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34B1 -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34B1
KR102590334B1 KR1020230088179A KR20230088179A KR102590334B1 KR 102590334 B1 KR102590334 B1 KR 102590334B1 KR 1020230088179 A KR1020230088179 A KR 1020230088179A KR 20230088179 A KR20230088179 A KR 20230088179A KR 102590334 B1 KR102590334 B1 KR 10259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ice
crushed ice
degree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도
Original Assignee
김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도 filed Critical 김만도
Priority to KR102023008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4Apparatus for shaping or finishing ice pieces, e.g. ice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얼음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의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분쇄된 얼음을 60도 각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수용한 후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형의 압축 얼음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대량의 압축 얼음을 신속하게 제공하도록 하며, 특히 턴테이블이 60도 간격으로 정확히 회전시켜 분쇄얼음의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은, 받침대와, 그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그 턴테이블을 58도~59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회전하는 턴테이블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을 1도~2도 더 회전시켜 60도 회전을 완료하는 위치조절수단과, 회전을 완료한 턴테이블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에 분쇄얼음을 투입하는 호퍼와, 그 투입된 분쇄얼음을 고형의 압축 얼음으로 압축하는 프레스와, 그 고형으로 압축된 얼음을 배출하는 푸셔와, 상기 턴테이블 및 분쇄얼음을 압축 및 배출하는 일련의 작동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Crushing ice compressor and compression 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쇄얼음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턴테이블로 이송된 분쇄얼음을 회전하는 턴테이블에서 소정의 크기로 압축시켜 고형의 압축 얼음으로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압축된 얼음을 아이스팩 채워 밀봉하여,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물품포장에 사용하도록 공급되는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배달하기 위해서는 포장 내부 온도를 낮춰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식품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방식으로는 대체로 파우치에 얼음이나 냉매가 채워진 아이스팩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냉매는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성분과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냉매는 어느 점을 -10도 가량으로 낮춰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고흡수성 폴리머는 물과 우수한 반응으로 유해한 물질로 변환되는 문제점으로 있고, 이러한 유해성을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아이스팩은 별도로 모아 폐기하고 있어 처리하는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얼음을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즉, 얼음이 채워진 아이스패의 사용 완료 후, 파우치를 뜯어 물을 배수시켜 용이하게 폐기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제공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 제2018-0853425호(명칭: 아이스팩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정수기를 통해 정수조로 공급한 음용물을 펌프를 통해 공급관을 통해 롤포장기의 상부에 마련한 저수조로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롤포장기의 파우치롤을 통해 공급되는 아이스팩의 내부로 저수조의 공급호스를 통해 음용물을 내부에 공급하도록 하도록 구성된다.
즉, 선행기술은 구획된 파우치롤에 정수된 물을 채운 후, 절단 밀봉하여 아이스팩으로 제공되고, 이렇게 제공된 선행기술의 아이스팩을 냉각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아이스팩은 냉각되지 않은 정수물로 제공되기 때문에 바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그러함으로써 아이스팩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동장치를 운용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선행기술의 아이스팩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구획된 파우치롤이 순차적으로 풀리고, 그 풀어진 파우치에 각각 정수물을 단계별로 채운 후, 밀봉해야 하는 이유로 생산속도의 저하로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물의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분쇄된 얼음을 60도 각도로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수용한 후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형의 압축 얼음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대량의 압축 얼음을 신속하게 제공하도록 하며, 특히 턴테이블이 60도 간격으로 정확히 회전시켜 분쇄얼음의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원반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축구멍에서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출구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상면에 안착 되도록 원반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방사상에 60도 간격으로 각각 관통되어 분쇄얼음이 투입되는 압축챔버가 형성된 턴테이블와,상기 회전축을 신축작동으로 밀어 상기 턴테이블을 58도~59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와, 상기 회전수단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을 감속시키는 한편, 상기 턴테이블이 58도~59도 회전되면 정지시키는 제동수단와, 상기 제동수단으로 58도~59도 회전된 턴테이블을 저속으로 1도~2도 회전시켜 압축챔버가 60도의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수단와, 상기 위치조절수단으로 정위치에 배치되는 턴테이블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어, 상기 턴테이블이 60도로 회전 배치되는 압축챔버에 공급스크루를 통해 이송된 분쇄얼음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어, 상기 호퍼를 통해 분쇄얼음이 투입된 압축챔버가 턴테이블의 회전으로 배치되면 압축실린더의 승강작동으로 분쇄얼음을 고형으로 압축하는 프레스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받침대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60도 회전으로 압축챔버 내부에 수용된 압축된 