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710B1 - 서랍 조립체 - Google Patents

서랍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710B1
KR102591710B1 KR1020210127716A KR20210127716A KR102591710B1 KR 102591710 B1 KR102591710 B1 KR 102591710B1 KR 1020210127716 A KR1020210127716 A KR 1020210127716A KR 20210127716 A KR20210127716 A KR 20210127716A KR 102591710 B1 KR102591710 B1 KR 10259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gear arm
slot
gear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898A (ko
Inventor
차순도
구관서
송수빈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2004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47B2088/4272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ensuring a correct connection at the moment when the drawer is coupled to the drawer rail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서랍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조립체는, 전면부가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서랍, 서랍의 측면에 마련되며, 서랍이 인출될 때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 구동부, 틸팅 구동부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서랍이 인출될 때에 틸팅 구동부를 밀어주기 위한 픽스 브라켓 및 픽스 브라켓의 단부에 마련되며, 서랍이 케이스로 인입될 때에 틸팅 구동부와 접촉되도록 마련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랍 조립체{DRAWER ASSEMBLY}
본 발명은 서랍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서랍에 수납된 수납물을 꺼내기 위하여 서랍을 인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서랍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drawer)은 책상, 장롱, 화장대, 문갑 등에 인입(引入)하거나 인출(引出)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뚜껑이 없는 상자를 의미한다.
서랍은 책상, 장롱, 화장대, 문갑 등과 같은 가구나 냉장고, 조리기구, 전자제품 등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서랍은 적용되는 수납수단에 따라 의약품, 의복, 음식물, 조리기구 등 다양한 수납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랍에 저장되는 수납물에 따라서 그 재질이 달라질 수 있고, 서랍의 밀폐를 위한 패킹(packing)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서랍을 입출(入出)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272호(등록일: 2008.02.11.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서랍을 인출할 수 있는 서랍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면부가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된 서랍, 서랍에 마련되며, 서랍이 인출될 때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 구동부, 틸팅 구동부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서랍이 인출될 때에 틸팅 구동부를 밀어주기 위한 픽스 브라켓 및 픽스 브라켓의 단부에 마련되며, 서랍이 케이스로 인입될 때에 틸팅 구동부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서랍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의 종단부는 픽스 브라켓과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는, 픽스 브라켓과 접촉될 때에 픽스 브라켓과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서랍은 케이스의 전면부에 위치되는 서랍 전면부, 서랍 전면부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서랍 측면부 및 서랍 측면부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서랍 바닥부를 포함하고, 틸팅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 측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되는 제1 슬롯, 제1 슬롯과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롯, 제1 슬롯을 따라 이동되며 일단부가 서랍 전면부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기어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기어암, 제2 슬롯을 따라 이동되며 상단부에는 기어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픽스 브라켓과 접촉되는 제3 돌기가 형성되는 제2 기어암 및 일부는 제1 기어암과 맞물리고 다른 일부는 제2 기어암과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제1 기어암과 제2 기어암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센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랍 전면부를 서랍 인출 방향으로 당기면 서랍 전면부는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고, 제1 기어암은 센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되 제2 기어암은 센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기어암이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기어암의 제3 돌기는 픽스 브라켓과 접촉되어 픽스 브라켓에 힘을 가하고 픽스 브라켓에 가해진 힘은 센터 기어에 의해 제1 기어암으로 전달되어 케이스로부터 서랍이 인출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암의 하단부 일측에는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제1 기어암의 하단부 타측에는 제2 돌기가 형성되며, 베이스 프레임의 제1 슬롯의 일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 스토퍼가 마련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제1 슬롯의 타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2 스토퍼가 마련되며, 제1 기어암은 제1 슬롯을 따라 인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돌기가 제1 스토퍼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제1 슬롯을 따라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제2 돌기가 제2 스토퍼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어암의 일측에는 푸쉬부재가 마련되고, 제1 기어암이 제1 슬롯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면 푸쉬부재에 의해 서랍 전면부가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어 