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17B1 - 창호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17B1
KR102593017B1 KR1020200182572A KR20200182572A KR102593017B1 KR 102593017 B1 KR102593017 B1 KR 102593017B1 KR 1020200182572 A KR1020200182572 A KR 1020200182572A KR 20200182572 A KR20200182572 A KR 20200182572A KR 102593017 B1 KR102593017 B1 KR 10259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window
contact area
circuit boar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254A (ko
Inventor
김준우
서명하
정봉환
김힘찬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8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이동 부재들과 회로 기판 간 접촉/접촉 분리에 기초하여, 창호 개폐 여부 및 오작동을 알릴 수 있는 창호용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용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최근에는 별도의 잠금 조작 없이 창짝을 닫는 것만으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잠금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창호용 잠금장치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014호(공고일: 2006년02월22일)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창호용 잠금장치는 창틀프레임(1)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트라이커(striker)(1a)와, 슬라이딩 개폐되는 창짝(2)에 설치되어 창짝(2)의 닫힘 조작 시 상기 스트라이커(1a)의 걸림부에 자동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선회 조작되는 후크(미도시)가 구비된 하드웨어(2a)를 포함한다. 이 경우 후크는 로드를 매개로 핸들(2b)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잠금/열림 조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잠금장치는 창짝(2)이 제대로 잠겼는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아 창짝(2)을 직접 밀어서 잠금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창짝의 잠금 여부 및 외부 침입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창호용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틀프레임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에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된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축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회전 돌기가 구비되는 회동 캠; 상기 회동 캠의 회전 돌기를 매개로 일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1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 이동 부재;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매개로 제1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2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이동 부재; 창틀에 설치된 잠금 수단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하는 걸림 공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 공의 걸림 결합에 의해 제1 이동 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3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하도록 마련된, 제3 이동 부재; 상기 제2 및 제3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각각 접촉/접촉 분리되는 제1 및 제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접촉 영역의 접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 기판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창호 개폐 여부 및 오작동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용 잠금 장치는 창호 열림/닫힘 시 이동 부재와 회로 기판 간의 접촉/분리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소리 및 서로 다른 색의 광으로 창호 개폐 여부 및 외부 침입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부품 분해도 이다.
도 4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본체 내부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부품 분해도 이며, 도 4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의 본체 내부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 장치는, 본체(100), 핸들(200), 회동 캠(300), 제1 이동 부재(400), 제2 이동 부재(500), 제3 이동 부재(600), 회로 기판(700) 및 알림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에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된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회동 캠(300), 제1 이동 부재(400), 제2 이동 부재(500), 제3 이동 부재(600), 회로 기판(700) 및 알림부(800)는 상기 본체(100)와 조립되어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200)은 상기 축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핸들(200)은 구동축의 회동 조작 후 원상태로 자동 복귀될 수 있도록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200)은, 핸들 본체(210), 상기 핸들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핸들 케이스(220), 상기 핸들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핸들 케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캠(300)은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회전 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 부재(400)는 회동 캠의 회전 돌기(310)를 매개로 일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1 스프링(410)이 구비되어 이동 후 원 위치로 탄성 복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4 참조). 상기 제1 이동 부재(400)는 회전 돌기(310)와 걸림 결합되어 회전 돌기(310)의 회전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복귀된다. 핸들 조작 없을 시 제1 이동 부재(400)의 탄성 복귀 위치에 있으며, 핸들 조작 시 제1 이동 부재(400)는 이동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부재(500)는 제1 이동 부재(400)를 매개로 제1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2 스프링(510)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 이동 부재(500)는 제1 이동 부재(400)와 접촉 형성되고, 제1 이동 부재(400)가 이동하면 상기 접촉 영역에 외력이 작용하여 제2 이동 부재(500)가 이동하게 된다. 제2 이동 부재(500)는 제1 이동 부재(40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고 핸들(2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핸들 조작이 없을 시 제2 이동 부재(500)는 탄성 복귀 위치에 있으며, 핸들 조작 시 제2 이동 부재(400)는 이동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3 이동 부재(600)는 창틀에 설치된 잠금 수단(미도시)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하는 걸림 공(61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 공(610)의 걸림 결합에 의해 제1 이동 부재(400)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3 스프링(620)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하도록 마련된다. 제3 이동 부재(600)는 제1 이동 부재(40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고 핸들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걸림 공의 걸림 해제 시, 제3 이동 부재(600)는 탄성 복귀 위치에 있으며, 걸림 공(610)의 걸림 결합 시 제3 이동 부재(600)는 이동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3 이동 부재(600)는 핸들 조작과 무관하게 창틀에 설치된 잠금 장치와 걸림/걸림 해제에 의해 이동한다.
