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887B1 -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 Google Patents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887B1
KR102588887B1 KR1020220037093A KR20220037093A KR102588887B1 KR 102588887 B1 KR102588887 B1 KR 102588887B1 KR 1020220037093 A KR1020220037093 A KR 1020220037093A KR 20220037093 A KR20220037093 A KR 20220037093A KR 102588887 B1 KR102588887 B1 KR 102588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eaker
earset
inner microphone
f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9023A (ko
Inventor
유병민
노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03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887B1/ko
Publication of KR2023013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26Pre-filtering or post-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실시예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자기 회로, 자기 회로와 상호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과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진동판 및 자기 회로를 감싸며 진동판이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스피커; 다이나믹 스피커의 상부를 감싸며,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생성한 음향을 방출하는 음 방사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며,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생성한 음향을 받아들이는 이너 마이크; 및 다이나믹 스피커의 음향을 마이크로 안내하는 관로;를 포함하며, 관로는 다이나믹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받아들이는 유입관과, 마이크로 음향을 방출하며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방출관과, 유입관과 방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EARSET WITH INNER MIC FOR FEEDBACK ACTIVE NOISE CANCELLING}
실시예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셋은 이어폰과 마이크를 함께 구비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로, 전자 기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하는 장치이다. 보통 이어셋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음향 재생부와 사용자의 입에 최대한 가깝게 설차되어 사용자가 발하는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는 외부 소음이 마이크에 함께 입력되며, 사용자가 몸을 움직일 경우 마이크의 위치가 흔들려 소리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6267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위치한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로 입력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Active Noise Cancelling(ANC)는 외부 마이크를 통해 노이즈를 직접적으로 받아들여 노이즈를 없애는 feedforward(FF) ANC 방식과 내부 마이크를 통해 스피커에 나오는 소리와 원 신호, 그리고 노이즈를 비교하여 노이즈를 없애는 방식인 feedback(FB) ANC 방식이 있다.
이 중 FB ANC 방식은 FF 방식과 달리 노이즈를 먼저 받지 않고 사운드(원 신호)와 함께 받기 때문에 노이즈 변화에 따른 응답속도가 낮아 고주파 대역에서의 ANC가 용이하지 않아 주로 저주파 대역에서 사용된다.
또한 FB ANC 방식에서 사용되는 마이크가 스피커유닛에서 나오는 음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경우, 마이크 피드백(마이크와 스피커 사이의 positive gain loop)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노이즈가 생길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26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6808호
실시예는, 이너 마이크와 다이나믹 스피커 사이의 positive gain loop으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자기 회로, 자기 회로와 상호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과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진동판 및 자기 회로를 감싸며 진동판이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스피커; 다이나믹 스피커의 상부를 감싸며,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생성한 음향을 방출하는 음 방사홀을 구비하는 브라켓;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며,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생성한 음향을 받아들이는 이너 마이크; 및 다이나믹 스피커의 음향을 마이크로 안내하는 관로;를 포함하며, 관로는 다이나믹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받아들이는 유입관과, 마이크로 음향을 방출하며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방출관과, 유입관과 방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유입관과 연결관, 방출관과 연결관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관로는 브라켓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며, 자기 회로와 고분자 필름 상에 코일 패턴이 형성된 FPCB 진동판을 포함하는 FPCB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FPCB 스피커의 FPCB 진동판는 연장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다이나믹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 핀을 구비하며, 다이나믹 스피커의 터미널 핀은 FPCB 스피커의 터미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신호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FPCB 스피커의 터미널부는, 이너 마이크와 브라켓 사이를 지나서 연장되며, 관로의 유입관은 브라켓에 형성되고, 관로의 방출관은 FCPB에 형성되며, 관로의 연결관은 브라켓과 FPCB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FPCB 스피커와 외부 터미널을 통전시키며 브라켓에 설치되는 FPCB용 핀 터미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FPCB 스피커가 고역에서만 동작하도록 하는 하이 패스 필터 역할을 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브라켓은, 다이나믹 스피커의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
실시예가 제공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은, 노이즈 캔슬링에 사용되는 마이크와 다이나믹 스피커 사이에 수직으로 꺾인 관로를 만들어 귀환 루프 이득(Feedback loop gain)으로 인한 효과를 줄일 수 있고, 다이나믹 스피커가 생성하여 마이크로 들어오는 음향 중 직진성이 강한 고역 성분을 물리적으로 줄여줄 수 있어 더욱 저주파 대역 노이즈 캔슬링에 효과적이다.
