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324B1 - 손끼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손끼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324B1
KR102590324B1 KR1020230051692A KR20230051692A KR102590324B1 KR 102590324 B1 KR102590324 B1 KR 102590324B1 KR 1020230051692 A KR1020230051692 A KR 1020230051692A KR 20230051692 A KR20230051692 A KR 20230051692A KR 102590324 B1 KR102590324 B1 KR 10259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uide
frame
unit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천근
안유정
Original Assignee
오천근
안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천근, 안유정 filed Critical 오천근
Priority to KR102023005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끼임 방지를 위해, 몸체 프레임, 체결 프레임, 연결 프레임, 고정 프레임이 연결된 형상에 문이 서서히 닫히게끔 가이드하는 클로징 가이드 유닛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이 구비된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손끼임 방지 장치{Hand pinch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손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끼임 방지를 위해, 몸체 프레임, 체결 프레임, 연결 프레임, 고정 프레임이 연결된 형상에 문이 서서히 닫히게끔 가이드하는 클로징 가이드 유닛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이 구비된 손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은 건물이나 주택 등의 공간을 구분하고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문을 여닫는 과정에서 손이 문틀 사이에 끼어 발생하는 사고가 잦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이러한 사고로 인한 부상이 심각할 수 있어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문과 관련된 손끼임 방지 기술들은 문과 문틀 사이에 고정된 가드나, 문에 부착되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기술들은 설치가 복잡하거나, 문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틀 사이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문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손끼임 방지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은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몸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문틀에 체결되는 몸체 프레임, 체결 프레임, 연결 프레임, 고정 프레임, 접힘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손끼임 방지 기능을 제공하며, 클로징 가이드 유닛과 이물질 제거 유닛을 통해 문이 서서히 닫히도록 가이드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손끼임 방지 장치는 기존 기술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9523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772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끼임 방지를 위해 몸체 프레임, 체결 프레임, 연결 프레임, 고정 프레임, 접힘 프레임이 결합된 형상이 구비된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형상에 설치되어 문이 서서히 닫히게끔 하는 클로징 가이드 유닛이 구비된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힘 영역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이 구비된 손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는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몸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끼임 방지 장치는 문틀에 상기 몸체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해 체결 프레임, 각각의 상기 몸체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연결 프레임, 각각의 상기 몸체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이 연결된 형상이 문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된 고정 프레임,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이 접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끼임 방지 장치는 상기 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 상기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이 서서히 문을 닫히게끔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클로징 가이드 유닛, 상기 연결 프레임에 설치되어 접힘 영역에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로징 가이드 유닛은, 상기 몸체 프레임에 내장되어 흡착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흡착 모터,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안착부재가 상면 양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자 형상의 하부 유닛 하우징, 상기 하부 유닛 하우징의 중앙부에서 상향으로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지지 실린더, 상기 지지 실린더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 1 가이드 스프링, 상기 지지 실린더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 가이드 실린더, 상기 지지 실린더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샤프트 지지부재, 상기 지지 실린더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보다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누름부재, 상기 스프링 누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에 지지되도록 삽입되면서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2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제 2 가이드 샤프트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스프링 누름부재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 2 가이드 스프링, 상기 제 2 가이드 샤프트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상부를 이어지도록 '┌┓자 형상으로 설치된 상부 유닛 하우징,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의 배면부 양 측부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상부 고정부재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회동축, 각각의 상기 상부 회동축에서 'X'자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를 향해 체결된 회동 샤프트, 'X'자 형상의 상기 회동 샤프트의 중앙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중앙 회동축, 각각의 상기 회동 샤프트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 바퀴,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에서 상기 지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을 향해 삽입되어 접히는 상기 몸체 프레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에서 상기 지지 실린더를 향해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1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제 1 가이드 샤프트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 유닛 몸체,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회전 삽입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을 완충 지지하도록 구비된 회전 완충 샤프트,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흡착 모터의 작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구비된 샤프트 고정부, 각각의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말단부에 상기 몸체 프레임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도록 설치된 안착 샤프트, 각각의 상기 안착 