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833B1 -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833B1
KR102589833B1 KR1020220126541A KR20220126541A KR102589833B1 KR 102589833 B1 KR102589833 B1 KR 102589833B1 KR 1020220126541 A KR1020220126541 A KR 1020220126541A KR 20220126541 A KR20220126541 A KR 20220126541A KR 102589833 B1 KR102589833 B1 KR 10258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mobility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필
유소영
유승민
이준
정은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2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의 참여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Demand-Response Mobility Services based on Virtual Stop Point}
본 개시는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수요응답형 정류장 선정 및 차량배치시스템은, 실제 버스 정류장을 모빌리티의 승하차장으로 이용하거나, 후보 정류장 리스트를 사전에 설정 후 고객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도시의 넓은 범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후보정류장의 개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공간정보를 사전에 추출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사전에 설정된 후보 정류장이 고객의 현재 위치와 먼 경우, 또는 고객이 후보 정류장까지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운영시, 추가 인프라 건설 없이도 운전자와 고객 상호 간에 동일한 물리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의 참여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계산부; 및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현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드웨어인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운영시, 추가 인프라 건설 없이도 운전자와 고객 상호 간에 동일한 물리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거리 간격으로 반드시 존재하고 있는 공공 시설물을 가상 정류장으로 활용함으로써,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이용을 위한 고객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제공자와 고객의 불편을 동시에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정류장 내 고객안내 관련 인프라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고객의 대기위치와 운전자의 정차위치 간의 미스매칭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운영시에 고객의 오승차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고객이 복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중에서 자신이 탑승할 모빌리티를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신속한 승차가 가능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시스템은, 고객 디바이스(100), 운전자 디바이스(120), DRT 서버(140) 및 공공기관 서버(1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디바이스(100)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소지하는 디바이스이고,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운전자가 소지하는 디바이스이다.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의 각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전술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DRT 서버(14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에 관계없이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으로부터 공공시설물을 인식하고/거나 증강현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DRT 서버(140)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이다. DRT 서버(140)는 고객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를 배차하고, 배차된 모빌리티에 대한 정보를 고객 디바이스(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RT 서버(140)는 배차된 모빌리티의 운전자 디바이스(120)에게 고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공공기관 서버(160)는 공공 시설물을 관리하는 기관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이다. 여기서, 공공 시설물은, 전신주, 가로등주, 보안등주, 교통신호주 및 CCTV 지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공기관 서버(160)는 공공 시설물의 개별 위치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을 수 있다.
고객 디바이스(100), 운전자 디바이스(120), DRT 서버(140) 및/또는 공공기관 서버(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개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고객 디바이스(100), 운전자 디바이스(120) 및/또는 DRT 서버(140)는 참여자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참여자 디바이스는, 비마커 기반의 AR(Marker-Less Augmented Reality) 기술과 도로 주변에 설치된 공공시설물을 활용하여 가상정류장의 공간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참여자 디바이스는, AR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증강현실상에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파악된 가상정류장의 공간정보와 차량의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양방향(고객과 운전자)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도로주변에 설치된 가상정류장의 증강현실화면에 실시간 교통정보를 특정시간 간격으로 현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디바이스(20)는 데이터 수집부(200), 계산부(220), 분석부(240), 구조 생성부(260) 및 현시부(2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참여자 디바이스(20)에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개의 구성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 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복수개의 물리적 장치에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데이터 수집부(200)는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공공 시설물은, 도로 주변에 설치된 시설물로서, 전신주, 가로등주, 보안등주, 교통신호주 및 CCTV 지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공 시설물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있을 수 있다. 참여자 디바이스(20)는, 공공기관 서버(160)로부터 각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함께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상호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
계산부(220)는 영상으로부터 피사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피사체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은, 참여자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계산부(220)의 기능이 DRT 서버(14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다른 참여자 디바이스, 즉, 고객 디바이스(100) 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가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유사도를 계산할 수도 있다. 계산부(220)는 산출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계산부(220)는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공공 시설물의 유형(예컨대, 전신주, 가로등주, 보안등주, 교통신호주 또는 CCTV 지주)을 식별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에서 감지된 피사체와 특정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이를 기초로 피사체가 소정의 물체인지를 판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영상처리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산부(2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부(220)는, 영상을 촬영한 디바이스의 위치,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공공 시설물의 유형,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피사체로의 방향을 이용하여,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계산부(220)는, 영상을 촬영한 디바이스의 위치,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피사체로의 방향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와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공공 시설물의 유형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정보 중 추정된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의 위치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계산부(22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피사체 상에 부착된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식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식별정보에 연관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계산부(220)는,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된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해당 피사체에 부착된 번호찰을 감지하고, 문자 인식을 통해 번호찰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산부(220)는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되고/거나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가 기설정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면, 해당 피사체를 가상 정류장으로 식별할 수 있다.
