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093B1 -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093B1
KR102589093B1 KR1020230067538A KR20230067538A KR102589093B1 KR 102589093 B1 KR102589093 B1 KR 102589093B1 KR 1020230067538 A KR1020230067538 A KR 1020230067538A KR 20230067538 A KR20230067538 A KR 20230067538A KR 102589093 B1 KR102589093 B1 KR 10258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jection material
arm
air
pai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성은종합철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은종합철강(주) filed Critical 성은종합철강(주)
Priority to KR102023006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5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rotary operativ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5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 B08B9/0497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provided with additional mechanical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막 제거 공정의 수행 시 회전 커터들을 바이브레이터들에 의해 요동시켜 관 내면의 도장막을 효율적으로 절단, 박리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 표면 처리 공정의 수행 시 관 내면에 대한 투사재 노즐들의 거리를 무동력 방식(투사재의 분사 시 발생되는 반발력을 이용) 및 관 내면의 손상이 방지되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최적 분사 거리로 자동으로 조절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 그리고 이들 장치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COATING LAYER REMOVAL APPARATUS HAVING VIBRATOR AND SUPERANNUATED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노후화된 지중의 관을 갱생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 하수도관, 그 밖의 유체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가스관, 송유관 등은 강관, 주철관, 콘크리트관, 합성수지관 등이 사용되고 있고, 이들 중 강관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량이므로 주로 대형관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체 수송 목적의 관들은 장기간 사용하면 관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 및 이에 포함된 각종의 이물, 첨가물 등으로 인해 노후화되면서 내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수도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관은 상수를 보다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내면에 도장막을 형성하여 내면 부식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노후화에 따라 도장막이 벗겨지는 내면 손상은 상수의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관의 노후화 문제는 매설된 지중의 노후관을 철거하고 신규관을 시공하는 교체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이는 공사 비용이 높고 용지 보상의 문제가 따르며 각종의 민원을 야기하므로 비경제적이다. 이에, 보다 선호하는 해결 방안은 대부분이 관내에서 이루어지는 공사를 통해 노후관을 재생시켜 노후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노후관 갱생 방법이다.
노후관을 갱생하기 위해 도장막 제거 장치, 쇼트 블라스팅 장치 등을 이용한다. 이들 장치는 관의 내부(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갱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장막 제거 장치는 갱생 작업으로서 관의 내면으로부터 도장막 및 그 위에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도장막 제거 공정을 수행한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갱생 작업으로서 도장막 제거 장치에 의한 도장막 제거 공정이 수행된 관의 내면에 대한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도장막 제거 장치는 커터를 이용하여 도장막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도장막 제거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투사재를 관의 내면으로 투사하는 방식으로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장막 제거 장치는, 단순히 커터에 의존하여 도장막을 절단하고 박리하기 때문에, 절단 효율이 낮은 편일 수밖에 없다. 절단 효율 향상을 위해, 커터의 회전 속도나 도장막에 대한 커터의 가압력을 증가시키면, 도장막과 커터 사이에 고온의 마찰열이 발생될 수 있고, 도장막에서 절단되는 부분이 마찰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으며, 용융된 부분이 커터에 부착되어 절단 효율이 오히려 더욱 감소될 수 있다.
한편, 관은 다양한 규격으로 존재하고, 강관은 토압 등 상방으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으로 인해 단면적이 상하로 축소되고 좌우로 확대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때문에,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관의 내면에 대한 투사재 분사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투사재 분사 거리가 변경되면, 표면 처리의 품질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12호(2011.05.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5100호(2017.02.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0415호(2019.01.04.)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도장막 제거 공정의 속도 내지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표면 처리 공정의 속도 내지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화된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차체와; 상기 차체 상에 제공되고, 회전 구동 유닛에 의해 전후 방향의 센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제공되며, 상기 관의 내면으로부터 도장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도장막을 절단하는 복수의 커팅기를 포함하는, 도장막 제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기 각각은, 상기 회전체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된 내측의 제1 암과; 상기 제1 암의 선단 부분에 전후 방향의 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해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외측의 제2 암과; 상기 제2 암의 선단 부분에 전후 방향의 커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2 암이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접근되면 상기 내면에 접촉되는 회전 커터와;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에 양단 부분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 커터를 신축 작동에 의해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밀착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암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제2 암에 상기 제2 암의 회전 방향으로 요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상기 커팅기 각각은 상기 회전 커터가 모터 등으로부터의 구동력으로 인해 상기 커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팅기 각각은,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공기 압력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 바이브레이터(air vibrator)이고, 상기 에어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2 암에 제공되며, 상기 에어 바이브레이터의 에어 배출구에 상기 에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회전 커터 측으로 분사하여 상기 회전 커터 및 그 주변을 냉각하고 세정하는 에어 노즐이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커팅기 각각은 상기 에어 노즐에 냉각 액체 공급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에어 노즐들은 상기 회전 커터 측을 향해 상기 공기에 냉각 액체가 혼합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액체 공급 라인에 의하면, 상기 회전 커터 및 그 주변에 대한 냉각 및 세정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화된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차체와; 상기 차체에 탑재된 투사기와; 투사재를 상기 투사기에 공급하는 투사재 공급기를 포함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사기는, 축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전후 방향의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공된 고정 암들과; 상기 고정 암 각각에 상기 관의 내면에 대해 선단 부분이 이격되는 제1 방향 및 접근되는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가동 암들과; 상기 가동 암들에 각각 제공되며, 공압을 이용, 상기 투사재를 상기 관의 상기 내면으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분사하는 투사재 노즐들과; 상기 가동 암들을 각각 이동시켜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한 상기 투사재 노즐들의 거리를 설정된 최적 분사 거리로 조절하는 분사 거리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 거리 조절기는 상기 고정 암들과 상기 가동 암들 사이 각각에서 탄성력을 상기 가동 암들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제공하는 탄성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들은 상기 투사재 노즐들에 의한 상기 투사재의 분사 시 발생되는 반발력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가동 암들의 이동을 허용하여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한 상기 투사재 노즐들의 거리를 상기 최적 분사 거리로 조절하는 탄성(탄성 계수)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분사 거리 조절기는 상기 최적 분사 거리의 조절을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한 접촉 없이 상기 반발력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암 각각은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투사재 노즐 각각은 상기 관의 상기 내면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축 부재는 상기 투사재를 이송하는 중공관일 수 있다. 