샤프트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에 맞닿을 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구비된 안착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완충 바퀴가 안착하도록 상기 완충 바퀴의 형상에 대응하여 완충 바퀴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완충 바퀴가 닿게 되면 상기 완충 바퀴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누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고정부는,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완충 바퀴가 닿게 되면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된 누름부재, 각각의 상기 누름부재에서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누름축, 상기 누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눌림 지지 스프링, 상기 누름축의 둘레부에서 외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눌림 지지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눌림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C'자 형상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누름축에 의해 돌출 가능하며, 말단부에 상기 완충 바퀴를 고정하도록 고정 돌기가 내향하도록 형성된 C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징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접힘 프레임에 의해 상기 연결 프레임이 접히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동작하고, 상기 몸체 프레임이 상기 회전 완충 샤프트에 안착하면 상기 회전 완충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흡착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안착 헤드가 상기 몸체 프레임을 흡착하면서 상기 안착 샤프트가 유연하게 변형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샤프트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가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을 누르고,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이 하강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스프링 및 상기 제 2 가이드 스프링이 탄성력을 생성하면서, 상기 가이드 실린더 및 상기 제 2 가이드 샤프트가 피스톤 운동을 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가 회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기 완충 바퀴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 지지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제어축, 상기 회전 제어축의 양 측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 제어축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회전 제어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 제어축이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된 회전 지지부재,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서 'ㅡ'자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회전 제어축과 체결되어 상기 회전 제어축의 회전을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제어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비된 진동부, 상기 진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에 'ㅣ'자 방향으로 설치된 유닛 프레임, 상기 유닛 프레임의 일 측면에서 상기 회전 샤프트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고, 말단부에 진동 센서가 내장된 진동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전단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기 진동 샤프트를 타격하여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상기 유닛 프레임이 회동하도록 구비된 샤프트 타격부, 상기 유닛 프레임의 타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접힘 영역에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유닛 프레임에 돌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유닛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거부 구동 풀리, 일정 간격의 상기 제거부 구동 풀리를 감싸도록 체결되되 상기 유닛 프레임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 돌기부와 맞물려 이동하도록 구비된 제거부 구동 벨트, 상기 유닛 프레임의 타 측면에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제거부 하우징, 상기 제거부 구동 벨트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거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제거부 케이블 풀리, 상기 제거부 케이블 풀리의 양 측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 케이블을 고정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케이블 고정축, 상기 제거부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되 일 측 둘레부에 상기 회전 케이블과 체결되는 케이블 회전축이 구비된 제거부 구동부, 상기 제거부 구동부의 회전에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돌출되도록 체결된 제 1 구동 프레임, 상기 제 1 구동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된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제 2 구동 프레임, 상기 제 2 구동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어 피스톤 운동하도록 구비된 제거부 피스톤축, 상기 제거부 하우징의 일 측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거부 피스톤축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내장된 제거부 실린더, 상기 제거부 실린더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거부 피스톤축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상기 접힘 프레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제거부재, 상기 제거부 피스톤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구동 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거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 제어바가 상기 회전 제어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샤프트가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을 보조하고,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 타격부가 반복적으로 상기 진동 샤프트를 타격하여 상기 진동 센서가 인식하고, 상기 진동 샤프트에 대한 타격으로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유닛 프레임을 회동시키고, 상기 진동 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동작하여 상기 접힘 프레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끼임 방지를 위해, 몸체 프레임, 체결 프레임, 연결 프레임, 고정 프레임이 연결된 형상에 문이 서서히 닫히게끔 가이드하는 클로징 가이드 유닛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이 구비된 손끼임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는 몸체 프레임, 체결 프레임, 연결 프레임, 고정 프레임, 접힘 프레임의 결합된 형상을 통해 문 사이에 손이 끼이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체결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을 통해 문과 툴을에 손끼임 방지 장치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이를 통해 장치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클로징 가이드 유닛을 통해 몸체 프레임, 체결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이 서서히 문을 닫히게끔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이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유닛을 통해 접힘 영역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끼임 방지 장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실시예와 