얼음을 배출실린더의 승강작동으로 밀어서 배출구로 배출하는 푸셔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 조절 및 분쇄얼음을 고형으로 압축하는 일련의 작동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챔버는, 고형으로 압축되는 얼음의 크기에 따라서 단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를 격벽으로 분할하여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챔버의 형성된 개수에 맞춰 프레스 및 푸셔도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회전수단은, 축구멍을 관통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베어링과,상기 클러치베어링과 수평으로 고정되는 밀대와, 상기 밀대의 일단과 신축되는 로드가 연결되어,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밀대가 회전하면 회전축이 클러치베어링에 걸려 58도~59도 회전하고, 로드가 후퇴하면 회전축과 해제된 클러치베어링과 밀대가 역회전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회전용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수단은, 턴테이블 상단에 형성된 상부플랜지 상면에 배치되고, 하면에 고정된 브레이크패드가 상기 상부플랜지 상면과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는 턴테이블의 속도를 찰력으로 감속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압착력을 조절하여 감속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가 설치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와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가 설치되는 일단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작동판이 형성되며, 상면에 고정된 브레이크패드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시 상부플랜지 하면을 압착하여 58도~59도 회전된 턴테이블을 정지시키는 회전몸체와, 상기 작동판과 신축되는 로드가 접촉되어, 로드가 전진하면 작동판이 하강하면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몸체가 회전하여 집게방식으로 턴테이블을 정지시키고, 로드가 헤재되면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제동용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턴테이블 하단에 형성된 하부플랜지 외주연에 60도 간격으로 형성된 정위치조절홈과, 상기 정위치조절홈으로 신축되는 로드가 전진해서 밀어내면 58도~59도 회전 후 정지된 상기 턴테이블을 1도~2도 더 회전시켜 압축챔버가 6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설치된 위치조절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턴테이블 외주연에 6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중공인 내주연은 경사진 테이퍼로 형성된 핀고정홈과, 상기 핀고정홈으로 신축되는 로드가 전진 삽입되어 턴테이블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용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호퍼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공급스크루에서 이송되는 분쇄얼음이 투입되고, 하부는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배치된 압착챔버로 분쇄얼음을 투입시키는 호퍼몸체와, 상기 호퍼몸체 내부에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호퍼몸체에 투입된 분쇄얼음을 압축챔버 내부로 투입시키는 임펠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몸체의 외주연 후방 중앙에 관통되어, 투입되는 분쇄얼음 중 압축에 필요한 적정량을 제외한 일부가 임펠러의 작동으로 후방에 배치된 압축챔버 방향으로 넘쳐 배출되도록 형성된 오버플로구멍과, 상기 오버플로구멍의 양측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압축챔버로 오버플로구멍으로 넘쳐 배출된 분쇄얼음이 벗어나지 않고 후방 압축챔버에 도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호퍼몸체 하단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턴테이블의 상면과의 마찰력을 줄이고, 호퍼몸체 내부에 투입된 분쇄얼음 및 외부로 넘친 분쇄얼음을 쓸듯이 밀어 압축챔버로 투입시키는 바닥스크레퍼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임펠러는, 호퍼몸체 내부로 진입한 압축챔버에 분쇄얼음을 휘저어 투입하도록 하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중앙에는 오버플러구멍으로 분쇄얼음의 일부를 퍼서 넘기도록 설치되는 스페이드와, 상부에는 호퍼몸체에 엉겨붙은 분쇄얼음을 긁어서 뜯어내는 내부스크레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 스페이드 및 내부스크레퍼의 선단은 호퍼몸체 내주연과 1mm~1.5m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간격 사이 호퍼몸체 내주연에 엉겨붙은 얼음은 호퍼몸체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압축된 얼음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a) 회전수단으로 압축챔버가 형성된 턴테이블을 58도~59도 회전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턴테이블이 58도~59도 회전 시 제동수단을 이용하여 정지시키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의 턴테이블을 위치조절수단으로 1도~2도 더 회전시켜 60도 정위치 회전을 완료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 완료와 동시에 턴테이블을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에 의해서 턴테이블이 60도 회전 후, 2~3초 정지시간을 두고 반복하여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f) 상기 d)단계를 완료한 상태에서 호퍼를 통해 분쇄얼음을 압축챔버에 투입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를 통해 분쇄얼음이 투입된 압축챔버가 턴테이블의 6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프레스에 도달하면 그 프레스가 하강하여 분쇄얼음을 고형되게 압축하는 단계와, h) 상기 g)단계 통해 압축된 고형의 얼음이 압축챔버가 턴테이블의 6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푸셔에 도달하면 그 푸셔가 하강하여 압축된 고형의 얼음을 배출구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된 얼음을 압축하여 고형의 압축 얼음으로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 정수를 냉각시키는 과정을 생략하여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제조된 얼음을 파우치에 넣어 아이스팩을 생산 후, 그 아이스팩을 바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빠르게 변질되어 신선도 유지를 요하는 어류 또는 육류 등의 식품포장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하는 턴테이블에 60도 간격을 두고 총 6개의 압축챔버를 형성함으로써, 고형의 압축 얼음을 신속히 제조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압축챔버를 단수 또는 격벽으로 나눠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단시간에 대량의 압축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턴테이블은 회전수단으로 회전시키면 그 원심력에 의해 60도 이상으로 벗어나게 되고, 그러함으로써 분쇄얼음 투입작업과 분쇄얼음 압축작업 및 배출작업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금속재질의 턴테이블을 제동수단과 위치조절수단 및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60도로 정확히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고형의 압축된 얼음의 불량을 