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797B1 -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797B1
KR102587797B1 KR1020230064090A KR20230064090A KR102587797B1 KR 102587797 B1 KR102587797 B1 KR 102587797B1 KR 1020230064090 A KR1020230064090 A KR 1020230064090A KR 20230064090 A KR20230064090 A KR 20230064090A KR 102587797 B1 KR102587797 B1 KR 10258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art work
value
colors
rg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태
Original Assignee
정윤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태 filed Critical 정윤태
Priority to KR102023006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ART WORK SEARCH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검색 정보(예. 작품명, 작가명, 또는 색상 분포 비율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저작물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해주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술 저작물은 단순히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감상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들의 조합, 미술 기법이 어우러진 창작물이기에 감상자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미술 저작물을 관람 및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는 날로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술 저작물의 효과에 힘입어. 오프라인 형태의 미술 저작물 관람 및 구매방법은 온라인 형태의 미술 저작물 관람 및 구매 방식으로 변모되었으며,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온라인 상으로 미술 저작물을 관람 및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러한 온라인 형태의 미술 저작물 관람 및 구매 방식은 미술의 지식이 높은 사용자들만이 이용할 수 있는 편향적인 방식으로 자리잡게 되어 많은 문제점을 발생하기도 하였다.
다시 말해, 온라인 형태의 미술 저작물 관람 및 구매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타겟한 미술 저작물을 검색 엔진(또는 서버)에 검색함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애초에 미술의 지식이 낮은 사용자들은 현재 생각하고 있는 미술 저작물의 작품명, 작가명이 떠오르지 않을 수 있어 미술 저작물 검색에 어려움을 느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색감과 색상만이 있을 뿐 타겟팅하고자 하는 미술 저작물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활용도가 낮은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저작물의 핵심이 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와 연관된 미술 저작물을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방법도 사용자가 사실상 미술 지식이 포함된 키워드를 입력해야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기에 결국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고안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195642호(2020.12.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입력한 작품명과 작가명에 대한 기본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타겟팅한 미술 저작물을 탐색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작품명 또는 작가명을 입력하지 않고, 색상 분포도, 색상 민감도(변동률)만을 입력하여도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저작물을 탐색해줄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입력한 색상에 대한 정보(예. 색상 분포 비율, 민감도)를 기반으로 미술 저작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색하고자, 검색 서비스 제공 이전에 하나의 미술 저작물에 포함된 색상에 대한 유기 관계를 설정하여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미술 저작물의 작가명, 작품명, 제작연도, 사이즈(높이x너비), 성별, 스타일, 화판, 주제, 재료, 캔버스 형태, 전체 색상 분포 비율, 사분면 색상 분포 비율 및 게시 배경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색상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기 정해진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셀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위셀들을 기축색상셀로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기축색상셀의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 값들의 평균값을 상기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3) 상기 기축색상셀에 포함된 모든 색상 중 상기 표준색상을 제외한 색상들의 집합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4) 상기 표준색상의 RGB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변동률 범위에 있는 RGB값을 가지는 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a-5) 상기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미술 저작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위치에 분포되어 있는 색상을 표준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표준색상의 기 설정한 변동률 범위에 해당하는 색상 각각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3′) 상기 파생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a-4′) 상기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동률은, 서로 다른 두 표준색상의 RGB 값 차이 값에 RGB 최대 값인 256를 나눈 값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세스, (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 및 (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A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작품명 또는 작가명을 입력하지 않고, 색상 분포도, 색상 민감도만을 입력하여도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저작물을 탐색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미술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손쉽고 신속하게 원하는 미술 저작물을 검색 결과물로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색 서비스 제공 이전에 하나의 미술 저작물에 포함된 색상에 대한 유기 관계를 설정하여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미술 저작물에 대하여 색상에 대한 정보만을 입력하였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저작물을 탐색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간단한 그림을 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 내의 표준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 내의 파생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 내의 유사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장치가 미술 저작물의 기축색상셀을 설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장치가 미술 저작물의 기축색상셀 각각에 대한 표준색상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에서 유사색상을 설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에서 색상 분포 비율을 산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획득 가능한 검색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검색 정보를 활용하여 탐색을 실시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검색 정보를 활용하여 탐색을 실시하는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중 표준색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그림을 통하여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중 파생색상 및 유사색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그림을 통하여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는 프로세서(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스토리지(4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버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e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형태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프로세서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그 밖의 공지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그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스토리지(4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을 로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모리(30)의 하나로 RAM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30)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토리지(4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42)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41)은 메모리(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에 의해 (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프로세스, (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세스 및 (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언급한 컴퓨터 프로그램(41)이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41)의 일 기능으로 볼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데이터 버스(50)는 이상 설명한 프로세서(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및 스토리지(40) 사이의 명령 및/또는 정보의 이동 경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는 네트워크 기능을 보유한 물리적으로 독립된 전자 장치일 수 있으나, 미술 저작물 관리 및 분석 서버(미도시), 색상 스펙트럼 분석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미술 저작물에 관련된 정보, 색상 스펙트럼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해야 할 수 있으므로 해당 장치의 일 기능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장치는 유형의 물리적인 장치일 수도 있고, 가상의 클라우드(Cloud) 장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 이전에,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개념을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하, 장치(100)라고 약칭함)는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장치(100) 내에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①).