또한, 창틀에 설치된 잠금 수단은 제3 이동 부재(600)의 걸림 공(610)이 삽입되면,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의해 잠금 수단과 걸림 공(610)과 걸림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회동 캠(300)은 잠금 수단에 삽입되어 창호 잠금/잠금 해제하는 잠금 핀이 결합되며, 잠금 핀이 창틀에 설치된 잠금 수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 캠(300)이 탄성 복귀 위치이면 잠금 되고, 회동 캠(300)이 회전 이동한 위치이면 잠금 해제된다.
상기 회로 기판(700)은 상기 제2 및 제3 이동 부재(500, 600)의 이동에 의해 각각 접촉/접촉 분리되는 제1 및 제2 접촉 영역(710, 720)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접촉 영역(710, 72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회로 기판(700)은 PCB 기판일 수 있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730)를 포함한다. 전원부(730)는 예를 들어, 건전지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이동 부재(500, 600)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 영역(710, 720)과 접촉 되는 접촉부(520, 630)을 포함한다.
상기 알림부(800)는 상기 회로 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 기판(700)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창호 개폐 여부 및 오작동을 알린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2 이동 부재(500)는 탄성 복귀 위치에서 제1 접촉 영역(710)과 접촉되고, 상기 제3 이동 부재(600)는 탄성 복귀 위치에서 제2 접촉 영역(720)과 접촉된다. 반대로, 상기 제2 이동 부재(500)는 이동 시 제1 접촉 영역(710)과 접촉 분리되고, 제3 이동 부재(600)는 이동 시 제2 접촉 영역(720)과 접촉 분리된다. 창호 닫힘/열림, 그리고 핸들 조작 시, 제2 및 제3 이동 부재(500, 600)는 각각 이동 또는 탄성 복귀하면서 제1 및 제2 접촉 영역(710, 720)에서 접촉/접촉 분리가 상이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마다 회로 기판에서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로 기판(700)은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 분리되고,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되면, 알림부(800)에서 정상 창호 열림을 알리도록 제1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 분리는 제2 이동 부재(500)의 이동에 의한 것이고, 제2 이동 부재(500)의 이동은 핸들 조작 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은 제3 이동 부재(600)가 걸림 해제에 의해 탄성 복귀 위치에서 이루어진 것이고, 이는 창호 열림 시 발생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700)은 상기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 분리되고,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되면 정상 창호 열림과 관련한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로 기판(700)은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되고,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 분리되면, 알림부(800)에서 정상 창호 닫힘을 알리도록 제2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은 제2 이동 부재(500)가 탄성 복귀 위치에서 이루어지고, 이는 핸들 조작이 없을 때 제2 이동 부재(500)가 제1 접촉 영역(710)과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 분리는 제3 이동 부재(600)가 걸림 결합에 의해 이동하면서 이루어진 것이고, 이는 창호 닫힘 시 발생한다. 따라서, 따라서, 회로 기판(700)은 상기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되고,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 분리되면 정상 창호 닫힘과 관련한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로 기판(700)은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되고,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되면, 알림부(800)에서 오작동을 알리도록 제3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은 제2 이동 부재가 탄성 복귀 위치에 이루어지고, 이는 핸들 조작이 없을 때 제2 이동 부재(500)가 제1 접촉 영역(710)과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은 창호 열림 시 제3 이동 부재(600)의 걸림 해제에 의해 발생한다. 즉, 핸들 조작 없이 창호가 열린 상황에서 상기 회로 기판(700)은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되고, 제2 접촉 영역(720)에서 접촉되므로, 회로 기판(700)은 알림부(800)에서 오작동을 알리도록 제3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하나의 예시에서, 창호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부재(500)는 회로 기판(700)의 제1 접촉 영역(710)과 접촉되고, 핸들 조작 시 회로 기판(700)의 제1 접촉 영역(710)과 접촉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동 부재(600)는 창호 열림 상태에서 회로 기판(700)의 제2 접촉 영역(720)과 접촉되고, 창호 닫힘 상태에서 회로 기판(700)의 제2 접촉 영역(720)과 접촉 분리된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알림부(800)는 