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220B1 -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220B1
KR102589220B1 KR1020230066224A KR20230066224A KR102589220B1 KR 102589220 B1 KR102589220 B1 KR 102589220B1 KR 1020230066224 A KR1020230066224 A KR 1020230066224A KR 20230066224 A KR20230066224 A KR 20230066224A KR 102589220 B1 KR102589220 B1 KR 10258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weight
acid
pest management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아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아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아그로
Priority to KR1020230066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황 75 내지 90 중량%; 분산제 0.5 내지 3 중량%; 증점제 0.1 내지 6 중량%; 보존제 0.1 내지 2 중량%; 동결방지제 2 내지 7 중량%; 소포제 0.01 내지 1 중량%; 및 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Sulfur hydrated colloidal composition for pest control}
본 발명은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수 엽채류, 과채류, 구근류 등의 식품용 재배농작물에 대하여 친환경 유기농업을 위한 병충해 예방 및 방제 대안으로 유황(sulfur)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유황은 주요 필수식물영양소 중의 하나로서 농업적으로는 비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토양에 살포시 살균, 살충작용이 있어서 천연 농약으로도 사용되며, 농가에서는 관주용으로 사용하여 효과를 보고 있다. 현재 상업화되어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황은 화석연료(원유, 천연가스 등)에서 탈황시켜 얻거나 화산지대에서 채취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천연 유황은 독성이 강하여 농작물에 약해를 많이 입히어 통상적으로 약해를 줄이기 위해 유황의 법제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허 10-0908001호).
유황의 천연 농약으로서의 사용형태 중 하나는 분제(분말형으로 가공된) 유황인데, 유황 분제는 공중으로 분산되면서 비닐하우스 및 철제에 마찰하여 고가의 비닐과 철제를 부식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분말끼리 돌돌 말리면서 한 곳으로 모여 식물에 대한 약해가 심하고, 바람 및 물에 의하여 유실이 심하였다(공개특허 1997-064372호). 이와 같은 유황 분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액상 형태의 유황 수화조성물(등록특허 10-1658613호)이 개발된바 있으나, 액상이어서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동결 우려가 있고, 일부 사용 후 용기의 뚜껑을 닿아 놓아도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수분 증발로 고결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물의 함량이 많아(약50%) 물류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안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물류비용이 저렴한 입상수화제 타입의 유황 친환경농약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종래 유황 분말을 포함하는 입상수화제를 제조할 경우 입상 내에 유황이 고루 분포되지 않고 일부에 뭉쳐 존재하거나 저온의 물에서는 분산이 신속히 일어나지 않거나 분산안정성이 좋지 않아 사용 도중에 유황이 침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유황 단독으로 입상화한 제품은 식물 약해(유황으로 농작물에 살포 시 잎의 백화 및 고사 발생) 발생 빈도가 높았다.
흰가루병은 전 세계적으로 11,800여종의 식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400여종의 식물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중에서 보리, 밀 등의 곡물류와 오이, 딸기, 토마토 등의 채소류, 사과, 포도, 배 등의 과수류, 그리고 장미, 거베라 등의 화훼류에서 흰가루병의 피해가 크다. 특히 국내에서 시설재배의 딸기, 오이, 가지, 및 장미 등 거의 모든 작물에서 흰가루병의 피해가 큰데 그 원인은 일조량 부족, 환기불량, 밀식재배, 질소비료 과용 등 국내시설재배 특성상 흰가루병 발병을 극복하기 어려운 재배환경 때문이다.
흰가루병 방제용으로 사용하는 약제는 Piperazine, Pyrimidine, Imidazole, Triazole 등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와 Benzimidazole계 및 Strobilurin계의 화합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는 피페라진계의 Triforine, 피리미딘계의 Nuarimol, Fenarimol, 트리아졸계의 Triadimefon, Flusilazole 등이 있다.