예를 들어, 장치(100)는 수 많은 미술 저작물 중 '이중섭 화가의 흰 소'를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흰 소'라는 미술 저작물을 단순히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미술 저작물의 작품명이 '흰 소'라는 작품명 정보, 해당 미술 저작물의 작가가 '이중섭'이라는 작가명 정보, '흰 소'라는 미술 저작물이 '유화'라는 재료 정보 등 해당 미술 저작물의 기본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흰 소'라는 미술저작물의 색상 분포 비율이 얼마인지, 어떠한 색상으로 그려져 있는지에 대한 색상 정보까지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는 색상 스펙트럼에 의하여 구분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 저작물들이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할 수 있으며,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는 장치(100) 내에 기 구축된 색상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새롭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이고, 상기 언급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및 '색상 데이터베이스'는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할 때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① 이후에,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색 정보(예. 작품명, 작가명, 색상 분포 비율 등)을 수신한 경우(②), 장치(100)는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③).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어느 한 단계가 다른 단계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장치(100)는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01).
S101 단계는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100)가 검색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들을 구축하는 단계이다. 장치(100)가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는 것의 의미는 장치(100)가 내부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일련의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기록 내지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는 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할 수도 있겠으나 상기 S101단계는 사람의 행위를 포함하는 단계가 아닌 장치(100)의 연산 수행 단계임을 이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한 '작품명', '작가명' 등과 같은 미술 저작물의 기본 정보를 통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작품명, 작가명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특정 작품, 특정 작가에 대한 검색이 아닌 '색상'의 조화, 분포 및 배치 관계 등을 통하여 '색상' 그 자체에 대한 미술 저작물을 검색하고자 할 때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 분포 비율 등과 같은 색상과 같은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색상'과 관련된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100)는 색상 그 자체를 구분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색상 데이터베이스', 장치(100) 내에 저장/등록 된 미술 저작물을 색상에 따라 구분한 데이터베이스인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데, 이하 도4및 12를 통하여 '색상 데이터베이스' 및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및 구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간단한 그림을 통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색상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셀로 구분된 셀 그리드(Cell Grid)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서, RGB 색상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2차원 색상 스펙트럼을 3단계 크기로 구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3단계 크기란 스펙트럼 크기가 45 x 45, 셀 수가 255 x 255 인 크기를 말할 수 있으며, 상기 색상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는 앞서 언급한 3단계의 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의 스펙트럼의 크기를 표현하는 2단계 또는 1단계의 스펙트럼도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의 스펙트럼 크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A x A등을 표현하는 수치의 단위는 바람직하게 cm이며, 이는 PC 모니터 크기를 감안하여 지정된 단위이다.