접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조립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클로징 가이드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누름 고정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이물질 제거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실시예, 조립도 및 접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끼임 방지 장치는 몸체 프레임(10), 체결 프레임(20), 연결 프레임(30), 고정 프레임(40), 접힘 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프레임(10)은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가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 프레임(20)은 문틀에 몸체 프레임(10)을 체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0)은 각각의 몸체 프레임(10) 및 체결 프레임(20) 사이를 연결하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40)은 각각의 몸체 프레임(10) 및 체결 프레임(20), 연결 프레임(30)이 연결된 형상이 문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접힘 프레임(50)은 각각의 연결 프레임(30)이 접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클로징 가이드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끼임 방지 장치는 몸체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몸체 프레임(10), 체결 프레임(20), 및 연결 프레임(30)이 서서히 문을 닫히게끔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클로징 가이드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징 가이드 유닛(100)은 흡착 모터(110), 하부 유닛 하우징(120), 지지 실린더(130), 제 1 가이드 스프링(140), 가이드 실린더(150), 샤프트 지지부재(160), 스프링 누름부재(170), 제 2 가이드 샤프트(180), 제 2 가이드 스프링(190), 상부 유닛 하우징(200), 상부 고정부재(210), 상부 회동축(220), 회동 샤프트(230), 중앙 회동축(240), 완충 바퀴(250), 가이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 모터(110)는 몸체 프레임(10)에 내장되어 흡착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유닛 하우징(120)은 몸체 프레임(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안착부재(120a)가 상면 양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120c)가 형성된 '└┘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재(120a)는 완충 바퀴(250)가 안착하도록 완충 바퀴(250)의 형상에 대으?여 완충 바퀴 홈(12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재(120a)는 완충 바퀴 홈(120b)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완충 바퀴(250)가 닿게 되면 완충 바퀴(250)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누름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 고정부(300)는 누름부재(310), 누름축(320), 눌림 지지 스프링(330), 눌림 스프링 지지부재(340), C컬 샤프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310)는 완충 바퀴 홈(120b)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완충 바퀴(250)가 닿게 되면 완충 바퀴 홈(120b)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누름축(320)은 각각의 누름부재(310)에서 완충 바퀴 홈(120b)의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눌림 지지 스프링(330)은 누름축(32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눌림 스프링 지지부재(340)는 누름축(320)의 둘레부에서 외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눌림 지지 스프링(330)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C컬 샤프트(350)는 완충 바퀴 홈(120b)의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C'자 형상으로 설치되면서 누름축(320)에 의해 돌출 가능하며, 말단부에 완충 바퀴(250)를 고정하도록 고정 돌기(360)가 내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실린더(130)는 하부 유닛 하우징(120)의 중앙부에서 상향으로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스프링(140)은 지지 실린더(130)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150)는 지지 실린더(130)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제 1 가이드 스프링(1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재(160)는 지지 실린더(130)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누름부재(170)는 지지 실린더(130)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샤프트 지지부재(160)보다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샤프트(180)는 스프링 누름부재(170)를 관통하여 샤프트 지지부재(160)에 지지되도록 삽입되면서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 스프링(190)은 제 2 가이드 샤프트(180)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스프링 누름부재(170)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유닛 하우징(200)은 제 2 가이드 샤프트(180)의 상부와 가이드 실린더(150)의 상부를 이어지도록 '┌┓자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고정부재(210)는 상부 유닛 하우징(200)의 배면부 양 측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회동축(220)은 각각의 상부 고정부재(21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동 샤프트(230)는 각각의 상부 회동축(220)에서 'X'자 형상으로 슬라이딩부(120c)를 향해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중앙 회동축(240)은 'X'자 형상의 회동 샤프트(230)의 중앙부에 체결되어 회동 샤프트(230)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 바퀴(250)는 각각의 회동 샤프트(230)에서 슬라이딩부(120c)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60)는 상부 유닛 하우징(200)에서 지지 실린더(130)의 내부 하단면을 향해 삽입되어 접히는 몸체 프레임(10)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60)는 제 1 가이드 샤프트(261), 가이드 유닛 몸체(262), 회전 완충 샤프트(263), 샤프트 고정부(264), 안착 샤프트(265), 안착 헤드(2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 샤프트(261)는 상부 유닛 하우징(200)에서 지지 실린더(130)를 향해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 몸체(262)는 제 1 가이드 샤프트(261)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완충 샤프트(263)는 가이드 유닛 몸체(262)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회전 삽입되어 몸체 프레임(10)을 완충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264)는 가이드 유닛 몸체(262)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삽입되어 흡착 모터(110)의 작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안착 샤프트(265)는 각각의 샤프트 고정부(264)의 말단부에 몸체 프레임(10)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착 헤드(266)는 각각의 안착 샤프트(265)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몸체 프레임(10)에 맞닿을 시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 프레임(10)에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클로징 가이드 유닛(100)에 있어서, 몸체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이때, 클로징 가이드 유닛(100)은 몸체 프레임(10)의 전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고, 길이 방향 중 일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부 유닛 하우징(120)은 몸체 프레임(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배면부에 흡착 모터(110)가 설치되되 몸체 프레임(10)에 내장된다.