완전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에 투입된 분쇄얼음의 압축되는 적정량 이상일 경우 이를 스페이드가 오버플러구멍으로 퍼서 넘겨 다음에 후방에 위치한 압축챔버로 투입시킴으로써, 분쇄얼음의 손실을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얼음 압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얼음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수단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수단을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 및 위치조절수단으로 턴테이블을 60도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호퍼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 및 턴테이블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얼음을 프레스로 압축 얼음을 제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얼음을 푸셔로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를 이용하여 압축 얼음을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기(10)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받침대(100)와, 그 받침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200)과, 그 턴테이블(200)을 58도~59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0)과, 회전하는 턴테이블(200)을 정지시키는 제동수단(400)과, 상기 턴테이블(200)을 1도~2도 더 회전시켜 60도 회전을 완료하는 위치조절수단(500)과, 회전을 완료한 턴테이블(2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600)과, 상기 턴테이블(200)에 분쇄얼음(30)을 투입하는 호퍼(700)와, 그 투입된 분쇄얼음(30)을 고형의 압축 얼음(40)으로 압축하는 프레스(800)와, 그 고형으로 압축된 얼음을 배출하는 푸셔(900)와, 상기 턴테이블(200) 및 분쇄얼음(30)을 압축 및 배출하는 일련의 작동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0)는, 후술할 턴테이블(200)이 안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축구멍(110)이 형성되며, 상기 축구멍(110)에서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고형으로 압축 얼음(40)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20)의 하면에는 압축 얼음(40)을 이송할 수 있도록 벨트컨베이어(121)가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200)은, 원반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되는 회전축(210)이 구비되어, 받침대(100)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하고, 상기 회전축(210)의 하단은 축구멍(11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200)에는 60도 간격으로 각각 관통되는 압축챔버(220)를 형성시켜, 후술할 호퍼(700)에서 공급된 분쇄얼음(30)이 회전에 의해 후술할 호퍼(700)로 순차적으로 진입하는 각각 압축챔버(220)에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턴테이블(200)을 관통하여 형성된 압축챔버(220)의 하부는 받침대(100) 상면에 의해 폐쇄되고, 단지 상기 턴테이블(200)의 회전으로 배출구(120)에 배치되었을 때에만 하부가 개방되는 것으로써, 그 개방된 상부로 투입된 분쇄얼음(30)이 빠져나가지 않고 압축챔버(220) 내부에서 수용된 상태로 턴테이블(200)과 함께 60도씩 회전하게 된다.
더불어, 60도 간격을 두고 총 6개로 형성된 압축챔버(220)의 형성 개수를 단수로 형성하거나 또는, 내부를 격벽(221)으로 분할하여 복수로 형성된다.
즉, 압축챔버(220)가 단수로 형성한 경우 총 6개의 압축 얼음(40)을 제조하게 되고, 또는 압축챔버(220)에 격벽(221)을 이용하여 4개로 분할하면 총 24개의 압축 얼음(4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압축챔버(220)의 내부 공간은 일정함으로써, 복수로 제조되는 압축 얼음(40)은 단수로 제조되는 압축 얼음(40)의 크기보다 비교적 작게 형성되고, 이렇게 제조되는 압축 얼음(40)의 크기는 사용되는 포장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200)의 원반의 외경을 받침대(100)의 원반 내경보다 비교적 작게형성시켜 분쇄얼음(30) 압축시 흘러내릴 수 있는 얼음물이 받침대(100)로 떨어져 받침대(100)에 형성된 배수구(130)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300)은, 첨부된 도면 도 3과 같이, 신축에 의한 전진 및 후진작동으로 턴테이블(200)을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축구멍(110)을 관통한 회전축(210)의 일단에 클러치베어링(310)이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고 역방향으로는 공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베어링(310)을 회전시키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밀대(320)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밀대(320)의 일단과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전,후진에 의해 밀대(320)를 밀거나 당기는 회전용실린더(33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용실린더(330)는 회전하는 원반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압실린더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용실린더(330)에서 출몰하는 로드의 거리는 상기 턴테이블(200)이 58도~59도 회전시킬 수 있는 거리로 신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용실린더(330)의 로드가 전진하면 밀대(320)가 회전하면서 베어링클러치를 회전시키고, 이렇게 베어링클러치가 회전하면 회전축(210)과 베어링클러치 내부에 장착된 롤러들이 맞물려 턴테이블(200)도 동시에 회전한다.
이렇게 상기 턴테이블(200)이 58도~59도 회전하면 회전용실린더(330)의 로드가 후퇴하면 밀대(320)와 클러치베어링(310)은 역회전으로 복귀하는데 이때, 상기 클러치베어링(310)은 역회전 시, 회전축(210)과 맞물렸던 롤러가 해제되면서 공회전하게 되어, 상기 턴테이블(200)은 역회전하지 않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동수단(400)은, 턴테이블(200)이 58도~59도로 회전하는 속도를 감속시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턴테이블(200)은 금속 원반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력이 전달되면 원심력에 의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분쇄얼음(30)을 압축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동수단(400)이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제동수단(400)은,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턴테이블(200) 상단의 외경을 비교적 크게 하여 형성되는 상부플랜지(230)를 집게방식으로 집거나 풀어 제동할 수 있도록 고정몸체(410)와 회전몸체(42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410)는 상부플랜지(230) 상면에 배치되고, 하면에는 브레이크패드(440)가 고정되어, 상기 상부플랜지(230) 상면과 지속적으로 마찰에 의해 턴테이블(200)의 속도가 감속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420)는 고정몸체(410)와 일단이 힌지축(430)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30)이 설치된 일단 외주연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작동판(421)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부플랜지(230) 하면을 압착하도록 브레이크패드(440)가 고정된다.
