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281B1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281B1
KR102592281B1 KR1020227009307A KR20227009307A KR102592281B1 KR 102592281 B1 KR102592281 B1 KR 102592281B1 KR 1020227009307 A KR1020227009307 A KR 1020227009307A KR 20227009307 A KR20227009307 A KR 20227009307A KR 102592281 B1 KR102592281 B1 KR 10259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d
identifier
service flow
virtu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335A (ko
Inventor
페이 치
시펑 완
이밍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Individual queue per connection or flow, e.g. per V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83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91Mapping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6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involving mapping traffic to individual bearers or channels, e.g. traffic flow template [T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84Quality of service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86Network resource allocation, dimensioning or optim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하는 단계;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는 단계;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서비스 플로우가 스케줄링될 때, 스케줄링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에 기반하여 수행되는데, 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줄링 방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스케줄링이 지연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gateway), 칩(chip)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삭제
현재, 다양한 산업들은 모바일 네트워크들의 전송 품질에 대한 다양한 개인화된 요건들을 갖는다.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 세션에서 5세대(5G: 5thGeneration)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발에 따라, 서비스 품질 플로우 식별자(QFI: Quality of Service Flow Identitier)에 기반하여, 사용자 서비스 플로우 입도(granularity)의 가장 정교한 구별이 수행되고, 상이한 서비스 수준 협약(SLA: Service-Level agreement)들의 서비스 품질 보장이 제공되는데, 이는 QoS 플로우들(즉, 서비스 플로우들)에 기반하여 맞춤 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5G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수동 광 네트워크(PON: Passive Optical Network)는 점대 다점(point-to-multipoint) 구조를 갖는 수동 광 네트워크이다. PON은 광 회선 단말(OLT: Optical Line Terminal), 광 분배 네트워크(OD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및 광 네트워크 유닛/단말(ONU/ONT: Optical Network Unit/Optical Network Terminal)을 포함한다. PON(Passive Optical Network)은 이더넷 수동 광 네트워크(EPON: Ethernet PON) 및 기가비트 수동 광 네트워크(GPON: Gigabit PON)를 포함한다. GPON은 일반 캡슐화 방법(GEM: Generic Encapsulation Method)을 사용하며, 복수의 서비스를 전달(bear)할 수 있고 다양한 타입의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장래의 광대역 광 액세스 기술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GEM 프레임은 GPON 기술에서 가장 작은 서비스 전달 유닛(service bearing unit) 및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구조이다. 전송 컨테이너(T-CONT: Transmission Container)는 GPON의 업스트림(upstream) 방향으로 서비스를 전달(bearing)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모든 GEM 포트(Port)들은 T-CONT에 매핑될 필요가 있고, OLT는 동적 대역폭 할당(DBA: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스케줄링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측에 서비스 플로우를 전송한다. T-CONT는 DBA의 업스트림 트래픽 스케줄링 유닛, 즉 서비스 컨테이너이다. 각각의 T-CONT는 할당 아이덴티티(Alloc-ID: Allocation Identity)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Alloc-ID는 OLT의 각각의 GPON 포트에 의해 할당된다. 다시 말해서, OLT의 동일한 GPON 포트에 있는 ONU들은 동일한 Alloc-ID를 갖는 T-CONT들을 갖지 않는다. 업스트림 전송 방향에서, ONU는 서비스 플로우의 VLAN 및/또는 802.1p에 기반하여 서비스 플로우를 대응하는 GEM 포트에 매핑한다. GEM 포트는 서비스 플로우를 운반하고, 이어서 서비스 플로우를 상이한 타입의 T-CONT들에 매핑한다. 그러나 하나의 T-CONT는 복수의 T-CONT 대기열(queue)을 포함하고, ONU는 패킷에서 운반되는 802.1p에 기반하여 T-CONT 대기열들에 서비스 플로우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러나 GPON에서의 5G 맞춤형 서비스에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업스트림 전송이 수행될 때, 종래의 기술에서는 GPON에서의 그러한 업스트림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비스 플로우의 QoS 특성이 고려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GPON 및 5G 네트워크에서의 그러한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들은 일관적이지 않다. 그 결과, 그러한 서비스 플로우들의 스케줄링이 지연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서비스 플로우의 지연된 스케줄링을 피하도록 유무선 융합(fixed-mobile convergence)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플로우 스케줄링 방식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플로우 스케줄링 방식과 일치하게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이 방법은 게이트웨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된다. 