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507B1 - 조정 가능한 축방향 유격을 갖는 진자 텐셔너 및 벨트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조정 가능한 축방향 유격을 갖는 진자 텐셔너 및 벨트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507B1
KR102588507B1 KR1020187000868A KR20187000868A KR102588507B1 KR 102588507 B1 KR102588507 B1 KR 102588507B1 KR 1020187000868 A KR1020187000868 A KR 1020187000868A KR 20187000868 A KR20187000868 A KR 20187000868A KR 102588507 B1 KR102588507 B1 KR 10258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earing
axial
pendulum tensioner
pendu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513A (ko
Inventor
자샤 로이셸
뤽 피셔
티에리 레오볼트
토마스 못츠
마르코 마이쓰보른
로버트 캄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2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4Two or more finally actuated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너레이터 샤프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설계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배열된, 2개의 텐션 풀리(13, 20)를 위한 2개의 텐셔닝 암(10, 19)에 고정 영역을 가진,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텐션 풀리들을 이용하여 보조 견인 구동장치의 견인 수단이 인장될 수 있고, 상기 진자 텐셔너는 제너레이터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슬리브(2)를 구비하며, 이 경우 베어링 슬리브(2)는 체결 슬리브(3)와 함께 하나의 슬라이딩 채널(4)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 채널 내에는 텐셔닝 암(10, 19) 중 하나가 축방향 유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경우 축방향 유격은 체결 슬리브(3)와 베어링 슬리브(2)의 축방향 슬리브 간격에 의해 조정되고, 이 슬리브 간격은 축방향 유격(7)과 같거나 더 크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1)를 구비한 자동차 벨트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정 가능한 축방향 유격을 갖는 진자 텐셔너 및 벨트 드라이브
본 발명은, 제너레이터 샤프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설계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배열된, 2개의 텐션 풀리를 위한 2개의 텐셔닝 암에 고정 영역을 가진,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텐션 풀리들을 이용하여 보조 견인 구동장치의 견인 수단, 예컨대 벨트가 인장될 수 있고, 상기 진자 텐셔너는 제너레이터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슬리브를 구비하며, 이 경우 베어링 슬리브는 자신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스 결합을 통해 연결된 체결 슬리브와 함께 예컨대 텐셔닝 암 고정 부품 또는 텐셔닝 암 섹션을 위한 하나의 슬라이딩 채널을 형성하며, 이 경우 체결 슬리브는 슬라이딩 채널의 축방향 한계를 규정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감 벽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채널 내부에는 텐셔닝 암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게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유격을 두고 결합된다.
근접한 선행 기술이 유럽 특허 공보 EP 2 128 489 B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는 스타터 제너레이터 적용을 위한 벨트 텐셔닝 장치와 관련이 있다. 상기 공보에는, 구동 축을 중심으로 구동할 수 있는 하나의 구동 벨트 풀리 및 복수의 또 다른 벨트 풀리를 갖춘 구동기를 구비한 벨트 드라이브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공보 EP 2 557 295 B1호는, 벨트 드라이브용 텐셔닝 장치 및 이와 같은 텐셔닝 장치를 갖춘 전동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무한 순환형 벨트; 기계 하우징을 가진 전동기와 구동 휠; 그리고 벨트를 통해 구동 휠과 구동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드라이브 휠;을 가진 벨트 드라이브용 텐셔닝 장치와 관련이 있다.
또한, 독일 실용신안 DE 85 27 499 U1호도 공지되어 있다. 이 실용신안은, 전동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축방향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실용신안에 개시된 장치의 과제는, 매우 간단하면서 비용이 적게 드는 축방향 유격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선행 기술로부터 이미 다양한 진자 텐셔너가 다양한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가급적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축방향 유격을 유도하는 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부품들에서 상응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의 유격의 가산을 통해 유격,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유격의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페어링(pairing)이라 불린다. 축방향 유격과 관련된 부품들의 이러한 페어링은 한 편으로 복수의 개별 부품을 상응하는 치수에 따라 제조하는 것을 요구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관련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보상 요소로서 이용되어야 한다. 절삭 가공에서는 이를 위해 상이한 조정 치수들이 반드시 필요하다. 비절삭 가공의 경우에는 심지어 상이한 공구들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에서는, 조립 중에 축방향 유격을 조정하기 위해 관련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측정되어야 하고, 각각의 실제 치수에 잘 맞는 고도로 정확한 조정 구성 요소가 할당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이와 같은 페어링에 의한 축방향 유격의 조정은, 가공 비용 및/또는 공구 비용의 증가, 필요한 보상 요소의 보유 및 분리의 결과로 야기되는 베어링 비용의 증가, 및 실제 치수 측정에 의해 그리고 페어링 오류의 방지를 보장함으로써 야기되는 조립 비용의 증가를 요구한다. 더 나아가, 변동하는 정확성 또는 보상 요소들의 단차부로부터 조립 이후의 축방향 유격에서의 소정의 편차가 야기된다.