케이스로부터 서랍이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푸쉬부재의 단부에는 서랍 전면부에 결합된 고정편과 연결되고, 고정편은 푸쉬부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서랍 전면부의 틸팅 각도는 푸쉬부재의 길이를 이용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에는 제2 슬롯의 타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제1 댐퍼가 형성되고, 제1 기어암이 제1 슬롯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기어암은 제2 슬롯을 따라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기어암의 타단부가 제1 댐퍼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에는 제2 슬롯의 일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제2 댐퍼가 형성되고, 제2 댐퍼는 서랍 전면부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서랍 전면부가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서랍 전면부와 서랍 측면부 및 서랍 전면부와 케이스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서랍 전면부와 서랍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로 연결되고, 지지부재는 서랍 전면부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될 때 서랍 바닥부 및 서랍 측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서랍 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이 설치되도록 하는 걸이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랍 조립체는, 서랍에 틸팅 구동부를 형성하여 서랍이 인출될 때 서랍 전면부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서랍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랍 조립체는 종래 서랍 조립체와 달리 틸팅 구동부의 부품의 수가 현저히 적기 때문에 서랍 조립체의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서랍 조립체의 케이스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서랍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틸팅 구동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조립체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랍 조립체(10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조립체(1000)는 케이스(100), 서랍(200), 틸팅 구동부(220) 및 픽스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미도시)가 형성되고 전면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케이스(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즉 복수 개의 서랍(2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서랍(20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의 서랍(20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2단 서랍 조립체(또는 서랍장)라고 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서랍(20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3단 서랍 조립체라고 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서랍(200)은 케이스(10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랍(200)의 외측에는 레일 이동부(202)가 마련되고, 레일 이동부(202)는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마련된 레일(102)에 의해 케이스(10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서랍식 및 또는 슬라이딩 형태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서랍(200)은 하나의 서랍 바닥부(200c), 서랍 바닥부(200c)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되는 3개의 측면부(200b) 및 하나의 전면부(200a)를 포함하며,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서랍 전면부(200a)에는 걸이대(400)가 마련될 수 있다.
걸이대(400)는 서랍(200)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물을 구분하거나, 추가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basket)이 걸릴 수 있다.
참고로, 걸이대(400)는 서랍 전면부(200a)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서랍 전면부(200a)가 아닌 서랍 측면부(200b)의 내측면에도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200)은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랍(200)에는 서랍 전면부(200a)의 틸팅을 위한 틸팅 구동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틸팅 구동부(220)는 서랍 측면부(200b)에 마련되되 서랍 전면부(200a)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틸팅 구동부(220)는 서랍(200)이 케이스(100)에 대해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측면부(200b)에 대해 지지하면서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거나 서랍 인입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한다.
한편, 서랍(200)에는 지지부재(2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50)는 서랍 전면부(200a)의 하측과 서랍 바닥부(200c)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랍 전면부(200a)가 틸팅 구동부(220)에 의해 틸팅되어 서랍(200)이 인출되거나 혹은 인입될 때 서랍 바닥부(200c) 및 서랍 측면부(200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부재(250)의 개수는 서랍(20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50)는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지지부재(250)는 일반적으로 여닫이 문을 달 때 문틀과 문짝에 고정되어 문짝을 여닫는데 사용되는 경첩(hinge)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케이스(100)의 내측면에는 픽스 브라켓(300)이 마련된다.
픽스 브라켓(300)은 케이스(100)의 내측면, 즉 서랍(200)에 마련되는 틸팅 구동부(220)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픽스 브라켓(300)은 서랍(200)이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틸팅 구동부(220)를 밀어줄 수도 있고, 서랍(200)이 케이스(100)로 인입될 때 서랍 전면부(200a)와 서랍 측면부(200b)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픽스 브라켓(300)의 단부, 즉 양단부에는 소정 각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302)가 형성될 수 있다.
