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121B1 - 공조용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공조용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121B1
KR102589121B1 KR1020160085647A KR20160085647A KR102589121B1 KR 102589121 B1 KR102589121 B1 KR 102589121B1 KR 1020160085647 A KR1020160085647 A KR 1020160085647A KR 20160085647 A KR20160085647 A KR 20160085647A KR 102589121 B1 KR102589121 B1 KR 10258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dsorption material
air channe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487A (ko
Inventor
최윤혁
김진민
김형태
김종철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1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성능 및 탈취효율이 향상되고 압력손실이 최소화된 공조용 에어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에어필터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소재; 및 상기 흡착소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기채널을 구비하고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필터본체;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여 중첩되는 상기 복수의 필터본체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공조용 에어필터{FILTER FOR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조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의 흡착 제거성능이 향상되는 공조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공조용 에어필터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실내 공기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공조용 에어필터 중에는 활성탄을 사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유해성분이나 냄새를 흡착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있다. 이러한 탈취필터는 공개특허 제10-2010-0012376호, 공개특허 제10-2004-0078001호 및 등록특허 제10-1044655호 등에 다양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탈취필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탈취필터는 관통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채널(12)을 구비하는 필터본체(10)와,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12)에 수용되는 활성탄(20)과, 상기 필터본체(10)의 양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활성탄(20)이 공기채널(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망(4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탈취필터로 입사되는 공기는 활성탄(20)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상의 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탈취필터는 필터본체(10)를 눕힌 상태에서 복수의 공기채널(12)에 활성탄(20)을 채워 넣은 후 공기청정기 등의 제품에 세워서 설치되므로, 활성탄(20)이 자중에 의해 공기채널(12)의 하측에 배치되어 공기채널(12)의 단면 중에서 활성탄(20)이 없는 공백영역(30)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탈취필터는 입사되는 공기 중에서 일부가 활성탄(20)에 의해 정화되지 않고 공기채널(12)의 공백영역(30)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에 비해 탈취 처리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서 탈취성능 및 탈취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백영역(30)을 없애기 위해 공기채널에 활성탄(20)을 높은 밀도로 넣는 경우에는, 오히려 활성탄(20)이 공기유동에 방해가 되어 공기의 압력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활성탄(20) 사용량의 증가로 인한 필터의 재료비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탈취성능 및 탈취효율이 향상되고 압력손실이 최소화된 공조용 에어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소재; 및 상기 흡착소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기채널을 구비하고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필터본체;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여 중첩되는 상기 복수의 필터본체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공조용 에어필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채널의 일부분에는 상기 흡착소재가 부재하는 공백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소재와 상기 공백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에어필터는 상기 복수의 필터본체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공백의 일부분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형성된 공기직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기직통홀은 상기 공백의 1/3 미만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본체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이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공기채널은 허니컴(Honey Comb)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여 중첩되는 상기 복수의 필터본체 각각에 구비된 상기 공기채널은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어긋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에어필터는 상기 공기채널에 수용된 상기 흡착소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필터본체의 양면에 구비되는 지지망을 더 포함하고, 서로 중첩되는 상기 필터본체와 필터본체 사이에 상기 지지망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소재와, 상기 흡착소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기채널을 구비하는 필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본체는 제1 필터본체 및 제2 필터본체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필터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채널과 상기 제2 필터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채널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공조용 에어필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채널의 일부분에는 상기 흡착소재가 부재하는 공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본체의 흡착소재와 상기 제2 필터본체의 공백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필터본체의 공백과 상기 제2 필터본체의 공백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된 공기직통홀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필터본체 및 상기 제2 필터본체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이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물질 제거성능 및 제거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흡착소재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재료비가 절감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탈취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복수의 필터본체에 구비되는 공기채널의 겹침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복수의 필터본체에 구비되는 공기채널의 겹침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에어필터(100)는 제1 필터본체(110), 제2 필터본체(120), 흡착소재(130) 및 지지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도 3 및 도 5에는 필터본체가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로 구성된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100)는 3개 이상의 필터본체가 중첩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 필터본체(110)는 후술할 흡착소재(130)가 수용되는 관통형상의 복수의 제1 공기채널(14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필터본체(120)는 후술할 흡착소재(130)가 수용되는 관통형상의 복수의 제2 공기채널(142)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는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필터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탈취필터의 필터본체가 