상기 투사기는, 상기 축 부재의 선단에 제공되며, 상기 축 부재의 중공과 연결된 메인 유로 및 상기 메인 유로로부터 둘레로 분기된 분기 유로들을 구비하는 분배 블록과; 상기 투사재 노즐들을 상기 분기 유로들과 각각 연결하는 투사재 이송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사기는, 상기 메인 유로와 상기 분기 유로들 사이에서 상기 축 부재의 중공을 통해 상기 메인 유로로 이송되는 상기 투사재를 상기 분기 유로들로 안내하는 분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 가이드는 상기 메인 유로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분기 유로 각각으로 경사진 안내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화된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상기 관의 내면에 대한 표면 처리를 위해 각각 탑재된 투사기 및 투사재 공급기를 포함하며, 상기 투사재 공급기가 투사재 공급 탱크, 투사재 보충 탱크, 투사재 공급 라인, 투사재 압송 유닛 및 감압 유닛을 포함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는, 투사재 공급실, 상기 투사재 공급실의 하부와 연통된 투사재 공급구 및 상기 투사재 공급실의 상부와 연통된 투사재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투사재 공급구를 개폐하는 공급구 밸브와 상기 투사재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는, 투사재 저장실 및 상기 투사재 저장실의 하부와 연통된 투사재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사재 공급 라인은 상기 투사재 투입구와 상기 투사재 배출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투사재 압송 유닛은 상기 투사재 공급구를 통해 배출되는 투사재를 상기 투사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유닛은,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의 상부에 상기 투사재 공급실과 연통하도록 제공된 제1 석션 모듈 및 상기 투사재 공급 라인에 연결된 제2 석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투사재 공급실 및 상기 투사재 공급 라인 내의 압력을 상기 제1 석션 모듈의 석션 및 상기 제2 석션 모듈의 석션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강하시켜 상기 투사재 공급실과 상기 투사재 저장실 간에 압력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투사재 저장실에 저장된 상기 투사재를 상기 투사재 공급실로 상기 압력 차이에 의해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 상기 투사재 공급 라인, 상기 투사재 압송 유닛 및 상기 감압 유닛이 포함된 상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투사기에 의해 상기 관의 상기 내면으로 분사되고 상기 관의 바닥에 떨어진 상기 투사재를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투사재 회수 유닛과; 상기 투사재 회수 유닛의 전방에서 상기 관의 상기 바닥에 떨어진 상기 투사재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여 분진을 상기 관의 상기 바닥에 떨어진 상기 투사재와 분리하는 송풍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석션 모듈 및 상기 제2 석션 모듈은 상기 석션 과정에서 상기 투사재의 유입은 차단하고 상기 투사재에 비해 작은 이물의 유입은 허용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사기에 상기 투사재를 공급하는 때에, 상기 공급구 밸브는 개방 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투입구 밸브는 폐쇄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사기에 상기 투사재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의 상기 투사재 공급실에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의 상기 투사재 저장실 내 상기 투사재를 보충하는 때에, 상기 공급구 밸브는 폐쇄 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투입구 밸브는 개방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화된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상기 관의 내면에 대한 표면 처리를 위해 각각 탑재된 투사기 및 투사재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투사재 공급기는, 복수의 투사재 공급 탱크와; 단일의 투사재 보충 탱크와;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들을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와 연결하는 투사재 공급 라인과;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들을 상기 투사기와 연결하며,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배출되는 투사재를 상기 투사기에 공급하는 투사재 압송 유닛과; 상기 투사기에 의해 상기 관의 상기 내면으로 분사되고 상기 관의 바닥에 떨어진 상기 투사재를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로 회수하는 투사재 회수 유닛과;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들에 각각 제공된 석션 모듈들을 포함하고,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압력을 선택되는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에 제공된 상기 석션 모듈의 석션에 의해 부압으로 강하시켜 선택되는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와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 간에 압력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에 저장된 상기 투사재를 선택되는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로 상기 압력 차이에 의해 이송시키는 감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감압 유닛은 상기 투사재가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투사기에 공급되는 동안에 상기 투사재 보충 탱크에 저장된 상기 투사재를 상기 투사재 공급 탱크들 중 선택되는 다른 하나로 이송하도록 작동되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에 대한 갱생 구간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도장막 제거 장치를 투입하고, 투입된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를 상기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관의 내면으로부터 도장막을 제거하는 단계(도장막 제거 공정)와; 상기 갱생 구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쇼트 블라스팅 장치를 투입하고, 투입된 상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를 상기 관의 상기 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도장막이 제거된 상기 관의 내면에 대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표면 처리 공정)와; 상기 갱생 구간에 도장 장치를 투입하고, 투입된 상기 도장 장치를 상기 관의 상기 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표면 처리가 수행된 상기 관의 내면에 대한 도장을 수행하는 단계(도장 공정)를 포함하는, 노후관 갱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커터(235 참조)들을 이용하여 도장막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바이브레이터(237 참조)들에 의해 진동을 가하여 회전 커터들을 요동시킴으로써, 도장막을 보다 효율적으로 절단, 박리할 수 있다.
게다가, 바이브레이터들이 에어 바이브레이터이고, 에어 바이브레이터들에서 사용되고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를 에어 노즐(239 참조)들에 의해 회전 커터들 측으로 분사함으로써, 버려졌던 고압의 공기를 회전 커터들 냉각용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에, 도장막에서 회전 커터들에 의해 절단되는 부분이 고온의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어 회전 커터들의 날 부분에 부착되는 현상(절단 효율의 저하 야기)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면 처리 공정의 수행을 위한 투사재 분사 시, 관의 내면에 대한 투사재 노즐(110 참조)들의 거리를 무동력 방식(투사재 분사 시 발생되는 반발력 이용)과 비접촉 방식(접촉에 따른 노후관의 내면 손상 방지)에 의해 설정된 최적 분사 거리(100D 참조)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표면 처리 공정의 수행 과정에서, 투사재 공급 탱크(310 참조)와 투사재 보충 탱크(320 참조) 간에 압력 차이를 발생시켜 투사재를 투사재 보충 탱크로부터 투사재 공급 탱크로 이송하기 때문에, 투사재를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향상된 공정 속도, 공정 품질 등에 의해 개선된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방법의 단계들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장치로서 도장막 제거 장치의 구성 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장치로서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구성 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장치로서 도장 장치가 개념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유사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기에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용어에 대해서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때, 이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된다고 하는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후화된 관을 갱생하는 데 사용되는 노후관 갱생 장치,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 방법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노후관은 상수를 수송하기 위해 매설된 상수도관(강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방법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방법을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갱생 준비 작업) 우선, 갱생 대상이 되는 관(10)(이하, 도면 부호의 병기는 생략한다.)의 관로에서 갱생 구간(12)을 설정하고, 설정된 갱생 구간(12)을 통과하는 유체(예를 들어, 상수)의 흐름을 차단한다. 갱생 구간(12)은 갱생 조건 등을 고려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0.5km 내지 2.0km 범위로 갱생 구간(12)을 설정할 수 있다. 갱생 구간(12)에서의 유체 흐름 차단을 위해, 갱생 구간(12)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설치된 관로 개폐 밸브를 닫아 유체가 갱생 구간(12)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방법, 유체의 흐름을 다른 관로로 바이패스시켜 유체가 상류 측으로부터 갱생 구간(12)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노후관 갱생 장치를 갱생 구간(12)에 투입하기 위한 작업구(14)를 구축하고, 갱생 구간(12)을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기구(16)를 구축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생 구간(12)의 양단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작업구(14)가 배치되고 나머지에 통기구(16)가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작업구(14)는 갱생 구간(12)의 양단 부분에 모두 제공될 수도 있고, 통기구(16)는 작업구(14)를 겸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외부 공기를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에 공급하고 갱생 구간(12) 내 공기를 작업구(14)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통기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 장치(20)를 설치한다. 작업구(14) 및 통기구(16)가 구축되면, 작업구(14) 측에 급기 장치(22)를 설치하고 통기구(16) 측에 배기 장치(26)를 설치하여 환기 장치(20)를 제공할 수 있다. 급기 장치(22) 및 배기 장치(26)에 각각 갱생 구간(12)과 연통하는 통기 덕트(24, 28)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통기구(16)의 구축이 완료되면, 통기구(16) 측에 갱생 작업 중에 갱생 구간(12)에서 발생되는 분진 등을 처리하기 위한 집진 장치(30)를 설치한다. 집진 장치(30)에 갱생 구간(12)과 연통하는 집진 덕트(32)가 연결될 수 있다.