상기 공보들에 개시된 선행 기술의 단점은, 진자 텐셔너/텐셔닝 장치의 제조 및 조립 시, 총합에 있어서 원하는 축방향 유격을 얻기 위하여, 고도로 정확한 제조 공차가 충족되어야 한다는 데 있다. 선행 기술에서 제시된 축방향 유격 조정 방법들은 진자 텐셔너의 응용 분야에 전용하기에는 결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경제적인 동시에 고도로 정확한, 진자 텐셔너의 축방향 유격의 조정을 개시하는 해결책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선행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는 것, 그리고 특히, 복수의 공차 치수들이 합산된 정밀한 축방향 유격을 얻어서 이 유격이 오랫동안 정확하게 제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 더 이상 제조 공차에 대한 최상위 요건을 충족할 필요가 없는 진자 텐셔너를 공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축방향 유격이 체결 슬리브와 베어링 슬리브의 축방향 슬리브 간격에 의해 조정됨으로써 해결되며, 이 경우 슬리브 간격은 축방향 유격보다 크거나 특수한 경우에는 동일하다. 이러한 배치는, 체결 슬리브 및/또는 베어링 슬리브의 축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을 통해 축방향 유격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진자 텐셔너의 개별 구성 요소들의 절삭 가공 시 야기되는 다양한 조정 치수, 또는 심지어 절삭 가공에 수반될 수 있는 다양한 공구가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조립의 복잡성을 낮추고, 가공 경제성을 높이며, 작동 준비된 구성 요소들의 결합에 필요한 시간 경비를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청구되어 있고,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에 걸쳐 베어링 슬리브와 체결 슬리브 간에 프레스 결합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슬리브와 베어링 슬리브 사이의 상기 접촉면이 축방향으로 충분히 길게/넓게 연장됨으로써, 프레스 결합은 강도 및 힘 전달과 관련하여 대두되는 높은 수준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그러한 축방향으로의 연장은, 반경방향으로 필요한 설치 공간과 관련하여 진자 텐셔너가 매우 콤팩트하다는 장점도 수반한다.
축방향 유격이 베어링 슬리브 및/또는 체결 슬리브의 축방향 운동을 통해 변할 수 있고/조정될 수 있는 경우, 이는, 한 편으로는 제조 공차로부터 야기되는 페어링 오류가 방지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축방향 유격이 최대로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체결 슬리브 및/또는 베어링 슬리브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섹션들을 그 재료 및 표면 성질과 관련하여 프레스 결합에 작용하는 요건들에 가장 부합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표면은, 축방향 유격의 조정이 적은 비용을 수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체결 슬리브가 반경방향으로 베어링 슬리브 내부에 배치되도록, 또는 체결 슬리브가 반경방향으로 베어링 슬리브 외부에 배치되도록 프레스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체결 슬리브 및 베어링 슬리브의 반경방향 배치와 관련하여, 체결 슬리브 및 베어링 슬리브 모두가 신뢰할만한 프레스 결합을 제공해야 하는 요건을 충족시키는 두 가지 실시예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은 높은 신뢰성 외에도 유연성 증가의 장점도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한 가지 구성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용례에 따라 체결 슬리브 및 베어링 슬리브의 상응하는 배치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라이딩 채널 내부에, 텐셔닝 암과 슬라이딩 채널 간의 상대 회전 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 준비되고 2개의 베어링 부품, 예컨대 베어링 링들로 구성된 베어링이 배치되는 즉시, 텐셔닝 암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러한 구성은 또 다른 긍정적인 양상들을 수반한다. 마찰 없는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텐셔닝 암의 베어링이 체결 슬리브 및 베어링 슬리브로 형성된 슬라이딩 채널 내에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밀성이 증가하고,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설치 공간 수요가 가급적 적게 유지된다. 