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776B1 - 내마모성 테스트기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테스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776B1
KR102586776B1 KR1020230086833A KR20230086833A KR102586776B1 KR 102586776 B1 KR102586776 B1 KR 102586776B1 KR 1020230086833 A KR1020230086833 A KR 1020230086833A KR 20230086833 A KR20230086833 A KR 20230086833A KR 102586776 B1 KR102586776 B1 KR 102586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abrasion resistance
holder
resistance tester
specime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한
정병선
Original Assignee
정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한 filed Critical 정명한
Priority to KR102023008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3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상판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비교 대상이 되는 제1 시편과 제2 시편의 내마모성을 동일 조건에서 테스트하는, 제1 내마모성 테스터 및 제2 내마모성 테스터를 포함하는 내마모성 테스트기가 제공되며, 개시된 내마모성 테스트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는, 상기 상판의 하부면 아래에 있도록 설치되는 제1 회전 구동부 및 제2 회전 구동부와; 상기 제1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2 회전 구동부에 의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동일 규격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된 제1 연마석 및 제2 연마석과; 상기 제1 시편과 상기 제2 시편을 하단에서 지지하는 제1 시편 홀더 및 제2 시편 홀더와, 상기 제1 시편 홀더와 상기 제2 시편 홀더에 동일 무게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1 시편 홀더 및 상기 제2 시편 홀더에 얹혀서, 상기 제1 연마석과 상기 제2 연마석에 대한 상기 제1 시편과 상기 제2 시편의 가압력을 동일하게 맞추는 제1 웨이트 및 제2 웨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마모성 테스트기{Abrasion resistance test machine}
본 발명은 내마모성 테스트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편. 특히, 금속 시편의 내마모성을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시편의 내마모성과 비교적으로 테스트하도록 구성된 내마모성 테스트기에 관한 것이다.
강도, 경도 등과 같은 소재의 특성은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반면, 소재의 내마모성 특성의 경우,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직물 등과 같은 소재의 경우, 기구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소재 표면에 마찰을 주기적으로 가하여 마모되는 정도를 테스트하는 장치가 이용되지만, 이러한 장치로 금속 소재의 내마모성을 테스트하기는 어렵다.
또한, 금속 소재에 마찰력을 가하여 내마모성을 테스트하는 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정밀한 측정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다른 소재와 비교할 때 해당 소재의 내마모성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에는 시편의 내마모성을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시편의 내마모성과 비교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내마모성 테스트기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공개번호 10-2001-0074371 (2001년 8월 4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교 대상이 되는 시편들을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연마석에 동일 압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동일 조건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시편들의 내마모성을 비교적으로 그리고 엄격한 신뢰성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상판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비교 대상이 되는 제1 시편과 제2 시편의 내마모성을 동일 조건에서 테스트하는, 제1 내마모성 테스터 및 제2 내마모성 테스터를 포함하는 내마모성 테스트기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는, 상기 상판의 하부면 아래에 있도록 설치되는 제1 회전 구동부 및 제2 회전 구동부와; 상기 제1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2 회전 구동부에 의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동일 규격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된 제1 연마석 및 제2 연마석과; 상기 제1 시편과 상기 제2 시편을 하단에서 지지하는 제1 시편 홀더 및 제2 시편 홀더와, 상기 제1 시편 홀더와 상기 제2 시편 홀더에 동일 무게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1 시편 홀더 및 상기 제2 시편 홀더에 얹혀서, 상기 제1 연마석과 상기 제2 연마석에 대한 상기 제1 시편과 상기 제2 시편의 가압력을 동일하게 맞추는 제1 웨이트 및 제2 웨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상기 상판 상에 배치된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편 홀더와 상기 제2 시편 홀더는, 하단에 상기 제1 시편 및 상기 제2 시편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홀더봉 및 제2 홀더봉과, 상기 제1 홀더봉 및 상기 제2 홀더봉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웨이트 및 상기 제2 웨이트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와,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낮게 상기 제1 홀더봉 및 상기 제2 홀더봉에 설치된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 및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는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바닥에서 걸리는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시편 홀더와 상기 제2 시편 홀더를 받쳐주는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제2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상판 상에서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 높이 조절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제2 높이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걸림홈의 바닥에 이격되고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걸림홈의 바닥에 이격될 때, 상기 제1 웨이트 및 상기 제2 웨이트에 의한 무게 증가는 상기 제1 시편 및 상기 제2 시편의 상기 제1 연마석과 상기 제2 연마석에 대한 가압력으로 전해진다.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 각각은 상기 상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제1 수직 베이스판 및 제2 수직 베이스판과, 상기 제1 수직 베이스판 및 상기 제2 수직 베이스판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의 후단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및 제2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스크류 블록 및 제2 스크류 블록과, 상기 제1 수직 베이스판과 상기 제2 수직 베이스판에 설치된 베어링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 블록 및 상기 제2 스크류 블록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스크류 및 제2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테스트기.
