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77B1 -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77B1
KR102592577B1 KR1020210146571A KR20210146571A KR102592577B1 KR 102592577 B1 KR102592577 B1 KR 102592577B1 KR 1020210146571 A KR1020210146571 A KR 1020210146571A KR 20210146571 A KR20210146571 A KR 20210146571A KR 102592577 B1 KR102592577 B1 KR 10259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panel
air
panel body
du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874A (ko
Inventor
김정민
이성문
강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1014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7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가 내부에 위치되며, 하부 측에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가 위치된 변압 판넬체,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상기 변압 판넬체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송풍부를 포함하여 판넬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판넬의 상면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내부의 변압기를 효과적으로 공냉시킬 수 있고, 판넬 내의 온도 상승으로 소성로의 히터 작동이 정지되는 사고를 예방하고, 이로써 설비의 안정적인 가동시간을 보장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PANNEL STRUCTURE FOR TRANSFORMER WITH EXHAUST SYSTEM}
본 발명은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변압기용 판넬 내의 변압기를 공냉방식으로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에 관한 발명이다.
근래에 들어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요 및 화석 연료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 자동차의 필요성과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대되고 있고, 고용량 및 고성능을 가지는 이차 전지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은 원료 분체를 분체용기에 담아 소성로 내에서 400℃ 내지 1,100℃의 온도로 소성하여 제조되고 있다.
소성로의 히터는 복수의 변압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소성로의 변압장치는 소성로의 히터로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변압기 판넬로 구성된다.
종래의 변압기 판넬은 판넬의 도어에 급기팬과 배기팬을 각각 설치하여 판넬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변압기 판넬은 도어에 부착되는 급기팬과 배기팬으로 판넬 내부의 열을 배출하고 있는데, 급기팬과 배기팬이 도어에 부착되는 이유로 급기 및 배기 용량이 부족하고, 이로써 판넬 내부의 열기를 판넬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지 못하고 판넬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변압기 판넬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어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변압기에 부착된 과승온 방지센서에 의해 히터의 전원이 차단되어 소성로의 작동이 정지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64719호 "고속전철용 변압기의 냉각장치"(2002.02.04.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판넬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판넬의 상면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내부의 변압기를 효과적으로 공냉시킬 수 있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변압기 판널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연결 덕트로 각 변압 판넬체 내의 열기를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변압기가 내부에 위치되며, 하부 측에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가 위치된 변압 판넬체,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상기 변압 판넬체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송풍부; 및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변압 판넬체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기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선상에서 어긋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공기 흡입부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높이를 100으로 할 때 상기 변압 판넬체의 하단부에서 10 ~30 %의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압 판넬체는 내부의 바닥에 상기 변압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변압기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의 높이 중 적어도 60% 이상 부분이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폭방향의 너비의 60% 이상 부분이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압 판넬체는 내부의 바닥에 상기 변압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변압기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면적 중 적어도 60% 이상 부분이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변압기의 하부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용 덕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위치되어 상기 배출덕트부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패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 안내 패널부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 복수의 상기 가이드 패널부재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부재 및 상기 패널 연결부재를 직선 이동시켜 복수의 상기 가이드 패널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직선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단축 방향에서 단축 길이의 15% ~ 45% 범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판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넬 구조체는 본 발명에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판넬 구조체 각각의 배출덕트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부재, 상기 연결덕트부재에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부 및 상기 송풍팬부와 연결되고,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구가 위치되는 외부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일직선상에 위치되되, 상기 송풍팬부와 먼 상기 변압 판넬체의 순서로 상기 송풍팬부를 향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측면에서 멀게 위치되어 점차 변압 판넬체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상기 송풍팬부와 먼 순서로 상기 송풍팬부를 향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측면과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변압 판넬체의 전면에서 멀게 위치되어 점차 상기 변압 판넬체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상기 송풍팬부를 향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측면과 전면 사이 모서리에서 멀어지게 위치되어 점차 상기 변압 판넬체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넬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판넬의 상면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내부의 변압기를 효과적으로 공냉시킬 수 있고, 판넬 내의 온도 상승으로 소성로의 히터 작동이 정지되는 사고를 예방하고, 이로써 설비의 안정적인 가동시간을 보장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변압기 판널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연결 덕트로 각 변압 판넬체 내의 열기를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시켜 전기실 내의 공조 온도가 상승되는 단점을 해소하고, 하나의 대용량 송풍팬으로 복수의 변압기 판널체를 공냉시켜 변압기 냉각 시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사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변압기(110)가 내부에 위치되는 변압 판넬체(100)를 포함한다.