이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to-be-transmitted)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하는 단계 ― 가상 접속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bearer)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는 단계 ― 가상 베어러는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가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에 도입되고, 서비스 플로우가 스케줄링되는 경우, 스케줄링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에 기반하여 수행되는데, 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줄링 방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스케줄링이 지연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더 높은 우선순위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이에 기반하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서비스 플로우가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에서 우선적으로 스케줄링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안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응하여, 이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들에 대응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들의 식별자들과 가상 접속들의 식별자들 간의 매핑 관계들을 저장하거나 캐시할 필요가 없어, 게이트웨이의 저장 압박이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안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응하여, 이 방법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는 모든 단말들에 대응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들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들과 가상 베어러 대기열들의 식별자들 간의 매핑 관계들을 저장하거나 캐시할 필요가 없어, 게이트웨이의 저장 압박이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하기 전에, 이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이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이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음은 장치, 디바이스, 칩,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설명한다. 이들의 효과들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방법 부분에 대응하는 효과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1 매핑 모듈 ― 가상 접속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2 매핑 모듈 ― 가상 베어러는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3 매핑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더 높은 우선순위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안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응하여, 이 장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안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응하여, 이 장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 장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이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이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3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며, 이 게이트웨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양상 또는 제1 양상의 선택적인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제3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칩을 제공한다. 이 칩은 제1 양상 또는 제1 양상의 선택적인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명령들은 컴퓨터가 제1 양상 또는 제1 양상의 선택적인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된다.
제5 양상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며, 컴퓨터 명령들은 컴퓨터가 제1 양상 또는 제1 양상의 선택적인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하는 단계 ― 가상 접속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는 단계 ― 가상 베어러는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가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에 도입되고, 서비스 플로우가 스케줄링되는 경우, 스케줄링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에 기반하여 수행되는데, 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줄링 방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스케줄링이 지연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플로우를 매핑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GEM 포트와 T-CONT 간의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800)의 개략도이다.
5G 네트워크에서의 QoS 플로우들(서비스 플로우들)에 기반하여 맞춤화될 수 있는 많은 양의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5G 네트워크는 보장된 비트 레이트(GBR: Guaranteed Bit Rate) 서비스 플로우 및 보장되지 않은 비트 레이트(Non-GBR: non-guaranteed bit rate) 서비스 플로우를 지원하고, 5G QoS 모델은 반영 QoS를 추가로 지원한다. 서비스 플로우는 PDU 세션의 가장 미세한 QoS 구별 입도이다. 2개의 PDU 세션들 간의 차이는 이들의 상이한 서비스 플로우들에 있다. 5G 네트워크에서는, 하나의 QFI가 하나의 QoS 플로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PDU 세션에서 동일한 QFI를 갖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는 동일한 포워딩 처리, 예를 들어 동일한 스케줄링 및 동일한 승인 임계치를 획득한다. 하나의 PDU 세션은 복수의 서비스 플로우를 가질 수 있지만, 각각의 서비스 플로우의 QFI는 상이하고, 단말의 2개의 PDU 세션의 QFI들은 동일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플로우는 다음의 특징들을 갖는다.