또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은, 두께가 매우 얇은 FPCB 마이크로스피커를 고역대 음역을 재생하는 트위터 스피커로 적용하여 일반적인 두 개 이상의 스피커를 갖는 유닛에 비해 최대 50%까지 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은 크게, 다이나믹 스피커(100), 브라켓(200), FPCB 스피커(300), 이너 마이크(400)를 포함한다.
다이나믹 스피커(100)는 종래의 다이나믹 스피커 구조를 채용한 것으로, 프레임(110) 내에 요크(121), 마그넷(122), 탑 플레이트(123)로 이루어지는 자기 회로가 설치된다. 요크(121)는 원형의 하면과 원통형 측벽을 구비하며, 측벽이 프레임(110)에 결합된 형태이다. 마그넷(122)과 요크(121)의 측벽 사이에는 자기 갭이 형성되며, 자기 갭에 보이스 코일(130)의 하단이 위치한다. 보이스 코일(130)의 상단은 진동판(140)에 부착되며, 진동판(140)은 프레임(110) 상에 안착되어 보이스 코일(130)을 진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이스 코일(13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자기 회로와의 상호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면, 보이스 코일(130)이 부착된 진동판(140)도 함께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다이나믹 스피커(100)는 요크(121)의 측벽과 마그넷(122) 사이에 자기갭이 형성되는 원 마그넷 타입이나, 필요에 따라 2 마그넷 타입, 3 마그넷 타입 또는 5 마그넷 타입 다이나믹 스피커를 채용할 수도 있다.
브라켓(200)은 다이나믹 스피커(100)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다이나믹 스피커(100)의 프레임(110) 외주를 감싸면서, 진동판(140)의 상면에 부착되어 다이나믹 스피커(100)를 보호한다. 또한, 다이나믹 스피커(100)에서 발생한 음향을 방출할 수 있도록 방음구(210)를 구비한다.
한편, 브라켓(200)은 다이나믹 스피커(100) 상에 FPCB 스피커(300), 이너 마이크(400)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기도 하다. 브라켓(200)의 상면에는 방음구(210)를 피해 FPCB 스피커 설치부(220)와 이너 마이크 설치부(230)가 제공된다.
FPCB 스피커(300)는, 자기 회로와 FPCB 진동판(340)을 포함한다.
FPCB 스피커(300)는 자기 회로로, 하부 요크(310), 하부 요크(310)의 상면에 부착되는 하부 이너 요크(321)와 하부 아우터 요크(331)로 이루어진 하부 자기회로와, 상부 요크(350), 상부 요크(350)의 하면에 부착되는 상부 이너 요크(332)와 상부 아우터 요크(332)로 이루어진 상부 자기회로를 포함한다.
하부 자기 회로와 상부 자기 회로 사이에 FPCB 진동판(340)이 설치된다. FPCB 진동판(340)은 고분자 필름 상에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 다이나믹 스피커의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의 역할을 겸한다. FPCB 진동판(340)은 보이스 코일의 전고에 비해 매우 얇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하며, 고음역대를 보조하는 트위터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요크(350)는 FPCB 진동판(340)에서 발생한 음향을 방출할 수 있도록 음 방사구(352)를 구비한다.
한편, FPCB 진동판(340)은 별도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대신, FPCB 진동판(340)을 길게 연장하여 터미널부(360)를 형성하고 터미널부(360)가 외부 전원 또는 외부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부(360)는 마이크 설치부(230)를 지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터미널부(360)는, 하부 아우터 요크(331)와 상부 아우터 요크(332) 사이로 인출되어 마이크 설치부(230)로 이어지는 인출부(364)와 마이크 설치부(230) 상에 부착되는 부착부(36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너 마이크(400)는, 마이크 설치부(230) 상에 설치되며, 이너 마이크(400)는 다이나믹 스피커(100)에서 방출한 음향을 수음한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다이나믹 스피커(100)에서 방출한 음향과 원 신호를 비교하여 노이즈를 억제한다.