색상 데이터베이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셀로 구분되어 있지만, 단위셀에 포함된 색상은 모두 같은 색상이라고 볼 수 없다. 즉, 단위셀 들은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는, RGB 값이 상이한 색상들이 그라데이션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위셀 내에 색상들은 각각의 RGB 값이 상이하더라도 육안으로는 판단할 수 없을 정도로 유사하고, 서로 유사한 색상들의 관계는 이후에 장치(100)가 색상을 통한 미술 저작물을 탐색할 때의 데이터 리소스로서 활용될 수 있는바, 서로 유사한 색상들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미술 저작물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에 중요한 단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색상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포함된 단위셀을 '기축색상셀'이라고 표현하고, 기축색상셀 내에 포함된 색상들의 관계를 설정하고자 기축색상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들을 '표준색상', '파생색상' 및 '유사색상'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 내의 표준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면, 표준색상은 기축색상셀의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값들의 평균값을 가지는 색상을 말한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기축색상셀의 모서리 영역은, 기축색상셀의 중심으로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우측하단의 일부영역을 말할 수 있으며, 상기 일부영역의 크기는 장치(100) 관리자에 의하여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a', 'b', 'c', 'd'는 기축색상CG1(셀 번호)의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우측하단의 일부영역이며, 'a'의 RGB 값은(255, 2, 49)이고, 'b'의 RGB 값은(255, 2, 20)이며, 'c'의 RGB 값은(250, 5, 52)이고, 'd'의 RGB 값은(250, 5, 24)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4개의 모서리 영역(a, b, c, d)의 RGB 값들의 평균값이 253, 4, 36이므로, 253, 4, 36의 RGB 값을 가지는 색상은 셀번호 CG1에 해당하는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이 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 내의 파생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파생색상'은 기축색상셀에 포함된 모든 색상 중 표준 색상을 제외한 색상들의 집합을 말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기축색상의 4개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획득된 RGB값의 변동 범위에 포함되는 색상들은 모두 '파생색상'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축색상 셀번호 CG1의 4개 모서리 영역으로부터는 R값의 범위가 250~255, G값의 범위가 2~5, B값의 범위가 20~52로 정해질 수 있는데, 위 범위 내 R, G, B 값들로 조합 가능한 모든 색상들이 상기 표준색상의 파생색상이 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 내의 유사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사색상'은 서로 다른 기축색상셀들의 표준색상 RGB값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유사한 색상을 말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일정 범위란, 본 발명에서'변동률'이라고 정의되는 값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색의 민감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색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사용자의 경우 변동률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색상과 차이(RGB값의 차이)가 매우 작은 색상들만 참조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색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사용자의 경우 변동률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색상과 차이가 많은 색상들까지도 참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변동률은 표준색상의 RGB값 차이를 RGB값 최대 크기(256)을 기준으로 계산한 비율이며, 서로 다른 두 표준색상의 RGB 차이값을 RGB 최대값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7을 참고하여 장치(100)가 셀 번호 CG1의 유사색상인 탐색하는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색의 민감도를 5% 즉, 변동률을 5%로 설정한 경우, 장치(100)는 변동률 5% 이내의 유사색상을 탐색하며, 구체적으로, RGB 최대값 256에 변동률 (5%, 퍼센티지 값)을 곱하면, RGB값의 차이 '23'이내의 색상들을 찾을 수 있다. 참고로 특정 제1 색상과 제2 색상 간의 RGB 차이값의 평균은 두 색상의 R값 차이, G값 차이, B값 차이의 평균으로 정의될 수 있다. RGB 값 (246, 10, 31)을 가지는 'CG5'는 RGB값 (253, 4, 36)을 가지는 'CG1'과 R값은 7만큼의 차이가 나고, G값은 6만큼의 차이가 나며, B값은 5만큼의 차이가 나므로 결국 RGB 차이값의 평균은 (7+6+5)/3 = 6이 될 것이며, RGB 차이값의 평균이 상기 23보다 작은 값이므로 상기 'CG5'는 'CG1'의 유사색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RGB값(99, 33, 33)을 가지는 특정 색상 C99는 RGB차이값의 평균이 (154+29+3)/3 = 62가 될 것이며, 이 값은 상기 23보다 큰 값이므로 상기 C99는 'CG1'의 유사색상이 될 수 없다.
이상 도3 내지 도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색상 데이터베이스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01)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8을 참고하면, S101 단계는, 색상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기 정해진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셀들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위셀들을 기축색상셀로 설정하는 단계(S101-1), 기축색상셀의 각 모서리의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 값들의 평균값을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S101-2), 기축색상셀에 포함된 모든 색상 중 표준색상을 제외한 것으로서 R,G,B 값의 범위 내 값들로 조합이 가능한 색상들의 집합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S101-3), 표준색상의 RGB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변동률 범위에 있는 RGB값을 가지는 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S101-4). 및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하는 단계(S10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S101-1 단계 내지 S101-5 단계)들은 각각 도9 내지 도1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장치(100)가 미술 저작물에 대해 기축색상셀들을 설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장치(100)는 미술 저작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색상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기 정해진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셀들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위셀들을 기축색상셀로 설정할 수 있다(S101-1).