1. 액세스 네트워크(AN: access network) 측의 QoS 구성, 여기서 구성은 세션 관리 기능(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사용함으로써 AN에 대한 QoS 구성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으로, QoS 구성은 AN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의 QoS 구성(즉, QoS 특징)은 5G 품질 아이덴티티(5QI: 5G quality identity)를 사용함으로써 인덱싱된다. QoS 구성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우선순위, 선점(preemption) 능력 및 선점 취약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할당 및 보유 우선순위(ARP: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우선순위는 단말 자원 요청의 중요성을 정의한다. 시스템 자원들이 제한될 때, ARP 파라미터는 새로운 서비스 플로우가 수락될지 또는 거부될지를 결정한다. ARP는 1 내지 15의 범위이다. 1 값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2) 반영 QoS 속성(RQA: Reflective QoS Attribute): RQA는 선택적 파라미터이며, 이는 서비스 플로우 상의 일부 서비스들이 반영 QoS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지시한다. 코어 네트워크가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플로우의 RQA 파라미터를 AN에 할당하는 경우에만, AN은 플로우의 무선 자원 상에서 전송을 수행하도록 반영 QoS 지시(RQI: Reflective QoS Indication)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3) 통지 제어: GBR 서비스 플로우의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GBR 서비스 플로우의 보장된 플로우 비트 레이트(GFBR: Guaranteed Flow Bit Rate)가 충족될 수 없을 때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G-RAN: 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가 코어 네트워크에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보고하는지 여부를 제어한다. (4) 플로우 비트 레이트(Flow Bit Rate): GBR 서비스 플로우의 경우, 플로우 비트 레이트는 GFBR-업스트림/다운스트림(downstream) 및 최대 플로우 비트 레이트(MFBR: Maximum Flow Bit Rate)-업스트림/다운스트림으로 분할된다. GFBR은 평균 시간 윈도우에서 서비스 플로우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보장되는 비트 레이트를 지시한다. MFBR은 비트 레이트를 서비스 플로우에 의해 예상되는 최고 비트 레이트로 제한한다. (5) 세션별 집성 최대 비트 레이트(세션-AMBR: per Session Aggregate Maximum Bit Rate): 각각의 PDU 세션은 세션-AMBR을 갖는다. 세션-AMBR은 하나의 PDU 세션의 모든 비-GBR 서비스 플로우들의 비트 레이트들의 합의 상한을 정의하는 가입 파라미터이다. 세션-AMBR은 GBR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 가능하지 않다. (6) UE별 집성 최대 비트 레이트(UE-AMBR: per UE Aggregate Maximum Bit Rate): 각각의 단말은 UE-AMBR을 갖는다. UE-AMBR은 하나의 단말의 모든 비-GBR 서비스 플로우들의 비트 레이트들의 합의 상한을 정의한다. UE-AMBR은 GBR 서비스 플로우에 적용 가능하지 않다.
2. 단말 측의 QoS 규칙(rule)들. 이러한 규칙들은 PDU 설정 또는 수정 프로시저에서 단말에 대해 SMF에 의해 제공되거나, 반영 QoS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단말에 의해 도출된다. 이러한 QoS 규칙들은 암시적으로 단말에 제공되거나,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되거나, 반영 QoS 메커니즘을 사용함으로써 단말에 의해 암시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단말은 QoS 규칙에 따라 업스트림 데이터를 대응하는 서비스 플로우와 연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플로우를 매핑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스트림 데이터의 경우, 단말은 QoS 규칙에 따라 업스트림 데이터를 대응하는 서비스 플로우와 연관시키고, 각각의 서비스 플로우는 대응하는 QFI를 가지며, 각각의 서비스 플로우는 AN 자원, 즉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에 매핑되고, 상향으로 전송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MF는 AN 측에 대한 QoS 구성을 제공하며, 여기서 구성은 5QI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AN 측이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업스트림 전송을 수행할 때, 스케줄링은 서비스 플로우의 5QI에 기반하여 구현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GPON은 GEM을 사용하며, 복수의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고 다양한 타입들의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보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장래의 광대역 광 액세스 기술의 잠재력을 보여준다. T-CONT는 GPON의 업스트림 방향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모든 GEM 포트(Port)들은 T-CONT에 매핑될 필요가 있고, OLT는 DBA 스케줄링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측에 서비스 플로우를 전송한다. 각각의 T-CONT는 Alloc-ID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GEM 포트와 T-CONT 간의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GEM 포트는 하나의 T-CONT에 매핑될 수 있고, 복수의 GEM 포트는 또한 하나의 T-CONT에 매핑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T-CONT는 복수의 T-CONT 대기열을 포함하고, ONU는 패킷에서 운반되는 802.1p에 기반하여 T-CONT 대기열들에 서비스 플로우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러나 GPON에서의 5G 맞춤형 서비스에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업스트림 전송이 수행될 때, 종래의 기술에서는 GPON에서의 그러한 업스트림 데이터 전송에 대해 서비스 플로우의 QoS 특성이 고려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GPON 및 5G 네트워크에서의 그러한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들은 일관적이지 않다. 