분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예로,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는 두께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탈취필터의 필터본체 두께의 1/2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탈취필터의 필터본체가 분할된 형태로 구성된 경우는 종래의 탈취필터에 비하여 필터 전체의 부피 증가가 없거나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1 공기채널(141)은 제1 필터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격벽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공기채널(142)은 제2 필터본체(1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격벽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채널(141) 및 제2 공기채널(142)은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에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공기채널(141) 및 제2 공기채널(142)은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채널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고 수직하중 및 수평하중에 대한 강도가 강한 허니컴(Honey Comb)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착소재(130)는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공기채널(142)에 수용되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흡착소재(130)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망(150)은 제1 공기채널(141) 및 제2 공기채널(142)에 수용된 흡착소재(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필터본체(110)와 제2 필터본체(120)의 양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는 제1 필터본체(110)와 제2 필터본체(120) 사이에는 하나의 지지망(150)이 구비되는 것이 필터 전체 부피의 감소 및 재료비 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필터본체(110)에 구비된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필터본체(120)에 구비된 제2 공기채널(142)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공기채널(142)이 어긋나게 형성된 경우, 제1 공기채널(141)에 수용된 흡착소재(130)와 제2 공기채널(142)에 수용된 흡착소재(130)의 적재된 위치가 서로 달라지므로, 제1 공기채널(141)을 통과하면서 제1 공기채널(141)에 수용된 흡착소재(130)와 접촉하지 않은 공기가 제2 공기채널(142)을 통과하면서 제2 공기채널(142)에 수용된 흡착소재(130)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채널(141)의 일부분에는 흡착소재(130)가 부재(不在)하는 제1 공백(145)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공기채널(142)의 일부분에도 제1 공백(145)과 마찬가지로 흡착소재(130)가 부재하는 제2 공백(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백(145) 및 제2 공백(146)은 제1 공기채널(141) 및 제2 공기채널(142)에 수용된 흡착소재(130)가 자중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집중되어 적재됨으로 인해 제1 공기채널(141) 및 제2 공기채널(142)의 상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공기채널(142)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채널(141)에 수용된 흡착소재(13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공기채널(142)에 형성된 제2 공백(146)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100)는,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1 공기채널(141)에 수용된 흡착소재(130) 및 제2 공기채널(142)에 수용된 흡착소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풍량 대비 많은 양의 공기를 탈취 처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90% 이상을 탈취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공기채널(142)을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공기채널(1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공기채널(142)이 제1 공기채널(141)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수평 이동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공기채널(1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공기채널(142)이 제1 공기채널(141)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수직 이동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공기채널(141)과 제2 공기채널(142)의 어긋난 방향은 상하 또는 좌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공기채널(141) 및 제2 공기채널(142)에 수용된 흡착소재(130)가 상대측 공기채널의 공백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면 어떠한 방향이라도 무관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100)는 흡착소재(130)에 의한 유동방해를 받지 않고 공기가 필터를 곧바로 통과하는 경로를 구성하는 공기직통홀(14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기직통홀(148)에는 흡착소재(130)가 배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직통홀(14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백(145)과 제2 공백(146)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직통홀(148)은 흡착소재(130)와 접촉하지 않는 공기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져서 필터의 오염물질 제거성능 및 오염물질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공백(145) 및 제2 공백(146)의 면적의 1/3 미만 정도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직통홀(1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100)로 입사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동 방해를 받지 않고 제1 필터본체(110) 및 제2 필터본체(120)를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에어필터(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다른 에어필터(100)는 필터본체를 복수개로 분할하고 복수의 필터본체(110, 120)를 각각이 구비하는 흡착소재(130)가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 제거성능 및 제거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에어필터(100)는 흡착소재(130)를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정면의 관점에서 필터 면적의 전체에 흡착소재(130)가 충전된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흡착소재(130)를 사용하여 높은 오염물질 제거성능 및 제거효율을 확보할 수 있어 흡착소재(130)의 사용량이 절감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에어필터 110: 제1 필터본체
120: 제2 필터본체 130: 흡착소재
141: 제1 공기채널 142: 제2 공기채널
145: 제1 공백 146: 제2 공백
148: 공기직통홀 150: 지지망

Claims (11)

  1.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소재; 및
    상기 흡착소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기채널을 구비하고 서로 중첩되는 복수의 필터본체;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여 중첩되는 상기 복수의 필터본체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채널의 일부분에는 상기 흡착소재가 부재하는 공백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소재와 상기 공백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필터본체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공백의 일부분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형성된 공기직통홀을 구비하는 공조용 에어필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직통홀은 상기 공백의 1/3 미만 면적으로 형성되는 공조용 에어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이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 공조용 에어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채널은 허니컴(Honey Comb)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여 중첩되는 상기 복수의 필터본체 각각에 구비된 상기 공기채널은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어긋난 형태로 형성된 공조용 에어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채널에 수용된 상기 흡착소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필터본체의 양면에 구비되는 지지망을 더 포함하고,
    서로 중첩되는 상기 필터본체와 필터본체 사이에 상기 지지망이 구비되는 공조용 에어필터.
