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245B1 -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 Google Patents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245B1
KR102592245B1 KR1020220094022A KR20220094022A KR102592245B1 KR 102592245 B1 KR102592245 B1 KR 102592245B1 KR 1020220094022 A KR1020220094022 A KR 1020220094022A KR 20220094022 A KR20220094022 A KR 20220094022A KR 102592245 B1 KR102592245 B1 KR 10259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outer casing
buckling
bra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훈
곽병훈
안숙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직사각형 단면의 코어 부재의 장변 측 양측면 중앙 부위에 비부착 밴드가 구비되어 외부 케이싱과 코어 부재의 응력 전달을 차단하므로, 외부 케이싱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비좌굴 가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비좌굴 가새는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면이 비좌굴 가새의 면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가 빈 관 형상의 외부 케이싱; 단면이 비좌굴 가새의 면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장변 측 양측면의 중앙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폭이 코어 부재의 장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의 장변 측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차단하는 비부착 밴드; 및 상기 코어 부재와 외부 케이싱의 사이 공간에 충전되는 충전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Buckling restrained braces}
본 발명은 외부 케이싱 내부에 구비된 직사각형 단면의 코어 부재의 장변 측 양측면 중앙 부위에 비부착 밴드가 구비되어 외부 케이싱과 코어 부재의 응력 전달을 차단하므로, 외부 케이싱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비좌굴 가새에 대한 것이다.
최근 지진의 발생 규모 및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물에 미리 내진 성능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춰 내진 설계를 수행하는 성능기반설계법이 도입되었으며, 지진하중에 의해 구조물에 가해지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소산시키기 위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고층 건물은 중력하중과 더불어 지진하중 등에 의한 횡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20~50층 규모의 구조물은 골조 프레임 내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가새를 설치하여 수평력에 저항하는 가새 골조 시스템이 매우 효율적이다.
일반적으로 가새에 횡력으로 인해 큰 압축력이 작용하면 횡좌굴(lateral buckling)이나 국부좌굴(local buckling)이 발생한다. 이에 가새가 항복 응력에 도달하기 전에 내력 저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인장을 받을 때의 부재 강도만큼 단면 내력을 발휘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큰 압축력에 대해 가새가 좌굴을 일으키지 않고 항복 응력까지 충분한 내력을 발휘할 수 있는 비좌굴 가새(BRB: Buckling Restrained Braces)가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1461805호, 등록특허 제10-1164413호 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좌굴 가새(10)는 축력을 지지하는 코어 부재(30)의 외부에 외부 케이싱(20)을 설치하고, 외부 케이싱(20)과 코어 부재(30) 사이에 콘크리트나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충전재(50)를 충전한다. 이로써 외부 케이싱(20)이 충전재(50)를 구속하고, 충전재(50)에 의해 코어 부재(30)의 좌굴을 방지한다.
그런데 종래 비좌굴 가새(10)는 외부 케이싱(20) 내부에 충전되는 모르타르와 코어 부재(30) 사이의 부착 방지 재료가 차지하는 공간에서 비좌굴 가새(10)의 면내 또는 면외 방향 고차모드 좌굴이 발생한다(도 1의 (a) 및 (b))(Lin, Pao Chun, et al. "Seismic design of buckling-restrained brace in preventing local buckling failure." Key Engineering Materials. Vol. 763. Trans Tech Publications Ltd, 2018.).