한편, FPCB 스피커(300)가 고역에서만 동작하도록 High pass filter 역할을 하는 커패시터(4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FPCB 스피커(300)의 부착부(366) 상에 커패시터(440)와 연결된 회로 패턴을 형성하면, 별도의 회로부를 구비하지 않고 커패시터(440)와 FPCB 스피커(3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FPCB 스피커(300)가 고역을 담당하므로, 다이나믹 스피커(100)는 중저역대 음향의 재생에 특화되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마이크(400)는 다이나믹 스피커(100)의 음향을 수음하여 노이즈를 억제한다. 이때, 이너 마이크(400)와 는 다이나믹 스피커(100)의 음향 사이에 귀환 루프 이득(Feedback loop gain)을 줄이기 위해 직각으로 꺾인 관로를 구비한다.
다이나믹 스피커(100)과 이너 마이크(400) 사이에 브라켓(200)이 설치되므로, 이너 마이크(400)가 다이나믹 스피커(100)로부터 음향을 수음하기 위해서는 수음홀이나 수음 관로가 필요하다. 이때, 제1 실시예는 이너 마이크(400)로 들어오는 음향 중 직진성이 강한 고역 성분을 물리적으로 줄여줄 수 있도록 브라켓(200)에 수직으로 꺾인 관로를 구비한다. 관로는 다이나믹 스피커(100)로부터 음향을 받아들이는 유입관(242)과, 이너 마이크(400)로 음향을 방출하며 유입관(24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방출관(246)과, 유입관(242)과 방출관(246)을 연결하는 연결관(244)으로 이루어진다.
유입관(242)과 방출관(246)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연결관(244)은 유입관(242)과 방출관(246)을 연결해주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관(242)과 연결관(244)은 직각으로 연결되며, 방출관(246)과 연결관(244)도 직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관로는, 유입관(242), 연결관(244), 방출관(246)이 모두 브라켓(200)에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 설치부(230)에 FPCB 스피커 터미널부의 부착부(366)가 부착된다. 따라서, 부착부(366)에 의해 음향이 가로막히지 않도록 부착부(366)에는 관통홀(367)이 형성된다.
이렇게 직각으로 꺾인 관로를 통해 이너 마이크(400)로 다이나믹 스피커의 음향을 수음할 경우, 되는 다이나믹 스피커의 음향 중에서 직진성이 강한 고역 성분을 물리적으로 줄여줄 수 있어 더욱 저주파 대역 노이즈 캔슬링에 유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은, 앞서 설명한 FPCB 스피커의 FPCB 진동판을 연장한 터미널부(360)가 양쪽으로 분지하여 다이나믹 스피커의 핀 터미널(160)과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분지 터미널(362)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다이나믹 스피커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FPCB나 PCB 기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 수를 절감하고 모듈을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은, 다이나믹 스피커로부터 이너 마이크(400)로 음향을 전달하는 관로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이 구비하는 관로는, 유입관(242a)은 브라켓(200a)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방출관은 브라켓(200a)에 형성되지 않으며, FPCB 스피커의 터미널부의 부착부(366a)에 형성된 관통홀(367a)이 제1 실시예의 방출관 역할을 대신한다. 또한, 연결관(244a)은 브라켓(200a)의 마이크 설치부(230a)에 형성된 수평 방향 그루브와 그루브 상에 부착되는 터미널부의 부착부(366a)에 의해 정의된다. 이 경우에도, 유입관(242a)과 연결관(244a), 관통홀(367a)과 연결관(244a)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직진성이 강한 고역 성분을 물리적으로 줄여줄 수 있어 더욱 저주파 대역의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는, FPCB 스피커(300; 도 1 참조)의 터미널부가 FPCB 진동판(340; 도 2 참조)를 길게 연장하여 형성되지 않고, 핀 터미널(360a)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같이, 다이나믹 스피커의 프레임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브라켓(200b)이 연장되어 다이나믹 스피커의 프레임 역할을 겸하도록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삭제

Claims (10)

  1. 자기 회로, 자기 회로와 상호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과 부착되어 함께 진동하는 진동판 및 자기 회로를 감싸며 진동판이 안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이나믹 스피커;
    다이나믹 스피커의 상부를 감싸며, 상면에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생성한 음향을 방출하는 방음구를 구비하는 브라켓;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며,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생성한 음향을 받아들이는 이너 마이크;
    브라켓 상부에 설치되며, 자기 회로와 고분자 필름 상에 코일 패턴이 형성된 FPCB 진동판을 포함하는 FPCB 스피커; 및
    다이나믹 스피커의 음향을 이너 마이크로 안내하는 관로;를 포함하며,
    관로는 다이나믹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받아들이는 유입관과, 이너 마이크로 음향을 방출하며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방출관과, 유입관과 방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FPCB 스피커와 이너 마이크가 브라켓의 방음구를 피해 브라켓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관과 연결관, 방출관과 연결관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3. 제1항에 있어서,