변압 판넬체(100)는 내부에 변압기(110)가 설치되고, 내부의 바닥에 변압기(110)가 상부에 안착되는 변압기 받침부(120)가 위치된다.
변압기(110)는 변압기 받침부(120) 상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변압 판넬체(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변압 판넬체(100)는 변압기(110)를 점검할 수 있는 개폐부가 구비되고, 개폐부는 개방부를 개폐하는 공지의 도어구조 등 개폐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변압 판넬체(100)는 하부 측에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101)가 위치되고, 공기 흡입부(101)는 변압 판넬체(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공기 흡입부(101)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300)가 구비되고, 필터부(300)는 변압 판넬체(100)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에 의한 변압기(110) 등 변압 판넬체(100) 내 설비의 고장을 방지한다.
또한, 필터부(300)는 공기 흡입부(10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교체 가능하며, 공지의 필터 교체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공기 흡입부(101)는 변압 판넬체(100)의 높이를 100으로 할 때 공기 흡입부(101)의 중심이 변압 판넬체(100)의 하단부에서 10 ~30 %의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 공기 흡입부(101)는 변압기 받침부(120)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변압기(110)의 하부 측으로 흡입될 수 있게 하고, 공기 흡입부(101)의 높이 중 적어도 60% 이상 부분이 변압기 받침부(120)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된다.
공기 흡입부(101)는 높이 방향의 길이 중 적어도 70% 이상 또는 더 바람직하게 80% 이상이 변압기 받침부(120)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되어 변압기 받침부(120) 상에 안착된 변압기(110)의 하부 측으로 대부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한다.
공기 흡입부(101)는 폭방향의 너비의 60% 이상 부분이 변압기 받침부(120)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된다.
공기 흡입부(101)는 폭방향의 너비 중 적어도 70% 이상 또는 더 바람직하게 80% 이상이 변압기 받침부(120)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되어 변압기 받침부(120) 상에 안착된 변압기(110)의 하부 측으로 대부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즉, 공기 흡입부(101)는 면적 중 적어도 60% 이상 부분이 변압기 받침부(120)와 겹쳐지게 위치되거나, 70% 이상 부분이 변압기 받침부(120)와 겹쳐지게 위치되거나, 80% 이상 부분이 변압기 받침부(120)와 겹쳐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흡입부(101)는 최소한의 높이 방향 길이 및/또는 폭방향 너비를 가지며 상기 변압기(110)의 하부 영역에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변압 판넬체(100) 외측에 최소한의 면적을 가지는 공기 흡입부(10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압 판넬체(100) 내부에 배치된 구성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상기 변압 판넬체(100) 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상기 변압 판넬체(100) 내부에 배치된 구성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변압 판넬체(100)의 상부면에는 공기 송풍부(200)가 연결되어 변압 판넬체(1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공기 송풍부(200)는 변압 판넬체(100)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변압 판넬체(10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부재(210)를 포함하고,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기(110)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선상에서 어긋나게 즉, 변압기(110)의 중심부를 지나는 수직선과 겹져지지 않게 위치된다.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의 평면에서 최대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에 붙어서 설치되되 단축 방향을 기준으로 즉,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단축 방향에서 배출덕트부재(210)의 중심이 단축 길이의 15% ~ 45%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의 평면에서 최대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에 붙어서 설치되되 단축 방향을 기준으로 즉,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단축 방향에서 배출덕트부재(210)의 중심이 단축 길이의 20% ~ 40%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의 평면에서 최대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에 붙어서 설치되되 단축 방향을 기준으로 즉,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단축 방향에서 배출덕트부재(210)의 중심이 단축 길이의 25% ~ 35%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변압 판넬체(100)는 평면에서 전면과 후면 사이가 단축 방향이 되고, 양 측면부 사이가 장축 방향이 되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배출덕트부재(210)는 상부면에서 변압기(110)의 중심 즉, 변압 판넬체(10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치우치게 위치됨으로써 변압기(110)를 통과한 공기가 변압기(110)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기판, 케이블 등의 전장품을 거치지 않고 배출되게 하고, 이로써 변압 판넬의 내부에 위치된 전장품이 변압기에 의해 가열된 열에 의해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변압 판넬체(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공기 흡입부(101)와 연결되어 공기 흡입부(101)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변압기(110)의 하부 즉, 변압기 받침부(120)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용 덕트부(400)를 더 포함한다.
