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542B1 -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542B1
KR102591542B1 KR1020217028528A KR20217028528A KR102591542B1 KR 102591542 B1 KR102591542 B1 KR 102591542B1 KR 1020217028528 A KR1020217028528 A KR 1020217028528A KR 20217028528 A KR20217028528 A KR 20217028528A KR 102591542 B1 KR102591542 B1 KR 10259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value
width
updat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837A (ko
Inventor
바오쥐 판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전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전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2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7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7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 G06F40/18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of spread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조작이 상기 제1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셀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고 셀의 조절 효율성과 조절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거 조작이 수행된 셀과 같은 특정 셀의 타겟팅된 조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9년 7월 16일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1910642635.4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되고 있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의 화이트보드 소프트웨어 또는 유사한 시나리오에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화이트보드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기입 인터페이스에 스프레드시트를 삽입한 후 스프레드시트의 사이즈가 테이블에 기입한 콘텐츠의 양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용자가 기입한 테이블의 어느 한 셀의 콘텐츠가 해당 셀의 경계를 벗어날 때, 사용자가 상기 셀을 확대해야 하는 경우, 전체 스프레드시트의 스케일링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을 드래그해야지만 상기 셀을 확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셀에 기입된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한 후 사용자가 상기 셀을 축소해야 하는 경우, 컨트롤을 드래그해야지만 상기 셀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조절 방법을 통해 셀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지만, 상기 컨트롤은 전체 스프레드시트를 스케일링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레드시트의 각 셀이 모두 동시에 스케일링되므로 어느 한 셀에 타겟팅된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다. 또한 스프레드시트를 조절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자는 현재 스케일링된 스프레드시트가 조절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만 관찰할 수 있고, 적절한 스케일링 수준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조절 요구 사항을 수행하기 위해 반복적인 조절이 필요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이 번거롭고 테이블 조절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가 셀 내의 콘텐츠를 제거하는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셀을 조절할 수 없어 초래되는 특정 셀에 대한 타겟팅된 조절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 사용자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 및 테이블 조절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측면에서는, 테이블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조작이 상기 제1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측면에서는, 테이블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 및
상기 제1 결정 모듈이 상기 제거 조작이 상기 제1 셀 내에 있고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기 위한 제1 업데이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3 측면에서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을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테이블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4 측면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테이블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관련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셀 내의 제거 조작에 따라 상기 셀을 대응적으로 축소하여, 사용자의 제거 조작이 수행된 셀에 대한 자동 조절을 실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셀을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고 셀의 조절 효율성과 조절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거 조작이 수행된 셀과 같은 특정 셀의 타겟팅된 조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할 수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테이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콘텐츠가 제거되지 않은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 2a의 제1 셀이 콘텐츠가 제거됨에 따라 축소된 후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콘텐츠가 제거되지 않은 제1 셀이 위치한 다른 테이블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 3a 의 제1 셀이 콘텐츠가 제거됨에 따라 그가 위치한 행과 열의 모든 셀이 축소된 후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확대 처리를 거치지 않은 제2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 4a 의 제2 셀이 기입 콘텐츠가 경계를 벗어남에 따라 확대된 후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4a의 제2 셀이 기입 콘텐츠가 경계를 벗어남에 따라 그가 위치한 행과 열의 모든 셀이 확대된 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테이블 처리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는바, 그 예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추가로 도시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형의 "하나", "상기" 및 "해당"은 문맥 상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열거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정보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별하는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제1 정보는 제2 정보라고도 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는 제1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문맥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만약"이라는 단어는 "…때" 또는 "…경우" 또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교육 또는 회의에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미리 설치된 전자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전자 화이트보드에 판서 또는 기입하거나, 전자 화이트보드에 표시된 콘텐츠를 편집하여 교육 콘텐츠 또는 회의 콘텐츠에 대한 청중의 이해를 심화해야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삽입 기능을 통해 스프레드시트, 기하학적 그래픽, 이미지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자 화이트보드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미리 생성된 스프레드시트 내에 콘텐츠를 기입하거나 상기 스프레드시트 내에 표시된 콘텐츠를 제거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스프레드시트의 사이즈는 사용자가 스프레드시트 내에 기입한 콘텐츠의 양 또는 제거한 콘텐츠의 양에 따라 변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테이블 내의 어느 한 셀에 기입한 콘텐츠가 상기 셀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는 스프레드시트 상의 스케일링 컨트롤을 드래그해야지만 전체 스프레드시트를 확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어느 한 셀의 콘텐츠를 제거한 후 상기 셀을 축소해야 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케일링 컨트롤을 드래그해야지만 전체 스프레드시트를 축소할 수 있다. 어느 조작이든지 스프레드시트를 조절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자는 현재 스케일링된 스프레드시트가 조절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만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소된 스프레드시트의 각 셀의 콘텐츠는 셀 경계를 벗어날 수 없는데, 적절한 스케일링 수준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조절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조절이 필요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이 번거롭고 테이블 조절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초래된다.
이를 기반으로,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가 셀 내의 콘텐츠를 제거하는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셀을 조절할 수 없어 초래되는 사용자가 특정 셀에 대한 타겟팅된 조절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 사용자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 및 테이블 조절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적어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는 새로운 테이블 처리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제거 조작이 위치한 셀의 자동 조절을 실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셀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고, 셀의 조절 효율성과 조절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거 조작이 위치한 셀과 같은 특정 셀의 타겟팅된 조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테이블 처리 방법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 및 협동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언급된 하드웨어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의 실행 주체는 노트북, 데스크톱, 태블릿, 휴대폰, 프로젝터 또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에 탑재된 기능적 모듈일 수 있고, 또한 노트북, 데스크톱, 태블릿, 휴대폰, 프로젝터 또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테이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테이블 처리 방법은 클라이언트에 적용할 수 있고,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011);
상기 제거 조작이 상기 제1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는 단계(S012)를 포함한다.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에 설치된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면,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가동되면, 사용자는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테이블 생성 기능을 통해 필요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테이블이 생성된 후, 사용자는 테이블에 필요한 콘텐츠를 상기 테이블에 삽입하거나 기입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삽입 컨트롤을 통해 필요한 콘텐츠를 삽입하거나(예를 들어, 이미지, 기하학적 그래픽 또는 텍스트를 삽입함) 또는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입 컨트롤을 통해 필요한 콘텐츠(예를 들어, 자필 필기로 구성된 패턴, 및 그래픽 또는 텍스트)를 기입할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설명할 점은, 상기 테이블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테이블의 각 셀에 대한 좌표 정보를 저장한다는 것이다. 상기 좌표 정보는 다음 임의의 형식 중의 하나로 표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좌표 정보의 제1 표현 형식으로서, 일 예에서, 각 셀에 대한 상기 셀의 좌표 정보는 상기 셀의 네 개 꼭지점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좌표 정보의 제2 표현 형식으로서, 다른 일례에서, 각 셀에 대한 상기 셀의 좌표 정보는 상기 셀의 꼭지점 중 하나의 좌표, 및 상기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좌표 정보의 상기 두 가지 표현 형식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표현 형식에서는 셀의 꼭지점 중 하나의 좌표,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을 포함하는 좌표 정보만 저장하면 되지만, 제1 표현 형식에서는 셀의 네 개 꼭지점을 포함하는 좌표 정보를 저장해야 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표현 형식 좌표 정보의 데이터량에 대해 제2 표현 형식 좌표 정보의 데이터량이 적으므로, 데이터 저장량을 감소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표현 형식 좌표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화이트보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콘텐츠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경우,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제거 컨트롤을 클릭하여 제거 명령을 트리거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상기 제거 명령에 따라 현재 터치스크린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조작을 제거 조작으로 알게 된다.