더불어, 신축되는 로드의 전진으로 상기 작동판(421)을 회전시켜 회전몸체(420)를 시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감속 회전하는 턴테이블(200)을 정지시키는 제동용실린더(45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단(300)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200)을 고정몸체(410)의 브레이크패드(440)가 상부플랜지(230)와 접촉되어 감속으로 회전하고, 상기 턴테이블(200)이 58도~59도 회전되면 제동용실린더(450)의 로드가 전진하여 작동판(421)을 누름과 동시에 회전몸체(420)가 시계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브레이크패드(440)가 상부플랜지(230)의 하면을 압착하여 턴테이블(2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동용실린더(450)의 로드가 후퇴하면 회전몸체(420)의 자중에 의해 벌어져 턴테이블(200)의 제동이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턴테이블(200)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고정몸체(410)의 브레이크패드(440)가 상부플랜지(230)와의 압착력에 따라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몸체(410)에 장력조절구(450)가 설치되고, 상기 장력조절구(450)는, 상기 고정몸체(410) 상면에 고정되는 볼트축(46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축(461) 상부에는 장력조절너트(462)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몸체(410) 상면과 장력조절너트(462)의 하면에는 장력스프링(463)이 설치되어, 상기 장력조절너트(462)를 조이면 장력스프링(463)이 압축되면서 고정몸체(410)를 하방향으로 밀어 브레이크패드(440)가 상부플랜지(230) 상면을 강하게 압착하여 턴테이블(200) 회전속도가 감속하고, 역으로 장력조절너트(462)를 풀면 장력스프링(463)의 압축력이 느슨해져 브레이크패드(440)의 압착력 저하로 턴테이블(200) 회전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수단(500)은, 첨부된 도면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제동수단(400)으로 58도~59도에 정지한 턴테이블(200)을 1도~2도 더 회전시켜 60도 정위치 회전을 완료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200) 하단의 외경을 비교적 크게 하여 형성되는 하부플랜지(240) 외주연에 압축챔버(220)의 위치와 동일한 60도 간격으로 정위치조절홈(5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위치조절홈(510)은 턴테이블(20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하부플랜지(240)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정위치조절홈(510)의 내부는 입구가 안쪽보다 비교적 넓게 형성된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후술할 위치조절용실린더(520)의 로드의 진출입에 간섭 없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위치조절홈(510)으로 전진하는 로드가 삽입되어 밀어 저속으로 1도~2도 더 회전시키는 위치조절용실린더(52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동수단(400)이 해제됨과 동시에 위치조절용실린더(520)의 로드가 전진하여 정위치조절홈(510)을 밀면 턴테이블(200)이 1도~2도 회전되어 턴테이블(200)이 60도 회전을 완료하게 된다. 이후, 후술할 고정수단(600)이 턴테이블(200)을 고정하면 위치조절용실린더(520)의 로드가 후진하고 이때, 비교적 입구가 넓은 위치조절홈에 의해 간섭없이 이탈하여 복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600)은, 첨부된 도면 도 10과 같이, 상기 위치조절수단(500)을 이용하여 60도 정위치로 회전한 턴테이블(200)을 고정하여 후술할 호퍼(700)와 프레스(800) 및 푸셔(900)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200)의 외주연에 60도 간격을 두고 핀고정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핀고정홈(610)은 중공인 내부가 좁아지게 경사진 테이퍼(611)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고정홈(610)으로 전진한 로드가 삽입되어 턴테이블(200)을 고정하는 고정용실린더(620)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용실린더(620)는 턴테이블(2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120도 간격을 두고 3방향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실린더(620)의 로드가 전진하면 핀고정홈(610)에 형성된 테이퍼(611)에 안내되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200)이 60도 회전이 완료되었다 하더라도 미세한 각도로 틀어질 수 있는데, 이를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고정용실린더(620)의 로드가 전진하면서 핀고정홈(610)의 테이퍼(611)를 밀어 턴테이블(200)을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그러함으로써, 고형의 압축 얼음(40)의 불량품 제조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호퍼(700)는, 첨부된 도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60도로 회전한 턴테이블(200)에 의해 정위치에 배치된 압축챔버(220)에 공급스크루(20)를 통해 이송된 분쇄얼음(30)을 투입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중공의 원기둥으로 형성된 호퍼몸체(710)가 턴테이블(200) 상부에 배치되도록 받침대(100)에 고정되어, 상부로 투입된 분쇄얼음(30)이 하부에 배치되는 압축챔버(220)로 얼음을 투입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퍼몸체(710)에는 투입된 분쇄얼음(30)이 엉기지 않도록 휘젓는 동시에 압축챔버(220)로 원활하게 투입하는 임펠러(720)가 모터(730)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호퍼몸체(710)의 외주연 후방 즉, 턴테이블(200)의 회전으로 호퍼몸체(710)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 압축챔버(220)와 대응하는 후방의 중앙에는 관통형성되는 오버플로구멍(740)이 형성되그, 상기 오버플로구멍(740)을 통해 투입된 일부 분쇄얼음(30)이 넘쳐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호퍼몸체(710) 중앙에 형성되는 오버플로구멍(740)에 의해 호퍼몸체(710)의 하부와 상부에는 각각 소정의 높이로 둘레면이 형성되어, 넘치지 않은 분쇄얼음(30)은 하부에 가둬 현재 배치된 압축챔버(220)에 투입되거나 또는 다음에 진입하는 압축챔버(220)로 투입된다.
