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508B1 -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508B1
KR102590508B1 KR1020220101832A KR20220101832A KR102590508B1 KR 102590508 B1 KR102590508 B1 KR 102590508B1 KR 1020220101832 A KR1020220101832 A KR 1020220101832A KR 20220101832 A KR20220101832 A KR 20220101832A KR 102590508 B1 KR102590508 B1 KR 10259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material
air
cargo hold
pressure
reac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송인호
백영흠
김두일
조영호
백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검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검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검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0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05B7/12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pneumat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벌크 타입으로서 교반 기능을 가지는 검지재 도포 장치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LNG운반선 화물창에 대한 가스 누설 검사시 주입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반응 검지재 분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반응 검지재의 도포에 있어 균일한 도막을 형성시켜 검사 표면에 대한 누설 유무와 누설 위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종래와 같이 용기내 잔존 가스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반응 검지재 적용에 있어 도포 시간을 절약하며, 도포 작업시 많은 인원이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면서 인력 동원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Description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Reactive sensing member adhesive coating device of cargo hold for LNG carrier}
본 발명은 LNG운반선 화물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NG운반선 화물창에 대한 가스 누설 검사시 주입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반응 검지재를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운반선은 LNG가스를 실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상기 LNG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LNG가스의 포함한다.극저온을 견딜 수 있는 화물창을
상기 화물창은 대기압하에서 비등점이 영하 162도의 초저온인 LNG가스를 저장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잠입 열량에 의한 기화가스의 발생을 최소로 하기 위한 다중 구조의 단열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LNG운반선의 안전을 위해 LNG가스의 누설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상기 LNG가스의 누설검사는 선박을 건조한 뒤에 화물창에 LNG가스를 채우지 않은 상태에서 암모니아 가스를 화물창내에 주입하여 채운 상태에서, 화물창 내부로 검사원이 들어가서 상기 화물창 내부에 설치된 족장을 밟고 올라가서 검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화물창내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한 이후에 암모니아 가스와 반응하는 반응 검지재(예; 페인트)를 화물창내 검사 표면(예; 용접부위)에 도포하거나, 또는 반응 검지재를 화물창내 검사 표면에 도포한 이후에 상기 화물창 내부로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다중 구조를 이루는 화물창내에서의 누설 유무와 누설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화물창내 검사표면에 도포되는 반응 검지재는 휘발성 용제중에 분말이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420㎖ 용량으로 에어로젤(aerosol) 타입의 용기에 충진되면서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하나의 용기에서 분사되는 반응 검지재가 5㎡로 도포되는 등 그 도포 면적이 작고, 특히 반응 검지재는 우선적으로 용기를 흔들어 그 내부 교반 구슬로 수동 교반시켜야만 균일하게 공중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즉각적인 사용에 제약이 따랐다.
또한, 종래의 반응 검시재 분사용 용기는 사용 후 용기속 잔존가스를 제거 후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잔존 가스의 양에 따라 분출량이 일정하지 않아 반응 검지재의 도포에 있어서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힘들며, 반응 검지재 적용에 있어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많은 인원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19043호(공고일 2011.03.07.)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3005호(공개일 2015.11.27.)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9156호(공개일 2021.05.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벌크 타입(Bulk Type)으로서 교반 기능을 가지는 도포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LNG운반선 화물창에 대한 가스 누설 검사시 주입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반응 검지재를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는, LNG운반선의 화물창 내부로 투입되는 것으로, 스프레이 건이 연결되면서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건 연결구와 에어 공급기가 연결되면서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 연결구를 가지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내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 건으로 압송되는 반응 검지재가 충진되어진 검지재 저장부; 상기 검지재 저장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에어 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 검지재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및, 상기 에어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에어 공급기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으면서 상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는 상기 반응 검지재와 상기 에어를 상기 스프레이 건으로 압송시키는 