더 나아가, 텐셔닝 암의 지지로부터 유도되며 원주 방향으로 분산되어 작용하는 힘은 체결 슬리브와 베어링 슬리브 간의 프레스 결합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슬라이딩 채널 내에 형성된 상기 베어링은, 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이 원주 방향으로 분산되게 하는 데 기여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동역학적 장점들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하나의 베어링은 액시얼 베어링으로서 형성되고, 또 다른 베어링은 액시얼 앤 레이디얼(axial and radial) 조합형 베어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조합은, 축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도 힘을 수용하고 압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베어링에는 높은 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2개의 베어링 부품이 축방향 지지를 실현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작동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진자 텐셔너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액시얼 베어링 및/또는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이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형성됨으로써 실현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상응하게 선택된 비마찰 재료 페어링에 의해 그리고/또는 윤활에 의해, 상대 운동하는 구성 요소들의 최소 저항을 수반한다.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은 롤러 베어링에 비해 한 편으로는 설치 공간의 장점을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비용의 장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가 경제적 배경에서 최대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베어링 슬리브가 예컨대 플랜지 섹션을 통해서 제너레이터 하우징과 바로/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연결 플랜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가 구동 유닛 내부에 간단히 연결될 수 있는 점을 수반한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결합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가 재료 비용 없이 기존의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현은, 전체 구동 유닛을 위한 높은 투자 비용과 결부되지 않는다.
베어링 슬리브가, 진자 텐셔너를 제너레이터 및/또는 제너레이터 하우징과 연결하기에 적합하고 이를 위해 준비된, 그리고 비대칭으로 배열된 복수의 고정 섹션을 갖는 경우, 이는, 고정 섹션들이 작동 중에 존재하는 설치 공간에 따라 배열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베어링 슬리브의 형상이 사전에 확정되지 않으며, 이는 진자 텐셔너가 다양한 배열로 통합될 수 있게 하는데, 그 이유는 베어링 슬리브의 고정 섹션은 항시 변하는 조건들에 매칭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내부에 제너레이터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너레이터 하우징을 가진 제너레이터, 및 제너레이터 샤프트와 토크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 벨트를 구비한 자동차 벨트 드라이브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때 벨트 드라이브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를 구비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축방향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2-슬리브-프레스 결합의 구성/조립 컨셉을 개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 내에 제공되어 있는 진자 텐셔너/결합 해제 텐셔너와 관련이 있지만, 축방향 유격에 대해 상응하는 요건들을 제기하는 다른 인장 방식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위에 소개한 본 발명에 따른 컨셉, 즉 베어링 슬리브와 체결 슬리브 간의 2-슬리브-프레스 결합의 컨셉은 페어링에 의해 축방향 유격을 조정하는 방식에 비해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다양한 조정 구성 요소들이 제조, 유지 및 보관될 필요도 없고, 실제 치수 측정 및 상응하는 페어링에 의해 조립 공정이 느려지지도 그리고/또는 비싸지지도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범주 안에서 개시된 장치의 원하는 축방향 유격의 편차는 조정을 수행하는 프레스의 정확도의 범주 내에 놓인다. 이와 같은 프레스에서는 마이크로미터 범위 이내의 이동 경로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선행 기술에 공지된 장치들의 통상적인 제조 경비 및 보관 비용의 경우보다 축방향 유격의 편차가 훨씬 더 적다.