그 결과, 그러한 서비스 플로우들의 스케줄링이 지연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발명의 개념은 5QI에 기반하여 서비스 플로우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5QI를 PON에 도입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은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 즉 PON과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융합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31)은 게이트웨이(32)를 사용함으로써 광 회선 단말(33)에 접속되고, 광 회선 단말(33)은 AN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단말(31)은 무선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모바일 단말, 이를테면 휴대 전화(또는 "셀룰러"폰으로 지칭됨) 및 모바일 단말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휴대용, 포켓 크기,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내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또한,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원격국(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약칭으로 UE) 또는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게이트웨이는 차세대 주거용 게이트웨이(NG-RG: Next Generation-Residential Gateway)일 수 있고,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융합 코어 네트워크에 단말을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게이트웨이는 PON의 업스트림에 있는 사용자 게이트웨이를 의미한다.
광 회선 단말(33)은 PON 내의 OLT일 수 있고, PON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액세스되고 융합된 후에 게이트웨이(32)의 서비스 플로우를 상위 계층 네트워크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된다.
AN은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5G 또는 뉴 라디오 기술, 미래의 6G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응하여, 코어 네트워크는 AN에 대응하는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5G 코어 네트워크(5G 코어, 5GC)일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게이트웨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된다. 게이트웨이의 일부는 게이트웨이 내의 프로세서, 처리 유닛, 칩 등일 수 있다. 다음은 실행 바디로서 게이트웨이를 사용함으로써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401: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한다.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는 또한 전송될 QoS 플로우로 지칭되며, 단말은 QoS 규칙에 따라 전송될 업스트림 데이터를 대응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와 연관시킬 수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는 PDU 세션에서 서비스 플로우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는 5G 네트워크에서 5QI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GPON에서는, GEM이 복수의 서비스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와 광 회선 단말 사이에 복수의 가상 접속이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가상 접속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들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각각의 가상 접속은 논리 접속, GEM 접속, 가상 채널, 논리 채널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 접속은 대응하는 GEM 포트를 가지며, 가상 접속은 GEM 포트 식별자(GEM 포트 ID, 즉, Gemport ID)를 사용함으로써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다. 단계(S401)에서의 가상 접속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이고, 가상 접속의 식별자는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GEM 포트 ID이다.
네트워크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적어도 다음의 선택적인 방식들로 획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들은 제한적이지 않다.
선택적인 방식 1: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선택적인 방식 2: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대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추가로, 단말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게이트웨이에 송신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들에 대응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들의 식별자들과 가상 접속들의 식별자들 간의 매핑 관계들을 저장하거나 캐시할 필요가 없어, 게이트웨이의 저장 압박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표 1에 도시된 매핑 관계일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 QFI Gemport ID
게임 서비스 플로우 QFI-a Gemport 1
오버더톱(OTT: Over The Top) 비디오 서비스 플로우 QFI-b Gemport 2
컨퍼런스 콜 서비스 플로우 QFI-c Gemport 2
웹 브라우징 서비스 플로우 QFI-d Gemport 3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가 표 1의 게임 서비스 플로우라면, 표 1의 첫 번째 행에 도시된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게이트웨이는 게임 서비스 플로우를 Gemport 1에 의해 식별된 가상 접속에 매핑해야 한다.