공기 안내용 덕트부(400)는 공기 흡입부(101)에 각각 연결되게 위치되어 변압 판넬체(100)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각 공기 흡입부(10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변압기(110)의 하부 측으로 안내한다.
공기 안내용 덕트부(400)는 공기 흡입부(101)와 연결된 단부에서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더 잘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 안내용 덕트부(400)는 입구에서 출구까지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1안내 덕트부재(410), 제1안내 덕트부재(410)의 출구 측에 연결되어 변압기 받침부(120)의 측면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2안내 덕트부재(420)를 포함한다.
변압기 받침부(120)는 변압기(110)의 중심부에 위치되되 변압기(110)의 하부면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져 변압기(110)가 외측 둘레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제2안내 덕트부재(420)는 변압기 받침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변압기(11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변압기 받침부(120)의 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안내 덕트부재(420)의 일 끝단은 상기 변압기 받침부(120)와 이격되며 상기 변압기(110)와 높이 방향으로 오버되어 변압기 받침부(120)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게 위치된 변압기(110)의 하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한다.
제2안내 덕트부재(420)는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어 변압기(110)의 하부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고, 공기 흡입부(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변압기(110)의 하부로 공급되어 변압 판넬체(100)의 상부 측으로 송풍되면서 변압기(110)를 전체적으로 공냉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공기 송풍부(200)는 전기실 내에 복수의 변압 판넬체(100)가 위치되고, 공기 송풍부(200)는 각 변압 판넬체(100)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부재(220), 연결덕트부재(220)에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 송풍부(200)는 송풍팬부(230)와 연결되고,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구가 위치되는 외부 배출덕트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공기 송풍부(200)는 외부 배출덕트부재(240)를 통해 각 변압 판넬체(100) 내의 열기를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시켜 전기실 내의 공조 온도가 상승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각 배출덕트부재(210)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량 즉, 각 변압 판넬체(100)의 송풍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변압 판넬체(100)는 전기실 내에서 측면이 서로 맞붙도록 이어져 위치되어 배치된다.
더 상세하게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각 변압 판넬체(100)의 상부면에 연결되되,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일직선상에 즉,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일직선상에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가까운 변압 판넬체(100)의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에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일직선상에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먼 변압 판넬체(100)의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에서 멀게 위치되어 점차 변압 판넬체(100)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가까운 변압 판넬체(100)의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과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변압 판넬체(100)의 전면에서 가깝게 위치된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이어진 방향에서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먼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과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변압 판넬체(100)의 전면에서 멀게 위치되어 점차 변압 판넬체(100)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가까운 변압 판넬체(100)의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과 전면 사이 모서리에서 가깝게 위치된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먼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과 전면 사이 모서리에서 멀어지게 위치되어 점차 변압 판넬체(100)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덕트부재(210)는 상기에서 언급한 위치 즉, 변압 판넬체(100)의 평면에서 최대한 변압 판넬체(100)의 측면 또는 전면에 붙어서 설치되되 단축 방향을 기준으로 즉,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단축 방향에서 단축 길이의 15% ~ 45%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을 만족하면서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가까운 변압 판넬체(100)에 장착된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측면 또는 전면에서 가깝게 위치됨을 밝혀둔다.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가까운 변압 판넬체(100)에 장착된 순서로 송풍팬부(230)를 향한 측면 또는 전면에서 가깝게 위치됨으로써 송풍팬부(230)와 가까운 변압 판넬체(100)일 수록 송풍 저항을 크게 부여함으로써 연결덕트부재(220)로 연결된 복수의 변압 판넬체(100)에서 최대한 균일하게 송풍량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변압 판넬체(100)에서 각각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배출덕트부재(210)는 변압 판넬체(100)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송풍팬부(230)와 멀게 변압 판넬체(100)에 장착된 순서로 점차 변압 판넬체(100)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되어 송풍 저항이 점차 작아지도록 설계되고 이에 연결덕트부재(220)로 연결된 복수의 변압 판넬체(100)에서 최대한 균일하게 송풍량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변압 판넬체(100)에서 각각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는 변압 판넬체(100)의 내부에서 경사지게 위치되어 배출덕트부재(210)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패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안내 패널부는 배출덕트부재(210)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안내 패널부(500)는 회전 가능하게 변압 판넬체(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패널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어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안내 패널부(500)는 송풍팬부(230)의 송풍량에 따라 패널 회전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배출덕트부재(210)로 공기가 원활하게 흘러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기 안내 패널부(500)는 변압 판넬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510),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510)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부재(520), 패널 연결부재(520)를 직선 이동시켜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5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직선 이동부(530)를 포함한다.