상기 제거 명령에 대응하는 제거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제거 조작에 따른 제거 궤적의 제거 좌표 집합을 획득하고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셀은 상기 테이블 내의 임의의 셀을 나타낸다. 동시에,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화이트보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업데이트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거될 콘텐츠가 제거 조작에 의해 사라졌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은 예를 들어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상기 제거 조작은 하나 이상의 셀 내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따라 그 중 제거될 각 제거 픽셀이 위치한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거 좌표 집합이 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제거 좌표 집합의 모든 픽셀에 기초하여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1. 셀의 좌표 정보가 셀의 네 개 꼭지점의 좌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 내에 있는 그 중의 두 개 셀의 좌표 정보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셀 A1:, 여기서, ,이고, 셀 A2:, 여기서, ,이다. 이를 기반으로, 이고, 인 경우, 제거 픽셀 이 셀 A1 내에 위치하고, 제거 픽셀 이 셀 A2 내에 위치함을 결정할 수 있다.
2. 셀의 좌표 정보가 셀의 꼭지점 중 하나의 좌표 및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좌표 정보가 셀의 좌측 꼭지점 좌표를 기록한다고 가정하면, 테이블 내에 있는 그 중의 두 개 셀의 좌표 정보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셀 A1:,셀 A2:. 이를 기반으로, 이고, 인 경우, 제거 픽셀 이 셀 A1 내에 위치하고 제거 픽셀 이 셀 A2 내에 위치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거 조작의 제거 좌표 집합에서 각 제거 픽셀이 위치한 셀이 결정되면, 후속에서 결정된 각 셀에 대해 축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방안은 한 번의 제거 조작 하의 각 제거 픽셀이 있는 위치를 분석해야 하는데, 한 번의 제거 조작은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제거 픽셀에 대응하므로 관련 위치 분석에 따른 계산 횟수가 많고 계산 프로세스가 복잡하다. 또한 서로 다른 제거 픽셀이 서로 다른 셀 내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셀에 대해 축소 처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계산의 복잡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로지 상기 제거 조작의 제거 시작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셀 내에 들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바, 이는 상기 제거 조작에서 상기 제거 시작점 이외의 다른 제거 픽셀이 위치한 셀이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과 다르더라도, 상기 제거 조작이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에 해당된다고 간주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대응적으로, 상기 제거 조작이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을 벗어나는 콘텐츠는 제거하지 않는다. 이로써, 각 제거 조작에 대해 해당 제거 조작의 제거 시작점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어느 한 셀에 들어있는지 여부만을 결정하면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어 상기 기술적 해결책에 비교하여 제거 조작의 위치 분석에 관련된 계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을 벗어나는 콘텐츠를 제거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 이외의 다른 셀의 콘텐츠가 제거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후속 조치에서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 이외의 다른 셀에 대해 축소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어 셀 축소 처리에 관련된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셀 업데이트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상기 일 실시예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 이외의 다른 셀의 콘텐츠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현재의 제거 조작을 종료하고 다음 번의 제거 조작을 수행하여 다른 셀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거 시작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시나리오에서, 결정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거 시작점의 좌표가 이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1. 셀의 좌표 정보가 셀의 네 개 꼭지점 좌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테이블 내에 있는 그 중의 하나의 셀 A1의 좌표 정보는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다. 이를 기반으로, 인 경우, 상기 제거 시작점 이 셀 A1 내에 위치함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위치함을 결정할 수 있다.
2. 셀의 좌표 정보가 셀의 꼭지점 중 하나의 좌표 및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좌표 정보가 셀의 좌측 꼭지점 좌표를 기록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테이블 내에 있는 그 중 하나의 셀 A1의 좌표 정보는 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인 경우, 상기 제거 시작점 이 셀 A1 내에 위치함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제거 조작은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위치함을 결정할 수 있다.
설명할 점은, 셀의 좌표 정보가 셀의 꼭지점 중 하나의 좌표 및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좌표 정보에 포함된 유일한 하나의 꼭지점의 좌표를 셀의 좌측 상단 꼭지점, 좌측 하단 꼭지점, 우측 상단 꼭지점, 우측 하단 꼭지점 중의 어느 하나라고 디폴트할 수 있다. 이로써, 이 유일한 하나의 꼭지점이 셀의 어느 꼭지점인지 알 수 있고 해당 유일한 하나의 꼭지점과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에 따라 셀의 구역 범위를 결정하고, 나아가 제거 조작이 셀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보다 신속하게 셀 영역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표 정보에 포함된 셀의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의 좌표를 상기 셀의 좌측 상단 꼭지점의 좌표로 디폴트할 수 있다.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다고 결정한 후, 상기 제거 조작이 중단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거 조작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서 상기 제거 조작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상황, 상기 제거 조작이 발생한 후의 특정 시간에 상기 제거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상황 중 어느 하나의 상황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거 조작이 중단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제거 조작이 발생한 후의 일정 시점에 상기 제거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제거 조작을 수행한 후, 일정 시점에 제거 조작을 트리거 하는 데에 사용된 터치 개체와 터치스크린 사이의 접촉을 해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터치 개체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거 조작이 중단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체는 스타일러스, 손가락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거 조작이 위치한 셀의 콘텐츠는 제거 조작에 따라 업데이트되므로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픽셀 좌표 집합도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제거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제거 조작이 위치한 제1 셀 내의 현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픽셀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 후의 제1 셀은 업데이트 전의 제1 셀과 비교하면 축소된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콘텐츠가 제거되기 전, 상기 제1 셀 A11의 사이즈는 셀 A21의 사이즈와 동일하고,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셀 A11의 일부 콘텐츠 "567"이 제거된 후, 축소 후의 제1 셀 A11은 상기 셀 A21보다 작다.
이로써,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셀 내의 제거 조작에 따라 상기 셀을 상응하게 축소함으로써 사용자의 제거 조작이 수행된 셀에 대한 자동 조절이 실현되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셀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조작을 간소화하고 셀의 조절 효율성과 조절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거 조작이 위치한 셀과 같은 특정 셀의 타겟팅된 조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거 조작이 위치한 제1 셀에 대해서만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상기 단계(S012)는,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셀의 경계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높이 값과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단계(S0121); 및
상기 최소 높이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와 폭을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에 의해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는 미리 생성된 테이블과 이를 구성한 모든 셀의 매핑 관계, 각 셀과 해당 셀 내에 위치한 콘텐츠의 매핑 관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개시에서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셀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의 구역 범위 내에 들어있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면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에 대응하는 픽셀 좌표 집합을 획득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1 셀의 좌표 정보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에 대응하는 픽셀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에 대응하는 픽셀 좌표 집합에서 상기 제1 셀의 좌측 경계선에 가장 가까운 가장 좌측 픽셀, 상기 제1 셀의 위쪽 경계선에 가장 가까운 가장 위쪽 픽셀, 상기 제1 셀의 우측 경계선에 가장 가까운 가장 우측 픽셀 및 상기 제1 셀의 아래쪽 경계선에 가장 가까운 가장 아래쪽 픽셀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셀의 경계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높이 값은 상기 제1 셀의 위쪽 경계선과 상기 가장 위쪽 픽셀 사이의 제1 높이 거리 값과, 상기 제1 셀의 아래쪽 경계선과 상기 가장 아래쪽 픽셀 사이의 제2 높이 거리 값의 합과 같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셀의 경계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폭 값은 상기 제1 셀의 좌측 경계선과 상기 가장 좌측 픽셀 사이의 제1 폭 거리 값과, 상기 제1 셀의 우측 경계선과 상기 가장 우측 픽셀 사이의 제2폭 거리 값의 합과 같다.
