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142A -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142A
KR20190126142A KR1020197030213A KR20197030213A KR20190126142A KR 20190126142 A KR20190126142 A KR 20190126142A KR 1020197030213 A KR1020197030213 A KR 1020197030213A KR 20197030213 A KR20197030213 A KR 20197030213A KR 20190126142 A KR20190126142 A KR 20190126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quality
reception
training signals
reference sig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162B1 (ko
Inventor
츄빈 가오
라케쉬 탐라카르
신 쑤
츄핑 황
후이 리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12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공개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공개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은,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본 출원은 2017년 3월 17일 중국에 제출한 특허출원 No. 201710160629.6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피크 속도 및 시스템 주파수 스펙트럼의 사용률 향상에 대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의 중요한 작용을 고려하여, LTE(Long Term Evolution,)/LTE-A(LTE-Advanced) 등 무선 액세스 기술 표준은 모두 MIMO+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한 것이다. MIMO 기술의 성능 이득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얻을 수 있는 공간 자유도에서 비롯되므로, MIMO 기술의 표준화 발전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 방향 중 하나는 차원의 확장이다.
LTE Rel-8에서, 최대 4층의 MIMO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Rel-9는 중점적으로 MU-MIMO 기술을 보강하였으며, TM(Transmission Mode)-8의 MU-MIMO(Multi-User MIMO) 전송에서 최대 4개 하향링크 데이터 층을 지원할 수 있다. Rel-10은 8안테나 포트의 지원을 도입하여, 채널 상태 정보의 공간 해상도를 더 높이고, SU-MIMO(Single-User MIMO)의 전송 능력을 최대 8개 데이터층으로 더 확장하였다. Rel-13과 Rel-14는 FD-MIMO 기술을 도입하여 32포트까지 지원되며, 전 차원 및 수직 방향의 빔 포밍을 구현한다.
MIMO 기술을 더 향상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은 대규모 안테나 기술을 도입하였다. 기지국에 대하여, 완전 디지털화된 대규모 안테나는 최대 128/256/512개의 안테나 진동자 및 최대 128/256/512개의 송수신기가 있을 수 있으며, 각 안테나 진동자는 하나의 송수신기와 연결된다. 최대 128/256/512개 안테나 포트의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여, 단말기가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피드백하도록 한다. 단말기에 대해서는, 최대 32/64개 안테나 진동자의 안테나 어레이를 설정할 수도 있다. 기지국과 단말기 이들 양측의 빔 포밍을 통해, 거대한 빔 포밍 이득을 획득하여, 경로 손실로 인한 신호 감쇠를 보상한다. 특히 고주파 대역 통신 예를 들어 30GHz 주파수 포인트에서, 경로 손실로 인해 무선 신호의 분포 범위는 극히 제한적이다. 대규모 안테나 기술을 통해, 무선 신호의 분포 범위를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할 수 있다.
완전 디지털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안테나 진동자는 모두 독립적인 송수신기가 있으므로, 기기의 사이즈, 원가 및 전력 소비가 큰 폭으로 상승한다. 특히, 송수신기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는 지난 10여년 동안, 전력 소비는 1/10 좌우만 감소했으며, 성능 향상도 제한적이다. 기기의 사이즈, 원가 및 전력 소비를 낮추기 위하여, 아날로그 빔 포밍 기반의 기술적 수단과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 빔 포밍 기반의 송수신 아키텍처 수단이 제시되었다.