또 다른 일 양상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별 구성 요소들이 높은 공차를 수반하여 제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들 구성 요소의 제조가 더욱 경제적이라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은, 모든 관련 구성 요소들의 공차가 조립 시 완전히 제거됨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럼으로써, 조립된 다양한 진자 텐셔너의 축방향 편차가 최소화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2-슬리브-프레스 결합에서 축방향 유격은 조립 공구에서의 순수 조정 치수이고, 공차 체인(tolerance chain)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예를 들어 모터에서의 클램핑과 같이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신속하고 간단하게 부응할 수 있게끔 한다. 따라서, 표준화 전략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충전 관련 변경을 간단히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조립 시 측정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진자 텐셔너의 특정 유격, 대개 축방향 유격을 가능하게 하고, 그와 동시에 더 높은 공차 및 더 적은 편차의 존재를 허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는 2개의 강철 슬리브 및/또는 알루미늄 슬리브, 즉 하나의 베어링 슬리브 및 하나의 체결 슬리브에 의해 실현된다. 베어링 슬리브와 체결 슬리브는 프레스 결합 및/또는 추가의 형상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축방향 유격은, 진자 텐셔너의 조립 시 2개의 슬리브와, 슬라이딩 채널 내에서 상기 슬리브들 사이에 배치된 부품들이 스토퍼까지, 즉, 축방향 유격이 0이 될 때까지(압축의 경우에는 "블록"에 충돌할 때까지) 압축된 다음, 상기 두 슬리브 중 하나가 원하는 축방향 유격의 크기만큼 뒤로 가압됨으로써, 조정된다.
축방향 유격이, 무엇보다 진자 롤러들에서 매우 좁은 공차를 갖게 하는 진자 텐셔너의 경사 동작(tilting)에 직접 작용함으로써, 조립된 진자 텐셔너들 하에서 낮은 공차 및 낮은 편차를 갖도록 축방향 유격을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기능상의 이유에서 가장 중요하다.
조정된 축방향 유격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0.3㎜, 바람직하게는 0.2㎜의 값을 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상기와 같은 축방향 유격을 수반하는 보상 디스크의 사용이 회피될 수 있다.
베어링 슬리브 및 체결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박벽 형태의 코팅된 판금부이다. 코팅에 의해 슬립-스틱-효과(slip-stick-effect)가 감소하거나 방지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상기 효과는, 2개의 슬리브가 압착되어 있던 블록 위치로부터 서로 멀어질 때 조정될 축방향 유격의 과도한 부정확성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나타나는 프레스 결합은 또한, 자체 피로 강도에 대한 높은 요건들을 충족시키도록 형성된다.
베어링 슬리브와 체결 슬리브가 프레스 결합을 개시하기 전에, 체결 슬리브는 축방향으로 하강하기 전, 측면에서/반경방향 측면으로부터 진자 텐셔너의 나머지 구성 요소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두 슬리브의 조립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텐셔닝 암의 덮개가 순수 축방향 조립을 불가능하게 하는 고정 섹션을 갖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체결 슬리브만 측면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베어링 슬리브와 체결 슬리브가 압착되기 전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사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결합의 세부도이다.
도 3은 덮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덮개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와 반대 방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체결 슬리브, 베어링 슬리브 및 베어링을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셔닝 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결합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베어링 슬리브와 체결 슬리브 간의 형상 결합에 있어서 도 11의 도면과 상이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개략적이며, 오로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만 이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개별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도 1에는, 내연 기관 혹은 연소 엔진의 보조 장치-벨트 드라이브의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진자 텐셔너(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타터 제너레이터 상에 장착되어 있고, 제너레이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진자 텐셔너(1)는 지지의 목적으로 베어링 슬리브(2) 및 체결 슬리브(3)를 가지며, 이들 슬리브는 프레스 결합에 의해 이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 슬리브(3)가 반경방향으로 베어링 슬리브(2) 내부에 압입되어 있다.
베어링 슬리브(2)와 체결 슬리브(3)는 함께 반경방향 외부를 향하는 하나의 슬라이딩 채널(4)을 규정한다. 체결 슬리브(3)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슬라이딩 채널 쪽을 향하는 체결 벽부(5)를 갖는다. 이 체결 벽부(5)는 조립 동안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을 위한 조립 접지면(32)이 된다.
도 2는 슬라이딩 채널(4) 내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슬라이딩 채널(4) 내에 있는 텐셔닝 암(10)의 축방향 유격(7)은 치수 차이("A-B")이다. 이때, "A"는 슬라이딩 채널(4)의 높이이고, "B"는 3개의 부품, 즉, 텐셔닝 암(10), 액시얼 베어링(11) 및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의 총 두께이다. 높이뿐만 아니라 두께도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장치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텐셔닝 암(10)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될 때 중심이 되는 회전 축에 대해 평행하게 측정된다.