(청소 및 건조 작업) 다음, 도시되지 않은 준설 장치, 배수 장치 등을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에 투입하여 갱생 구간(12)을 청소한다. 준설 장치 및 배수 장치에 의하면, 갱생 구간(12)에 퇴적된 모래, 흙 등의 퇴적물을 제거하고 갱생 구간(12)에 고여 있는 잔여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 작업은 작업구(14), 통기구(16)를 구축하는 작업 또는 환기 장치(20), 집진 장치(30)를 설치하는 과정과 병행할 수도 있다. 갱생 구간(12)에 대한 청소 작업이 완료되면, 투입된 준설 장치, 배수 장치 등을 갱생 구간(12)의 외부로 철거한다.
그 다음으로, 환기 장치(20)를 이용, 급기 장치(22)에 의해서는 외부 공기를 갱생 구간(12)에 강제로 공급하고, 배기 장치(26)에 의해서는 갱생 구간(12)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갱생 구간(12)을 건조한다.
이상과 같은 순서에 따라 갱생 구간(12)에 대해 청소한 후 건조 작업까지 완료되면, 노후관 갱생 장치로서 도장막 제거 장치(A10, 도 2 참조), 도장막 수거 장치(도시되지 않음),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 도 3 및 도 4 참조), 도장 장치(A50, 도 4 참조) 등을 이용하는 갱생 작업을 수행한다.
갱생 작업은 도장막 제거 장치(A10) 및 도장막 수거 장치를 이용하는 도장막 제거 공정(도 2 참조),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를 이용하는 표면 처리 공정(도 3 및 도 4 참조), 도장 장치(A50)를 이용하는 도장 공정(도 4 참조), 건조 검사 공정의 순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각 공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장막 제거 공정) 도장막 제거 장치(A10)를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에 투입한 후, 관의 내면에 형성된 기존의 도장막을 도장막 제거 장치(A10)에 의해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내면에 도장막으로서 콜탈 에나멜이 코팅되고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도장막 상에 딱딱한 스케일 등의 이물이 부착된다. 도장막 제거 공정에서, 도장막 제거 장치(A10)는 이러한 도장막(콜탈 에나멜) 및 그 위에 부착된 각종의 이물(스케일 등)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 도장막 수거 장치를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에 투입하고, 도장막 제거 장치(A10)에 의해 제거됨에 따라 관의 내면으로부터 관의 바닥으로 탈락된 도장막(도장막 위에 부착된 스케일 등의 이물을 포함한다.)을 도장막 수거 장치에 의해 수거한다.
도장막 제거 장치(A10)는, 도장막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박리, 제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고속화)할 수 있다. 도장막 제거 장치(A10)는, 이후에 진행할 표면 처리 공정, 도장 공정 등을 위한 각각의 장치와 독립된 별도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의 내부를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도장막을 관의 내면으로부터 제거한다.
도장막 수거 장치도, 다른 노후관 갱생 장치와 독립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탈락된 도장막을 수거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장막 제거 장치(A10), 도장막 수거 장치,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 및 도장 장치(A50) 중 어느 둘 이상을 하나의 장치로 연결하면, 연결된 전체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장치에만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체 장치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리한 후 작업을 재개해야 하는 등 작업 속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도장막 제거 장치(A10)는 도장막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도장막을 제거하므로 다른 노후관 갱생 장치에 비해 고장 발생이 잦을 수 있다. 그러므로, 노후관 갱생 장치들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운용하면, 전체 갱생 작업을 더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장막 제거 장치(A10)의 작업 진행 방향 등이 표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막 제거 장치(A10)는 갱생 구간(12)에서 작업구(14)로부터 통기구(16) 측으로 이동되면서 도장막을 제거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도장막 수거 장치는 갱생 구간(12)에서 도장막 제거 장치(A10)의 작업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통기구(16)로부터 작업구(14) 측으로 이동되면서 도장막을 수거한다.
이와 같이, 도장막 제거 및 제거된 도장막 수거를 함께 진행하면, 전체 도장막 제거 공정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도장막 제거 공정의 수행 후, 도장막 제거 장치(A10) 및 도장막 수거 장치는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의 외부로 철거될 수 있다.
(표면 처리 공정) 다음,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를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에 투입하고, 도장막 제거 공정이 수행된 관의 내면에 대해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에 의해 표면 처리를 한다. 즉, 관의 내면에 투사재를 고속으로 투사하여 이후에 진행할 도장 공정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 역시, 다른 노후관 갱생 장치와 독립된 별도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의 내부를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투사재를 관의 내면으로 투사한다.
도 3에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작업 진행 방향 등이 표현되어 있다. 도 3 등을 참조하면,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는 갱생 구간(12)에서 작업구(14)로부터 통기구(16) 측으로 이동되면서 관의 내면을 투사재로 처리한다.
(도장 공정) 그 다음, 도장 장치(A50)를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에 투입하고,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된 관의 내면에 도장 장치(A50)을 도장한다. 도장 장치(A50)의 경우에도 다른 노후관 갱생 장치와 독립된 별도 장치로 구성되어 관의 내부를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도료를 관의 내면에 분사한다.