제1 셀의 콘텐츠가 축소 후의 제1 셀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도록 보장하는 전제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축소 전의 제1 셀의 폭의 최대 마진이 상기 최소 폭 값이고, 높이의 최대 마진이 상기 최소 높이 값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1 셀의 폭 값을 업데이트 전의 제1 셀의 폭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의 차이(이 차이 값은 아래에서 목표 폭 값이라고 함)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제1 셀의 높이 값을 업데이트 전의 제1 셀의 높이 값과 상기 최소 높이 값의 차이(이 차이 값은 아래에서 목표 폭 값이라고 함)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를 거친 후, 상기 제1 셀은 축소되지만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사이즈는 변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가장자리는 축소 후의 제1 셀의 경계와 서로 접하거나 겹쳐져 사용자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가장자리를 명확하게 볼 수 없어 사용자의 시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여 축소 후의 제1 셀에서의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보장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1 셀의 경계 사이에 일정한 미리 설정된 마진을 미리 남겨둘 수 있는데, 상기 미리 설정된 마진은 사용자가 정의한 값이거나 시스템에서 디폴트로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1 셀의 폭 값을 업데이트 전의 제1 셀의 폭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의 차이와 상기 미리 설정된 마진의 합(이 합은 아래에서 목표 폭 값이라고 함)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을 업데이트 전의 제1 셀의 높이 값과 상기 최소 높이 값의 차와 상기 미리 설정된 마진의 합(이 합은 아래에서 목표 높이 값이라고 함)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써, 축소 후의 제1 셀의 경계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가장자리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남게 되어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를 명확하게 디스플레이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소 후의 제1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은 각각 상기 임의의 실시예 중의 목표 폭 값과 목표 높이 값이다. 다만, 목표 폭 값과 목표 높이 값이 비교적 작은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픽셀의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에 기초하여 계산하여 얻은 목표 폭 값과 목표 높이 값인 경우, 제1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을 각각 상기 목표 폭 값과 상기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한다면, 제1 셀은 다른 셀에 대해 지나치게 작아지는 것을 초래하고, 제1 셀이 지나치게 작아 사용자가 제1 셀의 구역을 명확하게 보지 못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1 셀에서의 기입 또는 제거 조작을 수행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여 셀이 지나치게 작게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최소 높이 값과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와 폭을 각각 업데이트하는 방안으로 변경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최소 높이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와 폭을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2)는,
상기 제1 셀의 현재 높이 값과 상기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고, 상기 제1 셀의 현재 폭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S01221);
상기 목표 높이 값이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22); 및
상기 목표 폭 값이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셀의 폭 값을 상기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의 폭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 높이 값과 목표 폭 값의 계산 방법은 위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되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과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고, 개발자가 경험 또는 실험에 따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과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은 제1 셀 축소가 허용하는 최대 축소 정도를 특징화하는 데에 사용되므로, 이는 축소 후의 제1 셀의 폭은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을 수 없고 높이는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을 수 없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축소 후의 제1 셀의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지 않고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지 않은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제1 셀의 목표 폭 값 또는 목표 높이 값이 지나치게 작아서 업데이트 후의 제1 셀이 지나치게 작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잘 피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1 셀의 영역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보장하고, 사용자가 축소 후의 제1 셀에 기입 또는 제거를 진행하는 난이도를 감소시킨다.
한 번의 제거 조작을 통해 제1 셀 내의 콘텐츠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거나 제1 셀 내의 모든 콘텐츠를 제거할 수 있어 제1 셀의 모든 콘텐츠가 제거되는 시나리오에서, 제1 셀의 업데이트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상기 단계(S012)는,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과 폭 값을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과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직접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과 폭 값을 각각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과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목표 높이 값과 목표 폭 값을 계산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비교적 많은 계산 단계를 절약할 수 있어 시스템의 계산 부담을 감소시키고 제1 셀의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제1 셀의 업데이트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1 셀의 업데이트를 실현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셀 만을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업데이트 후의 제1 셀과 그와 인접한 셀 사이에 비교적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 후의 제1 셀 A11과 이와 동일한 열에 있는 셀 A21의 좌측이 정렬되지 않아 사용자가 제1 셀과 동일한 열 또는 동일한 행의 다른 셀을 한눈에 결정할 수 없어 전체 테이블의 시각적 효과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도 2b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것 외에, 또한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과 열의 다른 셀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상기 단계(S012)는,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각 셀에 대해 상기 셀의 경계와 상기 셀 내의 콘텐츠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높이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각 셀에 대해 상기 셀의 경계와 상기 셀 내의 콘텐츠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단계(S0121');
모든 최소 높이 값 중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하나의 목표 최소 높이 값을 획득하고, 모든 최소 폭 값 중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하나의 목표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단계(S0122'); 및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최소 높이 값과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원리는 상술한 제1 셀의 최소 높이 값과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최소 높이 값과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최소 폭 값을 획득한 후, 그 중에서 획득한 값이 가장 작은 목표 최소 높이 값을 선택하여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어느 한 셀의 높이 최대 마진으로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그 중에서 획득한 값이 가장 작은 목표 최소 폭 값을 선택하여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어느 한 셀의 폭 최대 마진으로 나타낸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에 대응하는 셀의 높이 최대 마진은 이와 동일한 행에 있는 다른 셀의 높이 최대 마진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대응하는 셀의 폭 최대 마진은 동일한 열에 있는 다른 셀의 폭 최대 마진보다 작다. 따라서, 제1 셀이 위치한 행과 열에 있는 각 셀이 축소된 후, 셀의 콘텐츠가 셀 경계를 벗어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상기 목표 최소 높이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상술한 목표 높이 값과 목표 폭 값의 계산 방법 중의 어느 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과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높이 값 및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폭 값을 각각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업데이트 후의 높이 값은 모두 상기 목표 높이 값이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업데이트 후의 폭 값은 모두 상기 목표 폭 값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셀 A11'의 콘텐츠가 제거되기 전, 상기 제1 셀 A11'의 폭은 셀 A21'의 폭과 일치하고 높이는 셀 A12'의 높이와 일치하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셀 A11'의 콘텐츠 "456789"가 제거된 후, 이때 상기 제1 셀 A11'의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 "0123"이 차지하는 폭 공간이 셀 A21’의 콘텐츠 "12345"가 차지하는 폭 공간보다 작기 때문에 축소할 때 셀 A21’의 최대 폭 마진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셀 A11' 및 제1 셀 A11'과 동일한 열에 있는 셀 A21'를 축소한다. 마찬가지로, 제1 셀 A11' 및 제1 셀 A11'과 동일한 행에 있는 셀 A12'의 높이도 동일한 높이 값으로 축소된다. 따라서,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유지하고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도 일치하도록 유지하여, 제1 셀 만을 축소할 경우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의 셀이 정렬되지 않는 문제를 잘 해결함으로써 테이블 전체의 시각적 효과를 보장하고 사용자가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의 셀을 보는 난이도를 감소시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소 후의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 값이 모두 상기 목표 폭 값이고,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 값이 모두 상기 목표 높이 값이다. 그러나, 목표 폭 값과 목표 높이 값이 작은 경우, 제1 셀이 위치한 행과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이 지나치게 축소되어 사용자가 이러한 셀을 명확하게 볼 수 없게 되기 쉬우므로, 이러한 셀에서 사용자가 기입 또는 제거의 조작을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여 셀이 지나치게 작게 축소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과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과 열에 있는 모든 셀을 업데이트하는 방안을 적응적으로 변경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3')는,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 및 현재 높이 값에 따라 대응하는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높이 값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임의의 셀의 현재 높이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가 동일한, 상기 대응하는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S012311');
상기 목표 높이 값이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312'); 및
상기 목표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01321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3')는,
상기 목표 최소 폭 값 및 현재 폭 값에 따라 대응하는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폭 값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임의의 셀의 현재 폭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이 동일한, 상기 대응하는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S012321');
상기 목표 폭 값이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폭 값을 상기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322'); 및
상기 목표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폭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S012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 높이 값과 상기 목표 폭 값의 계산 방법은 위의 관련 기재를 참조하되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과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거나 경험 또는 실험에 따라 개발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소 후의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은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을 수 없고,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는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을 수 없다. 따라서, 축소 후의 각 셀의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지 않고,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으므로, 목표 폭 값 또는 목표 높이 값이 지나치게 작아 업데이트 후의 셀이 지나치게작은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축소 후 각 셀이 위치한 구역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보장하고, 사용자가 축소된 셀에서 기입 또는 제거를 진행하는 난이도를 감소시킨다.