여기서 말하는 기 정해진 규격은 미술 저작물의 크기(너비, 높이), 형태(예. 형상, 구조)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에, 장치(100) 관리자가 미술 저작물의 크기, 형태에 따라 적절한 단위셀이 구분될 수 있도록 임의로 조절한 규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술 저작물의 크기가 (100 X 100) 이상이라면, K1 규격을 가지도록 설정하거나, (100 X 100) 미만인 경우 K2 규격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장치(100)가 미술 저작물의 기축색상셀 각각에 대한 표준색상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장치(100)가 미술 저작물의 기축색상셀을 설정하였다면, 설정한 기축색상셀 각각의 표준색상을 설정하고, 표준색상에 따른 파생색상을 설정한다.
표준색상은 색상 데이터베이스의 표준색상을 설정하는 것과 동일하게 미술 저작물의 기축색상셀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산출한 RGB 값을 갖는 색상이다.
파생색상은 미술 저작물의 기축색상셀에 포함된 모든 색상 중 표준 색상을 제외한 색상들의 집합이다.
도10을 참고하면, 미술 저작물로부터 임의로 추출된 A, B, C, D 영역은 육안으로 봤을 때에는 동일한 색상 같지만, 도10 하단 표를 살펴보면, 각각의 표준색상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보다 정확한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미술 저작물을 장치(100) 내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저장하기 위해서는 미술 저작물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을 빠짐없이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에서 유사색상을 설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도10에서 한번 언급하였듯이, 도11의 우측을 참고하면, 임의로 추출된 A, B, C, D 영역에서의 색상들은 사용자가 설정한 변동률에 따라 서로 유사색상이라고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이 되는 표준 색상의 유사색상은 표준 색상과 같은 그룹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에서 색상 분포 비율을 산출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작품명, 작가명으로 검색하면 찾고자 하는 미술 저작물을 곧바로 찾을 수 있지만, 작품명, 작가명이 기억나지 않거나 특정한 작품을 찾으려고 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억나는 색상 또는 원하는 색상을 검색하여 해당하는 미술 저작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검색 수단으로 선택되는 색상은 색상 스펙트럼 또는 RGB 헥스코드를 통하여 정확히 선택되는 색상이 아니고, 육안으로 선택되는 색상 또는 색상을 설명하는 텍스트(예. 빨간색, 파란색)일 가능성이 높기에,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 또는 텍스트만으로 사용자가 기대하는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는바, 사용자가 정확한 헥스코드, 색상 스펙트럼 내의 색상을 선택하지 않아도 이와 유사한 색상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탐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기 이전에, 또는 사용자가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 중에서 특정 미술 저작물에 포함되는 색상들의 유사성을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정 미술 저작물로부터는 복수 개의 표준색상들, 그리고 상기 표준색상들과 유사한 유사색상들이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특정 미술 저작물에 대해서는 상기 표준색상들 및 유사색상들 중 적어도 일부의 색상들이 선별되어 해당 미술 저작물을 구성하는 색상들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일부의 유사색상들 비율이 서로 합쳐지거나, 또는 특정 표준색상의 비율에 특정 유사색상의 비율이 합쳐진 값이 산출될 수 있다.
쉬운 예로, 빨간색의 유사색상으로 다홍색, 순홍색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특정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 비율이 빨간색 10%, 다홍색 5%, 순홍색 5%, 파란색 10%라고 가정한다면,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특정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 비율을 빨간색 20%(다홍색, 순홍색은 빨간색의 유사색상이며 해당 색상들의 비율을 표준색상의 비율과 합산), 파란색 10%라고 산출할 수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검색 정보로서 '빨간색 20%'의 색상 분포 비율을 입력하였다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화면 상에 상기 특정 미술 저작물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는 다섯개의 색상들이 각각 29.1%, 26.3%, 22.3%, 18.3%, 3.9%의 비율로 석판화를 구성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된 예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과정에서는 표준색상 또는 유사색상들의 비율이 서로 합산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하는 검색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장치(100)가 색상 데이터베이스 및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이후에(S10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한 경우(S102), 장치(100)는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103).