하부 유닛 하우징(120)의 중앙부에 지지 실린더(130)를 기준으로 내부에 제 1 가이드 스프링(140)이 내장되고, 가이드 실린더(150)가 제 1 가이드 스프링(140)을 압축하면서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지지 실린더(130)의 둘레부 하부에는 샤프트 지지부재(160), 상부에는 스프링 누름부재(170)가 'ㅡ'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실린더(150)의 최상단에는 '┌┓자 형상의 상부 유닛 하우징(200)이 조립되고, 상부 유닛 하우징(200)의 배면부에 일정 간격으로 샤프트 지지부재(160)를 향해 제 2 가이드 샤프트(180)가 삽입된다.
이때, 각각의 제 2 가이드 샤프트(180)의 둘레부에 제 2 가이드 스프링(190)이 삽입되어 각각의 스프링 누름부재(17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상부 유닛 하우징(200)의 배면부 양 측부에 상부 고정부재(210)가 조립되고, 각각의 상부 고정부재(210) 일단부에 상부 회동축(220)이 체결된다.
각각의 상부 회동축(220)에서 슬라이딩부(120c)를 향해 'X'자 형상으로 회동 샤프트(230)가 조립되고, 각각의 회동 샤프트(230)의 말단부에는 완충 바퀴(250)가 슬라이딩부(120c)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X'자 형상의 회동 샤프트(230)의 중앙 접점에는 중앙 회동축(240)이 삽입된다.
하부 유닛 하우징(120)의 상면 양 측부에 돌출 형성된 안착부재(120a)가 각각의 완충 바퀴(250)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부 유닛 하우징(200)의 상단에서 제 1 가이드 스프링(140)의 내부를 통해 지지 실린더(130)의 내부 하단면을 향해 제 1 가이드 샤프트(261)가 가이드 실린더(150)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 1 가이드 샤프트(261)의 상부에 'H'자 형상으로 가이드 유닛 몸체(262)가 조립되고, 가이드 유닛 몸체(262)의 상부에 회전 삽입되어 몸체 프레임(10)을 가이드하여 완충 지지하는 회전 완충 샤프트(263)가 하부 둘레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 하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 몸체(262)의 양 측부에 샤프트 고정부(264)가 삽입되고, 각각의 샤프트 고정부(264)에 안착 헤드(266)가 말단부에 형성된 안착 샤프트(265)가 조립된다.
한편, 각각의 안착부재(120a)에는 완충 바퀴(250) 형상의 완충 바퀴 홈(120b)이 형성되고, 완충 바퀴 홈(120b)의 내측면을 따라 완충 바퀴(250)를 완충 및 고정하는 누름 고정부(300)가 조립된다.
누름 고정부(300)에 있어서, 누름부재(310)를 기준으로 누름축(320)이 연장 형성되고, 누름축(320)의 둘레부에서 스프링 지지부재가 연장 형성되며, 누름축(320)의 둘레부에 눌림 지지 스프링(330)이 삽입되되 스프링 지지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조립된 형상이 완충 바퀴 홈(120b)을 따라 삽입된다.