도 4에 도장 장치(A50)의 작업 진행 방향 등이 표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장치(A50)는 갱생 구간(12)에서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작업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통기구(16)로부터 작업구(14) 측으로 이동되면서 도장 공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갱생 구간(12) 중 일정 구간에 대한 표면 처리 공정이 완료되면(1일 작업량일 수 있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에 의한 표면 처리를 일시 중단하고, 갱생 구간(12)에 투입된 도장 장치(A50)를 통기구(16) 측으로 이동시켜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 측에 위치시킨 뒤, 작업구(14)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에 의한 표면 처리 공정 및 도장 장치(A50)에 의한 도장 공정을 번갈아 가면서 수행하여 표면 처리 공정 및 도장 공정을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표면 처리 공정(쇼트 블라스팅 장치(A30)를 통기구(16)로부터 작업구(14) 측으로 이동)을 진행하면서, 표면 처리 공정의 진행 구간과 적정한 수준의 거리를 유지하고 도장 공정(도장 장치(A50)를 작업구(14)로부터 통기구(16) 측으로 이동)을 진행함으로써, 표면 처리 공정과 도장 공정을 병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표면 처리 공정의 진행 구간과 도장 공정의 진행 구간이 가까우면, 표면 처리 시에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에 의해 도장 불량(도장에 분진 혼입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처리 공정과 도장 공정을 번갈아 가면서 하거나 표면 처리 공정의 진행 구간과 도장 공정의 진행 구간 사이를 적정한 거리로 유지하면서 함께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장 공정이 완료되면,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 및 도장 장치(A50)는 작업구(14)를 통해 갱생 구간(12)의 외부로 철거될 수 있다.
(건조 검사 공정) 다음, 환기 장치(20)를 작동시켜 관의 내면에 도장된 도료를 건조시키고 갱생 구간(12)에 대한 갱생 상태를 검사한다.
참고로, 작업 환경 개선 면에서는 갱생 구간(12)에 대한 도장막 제거 공정, 표면 처리 공정, 도장 공정 등을 수행할 때에도 환기 장치(20)를 계속적으로 가동시켜 환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면 처리 공정에서는 다른 공정들과 비교하여 볼 때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되므로, 표면 처리 공정을 제외한 다른 공정들에서는 반드시 집진 장치(30)를 가동시키지 않더라도, 표면 처리 공정 중에는 집진 장치(30)를 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 장치(30)를 가동하면, 분진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갱생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이로써 관의 갱생 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후관 갱생 방법을 위한 노후관 갱생 장치로서 도장막 제거 장치(A10), 도장막 수거 장치,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 그리고 도장 장치(A50)는 각각 작업자가 탑승하여 직접 조종하는 타입일 수도 있고 갱생 구간(12)의 외부(예를 들어, 지상)에서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조종하는 타입일 수도 있다. 후자인 원격 제어 타입의 경우, 해당 장치는 갱생 구간(12)의 외부에서 갱생 구간(12), 갱생 작업 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카메라, 조명 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장막 제거 장치)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막 제거 장치(A10)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장막 제거 장치(A10)의 전체 구성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장막 제거 장치(A10)는, 관의 관로(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체(대차, A11)를 포함하고, 차체(A11)에 탑재된 회전 어셈블리(A12), 복수의 커팅기(A13) 및 승강 어셈블리(A14)를 더 포함한다.
도장막 제거 장치(A10)의 차체(A11)는, 탑재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차체 프레임(211), 차체 프레임(211)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휠 유닛(212)들, 그리고 이들 휠 유닛(212)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휠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휠 유닛(212)들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휠 유닛(212) 각각은 휠들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휠 구동 유닛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휠 구동 유닛의 모터는 에어 모터일 수 있다. 휠 구동 유닛의 에어 모터는, 공압을 공압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고, 에어 레귤레이터(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공압 공급원과 연결되어 요구 수준으로 조절된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휠 구동 유닛의 모터는 에어 모터 대신 전기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의 C-C선 단면도로, 이들은 해당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어셈블리(A12)는, 차체(A11) 상의 전방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센터 축(221), 센터 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원판상의 회전체(222), 그리고 회전체(22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유닛(223)을 포함한다. 센터 축(221)은 고정축이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센터 축(221)은 승강 어셈블리(A14)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체(222)는 중앙 부분이 센터 축(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구동 유닛(223)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 유닛(223)은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회전체(22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 유닛(223)의 동력 전달 기구는 기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 구동 유닛(223)의 모터는 에어 모터이며 앞서 언급한 공압 공급원 및 에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요구 수준으로 조절된 공압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회전 구동 유닛(223)의 모터는 에어 모터 대신 전기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커팅기(A13)들의 작동 등을 나타낸다. 커팅기(A13)들은, 회전체(2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회전체(222)와 함께 센터 축(221)을 중심으로 하여 센터 축(221)의 둘레를 따라 회전되며, 도장막을 절단하여 도장막을 관의 내면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커팅기(A13) 각각은, 회전체(222)에 기단 부분이 결합된 내측의 제1 암(231), 제1 암(231)의 선단 부분에 기단 부분이 전후 방향의 암 축(2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관의 내면에 대해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외측의 제2 암(233), 제2 암(233)의 선단 부분에 전후 방향의 커터 축(23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 회전 커터(235), 그리고 제2 암(233)을 제1 암(231)에 대해 회전시켜 회전 커터(235)를 관의 내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236)를 포함한다.
