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941B1 -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941B1
KR102592941B1 KR1020210092880A KR20210092880A KR102592941B1 KR 102592941 B1 KR102592941 B1 KR 102592941B1 KR 1020210092880 A KR1020210092880 A KR 1020210092880A KR 20210092880 A KR20210092880 A KR 20210092880A KR 102592941 B1 KR102592941 B1 KR 102592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tube
partial repair
sewer pipe
hose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283A (ko
Inventor
김흥근
Original Assignee
창운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운건설(주) filed Critical 창운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09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94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호스를 팽창튜브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며,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로의 내측에 투입되어 팽창튜브의 팽창에 의해 하수관로의 손상된 부위를 부분보수재로 보수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링의 사이에 결합된 원통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의 고정고리; 상기 고정고리에 삽입되어 베이스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느슨하게 결합되고,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면 팽창튜브 측으로 팽창하는 호스; 상기 팽창된 호스가 근접함에 따라 호스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튜브; 상기 팽창튜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분보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사홀이 형성된 호스를 팽창튜브에 최대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고리가 베이스의 외주면에 호스를 나선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결합됨으로써 가열된 공기를 팽창튜브에 직접 분사하여 더욱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고, 부분보수재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장치의 수명 연장, 시공성 향상, 공사비 절감, 연료 사용량 감소를 통한 탄소배출량 감소 및 보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및 고정고리, 베이스가 실리콘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가열된 공기에 대한 내열성이 우수하며, 팽창튜브의 외면에 부분보수재에 함침된 액상 수지의 접착 방지를 위한 분리재(비닐)를 둘러 감는 공정이나 기름 도포가 불필요하여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팽창튜브의 제작시 실리콘의 간단한 절단 및 접착에 의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금형 제작이 필요 없어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팽창튜브의 중앙부 지름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고, 하수관의 지름에 따라 팽창 튜브의 길이를 가변할 필요가 없으며, 부분보수재에 보강섬유시트가 결합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팽창튜브에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Partial repair device for sewage pipe and repai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내측에 투입되어 팽창튜브의 팽창에 의해 하수관로의 손상된 부위를 보수재로 보수하는 하수관로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호스를 팽창튜브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며,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 및 교통량 증가에 따라 굴착 공사 시 야기되는 공사비, 사회손실비용, 안전사고, 환경문제 등의 관심이 커지면서 국내외에서 하수관의 보수공법의 적용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비굴착공법은 땅을 파고 하수관을 전면 교체하는 굴착공법과 대조되는데, 이러한 비굴착 보수공법은 굴착 보수공사 비용의 약 65~80%(부분 파손) 정도에 불과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비굴착 보수공법으로 지수제 주입공법과 부분보강공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지수제 주입공법은 흔히 화학약액 주입법(Chemical Grouting) 또는 보수기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강공법은 보강 시트(Sheet) 부착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화학약액 주입법은 하수관거 이음부의 누수와 원주형태의 갈라진 틈을 메우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관 벽에 작은 구멍이나 방사형으로 갈라진 틈새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초기의 누수시험에 통과하지 못한 관거나 관의 균열, 원주형 틈, 이음부 틈새 등 때문에 발생하는 지하수 침투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부분보강공법은 기존관이 노후하여 부분적으로 균열이 발생한 곳, 집중하중으로 인해 국부파손이 발생한 곳 등을 보강하기 위해 적용되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163호인 "하수관로 보수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하수관로 보수장치는 라이닝재의 접착을 위하여 패커를 팽창시킨 상태로 장시간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수관로의 보수장치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하수관로의 물막이용으로는 사용이 불가하였으며, 곡선주행이 불가하여 곡선형이 아닌 직선형 하수관로에서만 보수를 할 수 있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868989호에서는 팽창튜브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볼텍스튜브를 통해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보일러차 없이도 보수재에 함침된 보수약액의 화학반응 속도를 개선 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수관로의 보수를 신속하게 이루어 시공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밀폐캡의 사용을 통해 하수관로 보수장치가 아닌 물막이장치로 겸용 사용이 가능한 관경 멀티형 물막이 겸용 하수관로 보수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발명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통로(11)를 형성하며, 일측에 결합부(13)를 형성하는 베이스(10); 내부에 수용공간(21)을 형성하여 베이스(10)의 외경에 끼워져 결합되며, 일측에는 주입구(23)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밸브(25)가 구비된 배출구(27)를 형성하는 팽창튜브(20); 연결호스(31)를 통해 상기 