여기서, 도 1과 도 2는 코어 부재(30)의 고차모드 좌굴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는 가새 면내 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부 케이싱(20)의 면외 변형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서 A-A' 단면으로 코어 부재(30)의 면내 변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의 (a)는 가새 면외 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부 케이싱(20)의 면외 변형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서 B-B' 단면으로 코어 부재(30)의 면외 변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면내 또는 면외 방향 고차모드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외부 케이싱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직접적으로 하중 저항에 기여하지 않는 케이싱에 많은 강재량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케이싱의 두께 증가 없이 외부 케이싱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가새의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구조물에 결합되는 비좌굴 가새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비좌굴 가새의 면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가 빈 관 형상의 외부 케이싱; 단면이 비좌굴 가새의 면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장변 측 양측면의 중앙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폭이 코어 부재의 장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의 장변 측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차단하는 비부착 밴드; 및 상기 코어 부재와 외부 케이싱의 사이 공간에 충전되는 충전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코어 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폐단면의 강판튜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비부착 밴드는 상기 강판튜브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코어 부재의 양단부에는 코어 부재 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코어 부재의 단부가 수용되는 한 쌍의 강판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비부착 밴드는 양측 강판커버 사이의 코어 부재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강판커버의 내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코어 부재의 외부에는 비부착 밴드보다 두께가 얇은 비부착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케이싱은 코어 부재 양단 측의 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케이싱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직사각형 단면의 코어 부재의 장변 측 양측면 중앙 부위에 비부착 밴드가 구비되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 부재에 압축력이 작용하여 면외 방향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비부착 밴드가 충전재와 코어 부재 사이 응력 전달을 차단하여 외부 케이싱의 면외 방향 변형을 방지하므로 가새의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축하중에 저항하는 외부 케이싱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강재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강판튜브나 강판커버가 구비되는 경우 비부착 밴드를 우회하여 전달되는 지압응력으로부터 채움재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비좌굴 가새에 구비된 외부 케이싱 및 코어부재의 면내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비좌굴 가새에 구비된 외부 케이싱 및 코어부재의 면외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면외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힘의 분산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 비부착 커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원호형 외부 케이싱의 하중 저항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면외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힘의 분산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비좌굴 가새는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면이 비좌굴 가새(1)의 면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가 빈 관 형상의 외부 케이싱(2); 단면이 비좌굴 가새(1)의 면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2)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3); 상기 코어 부재(3)의 장변 측 양측면의 중앙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폭이 코어 부재(3)의 장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2)의 장변 측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차단하는 비부착 밴드(4); 및 상기 코어 부재(3)와 외부 케이싱(2)의 사이 공간에 충전되는 충전재(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케이싱(2)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가새의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비좌굴 가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비좌굴 가새(1)는 기둥과 보로 구성된 라멘조 프레임 등에 결합되어 구조물을 보강하는 것으로, 신축 구조물은 물론 기존 구조물의 보강 공사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 비좌굴 가새(1)는 외부 케이싱(2), 코어 부재(3), 비부착 밴드(4) 및 충전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케이싱(2)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케이싱(2)은 두께가 얇은 강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3)는 외부 케이싱(2)의 내부 중앙에 심재로서 구비된다.
상기 코어 부재(3)는 직사각형 단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3)는 외면이 외부 케이싱(2)의 내면과 이격되어 코어 부재(3)와 외부 케이싱(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직사각형 단면의 상기 코어 부재(3)는 장변을 비좌굴 가새(1)의 면내 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 외부 케이싱(2) 내부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3)의 단면적을 키움으로써 가새(1)의 강성과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재(5)는 코어 부재(3)와 외부 케이싱(2)의 사이 공간에 충전된다.
상기 충전재(5)는 무수축 모르타르,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일 수 있다.
상기 충전재(5)는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3)를 구속하여 코어 부재(3)의 좌굴을 방지한다.
상기 외부 케이싱(2)은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5)를 구속하여 연성과 압축 강도를 증가시킨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케이싱(2)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5)의 열용량에 의해 내화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외부 케이싱(2)과 충전재(5)가 코어 부재(3)의 전 둘레를 균일하게 감싸도록 상기 외부 케이싱(2) 역시 코어 부재(3)와 대응하도록 면내 방향으로 길게 단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비좌굴 가새(1)는 전체적으로 단면의 장변 측이 면내 방향이 되도록 배치한다.