분석부(240)는 탑승자 및/또는 모빌리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부(240)는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에 탑재된 GPS 모듈이 생성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분석부(240)는 획득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40)는 감지된 피사체(또는 가상 정류장)와, 탑승자 및/또는 모빌리티 간의 거리 및 예상 이동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분석부(2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거리 및 예상 이동소요시간을 갱신할 수 있다.
구조 생성부(260)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영상 위에 오버레이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구조 생성부(260)는 기설정된 3D 가상 정류장의 구조를 바탕으로, 3D 가상 정류장 구조물의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화면 내에 가상 정류장에 대응하는 공공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구조 생성부(260)는 가상 정류장으로의 방향을 지시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구조 생성부(260)는 영상 상에서, 그래픽 오브젝트를 오버레이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구조 생성부(260)는 영상을 촬영한 디바이스의 위치,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피사체와의 거리,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피사체로의 방향, 영상 내의 피사체의 크기 및 자세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그래픽 오브젝트를 오버레이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및 자세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시부(280)는, 촬영된 영상에, 구조 생성부(260)로부터 획득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시부(28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제1 영역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현시부(280)는 영상에서 피사체가 존재하는 위치로부터 기정의된 범위 내의 영역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시부(28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제2 영역에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와 가상 정류장 사이의 거리, 및 모빌리티의 도착 예정시간을 오버레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시부(28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제3 영역에,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로부터 가상 정류장까지의 경로를 오버레이할 수도 있다.
현시부(280)는, 영상을 촬영하는 디바이스가 이동함에 따른, 영상 내의 피사체의 위치, 자세 및/또는 크기 변화를 추적하여 이를 기초로 그래픽 객체를 오버레이 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갱신되는 교통정보를 디스플레이되는 증강현실 화면에 반영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참여자 디바이스(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생략한다.
참여자 디바이스(20)는,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300).
참여자 디바이스(20)는,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피사체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S320).
참여자 디바이스(20)는,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판단할 수 있다(S340).
참여자 디바이스(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S360).
일부 실시예에서, 참여자 디바이스(20)는, 감지된 피사체에 정차할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식별된 위치정보 및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간의 거리 및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도착 예정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참여자 디바이스(2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80).
일부 실시예에서, 참여자 디바이스(20)의 동작 방법은,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된 피사체를 가상 정류장으로 선정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참여자 디바이스(20)는,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호출 요청을 다른 참여자 디바이스(예컨대, DRT 서버(140) 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참여자 디바이스(20)의 동작 방법은,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와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참여자 디바이스(20)는,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로부터 기정의된 범위 내의 영역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반면, 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참여자 디바이스(20)는,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로부터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로의 방향을 지시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오버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고객 디바이스(100)는,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S400).
고객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영상에서 감지된 공공 시설물을 가상 정류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고객 디바이스(100)는 도 3의 과정 S320 내지 과정 S340을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공공 시설물을 감지할 수 있다.