또한, 말단부에 고정 돌기(360)가 완충 바퀴(250)를 향해 내향하도록 형성된 C컬 샤프트(350)가 안착부재(120a)에 삽입되되, 누름축(320)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C컬 샤프트(350)의 말단부와 누름축(320)의 말단부가 용이하게 맞닿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사선면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서로를 밀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로징 가이드 유닛(100)은 접힘 프레임(50)에 의해 연결 프레임(30)이 접히면서 몸체 프레임(10)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 프레임(10)이 회전 완충 샤프트(263)에 안착하면 회전 완충 샤프트(263)가 회전하면서 가이드 유닛 몸체(262)를 향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착 모터(110)의 동작에 의해 안착 헤드(266)가 몸체 프레임(10)을 흡착하면서 안착 샤프트(265)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 샤프트(261)가 하강하면서 가이드 유닛 몸체(262)가 상부 유닛 하우징(200)을 누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유닛 하우징(200)이 하강하면서 제 1 가이드 스프링(140) 및 제 2 가이드 스프링(190)이 탄성력을 생성하면서, 가이드 실린더(150) 및 제 2 가이드 샤프트(180)가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 샤프트(230)가 중앙 회동축(240) 및 상부 회동축(220)을 통해 회동하면서 슬라이딩부(120c)를 따라 완충 바퀴(250)가 슬라이딩하여 안착부재(120a)에 안착 지지되어 몸체 프레임(1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바퀴(250)가 누름부재(310)를 누르면서 누름축(320)이 완충 바퀴 홈(120b)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면서 스프링 지지부재가 눌림 지지 스프링(330)을 탄성 지지하면서 누름축(320)이 C컬 샤프트(350)의 말단부를 밀어 C컬 샤프트(350)가 완충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고정 돌기(360)가 완충 바퀴(25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끼임 방지 장치의 이물질 제거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손끼임 방지 장치는 연결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접힘 영역에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유닛(400)은 회전 제어축(410), 회전 제어바(420), 회전 지지부재(430), 회전 샤프트(440), 진동부(450), 회동부재(460), 유닛 프레임(470), 진동 샤프트(480), 샤프트 타격부(490), 이물질 제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어축(410)은 연결 프레임(30)의 내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제어바(420)는 회전 제어축(410)의 양 측부에 연장 형성되어 회전 제어축(41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재(430)는 연결 프레임(30)의 측면에 설치되되 회전 제어축(410)이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40)는 회전 지지부재(430)에서 'ㅡ'자 방향으로 설치되되 회전 제어축(410)과 체결되어 회전 제어축(410)의 회전을 따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진동부(450)는 회전 샤프트(44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제어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동부재(460)는 진동부(45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프레임(470)은 회동부재(460)에 'ㅣ'자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진동 샤프트(480)는 유닛 프레임(470)의 일 측면에서 회전 샤프트(440)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고, 말단부에 진동 센서가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타격부(490)는 회전 샤프트(440)의 전단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진동부(450)의 진동에 의해 반복적으로 진동 샤프트(480)를 타격하여 회동부재(460)에 의해 유닛 프레임(470)이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500)는 유닛 프레임(470)의 타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접힘 영역에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500)는 제거부 구동 풀리(510), 제거부 구동 벨트(520), 제거부 하우징(530),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 케이블 고정축(550), 제거부 구동부(560), 제 1 구동 프레임(570), 힌지축(580), 제 2 구동 프레임(590), 피스톤축, 제거부 실린더(610), 제거부재(620), 제거부 스프링(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부 구동 풀리(510)는 유닛 프레임(470)에 돌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유닛 프레임(4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구동 벨트(520)는 일정 간격의 제거부 구동 풀리(510)를 감싸도록 체결되되 유닛 프레임(47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 돌기부(520a)와 맞물려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하우징(530)은 유닛 프레임(470)의 타 측면에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는 제거부 구동 벨트(520)와 맞물리도록 제거부 하우징(5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축(550)은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의 양 측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 케이블을 고정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구동부(560)는 제거부 하우징(5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되 일 측 둘레부에 회전 케이블과 체결되는 케이블 회전축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구동 프레임(570)은 제거부 구동부(560)의 회전에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돌출되도록 체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힌지축(580)은 제 1 구동 프레임(570)의 말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구동 프레임(590)은 힌지축(58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피스톤축(600)은 제 2 구동 프레임(590)과 일체로 연결되어 피스톤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실린더(610)는 제거부 하우징(530)의 일 측부에 설치되면서 제거부 피스톤축(600)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재(620)는 제거부 실린더(61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제거부 피스톤축(600)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접힘 프레임(50)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스프링(630)은 제거부 피스톤축(60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제 2 구동 프레임(590)의 회동에 의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 제거 유닛(400)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30)의 내부를 향해 회전 제어축(410)이 내장되고, 회전 제어축(410)의 양 측부에 회전 제어바(420)가 연장 형성된다.