주입구(23)로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베이스(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텍스튜브(30); 보수약액이 함침되어 상기 팽창튜브(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보수재(40); 하수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는 바퀴(542)를 구성한 이동수단(50); 상기 베이스(10)의 결합부(13)에 탈, 결합되어 내부의 통로(11)를 개폐하는 밀폐캡(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밀폐캡(60)의 사용 여부에 따라 하수관로(1)의 물막이 또는 보수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수관로 보수장치는 볼텍스튜브(30)로 가열된 뜨거운 공기로 인해 팽창튜브(20)가 쉽게 열화되어 수명이 아주 짧아짐은 물론 고압의 압축공기로 인해 쉽게 파열되기도 하며, 공기가 수용공간(21)으로 확산되면서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른 열효율의 감소에 의해 팽창튜브(20)가 서서히 가열됨으로써 팽창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이스(10) 및 팽창튜브(20)가 고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상승하여 비경제적이며, 팽창 전에는 베이스(10) 및 팽창튜브(20)가 서로 밀착되어 접착되기 때문에 평상시 기름을 도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보수재 및 팽창튜브가 수분의 유입 및 강도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짐으로써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작은 지름(550mm 정도)의 맨홀 뚜껑 지지대 내부에 진입시켜서 보수해야 하는 현장 여건상 종래의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의 시공 가능한 관로 지름의 범위(250∼600mm)가 전체적인 보수 대상 관로 지름(250∼1,500mm)의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된 공기를 팽창튜브에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팽창튜브에 더욱 신속한 팽창과 열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개선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팽창튜브 실리콘으로 구성하여 가열된 공기에 대한 내열성이 우수하며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지름의 하수관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며, 부분보수재의 내구성을 높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는 하수관로의 내측에 투입되어 팽창튜브의 팽창에 의해 하수관로의 손상된 부위를 부분보수재로 보수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링의 사이에 결합된 원통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의 고정고리; 상기 고정고리에 삽입되어 베이스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느슨하게 결합되고,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면 팽창튜브 측으로 팽창하는 호스; 상기 팽창된 호스가 근접함에 따라 호스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튜브; 상기 팽창튜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분보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이용한 보수방법은 보수를 해야 하는 하수관로의 내측 면을 고압의 물로 세정하는 하수관로 세정단계; 상기 하수관로의 부분보수에 적합한 크기 및 재질의 부분보수재를 준비하는 보수자재 준비단계; 상기 부분보수재에 액상수지를 교반하여 함침하는 교반 및 함침 단계;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팽창튜브의 외주면에 액상 수지가 함침된 부분보수재를 감아 고정밴드 및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부분보수재 고정단계; 상기 부분보수재가 고정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견인선, 또는 자주식 이동장치를 사용하여 하수관로 내측의 보수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분보수장치 인입단계; 상기 팽창튜브의 지름을 확장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가열된 공기를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주입구를 통해 호스로 이송하고, 상기 호스에 형성된 분사홀을 통해 팽창튜브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로 주입하는 압축공기 주입단계; 소정시간 액상 수지가 함침된 부분보수재를 열경화시켜 하수관로의 부분 보수가 요구되는 내주면에 결합하는 부분보수재 열경화단계; 상기 팽창튜브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지름을 축소하는 공기 배출단계; 지름이 축소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외부로 인출하는 부분보수장치 인출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에 의하면, 분사홀이 형성된 호스를 팽창튜브에 최대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고리가 베이스의 외주면에 호스를 나선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결합됨으로써 가열된 공기를 팽창튜브에 직접 분사하여 더욱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고, 부분보수재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장치의 수명 연장, 시공성 향상, 공사비 절감, 연료 사용량 감소를 통한 탄소배출량 감소 및 보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및 고정고리, 베이스가 실리콘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가열된 공기에 대한 내열성이 우수하며, 팽창튜브의 외면에 부분보수재에 함침된 액상 수지의 접착 방지를 위한 분리재(비닐)를 둘러 감는 공정이나 기름 도포가 불필요하여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팽창튜브의 제작시 실리콘의 간단한 절단 및 접착에 의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금형 제작이 필요 없어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팽창튜브의 중앙부 지름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고, 하수관의 지름에 따라 팽창 튜브의 길이를 가변할 필요가 없으며, 부분보수재에 보강섬유시트가 결합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팽창튜브에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하수관로 보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로 보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팽창튜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분보수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부분보수장치를 이용한 보수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로 보수장치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선을 사용하거나 원격으로 조정되는 바퀴(600)를 이용하여 하수관로의 내측으로 투입하고, 두 개의 고정링(100) 사이에 결합된 팽창튜브(400)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외측에 결합된 부분보수재(500)를 하수관로의 손상된 부분에 접착하여 보수하게 된다.