또한, 상기 호퍼몸체(710)의 외주연에서 오버플로구멍(740)이 형성된 양측에 각각 후방에서 다음에 진입하게 되는 압축챔버(220)의 위치까지 세워진 가이드판(750)이 설치되어, 상기 오버플로구멍(740)으로 넘친 분쇄얼음(30)이 벗어나지 않고 다음 압축챔버(220)로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호퍼몸체(710)의 바닥에는 링형상으로 끼워 고정되는 바닥스크레퍼(760)가 구성되어, 상기 호퍼몸체(710)로 투입된 분쇄얼음(30)이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분쇄얼음(30)을 쓸듯이 밀어 호퍼몸체(710)로 진입한 압축챔버(220) 또는 다음에 진입할 후방 압축챔버(220)로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스크레퍼(760)는 회전하는 턴테이블(200) 상면과 접촉됨으로써, 마찰력을 줄여야 작동이 원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스크레퍼(760)는 밀착력은 높이고 마찰력 낮출 수 있는 MC나일론 또는 테프론 사용이 적합고, 특히 상기 MC나일론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완충력 및 부드럽고 미끄러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압축기(10) 사용에 적합하다.
더 나아가, 상기 임펠러(720)는 호퍼몸체(710)로 투입된 분쇄얼음(30)이 서로 엉기지 않게 하면서도 압축챔버(220)로 투입하는 한편, 투입하고 남은 잔량을 오버플로구멍(74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임펠러(720)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블레이드(721)가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되어, 호퍼몸체(710) 하부에 배치된 압축챔버(220)로 분쇄얼음(30)을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720)의 중앙 즉, 오버플로구멍(740)이 형성된 위치에는 퍼서 넘길 수 있는 스페이드(722)가 형성되어, 호퍼몸체(710)로 투입된 분쇄얼음(30)의 적정량을 제외한 잔량을 오퍼플로구멍을 통해 다음에 위치한 압축챔버(220)로 퍼서 넘기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임펠러(720)의 상부에는 호퍼몸체(710)로 투입된 분쇄얼음(30)이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휘젓는 내부스크레퍼(723)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스크루(20)로 공급된 분쇄얼음(30)이 지속적으로 투입되면 상기 임펠러(720)가 회전하면서 고형 압축 얼음(40)에 필요한 적정량을 블레이드(721)가 휘저어 호퍼몸체(710)로 진입한 압축챔버(220)로 투입하고, 적정량을 제외한 나머지 잔량의 분쇄얼음(30)은 스페이드(722)가 퍼서 오버플로구멍(740)을 통해 퍼서 넘기게 되며, 아울러 상기 내부스크레퍼(723)가 상부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된 분쇄얼음(30)이 엉겨 호퍼몸체(710)의 상부를 폐쇄되는 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721)와 스페이드(722) 및 내부스크레퍼(723)의 단부와 호퍼몸체(710)의 내주연은 1mm~1.5mm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렇게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 호퍼몸체(710)로 투입된 얼음은 임펠러(720)의 회전으로 호퍼몸체(710)의 내주연에 서로 엉겨붙어 얼음으로 코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호퍼몸체(710)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외부의 비교적 높은 온도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호퍼몸체(710)로 이동하여 투입된 분쇄얼음(30)이 녹을 수 있는데, 이를 상기 간격을 코팅한 얼음이 열을 차단함으로써, 호퍼몸체(710)의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코팅한 얼음 외면에 쌓인 분쇄얼음(30)은 동일 성질에 의해 금속에 쌓인 얼음보다 쉽게 긁어 뜯어낼 수 있는 작용효과도 있다.
상기 프레스(800)는, 첨부된 도면 도 13과 같이, 받침대(100)에 고정되어, 턴테이블(200)의 회전으로 분쇄얼음(30)이 투입된 압축챔버(220) 도달하면 압축실린더(810)의 작동으로 승강하면서 분쇄얼음(30)을 고압으로 압축시켜 고형의 얼음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프레스(800)는 세워진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챔버(220) 내부로 진입하여 분쇄얼음(30)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800)의 길이는 분쇄얼음(30)을 고형으로 압축되는 얼음 높이에 따라서 그 길이를 선택하여 조절된다.
