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209B1 -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209B1
KR102590209B1 KR1020197030362A KR20197030362A KR102590209B1 KR 102590209 B1 KR102590209 B1 KR 102590209B1 KR 1020197030362 A KR1020197030362 A KR 1020197030362A KR 20197030362 A KR20197030362 A KR 20197030362A KR 102590209 B1 KR102590209 B1 KR 10259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ounding
sounding pilot
correspondence relationship
correspondence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939A (ko
Inventor
라케쉬 탐라카르
치우빈 가오
신 쉬
후이 리
치우핑 후앙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0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7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단말이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단말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 및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단말로 하여금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임 -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2017년 3월 22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 201710172854.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및 단말의 송수신 안테나 수량이 매우 많다. 따라서, 안테나 수량이 많은 만큼, 그 구조 또한 다종다양하다.
도 1 및 도 2에 단말의 두가지 안테나 구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당해 단말에 두개의 안테나 모듈이 있는데, 각각의 안테나 모듈은 독립된 아날로그 빔을 각각 생성가능하며, 각각의 안테나 모듈은 복수개의 디지털 포트에 대응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각의 안테나 모듈상에 2개의 디지털 포트가 매핑되었을 경우, 두개의 안테나 모듈에 총 4개의 디지털 포트가 매핑된다. 아날로그 디지털 하이브리드형 안테나는 아날로그 빔 및 디지털 빔을 생성가능하고, 하나의 아날로그 빔은 한 시각에서 오직 하나의 방향으로만 송신이 가능하나, 하나의 아날로그 빔은 복수개의 디지털 빔(또는 디지털 포트)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수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생성되는 빔이 비교적 좁고, 아날로그 빔은 한 시각에서 오직 하나의 방향으로만 송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셀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은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즉, 빔 스캐닝)을 상이한 아날로그 빔 방향으로 교대로 송신해야 한다.
LTE(Long Term Evolution, 롱 텀 에볼루션 )시스템에 있어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빔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단말의 능력에 따라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포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포트들은 모두 디지털 포트이다. 하지만, NR(New Radio, 엔알)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대규모 안테나에 대해, 여전히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구성 및 송신 방법이 제공되지 않아,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통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방법과 장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여, NR 시스템에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구성 및 송신을 실현하고,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하고자 한다.
상기의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임 - ;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을 위해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포트를 포함하고; M은 0보다 큰 정수임 - ; 및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소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으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을 위해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는 단계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 ; 및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로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상기 단말과 사전 약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송신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고, 상기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 ;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확정 모듈; 및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모듈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임 - ; 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모듈은, 상기 단말을 위해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제1 구성 서브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포트를 포함하고; M은 0보다 큰 정수임 - ; 및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소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서브 모듈; 및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으로 하기 위한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모듈은, 상기 단말을 위해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제2 구성 서브 모듈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 ; 및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로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상기 단말과 사전 약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이 송신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고, 상기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진행하기 위한 채널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처리 서브 모듈은,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유닛;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 및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하우징, 프로세서, 메모리, 회로 기판 및 전원 공급 회로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안착되고,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회로 기판상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의 전자기기의 각 회로 및 소자를 위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메모리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및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및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및 코드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와 같은 신호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7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과정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과정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임 - ;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8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기술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에게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채널 측정을 위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가능하도록 하고, 따라서 채널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한다.
도 1(a) 및 도 1(b)는 관련 기술에서의 단말의 안테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시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 기지국 등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된다. 상기 방법은 단계 101 내지 단계 104를 포함한다.
단계 101: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이다.
당해 단계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단말을 위해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포트를 포함하고; M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한 후,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단계 102: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M개의 업링크 빔 방향으로 각각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수신한다.
단계 103: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한다.
당해 단계에서, 각각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신호 품질을 산출한 후, 신호 품질이 소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선택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으로 할 수 있다.
단계 104: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단계에서, 상기 단말을 위해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 한 후,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에게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채널 측정을 위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가능하도록 하고, 따라서 채널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한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 단말에 응용된다. 상기 방법은 단계 201 내지 단계 204를 포함한다.
단계 201: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202: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한다.
단계 203: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단계 204: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며,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할 때, 네트워크측 지시에 근거하여 또는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한다.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송신한다. 당해 제1 식별자는 그 중 어느 한 식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에게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채널 측정을 위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가능하도록 하고, 따라서 채널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2개의 레벨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구성한다. 제1 레벨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은 단말에게 상이한 아날로그 빔상에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레벨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은 단말에게 아날로그 빔을 확정한 후 채널 정보를 획득함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즉 채널 측정을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기지국이 어떻게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구성하는가 및 단말의 송신 행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 단계 301 내지 단계 305를 포함한다.