  8.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흡착소재와, 상기 흡착소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공기채널을 구비하는 필터본체를 포함하는 공조용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는 제1 필터본체 및 제2 필터본체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필터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채널과 상기 제2 필터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공기채널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채널의 일부분에는 상기 흡착소재가 부재하는 공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본체의 흡착소재와 상기 제2 필터본체의 공백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며,
    상기 제1 필터본체의 공백과 상기 제2 필터본체의 공백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된 공기직통홀을 구비하는 공조용 에어필터.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본체 및 상기 제2 필터본체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채널이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 공조용 에어필터.
KR1020160085647A 2016-07-06 2016-07-06 공조용 에어필터 KR102589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7A KR102589121B1 (ko) 2016-07-06 2016-07-06 공조용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47A KR102589121B1 (ko) 2016-07-06 2016-07-06 공조용 에어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87A KR20180005487A (ko) 2018-01-16
KR102589121B1 true KR102589121B1 (ko) 2023-10-13

Family

ID=6106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47A KR102589121B1 (ko) 2016-07-06 2016-07-06 공조용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3074A (ko) 2021-02-05 2022-08-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30015165A (ko) 2021-07-22 2023-01-3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30083518A (ko) 2021-12-03 2023-06-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30093801A (ko) 2021-12-20 2023-06-2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30095680A (ko) 2021-12-22 2023-06-29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811B2 (ja) 1997-01-06 2000-09-11 株式会社オーデン 空気清浄機
JP2005230078A (ja) 2004-02-17 2005-09-02 Silver Kk 脱臭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6733A (ja) * 1984-08-14 1986-03-07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の照射角度調整装置
JPH11267444A (ja) * 1998-03-25 1999-10-05 Daikin Ind Ltd 脱臭デバイスとこれを備えた脱臭機及び空気調和機
KR20160000796U (ko) * 2014-08-29 2016-03-09 씨엔케이파트너스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용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811B2 (ja) 1997-01-06 2000-09-11 株式会社オーデン 空気清浄機
JP2005230078A (ja) 2004-02-17 2005-09-02 Silver Kk 脱臭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87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121B1 (ko) 공조용 에어필터
KR101320638B1 (ko) 다공성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기액접촉장치
US20150040765A1 (en) Filter for humidity control, typically for control of humidity in a bulk liquid tank
KR101898890B1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JP6663073B2 (ja) 3d脱臭フィルター
CN101274184B (zh) 具有局部深度的开孔式稳定器的空气过滤器
US11524257B2 (en) Angled adsorbent filter media design in tangential flow applications
KR20160000796U (ko) 공기청정기용 필터장치
KR101726299B1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CN210543985U (zh) 一种高效过滤网
KR101363333B1 (ko) 공기청정용 복합필터
US20230324059A1 (en) Filter media design using spacers and media in predetermined arrangements
CN102614734A (zh) 一种烟雾净化装置
WO2018151236A1 (ja) 除湿用デシカント装置
KR200497260Y1 (ko) 공기정화 필터 및 공기정화 필터의 적층체
KR20140034368A (ko) 이동식 공기냉각정화장치
JP4637126B2 (ja) 空気浄化ユニット、空気浄化フェンス構造体、及び、空気浄化方法
JP5853264B2 (ja) 長寿命となるケミカルフィルタユニット
CN113203282A (zh) 一种基于粮食生产用烘干机内原粮清理机构
JP2017031893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4230057A (ja) 空気清浄機
KR20230093801A (ko)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2006122873A (ja) 脱硝用装置の吸着剤充填構造
KR20230015165A (ko)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107940551A (zh) 一种兼具pm2.5去除功能的室内空气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