상기 비부착 밴드(4)는 코어 부재(3)의 장변 측 양측면의 중앙 부위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비부착 밴드(4)는 코어 부재(3)의 장변 측 양측면 중앙부에 구비되므로, 비부착 밴드(4)의 폭은 코어 부재(3)의 장변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비부착 밴드(4)는 부분적으로 충전재(5)와 코어 부재(3) 사이의 응력 전달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부재(3)에 압축력이 작용하여 면외 방향 변형이 발생하면, 면외 방향 힘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외부 케이싱(2)의 장변 측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차단하여 외부 케이싱(2)의 면외 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 부재(3)의 단변인 양단부 측은 충전재(5)에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충전재(5)가 효과적으로 코어 부재(3)를 구속한다.
상기 비부착 밴드(4)는 강도와 강성이 낮은 고무나 스티로폼 등의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분포 하중 ω가 작용하는 단순보에서 중앙부 모멘트의 크기는 ωL2/4이다. L은 단순보의 길이이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등분포 하중을 양분하여 양측 L/4 구간에만 각각 2ω의 등분포 하중을 가할 경우, 중앙부 모멘트의 크기는 ωL2/8이 되어 최대 모멘트의 크기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된다.
즉, 상기 비부착 밴드(4)의 폭이 코어 부재(3)의 장변 폭 크기의 1/2이면, 코어 부재(3)의 중앙부에서 외부 케이싱(2)과 충전재(5)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는 비부착 밴드(4)가 없는 경우의 절반이다. 이에 따라 외부 케이싱(2)의 장변 측 면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3)의 양단에는 보강 대상 구조물에 비좌굴 가새(1)를 접합하기 위한 결합플레이트(3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도 3).
상기 코어 부재(3)는 면내 방향이 장변인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결합플레이트(31)를 코어 부재(3)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하여 코어 부재(3)에 접합하거나, 코어 부재(3)를 연장하여 일체로 결합플레이트(3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코어 부재(3)와 결합플레이트(31)의 접합부에서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부재(3)의 외부를 감싸는 폐단면의 강판튜브(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비부착 밴드(4)는 상기 강판튜브(6)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어 부재(3)의 장변 측 양측면 중앙에 비부착 밴드(4)가 구비되어, 코어 부재(3)의 하중이 코어 부재(3)의 양단부 측으로 집중된다.
이 경우 상기 코어 부재(3)가 충전재(5)를 가압하는 부분에서 충전재(5)에 응력 집중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 부재(3)의 외부를 폐단면의 강판튜브(6)로 감싸 집중하중에 의한 지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충전재(5)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강판튜브(6)는 상대적으로 춤이 커 외부 케이싱(2)의 면내 방향 변형 억제에 기여한다. 즉, 상기 강판튜브(6)는 코어 부재(3)의 고차모드 면내 좌굴에 의한 하중과 반력 작용 시 추가로 저항력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부재(3)의 양단부에는 코어 부재(3) 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코어 부재(3)의 단부가 수용되는 한 쌍의 강판커버(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비부착 밴드(4)는 양측 강판커버(7) 사이의 코어 부재(3)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3)는 외부 전체를 강판튜브(6)로 감쌀 수 있다(도 7, 도 8).
또는, 상기 코어 부재(3)의 장변 측 중앙부에 비부착 밴드(4)가 위치하므로, 비부착 밴드(4)의 위치를 제외한 코어 부재(3)의 나머지 부분만 강판커버(7)로 감싸 집중하중에 의한 지압력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도 9, 도 10).
상기 강판커버(7)는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코어 부재(3)의 단부를 감싼다.
상기 코어 부재(3)에 일측으로 변형이 발생하여 강판커버(7)를 가압하면, 강판커버(7)에 의해 지압력이 분산되어 강판커버(7)가 충전재(5)와 접촉되는 면 전체로 응력이 골고루 분산된다.
상기 강판커버(7)의 내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지지부(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3)의 단변 측 작용력은 외부 케이싱(2)의 단변 측 중앙에 변형을 유발한다.