단계 301: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 또는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며, 당해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M개의 포트를 포함한다.
구성 완료 후, 기지국은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당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을 지시할 수 있다.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 또는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M개의 포트는 M개의 업링크 빔 방향에 대응된다.
단계 302: 단말은 M개의 업링크 빔 방향으로 각각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한다.
상응하게, 기지국은 단말이 M개의 업링크 빔 방향으로 송신한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 또는 M개의 포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한다.
단계 303: 기지국은 신호 품질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소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선택하고, 단말에게 대응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신호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304: 기지국은 N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구성하고, 단말에게 당해 N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며,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단계 305: 단말은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N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는, 네트워크측에 의해 시그널링의 방식을 통해 단말에게 지시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측과 단말에 의해 사전 약정될 수도 있다. 만약 네트워크측이 해당 대응관계를 지시하였으면, 단말은 네트워크측의 지시에 근거하여 어떻게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가를 확정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측과 사전 약정된 것이면, 단말은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어떻게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가를 확정할 수 있다. 당해 대응관계는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당해 단계에서, 단계 304 및 단계 305에서 기지국이 송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은 하기 방식대로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 및 대응하는 채널 측정을 위한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지시하면, 단말은 당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한다.
만약 기지국이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N=0)을 구성하지 않으면, 단말은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하지 않는다.
만약 기지국이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를 지시하면, 기지국이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구성하고 및 단말이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하는데는 하기와 같은 몇가지 경우가 있다.
(1) 기지국은 N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 및 P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지시하고(N≠P), 명시적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에게 어떤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들이 단말에 의해 동시에 송신가능한지를 지시(즉, N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지시)하는바, 즉, 어떤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들의 식별자(SRI)에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가능한지를 지시한다.
이 경우, 단말은 당해 명시적 시그널링에 근거하여 어떤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들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이 동시에 송신가능한지를 확정하고, 이후 당해 식별자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대응하는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할 수 있다.
(2) 기지국은 N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 및 하나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지시하는바, 즉 N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에 대응되는 빔이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사전 약정에 근가하여, N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동시에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할 수 있다.
(3) 기지국은, N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 및 대응하는 N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지시하는데, 이는 어떠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도 동시에 송신불가함을 함축적으로 의미하는바, 즉, 어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SRI)에 대응되는 빔도 동시에 송신불가하다.
이 경우, 단말은 각각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한 후, 대응하는 빔 방향으로 대응하는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2개의 SRI를 지시하고, 1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구성한다. 단말은 기지국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두 SRI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동시에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고,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의 복수개의 포트를 두 빔 방향으로 매핑한다.
또 예를 들어, 기지국은 2개의 SRI를 지시하고, 1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구성하고, 시그널링에 의해 SRI과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의 대응관계(예컨대, SRI 1은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대응됨)를 통지한다. 단말은 시그널링 지시에 근거하여, 하나의 SRI을 선택(예컨대, SRI 1을 선택)하고, 당해 SRI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한다.
또 예를 들어, 기지국은 2개의 SRI를 지시하고, 2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구성하고, 시그널링에 의해 SRI과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의 대응관계(예컨대, SRI 1과 SRI 2는 각각 하나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대응됨)를 통지한다. 단말은 시그널링 지시에 근거하여, 한 시각에서 하나의 SRI를 선택하고, 당해 SRI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대응하는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한다.
또 예를 들어, 기지국은 2개의 SRI를 지시하고, 2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구성한다. 단말은 기지국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한 시각에서 하나의 SRI를 선택하고, 당해 SRI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대응하는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을 송신한다.
또 예를 들어, 기지국은 3개의 SRI를 지시하고, 2개의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SRS) 자원을 구성하고, 기지국은 시그널링에 의해, SRI 1 및 SRI 2은 첫번째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대응되고, SRI 3은 두번째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대응됨을 지시한다. 단말은 한 시각에서 SRI 1 및 SRI 2에 대응되는 두개의 빔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으나, SRI 3에 대응되는 빔을 동시에 송신하지 못한다. 즉, 단말은 SRI 1 및 SRI 2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동시에 첫번째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고, SRI 3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두번째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한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모듈(401)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402);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확정 모듈(403); 및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모듈(404)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임 - ;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시 모듈(401)은,
상기 단말을 위해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제1 구성 서브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포트를 포함하고; M은 0보다 큰 정수임 - ; 및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확정 모듈(403)은,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소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서브 모듈; 및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으로 하기 위한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시 모듈(404)은, 상기 단말을 위해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기 위한 제2 구성 서브 모듈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 ; 및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로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포함함 - ; 또는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상기 단말과 사전 약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405); 및 상기 단말이 송신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고, 상기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진행하기 위한 채널 측정 모듈(406);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장치의 작동 원리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에게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채널 측정을 위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가능하도록 하고, 따라서 채널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한다.