이하 도 13 내지 도15를 참고하여 검색 정보에 대한 개념 및 활용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획득 가능한 검색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을 참고하면, 검색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선택 입력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저작물을 찾고자 할 때 참고 가능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정보는 작가명, 작품명, 제작년도, 사이즈(높이x너비), 스타일(구상, 추상, 혼합 등), 화판(캔버스, 종이, 목판 등), 주제(인물, 정물, 풍경 등), 재료(유화, 수채, 아크릴, 파스텔, 연필, 먹, 크레용, 판화 등), 캔버스 형태(가로형, 세로형, 정방형, 원형 등),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의 분포 위치(1/4분면, 2/4분면, 3/4분면, 4/4분면 등),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의 분포 비율(1~10%, 11~20% 등), 또는 게시배경색상(미술 저작물의 배경에 사용된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정보는 작가명, 작품명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가 미술 저작물을 명확히 찾을 수 있는 타겟 정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확한 작품명 또는 작가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검색 정보에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저작물에 대한 특징(예. 화판이 종이인지, 재료가 파스텔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장치(100)는 상기 검색 정보를 포함한 일련의 연산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미술 저작물을 탐색할 수 있다.
한편, 검색 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는 미술 저작물을 탐색하고자 할 때 입력할 수 있는 기호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작품명, 작가명이 아니라 '인물화', '유화'를 검색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으며, 장치(100)는 해당하는 검색 정보에 대한 미술 저작물을 탐색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15를 통하여 장치(100)가 검색 정보를 활용하여 미술 저작물을 탐색하는 예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장치(100)가 검색 정보를 활용하여 탐색을 실시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가명, 작품명 등의 기본적인 검색 정보뿐만 아니라 색상분포비율, 스타일, 화판, 주제 또는 형태를 검색 정보로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도14를 참고하면, 장치(100)는 전체 미술 저작물의 면적 중 사분면 상의 위치를 지정하여 해당 사분면의 위치에 대한 색상 분포비율을 검색정보로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미술 저작물에 대한 전체 색상 분포가 기억나지 않고 특정 위치에 대한 색상 분포만이 기억나는 경우, 또는 특정 위치에 대한 색상 분포를 가지는 미술 저작물을 추천받고자 하는 경우, 도14에 포함된 '사분면 위치'에 대한 검색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사분면의 위치에 대한 색상 분포 비율을 특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장치(100)가 검색 정보를 활용하여 탐색을 실시하는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미술 저작물의 작가명, 작품명을 명확히 살펴보고자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실제로 미술 저작물을 구매하여 벽과 같은 건축물에 게시할 목적으로도 본 발명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수도 있다. 이 때, 구매를 원하는 사용자는 원하는 스타일, 화판, 주제 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하였을 시 게시될 배경(예. 벽지)과의 색상을 고려하여 미술 저작물을 선택하게 될 것인바,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및 고려 사항을 검색 정보로서 입력 받아 종합적으로 미술 저작물을 탐색할 수 있다.
도15를 참고하면, 장치(100)는 검색 정보로서 작가명, 작품명 등의 기본적인 검색 정보뿐만 아니라 게시배경색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미술 저작물의 색상이 상기 게시배경색상과 '유사색'이면 좋을지 '보색'이면 좋을지에 대한 정보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은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S101′)에서 '색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않고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는 미술 저작물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미술 저작물의 기축색상셀을 설정하지 않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술 저작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위치에 분포되어 있는 색상을 표준색상으로 설정한다(S101-1′).