단계 S402: 게이트웨이는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에 매핑한다.
가상 베어러는 GPON의 업스트림 방향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컨테이너이다. 가상 베어러는 또한 전송 컨테이너(T-CONT)로 지칭된다. 모든 가상 접속들 또는 Gemport들은 가상 베어러에 매핑될 필요가 있다. 광 회선 단말은 DBA 스케줄링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측에 서비스 플로우를 전송한다. 가상 베어러는 DBA의 업스트림 트래픽 스케줄링 유닛이다. 각각의 가상 베어러는 Alloc-ID에 의해 고유하게 식별된다. Alloc-ID는 광 회선 단말의 각각의 GPON 포트에 의해 할당된다. 다시 말해서, 광 회선 단말의 동일한 GPON 포트 상의 게이트웨이들은 동일한 Alloc-ID를 갖는 가상 베어러들을 갖지 않는다. 단계(S402)에서의 가상 베어러는, 단계(S401)에서의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사이의 가상 베어러, 즉 전송될 서비스 플로어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베어러이다.
하나의 가상 접속은 하나의 가상 베어러에 매핑될 수 있고, 복수의 가상 접속은 또한 동일한 가상 베어러에 매핑될 수 있다.
단계 S403: 게이트웨이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한다.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특징 식별자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QoS 특징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QoS 특징은 또한 QoS 구성으로 지칭된다. 5G 네트워크에서, 식별자는 5QI이고, 식별자에 의해 표현되는 QoS 특징은: ARP, RQA, 통지 제어, 플로우 비트 레이트(Flow Bit Rate), 세션-AMBR 및 UE-AMBR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상 베어러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각각의 T-CONT는 8개의 T-CONT 대기열을 갖는다.
각각의 서비스 플로우는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갖는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는 5QI이고,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는 QFI인 것으로 가정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플로우의 5QI와 QFI 간의 매핑 관계가 표 2에 도시된다.
서비스 플로우 QFI 5QI
게임 서비스 플로우 QFI-a 10
OTT 비디오 서비스 플로우 QFI-b 11
컨퍼런스 콜 서비스 플로우 QFI-c 20
웹 브라우징 서비스 플로우 QFI-d 21
네트워크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적어도 다음의 선택적인 방식들로 획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들은 제한적이지 않다.
선택적인 방식 1: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선택적인 방식 2: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에 대해,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미리 구성한다. 추가로, 단말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게이트웨이에 송신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는 모든 단말들에 대응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들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들과 가상 베어러 대기열들의 식별자들 간의 매핑 관계들을 저장하거나 캐시할 필요가 없어, 게이트웨이의 저장 압박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표 3에 도시된 매핑 관계일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 5QI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게임 서비스 플로우 10 7
OTT 비디오 서비스 플로우 11 5
컨퍼런스 콜 서비스 플로우 20 6
웹 브라우징 서비스 플로우 21 0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가 표 3의 게임 서비스 플로우라면, 게이트웨이는 표 3의 첫 번째 행에 도시된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7에 의해 식별된 대기열에 게임 서비스 플로우를 매핑한다. 이에 기반하여, 게이트웨이는 식별자 7에 의해 식별된 대기열을 스케줄링함으로써,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더 높은 우선순위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ARP 파라미터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더 높은 우선순위는 대응하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플로우의 5QI 파라미터가 결정된 후에, 5QI에 의해 인덱싱된 QoS 구성에 포함된 ARP 파라미터가 또한 결정되는데, 즉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우선순위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우선순위와 일치한다. 표 3의 열 1에서의 각각의 서비스 플로우의 우선순위 순서가: 게임 서비스 플로우 > OTT 비디오 서비스 플로우 > 컨퍼런스 콜 서비스 플로우 > 웹 브라우징 서비스 플로우라고 가정하면, 가상 베어러 대기열들의 우선순위 순서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 7 > 가상 베어러 대기열 5 > 가상 베어러 대기열 6 > 가상 베어러 대기열 0이다.