아날로그 빔 포밍과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 빔 포밍은 모두, 형성된 빔이 통신의 상대 단을 조준할 수 있도록 송수신 양단의 아날로그 빔 포밍 가중치를 조절해야 한다. 하향링크 전송에 대해 말하면, 기지국측이 송신한 빔 포밍 가중치와 단말기측이 수신한 빔 포밍 가중치를 조절해야 한다.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 말하면, 단말기측이 송신한 빔 포밍 가중치와 기지국측이 수신한 빔 포밍 가중치를 조절해야 한다. 빔 포밍의 가중치는 일반적으로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획득한다. 하향링크 방향에서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기가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측정하여, 기지국이 송신한 최적의 빔을 선택하며, 빔과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선택하여, 로컬에 저장한다. 상향링크 방향에서는, 단말기가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이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측정하여, 단말기가 송신한 최적의 빔을 선택하며, 빔과 관련된 정보를 단말기에 전달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선택하여 로컬에 저장한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송수신빔은 트레이닝된 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기기는 디바이스의 비 이상적인 특성 및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간섭의 비 상호성 등으로 인하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빔의 상호성은 항상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지국 또는 단말기는 상대방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기기에 적용되며,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제2 기기의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기기가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또는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되,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인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기기가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 중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는 단계;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되, K는 1보다 큰 정수인 단계;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는 단계;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술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그 중, 상기 방법은,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2 기기에 적용되며,
제1 기기의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그 중,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기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되며, 상술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그 중,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기가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지시 모듈, 제1 연산 모듈, 제2 연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 모듈은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연산 모듈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지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제2 기기의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제1 수신 서브 모듈 및 제1 연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만약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이며;
상기 제1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연산 모듈은 제2 수신 서브 모듈 및 제2 연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만약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처리 모듈은 제1 확정 서브 모듈 및 제2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 중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처리 모듈은 정렬 서브 모듈, 연산 서브 모듈 및 제3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K는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확정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지시 모듈은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지시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지시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그 중,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4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수신 모듈, 제1 송신 모듈 및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제1 기기의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기기의 빔 상호성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기기가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제5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하우징, 프로세서, 메모리, 회로 기판 및 전원 회로를 포함하며,
그 중, 회로 기판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안착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회로 기판에 설치되며; 전원 회로는 상술한 전자 기기의 각 회로 또는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메모리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상술한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서,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상술한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상술한 기술적 수단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는 제2 기기가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고, 수신한 제2 기기의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토대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한다. 다음, 상기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수단을 이용하면,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실하게 확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대응하는 빔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빔을 전송할 수 있으며, 나아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의 제1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의 제2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의 제3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의 제4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의 다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다른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과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공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공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공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은 제1 기기에 적용된다. 그 중, 상기 제1 기기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후속 단계에서의 제2 기기는 단말기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한다.
송신빔과 수신빔의 빔 상호성은, 하나의 기기의 송신과 수신이 동일 그룹의 빔 포밍 가중치를 사용하여, 동일 방향을 가리키는 송신빔 또는 수신빔을 생성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는 송신빔과 수신빔은 확정된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즉, 하나의 단말기(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그 수신빔이 주어지면, 상기 대응 관계를 통해 하나의 송신빔을 확정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하나의 단말기(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그 송신빔이 주어지면, 상기 대응 관계를 통해 하나의 수신빔을 확정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현재 제2 기기 자체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와는 상관없이, 제2 기기는 모두 자체의 빔 상호성을 토대로 송신빔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제2 기기 자체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경우, 제2 기기의 송신 신호의 신호 품질은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을 경우의 송신 신호의 신호 품질보다 좋다. 따라서,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기기의 빔의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해야 한다.
구제적으로, 실제 적용에서, 제1 기기는 아래 방식을 통해 제2 기기가 사용해야 하는 송신빔을 지시할 수 있다.
(1)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에,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2)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그 중, 상기 참조 신호는 파일럿 신호, 데이터 신호, 데이터 채널 등일 수 있다. 그 중, 상기 파일럿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또는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등일 수 있다.
단계 102: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한다.
실제 적용에서, 제1 기기는 아래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 만약 상기 제1 기기가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은 목표 송신빔과 빔 상호성 관계를 갖는 수신빔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목표 송신빔과 빔 상호성에 의해,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확정할 수 있다.
(2)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한다.
그 중,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다는 것은 신호 전력이 가장 강하고,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높다는 것 등을 가리킨다.
(3)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이다.
그 중, 상기 수신 품질은 수신 신호 전력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103: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한다.
실제 적용에서, 제1 기기는 아래 방식을 통해,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1) 만약 상기 제1 기기가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한다.
(2)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한다.
(3)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한다.
단계 104: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이 단계에서, 아래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방식 1: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한다.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방식 2: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되, K는 1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또는 그밖의 다른 연산값, 예를 들어 집합 평균값 등)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한다.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통신 품질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계 102 전에,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 1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제2 기기가 빔 상호성이 구비하는지를 확정한 후, 또한 확정 결과를 제2 기기에 통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그 중, 제1 지정 송신빔과 제2 지정 송신빔은 제1 기기가 임의로 선택한 송신빔 또는 수신 품질을 토대로 확정한 송신빔일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면,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빔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아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단계 104에서는, 상술한 방식에 따라, 제1 기기가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방식에 따라, 제2 기기가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1)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한다.