픽스 브라켓(300)에 형성된 블레이드(302)는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되어 케이스(100)로 서랍(200)이 인입될 때 틸팅 구동부(220)와 접촉 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302)의 종단부는 픽스 브라켓(300)과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02)는 픽스 브라켓(300)의 일단부에서 종단부로 갈수록 블레이드(302)와 픽스 브라켓(300)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블레이드(302)의 종단부와 픽스 브라켓(300)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케이스(100)로 서랍(200)이 인입될 때 틸팅 구동부(200)와의 접촉 시 발생되는 충격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302)와 픽스 브라켓(300) 사이의 간격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302)의 일단부에서 종단부로 갈수록 블레이드(302)와 픽스 브라켓(300)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블레이드(302)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302)와 픽스 브라켓(300)이 접촉될 때 픽스 브라켓(300)과 블레이드(302)와 픽스 브라켓(300) 사이의 간격은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된 블레이드(302)에 의해 조절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동부(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 구동부(200)는 베이스 프레임(210), 제1 기어암(221), 제2 기어암(227) 및 센터 기어(2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0)은 틸팅 구동부(220)의 몸체(body)를 의미하며, 틸팅 구동부(220)의 부품 전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210)은 'ㄱ'를 뒤집어 놓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10)이 ㄱ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10)을 서랍 측면부(200b)에 설치하더라도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가로 방향 길이를 가지는 부품)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부(폭 방향 길이를 가지는 부품)는 서랍 측면부(200b)의 일측에 결합되고,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는 서랍 측면부(200b)의 상측에 결합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는 틸팅 구동부(220)의 부품 전체가 설치되면, 커버(216)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커버(216)를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를 덮음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10)에 형성된 부품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상 좋을 수 있고, 부품 등에 먼지 및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제1 슬롯(212) 및 제2 슬롯(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롯(212)은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슬롯(214)은 제1 슬롯(212)과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제2 슬롯(212,214)은 베이스 프레임(210)에 대해 움푹 패인 형태인 홈(groov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 및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제2 기어암(227)이 제2 슬롯(214)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 및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제1 스토퍼(213) 및 제2 스토퍼(2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 스토퍼(213,215)는, 제1 슬롯(212) 및 제2 슬롯(214)과는 다르게, 베이스 프레임(210)에 대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토퍼(213)는 제1 슬롯(212)의 일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스토퍼(215)는 제1 슬롯(212)의 타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스토퍼(213,215)는 후술할 제1 기어암(221)의 인출 방향 또는 인입 방향으로 이동 시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슬롯(212)에는 제1 기어암(221)이 직선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 기어암(221)의 일단부는 서랍 전면부(200a)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후술할 푸쉬부재(224) 및 고정편(225)을 연계하여 서랍 전면부(200a)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기어암(22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푸쉬부재(224)는 로드(rod) 형태로 형성된다.
서랍 전면부(200a)를 인출 방향으로 당기면 푸쉬부재(224)는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고 서랍 전면부(200a)가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어 케이스(100)로부터 서랍(200)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푸쉬부재(224)에는 고정편(225)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서랍 전면부(200a)의 내측면에는 고정편(225)이 연결되고, 고정편(225)에는 푸쉬부재(224) 및 제1 기어암(221)의 순서로 연결된다.
이때, 고정편(225)은 힌지축(미도시)를 통해 푸쉬부재(22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푸쉬부재(224)와 고정편(225) 사이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하 방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서랍 전면부(200a)의 틸팅 각도는 서랍 조립체(1000)에 담기는 수납물의 종류 및 재질 등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서랍 전면부(200a)의 틸팅 각도는 푸쉬부재(224)의 길이에 따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부재(224)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서랍 전면부(200a)의 틸팅 각도는 커지게 되고, 푸쉬부재(224)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서랍 전면부(200a)의 틸팅 각도는 작아지게 된다.
참고로, 서랍 조립체(1000)의 사용을 위해서는 서랍 전면부(200a)의 틸팅 각도가 최대 100도를 넘지 않도록 형성하고, 약 20도 정도의 틸팅 각도로 형성되도록 푸쉬부재(224)의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어암(221)의 하단부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기어는 제1 기어암(2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암(221)의 하단부에는 제1 돌기(222) 및 제2 돌기(2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돌기(222,223)는 제1 기어암(221)의 하단부에 기어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기(222)는 제1 기어암(221)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고, 제2 돌기(223)는 제2 기어암(227)의 하단부 타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제2 돌기(222,223)는 제1 기어암(221)이 서랍 인출 방향 및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될 때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제2 돌기(222,223)는 상술한 제1, 제2 스토퍼(213,215)에 각각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도 5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돌기(222)도 함께 서랍 인출 방향(도 5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출 방향으로 당기면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도 5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서랍 전면부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틸팅되고 서랍(200)이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제1 기어암(221)의 인출 방향 최대 이동 거리는 제1 기어암(221)의 제1 돌기(222)가 제1 스토퍼(213)에 걸리는 위치까지이다. 즉, 제1 기어암(221)은 인출 방향으로 이동 시 제1 돌기(222)가 제1 스토퍼(213)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입 방향(서랍 전면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밀면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입 방향(도 5에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고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되어 틸팅이 해제되어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되었던 서랍(200)이 다시 케이스(100)로 인입된다.