상기 푸셔(900)는, 첨부된 도면 도 14와 같이, 배출구(120) 상부에 배치되도록 받침대(100)에 고정되어, 고형으로 압축된 얼음이 턴테이블(200)의 회전으로 배치되는 배출실린더(910)의 작동으로 하강하여 압축 얼음(40)을 밀어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셔(900)의 길이는 압축 얼음(40)이 압축챔버(220)와 받침대(100)를 벗어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고형의 압축 얼음(40)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이렇게 배출된 압축 얼음(40)은 벨트컨베이어(121)를 이용해 외부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호퍼(700)와 프레스(800) 및 푸셔(900)는 턴테이블(200)의 12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60도씩 회전하는 턴테이블(200)에 의해 압축챔버(220) 내부에 투입된 분쇄얼음(30) 또는 압축 얼음(40)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분쇄얼음(30)을 압축하는 압축기(1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공급스크루(20)와 호퍼(700)를 작동시켜 분쇄얼음(30)을 공급받고, 아울러 회전수단(300)과 제동수단(400)과 위치조절수단(500) 및 고정수단(600)을 감지센서로 제어하여 턴테이블(200)을 일방향으로 60도씩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압축기(10)는 첨부된 도면 도 15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고형의 압축 얼음(40)을 제조하게 된다.
a) 회전수단(300)으로 압축챔버(220)가 형성된 턴테이블(200)을 58도~59도 회전시키는 단계를 이룬다.
또한, b) 상기 턴테이블(200)이 58도~59도 회전 시 제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정지시키는 단계를 이룬다.
더불어 c) 상기 b)단계의 턴테이블(200)을 위치조절수단(500)으로 1도~2도 더 회전시켜 60도 정위치 회전을 완료하는 단계를 이룬다.
또한, d) 상기 c)단계 완료와 동시에 턴테이블(200)을 고정수단(600)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에 의해서 턴테이블(200)이 60도 회전 후, 2~3초 정지시간을 두고 반복하여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그 정지된 시간에는 후술할 호퍼(700)에 분쇄얼음(30)을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얼음(30)을 압축하는 단계 및 압축 얼음(40)을 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f) 상기 d)단계를 완료한 상태에서 호퍼(700)를 통해 분쇄얼음(30)을 압축챔버(220)에 투입하는 단계를 이룬다. 또한, g) 상기 f)단계를 통해 분쇄얼음(30)이 투입된 압축챔버(220)가 턴테이블(200)의 6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프레스(800)에 도달하면 그 프레스(800)가 하강하여 분쇄얼음(30)을 고형되게 압축하는 단계를 이룬다.
더불어, h) 상기 g)단계 통해 압축된 고형의 얼음이 압축챔버(220)가 턴테이블(200)의 6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푸셔(900)에 도달하면 그 푸셔(900)가 하강하여 압축된 고형의 얼음을 배출구(120)로 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분쇄얼음(30)을 고형의 압축 얼음(40)으로 제조하는 압축기(10)의 작동은 제어부(100)에 설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작동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분쇄얼음(30)을 턴테이블(200)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고형의 압축 얼음(40)으로 제조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200)을 60도 정위치에 배치하도록 회전시켜, 압축 얼음(40)의 불량을 억제 가능하며, 더불어 분쇄된 얼음을 원료로 압축시켜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바로 포장에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시간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분쇄얼음(30) 압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압축기: 10 공급스크루: 20
분쇄얼음: 30 압축 얼음: 40
받침대: 100 축구멍: 110
배출구: 120 벨트컨베이어: 121
배수구: 130 턴테이블: 200
회전축: 210 압축챔버: 220
격벽: 221 상부플랜지: 230
하부플랜지: 240 회전수단: 300
클러치베어링: 310 밀대: 320
회전용실린더: 330 제동수단: 400
고정몸체: 410 회전몸체: 420
작동판: 421 힌지축: 430
브레이크패드: 440 제동용실린더: 450
장력조절구: 460 볼트축: 461
장력조절너트: 462 장력스프링: 463
위치조절수단: 500 정위치조절홈: 510
위치조절용실린더: 520 고정수단: 600
핀고정홈: 610 테이퍼: 611
고정용실린더: 620 호퍼: 700
호퍼몸체: 710 임펠러: 720
블레이드: 721 스페이드: 722
내부스크레퍼: 723 모터: 730
오버플로구멍: 740 가이드판: 750
바닥스크레퍼: 760 프레스: 800
압축실린더: 810 푸셔: 900
배출실린더: 910 제어부: 1000

Claims (11)

  1. 원반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축구멍(110)이 형성되며, 상기 축구멍(110)에서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출구(120)가 형성된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에 상면에 안착 되도록 원반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된 회전축(210)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방사상에 60도 간격으로 각각 관통되어 분쇄얼음(30)이 투입되는 압축챔버(220)가 형성된 턴테이블(200);
    상기 회전축(210)을 신축작동으로 밀어 상기 턴테이블(200)을 58도~59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0);
    상기 회전수단(300)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200)을 감속시키는 한편, 상기 턴테이블(200)이 58도~59도 회전되면 정지시키는 제동수단(400);
    상기 제동수단(400)으로 58도~59도 회전된 턴테이블(200)을 저속으로 1도~2도 회전시켜 압축챔버(220)가 60도의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조절수단(500);
    상기 위치조절수단(500)으로 정위치에 배치되는 턴테이블(2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600);