참고로, S101-1′단계 이전에, 표준색상 설정의 정확도와 정밀성을 향상시키고자 미술 저작물 내의 색상을 구분하는 단계(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장치(100) 내에는 색상을 구분하는 색상 구분 알고리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여기서 말하는 색상 구분 알고리즘은 색상의 RGB 값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거나, 구분한 색상의 헥스코드를 산출하여 보다 정확한 색상 구분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이후에, 장치(1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색상의 기 설정한 변동률 범위에 해당하는 색상 각각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고(S101-2′), 파생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며(S101-3′),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할 수 있다(S101-3′).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구축 방법은 표준색상에 변동률을 적용하여 유사색상을 설정하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기축색상셀을 설정하지 않는다는 점, 파생색상도 변동률을 적용하여 설정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기축색상셀을 설정하지 않고 파생색상도 유사색상과 유사하게 변동률을 통하여 설정하기에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에 비하여 단계가 간소화되며, 셀 그리드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이 없어 전체 데이터 용량이 가벼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제2 실시 예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또는 제3 실시 예의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A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프로세서
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 메모리
40: 스토리지
41: 컴퓨터 프로그램
50: 데이터 버스
100: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200: 사용자 단말

Claims (9)

  1.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색상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기 정해진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셀들로 구분하고, 상이한 RGB값의 색상들이 그라데이션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단위 셀들을 기축색상셀로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기축색상셀의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을 포함하는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 값들의 평균값을 상기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3) 상기 기축색상셀의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획득된 RGB값의 변동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의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값들에 의해 정해지는 R값의 범위, G값의 범위, 및 B값의 범위 내 포함되는 R, G, 및 B값들로 조합 가능한 색상들의 집합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4) 상기 표준색상의 RGB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변동률 - 상기 변동률은, 서로 다른 두 개 색상의 RGB차이값을 RGB 최대값인 256을 나눈 값임 - 범위에 있는 RGB값을 가지는 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a-5) 상기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정보는,
    상기 미술 저작물의 작가명, 작품명, 제작연도, 사이즈(높이x너비), 스타일, 화판, 주제, 재료, 캔버스 형태, 전체 색상 분포 비율, 사분면 색상 분포 비율 및 게시 배경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보인,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상기 (A) 단계는,
    (A-1) 색상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기 정해진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셀들로 구분하고, 상이한 RGB값의 색상들이 그라데이션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단위 셀들을 기축색상셀로 설정하는 단계;
    (A-2) 상기 기축색상셀의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을 포함하는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 값들의 평균값을 상기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3) 상기 기축색상셀의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획득된 RGB값의 변동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의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값들에 의해 정해지는 R값의 범위, G값의 범위, 및 B값의 범위 내 포함되는 R, G, 및 B값들로 조합 가능한 색상들의 집합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4) 상기 표준색상의 RGB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변동률 - 상기 변동률은, 서로 다른 두 개 색상의 RGB차이값을 RGB 최대값인 256을 나눈 값임 - 범위에 있는 RGB값을 가지는 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A-5) 상기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7.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명령이 실행될 경우,
    (AA)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B)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C) 상기 구축된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중 상기 검색 정보에 매칭되는 미술 저작물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AA) 단계는,
    (AA-1) 색상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기 정해진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셀들로 구분하고, 상이한 RGB값의 색상들이 그라데이션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단위 셀들을 기축색상셀로 설정하는 단계;
    (AA-2) 상기 기축색상셀의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을 포함하는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 값들의 평균값을 상기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A-3) 상기 기축색상셀의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획득된 RGB값의 변동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의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값들에 의해 정해지는 R값의 범위, G값의 범위, 및 B값의 범위 내 포함되는 R, G, 및 B값들로 조합 가능한 색상들의 집합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AA-4) 상기 표준색상의 RGB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변동률 - 상기 변동률은, 서로 다른 두 개 색상의 RGB차이값을 RGB 최대값인 256을 나눈 값임 - 범위에 있는 RGB값을 가지는 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AA-5) 상기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8.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가,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색상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을 기 정해진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셀들로 구분하고, 상이한 RGB값의 색상들이 그라데이션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단위셀들을 기축색상셀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축색상셀의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을 포함하는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 값들의 평균값을 상기 기축색상셀의 표준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축색상셀의 각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획득된 RGB값의 변동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및 우측하단의 모서리 영역들로부터 추출된 RGB값들에 의해 정해지는 R값의 범위, G값의 범위, 및 B값의 범위 내 포함되는 R, G, 및 B값들로 조합 가능한 색상들의 집합을 파생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표준색상의 RGB값을 기준으로 기 설정한 변동률 - 상기 변동률은, 서로 다른 두 개 색상의 RGB차이값을 RGB 최대값인 256을 나눈 값임 - 범위에 있는 RGB값을 가지는 색상의 집합을 유사색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술 저작물의 색상 분포비율 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술 저작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9. 삭제