사용자의 제거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셀을 축소하는 것 외에,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 실시예는 사용자의 기입 조작에 따라 셀을 자동으로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방법은,
기입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기입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2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021);
상기 기입 조작이 상기 제2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기입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기입 조작에 대응하는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022); 및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기입 콘텐츠에 따라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하여 확대된 후의 제2 셀 내에 상기 기입 콘텐츠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셀을 확대하는 단계(S0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입 컨트롤을 클릭하여 기입 명령을 트리거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방법의 실행 주체는 상기 기입 명령에 따라 터치스크린이 현재 검출한 사용자 조작이 기입 조작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입 명령에 대응하는 기입 조작이 검출된 후, 상기 기입 조작에 따른 기입 궤적의 필기 좌표 집합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필기 좌표 집합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입 필기의 필기 시작점에 기초하여 상기 기입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2 셀 내에 들어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셀은 상기 테이블 내의 임의의 셀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된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기입 조작에서 상기 필기 시작점 이외의 다른 필기 픽셀이 위치한 셀과 상기 필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이 다른 경우에도 상기 기입 조작이 상기 필기 시작점이 위치한 셀에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로써, 각 기입 조작에 대해, 해당 기입 조작의 필기 시작점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어느 한 셀에 들어있는지 여부만 결정하면 상기 기입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2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어 기입 조작의 위치 분석에 관련된 계산량을 크게 줄이고 시스템의 계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설명할 점은, 사용자가 필기 시작점이 위치한 셀 이외의 다른 셀에 기입 콘텐츠를 기입해야 하는 경우, 현재의 기입 조작을 종료하고 다음의 기입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의 기입 조작을 수행할 때 필기 시작점을 제어하여 기입할 셀에 들어가도록 하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입 조작의 필기 시작점에 기초하여 상기 기입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2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원리는 상술한 상기 제거 조작의 제거 시작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거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상기 기입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2 셀 내에 있다는 것을 결정한 후, 상기 기입 조작이 중단된 것을 검출하면 상기 기입 조작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대 내에 상기 기입 조작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상황, 상기 기입 조작이 발생한 후의 일정 시점에 상기 기입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 상황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황이 검출되면 상기 기입 조작이 중단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기입 조작이 발생한 후의 일정 시점에 상기 기입 조작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이는 사용자가 기입 조작을 수행한 후 일정 시점에 기입 조작을 트리거 하는 데에 사용되는 터치 개체와 터치스크린 사이의 접촉을 해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개체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기입 조작이 중단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체는 스타일러스,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입 콘텐츠가 기입 조작에 따라 업데이트되므로, 상기 기입 콘텐츠에 대응하는 필기 좌표 집합도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기입 조작이 종료될 때 현재 필기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프로세스는 상기 제2 셀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구역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필기 좌표 집합에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구역 범위 이외의 픽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남을 나타내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셀의 구역 범위를 결정하는 원리는 상술한 제1 셀의 구역 범위를 결정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난다고 결정하면, 상기 기입 콘텐츠의 현재 필기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하는 상기 단계(S023)는,
상기 기입 콘텐츠 중에서 상기 제2 셀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부분과 상기 제2 셀의 경계선 사이의 최대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S0231); 및
상기 최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폭 또는 높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02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예를 들어 상기 기입 콘텐츠의 현재 필기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제2 셀을 확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점(O)에서부터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입 조작을 시작하여 도 4a에 도시된 원형을 얻는다고 가정하면, 이를 기반으로, 점(O)이 상기 기입 조작의 필기 시작점이다. 설명해야 할 점은, 사용자가 필기를 통해 상기 원형을 그리지 않고 그래픽 컨트롤을 통해 상기 원형을 삽입한다면 사용자가 상기 원형을 삽입할 때 터치 개체가 스크린과 최초로 접촉한 점을 필기 시작점으로 간주한다. 점(O)이 상기 셀 B11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원형은 모두 상기 셀 B11에 위치하여야 한다. 다만,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원형은 아크 Y1, 아크 Y2 및 아크 Y3으로 구성되지만 아크 Y1 만이 상기 셀 B11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고, 아크 Y2 및 아크 Y3은 각각 상기 셀 B11의 우측 경계와 아래쪽 경계를 벗어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원형을 구성하는 아크가 모두 확대된 셀 B11에 들어가도록 상기 셀 B11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형에 대응하는 필기 좌표 집합에 따라 상기 셀 B11의 각 경계선을 벗어나는 부분과 대응 경계선 사이의 최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상기 원형에는 셀 B11의 우측 경계선과 아래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부분만 존재하기 때문에 아크 Y2에서 셀 B11의 우측 경계선과 가장 먼 하나의 픽셀과 셀 B11의 우측 경계선의 우측 최대 초과 거리 및 아크 Y3에서 셀 B11의 아래쪽 경계선과 가장 먼 하나의 픽셀과 셀 B11의 아래쪽 경계선의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만 획득하면 된다.