각도 조절용 직선 이동부(530)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유압 실린더 등 공지의 직선 이동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패널 연결부재(520)는 세워져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5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각도 조절용 직선 이동부(530)에 의해 상, 하 이동하면서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510)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510)는 상부 측으로 갈수록 배출덕트부재(210)를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어 즉, 공기가 상부 측으로 갈수로 점차 배출덕트부재(210)를 향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안내함과 아울러 변압 판넬체(100)의 내부에 위치된 전장품이 변압기에 의해 가열된 열에 의해 영향이 최소화되고, 내부의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넬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판넬의 상면으로 공기를 배출시켜 내부의 변압기(110)를 효과적으로 공냉시킬 수 있고, 판넬 내의 온도 상승으로 소성로의 히터 작동이 정지되는 사고를 예방하고, 이로써 설비의 안정적인 가동시간을 보장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변압기 판널체를 연결하여 하나의 연결 덕트로 각 변압 판넬체(100) 내의 열기를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시켜 전기실 내의 공조 온도가 상승되는 단점을 해소하고, 하나의 대용량 송풍팬으로 복수의 변압기 판널체를 공냉시켜 변압기 냉각 시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변압 판넬체 101 : 공기 흡입부
110 : 변압기 120 : 변압기 받침부
200 : 공기 송풍부 210 : 배출덕트부재
220 : 연결덕트부재 230 : 송풍팬부
240 : 외부 배출덕트부재 300 : 필터부
400 : 공기 안내용 덕트부 410 : 제1안내 덕트부재
420 : 제2안내 덕트부재 500 : 공기 안내 패널부
510 : 가이드 패널부재 520 : 패널 연결부재
530 : 각도 조절용 직선 이동부

Claims (14)

  1. 변압기가 내부에 위치되며, 하부 측에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가 위치된 변압 판넬체;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면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상기 변압 판넬체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송풍부;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변압 판넬체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부재; 및
    상기 변압 판넬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덕트부재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안내 패널부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패널부재;
    복수의 상기 가이드 패널부재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부재; 및
    상기 패널 연결부재를 직선 이동시켜 복수의 상기 가이드 패널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용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에 구비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높이를 100으로 할 때 상기 변압 판넬체의 하단부에서 10 ~30 %의 높이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압 판넬체는 내부의 바닥에 상기 변압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변압기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의 높이 중 적어도 60% 이상 부분이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폭방향의 너비의 60% 이상 부분이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겹쳐질 수 있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압 판넬체는 내부의 바닥에 상기 변압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변압기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면적 중 적어도 60% 이상 부분이 상기 변압기 받침부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압 판넬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변압기의 하부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용 덕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의 단축 방향에서 단축 길이의 15% ~ 45%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11. 변압기가 내부에 위치되며, 하부 측에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가 위치된 변압 판넬체 및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변압 판넬체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하며, 복수로 구비되는 판넬 구조체;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부재;
    상기 연결덕트부재에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부; 및
    상기 송풍팬부와 연결되고,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구가 위치되는 외부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일직선상에 위치되되, 상기 송풍팬부와 먼 상기 변압 판넬체의 순서로 상기 송풍팬부를 향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측면에서 멀게 위치되어 점차 변압 판넬체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12. 삭제