(2)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한다.
그 중, 상기 제2 기기가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방법은 단계 104의 2가지 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은 제2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제1 기기의 지시를 수신한다.
단계 202: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203: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도록 하며,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이 단계에서, 제2 기기는 먼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한 후,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 품질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 2는,
상기 제1 기기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송신한 것이며,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이때, 제2 기기는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면,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빔의 전송 데이터를 정확하게 선택하고, 나아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아래 방식을 통해,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1)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한다.
(2)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3)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며, 상기 제2 기기가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그 중,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방법은 단계 104에서의 2가지 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를 기지국으로 하고, 제2 기기를 단말기로 한 예를 들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의 구현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기지국은,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상향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한다. 그 중, 기지국은 아래 방식을 통해, 상향링크 송신빔을 어떻게 확정하는지를 단말기에 지시할 수 있다.
(a) 기지국은, 단말기의 현재 최적의 하향링크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송신빔을 연산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한다(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b) 기지국이 단말기에 하나의 하향링크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하향링크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송신빔을 연산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한다.
시그널링에 들어있는 하향링크 송신빔의 식별자는 목표 하향링크 송신빔의 식별자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목표 하향링크 송신빔은 기지국이 단말기의 측정 및 보고를 토대로 확정한,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하향링크 송신빔일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하향링크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송신빔의 시스템에서의 빔 번호일 수 있고,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참조 신호(예를 들어, CSI-RS)의 자원 식별자 등일 수도 있다.
그 중, 송신빔과 수신빔의 빔 상호성은 하나의 기기의 송신과 수신이 동일 그룹의 빔 포밍 가중치를 사용하여, 동일 방향으로의 송신빔 또는 수신빔을 생성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는 송신빔과 수신빔은 확정된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즉, 하나의 단말기(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그 수신빔이 주어지면, 상기 대응 관계를 통해 하나의 송신빔을 확정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하나의 단말기(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그 송신빔이 주어지면, 상기 대응 관계를 통해 하나의 수신빔을 확정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상기 파일럿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 또는 복조 참조 신호(DMRS) 등일 수 있다.
단계 302: 기지국이 단말기가 송신한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한다.
그 중, 상기 수신 품질은 수신 신호의 전력 등일 수 있다.
본 단계에서, 기지국이 상기 파일럿 신호의 상향링크 수신빔을 수신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a) 만약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기지국은 현재의 하향링크 송신빔 또는 단계 301의 시그널링에서 지시된 하향링크 송신빔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b) 기지국은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에서,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에 총
Figure pct00001
개의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 상향링크 수신빔은 한 그룹의 빔 포밍 가중치에 대응되고, n번째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의 빔 포밍 가중치는
Figure pct00002
이며, 그 중, K는 빔 포밍하는 안테나 진동자 수이며, 기지국의 안테나 진동자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단말기가 송신한 파일럿 신호에 대하여, 기지국은 각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파일럿 신호에 대한 수신을 각각 시도한 후,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최종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으로 할 수 있다.
(c) 만약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처음 실행하지 않는 경우라면, 지난번에 본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한 결과를 토대로,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상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 중,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다는 것은 신호 전력이 가장 강하고, 신호대 잡음비가 가장 높다는 것 등을 가리킨다.
단계 303: 기지국은, 단말기에 다수의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의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그 중, 단말기가 송신할 수 있는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의 수량은 단말기의 하드웨어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단말기에 총
Figure pct00003
개의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은 한 그룹의 빔 포밍 가중치에 대응되고, n번째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의 송신빔 포밍 가중치는
Figure pct00004
이며, 그 중, L은 빔 포밍하는 안테나 진동자 수이며, 단말기의 안테나 진동자 수보다 적을 수 있다.
단말기는 각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을 위해, 하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05
개의 상향링크 송신빔에 대하여, 단말기는
Figure pct00006
개의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Figure pct00007
개의 트레이닝 신호 간은 TDM(time-division multiplexing),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또는 여러 가지 다중화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토대로 한 시스템에서,
Figure pct00008
개의 트레이닝 신호는
Figure pct00009
개의 OFDM 부호를 점용하고, 각 트레이닝 신호는 1개의 OFDM 부호를 점용하며, 트레이닝 신호 간은 TDM 다중화 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OFDM 부호에서 다수의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의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발사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간은 FDM 다중화 또는 CDM 다중화 일 수 있다.
