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38B1 -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 Google Patents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38B1
KR102592538B1 KR1020210112779A KR20210112779A KR102592538B1 KR 102592538 B1 KR102592538 B1 KR 102592538B1 KR 1020210112779 A KR1020210112779 A KR 1020210112779A KR 20210112779 A KR20210112779 A KR 20210112779A KR 102592538 B1 KR102592538 B1 KR 10259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ignal
ultraviolet lam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744A (ko
Inventor
이동현
김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성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성철
Priority to KR102021011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Abstract

사용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저장용기부; 상기 저장용기부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유해 세균이 제거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부; 상기 자외선램프부 및 상기 저장용기부가 냉각되도록 구동되는 냉각부에 전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부; 및 상기 자외선램프부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sterilizer system for meat stock refrigerator}
본 발명은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안전성이 개선되는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 음식인 냉면이나 메밀국수 등에 필요한 육수, 후식으로 즐길 수 잇는 수정 및 식혜 등은 슬러시 형태로 얼음이 떠 있으면 더욱 시원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냉면이나 메밀국수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음식점에서는 육수 또는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육수냉장고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육수냉장고는 구조상 상부에 덮개가 배치되며, 육수 또는 음료 등의 꺼내기 위해서는 덮개를 들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한 후 저장용기부에 있는 내용물을 국자를 이용하여 뜨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육수냉장고는 저장용기부의 바닥부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 덮개의 잦은 개폐로 인해 오염시 저장용기부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어 사용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19489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안전성이 개선되는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저장용기부; 상기 저장용기부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유해 세균이 제거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부; 상기 자외선램프부 및 상기 저장용기부가 냉각되도록 구동되는 냉각부에 전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부; 및 상기 자외선램프부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에 스위칭회로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저장용기부 간의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닫힘신호 및 열림신호를 생성하는 커버닫힘감지센서부와, 상기 저장용기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내용물의 보관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내용물이 비접촉시 비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내용물이 접촉시 보관신호를 생성하는 비움감지센서부와, 상기 냉각부 및 상기 전원부 사이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냉각부로의 전원공급상태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전원공급신호 및 전원차단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는 전원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 상기 비움감지센서부 및 상기 전원감지센서부에 회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가 구동되며 상기 닫힘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자외선램프부에 전원을 인가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가 구동 정지되거나 상기 닫힘신호 및 상기 비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생성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에 전원을 차단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비움감지센서부는 상기 내용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호간 통전되도록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한쌍의 통전금속이 구비되는 수위센서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덮개부의 닫힘 및 내용물이 비움 상태시에 덮개부 하부에 구비된 자외선램프부가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유해 세균이 제거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므로 효율적으로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면서도 자동 살균 기능을 제공하여 제품의 위생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커버닫힘감지센서부에서 닫힘신호가 생성됨과 동시에 비움감지센서부에서 비움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만 자외선램프부에 전원을 인가 제어하여 내용물이 보관중이거나 덮개부의 개방시 저장용기부 내부로 자외선 조사가 미연에 차단되므로 안전사고가 예방되며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전원부가 구동 정지되거나 덮개부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커버닫힘감지센서부에서 생성되는 닫힘신호 및 저장용기부의 바닥면에 구비된 비움감지센서부에서 생성되는 비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외선램프부에 전원이 차단 제어되므로 자외선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100)은 저장용기부(10), 덮개부(20), 자외선램프부(30), 전원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부(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의 내부에 배치되며, 액상의 내용물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상부에 개구부(12)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부(10)는 상기 하우징부(1)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하우징부(1)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부(40) 및 상기 제어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용기부(10)의 하부에 연통되는 배수관(1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수관(13)은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11)으로 연통되며 타단이 배수호스(14)에 연결 및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관(13)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보관된 액상의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관(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출밸브(미도시)는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되어 개폐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호스(14)는 상기 하우징부(1)의 외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배수관(1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밸브(미도시)의 개방시 상기 수용공간(11)에 보관된 액상의 내용물이 상기 배수관(13)과 상기 배수호스(14)를 따라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저장용기부(10)의 개구된 상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2)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개구부(12)의 개구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저장용기부(10)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20)은 원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덮개부(20)의 원주방향 외측 테두리가 상기 저장용기부(10)의 상부 테두리를 밀폐 커버하며 착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램프부(30)는 상기 덮개부(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유해 세균이 제거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을 향하여 하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자외선램프부(3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상기 덮개부(20)의 하면에 체결수단(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덮개부(20)의 