    상기 받침대(100)에 고정되어, 상기 턴테이블(200)이 60도로 회전 배치되는 압축챔버(220)에 공급스크루(20)를 통해 이송된 분쇄얼음(30)을 투입하는 호퍼(700);
    상기 받침대(100)에 고정되어, 상기 호퍼(700)를 통해 분쇄얼음(30)이 투입된 압축챔버(220)가 턴테이블(200)의 회전으로 배치되면 압축실린더(810)의 승강작동으로 분쇄얼음(30)을 고형의 압축 얼음(40)으로 압축하는 프레스(800);
    상기 배출구(120)가 형성된 받침대(10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턴테이블(200)의 60도 회전으로 압축챔버(220) 내부에 수용된 압축 얼음(40)을 배출실린더(910)의 승강 작동으로 밀어서 배출구(120)로 배출하는 푸셔(900);
    상기 턴테이블(200)의 회전각도 조절 및 분쇄얼음(30)을 고형으로 압축하는 일련의 작동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000);를 포함하되,
    상기 호퍼(70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공급스크루(20)에서 이송되는 분쇄얼음(30)이 투입되고, 하부는 턴테이블(200)의 회전에 의해 배치된 압착챔버로 분쇄얼음(30)을 투입시키는 호퍼몸체(710)와,
    상기 호퍼몸체(710) 내부에 모터(73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호퍼몸체(710)에 투입된 분쇄얼음(30)을 압축챔버(220) 내부로 투입시키는 임펠러(7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챔버(220)는, 고형으로 압축되는 얼음의 크기에 따라서 단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내부를 격벽(221)으로 분할하여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챔버(220)의 형성된 개수에 맞춰 프레스(800) 및 푸셔(900)도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0)은, 축구멍(110)을 관통한 회전축(2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베어링(310)과,
    상기 클러치베어링(310)과 수평으로 고정되는 밀대(320)와,
    상기 밀대(320)의 일단과 신축되는 로드가 연결되어,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밀대(320)가 회전하면 회전축(210)이 클러치베어링(310)에 걸려 58도~59도 회전하고, 로드가 후퇴하면 회전축(210)과 해제된 클러치베어링(310)과 밀대(320)가 역회전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회전용실린더(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400)은, 턴테이블(200) 상단에 형성된 상부플랜지(230) 상면에 배치되고, 하면에 고정된 브레이크패드(440)가 상기 상부플랜지(230) 상면과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는 턴테이블(200)의 속도를 찰력으로 감속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440)의 압착력을 조절하여 감속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450)가 설치된 고정몸체(410)와,
    상기 고정몸체(410)와 힌지축(430)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430)이 설치되는 일단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작동판(421)이 형성되며, 상면에 고정된 브레이크패드(440)는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회전 시 상부플랜지(230) 하면을 압착하여 58도~59도 회전된 턴테이블(200)을 정지시키는 회전몸체(420)와,
    상기 작동판(421)과 신축되는 로드가 접촉되어, 로드가 전진하면 작동판(421)이 하강하면서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몸체(420)가 회전하여 집게방식으로 턴테이블(200)을 정지시키고, 로드가 헤재되면 턴테이블(200)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 제동용실린더(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500)은, 턴테이블(200) 하단에 형성된 하부플랜지(240) 외주연에 60도 간격으로 형성된 정위치조절홈(510)과,
    상기 정위치조절홈(510)으로 신축되는 로드가 전진해서 밀어내면 58도~59도 회전 후 정지된 상기 턴테이블(200)을 1도~2도 더 회전시켜 압축챔버(220)가 6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설치된 위치조절용실린더(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00)은, 턴테이블(200) 외주연에 6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중공인 내주연은 경사진 테이퍼(611)로 형성된 핀고정홈(610)과,
    상기 핀고정홈(610)으로 신축되는 로드가 전진 삽입되어 턴테이블(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용실린더(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몸체(710)의 외주연 후방 중앙에 관통되어, 투입되는 분쇄얼음(30) 중 압축에 필요한 적정량을 제외한 일부가 임펠러(720)의 작동으로 후방에 배치된 압축챔버(220) 방향으로 넘쳐 배출되도록 형성된 오버플로구멍(740)과,
    상기 오버플로구멍(740)의 양측에는 후방에 배치되는 압축챔버(220)로 오버플로구멍(740)으로 넘쳐 배출된 분쇄얼음(30)이 벗어나지 않고 후방 압축챔버(220)에 도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750)과,
    상기 호퍼몸체(710) 하단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턴테이블(200)의 상면과의 마찰력을 줄이고, 호퍼몸체(710) 내부에 투입된 분쇄얼음(30) 및 외부로 넘친 분쇄얼음(30)을 쓸듯이 밀어 압축챔버(220)로 투입시키는 바닥스크레퍼(7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720)는, 호퍼몸체(710) 내부로 진입한 압축챔버(220)에 분쇄얼음(30)을 휘저어 투입하도록 하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721)와,
    중앙에는 오버플러구멍으로 분쇄얼음(30)의 일부를 퍼서 넘기도록 설치되는 스페이드(722)와,
    상부에는 호퍼몸체(710)에 엉겨붙은 분쇄얼음(30)을 긁어서 뜯어내도록 설치된 내부스크레퍼(7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721), 스페이드(722) 및 내부스크레퍼(723)의 선단은 호퍼몸체(710) 내주연과 1mm~1.5m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간격 사이 호퍼몸체(710) 내주연에 엉겨붙은 얼음은 호퍼몸체(710)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얼음 압축기.