압송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부는 이동형 바퀴를 가지는 것으로 개구된 상부에 회전형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함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형 덮개에는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 연결구는, 상기 검지재 저장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반응 검지재를 제공받는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상기 압송부재와 연결되면서 에어를 제공받는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제 3 및 제 4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건은 복수의 제 1 및 제 2 스프레이 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스프레이 건에는 세트화된 상기 제 1 및 제 3 연결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프레이 건에는 세트화된 상기 제 2 및 제 4 연결구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지재 저장부는, 소정량의 반응 검지재가 저장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며 상기 교반기가 수용되는 검지재 탱크; 및, 상기 검지재 탱크의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검지재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재 덮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분기된 호스로 연결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에 저장된 상기 반응 검지재를 출수시키는 검지재 출수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지재 출수단에는 상기 검지재 탱크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검지재 출수단으로 반응 검지재를 출수시키는 압송 스트로우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기는, 상기 검지재 덮개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송부재와 호스로 연결되는 교반 연결구를 가지는 교반 케이스; 상기 교반 연결구에 형성되고, 상기 교반 연결구를 통해 상기 교반 케이스의 내부로 에어 공급시 그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 1 조절레버; 상기 교반 케이스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절레버에 의해 유입량이 조절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로드; 및,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날개;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송부재는, 상기 함체부의 내부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 연결구와 입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공급기로부터 에어 공급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필터; 상기 검지재 덮개의 일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수분필터의 출수단과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수분필터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에어를 상기 검지재 탱크와 호스로 연결되는 상기 교반 케이스로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드부; 및, 상기 에어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검지재 탱크로 가이드되는 에어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압력게이지와 회전형의 제 2 조절레버를 가지는 에어 압력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분필터의 출수단에는 분기관체가 연결되면서, 상기 분기관체에는 호스를 통해 상기 에어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가 분기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 케이스에는 소음 저감용 소음기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지재 덮개에는 상기 검지재 탱크내의 압력 제거, 그리고 상기 검지재 탱크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을 때 개방되는 안전변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지재 탱크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되는 복수의 가압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검지재 덮개에는 복수의 걸림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가압 체결구가 상기 걸림홀에 걸림되어 가압 체결시 밀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벌크 타입으로서 교반 기능을 가지는 검지재 도포 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LNG운반선 화물창에 대한 가스 누설 검사시 주입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반응 검지재 분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반응 검지재의 도포에 있어 균일한 도막을 형성시켜 검사 표면에 대한 누설 유무와 누설 위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종래와 같이 용기내 잔존 가스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반응 검지재 적용에 있어 도포 시간을 절약하며, 도포 작업시 많은 인원이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면서 인력 동원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함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의 함체 내부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지재 저장부를 확대한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지재 저장부에 대한 측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에 에어 공급기와 스프레이 건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의 구조를 보인 함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의 함체 내부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지재 저장부를 확대한 평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검지재 저장부에 대한 측단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에 에어 공급기와 스프레이 건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는 다중 구조의 단열 구조물로 이루어진 화물창내의 누설 유무와 누설 위치를 확인하도록 건조된 LNG운반선의 화물창내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한 후 상기 암모니아 가스와 반응하는 반응 검지재를 화물창내 검사 표면(예; 용접부위)으로 도포하는 것으로, 함체부(10)에 검지재 저장부(20), 교반기(30), 