흰가루병 방제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기는 했으나, 현실적으로는 상기와 같은 유기합성 살균제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흰가루병 방제에 사용된 금액은 전체 살균제의 약 10%에 달하고 있다. 하지만 계속되는 살균제 사용으로 약제 저항성균이 유발되는 등 약효저하에 대한 보고가 계속되고 있으며 농약의 오ㆍ남용에 의한 농산물 잔류문제가 제기되면서 환경 친화적인 새로운 흰가루병 방제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물농약으로서 흰가루병을 방제하고자 하는 노력은 천연물, 미생물 등을 이용한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며 특히 세균인 바실러스속 균들을 활용한 미생물 농약들이 개발되었으나, 효과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안전한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 농약은 아직까지 정착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8613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형의 층 분리 현상이 없으며, 장기 보존이 안정적으로 가능하여 유통에 불편함이 없으며, 물에 희석 시 수화성이 좋아서 황 뭉침현상과 노즐막힘이 방지되어 드론, 광역방제기 등의 살포에 유용하여, 화학비료와 농약의 대안으로 사용될 있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가루병 발생 방지 효과가 우수한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황 35 내지 50 중량%; 분산제 0.5 내지 3 중량%; 증점제 0.1 내지 6 중량%; 보존제 0.1 내지 2 중량%; 동결방지제 2 내지 7 중량%; 소포제 0.01 내지 1 중량%; 및 물 3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은 제형의 층 분리 현상이 없으며, 장기 보존이 안정적으로 가능하여 유통에 불편함이 없으며, 물에 희석 시 수화성이 좋아서 황 뭉침현상과 노즐막힘이 방지되어 드론, 광역방제기 등의 살포에 유용하여, 화학비료와 농약의 대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흰가루병 발생 방지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제조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품 포장 형태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의 방제 결과를 나타낸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황 35 내지 50 중량%; 분산제 0.5 내지 3 중량%; 증점제 0.1 내지 6 중량%; 보존제 0.1 내지 2 중량%; 동결방지제 2 내지 7 중량%; 소포제 0.01 내지 1 중량%; 및 물 3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반적인 병해충 방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흰가루병 방제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에 포함된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는 1㎛ ~ 10㎛일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가 상술한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층 분리 현상이 방지되며, 장기 보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황 뭉침현상과 노즐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유황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폐기물 매립지에서 황화수소(H2S)를 포함하는 매립가스에, 알카리수용액을 이용해 황화수소를 집적한 후, 황산화박테리아를 통해 황원소를 수득하고, 황원소를 집적하고 건조하고, 건조된 황을 분말화하여 제조된 바이오-황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황을 사용할 경우, 환경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오-황은 시중에서 구입하거나, 한국 등록특허 제10-2213892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산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분산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 나프타렌 설폰산염, 고급 알콜황산에스텔염, 알킬호박산에스텔, 리그닌 슬폰산염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Methacrylic acid-methylmethacrylatepolyethyleneglycol methylether methacrylate copolymer(CAS No. 100934-04-1, CR-SC600)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증점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PEC), 히드록시에틸메틸 셀룰로오스(HEMC),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MEHEC)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1 증점제로서 메틸셀룰로오스(MC) 및 제2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1 증점제 및 제2 증점제는 1 : 10~20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보존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 바이페닐하이드록사믹산, 신나모일하이드록사믹산, 옥탄디올, 헥산디올, 프로판디올,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나트륨,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포믹산, 