우측 최대 초과 거리를 획득한 후, 상기 우측 최대 초과 거리와 상기 셀 B11의 현재 폭 값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후의 상기 셀 B11의 폭 값(이하, 제2 목표 폭 값이라고 함)을 계산하여 얻을 수 있고,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를 획득한 후, 상기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후의 상기 셀 B11의 높이 값(이하, 제2 목표 높이 값이라고 함)을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목표 폭 값은 상기 우측 최대 초과 거리와 셀 B11의 현재 폭 값의 합과 같거나, 상기 우측 최대 초과 거리와 상기 셀 B11의 현재 폭 값 및 미리 설정된 마진의 상술한 삼자의 합과 같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목표 높이 값은 상기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와 셀 B11의 현재 높이 값의 합과 같거나, 상기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와 상기 셀 B11의 현재 높이 값 및 미리 설정된 마진의 상술한 삼자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 목표 폭 값과 상기 제2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은 후, 상기 셀 B11의 폭 값과 높이 값을 각각 상기 제2 목표 폭 값과 상기 제2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셀 B11을 확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셀 B11은 그 내부의 원형을 둘러쌀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셀 만을 확대하면 제2 셀과 이와 동일한 행과 동일한 열에 있는 셀이 정렬되지 않게 되어 테이블 전체의 시각적 효과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에 있는 셀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볼 수 없어 사용자의 시청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행과 열에 있는 모든 셀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이는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모두 상기 제2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모두 상기 제2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제2 셀이 위치한 행과 열에 있는 모든 셀에 대해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의 렌더링은 도 4c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c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셀 외에, 제2 셀과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셀과 동일한 열과 동일한 행에 있는 다른 셀이 모두 대응되게 확대되었다.
설명할 점은,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난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모든 경계를 벗어나면, 계산된 상기 제2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2 목표 폭 값은 좌측 최대 초과 거리, 우측 최대 초과 거리 및 상기 제2 셀의 현재 폭 값 이 삼자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셀의 콘텐츠 부분이 확대 후의 제2 셀의 경계선과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삼자의 합에 기초하여 하나의 미리 설정된 마진을 더 추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산하여 얻은 상기 제2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2 목표 높이 값은 위쪽 최대 초과 거리,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 및 상기 제2 셀의 현재 높이 값의 이 삼자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셀의 콘텐츠 부분이 확대된 후 제2 셀의 경계선과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삼자의 합에 기초하여 하나의 미리 설정된 마진을 더 추가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제2 목표 폭 값과 제2 목표 높이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은 제2 셀이 특정 방향으로만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셀의 높이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만 확대 가능하고, 이는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위쪽 경계선 및 아래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높이가 확대된 제2 셀은 위쪽 경계선이 위쪽으로 이동하거나 아래쪽 경계선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위쪽 경계선을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2 셀의 높이를 상기 제2 목표 높이 값까지 확대하면, 제2 셀이 확대된 후 아래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기입 콘텐츠는 여전히 초과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1.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좌측 경계선 및 우측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좌측 경계선을 벗어나는 좌측 최대 초과 거리 및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우측 경계선을 벗어나는 우측 최대 초과 거리를 획득한다. 상기 기입 콘텐츠를 둘러싼 위치까지 상기 제2셀의 좌측 경계선이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우측 경계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 최대 초과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좌측 두 꼭지점의 횡좌표를 업데이트하고 및/또는 상기 우측 최대 초과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우측 두 꼭지점의 횡좌표를 업데이트한다.
2.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위쪽 경계선과 아래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위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위쪽 최대 초과 거리 및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아래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를 획득한다. 상기 기입 콘텐츠를 둘러싼 위치까지 상기 제2 셀의 위쪽 경계선이 위쪽으로 이동하거나 아래쪽 경계선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위쪽 최대 초과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위쪽 두 꼭지점의 종좌표를 업데이트하고 및/또는 상기 아래쪽 최대 초과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아래쪽 두 꼭지점의 종좌표를 업데이트한다.
설명할 점은, 기입 콘텐츠가 제2 셀의 모든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제2 셀의 네 개 꼭지점의 횡좌표와 종좌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통해 제2 셀의 네 개 경계선을 모두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셀의 확대를 수행하여 상기 기입 콘텐츠를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셀의 좌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2 셀 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 후, 셀의 높이와 폭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셀의 확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로 제2 셀 전체가 좌측 위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좌측 최대 초과 거리는 이고, 위쪽 최대 초과 거리는 이다. 이에 기반하여, 한편으로, 셀의 좌표 정보가 셀의 네 개 꼭지점의 좌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셀의 좌표 정보는 로 표시될 수 있다고 가정하되, 여기서, , 이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셀의 좌표 정보를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셀의 좌표 정보가 셀 중의 하나의 꼭지점의 좌표 및 셀의 폭 값과 높이 값을 포함하는 경우, 이때의 좌표 정보가 셀의 좌측 꼭지점 좌표를 기록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2 셀의 좌표 정보는 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셀의 좌표 정보를 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린이 나타내는 효과는 제2 셀 전체가 좌측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셀은 단지 이동되었을 뿐 확대되지 않는 것이다. 설명할 점은, 제2 셀의 이동은 또한 다른 셀의 상응한 이동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즉, 제2 셀의 좌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다른 셀의 좌표 정보도 업데이트한다. 또한, 업데이트 후의 좌표 정보의 가감 연산은 상기 제2 셀의 참조 좌표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표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셀을 이동한 후, 계산하여 얻은 제2 목표 높이 값과 제2 목표 폭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셀을 확대할 수 있는바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설명할 점은, 상기 제2 셀을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각 셀의 콘텐츠가 그가 위치한 셀에 대한 변위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셀만 이동하고 셀의 콘텐츠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인해 셀의 콘텐츠가 다른 셀에 들어가, 어느 콘텐츠가 어느 셀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셀을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모든 셀의 콘텐츠는 모두 셀의 이동에 따라 동일한 변위로 이동한다. 이를 기반으로, 셀의 콘텐츠가 셀을 따라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기입 콘텐츠 중에서 제2 셀을 벗어나는 부분은 여전히 셀을 초과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셀과 해당 기입 콘텐츠를 이동한 후, 상기 기입 콘텐츠를 이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셀 중의 기입 콘텐츠가 좌측 경계선과 우측 경계선을 벗어난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2 셀과 상기 기입 콘텐츠가 좌측으로 적어도 좌측 최대 초과 거리만큼 천이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기입 콘텐츠가 우측으로 적어도 상기 좌측 최대 초과 거리만큼 천이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기입 콘텐츠는 상기 제2 셀의 좌측 경계선을 초과하지 않는다. 그 다음, 계산하여 얻은 제2 목표 폭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셀이 우측 방향으로 확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는 상기 기입 콘텐츠가 확대된 제2 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2 셀의 폭을 우측으로 연장하지만, 상기 제2 셀의 좌측 경계선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요컨대, 각 셀은 셀 내의 콘텐츠의 참조 기준으로서 사용되도록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셀의 기입 콘텐츠가 해당 참조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먼저 셀과 그 안의 기입 콘텐츠가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이동이 완료된 후 기입 콘텐츠를 동일한 거리만큼 역 이동한 다음, 셀에 대해 확대 처리를 수행한다. 셀의 기입 콘텐츠가 해당 참조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계산하여 얻은 제2 목표 높이 값 및/또는 제2 목표 폭 값에 따라 셀에 대한 확대 처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바, 셀을 이동할 필요가 없고 셀의 폭과 높이 속성을 변경하거나 셀의 비 참조 기준에 속하는 꼭지점 좌표만 업데이트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각 셀에 대해, 상기 셀의 좌측 경계선과 위쪽 경계선을 참조 기준으로 사용하되 상기 셀 내의 기입 콘텐츠가 셀의 좌측 경계선 또는 위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셀과 그 기입 콘텐츠를 좌측 또는 위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기입 콘텐츠를 우측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셀에 대해 확대 처리를 수행해야 있다. 상기 셀 내의 기입 콘텐츠가 셀의 좌측 경계선과 위쪽 경계선을 벗어나지 않고 우측 경계선 또는 아래쪽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셀을 좌측 또는 위쪽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셀에 대해 직접 확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셀에 대해 확대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참조 기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셀의 높이는 아래쪽 경계선 방향으로 확대되고 폭은 우측 경계선 방향으로 확대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셀에 모두 참조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확대 전에 제2 셀을 먼저 이동해야 할 경우, 참조 기준은 이동하기 전에 대해 필연적으로 일정한 변위 오프셋이 발생하게 된다. 오프셋이 발생한 참조 기준이 상기 제2 셀의 좌측 경계선인 경우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열과 상기 제2 셀의 좌측에 있는 모든 셀은 모두 동일한 오프셋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테이블의 가장 좌측 경계선과 가장 위쪽 경계선이 지나치게 오프셋 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각 셀의 참조 기준을 셀의 좌측 경계선과 위쪽 경계선으로 설정하여 후속에서 제거 조작이 발생할 때 현재 좌측 경계선과 위쪽 경계선의 오프셋 상황에 따라 좌측 경계선 또는 위쪽 경계선으로 역 이동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후의 위치가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031);
