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713B1 -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713B1
KR102590713B1 KR1020230066378A KR20230066378A KR102590713B1 KR 102590713 B1 KR102590713 B1 KR 102590713B1 KR 1020230066378 A KR1020230066378 A KR 1020230066378A KR 20230066378 A KR20230066378 A KR 20230066378A KR 102590713 B1 KR102590713 B1 KR 10259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loor
expansion
epoxy
waterproofing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랑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스페이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스페이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스페이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6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머가 도포될 콘크리트바닥에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프라이머에 규사가 흩뿌리기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1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되고 이러한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섬유가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열된 내팽창수축용 필름이 적층된 후 2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됨에 따라, 콘크리트바닥의 수축 팽창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바닥으로부터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아 방수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방수층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바닥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상에 규사를 흩뿌려 적층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규사가 적층된 프라이머 상에 1차 에폭시방수층을 도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용 필름을 적층한 후 경화시키는 제 5 단계와, 상기 내팽창수축용 필름 상에 2차 에폭시방수층을 도포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parking lot car stopper and whichof}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주차장의 바닥 등과 같은 콘크리트바닥에 에폭시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하는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라이머가 도포될 콘크리트바닥에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프라이머에 규사가 흩뿌리기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1차 에폭시를 주제, 경화제, 섬유강화재를 혼합하여 믹싱 후 도포하고 이러한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섬유가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에폭시에 신율을 부여하여 본 바닥의 미세 크랙을 방지하고, 이후 1차 에폭시 방수층이 경화되기 전 내팽창수축용 필름이 적층된 후 2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됨에 따라, 콘크리트바닥의 수축 팽창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이 콘크리트바닥으로부터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 본 바탕의 크랙 발생 시 에폭시에 신율을 부여하여 에폭시의 미세크랙을 방지하여 방수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주차장의 바닥 등과 같은 콘크리트바닥에는 방수층이 시공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은 에폭시계 방수층과 우레탄계 방수층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에폭시예 방수층은 우레탄계 방수층에 비해 강도가 강한 장점은 있으나 에폭시의 특성상 콘크리트의 팽창 및 수축(신율)로 인해 콘크리트바닥과의 접촉면이 분리되어 들뜨거나 또는 설치환경 상 콘크리트의 팽창 및 수축이 큰 경우에는 방수층이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에폭시계 방수층의 일 예로, 한국 특허등록공고 제10-1977057호(2019.05.10.)에는 에폭시 수지 25 ~ 50 중량%, 경화제 20 ~ 40 중량%, 충전제 25 ~ 50 중량%, 카본 밀드 화이버 1 ~ 15 중량% 및 점토입자 0.5 ~ 3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장용 에폭시계 방수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점토 입자는 말단이 수산기(-OH)를 포함하는 4차 암모늄염으로 양이온이 치환되어 표면이 개질된 점토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장용 에폭시계 방수도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10-2019-0030128호(2019.03.21.)에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옥상에 도포되는 방수용 에폭시수지 조성물로서, 합성수지 알갱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에폭시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또한 이러한 방수층의 시공방법의 일 예로, 한국 특허등록공고 제10-2493483호(2023.01.31.)에는 방수시공하려는 바탕면의 표면을 정리하고 보수하는 정리단계와, 상기 바탕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와, 방수시공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측에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방수시트 부착 단계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에 차열 도막 방수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도막형성단계와, 상기 도막의 상측에 방수시트 보호재를 시공하는 보호재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방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방수층 및 방수층 시공방법의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팽창 및 수축이 큰 조건하에서는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이 있는 조건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에폭시 방수층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시공을 한다 하더라도 방수층의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공고 제10-1977057호(2019.05.10.) 2. 한국 특허공개 제10-2019-0030128호(2019.03.21.) 3. 한국 특허등록공고 제10-2493483호(2023.01.31.)