  13. 변압기가 내부에 위치되며, 하부 측에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가 위치된 변압 판넬체 및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변압 판넬체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하며, 복수로 구비되는 판넬 구조체;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부재;
    상기 연결덕트부재에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부; 및
    상기 송풍팬부와 연결되고,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구가 위치되는 외부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상기 송풍팬부와 먼 순서로 상기 송풍팬부를 향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측면과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변압 판넬체의 전면에서 멀게 위치되어 점차 상기 변압 판넬체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14. 변압기가 내부에 위치되며, 하부 측에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는 공기 흡입부가 위치된 변압 판넬체 및 상기 변압 판넬체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변압 판넬체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하며, 복수로 구비되는 판넬 구조체;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부재;
    상기 연결덕트부재에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부; 및
    상기 송풍팬부와 연결되고, 전기실의 외부로 배출구가 위치되는 외부 배출덕트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출덕트부재는 상기 변압 판넬체가 일렬로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되되, 상기 송풍팬부를 향한 상기 변압 판넬체의 측면과 전면 사이 모서리에서 멀어지게 위치되어 점차 상기 변압 판넬체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KR1020210146571A 2021-10-29 2021-10-29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KR10259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71A KR102592577B1 (ko) 2021-10-29 2021-10-29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71A KR102592577B1 (ko) 2021-10-29 2021-10-29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874A KR20230061874A (ko) 2023-05-09
KR102592577B1 true KR102592577B1 (ko) 2023-10-20

Family

ID=8640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571A KR102592577B1 (ko) 2021-10-29 2021-10-29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896B1 (ko) 2006-02-09 2007-07-24 주식회사 베스텍 공기 흡배기 관로가 형성된 수배전반
JP2009234546A (ja) 2008-03-28 2009-10-15 Toshiba Corp 鉄道車両用の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鉄道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308U (ja) * 1992-11-18 1994-06-10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
BE1013948A3 (nl) 1996-03-26 2003-01-14 Egemin Naanloze Vennootschap Meetsysteem voor het toetsen van de positie van een voertuig en waarneeminrichting hiervoor.
TWI416830B (zh) * 2007-12-18 2013-11-21 Hitachi Ltd Switchboard
KR101642118B1 (ko) * 2012-02-10 2016-07-22 한국전력공사 옥내수전반 변압기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896B1 (ko) 2006-02-09 2007-07-24 주식회사 베스텍 공기 흡배기 관로가 형성된 수배전반
JP2009234546A (ja) 2008-03-28 2009-10-15 Toshiba Corp 鉄道車両用の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鉄道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874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68462A1 (zh) 空调室内机
CN202721943U (zh) 一种冷却风分流结构
CN209170053U (zh) 一种储能机柜
WO2022068461A1 (zh) 空调室内机
KR102592577B1 (ko)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변압기용 판넬 구조체
WO2021197080A1 (zh) 无叶冷风扇
US11252846B2 (en) Ventilation device, ventilation unit, and power conversion device
JP6005011B2 (ja) 蓄電装置
CN202927909U (zh) 电磁炉
JP6129683B2 (ja) 蓄電装置
JP2005044857A (ja) 冷却機構
CN116722264A (zh) 储能装置及其控制方法、用电设备
CN110662384A (zh) 一种防尘电控箱
CN113659479B (zh) 一种具有送风装置的一体柜的送风控制方法
CN216289810U (zh) 一种多功能防漏电电气柜
JP2014216092A (ja) 蓄電装置
CN210283963U (zh) 充电站
CN204099180U (zh) 设有控制器散热风道的智能泵
CN208462252U (zh) 一种高效散热的娱乐机外壳
CN2862167Y (zh) 导风型鼓风机
JP2010091231A (ja) 冷却装置
CN104265618B (zh) 设有控制器散热风道的智能泵及其散热方法
WO2022257374A1 (zh) 空调器
CN102612305B (zh) 带有风道的电控箱
CN116025989A (zh) 空气处理设备及具有其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