이때, 제1 기어암(221)의 인입 방향 최대 이동 거리는 제1 기어암(221)의 제2 돌기(223)가 제2 스토퍼(215)에 걸리는 위치까지이다. 즉, 제1 기어암(221)은 인입 방향으로 이동 시 제2 돌기(223)가 제2 스토퍼(215)에 걸리는 위치까지만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제2 기어암(227)은 제2 슬롯(214)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제2 기어암(227)의 상단부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기어는 제2 기어암(227)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어암(227)은 제2 슬롯(214)을 따라 이동될 때, 제1 기어암(221)이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 즉 서랍 전면부(200a)와 가까운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 제2 기어암(227)은 제2 슬롯(214)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 즉 서랍 전면부(200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제2 기어암(227)이 서랍 인입 방향, 즉 서랍 전면부(200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기어암(227)은 제2 슬롯(214)을 따라 서랍 인입 방향, 즉 서랍 전면부(200a)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제1 기어암(221)과 제2 기어암(227)은 센터 기어(250)에 의해 맞물려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센터 기어(250)는 베이스 프레임(210)의 제1 슬롯(212) 및 제2 슬롯(214) 사이에 마련된다. 이때, 센터 기어(250)는 제1 슬롯(212)과 제2 슬롯(214)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중심축이 베이스 프레임(210)에 고정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 기어(226a) 및 외측 기어(226b)를 가지는 이중 기어로 형성된다.
센터 기어(250)의 일부인 내측 기어(226a)는 제1 기어암(221)과 맞물리고, 센터 기어(250)의 다른 일부인 외측 기어(226b)는 제2 기어암(227)과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서랍(200)을 케이스(100)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1 기어암(221)은 센터 기어(250)의 내측 기어(226a)의 시계 반대 방향의 회전에 의해 왼쪽 방향으로 이동된다. 반면,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출 방향으로 당기면 제2 기어암(227)은 센터 기어(250)의 외측 기어(226b)가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암(221)과 반대되는 방향, 즉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2 기어암(227)이 오른쪽으로 이동되면 케이스(100)에 마련된 픽스 브라켓(300)과 접촉된다.
이때, 제2 기어암(227)의 하단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 돌기(228)와 픽스 브라켓(300)이 접촉되게 된다.
즉,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당겨 짐에 따라 제2 기어암(227)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기어암(227)의 제3 돌기(228)는 픽스 브라켓(300)과 접촉되어 픽스 브라켓(30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때, 제3 돌기(228)에 의해 픽스 브라켓(300)으로 가해진 힘은 제2 기어암(227)과 맞물린 센터 기어(250)에 의해 제1 기어암(221)으로 전달되어 케이스(100)로부터 서랍(200)이 인출되는 것을 보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서랍(200)을 케이스(100)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출 방향으로 당길 때 서랍(200)을 인출하기 위해 소요되는 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돌기(228)의 표면에는 돌출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제1 기어암(221)과 마찬가지로 제2 기어암(227)도 인출 방향 최대 이동 거리와 인입 방향 최대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제2 기어암(227)의 인출 방향 및 인입 방향 각각의 최대 이동 거리는 베이스 프레임(210)에 형성된 제2 댐퍼(23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제2 기어암(227)도 서랍 인출 방향, 즉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고 결국 서랍(200)은 레일(102)을 따라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제2 기어암(227)의 인출 방향 최대 이동 거리는 제2 기어암(227)의 타단부가 제1 댐퍼(23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이다. 즉, 제2 기어암(227)은 인출 방향으로 이동 시 제2 기어암(227)의 타단부가 제1 댐퍼(23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만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기어암(227)이 제1 댐퍼(23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됨에 따라 댐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댐퍼(230)에 의해 제2 기어암(227)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어암(227)이 인출 방향인 제1 댐퍼(230)와 접촉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기어암(227)의 제3 돌기(228)는 1차적으로 픽스 브라켓(300) 및 픽스 브라켓(300)의 블레이드(302)와 접촉된다.