베어링 슬리브(2)의 단부면(6)도 마찬가지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긴 하나, 일반적으로는 체결 벽부(5)보다 작다/짧다. 체결 벽부(5)와 단부면(6)의 축방향 간격은 특수한 경우 슬라이딩 채널(4) 내에 있는 텐셔닝 암(10)의 축방향 유격(7)과 정확히 같다. 상기 축방향 유격(7)은 체결 슬리브(3)에 대한 베어링 슬리브(2)의 축방향 상대 운동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채널(4) 내부로 삽입된 3개 부품, 즉, 텐셔닝 암(10), 액시얼 베어링(11) 및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이 조립 동안 베어링 슬리브(2)와 체결 슬리브(3)의 압축에 의해 축방향 유격(7)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점은 상당한 혁신이다. 이로써, 축방향 유격(7)은 "0으로" 설정된다. 베어링 슬리브(2), 텐셔닝 암(10), 액시얼 베어링(11) 및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 그리고 체결 슬리브(3)는 "블록으로" 가압된다. 베어링 슬리브(2) 및 체결 슬리브(3)는 조립될 경우 텐셔닝 암(10), 액시얼 베어링(11) 및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과 같은 부품들로 이루어진 결합체에, 이를테면 이 결합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인접한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와 상이한 정상적인 조립의 경우 및 작동의 경우에도, 베어링 슬리브(2)와 체결 슬리브(3)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이 간극은 도 2에 슬리브 간극(18)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론상, 조립 시에는, 이중 끼워맞춤(double fit)을 감수하면서 슬리브 간극(18)이 0으로 줄어들 수 있다.
블록으로의 압축 이후에 비로소, 또 다른 일 조립 단계에서 베어링 슬리브(2)가 능동적으로 체결 슬리브(3)로부터 의도한 바와 같이 멀리 이동함으로써/멀어짐으로써, 원하는 축방향 유격(7)이 정확하게 그리고 예정된 바대로 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베어링 슬리브(2)와 통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 섹션(8)을 갖는다. 플랜지 섹션(8)은 플랜지 개구(9)에 의해 진자 텐셔너(1)에 인접하는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텐셔닝 암(10)은, 슬라이딩 채널(4) 내에 배치되어 있는 섹션을 갖는다. 텐셔닝 암(10)의 지지는 액시얼 베어링(11) 및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텐셔닝 암(10)은 텐션 풀리(13)를 지지한다.
텐셔닝 암(10)의 일 부분은, 이 부분이 하우징(14)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하우징(14)에는 리벳 결합(15)에 의해 덮개(16)가 제공되어 있다. 이로써, 덮개(16)는 하우징(14)의 밀폐를 보장한다.
도 2는 프레스 결합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 체결 슬리브(3)는 반경방향으로 베어링 슬리브(2)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메인 포커스가 슬라이딩 채널(4) 내에 있는 텐셔닝 암(10)의 축방향 유격(7)을 도시하는 데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본 도면에 도시된 베어링 슬리브(2), 체결 슬리브(3), 텐셔닝 암(10), 그리고 2개의 베어링, 즉 액시얼 베어링(11) 및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과 같은 구성 요소들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부도를 통해서는, 단부면(6)과 체결 벽부(5) 간의 상호작용을 알 수 있다.
장치의 조정 시, 모든 것이 블록 높이 "B"까지 압축된다. 이때, 치수(18)는 적어도/특수한 경우 0이다.
도 2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사실은, 축방향 유격(7)의 조정이 체결 슬리브(3)에 대한 베어링 슬리브(2)의 축방향 상대 운동을 통해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체결 벽부(5)와 단부면(6) 사이의 간극이 슬리브 간극(18)으로서 정의된다. 이 슬리브 간극(18)은 축방향으로는 축방향 유격(7)보다 결코 작지 않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는, 도 1에 공지되어 있는 텐션 풀리(13) 외에 제2 텐셔닝 암(19) 상에 장착된 제2 텐션 풀리(20)도 삽입되어 있다. 아크 스프링(17)(arc spring)은 진자 텐셔너(1)를 위한 벨트 압축 응력을 제공한다.