본 발명은 비교 대상이 되는 시편들을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연마석에 동일 압력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동일 조건에서 비교 대상이 되는 시편들의 내마모성을 비교적으로 그리고 엄격한 신뢰성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제거한 사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제거한 사태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내마모성 테스트기의 제1 내마모성 테스터 및 제2 내마모성 테스터를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6은 제1 내마모성 테스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제2 내마모성 테스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제거한 사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제거한 사태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 내지도 4에 도시된 내마모성 테스트기의 제1 내마모성 테스터 및 제2 내마모성 테스터를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6은 제1 내마모성 테스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제2 내마모성 테스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성 테스트기(1)는, 비교 대상이 되는 두 개의 금속 시편들을 동일한 조건에서 내마모성 테스트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블(20)과, 상기 테이블(20)에 설치된 제1 내마모성 테스터(10A) 및 제2 내마모성 테스터(10B)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마모성 테스트기(1)는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10A) 및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10B)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 공급장치(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20)은 복수개의 다리(22)와 그 복수개의 다리(22)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10A)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20B)는 상기 테이블(20)의 상판(24) 상에 좌우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10A)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10B)는, 상기 상판(24)의 하부면 아래에 있도록 설치되고 모터와 감속부를 포함하는 제1 회전 구동부(11A) 및 제2 회전 구동부(11B)와, 상기 제1 회전 구동부(11A) 및 상기 제2 회전 구동부(11B)와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상판(24)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24)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 회전축(12A) 및 제2 회전축(12B)과, 동일 규격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12A) 및 상기 제2 회전축(12B)에 동일 높이로 결합된 제1 회전 연마석(13A) 및 제2 회전 연마석(13B)과, 비교 대상이 되는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을 하단에서 지지하는 제1 시편 홀더(14A) 및 제2 시편 홀더(14B)와, 상기 제1 시편 홀더(14A)와 상기 제2 시편 홀더(14B)에 동일 무게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1 시편 홀더(14A) 및 상기 제2 시편 홀더(14B)에 얹혀서, 상기 제1 연마석(13A)과 상기 제2 연마석(13B)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 연마석(13A)과 상기 제2 연마석(13B)에 대해 가압되는 상기 제1 금속 시편(2A)과 상기 제2 금속 시편(2B)의 가압력을 동일하게 맞추는 무게추로서의 제1 웨이트(15A)와 제2 웨이트(15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웨이트(15A)와 상기 제2 웨이트(15B) 각각은, 무게 증감을 위해, 즉, 제1 금속 시편(2A) 및 제2 금속 시편(2B)에 의한 가압력의 증감을 위해, 이들을 구성하는 단위 웨이트의 무게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10A)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10B)는 수밀 및 유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1 회전축(12A)과 상기 제2 회전축(12B)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상기 상판(24) 상에 배치된 제1 트레이(162A) 및 제2 트레이(16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레이(162A) 및 상기 제2 트레이(162B)는 상기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의 연마 과정에서 발생한 찌꺼기와 사용된 절삭유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트레이(162A) 및 상기 제2 트레이(162B)에는 절삭유 공급장치와 연결된 절삭유 회수관과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터(10A)와 상기 제2 테스터(10B)는, 내마모성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한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제1 트레이(162A)와 상기 제2 트레이(162B)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연마석(13A) 및 상기 제2 연마석(13B)과 상기 제1 금속 시편(2A) 및 상기 제2 금속 시편(2B)을 덮도록 설치되는 제1 커버(164A)와 제2 커버(16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164A)와 상기 제2 커버(164B) 각각은, 전술한 요소들을 덮을 수 있도록, 네 개의 측벽과 상단벽을 포함하되 하단이 개방된 구조이며, 상단벽에는 상기 제1 시편 홀더(14A)와 상기 제2 시편 홀더(14B)이 관통을 허용하는 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버(164A)와 상기 제2 커버(164B)는 상기 제1 시편 홀더(14A) 및 제2 시편 홀더(14B)에는 고정되지 않고, 상기 홀들은 상기 제1 시편 홀더(14A) 및 상기 제2 시편 홀더(14B)의 상하 움직임을 허용하는 크기 또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164A) 