이때, 제2 기어암(227)이 제1 댐퍼(230)와 완전히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2 기어암(227)의 제3 돌기(228)는 1차적으로 접촉된 픽스 브라켓(3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댐퍼(230)와 가깝게 위치되게 된다.
반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어암(221)이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입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제2 기어암(227)도 서랍 인입 방향, 즉 왼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입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틸팅이 해제되면서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되었던 서랍(200)이 케이스(100)의 레일(102)을 따라 서랍(2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제2 기어암(227)의 인입 방향 최대 이동 거리는 별도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제2 기어암(227)은 센터 기어(250)에 의해서 제1 기어암(221)과 상대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1 기어암(221)이 서랍 인입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돌기(223)가 제2 스토퍼(215)에 걸리게 되면, 제2 기어암(227)도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정지되게 된다.
참고로, 제1 기어암(221)의 멈춤에 따른 제2 기어암(227)의 정지 위치 까지가 제2 기어암(227)의 인입 방향 최대 이동거리가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어암(227)이 인입 방향인 제1 댐퍼(230)와 접촉이 해제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기어암(227)의 제3 돌기(228)는 1차적으로 픽스 브라켓(300) 및 픽스 브라켓(300)의 블레이드(302)와 접촉되게 된다.
이때, 제2 기어암(227)이 제1 댐퍼(230)와 완전히 멀어지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2 기어암(227)의 제3 돌기(228)는 픽스 브라켓(300)에 간섭되어 제2 댐퍼(232)와 가깝게 위치되게 된다.
참고로, 제2 댐퍼(232)는 제1 댐퍼(230)와 반대되는 위치, 즉 베이스 프레임(210)에 형성되되 제2 슬롯(214)의 일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2 댐퍼(232)도 제1 댐퍼(230)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댐퍼(damper)로 마련될 수 있으나, 댐퍼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입 방향으로 밀면 서랍(200)은 케이스(100)로 인입된다.
이때, 제2 댐퍼(232)는 제2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입 방향으로 밀 때 서랍 전면부(200a)와 서랍 측면부(200b) 및 케이스(100)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조립체(1000)의 구동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서랍(200)을 케이스(100)로부터 인출하는 구동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서랍(200)을 케이스(100)로부터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서랍(200)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출 방향(서랍 전면부를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당긴다. 서랍 전면부(200a)가 당겨지면, 센터 기어(226)의 내측 기어(226a)는 반시계 방향(도 5에서 내측 기어에 표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센터 기어(226)의 외측 기어(226b)는 시계 방향(도 5에서 외측 기어에 표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암(221)은 제1 슬롯(212)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도 5에서 제1 기어암 상에 표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기어암(227)은 제1 기어암(221)과 반대되는 방향, 즉 서랍장 인입 방향(도 5에서 제2 기어암 상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기어암(221)은 제1 돌기(222)가 제1 스토퍼(213)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제2 기어암(227)은 타단부가 제1 댐퍼(23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참고로,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서랍 전면부(200a)를 더 당기면 서랍(200)이 케이스(100)의 레일(102)을 따라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반대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서랍(200)을 케이스(100)로 인입하는 구동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서랍(200)을 케이스(100)의 내부로 인입하고자 하는 경우,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된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입 방향(서랍 전면부를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준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될 때 서랍(200)은 케이스(100)의 레일(102)을 통해 인출된 상태가 된다.