서로 다른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서로 다른 LED 색상의 점등을 이용하여 창호 개폐 여부 및 오작동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알림부(800)는 서로 다른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원(810) 또는 본체의 표면에 노출 형성되는 LED 램프(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이동 부재(400)는 제2 이동 부재(500)와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제1 이동 부재(400)가 이동하면, 제1 이동 부재(500)의 경사면이 제2 이동 부재(500)를 제1 이동 부재(400)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동 부재(600)는 창호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부재(400)가 이동 후 탄성 복귀될 때, 제1 이동 부재(400)의 경사면의 일 단과 걸리도록 마련된 걸림 턱(730)을 포함할 수 있다.
창호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3 이동 부재(600)의 걸림 턱(730)이 제1 이동 부재(400)의 탄성 복귀를 제한함에 따라, 제2 이동 부재(500)가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창호 열림 상태에서는 회로 기판(700)의 제1 접촉 영역(710)에서 접촉 분리가 유지된다.
한편, 창호 닫힘 상태에서, 제3 이동 부재(600)의 이동으로 인해, 제3 이동 부재(600)의 걸림 턱(730)은 제1 이동 부재(400)가 이동 후 탄성 복귀될 때 걸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창호 닫힘 상태에서 회로 기판(700)의 제1 접촉 영역(710)은 접촉이 유지된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본체(100)는 본체 내부(110) 및 표시부(111)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400)는 좌우측에 창호 열림/닫힘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된 색상 표시 부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 표시 부재(420)는 제1 이동 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부(111)로 창호 열림/닫힘을 항시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LED 램프는 서로 다른 색의 점등을 통해 창호 열림/닫힘 시 짧은 시간 동안 알리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색상 표시 부재(420)는 항시 창호 열림/닫힘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핸들
300: 회동 캠
400: 제1 이동 부재
500: 제2 이동 부재
600: 제3 이동 부재
700: 회로 기판
800: 알림부

Claims (12)

  1. 창틀프레임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에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된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축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회전 돌기가 구비되는 회동 캠;
    상기 회동 캠의 회전 돌기를 매개로 일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1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 이동 부재;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매개로 제1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2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2 이동 부재;
    창틀에 설치된 잠금 수단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하는 걸림 공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 공의 걸림 결합에 의해 제1 이동 부재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제3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 후 탄성 복귀하도록 마련된, 제3 이동 부재;
    상기 제2 및 제3 이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각각 접촉/접촉 분리되는 제1 및 제2 접촉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접촉 영역의 접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 기판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창호 개폐 여부 및 오작동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탄성 복귀 위치에서 제1 접촉 영역과 접촉되고,
    상기 제3 이동 부재는 탄성 복귀 위치에서 제2 접촉 영역과 접촉되는, 창호용 잠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제1 접촉 영역에서 접촉 분리되고, 제2 접촉 영역에서 접촉되면, 알림부에서 정상 창호 열림을 알리도록 제1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창호용 잠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제1 접촉 영역에서 접촉되고, 제2 접촉 영역에서 접촉 분리되면, 알림부에서 정상 창호 닫힘을 알리도록 제2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창호용 잠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제1 접촉 영역에서 접촉되고, 제2 접촉 영역에서 접촉되면, 알림부에서 오작동을 알리도록 제3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창호용 잠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창호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부재는 