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680A -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680A
KR20230095680A KR1020210185383A KR20210185383A KR20230095680A KR 20230095680 A KR20230095680 A KR 20230095680A KR 1020210185383 A KR1020210185383 A KR 1020210185383A KR 20210185383 A KR20210185383 A KR 20210185383A KR 20230095680 A KR20230095680 A KR 2023009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rame
air
filter fram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혁
정동원
김우람
김종철
이병혁
백주현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680A/ko
Publication of KR2023009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6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제1 필터프레임과 상기 제2 필터프레임을 서로 인접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프레임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홀더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은 상기 프레임홀더가 절개홈을 따라 절개되었을 때 서로에 대하여 탈거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AIR FILTER AND CLEANER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주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공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공기필터 중 공기에 함유된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탈취필터는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복수 개의 여과재가 필터프레임 내부에 채워져 사용된다.
특허문헌 1의 에어필터는 필터프레임에 수용된 여과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필터프레임에는 필터망이 연결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에어필터는 구조적으로 필터프레임과 필터망이 서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종료되어 폐기될 때, 공기채널에 여과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버려져야 한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에어필터는 필터프레임과 필터망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여과재를 제외한 필터프레임만 별도로 재활용될 수 없다. 이처럼, 특허문헌 1의 에어필터에서는 필터프레임과 여과재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필터프레임은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이에, 소비자들은 수명이 종료된 에어필터를 교체할 때, 여과재와 필터프레임을 함께 폐기해야 하며, 여과재와 별도로 필터프레임을 재활용하거나 분리수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가위나 칼 등의 별도의 물건을 이용하여 필터프레임으로부터 필터망을 분리시킨 이후에 여과재를 필터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러한 필터프레임으로부터 여과재를 분리시키는 과정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기 시 필터프레임을 쉽게 분리수거 할 수 있게 별도의 물건을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필터프레임으로부터 여과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필터프레임과 필터망이 쉽게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공기필터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05487호 (2018. 01. 16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물건을 이용하지 않고 필터프레임으로부터 여과재를 손쉽게 분리시켜 필터프레임을 분리수거 할 수 있는 공기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후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제1 필터프레임과 상기 제2 필터프레임을 서로 인접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프레임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홀더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은 상기 프레임홀더가 절개홈을 따라 절개되었을 때 서로에 대하여 탈거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홀더는, 홀더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홀더가 절개될 때 상기 홀더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은,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를 연결시켜주는 절개도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도입홈은,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가 절개되었을 때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프레임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절개도입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기 절개도입홈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그립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터프레임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2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챔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그립공간과 대향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상기 제2 필터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상기 제2 필터프레임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제1 필터프레임과 상기 제2 필터프레임은,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어 있을 때, 서로 인접한 상태가 유지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프레임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2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상기 여과재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필터망을 포함하는 필터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중앙 필터망을 관통하여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 필터망을 고정 지지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는 각각 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로 배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챔버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챔버는, 전후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투영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망은, 상기 제1 챔버에 수용된 상기 여과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필터망; 및 상기 제2 챔버에 수용된 상기 여과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필터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망, 상기 제1 필터프레임, 상기 중앙 필터망, 상기 제2 필터프레임 및 상기 제2 필터망은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제2 필터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필터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필터프레임은,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상기 홀더몸체부로부터 상기 분리부가 분리될 때, 상기 제2 필터프레임으로부터 탈거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홀더는, 상기 프레임조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몸체부를 포함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홀더는, 홀더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홀더가 