이러한 코어 부재(3)의 단변 측 작용력을 외부 케이싱(2)의 단변 측 중앙이 아니라 모서리 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해 강판커버(7)의 단부에 지지부(71)를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71)와 외부 케이싱(2)의 모서리 사이에 위치된 충전재(5)가 압축 스트럿(S)을 형성하게 되므로, 코어 부재(3)의 작용력을 압축 스트럿(S)을 통해 외부 케이싱(2)의 모서리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다(도 10).
이에 따라 외부 케이싱(2)의 단변 측 즉, 면내 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71)는 강판커버(7)의 단면 이차모멘트를 증가시키므로, 코어 부재(3)의 고차모드 면외 좌굴에 대해 저항성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상기 강판튜브(6) 또는 강판커버(7)는 외부 케이싱(2)의 두께 절감 효과를 상쇄하지 않으면서 외부 케이싱(2)을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비좌굴 가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 부재(3)의 외부에는 비부착 밴드(4)보다 두께가 얇은 비부착 커버(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3)의 작용력에 의해 충전재(5)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어 부재(3)의 외부에 비부착 커버(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부착 커버(8)는 비부착 밴드(4)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비부착 밴드(4)가 코어 부재(3)에 직접 밀착 설치되는 경우 상기 비부착 커버(8)는 비부착 밴드(4)와 연속되게 형성하거나 코어 부재(3) 전체를 비부착 커버(8)로 감싼 상태에서 비부착 커버(8) 외측에 비부착 밴드(4)를 추가 부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코어 부재(3)의 양단부 측에서 충전재(5)가 코어 부재(3)를 충분히 구속할 수 있어야 하므로, 비부착 밴드(4)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부재(3)의 외부 전체를 비부착 커버(8)가 감싸되, 코어 부재(3)의 장변 측 면 중앙 부분에서만 비부착 밴드(4)가 돌출되어 두께가 두껍게 구성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서 비부착 커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 13의 (a)는 코어 부재(3)와 강판튜브(6) 사이에 비부착 커버(8)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의 (b)는 코어 부재(3)와 강판커버(6) 사이에 비부착 커버(8)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원호형 외부 케이싱의 하중 저항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싱(2)은 코어 부재(3) 양단 측의 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좌굴 가새(1)의 장변 측인 면외 방향에 대해서는 비부착 밴드(4)에 의해 응력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케이싱(2)의 장변 측 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코어 부재(3)의 단부 측은 충전재(5)를 통해 외부 케이싱(2) 측으로 응력이 전달되므로, 비좌굴 가새(1)의 단변 측인 면내 방향에 대해서 외부 케이싱(2)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싱(2)의 단변 측을 라운드 지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코어 부재(3)의 단부 측에서 충전재(5)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외부 케이싱(2) 자체의 면내력인 인장 저항력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즉, 장변 측에 대해서는 비부착 밴드(4)에 의해 응력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케이싱(2)에 작용하는 힘을 줄여 외부 케이싱(2)의 변형을 방지하고, 단변 측에 대해서는 외부 케이싱(2) 자체의 형상을 변경하여 외부 케이싱(2) 자체가 외부 케이싱(2)에 전달되는 힘에 저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싱(2)은 단면상 장변 측은 직선, 단변 측은 반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 케이싱(2)은 대략 코어 부재(3)의 길이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1: 비좌굴 가새
2: 외부 케이싱
3: 코어 부재
31: 결합플레이트
4: 비부착 밴드
5: 충전재
6: 강판튜브
7: 강판커버
71: 지지부
8: 비부착 커버
S: 압축 스트럿

Claims (6)

  1.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구조물에 결합되는 비좌굴 가새(1)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비좌굴 가새(1)의 면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가 빈 관 형상의 외부 케이싱(2);
    단면이 비좌굴 가새(1)의 면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2)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 코어 부재(3);
    상기 코어 부재(3)의 장변 측 양측면의 중앙 부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폭이 코어 부재(3)의 장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싱(2)의 장변 측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차단하는 비부착 밴드(4); 및
    상기 코어 부재(3)와 외부 케이싱(2)의 사이 공간에 충전되는 충전재(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
  2. 제1항에서,
    상기 코어 부재(3)의 외부를 감싸는 폐단면의 강판튜브(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비부착 밴드(4)는 상기 강판튜브(6)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
  3. 제1항에서,
    상기 코어 부재(3)의 양단부에는 코어 부재(3) 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코어 부재(3)의 단부가 수용되는 한 쌍의 강판커버(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비부착 밴드(4)는 양측 강판커버(7) 사이의 코어 부재(3)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
  4. 제3항에서,
    상기 강판커버(7)의 내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는 지지부(7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
  5. 제1항에서,
    상기 코어 부재(3)의 외부에는 비부착 밴드(4)보다 두께가 얇은 비부착 커버(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
  6. 제5항에서,
    상기 외부 케이싱(2)은 코어 부재(3) 양단 측의 측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좌굴 가새.