제1 암(231)들은 센터 축(2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암(233)들은 각각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암(231)들에 대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제2 암(233)들이 제1 암(231)들에 대해 접히면, 제2 암(233)들은 선단 부분이 관의 내면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제2 암(233)들이 제1 암(231)들에 대해 펴지면, 제2 암(233)들은 선단 부분이 관의 내면에 대해 접근될 수 있다. 제2 암(233)들의 선단 부분이 관의 내면에 대해 접근되면, 회전 커터(235)들은 날이 관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36)들은 유압에 의해 신축 작동을 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이다. 액추에이터(236) 각각은 서로 연결된 제1 암(231)과 제2 암(233)에 양단 부분이 각각 전후 방향의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액추에이터(236)들의 길이가 수축되면, 제2 암(233)들은 제1 암(231)들에 대해 접힐 수 있다(도 6 참조). 액추에이터(236)들의 길이가 신장되면, 제2 암(233)들은 제1 암(231)들에 대해 펴질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제2 암(233)들이 액추에이터(236)들에 의해 제1 암(231)들에 대해 펴짐으로써, 제2 암(233)들의 선단 부분이 관의 내면에 대해 접근되면, 회전 커터(235)들은 날이 관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렇듯, 액추에이터(236)들에 의하면, 제2 암(233)들을 관의 내주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제1 암(231)들에 대해 접거나 펴칠 수 있고, 회전 커터(235)들을 관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커팅기(A13) 각각은, 제2 암(233)에 일정한 진동을 가하여 제2 암(233)을 제2 암(233)의 회전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237)를 더 포함한다. 제2 암(233)들이 바이브레이터(237)들의 진동에 의해 요동되면, 회전 커터(235)들은 제2 암(233)들의 요동 운동과 액추에이터(236)들의 신축 작동에 의해 관의 내면에 대해 미소하게 이격되었다가 다시 밀착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장막을 관의 내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회전 커터(235)들을 센터 축(22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때, 도장막을 회전 커터(235)들에 의해 타격하면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커터(235)들에 의한 도장막 절단 효율 및 절단된 도장막에 대한 박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커팅기(A13) 각각에 있어서, 바이브레이터(237)는, 제2 암(233)에 장착되고, 공기 압력으로 구동되며, 앞서 언급한 공압 공급원과 에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요구 수준으로 조절된 압력의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 바이브레이터이다. 이에 따라, 바이브레이터(237)들은, 에어 도입구 및 에어 배출구를 가지고, 이들 에어 도입구와 에어 배출구 사이의 유로를 고압으로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되는 진동 요소를 구비한다. 바이브레이터(237)들은 진동 요소로서 볼, 롤러, 터빈 또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공지의 에어 바이브레이터일 수 있다.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팅기(A13)는, 에어 도입구에 앞서 언급한 공압 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 라인(238)이 연결되고, 에어 배출구에 에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회전 커터(235) 측으로 분사하는 에어 노즐(239)이 연결된다. 이 때, 에어 노즐(239)은 선단에 형성된 분사구가 회전 커터(235)의 둘레 한쪽을 향하도록 에어 배출구로부터 회전 커터(235)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 노즐(239)들에 의하면, 바이브레이터(237)들에서 진동 발생을 위해 사용되고 버려졌던 고압의 공기를 회전 커터(235)들에 대한 냉각, 세정 등의 용도로 재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장막에서 회전 커터(235)들에 의해 절단되는 부분이 절단 시에 발생되는 고온의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어 회전 커터(235)들의 날 부분에 부착되는 현상(절단 효율의 저하 야기)을 냉각 작용으로 예방할 수가 있고, 이물이 회전 커터(235)들과 도장막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세정 작용으로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는 없으나, 커팅기(A13) 각각은 에어 노즐(239)에 냉각 액체 공급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이들 냉각 액체 공급 라인에 의하면, 소정 온도(예를 들어, 상온 이하)의 냉각 액체를 냉각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에어 노즐(239)들의 유로에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에어 노즐(239)들은 냉각 액체와 혼합된 공기를 회전 커터(235)들 측으로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노즐(239)들을 이용한 회전 커터(235)들 및 그 주변에 대한 냉각, 세정 효과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커팅기(A13)들은 2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커팅기(A13F)들은 전방의 회전체(222F)에 제공되고, 전방의 회전체(222F)는 전방의 회전 구동 유닛(223F)에 의해 설정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커팅기(A13F)들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후방의 커팅기(A13R)들은 후방의 회전체(222R)에 제공되고, 후방의 회전체(222R)는 후방의 회전 구동 유닛(223R)에 의해 전방의 회전체(222F)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설정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전방의 회전체(222F)와 후방의 회전체(222R)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전방에서 볼 때, 전방의 회전체(222F)는 전방의 회전 구동 유닛(223F)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후방의 회전체(222R)는 후방의 회전 구동 유닛(223R)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승강 어셈블리(A14)는, 센터 축(221)을 지지하는 승강 부재(241), 승강 부재(241)가 상하 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하도록 양옆에서 가이드하는 승강 안내 기구(242), 차체(A11)의 차체 프레임(211) 상에 장착된 상태로 승강 안내 기구(242)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43), 그리고 승강 부재(241)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 유닛(244)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244)은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승강 어셈블리(A14)는 의하면, 축 부재(104)를 관의 크기 등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관의 중심 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장막 수거 장치) 도시된 바는 없으나, 도장막 수거 장치는 차체, 도장막 운반 컨베이어, 도장막 수거 브러시 및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장막 수거 장치의 차체는 관의 내부(관로)를 따라 자주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장막 운반 컨베이어는, 차체에 탑재되어 차체와 함께 이동되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장막 수거 브러시는, 도장막 운반 컨베이어의 전방 측에 관의 바닥과 접촉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시 관의 바닥에 떨어진 도장막을 후방의 도장막 운반 컨베이어 측으로 쳐 낼 수 있다. 가이드는 도장막 운반 컨베이어와 도장막 수거 브러시 사이에서 도장막 수거 브러시에 의해 쳐 내진 도장막을 도장막 운반 컨베이어 상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는, 관의 내부(관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차체(대차, A31), 차체(A31) 상에서 전후 방향의 축(axis, 100A)을 중심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서 투사재를 관의 내면으로 투사하는 투사기(A32), 그리고 공압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이용하여 투사재를 투사기(A32)에 고압으로 공급하는 투사재 공급기(A33)를 포함한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에 있어서, 차체(A31)는 차체 프레임(101)을 포함하고, 투사기(A32) 및 투사재 공급기(A33)는 차체 프레임(101)에 탑재된다. 또한,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차체(A31)는, 차체 프레임(101)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휠 유닛(102)들, 그리고 휠 유닛(102)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휠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휠 유닛(102)들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휠 유닛(102) 각각은 휠들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휠 구동 유닛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휠 구동 유닛의 모터는 에어 모터일 수 있다. 휠 구동 유닛의 에어 모터는, 공압을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공압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고, 에어 레귤레이터(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이 공압 공급원과 연결되어 요구 수준으로 조절된 공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휠 구동 유닛의 모터는 에어 모터 대신 전기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0, 도 13 등을 참조하면, 투사재 공급기(A33)는 투사재 공급 탱크(310), 투사재 보충 탱크(320), 투사재 공급 라인(325), 투사재 압송 유닛(330) 그리고 감압 유닛(340, 345)을 포함한다. 투사재 공급 탱크(310)와 투사재 보충 탱크(320)는 모두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차체(A31) 상에 제공된다.
투사재 공급 탱크(310)는, 내부에 제공되는 투사재 공급실(311)을 구비하고, 투사재 공급실(311)의 하부와 연통되는 투사재 공급구 및 투사재 공급실(311)의 상부와 연통되는 투사재 투입구를 구비하며, 투사재 공급구의 개폐를 위한 공급구 밸브(312) 및 투사재 투입구의 개폐를 위한 투입구 밸브(313)를 구비한다. 투사재 보충 탱크(320)는, 내부에 제공되는 투사재 저장실(321)을 구비하는 한편, 투사재 저장실(321)의 하부와 연통되는 투사재 배출구를 구비한다. 투사재 공급 라인(325)은 투사재 투입구와 투사재 배출구를 연결하고, 투사재 압송 유닛(330)은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공압 공급원으로부터의 공압(고압 기체)을 이용하여 투사재 공급구를 통해 중력과 자체의 하중으로 배출되는 투사재를 투사기(A32)에 공급하며, 감압 유닛(340, 345)은 투사재 공급실(311) 및 투사재 공급 라인(325) 내의 압력을 강하시켜 투사재 저장실(321)에 저장된 투사재를 투사재 공급실(311)로 압력 차이에 의해 이송시킨다.