고객 디바이스(100)는 선정된 가상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을 DRT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S420). 여기서, 서비스 요청은,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객 디바이스(100)는 도 3의 과정 S36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DRT 서버(140)는 고객 디바이스(1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모빌리티를 배차하고, 고객 디바이스(100) 및 운전자 디바이스(120)에 배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422 및 S424).
고객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운전자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26). 운전자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는, DRT 서버(140)를 경유하여, 고객 디바이스(100)로 전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객 디바이스(100)는, 자신의 위치정보, 운전자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 및/또는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32).
고객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 및 교통정보를 안내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오버레이한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40).
한편,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사전에 촬영을 개시하고 있거나, 가상 정류장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하면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S450).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촬영된 영상에서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S460). 예를 들어,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촬영된 영상에서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되는 피사체를 감지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정보를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된 피사체가 가상 정류장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고객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26). 고객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는, DRT 서버(140)를 경유하여, 운전자 디바이스(120)로 전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자신의 위치정보, 고객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 및/또는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72).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촬영된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 및 교통정보를 오버레이한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80).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S50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거나, 또는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한 경우에 촬영이 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촬영된 영상을 DRT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S510).
DRT 서버(140)는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DRT 서버(140)는 수신한 영상에서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되는 피사체를 감지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정보를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된 피사체가 가상 정류장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DRT 서버(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530).
DRT 서버(140)는, 고객 디바이스(100)의 위치정보, 운전자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 및/또는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72).
DRT 서버(140)는,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가 촬영한 영상 위에 오버레이할 그래픽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S540). 그래픽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가상 정류장 구조물 및/또는 가상 정류장으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RT 서버(140)는 교통정보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고객 디바이스(100) 및/또는 운전자 디바이스(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S550). 한편, 도 5에서는 DRT 서버(140)가 교통정보 및 그래픽 오브젝트를 함께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교통정보 및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이한 시점에 전송될 수도 있다.
운전자 디바이스(120)는 촬영한 영상에 교통정보 및/또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오버레이한 증강현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80).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60)는 메모리(600), 프로세서(620), 스토리지(640), 입출력 인터페이스(660) 및 통신 인터페이스(68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60)는 전술한 고객 디바이스(100), 운전자 디바이스(120) 및/또는 DRT 서버(14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60)는 데스크탑 컴퓨터, 서버, AI 가속기 등과 같은 고정형(stationary) 컴퓨팅 장치뿐만 아니라,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mobile)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메모리(600)는 프로세서(620)로 하여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2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executable)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명령어들이 프로세서(620)에 의해서 실행됨으로써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600)는 단일 메모리 또는 복수의 메모리들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상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는 단일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복수의 메모리들에 나뉘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600)가 복수의 메모리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메모리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메모리(60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620)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메모리(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단일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스토리지(640)는 컴퓨팅 장치(6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스토리지(640)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640)는 프로세서(620)에 의해서 처리될 데이터 및 프로세서(620)에 의해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640)는 공공 시설물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영상을 기반으로 공공 시설물을 인식하는 프로그램, 가상 정류장을 기반으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수집된 공공시설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6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는, 프로세서(620)에 의해서 실행되기 이전에 메모리(600)로 로딩될 수 있다. 스토리지(640)는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된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파일로부터 컴파일러 등에 의해서 생성된 프로그램은 메모리(600)로 로딩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60)는 카메라, 터치 인터페이스,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등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660)를 통해 프로세서(620)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80)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60)는 통신 인터페이스(680)를 통해 다른 장치(예컨대, 다른 참여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흐름도/타이밍도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흐름도/타이밍도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흐름도/타이밍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의 참여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사체를 상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를 호출할 가상 정류장으로 선정하거나 상기 피사체가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공공기관이 운용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상호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 상에 부착된 번호찰을 감지하고, 문자 인식을 이용하여 상기 번호찰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과정; 및