상기 업데이트 후의 위치가 상기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한 업데이트 후의 위치의 변위 오프셋량을 획득하는 단계(S032); 및 상기 변위 오프셋량에 따라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위치 오프셋량을 업데이트하는 단계(S0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이 0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041); 및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위치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을 감소시키는 단계(S0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입 콘텐츠에 따라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셀의 참조 기준이 이동되면, 예를 들어, 제2 셀의 위쪽 경계선 또는 좌측 경계선이 이동되면, 이때 업데이트 후의 상기 제2 셀의 위치가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때의 변위 오프셋량은 경계선이 이동한 픽셀 수로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셀의 위쪽 경계선이 위쪽으로 10 픽셀 이동하고 좌측 경계선이 좌측으로 5 픽셀 이동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extendY=10을 사용하여 위쪽 경계선이 위쪽으로 10 픽셀 이동하는 것을 기록하고 extendX=5를 사용하여 좌측 경계선이 좌측으로 5 픽셀 이동하는 것을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extendY 및 extendX가 0이 아닌 경우, 원래의 extendY 및 extendX를 기초로 현재 변위 오프셋량을 추가하여 제2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현재의 총 변위 오프셋량으로 하여야 하는바, 이는 업데이트 후의 제2 셀의 위치가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된 경우 extendY를 extendY = extendY + 10으로 업데이트하고 extendX를 extendX = extendX + 5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할당 연산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의 기입 조작에서 기입 콘텐츠가 셀의 참조 기준을 벗어나 셀의 참조 기준이 이동하면 이전의 변위 오프셋량을 기초로 이번의 변위 오프셋량을 추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번 변위 오프셋량이 좌측 경계선이 좌측으로 6 픽셀 이동하고 위쪽 경계선이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면, 이때 extendX만 업데이트할 수 있는데, 업데이트 후의 extendX=extendX(이전 업데이트 후의 X축 방향에서의 오프셋량을 나타냄)+6이다.
설명할 점은, 제2 셀의 확대로 인하여(이 확대는 제2 셀의 폭 또는 높이의 확대 프로세스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제2 셀의 참조 기준의 이동 프로세스를 포함하지 않음) 참조 기준 이외의 다른 경계선에 대응하는 횡좌표 또는 종좌표의 변위는 상기 변위 오프셋량에 기록되지 않고, 제2 셀의 확대로 인하여 제2 셀 이외의 다른 셀의 참조 기준이 발생하는 변위도 상기 변위 오프셋량에 기록되지 않는다. 이는 이동된 셀의 참조 기준의 변위 오프셋량만을 기록하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업데이트 후 X축 방향에서의 변위 오프셋량 extendX 및 Y축 방향에서의 변위 오프셋량 extendY는 테이블 속성에 기록될 수 있다.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 extendX 및 extendY를 기록한 후, 후속에서, 제1 셀 내에서 제거 조작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기 전에 먼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속성을 판독하여 그 중에서 extendX 및 extendY을 획득하고, extendX 및 extendY가 모두 0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extendX 및 extendY가 모두 0인 경우, 테이블의 현재 위치가 생성 시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므로, 제거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직접 업데이트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extendX 또는 extendY가 0이 아닌 경우, 제1 셀의 참조 기준이 좌측 경계선 및 위쪽 경계선이라고 가정하면, extendX가 0이 아닌 경우 extendX를 상기 제1 폭 거리 값과 비교할 수 있다. extendX가 상기 제1 폭 거리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폭 거리 값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제1 셀을 우측으로 이동하고 extendX를 extendX=extendX-제1 폭 거리 값으로 업데이트한다. extendX가 상기 제1 폭 거리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1 셀을 상기 extendX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우측으로 이동하고 extendX를 extendX=0으로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제1 셀을 우측으로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셀이 위치한 열 및 제1 셀의 좌측에 있는 모든 셀은 모두 제1 셀에 따라 우측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로써, 제1 셀이 있는 테이블의 가장 좌측 경계선을 우측으로 이동하여 생성 시에 대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을 감소시킬 수 있다. extendY가 0이 아닌 경우 extendY를 상기 제1 높이 거리 값과 비교하여 extendY가 상기 제1 높이 거리 값보다 크면 제1 셀을 상기 제1 높이 거리 값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아래로 이동하고 extendY를 extendY=extendY-제1높이 및 거리 값으로 업데이트한다. extendY가 상기 제1 높이 거리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 셀을 상기 extendY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extendY를 extendY = 0으로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제1 셀을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셀이 위치한 행 및 제1 셀 위쪽의 모든 셀은 제1 셀에 따라 아래쪽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로써,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가장 위쪽 경계선을 아래로 이동하여 생성 시에 대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을 감소한 후, 제거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상술한 관련 기재를 참조하되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설명할 점은,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저장된 셀의 좌표 정보가 셀의 네 개 꼭지점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관련된 셀의 높이 또는 폭의 업데이트는 셀의 네 개 꼭지점에 대한 업데이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동일한 테이블에 속할 수 있고 다른 테이블에 속할 수도 있다. 상기 셀의 참조 기준은 경계선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셀의 참조 기준은 셀의 어느 꼭지점의 횡좌표가 위치한 직선과 종좌표가 위치한 직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상술한 테이블 처리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 실시예는 또한 노트북, 데스크톱, 태블릿, 휴대폰, 프로젝터 또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에 적용될 수 있는 테이블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테이블 처리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상기 테이블 처리 장치(500)는,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이 이미 생성된 테이블의 제1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501); 및
상기 제1 결정 모듈(501)이 상기 제거 조작이 상기 제1 셀에 있고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되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는 제1 업데이트 모듈(50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업데이트 모듈(502)은,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셀의 경계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높이 값과 최소 폭 값을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유닛; 및
상기 최소 높이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와 폭을 각각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1 업데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업데이트 유닛은,
상기 제1 셀의 현재 높이 값과 상기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고, 상기 제1 셀의 현재 폭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기 위한 제1 계산 서브 유닛;
상기 목표 높이 값이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1 업데이트 서브 유닛; 및
상기 목표 폭 값이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셀의 폭 값을 상기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셀의 폭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2 업데이트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업데이트 모듈(502)은,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과 폭 값을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과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각각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2 업데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업데이트 모듈(502)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각 셀에 대해, 상기 셀의 경계와 상기 셀 내의 콘텐츠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높이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각 셀에 대해, 상기 셀의 경계와 상기 셀 내의 콘텐츠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폭 값을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유닛;
모든 최소 높이 값 중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하나의 목표 최소 높이 값을 획득하고, 모든 최소 폭 값 중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하나의 목표 최소 폭 값을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유닛; 및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3 업데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업데이트 유닛은,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과 현재 높이 값에 따라 대응하는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고, 상기 현재 높이 값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임의의 셀의 현재 높이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는 동일한 제2 계산 서브 유닛;
상기 목표 높이 값이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3 업데이트 서브 유닛; 및
상기 목표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4 업데이트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업데이트 유닛은,
상기 목표 최소 폭 값과 현재 폭 값에 따라 대응하는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고, 상기 현재 폭 값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임의의 셀의 현재 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은 동일한 제3 계산 서브 유닛;
상기 목표 폭 값이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클 때,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폭 값을 상기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5 업데이트 서브 유닛; 및
상기 목표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폭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6 업데이트 서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기입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기입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2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모듈;
상기 기입 조작이 상기 제2 셀 내에 있고 상기 기입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기입 조작에 대응하는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모듈; 및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날 때, 상기 기입 콘텐츠에 따라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하여 확대된 후의 제2 셀 내에 상기 기입 콘텐츠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셀을 확대하기 위한 제2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한 후,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후의 위치가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변위 결정 모듈;