단말기에 대해 설명하면, 각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의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는 해당 후보 상향링크 송신빔에 대응하는 빔 포밍 가중치를 사용하여 포밍한 후 송신한다. 그 중, 단말기가 송신한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는 기지국이 설정한 자원 상에서 송신되고, 설정한 자원은 주기적 자원 또는 비 주기적 자원 또는 반 지속적 자원일 수 있다.
단계 304: 기지국은 단말기가 송신한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한다.
그 중, 상기 수신 품질은 수신 신호의 전력 등일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기지국은 아래 방식에 따라 확정된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한다.
(a) 기지국은 단계 302에서 확정된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한다.
(1) 만약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기지국은 현재의 하향링크 송신빔 또는 단계 301의 시그널링에서 지시된 하향링크 빔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2) 기지국은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에서 상기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최종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으로 한다.
(b) 기지국은 단말기가 송신한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을 확정한다. 기지국의 상향링크 수신빔은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에서 선택한 것일 수 있다.
기지국에 총
Figure pct00010
개의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 상향링크 수신빔은 한 그룹의 빔 포밍 가중치에 대응되고, n번째 빔의 수신빔의 포밍 가중치는
Figure pct00011
이며, 그 중, K는 빔 포밍하는 안테나 진동자 수이며, 기지국의 안테나 진동자 수보다 적을 수 있다.
하나의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에 대하여, 기지국은 각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에 대한 수신을 각각 시도한 후,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상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상기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상향링크 수신빔으로 할 수 있다.
단계 305: 기지국은 상기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이 단계에서, 기지국은 아래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a) 기지국은 모든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비교하여, 그 중의 최대값을 확정하여 A로 기록하며, 상기 최대값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송신빔을 최적의 상향링크 송신빔으로 하며,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B로 기록한다.
만약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의 최대값보다 우수하거나(B>A) 또는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의 최대값과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한 문턱값보다 작으면(A-B < Threshold),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인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문턱값은 경험을 토대로 설정할 수 있다.
(b) 기지국은 모든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여,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며(A1, A2,…, AK로 기록),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B로 기록한다. 그 중, K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 K개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또는 다른 연산값, 예를 들어 집합 평균값 등)을 연산한다. 여기서,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할 수 있다.
만약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이 K개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즉,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B > [A1+A2+…+AK]/K), 또는 K개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또는 다른 연산값, 예를 들어 집합 평균값 등)과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한 문턱값보다 작으면([A1+A2+…+AK]/K -B<Threshold),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인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문턱값은 경험을 토대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306: 기지국은 단말기에 빔 상호성 테스트 결과를 송신한다. 즉, 단말기에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통지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단말기가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하였는 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기에 통지할 수 있다.
(a) 단말기가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한 경우:
실제 적용에서, 기지국은 종래의 본 실시예의 수행 결과 또는 사전 판단에 따라, 단말기가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하였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1) 만약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기지국은 단말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기에 테스트 결과를 송신하지 않고, 단말기가 사전에 약정된 기본값에 따라 계속하여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2) 만약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단말기에, 지정된 상향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단말기에 사용이 지시된 상향링크 송신빔(즉, 지정된 상향링크 송신빔)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사용해야 하는 상향링크 송신빔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식별자는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식별자일 수 있다. 단말기는 상기 지시를 수신하면,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전송을 중지하고, 지정된 상향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b) 현재 단말기가 기지국이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전송한 경우:
(1) 만약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기지국은 단말기에,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됨을 나타내고 단말기가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2) 만약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단말기에, 상향링크 송신빔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며 단말기가 사용해야 하는 상향링크 송신빔을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지시 정보는 상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식별자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단말기가 사전의 약정에 따라 계속하여 현재의 상향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단말기의 빔 상호성에 대한 기지국의 테스트 프로세스는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기지국이 비 주기적인 테스트 수행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면, 기지국은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빔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아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가 단말기이고, 제2 기기가 기지국인 예를 들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의 구현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원리는 도 3의 실시예의 원리와 동일하며, 차이점이라면 전송 방향이 서로 다를 뿐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단말기는,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하향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지시한다. 그 중, 단말기는 아래 방식을 통해, 하향링크 송신빔을 어떻게 확정하는지를 기지국에 지시할 수 있다.