압송부재(40)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함체부(10)는 상기 LNG운반선의 화물창 내부로 투입되는 것으로, 스프레이 건(100, 100')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 연결구(11)와 에어 공급기(예; 에어 압축장치)(200)가 연결되는 단수의 에어 연결구(12)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함체부(10)는 상기 화물창 내부에서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이동형 바퀴(13)를 가지는 것으로 개구된 상부에 회전형 덮개(1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함체부(10)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형 덮개(14)에는 각각 손잡이(15)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건 연결구(11)는 제 1 내지 제 4 연결구(11a, 11b, 11c, 11d)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11a, 11b)는 상기 검지재 저장부(2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검지재 출수단(22a)과 연결되면서 반응 검지재를 제공받는 것으로 개폐밸브(V1, V2)에 의해 각각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11c, 11d)는 상기 압송부재(4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분기관체(41a)와 연결되면서 에어를 제공받으며 이 또한 개폐밸브(V3, V4)에 의해 각각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레이 건(100, 100')은 복수로서 제 1 스프레이 건(100)과 제 2 스프레이 건(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스프레이 건(100)에는 세트화된 상기 제 1 및 제 3 연결구(11a, 11c)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스프레이 건(100')에는 세트화된 상기 제 2 및 제 4 연결구(11b, 11d)가 연결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레이 건(100, 100')은 각각 에어의 공급 압력 및 상기 검지재 출수단(22a)의 출수 압력에 따라 반응 검지재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공급기(200)가 연결되는 상기 에어 연결구(12)는 개폐밸브(V5)에 의해 에어 공급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압송부재(4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V1, V2, V3, V4, V5)는 각각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밸브일 수 있지만, 제어패널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전자밸브일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검지재 저장부(20)는 상기 함체부(10)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레이 건(100 및/또는 100')으로 압송되는 일정량의 반응 검지재가 충진되며, 이는 검지재 탱크(21)와 검지재 덮개(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검지재 탱크(21)는 소정량의 반응 검지재(예; 페인트)가 저장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며 상기 교반기(3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교반날개(35)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검지재 덮개(22)는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것으로, 상기 검지재 덮개(22)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11a, 11b)와 분기된 호스(H1)로 연결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21)에 저장된 상기 반응 검지재를 출수시키는 검지재 출수단(22a)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검지재 출수단(22a)에는 압송 스트로우(22b)가 연결되며, 상기 압송 스트로우(22b)는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에어 압력에 따라 상기 검지재 출수단(22a)으로 반응 검지재를 출수시키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검지재 탱크(21)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되는 복수의 가압 체결구(71)가 형성되고, 상기 검지재 덮개(22)에는 복수의 걸림홀(72)이 형성되면서, 상기 가압 체결구(71)가 상기 걸림홀(72)에 걸림되어 가압 체결시 밀폐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검지재 탱크(21)로부터 상기 검지재 덮개(22)가 분리되면,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반응 검지재의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반응 검지재의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검지재 덮개(22)를 통해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검지재 탱크(21)에 형성되는 가압 체결구(71)를 회전시켜, 상기 가압 체결구(71)를 상기 검지재 덮개(22)에 형성되는 걸림홀(72)에 걸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 체결구(71)의 조임 작업이 이루어지면, 상기 검지재 덮개(22)는 상기 가압 체결구(71)의 조임 작업에 따라 상기 검지재 탱크(21)로 밀착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개구부가 밀폐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검지재 덮개(22)의 일면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개구된 가장자리면에 밀착되는 실링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80)가 형성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21)로부터 상기 검지재 덮개(22)는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교반기(30)는 상기 검지재 저장부(20)에 형성되면서 상기 반응 검지재를 분산시키도록 교반 동작하는 것으로, 교반 케이스(31), 제 1 조절레버(32), 회전체(33), 회전로드(34), 교반날개(35)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 케이스(31)는 상기 검지재 덮개(22)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송부재(40)와 호스(H1)로 연결되는 교반 연결구(31a)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 1 조절레버(32)는 상기 교반 연결구(31a)에 형성되면서, 상기 교반 연결구(31a)를 통해 상기 교반 케이스(31)의 내부로 에어 공급시 그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33)는 상기 교반 케이스(31)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조절레버(32)에 의해 유입량이 조절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이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에어의 부딪힘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 플레이트가 상기 회전로드(34)의 