를 지도상에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인명 피해를 줄이고자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1)에서 현재 위치 정보(예컨대, GPS 신호)를 활용하여 대피 경로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휴양림의 이용객들에게 입장 시 개인정보와 위치 정보 동의를 받아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휴양림을 이용하는 이용객을 파악할 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파악된 이용객들의 위치는 저장하지 않고 모니터링 웹에서 관리자가 볼 수 있다.
이후, 관리자가 상황파악 중 센서에서 홍수라는 위험 경고를 나타낼 때 휴양림 내에 있는 이용객들에게 대피 경로를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이동 중이던 경로에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기존의 경로 사용을 금하여 이용객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홍수 위험지역을 벗어나 기존의 경로가 아닌 새로운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100)는 보행자 경로 탐색을 통해 휴양림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안전한 경로 제공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
101: 사용자 단말
102: 관리자 단말
110: 통신 모듈
120: 데이터베이스
130: 메모리
140: 프로세서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지역에서 최단 거리 알고리즘 중에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지역에 입장 시 개인 정보와 위치 정보의 동의를 받아 사용자 단말의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발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 상기 대피소 및 상기 대피 상황의 위험 반경을 각각 나타내는 마커를 지도상에 생성하며,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로 이동하는 도중에 돌발 홍수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가 대피하지 못하는 경로일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재확인하여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재탐색된 새로운 대피 경로를 제공하되,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가 돌발 홍수의 범람을 나타내는 돌발 홍수 마커의 반경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공된 대피 경로를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재확인하여 상기 돌발 홍수 마커의 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대피 경로를 재탐색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이동 경로의 위도 및 경도를 확인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기 설정된 지역의 지역 ID, 주소 및 지역명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지역 정보 또는 지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로 저장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와 관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GPX(GPS Exchange Format)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
  9. 삭제
  10. 제1항, 제2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지역에서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최단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대피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단 경로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의 대피소까지 대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KR1020220174410A 2022-12-14 2022-12-14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259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410A KR102593517B1 (ko) 2022-12-14 2022-12-14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410A KR102593517B1 (ko) 2022-12-14 2022-12-14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517B1 true KR102593517B1 (ko) 2023-10-23

Family

ID=8850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410A KR102593517B1 (ko) 2022-12-14 2022-12-14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1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831A (ko) * 2008-12-15 2010-06-24 김현진 긴급차량의 이동경로 알림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05312A (ko) * 2008-06-10 2011-01-17 야후! 인크. 향상된 경로 지시를 위한 시스템, 장치, 또는 방법
KR101244043B1 (ko) * 2011-11-15 2013-03-15 주식회사 피엘앤씨테크놀로지 사용자 위치 확인 방법, 그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60112357A (ko) * 2015-03-19 2016-09-28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사물인식 센서와 연동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물리좌표 연산을 활용한 사용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내에서의 비상대피경로 안내 및 정보전달 시스템
KR20190093318A (ko) * 2018-02-01 2019-08-09 (주)헤르메시스 최단시간 경유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07279B1 (ko) 2017-08-31 2020-05-06 김다혜 위험지역을 우회하는 안심경로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KR102132186B1 (ko) 2019-09-25 2020-07-09 (주)비엔티 재해예측에 따른 대피경로 산출 및 안내 시스템
KR102136092B1 (ko) 2018-11-29 2020-07-22 주식회사 오경컴텍 재난발생정보를 이용한 최단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102198594B1 (ko) 2019-03-22 2021-01-05 (주)와이엔씨 레질리언스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5323A (ko) * 2019-12-30 2021-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4669A (ko) * 2020-11-27 2022-06-03 (의) 삼성의료재단 전자 장치, 사용자 지정 정보를 고려한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312A (ko) * 2008-06-10 2011-01-17 야후! 인크. 향상된 경로 지시를 위한 시스템, 장치, 또는 방법
KR20100068831A (ko) * 2008-12-15 2010-06-24 김현진 긴급차량의 이동경로 알림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4043B1 (ko) * 2011-11-15 2013-03-15 주식회사 피엘앤씨테크놀로지 사용자 위치 확인 방법, 그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60112357A (ko) * 2015-03-19 2016-09-28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사물인식 센서와 연동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물리좌표 연산을 활용한 사용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내에서의 비상대피경로 안내 및 정보전달 시스템
KR102107279B1 (ko) 2017-08-31 2020-05-06 김다혜 위험지역을 우회하는 안심경로 제공 방법 및 제공 시스템
KR20190093318A (ko) * 2018-02-01 2019-08-09 (주)헤르메시스 최단시간 경유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36092B1 (ko) 2018-11-29 2020-07-22 주식회사 오경컴텍 재난발생정보를 이용한 최단 대피경로 안내 시스템
KR102198594B1 (ko) 2019-03-22 2021-01-05 (주)와이엔씨 레질리언스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132186B1 (ko) 2019-09-25 2020-07-09 (주)비엔티 재해예측에 따른 대피경로 산출 및 안내 시스템
KR20210085323A (ko) * 2019-12-30 2021-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92733B1 (ko) 2019-12-30 2022-04-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4669A (ko) * 2020-11-27 2022-06-03 (의) 삼성의료재단 전자 장치, 사용자 지정 정보를 고려한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6479B2 (ja) 避難ルート出力装置、避難ル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761500A (zh) 交通事故处理方法及交通事故处理装置
CN104951865B (zh) 一种基于电网gis的物资调拨追踪方法及系统
CN102761894B (zh) 获取路径的方法、装置及系统
US9086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buildings
CN104965854B (zh) 一种基于电网gis的物资调拨自动标绘方法及系统
Malik et al. Forest fire risk zona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ology in Kansrao Forest Range of Rajaji National Park, Uttarakhand, India
JP7315014B2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方法、及び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装置
KR20170031745A (ko)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관심 지점을 유지하는 방법
Tali et al. Location–allocation model applied to urban public services: spatial analysis of fire stations in Mysore urban area Karnataka, India
CN111414558B (zh) 导航路线的发送方法、显示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110968798A (zh) 房源显示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处理器
KR20170022694A (ko)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Tse et al. On assessing the accuracy of air pollution models exploiting a strategic sensors deployment
Hidayat et al. Determine non-passenger data from WiFi scanner data (MAC address), a case study: Romango bus, Obuse, Nagano prefecture, Japan
JP2016224755A (ja) 避難誘導プログラム、避難誘導方法、移動端末装置、及び避難支援プログラム
KR102593517B1 (ko) 맵 api를 이용한 최단 거리 알고리즘 기반 보행자 경로 탐색 방법 및 장치
JP2010139462A (ja) 地震配信システム
US10930009B2 (en) Geolocation system
US20130179260A1 (en) Predicting Trends Using A Geographic Position System
JP6357837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112566B2 (ja) 災害情報システム
JP200632971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Balasubramani et al. GIS-Based Service Area Analysis for Optimal Planning Strategies: A Case Study of Fire Service Station in Madurai City
Boye et al.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emergency service delivery–a case of Ghana national fire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