(a) 단말기는, 기지국의 현재 최적의 상향링크 수신빔(또는 현재 사용하는)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송신빔을 연산하도록 기지국에 지시한다(예를 들어, 단말기는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b) 단말기는, 하나의 상향링크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상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송신빔을 연산하도록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 402: 단말기는 기지국이 송신한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한다.
그 중, 상기 수신 품질은 수신 신호 전력 등일 수 있다.
본 단계에서, 단말기가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은,
(a) 만약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단말기는 현재의 상향링크 송신빔 또는 단계 401의 시그널링에서 지시한 상향링크 송신빔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b) 단말기는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에서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한다.
기지국이 송신한 파일럿 신호에 대하여, 단말기는 각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파일럿 신호에 대한 수신을 각각 시도한 후,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최종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으로 할 수 있다.
(c) 만약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처음 실행하지 않는 경우라면, 지난번에 본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한 결과를 토대로,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하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상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403: 단말기는, 다수의 후보 하향링크 송신빔의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지시한다.
단계 404: 단말기는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한다.
그 중, 상기 수신 품질은 수신 신호의 전력 등일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단말기는 아래 방식에 따라 확정한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한다.
(a) 기지국은, 단계 402에서 확정된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한다.
(1) 만약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단말기는 현재의 상향링크 송신빔 또는 단계 401의 시그널링에서 지시한 상향링크 빔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2) 단말기는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에서 상기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최종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으로 한다.
(b) 단말기는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링크 수신빔을 확정한다. 단말기의 하향링크 수신빔은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에서 선택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에 대하여, 단말기는 각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에 대한 수신을 각각 시도한 후,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하향링크 수신빔을 선택하여 상기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하향링크 수신빔으로 할 수 있다.
단계 405: 단말기는 상기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이 단계에서, 단말기는 아래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a) 단말기는 모든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비교하여, 그 중의 최대값을 확정하여 A로 기록하며, 상기 최대값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송신빔을 최적의 상향링크 송신빔으로 하며,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B로 기록한다.
만약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이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의 최대값보다 우수하거나(B > A) 또는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의 최대값과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한 문턱값보다 작으면(A-B < Threshold),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인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문턱값은 경험을 토대로 설정할 수 있다.
(b) 단말기는 모든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여,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A1, A2,…, AK로 기록)을 선택하며,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B로 기록한다. 그 중, K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 K개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또는 다른 연산값, 예를 들어 집합 평균값 등)을 연산한다. 여기서,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할 수 있다.
만약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이 K개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즉,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B > [A1+A2+…+AK]/K), 또는 K개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또는 다른 연산값, 예를 들어 집합 평균값 등)과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한 문턱값보다 작으면([A1+A2+…+AK]/K - B < Threshold),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인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문턱값은 경험을 토대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406: 단말기는 기지국에 빔 상호성 테스트 결과를 송신한다. 즉, 기지국에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통지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이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하였는 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통지할 수 있다.
(a) 기지국이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한 경우:
실제 적용에서, 단말기는 종래의 본 실시예의 수행 결과 또는 사전 판단에 따라, 기지국이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하였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1) 만약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단말기는 기지국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또는 단말기가 기지국에 테스트 결과를 송신하지 않고, 기지국이 사전에 약정된 기본값에 따라 계속하여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2) 만약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단말기는 기지국에, 지정된 하향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기지국에 사용을 지시한 하향링크 송신빔(즉, 지정된 하향링크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기지국이 사용해야 하는 하향링크 송신빔을 지시한다. 상기 식별자는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식별자일 수 있다.