일단에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구조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로드(34)는 상기 회전체(33)로부터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개(35)는 상기 회전로드(34)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체(33)의 회전에 따라 연동 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21)내의 반응 검지재가 뭉치지 않도록 교반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검지재 탱크(21)내의 에어 압력으로부터 상기 압송 스트로우(22b)를 통해 상기 검지재 출수단(22a)으로 상기 반응 검지재의 출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송부재(40)는 상기 건 연결구(11)와 상기 에어 연결구(12) 및 상기 검지재 저장부(20), 그리고 상기 교반 케이스(31)와 각각 호스(H1)로 연결되면서 상기 에어 공급기(200)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 및 그 공급 압력과 공급량을 이용하여, 상기 교반기(30)에 의해 교반되는 상기 반응 검지재와 상기 에어를 상기 스프레이 건(100 및/또는 100')으로 압송시키는 것으로, 수분필터(41), 에어 가이드부(42), 에어 압력 조절부(4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분필터(41)는 상기 함체부(10)의 내부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 연결구(12)에 연결되는 개폐밸브(V5)와 입수단이 호스(H1)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 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분필터(41)의 출수단에는 분기관체(41a)가 연결되면서, 상기 분기관체(41a)에는 호스(H1)를 통해 상기 에어 가이드부(42), 그리고 상기 제 1 스프레이 건(100)과 연결되는 제 3 연결구(11c), 상기 제 2 스프레이 건(100')과 연결되는 제 4 연결구(11d)가 분기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 가이드부(42)는 상기 검지재 덮개(22)의 일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수분필터(41)의 출수단과 분기된 호스(H1)로 입수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검지재 탱크(21)와 상기 교반 케이스(31)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 압력 조절부(43)는 상기 에어 가이드부(42)에 분기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 가이드부(42)에 의해 상기 검지재 탱크(21)로 가이드되는 에어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에어 가이드부(42)에 연결되는 압력 게이지(43a), 그리고 상기 압력 게이지(43a)의 압력을 수동 설정하는 회전형의 제 2 조절레버(43b)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지재 도포장치에 있어, 상기 교반기(30)에 포함되는 상기 교반 케이스(31)에는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내부로 유입량이 조절되는 에어 공급으로 상기 교반기(30)의 교반 동작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기(5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검지재 덮개(22)에는 상기 검지재 탱크(21)내의 압력 제거, 그리고 상기 검지재 탱크(21)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을 때 개방되는 안전변(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화물창내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한 이후에 암모니아 가스와 반응하는 반응 검지재(예; 페인트)를 화물창내 검사 표면(예; 용접부위)에 도포, 또는 상기 반응 검지재를 화물창내 검사 표면에 도포한 이후에 상기 화물창 내부로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여 누설 유무와 누설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우선 함체부(10)내의 검지재 저장부(20)에 포함되는 검지재 탱크(21)에 일정량의 반응 검지재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상기 함체부(10)를 암모니아 가스가 주입된 다중 구조의 단열 구조물로 이루어진 화물창 내에 투입한다.
이후, 상기 함체부(10)에 형성되는 건 연결구(11)인 제 1 및 제 3 연결구(11a, 11c) 및/또는 제 2 및 제 4 연결구(11b, 11d)에 제 1 스프레이 건(100) 및/또는 제 2 스프레이 건(100')을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함체부(10)에 형성되는 에어 연결구(12)에는 에어 공급기(200)를 호스 등을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연결구(11a, 11b, 11c, 11d)에 형성되는 개페밸브(V1, V2, V3, V4), 그리고 상기 에어 연결구(12)에 형성되는 개폐밸브(V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에어 공급기(200)를 통해 상기 에어 연결구(12)로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에어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에어 연결구(12)로 공급되는 에어는 압송부재(40)에 포함되는 수분필터(41)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수분이 제거된 에어는 분기관체(41a)를 통해 각각 분기되면서 상기 압송부재(40)에 포함되는 에어 가이드부(42), 그리고 상기 제 1 스프레이 건(100) 및/또는 제 2 스프레이 건(100')이 연결되는 제 3 및 제 4 연결구(11c, 11d)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 가이드부(42)에는 에어 압력 조절부(43)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 압력 조절부(43)를 통해 에어의 공급 압력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 조절되면서, 상기 에어 가이드부(42)는 상기 검지재 탱크(21)의 내부로 압력이 조절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부(42)에는 호스(H1)를 통해 교반 케이스(31)가 연결되므로, 상기 에어 가이드부(42)에 의해 가이드되는 에어는 제 1 조절레버(32)의 조절에 따라 공급량이 조절되면서 상기 교반 케이스(31)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상기 교반 케이스(31)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체(33)가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21)내의 반응 검지재는 상기 회전체(33)와 연동회전하는 교반날개(35)에 의해 교반되면서 상기 반응 검지재는 뭉침 현상없이 상기 검지재 덮개(22)에 형성되는 검지재 출수단(22a)을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그 출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반응 검지재는 상기 교반날개(35)에 의해 교반되어 뭉침 현상이 방지된 상태에서, 입수되는 에어 압력에 따라 상기 검지재 출수단(22a)을 통해 출수되고 그 출수는 제 1 연결구(11a) 및/또는 제 2 연결구(11b)를 통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 스프레이 건(100) 및/또는 제 2 스프레이 건(100')을 통해 작업자는 암모니아 가스와 반응하는 상기 반응 검지재를 화물창내 검사 표면(예; 용접부위)에 균일하게 도포하면서, 상기 검사 표면에 대한 누설 유무와 누설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지재 도포장치는 벌크 타입으로서 반응 검지재를 교반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LNG운반선 화물창에 대한 가스 누설 검사시 함체부(10)를 이동시키면서 주입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반응 검지재 분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반응 검지재의 도포에 있어 균일한 도막을 형성시키면서 검사 표면에 대한 누설 유무와 누설 위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반응 검지재의 도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함체부 11; 건 연결구