연결 프레임(30)의 측면에 회전 제어축(410)이 삽입되도록 회전 지지부재(430)가 조립된다.
회전 지지부재(430)에 'ㅡ'자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440)가 삽입되되 회전 제어축(410)과 일체로 연결된다.
회전 샤프트(440)의 전단부, 특히 전단 둘레부를 따라 샤프트 타격부(490)가 설치된다.
진동부(450)는 회전 샤프트(440)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진동부(450)는 'ㅣ'자 방향으로 배치된 유닛 프레임(470)의 일 측에 설치된 회동부재(46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유닛 프레임(470)의 일 측에서 샤프트 타격부(490)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진동 샤프트(480)가 설치되고, 진동 샤프트(480)의 말단부에 진동 센서가 내장된다.
유닛 프레임(470)의 타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물질 제거부(500)가 설치된다.
이물질 제거부(500)에 있어서, 제거부 하우징(530)은 유닛 프레임(470)의 타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거부 하우징(530)의 내부에 하기와 같은 형상이 조립된다.
제거부 구동 풀리(51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의 제거부 구동 풀리(510)를 감싸도록 구동 벨트가 체결된 형상이 유닛 프레임(470)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 돌기부(520a)에 맞물려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케이블 고정축(550)이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의 양 측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 형상이 제거부 하우징(530)에 내장되되 제거부 구동 벨트(520)와 맞물리도록 체결된다.
케이블 회전축이 제거부 구동부(560)의 일 측 둘레부에 돌출되도록 삽입되고, 힌지축(580)에 의해 제 1 구동 프레임(570)과 제 2 구동 프레임(590)이 조립된 형상이 제거부 구동부(560)의 둘레부에 조립된다.
이때, 회전 케이블이 케이블 회전축으로부터 복수 개의 케이블 고정축(550)을 향해 체결된다.
제거부 하우징(530)의 일 측부에 제거부 실린더(610)가 설치되고, 제 2 구동 프레임(590)에서 제거부 실린더(610)를 향해 제거부 피스톤축(600)이 연장 형성된다.