도 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601)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602);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603);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모듈(604); 을 포함한다.
상기 획득 모듈(601)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처리 모듈(604)은,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상기 처리 서브 모듈은,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유닛;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 및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장치의 작동 원리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에게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채널 측정을 위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가능하도록 하고, 따라서 채널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 및 실행할 때, 하기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을 구현한다. 즉,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확정 모듈; 및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모듈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임 - ; 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 및 실행할 때, 하기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을 구현한다. 즉,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구현한다.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메모리(720), 프로세서(700) 및 송수신기(7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700)는 메모리(720)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과정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과정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상기 단말로 하여금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임 - ;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710)는 프로세서(7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함께 연결시킬 수 있는바,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10)는 복수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고,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700)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0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700)는 버스 관리 아키텍처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0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700)는 또한, 상기 단말을 위해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고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M개의 포트를 포함하고; M은 0보다 큰 정수임 - ;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700)는 또한, 상기 단말이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신호 품질이 소정의 요구에 부합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선택하고;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700)는 또한, 상기 단말을 위해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구성하고 -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임 - ; 명시적 시그널링 또는 암시적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700)는 또한, 상기 단말로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의 대응관계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700)는 또한, 상기 단말이 송신한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고, 상기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에게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채널 측정을 위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가능하도록 하고, 따라서 채널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한다.
도 9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메모리(820), 사용자 인터페이스(830), 프로세서(800) 및 송수신기(8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800)는 메모리(820)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과정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810)는 프로세서(8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함께 연결시킬 수 있는바,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10)는 복수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고,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830)는 필요 기기를 외부 접속 및 내부 접속가능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접속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800)는 버스 아키텍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00)가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80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80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의 시그널링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수량 N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프로세서(800)는 또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고;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되는 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제2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800)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에게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채널 측정을 위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가능하도록 하고, 따라서 채널의 측정을 진행할 수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측의 정상 통신을 확보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시된 방법 및 장치가 기타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 기능 구획인 것으로, 실제로 구현될 때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한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또는 될 수 있다. 또는, 일부 특징들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 또는 토론된 상호간의 결합이나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직접될 수 도 있고, 각각의 유닛의 개별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의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를 적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플러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를 적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는 집적된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하나의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 일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방법의 일부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몇몇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매체는, USB 디스크, 휴대용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기억 장치 (Read Only Memory, ROM으로 약칭), 임의 접근 기억 장치 (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원리를 일탈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일부 개량 및 윤색을 더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 및 윤색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5)

  1.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것임 - ;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간에는 대응관계가 존재하고, 상기 대응관계는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로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과 사전 약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그중, N과 P는 0보다 큰 정수이고, N은 P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어떤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지를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상기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 것을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상기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불가능한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측의 지시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따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그중, N과 P는 0보다 큰 정수이고, N은 P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어떤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지를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 것을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상기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불가능한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신호 처리 장치로서,
    단말에게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송신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에 근거하여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확정 모듈; 및