상기 업데이트 후의 위치가 상기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한 상기 업데이트 후의 위치의 변위 오프셋량을 획득하기 위한 오프셋량 획득 모듈; 및
상기 변위 오프셋량에 따라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오프셋량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기 전에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이 0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변위 결정 모듈; 및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위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위치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각 모듈 및 유닛의 기능과 역할의 실현 프로세스는 상기 방법의 대응 단계 실현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경우,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므로 관련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설명 부분을 참조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상술한 테이블 처리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임의의 방법 실시예 중의 상기 테이블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을 더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은 터치 기술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제어하고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실현하는 통합 장치일 수 있고, 프로젝터, 전자 화이트보드, 스크린, 오디오, TV 및 화상 회의 단말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휴대폰, 노트북, USB 플래시 디스크, 태블릿, 데스크톱 및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상기 외부 장치와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사이의 통신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방식에는 USB 연결, 인터넷, LAN, 블루투스, WIFI 또는 지그비(ZigBee)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테이블 처리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임의의 방법 실시예 중의 테이블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개시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디스크 저장 장치, CD-ROM, 광학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서 실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영구성 및 비영구성,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가 포함되며 정보 저장은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실현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로는 상변화 메모리(P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다른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제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DVD) 또는 기타 광학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테이프,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비 전송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6)

  1.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테이블 처리 방법으로서,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에 이미지, 기하학적 그래픽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테이블 콘텐츠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제거 조작에 의해 트리거된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콘텐츠에 대한 제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에 따른 제거 궤적의 제거 좌표 집합을 획득하고,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서로 다른 셀 내에 위치한 제거 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거 궤적의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을 상기 제거 조작을 위한 제1 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따라 제거된 콘텐츠가 상기 제거 조작에 따라 사라지도록 상기 제1 셀의 표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셀의 경계와 상기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의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높이 값과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 높이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와 폭을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높이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와 폭을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의 현재 높이 값과 상기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고, 상기 제1 셀의 현재 폭 값과 상기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
    상기 목표 높이 값이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폭 값이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셀의 폭 값을 상기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의 폭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4.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테이블 처리 방법으로서,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에 이미지, 기하학적 그래픽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테이블 콘텐츠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제거 조작에 의해 트리거된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콘텐츠에 대한 제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에 따른 제거 궤적의 제거 좌표 집합을 획득하고,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서로 다른 셀 내에 위치한 제거 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거 궤적의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을 상기 제거 조작을 위한 제1 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따라 제거된 콘텐츠가 상기 제거 조작에 따라 사라지도록 상기 제1 셀의 표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 내에 제거되지 않은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셀의 높이 값과 폭 값을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과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5.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테이블 처리 방법으로서,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에 이미지, 기하학적 그래픽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테이블 콘텐츠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제거 조작에 의해 트리거된 상기 화이트보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콘텐츠에 대한 제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거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제거 조작에 따른 제거 궤적의 제거 좌표 집합을 획득하고,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서로 다른 셀 내에 위치한 제거 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거 궤적의 제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을 상기 제거 조작을 위한 제1 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거 좌표 집합에 따라 제거된 콘텐츠가 상기 제거 조작에 따라 사라지도록 상기 제1 셀의 표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거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을 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각 셀에 대해 상기 셀의 경계와 상기 셀 내의 콘텐츠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높이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각 셀에 대해 상기 셀의 경계와 상기 셀 내의 콘텐츠 가장자리 사이의 빈 영역의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단계;
    모든 최소 높이 값 중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하나의 목표 최소 높이 값을 획득하고, 모든 최소 폭 값 중에서 값이 가장 작은 하나의 목표 최소 폭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최소 높이 값 및 현재 높이 값에 따라 대응하는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높이 값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임의의 셀의 현재 높이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가 동일한, 상기 대응하는 목표 높이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
    상기 목표 높이 값이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높이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각 셀의 높이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최소 폭 값에 따라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최소 폭 값 및 현재 폭 값에 따라 대응하는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폭 값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임의의 셀의 현재 폭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이 동일한, 상기 대응하는 목표 폭 값을 계산하여 얻는 단계;
    상기 목표 폭 값이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폭 값을 상기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폭 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각 셀의 폭 값을 상기 미리 설정된 폭 임계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기입 명령이 수신될 때, 현재 기입 조작이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제2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입 조작이 상기 제2 셀 내에 있고 상기 기입 조작이 종료될 때, 상기 기입 조작에 대응하는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기입 콘텐츠에 따라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하여 확대된 후의 제2 셀 내에 상기 기입 콘텐츠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셀을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을 업데이트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후의 위치가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 후의 위치가 상기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해 오프셋이 발생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 전의 위치에 대한 상기 업데이트 후의 위치의 변위 오프셋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변위 오프셋량에 따라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을 업데이트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이 0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위치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1 셀이 위치한 테이블의 변위 오프셋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기입 명령이 수신된 후, 상기 기입 조작에 따른 기입 궤적의 필기 좌표 집합을 획득하고, 상기 필기 좌표 집합에 미리 생성된 테이블의 서로 다른 셀 내에 위치한 필기 픽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입 궤적의 필기 시작점이 위치한 셀을 상기 기입 조작을 위한 제2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콘텐츠 중에서 상기 제2 셀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부분과 상기 제2 셀의 경계선 사이의 최대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폭 또는 높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행에 있는 모든 셀의 높이를 모두 제2 목표 높이 값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2 셀이 위치한 열에 있는 모든 셀의 폭을 모두 제2 목표 폭 값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목표 높이 값은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후의 높이 값이고, 상기 제2 목표 폭 값은 상기 제2 셀의 업데이트 후의 폭 값인 테이블 처리 방법.