제거부 피스톤축(600)의 말단부에 제거부재(620)가 조립되되 제거부 실린더(610)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거부 피스톤축(600)의 둘레부에 제거부 스프링(630)이 삽입되고, 제거부 피스톤축(600)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제거부재(62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400)은 제어에 의해 회전 제어바(420)가 회전 제어축(41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샤프트(440)가 일체로 회전하여 진동부(450)의 진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부(450)의 진동에 의해 샤프트 타격부(490)가 반복적으로 진동 샤프트(480)를 타격하여 진동 센서가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샤프트(480)에 대한 타격으로 회동부재(460)가 유닛 프레임(47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센서의 신호에 의해 이물질 제거부(500)가 동작하여 접힘 프레임(5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정 간격의 제거부 구동 풀리(510)가 회전하여 제거부 구동 벨트(520)가 이동 돌기부(520a)를 따라 제거부 하우징(530)을 이동시키면서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의 회전에 의해 회전 케이블이 케이블 회전축을 통해 제거부 구동부(5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거부 구동부(560)의 회전에 의해 제 1 구동 프레임(570) 및 제 2 구동 프레임(590)이 힌지축(580)에 의해 힌지 회동하면서 제거부 피스톤축(600)이 제거부재(620)를 피스톤 운동시켜 접힘 프레임(5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거부 피스톤축(600)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제거부 스프링(630)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몸체 프레임(10)
체결 프레임(20)
연결 프레임(30)
고정 프레임(40)
접힘 프레임(50)
클로징 가이드 유닛(100)
흡착 모터(110)
하부 유닛 하우징(120)
안착부재(120a)
완충 바퀴홈(120b)
슬라이딩부(120c)
지지 실린더(130)
제 1 가이드 스프링(140)
가이드 실린더(150)
샤프트 지지부재(160)
스프링 누름부재(170)
제 2 가이드 샤프트(180)
제 2 가이드 스프링(190)
상부 유닛 하우징(200)
상부 고정부재(210)
상부 회동축(220)
회동 샤프트(230)
중앙 회동축(240)
완충 바퀴(250)
가이드부(260)
제 1 가이드 샤프트(261)
가이드 유닛 몸체(262)
회전 완충 샤프트(263)
샤프트 고정부(264)
안착 샤프트(265)
안착 헤드(266)
누름 고정부(300)
누름부재(310)
누름축(320)
눌림 지지 스프링(330)
눌림 스프링 지지부재(340)
C컬 샤프트(350)
고정 돌기(360)
이물질 제거 유닛(400)
회전 제어축(410)
회전 제어바(420)
회전 지지부재(430)
회전 샤프트(440)
진동부(450)
회동부재(460)
유닛 프레임(470)
진동 샤프트(480)
샤프트 타격부(490)
이물질 제거부(500)
제거부 구동 풀리(510)
제거부 구동 벨트(520)
이동 돌기부(520a)
제거부 하우징(530)
제거부 케이블 풀리(540)
케이블 고정축(550)
제거부 구동부(560)
제 1 구동 프레임(570)
힌지축(580)
제 2 구동 프레임(590)
제거부 피스톤축(600)
제거부 실린더(610)
제거부재(620)
제거부 스프링(630)

Claims (3)

  1.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몸체 프레임;
    을 포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에 있어서,
    문틀에 상기 몸체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해 체결 프레임;
    각각의 상기 몸체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연결 프레임;
    각각의 상기 몸체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이 연결된 형상이 문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된 고정 프레임;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이 접힘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힘 프레임;
    상기 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 상기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이 서서히 문을 닫히게끔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클로징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클로징 가이드 유닛은,
    상기 몸체 프레임에 내장되어 흡착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흡착 모터;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안착부재가 상면 양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자 형상의 하부 유닛 하우징;
    상기 하부 유닛 하우징의 중앙부에서 상향으로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지지 실린더;
    상기 지지 실린더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 1 가이드 스프링;
    상기 지지 실린더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 가이드 실린더;
    상기 지지 실린더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샤프트 지지부재;
    상기 지지 실린더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보다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누름부재;
    상기 스프링 누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에 지지되도록 삽입되면서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2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제 2 가이드 샤프트의 둘레부에 삽입되되 상기 스프링 누름부재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제 2 가이드 스프링;
    상기 제 2 가이드 샤프트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상부를 이어지도록 '┌┓자 형상으로 설치된 상부 유닛 하우징;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의 배면부 양 측부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재;
    각각의 상기 상부 고정부재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회동축;
    각각의 상기 상부 회동축에서 'X'자 형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를 향해 체결된 회동 샤프트;
    'X'자 형상의 상기 회동 샤프트의 중앙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된 중앙 회동축;
    각각의 상기 회동 샤프트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 바퀴;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에서 상기 지지 실린더의 내부 하단면을 향해 삽입되어 접히는 상기 몸체 프레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에서 상기 지지 실린더를 향해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1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제 1 가이드 샤프트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 유닛 몸체;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회전 삽입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을 완충 지지하도록 구비된 회전 완충 샤프트;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의 양 측부에 'ㅡ'자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흡착 모터의 작동에 의해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구비된 샤프트 고정부;