자동으로 조작되는 바퀴(600)에 관한 구성 및 작용은 도 1에서 나타낸 등록특허공보 제10-1868989호에서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에서는 팽창을 위한 튜브를 중심으로 개선된 구성 및 작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고정링(100)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재질의 베이스(2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링(100)에는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주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200)의 외측에는 복수의 고정고리(210)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210)는 베이스(200)와 같은 재질인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200)의 외주면에 견고히 결합되며, 확대도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에는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결합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211)의 상측에는 연결부(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212)의 상측에는 호스(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210)는 다양한 크기의 지름으로 형성된 하수관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연결부(212)의 길이를 다양한 길이로 형성하여 베이스(200)에 결합함으로써 보수하고자 하는 하수관의 지름에 적합한 길이의 고정고리(210)가 결합된 베이스(2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210)는 호스(300)가 베이스(20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겨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300)의 외주면에는 가열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홀(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스(300)는 일단이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주입구(110)와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50 ~ 70℃)를 공급받게 되며, 복수의 고정고리(210)에 삽입되어 베이스(20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설치된 후 타단이 배출구(12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주입구(110)에는 설정된 공기압의 범위 안에서만 가열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압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밸브(1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00)의 외측에는 간격을 이루며 두 개의 고정링(100) 사이에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팽창튜브(4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팽창튜브(400)의 양단은 차츰 지름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팽창튜브(400)의 외주면에는 부분보수재(500)가 결합된다.
상기 팽창튜브(400)는 팽창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양단의 지름보다 중앙부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름의 하수관로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지름이 큰 하수관로에 대응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팽창 튜브를 사용하였으나, 본원발명은 중앙부가 볼록한 형상에 의해 길이를 늘이지 않고도 큰 지름의 하수관로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고리(210) 및 팽창튜브(400)는 호스(300)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는 하중에 의해 베이스(20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베이스(200) 및 고정고리(210), 팽창튜브(400)가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고무로 이루어진 튜브와 달리 서로 접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접착을 방지하기 위한 기름 및 비닐을 도포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을 절개하여 접착에 의해 간단히 구성하기 때문에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종래의 고무로 이루어진 튜브의 단점인 고가의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는 연결부(212)로 이루어진 고정고리(210)에 대응하기 위하여 삽입부(213)에 삽입된 나선형의 호스(300)는 평상시 느슨한 상태로 설치되고,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압에 의해 팽창하며 고정고리(210)의 삽입부(213)를 베이스(200)와 이격시켜 호스(300)가 팽창튜브(400)에 근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분보수재(500)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유리섬유(510) 및 제2유리섬유(530)가 하측 및 상측에서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유리섬유(510) 및 제2유리섬유(530)의 내측에는 보강섬유시트(520)가 결합된다.
상기 보강섬유시트(520)는 부분보수재(500)의 강도를 보강하여 기존 보수 대상 하수관로의 지내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리섬유(510)에는 라텍스로 이루어진 복수의 고정밴드(511)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밴드(511)의 끝단과 제1유리섬유(510)의 저면에는 벨크로테이프(512)를 각각 결합함으로써 종래에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던 불편함을 개선하여 부분보수재(500)를 팽창튜브(400)의 외주면에 결합할 때 더욱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수가 요구되는 하수관로에 투입한 상태(바퀴 및 이동수단은 생략)에서 주입구(110)를 통해 열교환기의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호스(300)의 분사홀(310)을 통해 분사된 공기가 팽창튜브(400)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공기압에 의해 느슨했던 호스(300)가 팽창하면서 고정고리(210)의 삽입부(213)가 베이스(200)와 이격되고, 이에 따라 호스(300)가 팽창튜브(400)의 외주면에 최대한 근접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직접 팽창튜브(400)에 열을 가하게 되어 더욱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수관로 세정단계(S10), 보수자재 준비단계(S20), 교반 및 함침 단계(S30), 부분보수재 고정단계(S40), 부분보수장치 인입단계(S50), 압축공기 주입단계(S60), 부분보수재 열경화단계(S70), 공기 배출단계(S80), 부분보수장치 인출단계(S90)의 아홉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하수관로를 보수하게 된다.