  14. 제8항에서,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좌측 경계선 및 우측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좌측 경계선을 벗어나는 좌측 최대 초과 거리 및 상기 기입 콘텐츠가 상기 제2 셀의 우측 경계선을 벗어나는 우측 최대 초과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입 콘텐츠를 둘러싸는 위치까지 상기 제2 셀의 좌측 경계선이 좌측으로 이동하거나 우측 경계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측 최대 초과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좌측 두 꼭지점의 횡좌표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우측 최대 초과 거리에 따라 상기 제2 셀의 우측 두 꼭지점의 횡좌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처리 방법.
  15.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테이블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16.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테이블 처리 방법이 수행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8528A 2019-07-16 2019-12-12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 KR102591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42635.4 2019-07-16
CN201910642635.4A CN110427601B (zh) 2019-07-16 2019-07-16 表格处理方法、装置、智能交互平板及存储介质
PCT/CN2019/124814 WO2021008071A1 (zh) 2019-07-16 2019-12-12 表格处理方法、装置、智能交互平板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837A KR20210122837A (ko) 2021-10-12
KR102591542B1 true KR102591542B1 (ko) 2023-10-19

Family

ID=6840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528A KR102591542B1 (ko) 2019-07-16 2019-12-12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72540B2 (ko)
EP (1) EP3940578A4 (ko)
JP (1) JP7320617B2 (ko)
KR (1) KR102591542B1 (ko)
CN (1) CN110427601B (ko)
AU (1) AU2019457052B2 (ko)
WO (1) WO2021008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7601B (zh) 2019-07-16 2021-05-1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表格处理方法、装置、智能交互平板及存储介质
US20240078007A1 (en) * 2019-10-17 2024-03-0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259639B (zh) * 2020-01-10 2023-09-0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表格的自适应调节方法及显示设备
CN112214192B (zh) * 2020-10-22 2023-08-04 深圳市皓丽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交互平板的操作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394859A (zh) * 2020-11-12 2021-02-23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表格动态调整方法和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5550A (en) * 1996-03-21 2000-04-25 Oracle Corporation Auto sizing of fields for displaying computer forms
US20140189482A1 (en) * 2012-12-31 2014-07-03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for manipulating tables on an interactive input system and interactive input system executing the method
US20140223382A1 (en) * 2013-02-01 2014-08-07 Barnesandnoble.Com Llc Z-shaped gesture for touch sensitive ui undo, delete, and clear functions
CN109284494A (zh) * 2018-09-07 2019-01-2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调整表格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487B2 (ja) * 1990-01-08 1995-06-2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表編集装置
JPH03266068A (ja) * 1990-03-16 1991-11-27 Fujitsu Ltd 表区画の自動縮小処理方式
JPH04310173A (ja) * 1991-04-08 1992-11-02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の作成装置
US20080104091A1 (en) * 2004-11-26 2008-05-01 Chin Philip K Method of displaying data in a table
US7581169B2 (en) * 2005-01-14 2009-08-25 Nicholas James Thoms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 automatic layout
US7590944B2 (en) * 2005-03-31 2009-09-15 Microsoft Corporation Scrollable and re-sizeable formula bar
US8786559B2 (en) * 2010-01-06 2014-07-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tables using multi-contact gestures
JP5735823B2 (ja) 2011-03-01 2015-06-17 株式会社ユビキタス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スプレッドシート制御プログラム、スプレッドシート制御装置及びスプレッドシートの制御方法
US11209975B2 (en) * 2013-03-03 2021-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US9619453B2 (en) * 2013-09-20 2017-04-1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odel-driven list picker
US20160321230A1 (en) * 2015-04-29 2016-11-03 Facebook, Inc. Generating a data table
CN105677627A (zh) * 2015-12-28 2016-06-15 浪潮(北京)电子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表格操作方法及装置
CN105760353B (zh) * 2016-02-02 2018-08-07 锐达互动科技股份有限公司 在白板软件中导入Excel表格且不改变单元格文本格式的方法
CN106940690A (zh) * 2017-03-06 2017-07-11 锐达互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互式电子白板软件表格与图表相互转换方法及系统
CN109164999B (zh) 2018-08-29 2022-03-08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表格自适应显示的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9885819B (zh) * 2019-02-19 2022-12-20 携程旅游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数据表格动态调整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0427601B (zh) * 2019-07-16 2021-05-1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表格处理方法、装置、智能交互平板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5550A (en) * 1996-03-21 2000-04-25 Oracle Corporation Auto sizing of fields for displaying computer forms
US20140189482A1 (en) * 2012-12-31 2014-07-03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for manipulating tables on an interactive input system and interactive input system executing the method
US20140223382A1 (en) * 2013-02-01 2014-08-07 Barnesandnoble.Com Llc Z-shaped gesture for touch sensitive ui undo, delete, and clear functions
CN109284494A (zh) * 2018-09-07 2019-01-29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调整表格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457052A1 (en) 2021-11-25
US20220019346A1 (en) 2022-01-20
US11372540B2 (en) 2022-06-28
JP7320617B2 (ja) 2023-08-03
CN110427601B (zh) 2021-05-18
KR20210122837A (ko) 2021-10-12
JP2022529825A (ja) 2022-06-24
EP3940578A4 (en) 2022-05-11
AU2019457052B2 (en) 2023-05-18
EP3940578A1 (en) 2022-01-19
CN110427601A (zh) 2019-11-08
WO2021008071A1 (zh)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542B1 (ko) 테이블 처리 방법, 장치, 스마트 인터랙티브 태블릿 및 저장 매체
US8161379B2 (en) Fit and fill techniques for pictures
US9418068B2 (en) Dimensional conversion in presentations
US20120311489A1 (en) Target Element Zoom
US9817794B2 (en) Responsive rendering of data sets
CN106886511B (zh) 一种网络表格的处理方法及装置
EP2874054B1 (en) Application text adjust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CN107977342B (zh) 一种文档对比方法及装置
CN114115643A (zh) 一种组件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CN111428455B (zh) 表格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391148B (zh) 视图元素保存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538623A (zh) 确定目标图像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191851B2 (ja) 文書提示方法およびユーザ端末
US864585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JP6287498B2 (ja) 電子ホワイトボード装置、電子ホワイトボード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258698A (zh) 一种对象显示方法及装置
CN109104627B (zh) 安卓电视的焦点背景生成方法、存储介质、设备及系统
US20040044964A1 (en) Behavior of anchored frames
US20220083208A1 (en) Non-proportionally transforming and interacting with objects in a zoomable user interface
CN114169304A (zh) 表格创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354381B (zh) 图像文件的处理方法及装置
KR101730381B1 (ko)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6909667A (zh) 一种显示页面元素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6392810A (zh) 一种文本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7676198A (zh) 多媒体数据裁剪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