도 4의 도시를 통해 아크 스프링(17)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덮개(16)와 함께 리벳 결합(15)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핀(21)을 볼 수 있다. 아크 스프링(17)의 상응하는 지지를 위해, 폴리아미드로 L자 형상으로 제조된 베어링 쉘(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안전 핀(23)을 도시한다. 이 안전 핀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또 다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이 도면은 베어링 슬리브(2)가 더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베어링 슬리브(2)의 비대칭으로 배열된 플랜지 섹션(8)은 반경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다. 이는, 진자 텐셔너에 접하는 부품, 예를 들어 제너레이터에서의 개별적인 수용에 따라 좌우된다. 도 5의 도면에서는 핀 파지부(24)도 볼 수 있다. 핀 파지부는 연결 핀(21)의 수용 장치를 형성한다. 이 핀 파지부는 반경방향 내부로 돌출해 있다.
도 6은 베어링 슬리브(2)의 일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6에는, 플랜지 개구(9)를 갖는 플랜지 섹션(8)의 이미 공지된 실시예 외에 언더컷(25a)이 도시되어 있다. 이 언더컷(25a)은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이 베어링 슬리브(2)에 최적으로 접할 수 있게 해준다.
도 7은, 체결 슬리브 언더컷(25b)을 갖는 체결 슬리브(3)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자 텐셔너의 복수의 부품의 부분 횡단면을 보여준다. 이로써, 체결 슬리브(3)는 베어링 슬리브(2)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의 도면은 또한, 액시얼 베어링(11) 그리고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개시한다. 이로써, 액시얼 베어링(11)은 액시얼 베어링 고착부(26)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고착되어 있는 한편,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은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 고착부(27)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액시얼 베어링 고착부(26) 그리고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 고착부(27)는 형상 결합을 이용해서, 액시얼 베어링(11) 그리고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이 원주 방향으로 고착되는 것/고착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에서는 부분 횡단면이 다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체결 슬리브(3)가 절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의 단부면의 도시를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들을 갖는 상기 단부면이 테플론으로 코팅됨으로써,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에 이상적인 지지 특성이 부여된다.
도 9에는 아크 스프링(17)이 전혀 도시되어 있지 않아서 수용 채널(28)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상기 수용 채널은, 텐셔닝 암(10)이 제2 텐셔닝 암(19)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아크 스프링(17)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수용 채널(28)은 텐셔닝 암(10)의 부분인 하우징(14)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에는, 덮개(16)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덮개 개구(29)는, 하우징(14)의 핀 파지부(24) 상에 지지되어 있는 연결 핀들(21)이 덮개(16)를 관통해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리벳 결합(15)이 구현될 수 있다. 소개된 실시예는, 리벳 결합(15)에 적합한 8개의 덮개 개구(29)를 구비한다. 덮개(16)는 하우징(14)과 유사하게 알루미늄/가압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다.
도 11은, 슬라이딩 슈(30)를 이용한 텐셔닝 암(10)의 지지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면을 보여준다. 상기 슬라이딩 슈는 축방향 지지 기능뿐만 아니라 반경방향 지지 기능까지도 담당한다. 슬라이딩 슈(30)는 반경방향으로 베어링 슬리브(2')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슬리브는 반경방향으로 체결 슬리브(3')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은, 덮개(16)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하우징(14) 내에 배치된 아크 스프링(17)을 보여준다.
도 12는,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는, 베어링 슬리브(2')와 체결 슬리브(3') 사이에 추가로 코킹부(caulking)와 같은 형상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추가 형상 결합부(31)는 축방향으로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도 연장된다.
도 13은,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참조 부호 (3')으로 표시된 체결 슬리브가 반경방향으로 참조 부호 (2')로 표시된 베어링 슬리브의 외부에 배열되어 있다. 텐셔닝 암(10)의 지지는 다시 슬라이딩 슈(30)에 의해 수행된다. 그 밖에 도 13의 구성 요소들은 도 11로부터 공지된 것이다.
상기 도 11,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들에서, 텐셔닝 암(10)은, 플랜지 섹션(8)에 의해 제너레이터 하우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 링(33) 상에 지지되어 있다.