(b) 현재 기지국이 단말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전송한 경우:
(1) 만약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된다면, 단말기는 기지국에,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됨을 나타내고 기지국이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2) 만약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단말기는 기지국에, 하향링크 송신빔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기지국이 사용해야 하는 하향링크 송신빔을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지시 정보는 하향링크 빔 트레이닝 신호의 식별자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단말기는 기지국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기지국이 사전 약정에 따라 계속하여 현재의 하향링크 송신빔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기지국의 빔 상호성에 대한 단말기의 테스트 프로세스는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기가 비 주기적인 테스트 수행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계 405 후에 단계 406을 생략하고, 단말기가 비교 결과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기지국 자체가 기지국의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서, 단계 404 후에 단계 405와 406을 생략하고, 단말기가, 획득한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모두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이 비교하여 기지국의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그 중, 기지국이 기지국 자체의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방식은 실시예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면, 단말기는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빔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아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는 지시 모듈(501), 제1 연산 모듈(502), 제2 연산 모듈(503) 및 처리 모듈(504)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 모듈(501)은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연산 모듈(502)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연산 모듈(503)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504)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참조 신호는 파일럿 신호,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채널 등일 수 있다. 그 중, 상기 파일럿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 또는 복조 참조 신호 등일 수 있다.
그 중, 상기 지시 모듈(501)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제2 기기의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1 연산 모듈(502)은 제1 수신 서브 모듈 및 제1 연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만약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이며; 상기 제1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연산 모듈(503)은 제2 수신 서브 모듈 및 제2 연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만약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처리 모듈(504)은 제1 확정 서브 모듈 및 제2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상기 처리 모듈(504)은 정렬 서브 모듈, 연산 서브 모듈 및 제3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K는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확정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효율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시 모듈(501)은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이때, 상기 제1 연산 모듈(502)은 상기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통신 품질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50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505)은,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지시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지시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을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실제 적용에서, 상기 처리 모듈(504)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에 따른 장치의 작동 원리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면,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빔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아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장치는, 수신 모듈(701), 제1 송신 모듈(702) 및 제2 송신 모듈(703)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701)은 제1 기기의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듈(702)은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송신 모듈(703)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1 송신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 적용에서, 상기 수신 모듈(701)은 또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이때, 상기 제2 송신 모듈(703)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품질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 모듈(701)은 또한 상기 제1 기기의 빔 상호성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장치는 처리 모듈(70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704)은 상기 제1 기기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이다.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 적용에서, 상기 제2 송신 모듈(7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기가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에 따른 장치의 작동 원리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이용하면, 제1 기기는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빔을 정확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아가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하우징(901), 프로세서(902), 메모리(903), 회로 기판(904) 및 전원 회로(905)를 포함하며, 그 중, 회로 기판(904)은 하우징(901)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안착되고, 프로세서(902)와 메모리(903)는 회로 기판(904)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회로(905)는 상술한 전자 기기의 각 회로 또는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메모리(903)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902)는 메모리(903)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902)의 상술한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프로세스 및 프로세서(902)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작동시켜 추가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전술한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지시 모듈, 제1 연산 모듈, 제2 연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한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을 구현한다.
상기 지시 모듈은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연산 모듈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행하는 경우, 수신 모듈, 제1 송신 모듈 및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 기능 모듈 또는 유닛을 구현한다.
상기 수신 모듈은 제1 기기의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상기 실시예에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또는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1000) 및 송수신기(101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1000)는 메모리(10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기에 지시하는 프로세스;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프로세스;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는 프로세스;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1010)는 프로세서(10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10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0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00)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020)는 프로세서(1000)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0)는 또한 상기 단말기에, 상기 단말기의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000)는 또한 만약 상기 기지국이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단말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이다.
프로세서(1000)는 또한 만약 상기 기지국이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단말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000)는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고;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000)는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되, K는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며;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000)는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상기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프로세서(1000)는 또한 만약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단말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단말기에,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이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단말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이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단말기에,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도 11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1100) 및 송수신기(1111)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1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기의 지시를 수신하는 프로세스;
상기 단말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상기 단말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1111)는 프로세서(11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11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1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111)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120)는 프로세서(1100)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120)는 프로세서(1100)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100)는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100)는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100)는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송신한 것이다.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프로세서(1100)는 또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100)는 또한 상기 단말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하여, 상기 기지국이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기지국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기지국이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1200) 및 송수신기(1212)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1200)는 메모리(12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지시하는 프로세스;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프로세스;
상기 기지국이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는 프로세스;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1212)는 프로세서(12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12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2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212)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기기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00)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상기 기지국에, 상기 기지국의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만약 상기 단말기가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기지국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이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만약 상기 단말기가 빔 상호성을 가진다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기지국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서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며;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되, K는 1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며;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술한 상기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이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만약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다.