포믹산나트륨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소르빈산칼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결방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동결방지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이소시톨, 만니톨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소포제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록산 유도체, 퍼플루오로알킬포스폰산, 퍼플루오로알킬포스핀산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예컨대 Rhodorsil(등록상표) 416 또는 Rhodosil(등록상표) 454; 또는 퍼플루오로-(C6-18)-알킬포스폰산 및 퍼플 루오로-(C6-18)-알킬포스핀산, 예컨대 Fluowet(등록상표) PL8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Fluowet(등록상표) PL80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은 피지움 껍질 에탄올 추출물 2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지움(Pygeum, 학명: Prunus africana)은 아프리카 자두나무(Pyrus africanum, Prunus africana)이다. 상기 피지움 껍질 에탄올 추출물은 재배식물의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은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hydrophilic perfluoropolymer liquid)를 1 내지 3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는 재배식물의 흰가루병 방제효과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로는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hydroxyethyl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에틸 피이지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ethyl PEG ether),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다이스테아라마이드(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Distearamide),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메틸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methyl Ethe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평균입도가 8㎛인 유황 입자 42 중량%, 분산제로서 CR-SC600 2 중량%, 증점제로서 메틸셀룰로오스(LH40M) 0. 2 중량%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3 중량%; 보존제로서 소르빈산칼륨 0.5 중량%; 동결방지제로서 프로플렌글리콜 5 중량%; 소포제로서 퍼플루오로알킬포스폰산(Perfluoro-(C6-18)-alkylphosphonic acid, Fluowet PL80) 0.03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S10) 평균입도가 8㎛인 유황 입자를 증량제인 물과 혼합하여 각각 42 중량%, 47.267 중량 %가 되도록 하고, 1,000 RPM 속도로 30분간 교반시켰다.
(S20) 다음으로 분산제로서 CR-SC600를 투입하고, 1,000 RPM 속도로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S30) 다음으로 증점제로서 메틸셀룰로오스(LH40M)를 투입하고, 800 RPM 속도로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S40) 다음으로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투입하고, 800 RPM 속도로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S50) 다음으로 보존제로서 소르빈산칼륨을 투입하고, 800 RPM 속도로 20분 동안 교반시켰다.
(S60) 다음으로 동결방지제로서 프로플렌글리콜을 투입하고, 800 RPM 속도로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S70) 다음으로 소포제로서 퍼플루오로알킬포스핀산(Perfluoro-(C6-18)-alkylphosphonic acid, Fluowet PL80)을 투입하고, 800 RPM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시켜서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서 물의 사용량 3 중량%를 줄이고 하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 3 중량%를 더 첨가하여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은 상기 소포제를 투입할 때 함께 투입하였다.
실시예 3: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 물의 사용량 2 중량%를 줄이고 고친수성 퍼플루오로폴리머 리퀴드로서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터(Polyperfluoroethoxymethoxy Difluorohydroxyethyl Ether) 2 중량%를 더 첨가하여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다이플루오로하이드록시에틸 에터는 상기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투입하였다.
제조예 1: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 제조
피지움(Prunus africana)의 껍질을 세척한 후 분쇄하여 8배(w/v)에 해당하는 에탄올에 투입하고 35℃에서 90시간 동안 추출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용액을 부직포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뒤, 1차 여과액을 규조토필터를 사용하여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2차 여과하였다.