    각각의 상기 샤프트 고정부의 말단부에 상기 몸체 프레임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되도록 설치된 안착 샤프트;
    각각의 상기 안착 샤프트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에 맞닿을 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몸체 프레임에 부착되도록 구비된 안착 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완충 바퀴가 안착하도록 상기 완충 바퀴의 형상에 대응하여 완충 바퀴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완충 바퀴가 닿게 되면 상기 완충 바퀴를 고정하도록 구비된 누름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고정부는,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상기 완충 바퀴가 닿게 되면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된 누름부재;
    각각의 상기 누름부재에서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누름축;
    상기 누름축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눌림 지지 스프링;
    상기 누름축의 둘레부에서 외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눌림 지지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눌림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완충 바퀴홈의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C'자 형상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누름축에 의해 돌출 가능하며, 말단부에 상기 완충 바퀴를 고정하도록 고정 돌기가 내향하도록 형성된 C컬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징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접힘 프레임에 의해 상기 연결 프레임이 접히면서 상기 몸체 프레임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면 동작하고,
    상기 몸체 프레임이 상기 회전 완충 샤프트에 안착하면 상기 회전 완충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흡착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안착 헤드가 상기 몸체 프레임을 흡착하면서 상기 안착 샤프트가 유연하게 변형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샤프트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이드 유닛 몸체가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을 누르고,
    상기 상부 유닛 하우징이 하강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스프링 및 상기 제 2 가이드 스프링이 탄성력을 생성하면서, 상기 가이드 실린더 및 상기 제 2 가이드 샤프트가 피스톤 운동을 하고,
    상기 회동 샤프트가 회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기 완충 바퀴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 지지되어 상기 몸체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손끼임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51692A 2023-04-20 2023-04-20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59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692A KR102590324B1 (ko) 2023-04-20 2023-04-20 손끼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692A KR102590324B1 (ko) 2023-04-20 2023-04-20 손끼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324B1 true KR102590324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692A KR102590324B1 (ko) 2023-04-20 2023-04-20 손끼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3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239B1 (ko) 2018-05-25 2019-07-02 유한동력 주식회사 강화유리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077205B1 (ko) 2020-01-21 2020-02-13 조용만 다수의 경질시트를 연질관절부에 의해 연결하여 특정 모양으로 접고 펴면서 문과 문틀의 모서리를 메움하는 손끼임방지구
KR102298863B1 (ko) * 2021-04-07 2021-09-07 (주) 에이테크윈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239B1 (ko) 2018-05-25 2019-07-02 유한동력 주식회사 강화유리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KR102077205B1 (ko) 2020-01-21 2020-02-13 조용만 다수의 경질시트를 연질관절부에 의해 연결하여 특정 모양으로 접고 펴면서 문과 문틀의 모서리를 메움하는 손끼임방지구
KR102298863B1 (ko) * 2021-04-07 2021-09-07 (주) 에이테크윈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05782A (ja) 自動車のフードオーバースラムバンパー緩衝装置
EP2589737A1 (en) Window regulator
WO2014012438A1 (en) A vehicle seat
KR102590324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200425622Y1 (ko) 도어 안전장치
JP3866720B2 (ja) 車両用ドア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JP4210294B2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EP1418072B1 (en) Guide system for guiding window glass of vehicle
KR200402501Y1 (ko) 도어의 개폐장치
KR1007646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경첩장치
CN115057161A (zh) 管状带式输送机
KR102184819B1 (ko) 미닫이용 완충장치
KR20090047084A (ko) 충격 흡수용 에어클리너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CN111648663A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门锁
CN212898047U (zh) 一种阻尼铰链及制冷设备
CN214616007U (zh) 带缓冲的滑动装置
EP2818066A1 (en) Motorcycle helmet
KR100800583B1 (ko) 파워 윈도우 구동용 모터 조립체
KR20090082968A (ko) 미닫이 창호
CN218766058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取样装置
CN220540267U (zh) 一种减速机的减震底座
CN216665772U (zh) 发动机缸盖和具有其的车辆
KR200246981Y1 (ko) 출입문의 충격 완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