및 상기 제2 커버(164B)의 후방 측벽에는 이하 설명되는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제2 받침 플레이트의 상하 움직임을 허용하는 직사각형의 홈이 하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시편 홀더(14A)와 상기 제2 시편 홀더(14B)는, 하단에 제1 금속 시편(2A) 및 제2 금속 시편(2B)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편 결합부를 구비한 제1 홀더봉(142A) 및 제2 홀더봉(142B)과, 상기 제1 홀더봉(142A) 및 상기 제2 홀더봉(142B)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웨이트(15A)와 상기 제2 웨이트(15B)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143A) 및 제2 안착부(143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시편 홀더(14A)와 상기 제2 시편 홀더(14B) 각각은 상기 제1 안착부(143) 및 상기 제2 안착부(143B)에 안착된 제1 웨이트(15A)와 제2 웨이트(15B)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나사(144A) 및 제2 고정나사(144B)를 더 포함한다. 제1 웨이트(15A) 및 제2 웨이트(15B)를 구성하는 단위 웨이트의 높이 또는 개수에 대응하여, 제1 고정나사(144A)와 제2 고정나사(144B)는 제1 홀더봉(142A) 및 제2 홀더봉(142B)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더봉(142A)와 상기 제2 홀더봉(142B)에는 상기 제1 안착부(143A) 및 상기 제2 안착부(143B) 아래에 있도록 제1 걸림부(145A)와 제2 걸림부(145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테스터(10A) 및 상기 제2 테스터(10B)는 상기 제1 시편 홀더(14A)와 상기 제2 시편 홀더(14B)를 받쳐주기 위한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제2 받침 플레이트(17B)와, 상기 상판(24) 상에서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를 높이 조절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높이 조절 유닛(18A) 및 제2 높이 조절 유닛(18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18A)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18B) 각각은 상기 상판(24)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제1 수직 베이스판(181A) 및 제2 수직 베이스판(181B)과, 상기 제1 수직 베이스판(181A) 및 상기 제2 수직 베이스판(181B)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182A) 및 제2 가이드 레일(182B)과,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후단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82A) 및 상기 제2 가이드 레일(128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183A) 및 제2 슬라이딩 블록(183B)과,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스크류 블록(184A) 및 제2 스크류 블록(184B)과, 상기 제1 수직 베이스판(181A)과 상기 제2 수직 베이스판(181B)에 설치된 베어링들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 블록(184A) 및 상기 제2 스크류 블록(184B)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에 지지된 제1 시편 홀더(14A)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에 지지된 제2 시편 홀더(14B)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스크류(185A) 및 제2 스크류(185B)와, 상기 제1 스크류(185A) 및 상기 제2 스크류(185B)의 상단에 결합된 제1 핸들(186A) 및 제2 핸들(186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18A)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18B)에 의한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제1 시편 홀더(14A) 및 상기 제2 시편 홀더(14B)에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을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의 하단 높이는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의 제1 홀더봉(142A) 및 제2 홀더봉(142B) 중간에 형성된 제1 걸림부(145A)와 제2 걸림부(145B)가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걸림홈(174A) 및 제2 걸림홈(174B)의 바닥에 접하여 걸리는 것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45A)와 상기 제2 걸림부(145B)가 상기 제1 걸림홈(174A) 및 상기 제2 걸림홈(174B)의 바닥에 접해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시편 홀더(14A) 및 제2 시편 홀더(14B)의 하단에 결합된 제1 금속 시편(2A)의 하단과 제2 금속 시편(2B)의 하단이 상기 제1 연마석(13A) 및 제2 연마석(13B)에 접하더라도, 상기 제1 금속 시편(2A)과 상기 제2 금속 시편(2B)이 상기 제1 연마석(13A) 및 상기 제2 연마석(13B)에 가하는 가압력은 실질적으로 0 또는 그에 가깝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1 금속 시편(2A)과 상기 제2 금속 시편(2B)이 상기 제1 연마석(13A)과 상기 제2 연마석(13B)에 접한 상태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에 받쳐진 상태로,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가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18A)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18B)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더 더 구체적으로는, 걸림홈 바닥)와 상기 제1 걸림부(145A) 사이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 더 구체적으로는 걸림홈 바닥)와 상기 제2 걸림부(145B) 사이가 이격되면, 상기 제1 금속 시편(2A)이 상기 제1 연마석(13A)에 가하는 가압력과 상기 제2 금속 시편(2B)이 상기 제2 연마석(13B)에 가하는 가압력은 상기 제1 시편 홀더(14A)에 얹혀지는 제1 웨이트(15A)의 무게 및 제2 시편 홀더(14B)에 얹혀지는 제2 웨이트(15B)의 무게에 의존하게 된다.