여기서, 투사재 압송 유닛(330)은 투사재 공급구에 연결된 압송 라인을 포함한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공압 공급원과 에어 레귤레이터는 요구 수준으로 조절된 공압을 투사재 압송 유닛(330)의 압송 라인에 투사재 압송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감압 유닛(340, 345)은 투사재 공급실(311)과 연통하도록 제공된 제1 석션 모듈(340) 및 투사재 공급 라인(325)에 연결된 제2 석션 모듈(345)을 포함한다. 제1 석션 모듈(340)과 제2 석션 모듈(345)은 석션 과정에서 투사재의 내부 유입은 차단하고 투사재에 비해 작은 분진과 같은 이물의 내부 유입은 허용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석션 모듈(340)과 제2 석션 모듈(345)은, 흡입력 발생원과 연결됨으로써, 각각 공기를 투사재 공급실(311)과 투사재 공급 라인(325)으로부터 배출하여 투사재 공급실(311)과 투사재 공급 라인(325)을 감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석션 모듈(340)과 제2 석션 모듈(345)은 각각 제1 개방 단부 및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공압 공급원과 연결된 제2 개방 단부를 가지는 통과 유로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석션 모듈(340)의 통과 유로는 중간 부분이 투사재 공급실(311)과 연통될 수 있고, 제2 석션 모듈(345)의 통과 유로는 중간 부분이 투사재 공급 라인(325)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공압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압 기체는, 제1 석션 모듈(340)의 통과 유로 및 제2 석션 모듈(345)의 통과 유로를 각각 고속으로 통과(제1 개방 단부로 주입, 제2 개방 단부로 배출)하여 통과 유로들의 압력을 하강시킴으로써, 투사재 공급실(311)의 공기와 투사재 공급 라인(325) 내의 공기를 통과 유로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투사재 공급실(311)과 투사재 공급 라인(325)을 감압할 수 있다.
투사재를 투사기(A32)에 공급하는 동안, 제1 석션 모듈(340) 및 제2 석션 모듈(345)은 정지 상태, 공급구 밸브(312)는 개방 상태, 투입구 밸브(313)는 폐쇄 상태로 제어된다. 투사재 공급 탱크(310) 내 투사재가 거의 또는 모두 소진되어 투사재 보충 탱크(320)에 저장된 투사재를 투사재 공급 탱크(310)에 공급하는 동안, 제1 석션 모듈(340) 및 제2 석션 모듈(345)은 모두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공급구 밸브(312)는 폐쇄 상태로 전환되며, 투입구 밸브(313)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된다. 제1 및 제2 석션 모듈(340, 345)이 작동되면, 투사재 공급실(311)과 투사재 공급 라인(325)은 모두 그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 상태로 강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석션 모듈(340)과 제2 석션 모듈(345)은 투사재 공급실(311)이 투사재 공급 라인(325)의 내부에 비해 낮은 부압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감압 유닛(340, 345)의 압력 강하 작용에 따르면, 투사재 보충 탱크(320) 내 투사재 저장실(321)의 압력은 투사재 공급 라인(325)의 내부 압력 및 투사재 공급 탱크(310) 내 투사재 공급실(311)의 압력보다 높아, 투사재 보충 탱크(320)에 저장된 투사재는 이 같은 압력 차이에 의해 투사재 공급 라인(325)을 따라 투사재 공급 탱크(310)로 공급된다. 이 때, 투사재들에 혼입된 분진은 제1 석션 모듈(340)과 제2 석션 모듈(345)의 흡입 및 배기 작용에 의해 투사재 공급 탱크(310)와 투사재 공급 라인(325)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투사재 공급 탱크(310)에 분진이 제거된 상태로 투사재만 저장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투사재 보충 탱크(320)는, 투사재 투입을 위해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 사이즈가 투사재에 비해 큰 이물의 투입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 제거 망체(323)가 구비된다. 투사재 공급기(A33)는, 투사기(A32)에 의해 관의 내면으로 분사되어 관의 바닥에 떨어진 투사재를 투사재 보충 탱크(320)로 회수하는 투사재 회수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재 회수 유닛(350)은 버킷들이 투사재 보충 탱크(320)의 상측 및 관의 바닥 측을 경유하도록 순환하면서 관의 바닥에 떨어진 투사재를 투사재 보충 탱크(320)의 개방된 상부 내로 퍼나르도록 구성된 버킷 컨베이어일 수 있다. 투사재 회수 유닛(350)은 관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높이 조절 유닛(액추에이터 구비, 35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투사재 회수 유닛(350)에 의하면, 투사재를 관의 바닥으로부터 투사재 보충 탱크(320)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투사재 회수 유닛(350)의 전방으로 송풍 유닛(119n)이 제공될 수 있다. 송풍 유닛(119n)은,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차체(A31)의 전방에 배치되며, 팬 및 송풍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유닛(119n)은, 관의 바닥에 떨어진 투사재를 향해 기체(공기 등)를 분사함으로써, 분진 등의 이물을 관의 바닥에 떨어진 투사재들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사재 회수 유닛(350)은 이물이 송풍 유닛(119n)에 의해 분리된 상태의 투사재들을 회수할 수 있다.
도 14는 투사재 공급기(A33)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재 공급기(A33)는 투사재 공급 탱크(310)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계 변경에 따라, 투사재 공급 라인(325)은 투사재 공급 탱크(310)들과 투사재 보충 탱크(320)를 메인 공급 라인 및 메인 공급 라인로부터 복수 갈래로 분기된 분기 공급 라인들(325a, 325b)에 의해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투사재 압송 유닛(330)은 투사재 공급 탱크(310)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배출되는 투사재를 메인 압송 라인 및 메인 압송 라인으로부터 복수 갈래로 분기된 분기 압송 라인들(330a, 330b)을 통해 투사기(A32)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석션 모듈(340)은 투사재 공급 탱크(310)들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제2 석션 모듈(345)은 분기 공급 라인들(325a, 325b)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메인 공급 라인과 분기 공급 라인들(325a, 325b)은 밸브(예를 들어, 삼방 밸브)에 의해 연결 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은 설계 변경에 의하면, 투사재를 투사재 공급 탱크(310)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투사기(A32)로 압송, 공급하는 과정 중에, 투사재를 투사재 보충 탱크(320)로부터 투사재 공급 탱크(310)들 중 나머지로 이송, 보충하는 방식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를 투사재 보충에 따른 작업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투사기(A32)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를 구성하는 차체(A31)에서 차체 프레임(101)의 전방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사기(A32)는, 차체 프레임(101) 상에 제공된 센터 프레임 모듈(103), 센터 프레임 모듈(103)에 전후 방향의 축(10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축 부재(104), 축 부재(104)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 구동 유닛(105), 그리고 축 부재(104)의 둘레에서 투사재를 주위로 투사하는 로터리 블라스팅 헤드(도면 부호 107, 108, 109 및 110 참조)를 포함한다. 로터리 블라스팅 헤드는 축 부재(104)의 둘레에 제공된다. 축 구동 유닛(105)을 작동시키면, 축 부재(104)가 회전되고, 로터리 블라스팅 헤드가 축 부재(104)와 함께 회전된다.