    조회된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로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공 시설물은,
    도로 주변에 설치된 시설물로서, 전신주, 가로등주, 보안등주, 교통신호주 및 CCTV 지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영상을 촬영한 디바이스의 위치,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공공 시설물의 유형,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피사체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정차할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상기 식별된 위치정보 및 상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간의 거리 및 상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도착 예정시간을 산출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제1 영역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고,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의 제2 영역에 상기 산출된 거리 및 도착 예정시간을 오버레이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사체를 가상 정류장으로 선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호출 요청을 상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 또는 모빌리티의 운전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로부터 기정의된 범위 내의 영역에 상기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와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로부터 기정의된 범위 내의 영역에 상기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의 위치정보로의 방향을 지시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오버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및 형태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피사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형태정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 중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계산부; 및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 가상 정류장 구조물을 오버레이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현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공공기관이 운용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공공 시설물들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상호 연관시켜 저장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감지된 피사체가 공공 시설물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사체를 상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를 호출할 가상 정류장으로 선정하거나 상기 피사체가 기선정된 가상 정류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식별하고,
    상기 피사체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 상에 부착된 번호찰을 감지하고, 문자 인식을 이용하여 상기 번호찰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조회하며, 조회된 식별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상기 감지된 피사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20126541A 2022-10-04 2022-10-04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8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541A KR102589833B1 (ko) 2022-10-04 2022-10-04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541A KR102589833B1 (ko) 2022-10-04 2022-10-04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833B1 true KR102589833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541A KR102589833B1 (ko) 2022-10-04 2022-10-04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8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03B1 (ko) * 2013-04-15 2014-09-1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Gps 단말기 및 gps 위치 보정 방법
KR20200128343A (ko) * 2019-06-14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차량을 호출하는 방법
KR20210010395A (ko) * 2019-07-17 2021-01-27 서상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류장 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2754A (ko) * 2020-08-19 2022-02-28 인포뱅크 주식회사 수요응답형 자율주행버스의 실시간 상태변화에 기반한 포장 주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20161797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스마트웨이 모바일 웹 택시 호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03B1 (ko) * 2013-04-15 2014-09-1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Gps 단말기 및 gps 위치 보정 방법
KR20200128343A (ko) * 2019-06-14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차량을 호출하는 방법
KR20210010395A (ko) * 2019-07-17 2021-01-27 서상화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류장 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2754A (ko) * 2020-08-19 2022-02-28 인포뱅크 주식회사 수요응답형 자율주행버스의 실시간 상태변화에 기반한 포장 주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20161797A (ko)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스마트웨이 모바일 웹 택시 호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6312B2 (en) Localizing transportation requests utilizing an image based transportation request interface
CN109582880B (zh) 兴趣点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9008621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442813B (zh) 一种基于ar的旅游纪念信息处理系统及方法
CN112101339B (zh) 地图兴趣点的信息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50186426A1 (en) Searching information using smart glasses
US10445772B1 (en) Label placement based on objects in photographic images
CN110390054A (zh) 兴趣点召回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JP2016125851A (ja) 施設の営業状態変化推定装置、出力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738443B1 (ko) 증강 현실 콘텐츠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60212591A1 (en) Exhibition guide apparatus, exhibition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exhibition guide method
CN109872392A (zh) 基于高精地图的人机交互方法和装置
Yeh et al. A city parking integration system combined with cloud computing technologies and smart mobile devices
CN111414558B (zh) 导航路线的发送方法、显示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US10451431B2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device, route search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9418351B2 (en) Automated network inventory using a user device
CN114554391A (zh) 一种停车场寻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589833B1 (ko)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5424465B (zh) 停车场地图的构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460470B (zh) 服务点预约方法及装置
JP738995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13002B1 (ko) 영상기반 경로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방법
CN114237250B (zh) 目标区域内的导航建议路线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402018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erson search
KR20140089960A (ko) 지점정보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는 검색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