동일한 무게의 제1 웨이트(15A)와 제2 웨이트(15B)에 의해 상기 제1 금속 시편(2A)과 상기 제2 금속 시편(2B)이 상기 제1 연마석(13A)과 상기 제2 연마석(13B)을 가압하고 있는 동안, 제1 회전 구동부(11A)와 제2 회전 구동부(11B)가 제1 연마석(13A)과 제2 연마석(13B)을 같은 속도 및 같은 토크로 회전시키면,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의 내마모성 테스트는 정확하게 동일한 조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이 마모되는 정도에 따라,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가 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 테스트 후,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을 분리하여, 마모량 차이를 직접 측정하여, 내마모성을 테스트할 수도 있고,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의 하강에 따른 높낮이 차이를 비교하여 내마모성을 바로 알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의 하강 높이를 표시하는 수동 눈금자 또는 디지털 눈금자를 제1 내마모성 테스터(10A) 및 제2 내마모성 테스터(10B)에 설치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유 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된 절삭유를 제1 연마석(13A)과 제2 연마석(13B)에 공급하는 제1 절삭유 노즐(19A)과 제2 절삭유 노즐(19B)이 추가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17B) 각각에 수직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제1 지지봉(191A) 및 제2 지지봉(191B)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봉(191A) 및 상기 제2 지지봉(191B) 각각에 제1 절삭유 노즐(19A) 및 제2 절삭율 노즐(19B)을 집게 형태로 홀딩하는 제1 노즐 홀더(192A)와 제2 노즐 홀더(192B)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제 전술한 내마모성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금속 시편의 내마모성을 비교적으로 테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을 준비한다. 예컨대, 제2 금속 시편(2B)이 실제 내마모성을 측정하고 하는 시편일 수 있고, 제1 금속 시편(2A)은 기준 또는 비교 대상이 되는 시편일 수 있다. 그 반대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제1 높이 조절 유닛(18A)의 제1 핸들(186A) 및 제2 높이 조절 유닛(18B)의 제2 핸들(186B)을 돌려 제1 스크류(185A)와 제2 스크류(185B)를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가 걸려 유지된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제2 받침 플레이트(17B)를 충분히 상승시킨다.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상승에 의해,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의 제1 걸림부(145A) 및 제2 걸림부(145B)가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제1 걸림홈(174A) 및 제2 걸림홈(174B) 바닥에 걸려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제2 받침 플레이트(17B)의 상승에 의해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도 상승한다. 제1 시편 홀더(14A)와 제2 시편 홀더(14B)가 충분히 상승하면,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을 상기 제1 시편 홀더(14A)와 상기 제2 시편 홀더(14B)의 하단에 각각 장착한다.