즉, 서랍 전면부(200a)를 서랍 인입 방향으로 밀 때,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된 서랍(200)도 함께 밀어서 케이스(100)의 레일을 따라 서랍 인입 방향(서랍 전면부를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서랍 전면부(200a)를 밀면, 센터 기어(250)의 내측 기어(226a)는 시계 방향(도 5에서 내측 기어 상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센터 기어(250)의 외측 기어(226b)는 반시계 방향(도 5에서 외측 기어 상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암(221)은 제1 슬롯(212)을 따라서 서랍 인입 방향(도 5에서 제1 기어암 상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기어암(227)은 제1 기어암(221)과 반대되는 방향, 즉 서랍장 인출 방향(도 5에서 제2 기어암 상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제1 기어암(221)은 제2 돌기(223)가 제2 스토퍼(215)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제2 기어암(227)은 제1 기어암(221)의 제2 돌기(223)가 제2 스토퍼(215)에 걸리기 전까지 이동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조립체(1000)는 서랍(200)에 틸팅 구동부(220)를 형성하여 서랍(200)이 인출될 때 서랍 전면부(200a)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서랍(200)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랍 조립체(1000)는 종래 서랍체와 달리 틸팅 구동부(200)의 부품의 수가 현저히 적기 때문에 서랍 조립체(1000)의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서랍 조립체
100: 케이스 102: 레일
200: 서랍 200a: 서랍 전면부
200b: 서랍 측면부 200c: 서랍 바닥부
202: 레일 이동부 210: 베이스 프레임
212: 제1 슬롯 213: 제1 스토퍼
214: 제2 슬롯 215: 제2 스토퍼
216: 커버 220: 틸팅 구동부
221: 제1 기어암 222: 제1 돌기
223: 제2 돌기 224: 푸쉬부재
225: 고정편 226: 센터 기어
227: 제2 기어암 228: 제3 돌기
230: 제1 댐퍼 232: 제2 댐퍼
250: 지지부재 300: 픽스 브라켓
302: 블레이드 400: 걸이대

Claims (13)

  1. 전면부가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서랍;
    서랍에 마련되며, 서랍이 인출될 때 틸팅되도록 하는 틸팅 구동부;
    틸팅 구동부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서랍이 인출될 때에 틸팅 구동부를 밀어주기 위한 픽스 브라켓; 및
    픽스 브라켓의 단부에 마련되며, 서랍이 케이스로 인입될 때에 틸팅 구동부와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서랍은 케이스의 전면부에 위치되는 서랍 전면부, 서랍 전면부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서랍 측면부 및 서랍 측면부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서랍 바닥부를 포함하고,
    틸팅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랍 측면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되는 제1 슬롯;
    제1 슬롯과 일정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롯;
    제1 슬롯을 따라 이동되며 일단부가 서랍 전면부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기어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기어암;
    제2 슬롯을 따라 이동되며 상단부에는 기어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픽스 브라켓과 접촉되는 제3 돌기가 형성되는 제2 기어암;
    일부는 제1 기어암과 맞물리고 다른 일부는 제2 기어암과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제1 기어암과 제2 기어암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센터 기어;
    제1 기어암의 하단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돌기, 제2 돌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1 슬롯의 일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제1 스토퍼; 및
    베이스 프레임의 제1 슬롯의 타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제1 기어암이 제1 슬롯을 따라 서랍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돌기는 제1 스토퍼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제1 기어암이 제1 슬롯을 따라 서랍의 인입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 돌기는 제2 스토퍼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서랍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종단부는 픽스 브라켓과 소정 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된, 서랍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픽스 브라켓과 접촉될 때에 픽스 브라켓과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 부분이 구부러지도록 마련된, 서랍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서랍 전면부를 서랍 인출 방향으로 당기면 서랍 전면부는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고, 제1 기어암은 센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되 제2 기어암은 센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기어암이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기어암의 제3 돌기는 픽스 브라켓과 접촉되어 픽스 브라켓에 힘을 가하고 픽스 브라켓에 가해진 힘은 센터 기어에 의해 제1 기어암으로 전달되어 케이스로부터 서랍이 인출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마련된, 서랍 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어암의 일측에는 푸쉬부재가 마련되고,
    제1 기어암이 제1 슬롯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면 푸쉬부재에 의해 서랍 전면부가 인출 방향으로 틸팅되어 케이스로부터 서랍이 인출되도록 마련된, 서랍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푸쉬부재의 단부에는 서랍 전면부에 결합된 고정편과 연결되고,
    고정편은 푸쉬부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서랍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서랍 전면부의 틸팅 각도는 푸쉬부재의 길이를 이용하여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된, 서랍 조립체.