프로세서(1200)는 또한 상기 기지국에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기지국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기지국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1300) 및 송수신기(131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3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지국의 지시를 수신하는 프로세스;
상기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상기 기지국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1310)는 프로세서(13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13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3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3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기기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320)는 프로세서(1300)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또한 상기 기지국의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300)는 또한 상기 기지국의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300)는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300)는 또한 상기 기지국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의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의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이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의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이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이다.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프로세서(1300)는 또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300)는 또한 상기 기지국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단말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단말기가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단말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한다.
본 출원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과 장치가 그밖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하나의 로직 기능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다.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표시 또는 검토된 상호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그밖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결합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는 상기 집적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PC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로 하여금 본 공개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방법의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이동하드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본 공개의 선택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 본 공개에서 설명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량과 윤색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34)

  1. 제1 기기에 적용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에 있어서,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제2 기기의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기기가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참조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또는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되,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인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기기가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의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 중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는 단계;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되, K는 1보다 큰 정수인 단계;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는 단계;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술한 상기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1. 제2 기기에 적용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에 있어서,
    제1 기기의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기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되,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되며;
    상술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기가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방법.
  17. 지시 모듈, 제1 연산 모듈, 제2 연산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 모듈은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연산 모듈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제2 기기의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토대로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제1 수신 서브 모듈 및 제1 연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 서브 모듈은, 만약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최적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빔은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이며;
    상기 제1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 모듈은 제2 수신 서브 모듈 및 제2 연산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 서브 모듈은, 만약 빔 상호성을 구비하면, 현재 송신빔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지시된 목표 송신빔에 대응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수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현재 시각에,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각각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확정하며, 후속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신호를 상기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 수신빔을 사용하여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제1 확정 서브 모듈 및 제2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 중 최대 수신 품질을 확정하고, 상기 최대 수신 품질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정렬 서브 모듈, 연산 서브 모듈 및 제3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정렬 서브 모듈은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내림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로 상위 K개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K는 1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연산 서브 모듈은 상기 K개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의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상기 참조 수신 품질로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확정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이 상기 참조 수신 품질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참조 수신 품질과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의 차이가 기설정 문턱값보다 작다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모듈은 또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연산 모듈은 상기 기기가 송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지시에 따라 송신한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지시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만약 상기 제2 기기가 지시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확정되고,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되면, 상기 제2 기기에,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제4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로 하여금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7. 수신 모듈, 제1 송신 모듈 및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제1 기기의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의 지시에 따라, 빔 상호성을 토대로 획득한 송신빔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을 연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시그널링을 토대로, 현재 최적의 수신빔 또는 현재 사용하는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며,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목표 송신빔의 식별자 정보가 포함된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를 토대로, 상기 목표 송신빔을 수신하는 최적의 수신빔을 사용하여 송신빔을 확정하고, 확정된 송신빔을 사용하여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술한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것에 관한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기기의 빔 상호성 테스트 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의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호성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4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4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가 지시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송신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정보에는 제1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2 기기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지시 정보에는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가 더 포함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지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2 지정 송신빔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지정 송신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에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 기기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을 각각 연산하고,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품질과, 상기 다수의 빔 트레이닝 신호의 수신 품질에 따라 획득한 참조 수신 품질을 비교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비교 결과를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기기가 비교 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2 기기의 빔 상호성이 성립되는지를 확정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기기의 빔 상호성 확정 장치.
  33. 하우징, 프로세서, 메모리, 회로 기판 및 전원 회로를 포함하며,
    그 중, 회로 기판은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안착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회로 기판에 설치되며; 전원 회로는 상술한 전자 기기의 각 회로 또는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메모리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제1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 전자 기기.