절개될 때 상기 홀더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은, 상기 분리부 및 상기 홀더몸체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공기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공기필터; 및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필터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필터는, 사용자가 별도의 물건을 이용하지 않고도 필터프레임으로부터 여과재를 손쉽게 분리 가능하며 필터프레임 분리수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필터의 분해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터프레임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절개도입부가 찢어진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B'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하방향, 좌우방향, 전후방향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케이스(10), 송풍기(20), 공기필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송풍기(20) 및 공기필터(3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송풍기(20) 및 공기필터(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는 송풍기(20) 및 공기필터(30)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기필터(30)는 공기청정기(1)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필터(30)는 활성탄 탈취 필터(carbon filter)일 수 있다. 이러한 공기필터(30)는 프레임조립체(100), 프레임홀더(200), 필터망(300) 및 여과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조립체(100)는 여과재(4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케이스(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조립체(100)는 전후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조립체(100)는 제1 필터프레임(110) 및 제2 필터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프레임(110)은 제2 필터프레임(120)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프레임(110)에는 제1 챔버(110a) 및 그립공간(3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프레임(110)은 제1 프레임바디(111) 및 제1 리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110a)는 복수 개의 여과재(4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챔버(110a)의 공간 전체가 여과재(400)로 채워지면 공기의 차압이 높아져 정화 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바, 제1 챔버(110a)의 공간 중 일부만 여과재(400)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챔버(110a)는 전후방향에서 보았을 때,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챔버(110a)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는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 중 어느 하나의 제1 챔버(110a)와 인접하는 제1 챔버(110a)의 개수는 일 예로, 8개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그립공간(30a)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공간(30a)은 사용자의 후술할 절개도입홈(202a)로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공간(30a)은 절개도입홈(202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공간(30a)은 절개도입홈(202a)과 제1 챔버(11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공간(30a)에는 여과재(400)가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프레임바디(111)는 제1 필터프레임(1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바디(111)에는 개방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분리부(210)가 프레임조립체(100)으로부터 분리될 때, 그립공간(30a)은 개방부(111a)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분리부(210)가 프레임조립체(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때, 그립공간(30a)은 개방부(111a)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폐쇄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111a)는 그립공간(30a)과 연통하는 그루브일 수 있다.
제1 리브(112)는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리브(112)는 개방부(111a)와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리브(112)와 제1 프레임바디(111)는 그립공간(30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필터프레임(120)은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프레임(120)은 제2 프레임바디(121) 및 제2 리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프레임(120)에는 제2 챔버(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프레임(120) 제2 챔버(120a)는 복수 개의 여과재(4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챔버(120a)의 공간 전체가 여과재(400)로 채워지면 공기의 차압이 높아져 정화 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바, 제2 챔버(120a)의 공간 중 일부만 여과재(400)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챔버(120a)는 전후방향에서 보았을 때,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챔버(120a)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는 전후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 중 어느 하나의 제2 챔버(120a)와 인접하는 제2 챔버(120a)의 개수는 일 예로, 8개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 중 적어도 일부는 그립공간(30a)과 대향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로, 제2 챔버(120a)의 어느 일부는 그립공간(30a)과 대향할 수 있고, 제2 챔버(120a)의 다른 일부는 제1 챔버(110a)와 대향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와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는 전후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투영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와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가 전후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투영되었을 때 형성된 중첩영역의 크기는,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와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 중 하나 이상이 전후방향으로 투영되었을 때 형성된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와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가 전후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투영되었을 때,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 각각의 중심과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 각각의 중심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프레임바디(121)는 제2 필터프레임(1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리브(122)는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리브(122)는 제2 프레임바디(121)의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리브(122)는 개방부(111a)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리브(122)와 제2 프레임바디(121)는 그립공간(30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필터프레임(110) 