선택적으로, 광 회선 단말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획득한 후에, AN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전송하여, 코어 네트워크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는 QFI이고,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는 5QI이고, 가상 접속의 식별자는 GEM 포트 식별자이고, 가상 베어러는 T-CONT라고 가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는 먼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QFI 및 5QI를 획득하고, 각각의 서비스 플로우의 QFI와 GEM 포트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GEM 포트 식별자를 결정하고, GEM 포트와 T-CONT 간의 대응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대응하는 T-CONT에 매핑하고,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T-CONT 대기열 ID를 각각의 서비스 플로우의 5QI와 T-CONT 대기열 ID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결정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T-CONT 대기열 ID에 대응하는 T-CONT 대기열에 매핑한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은 다음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하고,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고, 그리고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한다. 이런 식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가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에 도입되고, 서비스 플로우가 스케줄링되는 경우, 스케줄링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에 기반하여 수행되는데, 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줄링 방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스케줄링이 지연되지 않는다. 추가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네트워크 내의 모든 단말들에 대응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들의 식별자들과 가상 접속들의 식별자들 간의 매핑 관계들을 저장하거나 캐시할 필요가 없어, 게이트웨이의 저장 압박이 감소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이 경우, 게이트웨이는 모든 단말들에 대응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들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들과 가상 베어러 대기열들의 식별자들 간의 매핑 관계들을 저장하거나 캐시할 필요가 없어, 게이트웨이의 저장 압박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더 높은 우선순위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이에 기반하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서비스 플로우가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에서 우선적으로 스케줄링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에 수반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게이트웨이의 일부 또는 전부 및 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의 일부는 게이트웨이 내의 프로세서, 처리 유닛, 칩 등일 수 있다. 단말의 일부는 단말 내의 프로세서, 처리 유닛, 칩 등일 수 있다. 다음은 실행 바디들로서 게이트웨이 및 단말을 사용함으로써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401) 전에,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S601: 단말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획득한다.
운영자 서버가 사용자의 가입된 서비스에 기반하여 서비스 트래픽에 대한 QoS 플래닝(planning)을 수행하고, 서비스 식별 규칙과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를 단말에 전달한다. 단말은 서비스 식별 규칙에 따라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매칭을 수행하고, 서비스 플로우를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대응하는 식별자에 매핑하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식별하여, 상이한 서비스들의 우선순위들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표 2는 상이한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응하는 QFI들 및 5QI들을 도시한다.
단계 S602: 단말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게이트웨이에 송신한다.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수신한 후에, 게이트웨이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포맷에 기반하여 파싱함으로써,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에서, 단말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획득하고, 2개의 식별자를 게이트웨이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 및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유무선 융합 네트워크에 도입하고, 서비스 플로우를 스케줄링할 때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에 기반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데, 이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줄링 방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스케줄링이 지연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개략도이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앞서 언급한 게이트웨이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접속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1 매핑 모듈(701) ― 가상 접속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2 매핑 모듈(702) ― 가상 베어러는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3 매핑 모듈(70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더 높은 우선순위는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안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응하여, 이 장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704)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안으로,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된다. 대응하여, 이 장치는: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705)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 장치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이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및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이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706)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앞서 언급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의 대응하는 콘텐츠 및 효과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800)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의 컴포넌트들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프로세서(801)는 게이트웨이의 제어 센터이고, 하나의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복수의 처리 엘리먼트의 일반적인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01)는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이다.
프로세서(801)는 메모리(8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거나 실행하고 메모리(802)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게이트웨이의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특정 구현 동안,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01)는 하나 이상의 CPU들, 예를 들어 도 8의 CPU 0 및 CPU 1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 동안,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는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서(801) 및 프로세서(805)와 같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 각각은 단일 코어(단일 CPU)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다중 코어(다중 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프로세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들, 회로들 및/또는 처리 코어들일 수 있다.