KR1020220094022A 2022-07-28 2022-07-28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KR10259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22A KR102592245B1 (ko) 2022-07-28 2022-07-28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22A KR102592245B1 (ko) 2022-07-28 2022-07-28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245B1 true KR102592245B1 (ko) 2023-10-19

Family

ID=8850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022A KR102592245B1 (ko) 2022-07-28 2022-07-28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2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5260A (ja) * 2008-07-22 2010-02-04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ダンパー装置および構造物
JP2012237119A (ja) * 2011-05-11 2012-12-06 Fujita Corp 座屈拘束ブレース
KR20130121595A (ko) * 2012-04-27 2013-11-06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약축보강형 비좌굴 가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5260A (ja) * 2008-07-22 2010-02-04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ダンパー装置および構造物
JP2012237119A (ja) * 2011-05-11 2012-12-06 Fujita Corp 座屈拘束ブレース
KR20130121595A (ko) * 2012-04-27 2013-11-06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약축보강형 비좌굴 가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680B2 (en) Bearing brace apparatus
KR101733091B1 (ko) 강재 조립형 이중보강재를 구비한 비좌굴가새
JP4587386B2 (ja) 既設建物の耐震補強構造
US20100018134A1 (en) Shock-absorbing tie brace
KR101164413B1 (ko) 마찰재를 이용한 중약진 지진용 강성증대형 비좌굴가새
US8353134B2 (en) Grouted tubular energy-dissipation unit
KR101684771B1 (ko) 외부보강된 내부구속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기초 접합부의 시공방법
JP2000213200A (ja) 制震構造
KR20100138870A (ko) 내하재
KR102592245B1 (ko) 외부 케이싱의 국부적 면외변형 방지가 가능한 비좌굴 가새
KR101051058B1 (ko) 건축물용 댐핑 시스템
JPH09328813A (ja) 鉄骨建造物のブレース耐震耐火補強構造
KR101294289B1 (ko) 건식형 좌굴방지 가새 및 그 시공 방법
KR101209363B1 (ko) 에이치형강 기둥의 내진보강용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JP3941028B2 (ja) 制震ダンパー
CN107780554B (zh) 一种屈曲约束支撑构件
CN113957997A (zh) 一种抗震钢结构建筑
JPH10280725A (ja) 制振躯体構造
JP2000328810A (ja) 制振架構
KR100943156B1 (ko)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JP2004052494A (ja) Rc系梁ダンパー
CA3137156C (en) Structural brace core having a cutout pattern
KR20200061761A (ko) 3차원 강선 트러스를 이용한 합성 댐퍼
CN217840569U (zh) 一种提高抗倒塌抗冲击性能的钢筋混凝土梁
CN113915442B (zh) 一种吸能装置及用于核电站的流体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