회수한 2차 여과액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의 안전성 확인]
실험동물은 4주령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Central Lab animal, Seoul, Korea)를 환경이 조절된 사육실(기온 20℃ 습도 55%, 12시간 dark/light cycle)에서 펠렛형 고형사료(Jeil animal feed Co., Daejeon, Korea)로 2주간 사육하여 평균 체중이 200g 정도로 성장한 6주령의 쥐를 사용하여 상기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의 독성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4주령의 쥐 각각 5 마리씩에게 상기 피지움 에탄올 추출물을 1일 30ml씩을 펠렛형 고형사료(Jeil animal feed Co., Daejeon, Korea)와 함께 4주간 급여하면서 독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독성평가결과, 실험에 참여한 쥐 중 한 마리도 폐사하지 않고, 10마리 모두 4주간 건강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의 성능 평가
1) 딸기 흰가루병 방제 효과 시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을 시설 재배지에서 재배된 딸기 흰가루병 발병 초기에 1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였다. 발병도 조사는 농촌진흥청 연구조사분석 기준에 준하여 상기 살포 1주일 후, 10개 엽에 대해 발병 면적률(이병율)이 1~20%인 경우는 1, 21~50%는 2, 51~70%는 3, 71~90%는 4, 90% 이상인 경우는 5로 표시하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수학식 1]
발병도(%) = (a+1) X (b+2) X (c+3) X (d+4) X (e+5) / 조사엽수 X 5
a, b, c, d 및 e: 각 이병률의 해당 엽수
방제가는 무처리군의 발병도 대비 감소 정도를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수학식 2]
방제가(%) = [1- (처리구의 발명도 / 무처리구의 발명도)] X 100
[결과]
발병도(%) 방제가(%)
비교예 (약제 무처리) 78 -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7.0 91.0
실시예 2 조성물 처리 2.2 97.2
실시예 3 조성물 처리 1.3 98.3
2) 참외 흰가루병 방제 효과 시험
(1) 시험방법
가. 대상병해: 흰가루병(Sphaerotheca fusca)
나. 시험작물(품종): 참외(알찬꿀)
다. 처리내용
시험약제 주성분
함량
(%)
약 효 시 험 약 해 시 험
희석 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기준량 배 량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10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1000 500
무처리 - - - - -
라. 경종개요
재배양식: 시설재배, 비닐멀칭
재식거리: 400 Х 45 cm
시험기간 내 타 약제처리 현황 : 혼용 및 타 약제 처리 없음.
마. 시험구배치 및 면적: 난괴법 3반복
구분 처 리 수 반 복 수 총 구 수 구당면적 소요면적 총소요면적
약효 2 3 6 10㎡ 60㎡ 105㎡
약해 3 3 9 5㎡ 45㎡
(2) 조사방법 및 판정기준
구 분 조 사 항 목 조사횟수 조 사 방 법
약효시험 발병도 1회 최종약제처리 7일 후 구당 100엽에 대한 병반면적율 조사 후 발병도 환산
약해시험 외관상 약해유무 3회 약제처리 후 3, 5, 7일 외관상
약해유무 달관조사
(3) 시험성적
가. 약효시험
참외 흰가루병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최종약제처리 7일 후)
시험약제 발병도(%) 유의차
(DMRT)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 균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6.0 9.0 5.3 6.8 b 72.6
무처리 20.5 27.3 26.3 24.7 a -
C.V.(%) ------------------------------------ 17.5
나. 약해시험(약제처리 후 3, 5, 7일)
시험약제 시험작물 약해정도 (0~5) 비 고
기 준 량 배 량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참외(알찬꿀) 0 0 약해 없음
3) 딸기 잿빛곰팡이병 방제 효과 시험
(1) 시험방법
가. 대상병해: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나. 시험작물(품종): 딸기(금실)
다. 처리내용
시험약제 주성분
함량
(%)
약효시험 약해시험 의뢰회사
희석 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기준량 배량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황 42 1,000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1,000 500
무처리 - - - - - -
라. 경종개요
재배양식: 시설재배, 비닐멀칭
재식거리: 20Х15 cm
시험기간 내 타 약제처리현황: 혼용 및 타 약제 처리 없음.
마. 시험구배치 및 면적: 난괴법 3반복
구분 처리수 반복수 총구수 구당면적 소요면적 총소요면적
약효 2 3 6 10m2 60m2 78m2
약해 3 3 9 2m2 18m2
(2) 조사방법 및 판정기준
구분 조사항목 조사횟수 조사방법
약효시험 발병과율 1회 최종약제처리 7일 후 구당 전과에 대한 발병과수 조사
약해시험 외관상 약해유무 3회 약제처리 후 3, 5, 7일 외관상 약해유무 달관조사
(3) 시험성적
가. 약효시험
딸기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최종약제처리 후 7일 차)
시험약제 발병과율(%) 유의차
(DMRT)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7.4 3.3 6.3 5.7 b 70.7
무처리 17.9 18.2 21.7 19.3 a -
C.V.(%) ------------------------- 18.3나. 약해시험(약제처리 후 3, 5, 7일)
시험약제 시험작물 약해정도 (0~5) 비고
기준량 배량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딸기(금실) 0 0 약해없음
4) 오이 노균병 방제 효과 시험
(1) 시험방법
가. 대상병해: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나. 시험작물(품종): 오이(조은백다다기)
다. 처리내용
시험약제 주성분
함량
(%)
약효시험 약해시험 의뢰
기관
희석 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기준량 배량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42 10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1000배 500배 ㈜대한아그로
무처리 - - - - - -
라. 경종개요
재배양식: 시설재배, 비닐멀칭
재식거리: 15 Х 20 cm ]
시험기간 내 타 약제처리 현황 : 혼용 및 타 약제 처리 없음.