    상기 단말에게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모듈 -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간에는 대응관계가 존재하고, 상기 대응관계는 대응관계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로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과 사전 약정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그중, N과 P는 0보다 큰 정수이고, N은 P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어떤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지를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상기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 것을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상기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불가능한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신호 처리 장치로서,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은 업링크 빔 스캐닝을 위한 것임 - ;
    상기 제1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상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측이 지시한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및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근거하여, 채널 측정을 위한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그중, 상기 처리 모듈은 처리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서브 모듈은:
    수신된 상기 네트워크측의 지시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과의 사전 약정에 따라,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 중 각각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유닛;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는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관계 지시 정보는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의 대응관계를 포함하고;
    그중, N과 P는 0보다 큰 정수이고, N은 P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P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어떤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지를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하나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가능한 것을 지시하고; 또는
    상기 대응관계가 N개의 상기 타겟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N개의 상기 제2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 자원 간의 대응관계일 경우, 상기 대응관계는 또한 상기 단말에 N개의 상기 업링크 사운딩 파일럿의 식별자와 대응되는 업링크 빔이 동시에 송신 불가능한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97030362A 2017-03-22 2018-03-14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9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4263A KR102669754B1 (ko) 2017-03-22 2018-03-14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72854.1A CN108631970B (zh) 2017-03-22 2017-03-22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CN201710172854.1 2017-03-22
PCT/CN2018/078986 WO2018171477A1 (zh) 2017-03-22 2018-03-14 一种信号处理方法及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263A Division KR102669754B1 (ko) 2017-03-22 2018-03-14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939A KR20190129939A (ko) 2019-11-20
KR102590209B1 true KR102590209B1 (ko) 2023-10-16

Family

ID=6358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362A KR102590209B1 (ko) 2017-03-22 2018-03-14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49620B2 (ko)
EP (1) EP3606230A4 (ko)
JP (2) JP7096266B2 (ko)
KR (1) KR102590209B1 (ko)
CN (1) CN108631970B (ko)
TW (1) TWI667906B (ko)
WO (1) WO20181714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66A1 (ko)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6461B1 (en) * 2008-03-19 2024-01-17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etting metho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rogram
CN101572896B (zh) 2008-04-29 2011-01-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配置上行探测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20120281582A1 (en) * 2010-01-08 2012-11-08 Tao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 equipment to measure inactive downlink component carrier
CN103036663B (zh) * 2012-12-06 2015-09-09 北京北方烽火科技有限公司 一种lte系统中分配srs资源的方法、装置和基站
CN103974315B (zh) 2013-02-05 2018-01-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三维信道测量资源配置和质量测量方法及设备
US9392639B2 (en) * 2013-02-27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sounding in beamformed massive MIMO systems
US9497047B2 (en) 2013-07-02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ounding channel operation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US20150280796A1 (en) 2014-03-27 2015-10-01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Transmissions via Beam Sector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4955061A (zh) * 2014-03-28 2015-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选择方法及基站
US10028153B2 (en) * 2014-11-03 2018-07-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fficient beam scanning for high-frequency wireless networks
WO2016153405A1 (en) 2015-03-25 2016-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handling and assigning uplink pilots
US11522743B2 (en) * 2016-04-27 2022-12-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design for cellular time division duplex (TDD) mmWave systems
JP6891419B2 (ja) * 2016-07-29 2021-06-1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US11050480B2 (en) * 2016-10-06 2021-06-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CN110431786B (zh) * 2017-01-02 2022-06-03 Lg 电子株式会社 用于上行链路波束校正的srs传输方法及其终端
US11197276B2 (en) * 2017-01-03 2021-1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channel and sounding reference symbol,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71083B1 (ko) * 2017-01-08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560851B2 (en) * 2017-01-13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beam management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10863494B2 (en) * 2018-01-22 2020-12-08 Apple Inc. Control signaling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66A1 (ko)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10273*
3GPP R1-1612861
3GPP R1-1702447*
3GPP R1-1703132
3GPP R1-170375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6230A1 (en) 2020-02-05
WO2018171477A1 (zh) 2018-09-27
KR20190129939A (ko) 2019-11-20
US11949620B2 (en) 2024-04-02
TWI667906B (zh) 2019-08-01
JP2022130526A (ja) 2022-09-06
CN108631970B (zh) 2020-01-31
EP3606230A4 (en) 2020-03-11
US20200036495A1 (en) 2020-01-30
JP7417673B2 (ja) 2024-01-18
KR20230025497A (ko) 2023-02-21
JP7096266B2 (ja) 2022-07-05
JP2020515177A (ja) 2020-05-21
TW201836311A (zh) 2018-10-01
CN108631970A (zh)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4716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0574304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of beam selection
US11412400B2 (en) Method for positioning reference design
AU201635097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160337881A1 (en) Beam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962534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EP35224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esenting quasi co-location parameter configur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US20160338033A1 (en) Acquisition method, beam sending method, communication node,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2119656B (zh) 通信方法、装置、介质、系统及计算机程序产品
KR20190126142A (ko)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20018626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esting and modeling beamforming capabilities of a device under test
JP6949137B2 (ja) 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2590209B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669754B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6174284A (ja) 移動端末試験装置とそのセル追加方法
US20230156680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210002208A (ko)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40064761A1 (en) Method for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determination,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8631827B (zh) 一种上行数据传输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7812709A (zh) 资源的配置方法与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3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906

Effective date: 2022060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2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206

Effective date: 202306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