1: 진자 텐셔너
2: 베어링 슬리브
3: 체결 슬리브
4: 슬라이딩 채널
5: 체결 벽부
6: 단부면
7: 축방향 유격
8: 플랜지 섹션
9: 플랜지 개구
10: 텐셔닝 암
11: 액시얼 베어링
12: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
13: 텐션 풀리
14: 하우징
15: 리벳 결합(부)
16: 덮개
17: 아크 스프링
18: 슬리브 간극
19: 제2 텐셔닝 암
20: 제2 텐션 풀리
21: 연결 핀
22: 베어링 쉘
23: 안전 와이어
24: 핀 파지부
25a: 언더컷
25b: 체결 슬리브 언더컷
26: 액시얼 베어링 고착부
27: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 고착부
28: 수용 채널
29: 덮개 개구
30: 슬라이딩 슈
31: 추가 형상 결합(부)
32: 조립 접지면
33: 슬라이딩 베어링 링

Claims (9)

  1. 제너레이터 샤프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설계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배열된, 2개의 텐션 풀리(13, 20)를 위한 2개의 텐셔닝 암(10, 19)에 고정 영역을 가진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로서, 상기 텐션 풀리들을 이용하여 보조 견인 구동장치의 견인 수단이 인장될 수 있고, 상기 진자 텐셔너는 제너레이터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슬리브(2)를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슬리브(2)는 체결 슬리브(3)와 함께 하나의 슬라이딩 채널(4)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채널 내에는 텐셔닝 암들(10, 19) 중 하나가 축방향 유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유격은 체결 슬리브(3)와 베어링 슬리브(2)의 축방향 슬리브 간격에 의해 조정되고, 상기 슬리브 간격은 축방향 유격(7)과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2. 제1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에 걸쳐 베어링 슬리브(2)와 체결 슬리브(3) 간에 프레스 결합이 구현되고, 축방향 유격(7)이 베어링 슬리브(2) 및/또는 체결 슬리브(3)의 축방향 운동을 통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3. 제2항에 있어서, 프레스 결합은, 체결 슬리브(3)가 베어링 슬리브(2)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체결 슬리브(3)가 베어링 슬리브(2)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채널(4) 내부에, 텐셔닝 암들 중 하나와 슬라이딩 채널(4) 간의 상대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준비되고 2개의 베어링 부품으로 구성된 베어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베어링 부품은 액시얼 베어링(11)으로서 형성되고, 다른 베어링 부품은 액시얼 앤 레이디얼(axial and radial) 조합형 베어링(12)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6. 제5항에 있어서, 액시얼 베어링(11) 및/또는 액시얼 앤 레이디얼 베어링(12)이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어링 슬리브(2)가 제너레이터 하우징과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연결 플랜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어링 슬리브(2)가, 진자 텐셔너(1)를 제너레이터와 연결하기에 적합하고 이를 위해 준비된, 그리고 비대칭으로 배열된 복수의 고정 섹션/플랜지 섹션(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견인 구동장치용 진자 텐셔너(1).
  9. 내부에 제너레이터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너레이터 하우징을 가진 제너레이터, 및 제너레이터 샤프트와 토크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 벨트를 구비한 자동차 벨트 드라이브로서,
    상기 벨트 드라이브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벨트와 접촉 상태에 있는 진자 텐셔너(1)를 갖는, 자동차 벨트 드라이브.
KR1020187000868A 2015-07-10 2016-07-01 조정 가능한 축방향 유격을 갖는 진자 텐셔너 및 벨트 드라이브 KR102588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2927.6 2015-07-10
DE102015212927.6A DE102015212927A1 (de) 2015-07-10 2015-07-10 Pendelspanner mit einstellbarem Axialspiel und Riemenantrieb
PCT/DE2016/200302 WO2017008798A1 (de) 2015-07-10 2016-07-01 Pendelspanner mit einstellbarem axialspiel und riemenan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513A KR20180027513A (ko) 2018-03-14
KR102588507B1 true KR102588507B1 (ko) 2023-10-12

Family

ID=5655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868A KR102588507B1 (ko) 2015-07-10 2016-07-01 조정 가능한 축방향 유격을 갖는 진자 텐셔너 및 벨트 드라이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88105B2 (ko)
EP (1) EP3320230B1 (ko)
JP (1) JP6732878B2 (ko)
KR (1) KR102588507B1 (ko)
CN (1) CN107735597B (ko)
DE (1) DE102015212927A1 (ko)
WO (1) WO2017008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1124B1 (en) 2012-12-26 2019-10-30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US10520066B2 (en) * 2014-06-26 2019-12-3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DE102015210002B4 (de) * 2015-06-01 2020-03-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5215812B4 (de) * 2015-08-19 2020-03-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6217933B4 (de) * 2016-09-20 2020-06-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7116000A1 (de) * 2017-07-17 2019-01-17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KR102506926B1 (ko) * 2017-12-18 2023-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듀얼 텐셔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DE102018109539B3 (de) 2018-04-20 2019-10-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endelspanner mit Federfußpunktverschiebung mittels Keilprinzip, Endloszugmitteltrieb und Einstellverfahren zum Einstellen der Spannkraft eines Pendelspanners