    관로는 브라켓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FPCB 스피커의 FPCB 진동판는 연장되어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6. 제5항에 있어서,
    다이나믹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 핀을 구비하며,
    다이나믹 스피커의 터미널 핀은 FPCB 스피커의 터미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신호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7. 제5항에 있어서,
    FPCB 스피커의 터미널부는, 이너 마이크와 브라켓 사이를 지나서 연장되며,
    관로의 유입관은 브라켓에 형성되고, 관로의 방출관은 FCPB에 형성되며, 관로의 연결관은 브라켓과 FPCB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8. 제1항에 있어서,
    FPCB 스피커와 외부 터미널을 통전시키며 브라켓에 설치되는 FPCB용 핀 터미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9. 제1항에 있어서,
    FPCB 스피커가 고역에서만 동작하도록 하는 하이 패스 필터 역할을 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10. 제1항에 있어서,
    브라켓은, 다이나믹 스피커의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KR1020220037093A 2022-03-25 2022-03-25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KR102588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093A KR102588887B1 (ko) 2022-03-25 2022-03-25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093A KR102588887B1 (ko) 2022-03-25 2022-03-25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023A KR20230139023A (ko) 2023-10-05
KR102588887B1 true KR102588887B1 (ko) 2023-10-16

Family

ID=8829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093A KR102588887B1 (ko) 2022-03-25 2022-03-25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8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1348B2 (ja) * 1988-05-23 1997-06-18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
KR101305164B1 (ko) * 2012-01-10 2013-09-12 주식회사 엑셀웨이 피씨비 보이스 필름 일체형 진동판을 구비한 평판형 스피커
KR101762671B1 (ko) 2016-03-25 2017-08-04 해보라 주식회사 이어셋
KR102205697B1 (ko) 2019-03-05 2021-01-21 주식회사 이엠텍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KR20220010326A (ko) * 2020-07-17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023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0993B1 (ja) 同軸スピーカー
JP3199236U (ja) 逆方向音波イヤホン
KR102287938B1 (ko) 헤드셋의 마이크 장착 구조
CN112788459A (zh) 与管道结合成一体的接收器模块
US11647323B2 (en) Loudspeaker
KR102420863B1 (ko) 베이스 관로를 구비하는 투웨이 리시버
US20220312124A1 (en) Speaker unit for earphone
KR102205697B1 (ko)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KR102588887B1 (ko) 피드백 타입 능동 노이즈 캔슬링용 이너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셋
KR100998926B1 (ko) 마이크와 스피커가 결합된 장치
KR102630054B1 (ko) 사운드 디바이스
WO2002003751A1 (fr) Systeme de haut-parleur et dispositif de suppression de bruit
JP2781193B2 (ja) アクティブ・ノイズ・キャンセラー
US11076229B2 (en) Grill-integrated low-pass filter and speaker including the same
JP2009278167A (ja) ノイズキャンセル型ヘッドホン
KR20220039550A (ko) 드라이버 고정용 브라켓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리시버
JP3737109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を有する装置、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のハウジング
WO2020026944A1 (ja) 音響出力装置
KR102209485B1 (ko) 마이크 일체형 리시버 유닛
US20200288227A1 (en) Earset Having Inner Microphone
US7856112B2 (en) Desktop terminal foot and desktop system
KR102254701B1 (ko) 마이크 내장형 스피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음 제거 방법
JP4126870B2 (ja) スピーカ
KR102636158B1 (ko) MEMS 스피커를 내장한 2way 스피커
US11297411B2 (en) Microphone units with multiple open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