및 제2 필터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는 이탈방지돌기(110b)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탈방지홈(12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필터프레임(110)에 이탈방지돌기(110b)가 형성되고, 제2 필터프레임(120)에는 이탈방지홈(120b)이 형성된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탈방지돌기(110b)는 이탈방지홈(120b)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돌기(110b)가 이탈방지홈(120b)에 삽입되어 있을 때,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제2 필터프레임(120)은 서로 인접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기(110b)가 이탈방지홈(120b)에 삽입된 상태가 해제될 때,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제2 필터프레임(12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돌기(110b)는 후술할 중앙 필터망(330)을 관통하여 이탈방지홈(120b)에 삽입됨으로써, 중앙 필터망(33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돌기(110b)는 전후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돌기(110b)는 제1 필터프레임(110)이 제2 필터프레임(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돌기(110b)는 제1 필터프레임(110)의 중앙부에 복수 개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프레임(110)의 중앙부는 제1 필터프레임(110)의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이탈방지홈(120b)은 전후방향을 따라 제2 필터프레임(120)에 인입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홈(120b)은 제1 필터프레임(110)이 제2 필터프레임(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필터프레임(120)에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홈(120b)은 이탈방지돌기(110b)와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홈(120b)은 제2 필터프레임(120)의 중앙부에 복수 개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프레임(120)의 중앙부는 제2 필터프레임(120)의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프레임홀더(200)는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제2 필터프레임(120)을 서로 인접한 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홀더(200)는 프레임조립체(100) 및 필터망(3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홀더(200)는 프레임조립체(100)의 둘레를 따라 프레임조립체(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홀더(200)는 분리부(210) 및 홀더몸체부(22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홀더(200)에는 절개홈(200a)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210)는 홀더몸체부(2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부(210)는 프레임홀더(200)가 절개될 때 홀더몸체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홀더(200)가 절개된다는 의미에 대한 내용은 절개홈(200a)을 설명하는 단락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부(210)는 제1 단부(211) 및 제2 단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분리부(210)가 홀더몸체부(2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일 때, 제1 단부(211) 및 제2 단부(212)는 절개도입홈(202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분리부(210)가 홀더몸체부(2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일 때, 제1 단부(211) 및 제2 단부(212) 사이에는 분리부(2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부(211) 및 제2 단부(212)는 개방부(111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몸체부(220)는 제2 필터프레임(120)의 둘레를 따라 제2 필터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몸체부(220)는 제2 필터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몸체부(220)는 일 예로, 프레임조립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몸체부(220)와 프레임조립체(100)가 일체로 형성된다는 의미는, 홀더몸체부(220)와 프레임조립체(100)가 연속체로 구성되어 홀더몸체부(220)와 프레임조립체(100)가 육안으로 구별되지 않는 상태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몸체부(220)는 프레임조립체(100)의 일부로서, 절개홈(200a)의 일부를 형성하는 임의의 영역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더몸체부(220)는 제2 필터프레임(120)과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절개홈(200a)은 프레임홀더(2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그루브일 수 있다. 프레임홀더(200)는 이러한 절개홈(200a)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 프레임홀더(200)가 절개된다는 것은, 일체로 형성된 부재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균열이 발생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프레임홀더(200)가 절개된다는 것은 일 예로, 사용자가 외부의 도구(일 예로, 가위 또는 칼)를 이용하여 프레임홀더(200)를 잘라내는 것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프레임홀더(200)를 찢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홀더(200)가 절개된다는 것의 의미는 사용자의 양손의 엄지와 검지로 종이의 일측 가장자리를 인접하게 잡은 상태에서, 어느 한 손을 다른 한 손으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종이가 찢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200a)은 부재의 두 영역 사이에 균열이 생길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임의의 두 영역이 분리되기 전 상태에서, 절개홈(200a)은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분리될 두 영역 사이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두 영역은, 일 예로 한 영역이 분리부(210)에 포함되고, 다른 한 영역이 홀더몸체부(220)에 포함된 영역일 수 있다. 임의의 두 영역은, 다른 예로, 한 영역은 제1 필터프레임(110)에 포함되고, 다른 한 영역은 제2 필터프레임(120)에 포함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200a)은 일 예로, 분리부(210) 및 홀더몸체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개홈(200a)은 분리부(210)와 홀더몸체부(220)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홀더(200) 중 절개홈(200a)을 형성하는 부분은 분리부(210) 및 홀더몸체부(220) 중 하나 이상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부(210), 홀더몸체부(220) 및 프레임홀더(200) 중 절개홈(200a)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는, 그립공간(30a)이 개방부(1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리부(210), 홀더몸체부(220) 및 프레임홀더(200) 중 절개홈(200a)을 형성하는 부분이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200a)은 절개몸체홈(201a) 및 절개도입홈(202a)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몸체홈(201a)은 분리부(210)와 홀더몸체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몸체홈(201a)은 절개도입홈(202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몸체홈(201a)과 절개도입홈(202a)은 끊김 없이 하나로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개몸체홈(201a)은 분리부(210)와 홀더몸체부(220)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절개도입홈(202a)은 사용자에 의해 절개홈(200a)이 절개되기 