회로 기판의 제1 접촉 영역과 접촉되고, 핸들 조작 시 회로 기판의 제2 접촉 영역과 접촉 분리되는, 창호용 잠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3 이동 부재는 창호 열림 상태에서 회로 기판의 제2 접촉 영역과 접촉되고, 창호 닫힘 상태에서 회로 기판의 제2 접촉 영역과 접촉 분리되는, 창호용 잠금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알림부는 서로 다른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서로 다른 LED 색상의 점등을 이용하여 창호 개폐 여부 및 오작동을 알리는, 창호용 잠금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이동 부재는 제2 이동 부재와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제1 이동 부재가 이동하면, 제1 이동 부재의 경사면이 제2 이동 부재를 제1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창호용 잠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3 이동 부재는 창호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부재가 이동 후 탄성 복귀될 때, 제1 이동 부재의 경사면의 일 단과 걸리도록 마련된 걸림 턱을 포함하는, 창호용 잠금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표시부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부재는 좌우측에 창호 열림/닫힘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된 색상 표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 표시 부재는 제1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부로 창호 열림/닫힘을 항시 표시하도록 마련된, 창호용 잠금 장치.
  12.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창짝; 및
    상기 창짝에 설치되는 제1항에 따른 창호용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창호.
KR1020200182572A 2020-12-23 2020-12-23 창호용 잠금 장치 KR10259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72A KR102593017B1 (ko) 2020-12-23 2020-12-23 창호용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572A KR102593017B1 (ko) 2020-12-23 2020-12-23 창호용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54A KR20220091254A (ko) 2022-06-30
KR102593017B1 true KR102593017B1 (ko) 2023-10-23

Family

ID=8221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572A KR102593017B1 (ko) 2020-12-23 2020-12-23 창호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97B1 (ko) 2017-07-11 2018-04-17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JP6329640B2 (ja) 2015-10-15 2018-05-23 株式会社無有 建具用警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740A (ja) * 1981-07-23 1983-01-31 Daihatsu Motor Co Ltd プレス機械のクッション装置
KR101145971B1 (ko) * 2009-07-16 2012-05-15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KR102471518B1 (ko) * 2018-08-23 2022-11-29 (주)엘엑스하우시스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9640B2 (ja) 2015-10-15 2018-05-23 株式会社無有 建具用警報装置
KR101849097B1 (ko) 2017-07-11 2018-04-17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254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8884B (zh) 旋轉爪式閂鎖
CN114502810B (zh) 指示器式门锁
US20070157431A1 (en) Hinge with built in safety switch
KR102593017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100811244B1 (ko)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JP4823874B2 (ja) 電気錠
CN101169016A (zh) 一种可双向开启的插芯式门锁
CN111954744B (zh) 开门通知和门把手/防恐杆位置表示装置
US20080190155A1 (en) Hub Locking Apparatus For Mortise Lock Assembly
KR100656599B1 (ko) 테일 게이트 전동래치
GB2415739A (en) Door jamb assembly selectively blocking swing door
KR20220091255A (ko) 창호용 잠금 장치
JP4765129B2 (ja) 窓開閉装置
JPH0351497Y2 (ko)
JP6559026B2 (ja) 錠前
JP2007070932A (ja) 鎌付電気扉錠
MXPA03006870A (es) Cerrojo de puerta con un embrague que tiene un manguito de eje estilo leva.
KR102291966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102291961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100382127B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제어장치
US20230340804A1 (en) Compression latch
JPH0422665Y2 (ko)
JP4823871B2 (ja) 電気錠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JP2500127Y2 (ja) ドアのラッチと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