KR1020230064090A 2023-05-18 2023-05-18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8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090A KR102587797B1 (ko) 2023-05-18 2023-05-18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090A KR102587797B1 (ko) 2023-05-18 2023-05-18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797B1 true KR102587797B1 (ko) 2023-10-11

Family

ID=8829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090A KR102587797B1 (ko) 2023-05-18 2023-05-18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79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161A (ko) * 1999-05-29 2000-12-15 구자홍 다수개의 영역특징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방법
KR20140023596A (ko) * 2012-08-16 2014-02-27 네이버 주식회사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00021A (ko) * 2014-06-23 2016-01-04 신동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미술품 가격검색 및 미술시장 통계분석 시스템
JP2016071418A (ja) * 2014-09-26 2016-05-09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領域特定装置、表示領域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95865A (ja) * 2008-05-09 2016-05-26 エルティーユー テクノロジーズ エスエーエス 色照合ツールボックス
KR101869418B1 (ko) * 2017-07-06 2018-06-20 조익환 네트워크를 통한 전시품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00069001A (ko) * 2018-12-06 2020-06-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색상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20200091614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색상정보에 기반한 검색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220051578A (ko) * 2020-10-19 2022-04-26 정윤태 블록체인 기반의 예술작품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2210B1 (ko) * 2022-11-21 2023-02-23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색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161A (ko) * 1999-05-29 2000-12-15 구자홍 다수개의 영역특징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방법
JP2016095865A (ja) * 2008-05-09 2016-05-26 エルティーユー テクノロジーズ エスエーエス 色照合ツールボックス
KR20140023596A (ko) * 2012-08-16 2014-02-27 네이버 주식회사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00021A (ko) * 2014-06-23 2016-01-04 신동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미술품 가격검색 및 미술시장 통계분석 시스템
JP2016071418A (ja) * 2014-09-26 2016-05-09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領域特定装置、表示領域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69418B1 (ko) * 2017-07-06 2018-06-20 조익환 네트워크를 통한 전시품 이미지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200069001A (ko) * 2018-12-06 2020-06-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색상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20200091614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색상정보에 기반한 검색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제공 방법
KR102195642B1 (ko) 2019-01-23 2020-12-29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색상정보에 기반한 검색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220051578A (ko) * 2020-10-19 2022-04-26 정윤태 블록체인 기반의 예술작품 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2210B1 (ko) * 2022-11-21 2023-02-23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아트 그림 색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beaik et al. Improving the economic complexity index
Olivoto et al. MGIDI: Toward an effective multivariate selection in biological experiments
Yeung et al. Subgame consistent economic optimization: an advanced cooperative dynamic game analysis
US8341060B2 (en) Core/satellite financial portfolio design methodology,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ailo et al. The mosaic multiple stellar populations in ω Centauri: the horizontal branch and the main sequence
US20060022994A1 (en) Method and system of improved color selection
Halim et al. Quantifying and optimizing visualization: An evolutionary computing-based approach
Goldlücke et al. Infinitely repeated games with public monitoring and monetary transfers
Lu et al. Palettailor: Discriminable colorization for categorical data
US11010926B2 (en) Image recoloring for color consistency in a digital medium environment
Lianou et al. Dwarf spheroidals in the M 81 group–Metallicity distribution functions and population gradients
US2022028464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color palettes with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CN110675017A (zh) 基于人工智能的绩效评价方法和装置
CN108133223A (zh) 确定卷积神经网络cnn模型的装置和方法
US20140324839A1 (en) Determining candidate scripts from a catalog of scripts
Pirzada et al. The role of nomination committee in selecting female directors: A case of Malaysia
US20160078015A1 (en) Representation of data records in graphic tables
KR102587797B1 (ko) 미술 저작물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ania et al. Exact and rapid linear clustering of networks with dynamic programming
Wickham et al. Toolbox
de Meulenaer et al. Deriving physical parameters of unresolved star clusters-V. M 31 PHAT star clusters
US11704849B2 (en) Glyph scaffolds for generating unique glyphs to use as data marks in data visualizations
KR102667860B1 (ko) 기업의 상표 관리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서버
CN107220273A (zh) 一种动漫人物人脸搜索方法
CN108229572A (zh) 一种参数寻优方法及计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