시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절개도입홈(202a)은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도입홈(202a)은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도입홈(202a)의 후단은 절개몸체홈(201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도입홈(202a)은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홈(200a)은 제1 필터프레임(110) 및 제2 필터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절개홈(200a)은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제2 필터프레임(120)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200a)은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제2 필터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절개홈(200a)이 절개될 때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제2 필터프레임(12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필터망(300)은 여과재(400)가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20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망(300)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메쉬 구조(mesh)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망(300)에 형성된 홀은 여과재(400)의 최소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필터망(300)은 제1 필터망(310), 제2 필터망(320) 및 중앙 필터망(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망(310)은 제1 챔버(110a) 내에 수용된 여과재(400)가 제1 챔버(110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망(310)은 제1 필터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망(310)에는 그립공간(30a)과 전후방향으로 연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필터망(310)은 그립공간(30a)을 전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필터망(320)은 제2 챔버(120a) 내에 수용된 여과재(400)가 제2 챔버(120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망(320)은 제2 필터프레임(120)의 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중앙 필터망(330)은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20a)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여과재(4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필터망(330)은 제1 필터프레임(110)과 제2 필터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필터망(330)의 중앙부에는 이탈방지돌기(110b)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필터망(330)은 제1 필터프레임(110)의 후방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중앙 필터망(330)의 중앙부는 중앙 필터망(330)의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망(310), 제1 필터프레임(110), 중앙 필터망(330), 제2 필터프레임(120) 및 제2 필터망(320)은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과재(400)는 외부로부터 공기청정기(1)로 유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여과재(400)는 복수 개의 과립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여과재(400)는 복수 개의 제1 챔버(110a) 및 복수 개의 제2 챔버(120a)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여과재(400)는 필터망(300)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재(400)는 과립형으로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과립형 여과재(400)는 소정의 알갱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원형(round type)뿐만 아니라 펠릿형(pellet typ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여과재(400)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활성탄(carbon)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과재(400)는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주지의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조립체(100), 프레임홀더(200) 및 필터망(300)은 사용자에 의해 케이스(10)로부터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 중 어느 일부를 그립공간(30a)에 삽입하여 제1 단부(211)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손가락 중 다른 일부는 제1 단부(211)의 외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제1 단부(211)를 쥘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단부(211)를 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절개도입홈(202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단부(211)에 외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절개도입홈(202a)을 따라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가 절개되면서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와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가 절개된 이후에, 사용자가 절개도입홈(202a)의 후단으로부터 절개몸체홈(201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단부(211)에 외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절개몸체홈(201a)을 따라 분리부(210)와 홀더몸체부(220)가 절개된다. 분리부(210)와 홀더몸체부(220)가 모두 절개되면, 분리부(210)가 홀더몸체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부(210)가 홀더몸체부(220)로부터 분리될 때, 사용자는 제1 필터프레임(110)과 중앙 필터망(330)을 제2 필터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필터프레임(110)과 중앙 필터망(330)이 제2 필터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될 때, 제2 챔버(120a)에 수용된 여과재(400)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탈방지돌기(110b)에 삽입되어 제1 필터프레임(110)에 연결된 중앙 필터망(330)을 제1 필터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중앙 필터망(330)을 제1 필터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사용자는 제1 챔버(110a)에 수용된 여과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프레임홀더(200) 중 절개홈(200a)를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가 분리부(210) 및 홀더몸체부(220)의 두께보다 얇음에 따라,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분리부(210)를 홀더몸체부(220)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는 절개몸체홈(201a)과 절개도입홈(202a)이 연속적으로 하나로 이어지도록 제공됨에 따라, 분리부(210)가 홀더몸체부(2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사용자는 제1 단부(211)를 외측으로 당기는 힘만으로도 손쉽게 프레임홀더(200) 전체를 찢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공기청정기 10: 케이스
20: 송풍기 30: 공기필터
30a: 그립공간
100: 필터프레임 110: 제1 필터프레임
110a: 제1 챔버 110b: 이탈방지돌기
111: 제1 프레임바디 111a: 개방부
112: 제1 리브
120: 제2 필터프레임 120a: 제2 챔버
120b: 이탈방지홈 121: 제2 프레임바디
122: 제2 리브 200: 프레임홀더
200a: 절개홈 201a: 절개몸체홈
202a: 절개도입홈
210: 분리부 211: 제1 단부
212: 제2 단부 220: 홀더몸체부
300: 필터망 310: 제1 필터망
320: 제2 필터망 330: 중앙 필터망
400: 여과재

Claims (12)