메모리(802)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또는 정적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정보 및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또는 다른 콤팩트 디스크 저장소, 또는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802)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통신 버스(804)를 통해 프로세서(801)에 접속된다. 메모리(802)는 대안으로, 프로세서(801)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802)는 본 출원의 솔루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801)는 앞서 언급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제공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실행을 제어한다.
트랜시버(803)는 다른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확실히, 트랜시버(803)는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와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랜시버(803)는 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 유닛 및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송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버스(804)는 산업 표준 아키텍처(ISA: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주변 컴포넌트 상호 접속(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ISA: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등일 수 있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편의상, 도 8에서 버스를 표현하기 위해 굵은 선이 하나만 사용되지만, 이것이 단 하나의 버스만이 존재하거나 버스의 타입이 단 하나뿐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게이트웨이 구조는 게이트웨이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게이트웨이는 도면에 도시된 것들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컴포넌트들이 조합될 수 있거나, 상이한 컴포넌트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게이트웨이는 앞서 언급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의 대응하는 콘텐츠 및 효과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칩을 추가로 제공한다. 칩은 앞서 언급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칩의 대응하는 콘텐츠 및 효과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명령들은 컴퓨터가 앞서 언급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대응하는 콘텐츠 및 효과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며, 컴퓨터 명령들은 컴퓨터가 앞서 언급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대응하는 내용 및 효과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Claims (15)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게이트웨이(gateway)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to-be-transmitted service flow)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가상 접속에 매핑하는 단계 ― 상기 가상 접속은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bearer)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는 단계 ― 상기 가상 베어러는 상기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queue)의 식별자와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더 높은 우선순위는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되고,
    대응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되고,
    대응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가상 접속에 매핑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이며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이며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to-be-transmitted)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가상 접속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1 매핑 모듈 ― 상기 가상 접속은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와 가상 베어러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가상 베어러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2 매핑 모듈 ― 상기 가상 베어러는 상기 가상 접속에 대응하는 광 회선 단말과 상기 게이트웨이 간의 가상 접속임 ―;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광 회선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가상 베어러의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와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성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를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에 매핑하도록 구성된 제3 매핑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더 높은 우선순위는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더 높은 우선순위를 지시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되고; 그리고
    대응하여, 상기 장치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와 상기 가상 접속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해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매핑 관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 미리 구성되고; 그리고
    대응하여, 상기 장치는: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와 상기 가상 베어러 대기열의 식별자 간의 그리고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매핑 관계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식별자이며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및 상기 전송될 서비스 플로우의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이며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품질 특징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3. 게이트웨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게이트웨이.
  14. 칩(chip)으로서,
    상기 칩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칩.