  11. 청구항 제1항을 이용하여 압축 얼음(40)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회전수단(300)으로 압축챔버(220)가 형성된 턴테이블(200)을 58도~59도 회전시키는 단계(S10);
    b) 상기 턴테이블(200)이 58도~59도 회전 시 제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정지시키는 단계(S20);
    c) 상기 b)단계의 턴테이블(200)을 위치조절수단(500)으로 1도~2도 더 회전시켜 60도 정위치 회전을 완료하는 단계(S30);
    d) 상기 c)단계 완료와 동시에 턴테이블(200)을 고정수단(600)으로 고정하는 단계(S40);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에 의해서 턴테이블(200)이 60도 회전 후, 2~3초 정지시간을 두고 반복하여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f) 상기 d)단계를 완료한 상태에서 호퍼(700)로 투입된 분쇄얼음(30)이 구동하는 임펠러(720)에 의해 압축챔버(220)로 투입되는 단계(S50):
    g) 상기 f)단계를 통해 분쇄얼음(30)이 투입된 압축챔버(220)가 턴테이블(200)의 6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프레스(800)에 도달하면 그 프레스(800)가 하강하여 분쇄얼음(30)을 고형되게 압축하는 단계(S60);
    h) 상기 g)단계를 통해 압축된 고형의 얼음이 압축챔버(220)가 턴테이블(200)의 6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푸셔(900)에 도달하면 그 푸셔(900)가 하강하여 압축된 고형의 얼음을 배출구(120)로 배출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얼음 제조방법.
KR1020230088179A 2023-07-07 2023-07-07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 KR10259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179A KR102590334B1 (ko) 2023-07-07 2023-07-07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179A KR102590334B1 (ko) 2023-07-07 2023-07-07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34B1 true KR102590334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179A KR102590334B1 (ko) 2023-07-07 2023-07-07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7557A (ja) * 1999-12-17 2003-05-27 アイ・デイ・イー・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製氷用ヒートポンプ装置の性能改善方法
KR20050053061A (ko) * 2003-12-02 2005-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 테이블 장치
KR20070020937A (ko) * 2005-08-17 2007-02-22 주식회사 오션아이스 압착식 해수빙 제빙장치
US20200124334A1 (en) * 2017-05-12 2020-04-23 Hielos Costa Del Sol, S.L.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compacted ice
KR20210089537A (ko) *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7557A (ja) * 1999-12-17 2003-05-27 アイ・デイ・イー・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 製氷用ヒートポンプ装置の性能改善方法
KR20050053061A (ko) * 2003-12-02 2005-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 테이블 장치
KR20070020937A (ko) * 2005-08-17 2007-02-22 주식회사 오션아이스 압착식 해수빙 제빙장치
US20200124334A1 (en) * 2017-05-12 2020-04-23 Hielos Costa Del Sol, S.L.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compacted ice
KR20210089537A (ko) * 2020-01-08 2021-07-16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96227A (ja) ペレット製造装置
CA132337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extrusion and partial deliquefaction of oleaginous materials
US10086344B2 (en) Tank apparatus, a system for dispersing by circulating a mixture, and a method for dispersing by circulating a mixture
US9682524B2 (en) Pelletizing or granulating apparatus
EP0343138B1 (en) Pelletiser and method for making frozen pellets
SU112221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льчени резиновых отходов (его варианты)
EP2030757A1 (en) Process for purging an extrusion apparatus.
KR102590334B1 (ko) 분쇄얼음 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압축 얼음 제조방법
EP3684576B1 (en) Mix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
US4525073A (en) Ice making apparatus
US3245225A (en) Auger ice maker
US4533310A (en) Ice making apparatus
CN116967023A (zh) 一种3-三氟甲基-4-硝基苯酚重结晶离心装置及工艺
CN111569716A (zh) 沥青搅拌设备
CN109333899B (zh) 再生胶高效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US6062426A (en) Ice storage/dispensing apparatus
EP3909672B1 (en) Machine for shredding portions of bituminous material into recyclable granules
US4433559A (en) Ice making apparatus
TWI641468B (zh) Rubber bag shredd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14396795A (zh) 一种食用石膏粉生产的高温煅烧装置
CN107649073A (zh) 一种动物粪便肥料造粒机
CN113575745A (zh) 一种冰淇淋机及冰淇淋制备方法
CN116712932B (zh) 一种凹凸棒土的自动造粒生产线及其控制方法
CN117782668B (zh) 一种粉碎机疲劳循环试验装置
KR200237482Y1 (ko) 이송스크류의부하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