따라서 본 발명은 프라이머가 도포될 콘크리트바닥에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프라이머에 규사가 흩뿌리기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1차 에폭시를 주제, 경화제, 섬유강화재를 혼합하여 믹싱 후 도포하고 이러한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섬유가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에폭시에 신율을 부여하여 본 바닥의 미세 크랙을 방지하고, 이후 1차 에폭시 방수층이 경화되기 전 내팽창수축용 필름이 적층된 후 2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됨에 따라, 콘크리트바닥의 수축 팽창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이 콘크리트바닥으로부터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 본 바탕의 크랙 발생 시 에폭시에 신율을 부여하여 에폭시의 미세크랙을 방지하여 방수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바닥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상에 규사를 흩뿌려 적층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규사가 적층된 프라이머 상에 1차 에폭시방수층을 도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용 필름을 적층한 후 경화시키는 제 5 단계와, 상기 내팽창수축용 필름 상에 2차 에폭시방수층을 도포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콘크리트바닥을 평탄화하는 사전준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6 단계 이후에 상기 2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논슬립코팅층을 코팅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에폭시방수층은 90 내지 95 중량%의 에폭시에 5 내지 10 중량%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2차 에폭시방수층은 90 내지 95 중량%의 에폭시에 5 내지 10 중량%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팽창수축용 필름은 내팽창수축섬유가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선형으로 배열되는 제 1 선형배열필름과, 상기 제 1 선형배열필름 상에 적층되고 내팽창수축섬유가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선형으로 배열되는 제 2 선형배열필름과, 상기 제 2 선형배열필름 상에 적층되고 내팽창수축섬유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격자배열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선형배열필름과 상기 제 2 선형배열필름에 배열되는 내팽창수축섬유의 이격거리는 상기 격자배열필름에 배열되는 내팽창수축섬유의 이격거리 보다 1.5 배 더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의하면, 프라이머가 도포될 콘크리트바닥에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프라이머에 규사가 흩뿌리기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1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되고 이러한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섬유가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열된 내팽창수축용 필름이 적층된 후 2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됨에 따라, 콘크리트바닥의 수축 팽창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이 콘크리트바닥으로부터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 등 본 바탕의 미세 크랙 발생으로 에폭시 방수가 깨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수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방수층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의 시공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이 적용된 방수층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있어서, 내팽창수축용 필름의 적층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의 시공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이 적용된 방수층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있어서, 내팽창수축용 필름의 적층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바닥에 홈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홈이 형성된 콘크리트바닥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상에 규사를 흩뿌려 적층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규사가 적층된 프라이머 상에 1차 에폭시방수층을 도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용 필름을 적층한 후 경화시키는 제 5 단계와, 상기 내팽창수축용 필름 상에 2차 에폭시방수층을 도포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의 각 단계와 그 연결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바닥(2)에 홈(10)을 형성하는 제 1 단계(S1)와, 홈(10)이 형성된 콘크리트바닥(2)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제 2 단계(S2);와, 프라이머(20) 상에 규사(30)를 흩뿌려 적층하는 제 3 단계(S3)와, 규사(30)가 적층된 프라이머(20) 상에 1차 에폭시방수층(40)을 도포하는 제 4 단계(S4)와, 1차 에폭시방수층(40) 상에 내팽창수축용 필름(50)을 적층한 후 경화시키는 제 5 단계(S5)와 내팽창수축용 필름(50) 상에 2차 에폭시방수층(60)을 도포하는 제 6 단계(S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단계(S1)는 방수층의 시공을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바닥(2)에 홈(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콘크리트바닥(2)에 홈(10)을 형성하게 되면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1)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1)이 콘크리트바닥(2)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방지되고,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1)의 상층부보다 하층부에 에폭시가 더 많이 도포됨에 따라 콘크리트바닥(2)의 팽창 또는 수축 시에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1)의 상층부에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영향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 1 단계(S1)에서 시공되는 홈(10)은 콘크리트바닥(2)에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사각형, 원 등과 같은 형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단계(S1) 이전에는 콘크리트바닥(2)을 평탄화하는 사전준비단계(S0)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단계(S1) 이후에는 제 2 단계(S2)가 행해진다. 제 2 단계(S2)는 홈(10)이 형성된 콘크리트바닥(2)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프라이머(20)는 후술될 1차 에폭시방수층(40)이 콘크리트바닥(2)에 잘 접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에폭시와 아스팔트의 혼합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라이머(20)는 예를 들어 에폭시 주제 및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1액 조성물과, 지방족 아스팔트 경화제, 아스팔트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2액 조성물이 1 : 1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 2 단계(S2) 이후에는 제 3 단계(S3)가 행해진다. 제 3 단계(S3)는 제 2 단계(S2)에 의해 형성된 프라이머(20) 상에 규사(30)를 흩뿌려 적층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규사(30) 또한 프라이머(20)와 함께 콘크리트바닥(2)에 대한 1차 에폭시방수층(40)의 접촉면적을 중대시켜 콘크리트바닥(2)에 대한 1차 에폭시방수층(40)의 접착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규사(30)는 모래, 세라믹 분말 등 과 같은 다른 재질로도 대체 가능함은 자명하다.