11a, 11b, 11c, 11d; 연결구 12; 에어 연결구
13; 이동형 바퀴 14; 회전형 덮개
15; 손잡이 20; 검지재 저장부
21; 검지재 탱크 22; 검지재 덮개
22a; 검지재 출수단 22b; 압송 스트로우
30; 교반기 31; 교반 케이스
31a; 교반 연결구 32; 제 1 조절레버
33; 회전체 34; 회전로드
35; 교반날개 40; 압송부재
41; 수분필터 41a; 분기관체
42; 에어 가이드부 43; 에어 압력 조절부
43a; 압력 게이지 43b; 제 2 조절레버
50; 소음기 60; 안전변
71; 가압 체결구 72; 걸림홀
80; 손잡이 100, 100'; 스프레이 건
200; 에어 공급기 H1; 호스
V1, V2, V3, V4, V5; 개폐밸브

Claims (12)

  1. LNG운반선의 화물창 내부로 투입되는 것으로 스프레이 건이 연결되면서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건 연결구와 에어 공급기가 연결되면서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 연결구를 가지는 함체부; 상기 함체부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레이 건으로 압송되어 화물창내의 검사표면에 도포되면서 상기 화물창내에 주입되는 암모니아 가스와 반응하여 상기 화물창내 검사표면에서의 가스 누설유무와 누설위치를 확인하는 반응 검지재가 충진되어진 검지재 저장부; 상기 검지재 저장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에어 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화물창내 검사표면에서의 가스 누설유무와 누설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반응 검지재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및, 상기 에어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에어 공급기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으면서 상기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는 상기 화물창내 검사표면에서의 가스 누설유무와 누설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반응 검지재와 상기 에어를 상기 스프레이 건으로 압송시키는 압송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건 연결구는 상기 검지재 저장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화물창내 검사표면에서의 가스 누설유무와 누설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반응 검지재를 제공받는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상기 압송부재와 연결되면서 에어를 제공받는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제 3 및 제 4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 건은 복수의 제 1 및 제 2 스프레이 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스프레이 건에는 세트화된 상기 제 1 및 제 3 연결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프레이 건에는 세트화된 상기 제 2 및 제 4 연결구가 연결되며,
    상기 검지재 저장부는, 소정량으로서 상기 화물창내 검사표면에서의 가스 누설유무와 누설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반응 검지재가 저장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면서 상기 교반기가 수용되는 검지재 탱크; 및, 상기 검지재 탱크의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검지재 덮개; 를 포함하면서, 상기 검지재 덮개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구와 분기된 호스로 연결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에 저장된 상기 화물창내 검사표면에서의 가스 누설유무와 누설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반응 검지재를 출수시키는 검지재 출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검지재 탱크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되는 복수의 가압 체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검지재 덮개에는 복수의 걸림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압 체결구가 상기 걸림홀에 걸림되어 가압 체결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는 이동형 바퀴를 가지는 것으로 개구된 상부에 회전형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함체부의 외주면과 상기 회전형 덮개에는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재 출수단에는 상기 검지재 탱크의 내부로 투입되면서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검지재 출수단으로 반응 검지재를 출수시키는 압송 스트로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검지재 덮개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송부재와 호스로 연결되는 교반 연결구를 가지는 교반 케이스;
    상기 교반 연결구에 형성되고, 상기 교반 연결구를 통해 상기 교반 케이스의 내부로 에어 공급시 그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 1 조절레버;
    상기 교반 케이스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절레버에 의해 유입량이 조절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의 내부로 연장되는 회전로드; 및,
    상기 회전로드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검지재 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부재는,
    상기 함체부의 내부 일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 연결구와 입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에어 공급기로부터 에어 공급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필터;
    상기 검지재 덮개의 일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수분필터의 출수단과 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수분필터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에어를 상기 검지재 탱크와 호스로 연결되는 상기 교반 케이스로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드부; 및,