다음, 제1 시편 홀더(14A)의 하단에 장착된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시편 홀더(14B)의 하단에 장착된 제2 금속 시편(2B)이 제1 연마석(13A)과 제2 연마석(13B)에 접촉할 때까지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제2 받침 플레이트(17B)를 하강시킨다. 접촉 후, 추가로 제1 받침 플레이트(17A)와 제2 받침 플레이트(17B)를 더 하강하면, 제1 시편 홀더(14A) 및 제2 시편 홀더(14B)의 제1 걸림부(145A) 및 제2 걸림부(145B)가 제1 받침 플레이트(17A) 및 제2 받침 플레이트(17B)와 이격되며, 이러한 이격에 이해, 제1 웨이트(15A)에 의한 무게와 제2 웨이트(15B)에 의한 무게가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의 가압력으로 제1 연마석(13A)과 제2 연마석(13B)에 인가된다. 상기 제1 웨이트(15A)와 상기 제2 웨이트(15B)의 무게는 같다. 이들의 무게 및 이를 통한 가압력은 제1 웨이트(15A) 및 제2 웨이트(15B)의 무게 증감에 의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웨이트(15A) 및 제2 웨이트(15B)이 무게에 상응하는 가압력이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을 통해 제1 연마석(13A)과 제2 연마석(13B)에 인가된 상태로, 제1 회전 구동부(11A)와 제2 회전 구동부(11B)가 작동하여 제1 연마석(13A)과 제2 연마석(13B)을 같은 속도 같은 토크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 연마석(13A)과 제2 연마석(13B)은 같은 직경을 같은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시편(2A)이 제1 연마석(13A)과 접촉하는 지점과 상기 제1 연마석(13A)의 중심과의 거리는, 제2 시편(2B)이 제2 연마석(13B)과 접촉하는 지점과 상기 제2 연마석(13B)의 중심과의 거리와 같다.
이와 같이 모든 동일한 조건으로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V)에 대한 내마모성 테스트가 수행되며,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의 마모량 차이 및/또는 제1 금속 시편(2A)과 제2 금속 시편(2B)의 하강 높이 차이에 따라, 제1 금속 시편(2A) 대비 제2 금속 시편(2B)의 내마모성을 비교/상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 절삭유 노즐(19A)과 제2 절삭유 노즐(19B)을 통한 절삭유 공급 유량 및 유량 공급 위치도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10A: 제1 내마모성 테스터 10B: 제2 내마모성 테스터
11A: 제1 회전 구동부 11B: 제2 회전 구동부
12A: 제1 회전축 12B: 제2 회전축
13A: 제1 연마석 13B: 제2 연마석
14A: 제1 시편 홀더 14B: 제2 시편 홀더
20: 테이블 24: 상판

Claims (3)

  1. 상판을 포함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비교 대상이 되는 제1 시편과 제2 시편의 내마모성을 동일 조건에서 테스트하는, 제1 내마모성 테스터 및 제2 내마모성 테스터를 포함하는 내마모성 테스트기로서,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는,
    상기 상판의 하부면 아래에 있도록 설치되는 제1 회전 구동부 및 제2 회전 구동부와;
    상기 제1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2 회전 구동부에 의해 서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며,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동일 규격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된 제1 연마석 및 제2 연마석과;
    상기 제1 시편과 상기 제2 시편을 하단에서 지지하는 제1 시편 홀더 및 제2 시편 홀더와,
    상기 제1 시편 홀더와 상기 제2 시편 홀더에 동일 무게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1 시편 홀더 및 상기 제2 시편 홀더에 얹혀서, 상기 제1 연마석과 상기 제2 연마석에 대한 상기 제1 시편과 상기 제2 시편의 가압력을 동일하게 맞추는 제1 웨이트 및 제2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와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상기 상판 상에 배치된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편 홀더와 상기 제2 시편 홀더는, 하단에 상기 제1 시편 및 상기 제2 시편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홀더봉 및 제2 홀더봉과, 상기 제1 홀더봉 및 상기 제2 홀더봉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웨이트 및 상기 제2 웨이트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와,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보다 낮게 상기 제1 홀더봉 및 상기 제2 홀더봉에 설치된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마모성 테스터 및 상기 제2 내마모성 테스터는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가 바닥에서 걸리는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시편 홀더와 상기 제2 시편 홀더를 받쳐주는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제2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상판 상에서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 높이 조절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제2 높이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부가 상기 제1 걸림홈의 바닥에 이격되고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2 걸림홈의 바닥에 이격될 때, 상기 제1 웨이트 및 상기 제2 웨이트에 의한 무게 증가는 상기 제1 시편 및 상기 제2 시편의 상기 제1 연마석과 상기 제2 연마석에 대한 가압력으로 전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테스트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제2 높이 조절 유닛 각각은 상기 상판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 제1 수직 베이스판 및 제2 수직 베이스판과, 상기 제1 수직 베이스판 및 상기 제2 수직 베이스판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 및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의 후단에 결합된 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및 제2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스크류 블록 및 제2 스크류 블록과, 상기 제1 수직 베이스판과 상기 제2 수직 베이스판에 설치된 베어링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크류 블록 및 상기 제2 스크류 블록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받침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스크류 및 제2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테스트기.