전술한 제 3 단계(S3) 이후에는 제 4 단계(S4)가 행해진다. 제 4 단계(S4)는 제 3 단계(S3)에 의해 규사(30)가 적층된 프라이머(20) 상에 1차 에폭시방수층(40)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 때 1차 에폭시방수층(40)은 에폭시에 예를 들어 천연섬유,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같은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데, 특히 90 내지 95 중량%의 에폭시에 5 내지 10 중량%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폭시에 5 중량% 미만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될 경우에는 팽창 또는 수축(신율) 증가에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에폭시에 10 중량%를 초과하는 섬유보강제가 혼합될 경우에는 섬유보강제가 서로 뭉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1차 에폭시방수층(40)에 혼합되는 섬유보강제는 1 내지 3 mm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섬유보강제가 1 m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팽창 또는 수축(신율) 증가에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섬유보강제가 3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섬유보강제가 서로 뭉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제 4 단계(S4) 이후에는 제 5 단계(S5)가 행해진다. 제 5 단계(S5)는 1차 에폭시방수층(40) 상에 내팽창수축용 필름(50)을 적층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내팽창수축용 필름(50)은 내팽창수축섬유(50a)가 배열된 단층의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팽창수축섬유(50a)가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선형으로 배열되는 제 1 선형배열필름(51)과, 제 1 선형배열필름(51) 상에 적층되고 내팽창수축섬유(50a)가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선형으로 배열되는 제 2 선형배열필름(52)과, 제 2 선형배열필름(52) 상에 적층되고 내팽창수축섬유(50a)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격자배열필름(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선형배열필름(51), 제 2 선형배열필름(52) 및 격자배열필름(53)은 폴리에틸렌(PE) 또는 PET 필름의 상부에 예를 들어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실 형태로 부착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팽창 또는 수축을 후술될 2차 에폭시방수층(6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선형배열필름(51)과 제 2 선형배열필름(52)에 배열되는 내팽창수축섬유(50a)의 이격거리는 격자배열필름(53)에 배열되는 내팽창수축섬유(50a)의 이격거리 보다 1.5 배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내팽창수축섬유(50a)가 더 긴 이격거리로 이격되는 제 1 선형배열필름(51)과 제 2 선형배열필름(52)은 상대적으로 큰 팽창과 수축율을 잡아주고, 내팽창수축섬유(50a)가 더 짧은 거리로 이격되는 내팽창수축섬유(50a)는 상대적으로 작은 팽창과 수축율을 잡아주면서 콘크리트의 팽창 또는 수축이 후술될 2차 에폭시방수층(6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제 5 단계(S5) 이후에는 제 6 단계(S6)가 행해진다. 제 6 단계(S6)는 내팽창수축용 필름(50) 상에 2차 에폭시방수층(60)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 때 2차 에폭시방수층(60)은 1차 에폭시방수층(40)과 마찬가지로 에폭시에 예를 들어 천연섬유,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같은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데, 특히 90 내지 95 중량%의 에폭시에 5 내지 10 중량%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에폭시에 5 중량% 미만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될 경우에는 팽창 또는 수축(신율) 증가에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에폭시에 10 중량%를 초과하는 섬유보강제가 혼합될 경우에는 섬유보강제가 서로 뭉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 돌출로 인해 표면조도를 과도하게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2차 에폭시방수층(60)에 혼합되는 섬유보강제는 1 내지 3 mm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섬유보강제가 1 m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팽창 또는 수축(신율) 증가에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섬유보강제가 3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섬유보강제가 서로 뭉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제 6 단계(S6) 이후에는 제 7 단계(S7)가 행해질 수 있다. 제 7 단계(S7)는 제 6 단계(S6) 이후에 2차 에폭시방수층(60) 상에 논슬립코팅층(70)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이 때 논슬립코팅층(70)은 에폭시코팅제에 예를 들어 세라믹 재질의 논슬립용 분말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의 경우에는 프라이머(20)가 도포될 콘크리트바닥(2)에 접촉면적 증대를 위허한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프라이머에 규사가 흩뿌리기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1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되고 이러한 1차 에폭시방수층 상에 내팽창수축섬유가 선형 또는 격자형으로 배열된 내팽창수축용 필름이 적층된 후 2차 에폭시방수층이 도포됨에 따라, 콘크리트바닥의 수축 팽창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이 콘크리트바닥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또한 콘크리트 본 바탕재의 미세한 자체 크랙 발생시 방수재의 크랙을 방지함으로써 방수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방수층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2 : 콘크리트바닥
10 : 홈
20 : 프라이머
30 : 규사
40 : 1차 에폭시방수층
50 : 내팽창수축용 필름
50a : 내팽창수축용 섬유
51 : 제 1 선형배열필름
52 : 제 2 선형배열필름
53 : 격자배열필름
60 : 2차 에폭시방수층
71 : 논슬립코팅층
S0 : 사전준비단계
S1 : 제 1 단계
S2 : 제 2 단계
S3 : 제 3 단계
S4 : 제 4 단계
S5 : 제 5 단계
S6 : 제 6 단계
S7 : 제 7 단계

Claims (6)

  1. 콘크리트바닥(2)에 홈(10)을 형성하는 제 1 단계(S1);
    상기 홈(10)이 형성된 콘크리트바닥(2)에 프라이머(20)를 도포하는 제 2 단계(S2);
    상기 프라이머(20) 상에 규사(30)를 흩뿌려 적층하는 제 3 단계(S3);