    상기 에어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검지재 탱크로 가이드되는 에어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압력게이지와 회전형의 제 2 조절레버를 가지는 에어 압력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필터의 출수단에는 분기관체가 연결되면서, 상기 분기관체에는 호스를 통해 상기 에어 가이드부, 그리고 상기 제 3 및 제 4 연결구가 분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케이스에는 소음 저감용 소음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재 덮개에는 상기 검지재 탱크내의 압력 제거, 그리고 상기 검지재 탱크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을 때 개방되는 안전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12. 삭제
KR1020220101832A 2022-08-16 2022-08-16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KR10259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32A KR102590508B1 (ko) 2022-08-16 2022-08-16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832A KR102590508B1 (ko) 2022-08-16 2022-08-16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508B1 true KR102590508B1 (ko) 2023-10-19

Family

ID=8850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832A KR102590508B1 (ko) 2022-08-16 2022-08-16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50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597U (ko) * 1998-07-09 2000-02-07 김형벽 고형물이 혼합된 도료의 분사장치
KR20090012162U (ko) * 2008-05-26 2009-12-01 배영태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KR101019043B1 (ko) 2008-11-17 2011-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의 기밀 검사방법
KR20110034412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페인트 저장장치
KR20110108629A (ko) * 2010-03-29 2011-10-06 (주)보다엔시스 내압식 노면표시 시공장치
KR20150133005A (ko) 2014-05-19 2015-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어바운서와 가스반응물질을 이용한 lng 화물창 가스누출 검사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lng 운반선 또는 lng 해양 플랫폼
KR20170097436A (ko) * 2016-02-18 2017-08-28 하은정 내화도료 코팅을 적용한 lpg 탱크용 보온층 시공 방법
KR20210059156A (ko) 2019-11-14 2021-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lng화물창 테스트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597U (ko) * 1998-07-09 2000-02-07 김형벽 고형물이 혼합된 도료의 분사장치
KR20090012162U (ko) * 2008-05-26 2009-12-01 배영태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KR101019043B1 (ko) 2008-11-17 2011-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의 기밀 검사방법
KR20110034412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페인트 저장장치
KR20110108629A (ko) * 2010-03-29 2011-10-06 (주)보다엔시스 내압식 노면표시 시공장치
KR20150133005A (ko) 2014-05-19 2015-1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어바운서와 가스반응물질을 이용한 lng 화물창 가스누출 검사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lng 운반선 또는 lng 해양 플랫폼
KR20170097436A (ko) * 2016-02-18 2017-08-28 하은정 내화도료 코팅을 적용한 lpg 탱크용 보온층 시공 방법
KR20210059156A (ko) 2019-11-14 2021-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lng화물창 테스트방법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6087A (en) Closed mixing system for tending agricultural sprayers
US4045004A (en) Chemical mixing and pumping apparatus
CN101316773B (zh) 集装箱、熏蒸组件、抽气组件、熏蒸材料的方法、以及气体清除方法
CA2554317C (en) Bulk transport system
US4320788A (en) Apparatus for the bulk delivery of volatile liquids
KR102590508B1 (ko) Lng운반선 화물창의 반응 검지재 도포장치
US10526134B2 (en) Textile silica reduction system
RU2188785C1 (ru) Мяг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насыпных грузов
US4022935A (en) Method of spraying sealing composition to interior walls of storage tank
CA2328972C (en) Method and high-capacity apparatus for producing fire fighting foam and foam expanding spreading device
WO2015197455A1 (de) Vorrichtung zur reduzierung der gefahren bei der freisetzung von brennbaren gasen und leicht entzündlichen dämpfen
EP22453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a conduit
JPH0813230B2 (ja) コンテナ用くん蒸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577619B1 (ko) Lng운반선 화물창의 추적가스 공급시스템
CN108026909A (zh) 用以将空容器更换成满容器的化学转换系统
KR102368699B1 (ko) 조선소 선박 에어시스템의 배관 압력 테스트 시 배관의 녹 방지용 방청제 공급 유니트
CA2056792C (en) Valve opening device
KR0133497Y1 (ko) 자동차의 누수 시험장치
US65617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andfills
RU22355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и рассеивания специ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3031852U (ja) 薬剤噴霧塗布装置
SU9446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смешивани и выдачи под давлением жидкост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красок
JP2002068400A (ja) 給液装置
JPH05332899A (ja) 粉体試料用超臨界ガス抽出装置
JPH08313402A (ja) 液化ガス充填容器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