센터 프레임 모듈(103)은, 차체 프레임(101)에 장착된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프레임, 그리고 상부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축 부재(104)는 상부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 구동 유닛을 작동시키면,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축 부재(104)가 상부 프레임과 함께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관의 규격에 따라 축 부재(104)를 관의 중심 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축 구동 유닛(105)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축 구동 유닛(105)은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축 부재(104)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구(예를 들어, 기어, 벨트 또는 체인을 이용하는 방식의 전동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축 구동 유닛(105)의 모터는 에어 모터이며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공압 공급원 및 에어 레귤레이터에 의해 요구 수준으로 조절된 공압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로터리 블라스팅 헤드는, 축 부재(104)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로터리 베이스(106), 로터리 베이스(106)에 전후 방향의 축(100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제공된 암 모듈(도면 부호 107, 108 및 109 참조)들, 그리고 암 모듈 각각의 선단 영역에 제공된 투사재 노즐(110)을 포함한다.
암 모듈 각각은, 로터리 베이스(106)에 견고하게 결합된 고정 암(107), 고정 암(107)에 관의 내면에 대해 이격되는 제1 방향(도 12의 (a)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 참조)과 접근되는 제2 방향(도 12의 (b)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가동 암(108), 그리고 고정 암(107)과 가동 암(108) 사이에서 가동 암(108)에 제2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09)를 포함한다. 투사재 노즐(110)들은 가동 암(108)들의 선단 부분에 각각 관의 내면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제1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제2 방향은 전후 방향의 축(100A)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가동 암(108)들에 제1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가동 암(108)들이 각각 탄성 부재(109)들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투사재 노즐(110)들이 관의 내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 반대로, 가동 암(108)들에 제1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가동 암(108)들이 각각 탄성 부재(109)들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투사재 노즐(110)들이 관의 내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근될 수 있다.
투사재가 공압에 의해 투사재 노즐(110)들로부터 고압으로 분사되면, 투사재 분사 압력에 따른 반발력이 투사재 노즐(110)들에서 발생된다. 투사재 노즐(110)들로부터의 투사재 분사 방향은 대체적으로 제2 방향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발력은 투사재 노즐(110)들에 대체적으로 제1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투사재 노즐(110)들은, 투사재 분사 시 투사재 분사 압력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 가동 암(108)들과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관의 내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설정된 최적 분사 거리(100D)로 조절된 상태로 투사재 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도 12의 (a) 참조). 이에, 관의 규격 등에 따라 관의 내면에 대한 투사재 노즐(110)들의 분사 거리가 자동으로 균일하게 가변되므로 투사재 분사 거리의 수동 조절 및 이로 인한 투사재 분사 거리의 편차에 따라 표면 처리가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109)들은 가동 암(108)들을 각각 이동시켜 관의 내면에 대한 투사재 노즐(110)들의 거리를 설정된 최적 분사 거리(100D)로 조절하는 분사 거리 조절기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109)들을 포함하는 분사 거리 조절기는 최적 분사 거리(100D)를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축 부재(104)는 투사재를 이송하는 중공관으로 구성되고, 투사기(A32)는 분배 블록(115)과 투사재 이송 라인(116)들을 더 포함한다. 분배 블록(115)은 축 부재(104)의 선단에 제공된다. 분배 블록(115)은, 축 부재(104)의 중공(축 부재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내부)과 연결된 메인 유로(113), 그리고 메인 유로(113)로부터 둘레로 분기된 분기 유로(114)들을 가진다. 투사재 이송 라인(116)들은 투사재 노즐(110)들을 분기 유로(114)들과 각각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사재는 축 부재(104), 분배 블록(115) 및 투사재 이송 라인(116)들을 차례로 거쳐 투사재 노즐(110)들에 공급된다. 투사재 압송 유닛(330)의 압송 라인은 축 부재(104)의 후단에 연결되어 투사재를 축 부재(104)의 내부로 공급한다.
투사기(A32)는 메인 유로(113)와 분기 유로(114)들 사이에 배치된 분배 가이드(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 가이드(117)는 축 부재(104)의 중공을 통해 메인 유로(113)로 이송된 투사재를 분기 유로(114)들로 안내,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투사재를 보다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분배 가이드(117)는 메인 유로(113)의 중심으로부터 분기 유로(114) 각각으로 경사진 형상의 안내면(118)들을 가질 수 있다. 안내면(118)들에 의하면, 메인 유로(113)로부터의 투사재를 분기 유로(114) 각각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0의 도면 부호 119b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로터리 블라스팅 헤드의 후방에 차단 벽을 제공함으로써, 로터리 블라스팅 헤드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의 후방 비산을 제한하고 투사재에 의한 표면 처리 시 다량으로 발생되는 분진의 후방 확산을 억제하는 배리어이다. 배리어(119b)는, 관에 비해 작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부분이 센터 프레임 모듈(103)에 장착되며, 하부에 관의 바닥으로 떨어진 투사재를 관의 바닥의 중앙 영역으로 모으는 경사 개구가 형성된다. 송풍 유닛(119n)은 경사 개구에 의해 모아지는 투사재들을 향해 기체를 분사하여 분진 등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쇼트 블라스팅 장치(A30)가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전진)하면서 관의 내면에 대한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배리어(119b)는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관의 바닥에 떨어진 투사재를 관의 바닥의 중앙 영역으로 모을 수 있고, 투사재 회수 유닛(350)은 송풍 유닛(119n)에 의해 이물이 제거되고 배리어(119b)의 경사 개구의 유도 작용에 의해 모아진 투사재들을 회수할 수 있다.