상기 하수관로 세정단계(S10)에서는 보수를 해야 하는 하수관로의 내측 면을 고압의 물로 세정하게 되고, 상기 보수자재 준비단계(S20)에서는 부분보수에 적합한 크기 및 재질의 부분보수재(500)를 준비하게 되며, 상기 교반 및 함침 단계(S30)에서는 부분보수재(500)에 액상수지를 교반하여 함침하게 된다.
상기 부분보수재 고정단계(S40)에서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팽창튜브(400)의 외주면에 액상 수지가 함침된 부분보수재(500)를 감아 고정밴드(511) 및 벨크로테이프(512)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고, 상기 부분보수장치 인입단계(S50)에서는 부분보수재(500)가 고정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견인선, 또는 자주식 이동장치를 사용하여 하수관로 내측의 보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며, 압축공기 주입단계(S60)에서는 팽창튜브(400)의 지름을 확장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가열된 공기를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는 체크밸브(111)가 설치된 주입구(110)를 통해 호스(300)로 이송하고, 상기 호스(300)에 형성된 분사홀(310)을 통해 팽창튜브(400)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로 주입하게 된다.
상기 부분보수재 열경화단계(S70)에서는 소정시간 액상 수지가 함침된 부분보수재(500)를 열경화시켜 하수관로의 부분 보수가 요구되는 내주면에 결합하게 되고, 상기 공기 배출단계(S80)에서는 팽창튜브(400)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지름을 축소하게 되며, 상기 부분보수장치 인출단계(S90)에서는 지름이 축소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하수관로의 보수를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사홀(310)이 형성된 호스(300)를 팽창튜브(400)에 최대한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고정고리(210)가 베이스(200)의 외주면에 호스(300)를 나선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결합됨으로써 가열된 공기를 팽창튜브(400)에 직접 분사하여 더욱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고, 부분보수재(500)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장치의 수명 연장, 시공성 향상, 공사비 절감, 연료 사용량 감소를 통한 탄소배출량 감소 및 보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200) 및 고정고리(210), 베이스(200)가 실리콘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가열된 공기에 대한 내열성이 우수하며, 팽창튜브(400)의 외면에 부분보수재(500)에 함침된 액상 수지의 접착 방지를 위한 분리재(비닐)를 둘러 감는 공정이나 기름 도포가 불필요하여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팽창튜브의 제작시 실리콘의 간단한 절단 및 접착에 의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금형 제작이 필요 없어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팽창튜브(400)의 중앙부 지름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신속한 팽창이 이루어지고, 하수관의 지름에 따라 팽창 튜브의 길이를 가변할 필요가 없으며, 부분보수재(500)에 보강섬유시트(520)이 결합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벨크로테이프(512)에 의해 팽창튜브(400)에 더욱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100 : 고정링 110 : 주입구
111 : 체크밸브 120 : 배출구
200 : 베이스 210 : 고정고리
211 : 결합부 212 : 연결부
213 : 삽입부 300 : 호스
310 : 분사홀 400 : 팽창튜브
500 : 부분보수재 510 : 제1유리섬유
511 : 고정밴드 512 : 벨크로테이프
520 : 보강섬유시트 530 : 제2유리섬유
600 : 바퀴

Claims (8)

  1. 하수관로의 내측에 투입되어 팽창튜브의 팽창에 의해 하수관로의 손상된 부위를 부분보수재로 보수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링(100)의 사이에 결합된 원통 형상의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의 고정고리(210);
    상기 고정고리(210)에 삽입되어 베이스(20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느슨하게 결합되고,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면 팽창튜브(400) 측으로 팽창하는 호스(300);
    상기 팽창된 호스(300)가 근접함에 따라 호스(300)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310)을 통해 분사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튜브(400);
    상기 팽창튜브(4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분보수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 및 고정고리(210), 팽창튜브(400)는 실리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210)는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결합부(211)와, 하수관의 지름에 따라 길이를 가변하여 형성하는 연결부(212)와, 상기 호스(300)가 삽입되는 삽입부(2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튜브(400)의 양단은 차츰 지름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고, 중앙부는 신속한 팽창과 다양한 지름의 하수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양단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보수재(500)는 하측과 상측에 제1유리섬유(510) 및 제2유리섬유(530)가 결합되고, 상기 제1유리섬유(510) 및 제2유리섬유(530)의 사이에는 보강섬유시트(520)가 결합되며, 상기 제1유리섬유(510)에는 팽창튜브(400)의 외주면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51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100)에는 주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110)에는 설정된 공기압에 의해 개폐되는 체크밸브(1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7. 보수를 해야 하는 하수관로의 내측 면을 고압의 물로 세정하는 하수관로 세정단계(S10);
    상기 하수관로의 부분보수에 적합한 크기 및 재질의 부분보수재(500)를 준비하는 보수자재 준비단계(S20);