  34.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97030213A 2017-03-17 2018-03-08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358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160629.6 2017-03-17
CN201710160629.6A CN108631842B (zh) 2017-03-17 2017-03-17 一种确定设备波束互易性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PCT/CN2018/078469 WO2018166401A1 (zh) 2017-03-17 2018-03-08 一种确定设备波束互易性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142A true KR20190126142A (ko) 2019-11-08
KR102358162B1 KR102358162B1 (ko) 2022-02-03

Family

ID=6352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213A KR102358162B1 (ko) 2017-03-17 2018-03-08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1860B2 (ko)
EP (1) EP3598661B1 (ko)
JP (1) JP6972162B2 (ko)
KR (1) KR102358162B1 (ko)
CN (1) CN108631842B (ko)
WO (1) WO2018166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5462B2 (en) * 2019-01-29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ordinated beamforming in millimeter wave systems
US11489577B2 (en) * 2019-02-14 2022-11-01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for establishing beam reciprocity, related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network nodes
US20220201505A1 (en) * 2019-04-30 2022-06-23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for enabling beam reference signalling, wireless devices and network nodes
CN114765860A (zh) * 2021-01-11 2022-07-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149228A (ko) 2021-04-30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강화 학습 기반의 빔 훈련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669B1 (ko) * 2011-07-06 2012-11-19 주식회사 투니텔 다중 입출력 가시광 통신 시스템
KR20160081114A (ko) * 2014-12-30 2016-07-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위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가시광 통신 시스템
US20160285583A1 (en) * 2015-03-28 2016-09-29 Assaf Kasher Reciprocity detection and utilization techniques for beamforming train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207B2 (en) * 2005-10-31 2013-11-2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quality feedback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8422961B2 (en) * 2009-02-23 2013-04-16 Nokia Corporation Beamforming training for functionally-limited apparatuses
WO2010099040A1 (en) 2009-02-24 2010-09-02 Marvell World Trade Ltd. Techniques for flexible and efficient beamforming
CN104735685B (zh) * 2013-12-20 2019-04-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系统
CN104734754A (zh) 2013-12-20 2015-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赋形权值训练方法及基站、终端
RU2667067C1 (ru) * 2014-10-08 2018-09-14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Измер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мобильности
CN105790886A (zh) * 2014-12-24 2016-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包发送、接收方法、装置、基站及终端
JP6762303B2 (ja) 2015-08-31 2020-09-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CN107124323B (zh) * 2016-02-24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资源指标的方法和装置
CN106027181B (zh) 2016-07-15 2019-09-13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认知无线电技术的信道测量和反馈方法
US20200037297A1 (en) * 2016-09-28 2020-01-30 Idac Holdings, Inc. New radio random access in beamforming systems
US10637544B1 (en) * 2018-04-24 2020-04-28 Genghiscomm Holdings, LLC Distributed radio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669B1 (ko) * 2011-07-06 2012-11-19 주식회사 투니텔 다중 입출력 가시광 통신 시스템
KR20160081114A (ko) * 2014-12-30 2016-07-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위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가시광 통신 시스템
US20160285583A1 (en) * 2015-03-28 2016-09-29 Assaf Kasher Reciprocity detection and utilization techniques for beamforming train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29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1860B2 (en) 2021-08-24
EP3598661B1 (en) 2021-04-28
CN108631842A (zh) 2018-10-09
KR102358162B1 (ko) 2022-02-03
EP3598661A4 (en) 2020-01-29
US20200287604A1 (en) 2020-09-10
CN108631842B (zh) 2021-06-04
JP6972162B2 (ja) 2021-11-24
WO2018166401A1 (zh) 2018-09-20
EP3598661A1 (en) 2020-01-22
JP2020512745A (ja)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3503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JP7258123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CN107148790B (zh) 用于波束成形信道状态参考信号的系统和方法
CN110912665B (zh)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TWI595759B (zh) Hybrid beamforming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equipment
JP7273719B2 (ja) アップリンク送信ビーム特定方法および装置
KR102358162B1 (ko) 기기의 빔 상호성을 확정하는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059125B1 (ko)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코드워드 구성 장치 및 방법
JP7097385B2 (ja) 送信ビーム情報を取得する方法と装置、および送信ビーム情報をフィードバックする方法と装置
CN108400852B (zh) 一种大尺度信道参数的指示、确定方法、基站及终端
WO2018059154A1 (zh) 一种波束处理方法、基站及移动终端
WO2014071852A1 (zh) 一种基于天线阵列的参考信号映射方法、装置及系统
EP34962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measurement and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JP7451507B2 (ja) Csiの報告方法及び装置、端末並びにネットワーク側機器
CN109120313B (zh) 一种秩指示上报方法和装置、指示方法和装置
KR20210044272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US20190230673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20220094402A1 (en) Electronic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7208154B2 (ja) ビーム制御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