마. 시험구배치 및 면적: 난괴법 3반복
구분 처리수 반복수 총구수 구당면적 소요면적 총소요면적
약효 2 3 6 10㎡ 60㎡ 105㎡
약해 3 3 9 5㎡ 45㎡
(2) 조사방법 및 판정기준
구 분 조 사 항 목 조사횟수 조 사 방 법
약효시험 발병도 1회 최종약제처리 7일 후 구당 100엽(구당 10주, 주당 10엽) 이상에 대한 병반면적률 조사
약해시험 외관상 약해유무 3회 약제처리 후 3, 5, 7일 외관상
약해유무 달관조사
(3) 시험성적
가. 약효시험
오이 노균병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최종약제처리 7일 후)
시험약제 발병도(%) 유의차
(DMRT)
방제가
(%)
Ⅰ반복 Ⅱ반복 Ⅲ반복 평균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5.4 8.3 5.9 6.5 b 68.7
무처리 24.1 21.1 17.3 20.8 a -
C.V.(%) ------------------------------------ 21.2
나. 약해시험(약제처리 후 3, 5, 7일)
시험약제 시험작물 약해정도 (0~5) 비 고
기준량 배량
실시예 1 조성물 처리 오이
(청춘)
0 0 약해 없음

Claims (6)

  1. 유황 35 내지 50 중량%; 분산제 0.5 내지 3 중량%; 증점제 0.1 내지 6 중량%; 보존제 0.1 내지 2 중량%; 동결방지제 2 내지 7 중량%; 소포제 0.01 내지 1 중량%; 피지움 껍질 에탄올 추출물 2 내지 5 중량; 및 물 3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에 포함된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가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은 폐기물 매립지에서 황화수소(H2S)를 포함하는 매립가스에, 알카리수용액을 이용해 황화수소를 집적한 후, 황산화박테리아를 통해 황원소를 수득하고, 황원소를 집적하고 건조하고, 건조된 황을 분말화하여 제조된 바이오-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알킬 나프타렌 설폰산염, 고급 알콜황산에스텔염, 알킬호박산에스텔, 및 리그닌 슬폰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증점제는 메틸셀룰로오스(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에틸 셀룰로오스(HPEC), 히드록시에틸메틸 셀룰로오스(HEMC), 및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MEHEC)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보존제는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 바이페닐하이드록사믹산, 신나모일하이드록사믹산, 옥탄디올, 헥산디올, 프로판디올,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나트륨,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포믹산, 및 포믹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동결방지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이소시톨, 및 만니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소포제는 실록산 유도체, 퍼플루오로알킬포스폰산, 및 퍼플루오로알킬포스핀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230066224A 2023-05-23 2023-05-23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KR10258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224A KR102589220B1 (ko) 2023-05-23 2023-05-23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224A KR102589220B1 (ko) 2023-05-23 2023-05-23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220B1 true KR102589220B1 (ko) 2023-10-13

Family

ID=8828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224A KR102589220B1 (ko) 2023-05-23 2023-05-23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2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075A (ko) * 2000-05-15 2002-12-12 요수크 오다 수화 유기황 합성제, 그리고 제조방법 및 살균사용방법
KR20120092086A (ko) * 2012-07-24 2012-08-20 애플(주) 원예작물의 병충해 방제용 살균제 및 그 살균제 제조방법
CN105475392A (zh) * 2015-11-18 2016-04-13 无锡市稼宝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腐烂病的植物源杀菌剂
KR101658613B1 (ko) 2014-04-18 2016-09-21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친환경 식물병충해 방제용 유황 수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34548A1 (en) * 2017-05-19 2018-11-22 Daikin America, Inc. Antimicrobial fluoropolymer