하면에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가 장착되기 위해 상기 자외선램프부(30)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윤곽을 갖는 장착홈이 상향 함몰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자외선램프부(30)가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체결수단(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40)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 및 냉각부(90)에 각각 전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90)는 상기 저장용기부(10)가 냉각되도록 컴프레셔 등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냉장장치 또는 냉동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1)의 외면에 배치되는 버튼으로서 구비된 입력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입력부(미도시)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가 구동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인가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입력부(미도시)가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가 구동 정지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100)은 상기 냉각부(90) 및 상기 전원부(40) 사이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40)에서 상기 냉각부(90)로의 전원공급상태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전원공급신호 및 전원차단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는 전원감지센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감지센서부(60)는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40)에서 상기 냉각부(90)로 전원 공급을 감지시 상기 전원공급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부(40)에서 상기 냉각부(90)로 전원 차단을 감지시, 즉 전원 공급을 미감지시 상기 전원차단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100)은 상기 덮개부(20)에 스위칭회로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저장용기부(10) 간의 닫힘상태를 감지하여 닫힘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는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는 리드스위치 등의 센서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는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저장용기부(10) 간의 닫힘상태를 감지시 닫힘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저장용기부(10) 간의 열림상태를 감지시, 즉 닫힘상태를 미감지시 열림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100)은 상기 저장용기부(10)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내용물의 보관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내용물이 비접촉시 비움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는 비움감지센서부(8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는 상기 내용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호간 통전되도록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한쌍의 통전금속이 구비되는 수위센서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통전금속은 상호 이격되어 개방된 회로 상태로 배치되되, 액상의 상기 내용물이 각 상기 통전금속에 접촉됨에 따라 상호간 통전되어 전위차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비움감지센서부는 수위센서를 대체하여 상기 내용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는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용기부(10)의 바닥면에 보관되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에 접촉되어 감지시 보관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에 상기 내용물의 비접촉시 비움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전원부(40)가 구동되며 상기 닫힘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인가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부(40)가 구동되면, 상기 자외선램프부(30) 및 냉각부(90)로 전원 공급이 활성화되어 상기 자외선램프부(30) 및 냉각부(90)가 구동 상태 또는 구동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전원부(40)가 구동 정지되거나 상기 닫힘신호 및 상기 비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생성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40)가 구동되고(s10), 상기 입력부(미도시)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전원부(40)가 구동중인지 비교 판단한다(s20). 여기서, 상기 전원부(40)가 구동중인지 비교 판단은 상기 전원감지센서부(60)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냉각부(90) 및 상기 전원부(40) 사이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40)에서 상기 냉각부(90)로의 전원공급상태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전원공급신호 및 전원차단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전원감지센서부(60)가 상기 전원차단신호를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부(40)가 구동 정지된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한다(s6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부(40)가 구동중인 경우 상기 닫힘신호가 생성되는지 비교 판단한다(s30). 상세히, 상기 전원감지센서부(60)가 상기 전원공급신호를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로부터 상기 닫힘신호 및 열림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로부터 상기 열림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열림신호가 생성된 경우 또는 상기 닫힘신호가 미생성된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한다(s60).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로부터 상기 닫힘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는지 비교 판단한다(s40).
상세히,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로부터 상기 닫힘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로부터 상기 보관신호 및 상기 비움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로부터 상기 보관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보관신호가 생성된 경우 또는 상기 비움신호가 미생성된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한다(s60).
반면에,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로부터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공급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된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공급 제어한다(s50).
따라서, 상기 전원부(40)가 구동되며 상기 닫힘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는 경우에만 상기 자외선램프부(30)이 구동되어 상기 저장용기부(10) 내부의 수용공간(11)이 살균됨에 따라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의 유해 세균이 제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원부(40)가 구동 정지되거나 상기 닫힘신호 및 상기 비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생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가 즉각적으로 구동 정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100)은 상기 전원부(40)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부(30)로 전원이 공급 및 차단시 점멸되도록 상기 전원부(40) 및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되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미도시)는 발광다이오드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1)의 외면 또는 상기 덮개부(20)의 상면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공급 제어시 상기 표시부(미도시)에 동시에 전원이 공급 제어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차단 제어시 상기 표시부(미도시)에 동시에 전원이 차단 제어되도록 상기 전원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부(30)의 작동상태에 대응되어 상기 표시부(미도시)가 점멸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자외선램프부(30)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램프부(30)의 성능에 대한 실험데이터를 나타낸 예시표이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램프부(30)는 상기 덮개부(20)의 하부 중앙에 20mm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부(10) 내부 수용공간(11)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10분 경과시 살균 성능을 검사하였다.