KR102552020B1 (ko) * 2018-10-19 2023-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텐셔너
DE102019131520A1 (de) * 2019-11-21 2021-05-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ugmittelanordnung mit über Energiespeicher abgestützten Entkopplungsspanner, sowie Motorblock mit Zugmittelanordnung
CN112483611B (zh) * 2020-12-04 2022-04-26 东风汽车有限公司 双臂张紧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8631A1 (en) 2008-05-28 2009-12-03 Joachim Jud Belt tensioning device for being used with a starter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27499U1 (ko) 1985-09-26 1988-05-1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DE102011082764A1 (de) * 2010-10-13 2012-04-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eines Verbrennungsmotors
DE102011082330B4 (de) * 2011-08-12 2014-08-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84680B3 (de) 2011-10-18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88652A1 (de) * 2011-12-15 2013-06-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DE102012209028A1 (de) * 2012-05-30 2013-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EP3361124B1 (en) * 2012-12-26 2019-10-30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EP2955414A1 (en) * 2014-06-13 2015-12-16 Aktiebolaget SKF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tensioning device
WO2016191888A1 (en) * 2015-06-03 2016-12-08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Improved isolation device
DE102015222238B4 (de) * 2015-11-11 2020-11-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eräuschgedämpfte Pendellagerung bei Entkopplungsriemenspanneinhei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8631A1 (en) 2008-05-28 2009-12-03 Joachim Jud Belt tensioning device for being used with a starter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35597A (zh) 2018-02-23
EP3320230A1 (de) 2018-05-16
US10788105B2 (en) 2020-09-29
US20180202521A1 (en) 2018-07-19
WO2017008798A1 (de) 2017-01-19
CN107735597B (zh) 2020-08-18
JP6732878B2 (ja) 2020-07-29
KR20180027513A (ko) 2018-03-14
JP2018528367A (ja) 2018-09-27
EP3320230B1 (de) 2020-02-19
DE102015212927A1 (de)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507B1 (ko) 조정 가능한 축방향 유격을 갖는 진자 텐셔너 및 벨트 드라이브
KR100861824B1 (ko) 가변 실린더 용량 엔진용 기계적 전동 장치
US8939123B2 (en) Countershaft
RU2384771C2 (ru) Узел уравновешивающего вала и его опора
WO2010146959A1 (ja) カムシャフ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ンジン、並びにカムシャフト装置の製造方法
US20110200281A1 (en) Flanged bearing and a flange
JP2008519217A (ja) クランク機構
JP5501875B2 (ja) タービン翼環の真円状態保持方法及び装置
RU2509936C1 (ru) Картер дифференциала и способ его обработки
EP1300600A2 (en) Bearing assembly and method
CZ20021299A3 (cs) Vyvaľovací jednotka pro přímovratné pístové stroje
US8753244B2 (en) Bearing pin for a planetary transmission and carrier arrangement for a planetary transmission
US5391119A (en) Auto tensioner
CA2661216C (en) Method for producing non-circular toothed belt pulleys or sprockets
KR20210023856A (ko) 불균형 샤프트
CN111379619B (zh) 可变压缩比机构及其控制方法
KR100221860B1 (ko) 크랭크 프레스의 커넥팅 로드용 베어링장치
CN102245937A (zh) 无级变速器的可调节带轮及其组装方法
US7587970B2 (en) Reciprocating piston machine
KR20140036348A (ko) 냉동 컴프레서에서 피스톤 커넥팅 로드 조립체를 위한 설치 장치
JP7167339B2 (ja) バランスシャフト
US11280384B2 (en) Balance shaft assembly
US11982332B2 (en) Centrifugal pendulum having a roller track projecting axially outward, and torque transmission device
EP3959455B1 (en) A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EP3959454B1 (en) A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