  1. 전후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제1 필터프레임과 상기 제2 필터프레임을 서로 인접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프레임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홀더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은 상기 프레임홀더가 절개홈을 따라 절개되었을 때 서로에 대하여 탈거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공기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홀더는,
    홀더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홀더가 절개될 때 상기 홀더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은,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를 연결시켜주는 절개도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도입홈은,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가 절개되었을 때 상기 분리부의 양단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공기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프레임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절개도입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상기 절개도입홈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그립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프레임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2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챔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그립공간과 대향하는,
    공기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상기 제2 필터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상기 제2 필터프레임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제1 필터프레임과 상기 제2 필터프레임은,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어 있을 때, 서로 인접한 상태가 유지되는,
    공기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프레임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1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필터프레임에는 상기 여과재가 수용되는 제2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상기 여과재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제2 필터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필터망을 포함하는 필터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중앙 필터망을 관통하여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중앙 필터망을 고정 지지하는,
    공기필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는 각각 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로 배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챔버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챔버는, 전후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투영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공기필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은,
    상기 제1 챔버에 수용된 상기 여과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필터망; 및
    상기 제2 챔버에 수용된 상기 여과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필터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망, 상기 제1 필터프레임, 상기 중앙 필터망, 상기 제2 필터프레임 및 상기 제2 필터망은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공기필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제2 필터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필터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필터프레임은,
    상기 제1 필터프레임 및 상기 홀더몸체부로부터 상기 분리부가 분리될 때, 상기 제2 필터프레임으로부터 탈거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공기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홀더는,
    상기 프레임조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몸체부를 포함하는,
    공기필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홀더는,
    홀더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홀더가 절개될 때 상기 홀더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은,
    상기 분리부 및 상기 홀더몸체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공기필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필터; 및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필터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10185383A 2021-12-22 2021-12-22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30095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383A KR20230095680A (ko) 2021-12-22 2021-12-22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383A KR20230095680A (ko) 2021-12-22 2021-12-22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680A true KR20230095680A (ko) 2023-06-29

Family

ID=8694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383A KR20230095680A (ko) 2021-12-22 2021-12-22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6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487A (ko) 2016-07-06 2018-01-16 코웨이 주식회사 공조용 에어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487A (ko) 2016-07-06 2018-01-16 코웨이 주식회사 공조용 에어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1571B1 (en) Cyclone air purifier
KR100512624B1 (ko) 싸이클론 집진유닛 및 집진유닛의 필터구조
EP1688184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flexible contaminants counterflow prevention member
US10940422B2 (en) Air purifier
EP3727115B1 (en) A filter assembly
US7655062B2 (en)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2018532975A (ja) 小型空気清浄機
US20070006557A1 (en) Filter system for respiratory mask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filter system
CA2658154A1 (en) Filter apparatus
CA2287601C (en) Bactericidal vacuum cleaner filter bag
KR20050084944A (ko) 호흡 보호 장치
KR20230095680A (ko)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0415989Y1 (ko) 방진 마스크용 필터
CN101113828A (zh) 空气净化器
WO2007111166A1 (ja) シガレットのためのフィルタホルダ
KR20230083518A (ko)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20210131673A (ko) 공기 청정기
US11198085B2 (en) Filter apparatus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7244370B2 (ja) 電気掃除機
JP3964400B2 (ja) 電気掃除機
KR101924470B1 (ko) 공기 청정기
JPH10235125A (ja) フィルタ
KR100330257B1 (ko) 보호마스크용 필터
KR20230095564A (ko) 공기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20050028501A1 (en) Universal vacuum filter cart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