KR20190003472A (ko) * 2016-04-28 2019-01-09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초 농약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제초 방법
KR20190072980A (ko) * 2017-12-18 2019-06-26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수중 붕괴성 및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유황 입상수화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3892B1 (ko) * 2019-12-12 2021-02-0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매립가스 유래 바이오 황을 포함하는 유황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유황콘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075A (ko) * 2000-05-15 2002-12-12 요수크 오다 수화 유기황 합성제, 그리고 제조방법 및 살균사용방법
KR20120092086A (ko) * 2012-07-24 2012-08-20 애플(주) 원예작물의 병충해 방제용 살균제 및 그 살균제 제조방법
KR101658613B1 (ko) 2014-04-18 2016-09-21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친환경 식물병충해 방제용 유황 수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475392A (zh) * 2015-11-18 2016-04-13 无锡市稼宝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腐烂病的植物源杀菌剂
KR20190003472A (ko) * 2016-04-28 2019-01-09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초 농약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제초 방법
US20180334548A1 (en) * 2017-05-19 2018-11-22 Daikin America, Inc. Antimicrobial fluoropolymer
KR20190072980A (ko) * 2017-12-18 2019-06-26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수중 붕괴성 및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유황 입상수화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3892B1 (ko) * 2019-12-12 2021-02-0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매립가스 유래 바이오 황을 포함하는 유황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유황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1456A (zh) 一种苹果树的种植方法
CN101913955B (zh) 防治长足竹大象的植物源复方农药及使用方法
CN101690490B (zh) 一种溴菌腈与甲氧基丙烯酸酯类复配的杀菌组合物
CN104628481B (zh) 一种防除猕猴桃溃疡病的肥药组合剂及其制备方法
CN101473814B (zh) 一种果树减蒸剂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CN108077258A (zh) 一种防治芒果细菌性病害的颗粒剂及其制备方法
CN105110922A (zh) 树木伤疤康复剂及其应用
CN101953338A (zh) 一种植物抗寒防冻剂组合物
CN101507433A (zh) 一种防治葡萄霜霉病的复配杀菌剂
CN101326918B (zh) 一种含吡虫啉的水溶性颗粒剂、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53712B1 (ko) 식물병원균 예방 및 방제용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 방제 및 식물 생육 촉진 방법
CN1481678A (zh) 植物生态保护剂
KR102589220B1 (ko) 병해충 관리용 유황 수화 콜로이드 조성물
CN107094389A (zh) 用于花卉连作障碍病土消毒的有机制剂及应用
CN105010022A (zh) 一种葡萄灰霉病防治方法
CN101473833A (zh) 一种22%的羟烯腺.铜.烯腺.锌可湿性粉剂
KR100908001B1 (ko) 법제유황을 주재료로 하는 식물보호용 조성물
CN110810090B (zh) 一种防控两收栽培‘桂葡6号’冬果葡萄白粉病的方法
CN109430264B (zh) 一种含萜烯醇、几丁聚糖的杀菌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786325B (zh) 一种缓解氟磺胺草醚对部分落叶乔木药害的方法
CN107047623A (zh) 一种能诱杀白蚁的肠衣饵剂
EP2558548B1 (en) Biodegradable materials for soil mulching based on aqueous mixtures of polysaccharides and plant waste fibers and methods for their application
Tomar et al. Neem: An Introduction
Antonov et al. Application of a vermicomposter containing biostimulant for pine t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