KR1020230086833A 2023-07-05 2023-07-05 내마모성 테스트기 KR102586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833A KR102586776B1 (ko) 2023-07-05 2023-07-05 내마모성 테스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833A KR102586776B1 (ko) 2023-07-05 2023-07-05 내마모성 테스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776B1 true KR102586776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833A KR102586776B1 (ko) 2023-07-05 2023-07-05 내마모성 테스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77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4942A (ja) * 1982-09-22 1984-03-2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摩耗試験装置
JPS5957141A (ja) * 1982-09-28 1984-04-02 Ube Ind Ltd 衝撃摩耗試験装置
KR20010074371A (ko) 2000-01-25 2001-08-04 이병수 내마모성 시험기
JP2004012172A (ja) * 2002-06-04 2004-01-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摩擦試験機
KR20050029292A (ko) * 2003-09-20 2005-03-2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정밀 마찰시험기
KR20050039079A (ko) * 2003-10-23 2005-04-29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시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80079380A (ko) * 2007-02-27 2008-09-01 정경호 마모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무재질의 마모측정방법
KR20100063911A (ko) *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프레스 금형의 마모특성 측정장치
JP2010256195A (ja) * 2009-04-27 2010-11-11 Hitachi Ltd 摩擦摩耗試験機
KR20220105739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기계연구원 몰드 슬라이딩 재료 마모 시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4942A (ja) * 1982-09-22 1984-03-29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摩耗試験装置
JPS5957141A (ja) * 1982-09-28 1984-04-02 Ube Ind Ltd 衝撃摩耗試験装置
KR20010074371A (ko) 2000-01-25 2001-08-04 이병수 내마모성 시험기
JP2004012172A (ja) * 2002-06-04 2004-01-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摩擦試験機
KR20050029292A (ko) * 2003-09-20 2005-03-2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정밀 마찰시험기
KR20050039079A (ko) * 2003-10-23 2005-04-29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시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80079380A (ko) * 2007-02-27 2008-09-01 정경호 마모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무재질의 마모측정방법
KR20100063911A (ko) *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프레스 금형의 마모특성 측정장치
JP2010256195A (ja) * 2009-04-27 2010-11-11 Hitachi Ltd 摩擦摩耗試験機
KR20220105739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기계연구원 몰드 슬라이딩 재료 마모 시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5219B (zh) 用于保持测量仪器的测量架
JP6302711B2 (ja) リニアゲージ
JPH05280908A (ja) 円筒形部品の機械加工中にその部品の直径を測定する装置
KR102586776B1 (ko) 내마모성 테스트기
KR100822415B1 (ko) 압력제어 가능한 시편 연마장치
KR20160137853A (ko) 마찰계수 측정장치
JP6184332B2 (ja) 回転ドラムのアラインメント確認装置
CN111896720A (zh) 一种用于混凝土塌落度检测的装置
US4420912A (en) Apparatus for holding workpieces during honing work
KR101568502B1 (ko) 이동식 연마장치
CN212456058U (zh) 轨道沉降观测水准尺的辅助固定装置
KR20130030894A (ko) 표면재 마모도 측정 장치
US6058770A (en) Machine for measuring sizes of particles and for determining color differences in a substance
US7297097B2 (en) Lift type weight measuring centrifuge
CN219201234U (zh) 一种可多角度调节的硬度计
CN211668996U (zh) 一种马丁代尔试验机
JP2005321261A (ja) アンバランス計測装置
CN110646310B (zh) 岩石耐磨性能试验机
KR101872221B1 (ko) 워크피스를 가공하기 위한 도구
US2060958A (en) Static balancing machine
KR20090053877A (ko) 바이스
KR102543572B1 (ko) 정반 연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반 연마 방법
JP4447348B2 (ja) 計測基準装置
KR102601742B1 (ko) 밸런싱머신
CN220472493U (zh) 一种高精度的钢轨打磨量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