  10.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에는,
    제2 슬롯의 타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제1 댐퍼가 형성되고,
    제1 기어암이 제1 슬롯을 따라 서랍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기어암은 제2 슬롯을 따라 제1 기어암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기어암의 타단부가 제1 댐퍼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서랍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에는 제2 슬롯의 일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제2 댐퍼가 형성되고,
    제2 댐퍼는 서랍 전면부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서랍 전면부가 서랍 인입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서랍 전면부와 서랍 측면부 및 서랍 전면부와 케이스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서랍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서랍 전면부와 서랍 바닥부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로 연결되고,
    지지부재는 서랍 전면부가 서랍 인출 방향으로 틸팅될 때 서랍 바닥부 및 서랍 측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서랍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서랍 전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이 설치되도록 하는 걸이대가 마련되는, 서랍 조립체.
KR1020210127716A 2020-10-06 2021-09-28 서랍 조립체 KR102591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83 2020-10-06
KR20200128583 2020-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98A KR20220045898A (ko) 2022-04-13
KR102591710B1 true KR102591710B1 (ko) 2023-10-20

Family

ID=8121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716A KR102591710B1 (ko) 2020-10-06 2021-09-28 서랍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7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933A (ja) * 2000-10-30 2002-05-09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00709406B1 (ko) 2004-12-03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의 인출/입 구조
JP2011212273A (ja) 2010-03-31 2011-10-27 Sun Wave Corp キャビネット
JP2012019887A (ja) * 2010-07-13 2012-02-02 Nifco Inc 移動抑制装置
KR101114481B1 (ko) 2009-08-12 2012-02-24 (주)세고스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은닉형 슬라이딩 장치
JP5690089B2 (ja) 2010-07-13 2015-03-25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引出体移動補助装置
JP6783693B2 (ja) 2017-03-28 2020-11-11 株式会社Lixil 引出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72B1 (ko) 2002-05-14 2008-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0933A (ja) * 2000-10-30 2002-05-09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00709406B1 (ko) 2004-12-03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의 인출/입 구조
KR101114481B1 (ko) 2009-08-12 2012-02-24 (주)세고스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은닉형 슬라이딩 장치
JP2011212273A (ja) 2010-03-31 2011-10-27 Sun Wave Corp キャビネット
JP2012019887A (ja) * 2010-07-13 2012-02-02 Nifco Inc 移動抑制装置
JP5690089B2 (ja) 2010-07-13 2015-03-25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引出体移動補助装置
JP6783693B2 (ja) 2017-03-28 2020-11-11 株式会社Lixil 引出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98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883B1 (ko) 냉장고
US8083303B2 (en) Built-in sliding rotating element for modular corner cabinets
JP2010183987A (ja) 収納庫
KR102583877B1 (ko) 냉장고
CN102131424B (zh) 空间活用型多用途家具的转动装置
KR102591710B1 (ko) 서랍 조립체
KR102663561B1 (ko) 냉장고
JP3303851B2 (ja) 収納家具
JP4561279B2 (ja) 落下防止装置
CN209359835U (zh) 一种可变容积家庭药箱
KR20180117559A (ko) 침대 수납서랍의 선택적 인출을 위한 스마트 인출 구조
KR20190143056A (ko) 싱크대용 인출식 선반
CN219037347U (zh) 储物筐及具有其的冷柜
KR20230090913A (ko) 서랍
KR101064231B1 (ko) 접철식 선반
JP2828957B2 (ja) コーナー用収納キャビネット
RU2735824C1 (ru) Антиопрокидывающий механизм
JP4443311B2 (ja) 昇降収納ラックの収納装置
JPS6031539Y2 (ja) 机の高さ調節装置
JP2017086523A (ja) 配線カバー装置及び机
JP4602997B2 (ja) 昇降収納ラックの収納装置
KR20230062906A (ko)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JP2003070561A (ja) 回転付勢機構並びにこれを用いた扉昇降キャビネット及び上下引き違い戸
JPS6031538Y2 (ja) 机の高さ調節装置
KR200277002Y1 (ko) 다용도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