높이(mm) 160mm 250mm
최소 조도값(mW/cm2) 1.04*10-1 9.85x10-2
살균 시간(분) 10 10
에너지량(mJ/cm2) 6.3 5.9
이때, 표 1에서 높이(mm)는 상기 저장용기부(10)의 바닥면(0mm)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의 높이를 의미한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의한 살균 성능은 상기 저장용기부(10)의 바닥면(0mm)에서 상측으로 160mm 높이까지의 영역에서 6.3 Dose(min 기준)로 도출되었으며, 160mm 높이에서 250mm 높이까지의 영역에서 5.9 Dose(min 기준)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대장균,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살균 기준인 1.89 Dose(min 기준) 이상을 4분 이내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유해세균 살균을 위해 상기 덮개부(2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부(10) 내부에 보관중인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갑작스런 상기 덮개부(20) 개방으로 인한 인체 자외선 노출을 예방하도록 상기 제어부(50)가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 및 내용물의 보관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에서 생성되는 닫힘신호 및 비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원부(40)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부(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 제어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부(40)가 구동되며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저장용기부(10) 간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에서 닫힘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용기부(10)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내용물의 보관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내용물이 비접촉시 비움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에서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는 경우에만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을 인가 제어한다. 따라서, 내용물이 보관중이거나 덮개부의 개방시 저장용기부(10) 내부로 자외선 조사가 미연에 차단되므로 안전사고가 예방되며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40)가 구동 정지되거나 상기 덮개부(20)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70)에서 생성되는 닫힘신호 및 상기 저장용기부(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상기 비움감지센서부(80)에서 생성되는 비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자외선램프부(30)에 전원이 차단 제어되므로 자외선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덮개부(20)의 닫힘 및 내용물이 비움 상태시에 덮개부 하부에 구비된 상기 자외선램프부(30)가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유해 세균이 제거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을 향하여 하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자동 제어되므로 효율적으로 전력 사용량을 절감하면서도 자동 살균 기능을 제공하여 제품의 위생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하우징부 10: 저장용기부
11: 수용공간 12: 개구부
13: 배수관 14: 배수호스
20: 덮개부 30: 자외선램프부
40: 전원부 50: 제어부
60: 전원감지센서부 70: 커버닫힘감지센서부
80: 비움감지센서부 90: 냉각부
100: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Claims (5)

  1. 액상의 내용물이 보관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저장용기부;
    상기 저장용기부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유해 세균이 제거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부;
    상기 자외선램프부 및 상기 저장용기부가 냉각되도록 구동되는 냉각부에 전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전원부; 및
    상기 자외선램프부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에 스위칭회로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 및 상기 저장용기부 간의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닫힘신호 및 열림신호를 생성하는 커버닫힘감지센서부와,
    상기 저장용기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내용물의 보관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내용물이 비접촉시 비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내용물이 접촉시 보관신호를 생성하는 비움감지센서부와,
    상기 냉각부 및 상기 전원부 사이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냉각부로의 전원공급상태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전원공급신호 및 전원차단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반복 생성하는 전원감지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닫힘감지센서부, 상기 비움감지센서부 및 상기 전원감지센서부에 회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가 구동되며 상기 닫힘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비움신호가 기설정주기 이상 동안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자외선램프부에 전원을 인가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가 구동 정지되거나 상기 닫힘신호 및 상기 비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생성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부에 전원을 차단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움감지센서부는 상기 내용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호간 통전되도록 전도성을 갖는 적어도 한쌍의 통전금속이 구비되는 수위센서로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KR1020210112779A 2021-08-26 2021-08-26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KR10259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79A KR102592538B1 (ko) 2021-08-26 2021-08-26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79A KR102592538B1 (ko) 2021-08-26 2021-08-26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44A KR20230030744A (ko) 2023-03-07
KR102592538B1 true KR102592538B1 (ko) 2023-10-23

Family

ID=8551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779A KR102592538B1 (ko) 2021-08-26 2021-08-26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5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937Y1 (ko) * 2003-11-03 2004-01-28 김상균 냉장식품 보관고
KR100766111B1 (ko) 2005-11-16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19219095A (ja) * 2018-06-19 2019-12-26 ホシザキ株式会社 製氷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465U (ko) * 1997-11-26 1999-06-15 이명철 냉면육수 멸균 냉각 보관장치
KR20090012680A (ko) * 2007-07-31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의 정량 급수장치 및 급수방법
KR102194897B1 (ko) 2019-02-15 2020-12-24 (주)에이디칩스 상시 작동용 교반날개가 없는 슬러시 냉장고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937Y1 (ko) * 2003-11-03 2004-01-28 김상균 냉장식품 보관고
KR100766111B1 (ko) 2005-11-16 2007-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19219095A (ja) * 2018-06-19 2019-12-26 ホシザキ株式会社 製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44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920B2 (en) Illuminated storage container
WO2006126584A1 (ja) 冷蔵庫
RU2412409C2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напитков, находящихся под давлением
WO2005038363A1 (ja) 飲料水供給装置
KR20220087412A (ko) 제빙기 및 그 살균 방법
KR102592538B1 (ko) 육수냉장고 살균시스템
JP2007003022A (ja) 冷蔵庫
JP2006046813A (ja) 冷蔵庫
KR20140132070A (ko) 양념 및 반찬 수납 겸용 다용도 살균 냉장고
KR101376200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살균 디스펜서
KR20120011455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39962Y1 (ko) 이중 스위치구조를 갖는 휴대용 틀니 자외선 살균 소독기
KR101480460B1 (ko) 냉장고
KR100479423B1 (ko) 단파살균램프가 장착된 생수기
JP2009255972A (ja) 飲料水サーバー
JP4542854B2 (ja) 冷蔵庫
KR200256611Y1 (ko) 살균용 자외선등을 포함하는 냉장고
US20140223687A1 (en) Table washer
JP7397775B2 (ja) ディスペンサ
KR200322784Y1 (ko) 살균수단을 갖는 냉장고 디스펜서
JP2006131251A (ja) 飲料供給装置
JP2006089112A (ja) 飲料供給装置
KR20060090912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정수살균방법
JP2005308332A (ja) 冷温水機
JP2005315472A (ja) 自動製氷装置及び自動製氷装置の製氷方法及び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