    상기 규사(30)가 적층된 프라이머(20) 상에 1차 에폭시방수층(40)을 도포하는 제 4 단계(S4);
    상기 1차 에폭시방수층(40) 상에 내팽창수축용 필름(50)을 적층한 후 경화시키는 제 5 단계(S5); 및
    상기 내팽창수축용 필름(50) 상에 2차 에폭시방수층(60)을 도포하는 제 6 단계(S6)를 포함하고,
    상기 내팽창수축용 필름(50)은 내팽창수축섬유(50a)가 가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선형으로 배열되는 제 1 선형배열필름(51)과, 상기 제 1 선형배열필름(51) 상에 적층되고 내팽창수축섬유(50a)가 세로방향으로 이격되어 선형으로 배열되는 제 2 선형배열필름(52)과, 상기 제 2 선형배열필름(52) 상에 적층되고 내팽창수축섬유(50a)가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격자배열필름(53)을 포함하는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S1) 이전에 상기 콘크리트바닥(2)을 평탄화하는 사전준비단계(S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S6) 이후에 상기 2차 에폭시방수층(60) 상에 논슬립코팅층(70)을 코팅하는 제 7 단계(S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에폭시방수층(40)은 90 내지 95 중량%의 에폭시에 5 내지 10 중량%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2차 에폭시방수층(60)은 90 내지 95 중량%의 에폭시에 5 내지 10 중량%의 섬유보강제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형배열필름(51)과 상기 제 2 선형배열필름(52)에 배열되는 내팽창수축섬유(50a)의 이격거리는 상기 격자배열필름(53)에 배열되는 내팽창수축섬유(50a)의 이격거리 보다 1.5 배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KR1020230066378A 2023-05-23 2023-05-23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KR10259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378A KR102590713B1 (ko) 2023-05-23 2023-05-23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378A KR102590713B1 (ko) 2023-05-23 2023-05-23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713B1 true KR102590713B1 (ko) 2023-10-19

Family

ID=8850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378A KR102590713B1 (ko) 2023-05-23 2023-05-23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7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073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20170025054A (ko) * 2015-08-27 2017-03-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KR20180109361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30128A (ko) 2017-09-13 2019-03-21 오승현 방수용 에폭시수지 조성물
KR101977057B1 (ko) 2018-08-14 2019-05-10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고내구성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에폭시계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공법
KR102026284B1 (ko) * 2019-02-14 2019-09-30 (주)알씨에스코리아 콘크리트 보수용 폴리머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2493483B1 (ko) 2021-12-31 2023-01-31 조영수 방수시공장치를 이용하여 방수시공하는 복합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073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20170025054A (ko) * 2015-08-27 2017-03-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KR20180109361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네버톤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30128A (ko) 2017-09-13 2019-03-21 오승현 방수용 에폭시수지 조성물
KR101977057B1 (ko) 2018-08-14 2019-05-10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고내구성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에폭시계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공법
KR102026284B1 (ko) * 2019-02-14 2019-09-30 (주)알씨에스코리아 콘크리트 보수용 폴리머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2493483B1 (ko) 2021-12-31 2023-01-31 조영수 방수시공장치를 이용하여 방수시공하는 복합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743B1 (ko) 방수층 또는 마감재의 보호구조 및 그 방법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20130055570A (ko) 맞춤형 재료를 이용하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
JP2012207519A (ja) 補強材及び補強構造
CN110055892A (zh) 一种钢混组合梁桥面铺装结构及施工方法
CA1218551A (en) Prefabricated pavement module
KR101778261B1 (ko) 건축물의 복합 방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90713B1 (ko) 콘크리트바닥의 방수층 시공방법
US5848504A (en) Industrial floor comprising a non-adhering wear layer on a concrete base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1780988B1 (ko)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EP1623080B1 (en) Sandwich plate-like construction
KR101255493B1 (ko) 코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공법
KR101259097B1 (ko) 이어치기 공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US20170058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construction joint spaces
CN104074114A (zh) 复合材料立体蜂窝增强混凝土制品及其制备方法
EP2868843B2 (en) Baseboard post guard
KR101936592B1 (ko) 구조물의 바닥 시공방법
JP2005171730A (ja) 床版舗装の防水構造
KR101877779B1 (ko) 펜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21495A (ko) 건축용 시멘트계 복합재료
KR20180136227A (ko) 층간 소음완충구조 및 시공방법
KR20200076630A (ko) 반응형 라텍스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층간진동소음 완충용 단면복합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