(도장 장치) 도 15는 도장 장치(A50)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장 장치(A50)는 관의 관로(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자주식 차체(대차, 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장 장치(A50)의 차체(510)는, 링크 기구에 의해 서로 일렬로 연결된 복수의 차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들 차체 프레임에 도료 공급 유닛(530) 및 도장 헤드 어셈블리(540)가 도장 장치(A50)의 작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탑재 순서는 일례이며 실시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장 장치(A50)는, 도료 공급 유닛(530) 측이 후방이고, 도장 헤드 어셈블리(540) 측이 전방이며, 갱생 구간(12)에서 후진 이동을 하면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장 헤드 어셈블리(540)는 도료 공급 유닛(530)으로부터 도료를 공급받아서 관의 내면을 도장하여 관의 내면의 새로운 도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장 헤드 어셈블리(540)는 모터 등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도료를 관의 내면으로 분사하는 도장 헤드(54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 관 12: 갱생 구간
A10: 도장막 제거 장치 A11: 도장막 제거 장치의 차체
A12: 회전 어셈블리 A13: 커팅기
A14: 승강 어셈블리 A30: 쇼트 블라스팅 장치
A31: 쇼트 블라스팅 장치의 차체 A32: 투사기
A33: 투사재 공급기 A50: 도장 장치
100D: 최적 분사 거리 104: 축 부재
105: 축 구동 유닛 107: 고정 암
108: 가동 암 109: 탄성 부재
110: 투사재 노즐 221: 센터 축
222: 회전체 231: 제1 암
232: 암 축 233: 제2 암
234: 커터 축 235: 회전 커터
236: 액추에이터 237: 에어 바이브레이터
238: 공압 공급 라인 239: 에어 노즐
310: 투사재 공급 탱크 320: 투사재 보충 탱크
325: 투사재 공급 라인 330: 투사재 압송 유닛
340: 제1 석션 모듈 345: 제2 석션 모듈

Claims (6)

  1.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 상에 제공되고, 구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의 센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공되며, 상기 관의 내면으로부터 도장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도장막을 절단하는 복수의 커팅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기 각각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내측의 제1 암과; 상기 제1 암의 선단 부분에 전후 방향의 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해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외측의 제2 암과; 상기 제2 암의 선단 부분에 전후 방향의 커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2 암이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접근되면 상기 내면에 접촉되는 회전 커터와;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에 양단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 커터를 신축 작동에 의해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밀착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암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제2 암에 상기 제2 암의 회전 방향으로 요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공기 압력으로 구동되는 에어 바이브레이터이고, 상기 에어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2 암에 제공되며, 상기 에어 바이브레이터의 에어 배출구에 상기 에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회전 커터 측으로 분사하는 에어 노즐이 연결된,
    노후관 갱생을 위한 도장막 제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 각각은 상기 에어 노즐에 냉각 액체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 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공기와 혼합하기 위한 냉각 액체 공급 라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관 갱생을 위한 도장막 제거 장치.
  4. 관에 대한 갱생 구간에 도장막 제거 장치를 투입하고, 투입된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를 상기 관의 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관의 내면으로부터 도장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갱생 구간에 쇼트 블라스팅 장치를 투입하고, 투입된 상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를 상기 관의 상기 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도장막이 제거된 상기 관의 내면에 대한 표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갱생 구간에 도장 장치를 투입하고, 투입된 상기 도장 장치를 상기 관의 상기 내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표면 처리가 수행된 상기 관의 내면을 도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장막 제거 장치는 상기 도장막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도장막을 절단하는 복수의 커팅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기 각각은,
    전후 방향의 센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센터 축의 둘레를 따라 회전되고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밀착되며 커터 축을 중심으로 자체 회전 가능한 회전 커터와; 상기 회전 커터에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공기 압력으로 구동되는 에어 바이브레이터이고, 상기 에어 바이브레이터의 에어 배출구에 상기 에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회전 커터 측으로 분사하는 에어 노즐이 연결된,
    노후관 갱생 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는, 고정 암과; 상기 고정 암에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해 선단 부분이 이격되는 제1 방향과 접근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가동 암과; 상기 가동 암에 제공되며, 공압을 이용하여 투사재를 상기 관의 상기 내면으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분사하는 투사재 노즐과; 상기 가동 암을 이동시켜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한 상기 투사재 노즐의 거리를 설정된 최적 분사 거리로 조절하는 분사 거리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거리 조절기는 상기 고정 암과 상기 가동 암 사이에서 탄성력을 상기 가동 암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투사재 노즐에 의한 투사재 분사 시에 발생되는 반발력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가동 암의 이동을 허용하여 상기 관의 상기 내면에 대한 상기 투사재 노즐의 거리를 상기 최적 분사 거리로 조절하는 탄성을 갖는,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0230067538A 2023-05-25 2023-05-25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58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538A KR102589093B1 (ko) 2023-05-25 2023-05-25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538A KR102589093B1 (ko) 2023-05-25 2023-05-25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093B1 true KR102589093B1 (ko) 2023-10-17

Family

ID=8855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538A KR102589093B1 (ko) 2023-05-25 2023-05-25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271A (ja) * 2000-02-21 2001-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塗装塗膜の除去方法とその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システム
KR101031312B1 (ko) 2009-02-19 2011-05-02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노후관 도장막 제거 장비
KR101705100B1 (ko) 2015-05-11 2017-02-09 이성식 도장막 제거장치,도막 수거장치, 쇼트블라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KR101910415B1 (ko) 2018-04-20 2019-01-04 이동국 관로갱생용 블라스팅 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2271A (ja) * 2000-02-21 2001-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塗装塗膜の除去方法とその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システム
KR101031312B1 (ko) 2009-02-19 2011-05-02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노후관 도장막 제거 장비
KR101705100B1 (ko) 2015-05-11 2017-02-09 이성식 도장막 제거장치,도막 수거장치, 쇼트블라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KR101910415B1 (ko) 2018-04-20 2019-01-04 이동국 관로갱생용 블라스팅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2606B2 (en) Pipe conditioning tool
KR101067289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도장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AU704110B2 (en) Air abrasive blast line travel machine
US5743969A (en) Method for treating the outer surface of pipe
KR101363049B1 (ko)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활주로의 줄눈 보수 방법
JPH0352664A (ja) 配管系処理装置
EP0578343B1 (en) High pressure water jet cleaner and coating applicator
KR101705100B1 (ko) 도장막 제거장치,도막 수거장치, 쇼트블라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JP2016128150A (ja) ソーラーパネル洗浄装置
US74422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raying maintenance enhancing material onto the periphery of a tubular member
KR102589093B1 (ko) 바이브레이터를 갖는 도장막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539635B1 (ko) 투사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539634B1 (ko) 투사재 공급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CN1724610A (zh) 焦炭炉上的炉盖清扫装置
CN2863796Y (zh) 焦炭炉上的炉盖清扫装置
US20140263736A1 (en) Orbital spray bar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3200069U (ja) 鉄道レール用ブラスト装置
KR20070104002A (ko) 금속 관로의 내부 스크래칭 장치용 페인팅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