  15.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들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09307A 2020-02-28 2021-01-1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 KR102592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131309.X 2020-02-28
CN202010131309.XA CN113329276B (zh) 2020-02-28 2020-02-28 数据传输方法、装置、网关、芯片及存储介质
PCT/CN2021/071462 WO2021169646A1 (zh) 2020-02-28 2021-01-13 数据传输方法、装置、网关、芯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335A KR20220054335A (ko) 2022-05-02
KR102592281B1 true KR102592281B1 (ko) 2023-10-19

Family

ID=7741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307A KR102592281B1 (ko) 2020-02-28 2021-01-1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16803B2 (ko)
EP (1) EP4030775A4 (ko)
JP (1) JP7300064B2 (ko)
KR (1) KR102592281B1 (ko)
CN (1) CN113329276B (ko)
WO (1) WO2021169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8594B (zh) * 2022-03-14 2022-05-17 江苏博云科技股份有限公司 在Kubernetes环境下的ARP代答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867000A (zh) * 2022-03-28 2023-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通信装置
CN117201434A (zh) * 2023-11-07 2023-12-08 杭州初灵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以太网数据交互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5850C (zh) 2002-10-23 2007-10-31 赛诺菲-安万特 3-苯基取代的吡啶并吲哚酮,其制备和治疗用途
US20090042924A1 (en) 2002-10-23 2009-02-12 Sanofi-Aventis Pyridoindolone Derivatives Substituted in the 3-position by a Heterocyclic Group, Their Preparation and Their Application in Therapeutics
WO2010138661A1 (en) 2009-05-27 2010-12-02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Nanoparticulate antica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57487B (zh) * 2006-04-25 201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将业务流映射到业务传输通道的方法及光网络终端
CN101102157B (zh) * 2006-07-03 201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终端和数据发送方法
US8634431B1 (en) * 2006-11-10 2014-01-21 Marvell International Ltd. Quality of service and flow control architecture for a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869252B1 (ko) * 2006-12-08 2008-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가비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gem 프레임 제공 장치및 방법
ATE515861T1 (de) * 2007-07-25 2011-07-15 Nokia Siemens Networks Oy Verfahren zur adressierung von ethernetströmen mit strukturierter gpon-gem-port-id
CN102480652B (zh) * 2010-11-29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映射业务流的方法和ont
JP6994439B2 (ja) * 2017-07-20 2022-01-14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QoS(クオリティ・オブ・サービス)フロー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3556785A (zh) * 2017-08-11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质量流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
WO2019175805A1 (en) * 2018-03-16 2019-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plane qos bearer control method for 5g fixed access
CN110351700B (zh) * 2018-04-05 2022-06-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接入回传链路的中继转发方法及节点
US11184843B2 (en) * 2019-11-26 2021-11-23 Netsi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QoS aware GTP-U transport in mobile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5850C (zh) 2002-10-23 2007-10-31 赛诺菲-安万特 3-苯基取代的吡啶并吲哚酮,其制备和治疗用途
US20090042924A1 (en) 2002-10-23 2009-02-12 Sanofi-Aventis Pyridoindolone Derivatives Substituted in the 3-position by a Heterocyclic Group, Their Preparation and Their Application in Therapeutics
WO2010138661A1 (en) 2009-05-27 2010-12-02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Nanoparticulate antica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2849A (ja) 2023-01-26
US11916803B2 (en) 2024-02-27
WO2021169646A1 (zh) 2021-09-02
US20220247692A1 (en) 2022-08-04
EP4030775A4 (en) 2023-01-04
CN113329276A (zh) 2021-08-31
JP7300064B2 (ja) 2023-06-28
EP4030775A1 (en) 2022-07-20
CN113329276B (zh) 2022-10-28
KR20220054335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281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게이트웨이, 칩 및 저장 매체
US1191749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JP420276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呼受付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390257B2 (en) Traffic priority for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WO2020199896A1 (zh) 一种业务流路由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06625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ffloading network traffic
US20110113146A1 (en) Dynamic quality of service (qos) setup ove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WO2015196562A1 (zh) 调度信息的配置、配置参数的处理方法及装置
EP3468258B1 (en)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WO2020200254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0801705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ice flow based on relay station
CN111294839B (zh) 一种pfcp会话处理方法及装置
WO2021254366A1 (zh) 切片数据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94051A (zh) 传输路径的配置方法及装置
US10080160B2 (en) Method for resource reservation executed by a network el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stination
US10841200B2 (en) Differentiated routing system and method
CN110933719B (zh) 承载建立的方法、装置及系统
CN114938494A (zh) 通信方法及装置
CN114666279A (zh) 一种5g系统中pcc会话管理策略下发的方法及系统
CN114301831A (zh) 一种业务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202754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ll Mode Resource and Admission Control under Wholesale Scene
EP4369733A1 (en) Method for processing cascaded onts, and apparatus and system
WO2022237860A1 (zh) 报文处理方法、资源分配方法以及相关设备
JP7472279B2 (ja) 通信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2111130B1 (ko) 이중 연결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