    상기 부분보수재(500)에 액상수지를 교반하여 함침하는 교반 및 함침 단계(S30);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팽창튜브(400)의 외주면에 액상 수지가 함침된 부분보수재(500)를 감아 고정밴드(511) 및 벨크로테이프(512)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부분보수재 고정단계(S40);
    상기 부분보수재(500)가 고정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견인선, 또는 자주식 이동장치를 사용하여 하수관로 내측의 보수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분보수장치 인입단계(S50);
    상기 팽창튜브(400)의 지름을 확장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가열된 공기를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는 체크밸브(111)가 설치된 주입구(110)를 통해 호스(300)로 이송하고, 상기 호스(300)에 형성된 분사홀(310)을 통해 팽창튜브(400)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로 주입하는 압축공기 주입단계(S60);
    소정시간 액상 수지가 함침된 부분보수재(500)를 열경화시켜 하수관로의 부분 보수가 요구되는 내주면에 결합하는 부분보수재 열경화단계(S70);
    상기 팽창튜브(400)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지름을 축소하는 공기 배출단계(S80);
    지름이 축소된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외부로 인출하는 부분보수장치 인출단계(S90);
    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이용한 보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주입단계(S60)에서 호스(300)는 베이스(200)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고리(210)에 고정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00) 및 고정고리(21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고리(210)는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호스(300)가 팽창튜브(400)에 근접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를 이용한 보수방법.
KR1020210092880A 2021-07-15 2021-07-15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 KR102592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80A KR102592941B1 (ko) 2021-07-15 2021-07-15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80A KR102592941B1 (ko) 2021-07-15 2021-07-15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83A KR20230012283A (ko) 2023-01-26
KR102592941B1 true KR102592941B1 (ko) 2023-10-24

Family

ID=8511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880A KR102592941B1 (ko) 2021-07-15 2021-07-15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9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94Y1 (ko) 2006-02-10 2006-04-26 구산건설(주)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패커
KR102076687B1 (ko) 2019-05-22 2020-02-12 박광일 비굴착식 지중 매설 관로의 보수방법
KR102100077B1 (ko) 2019-10-10 2020-04-10 (주)국제피스코 하수관 부분 보수 장치를 이용한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505A (ko) * 2001-07-28 2001-09-28 김윤수 관로 가변구간 보수장비 및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94Y1 (ko) 2006-02-10 2006-04-26 구산건설(주)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패커
KR102076687B1 (ko) 2019-05-22 2020-02-12 박광일 비굴착식 지중 매설 관로의 보수방법
KR102100077B1 (ko) 2019-10-10 2020-04-10 (주)국제피스코 하수관 부분 보수 장치를 이용한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83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21B1 (ko)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CN104633377B (zh) 一种高压玻璃纤维管线安装及管破损维修装置及工艺方法
US20110000567A1 (en) Packer for installing sealant in defective conduits
KR101935401B1 (ko) 관로 보수 장치
WO2013086192A1 (en) Method to repair compromised inlet outlet piping
KR100925041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2592941B1 (ko)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수방법
CN102261537A (zh) 管道内修复机
KR101935403B1 (ko) 튜브형 관로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
CN209414874U (zh) 钢塑复合管快速抢修接头
KR20130063067A (ko) 다양한 내경의 하수관로에 사용될 수 있는 보수장치
KR101021661B1 (ko) 피이시트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200334790Y1 (ko) 비굴착 충진지수 부분 보수 공법용 관 보수부재
KR101531788B1 (ko) 하수관 전체 보수 장치 및 공법
KR20080087400A (ko) 열선 내장형 관로 보수장치 및 그 공법
CN112096414A (zh) 一种用于盾构接收工程水平微冻结地层的衬砌管片及其施工方法
EP2322836B1 (en) Method to carry out a branching point of a pipe line under repair
KR100347011B1 (ko) 수지이송성형법을 이용한 하수관의 보수 및 보강방법
WO2016010455A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конусная муфта
JPH0972484A (ja) 管内面補修装置および管内面補修方法
CN218116468U (zh) 一种防止固化膨胀的注浆管道
US2023001832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or repairing a leaking and/or damaged location on an inner wall of a pipe
CN218954203U (zh) 一种承插口金属顶管用外壁保护装置
CN208397540U (zh) 一种生活给排水管道维修连接结构
KR101918897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