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615B1 -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 - Google Patents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615B1
KR102586615B1 KR1020210010251A KR20210010251A KR102586615B1 KR 102586615 B1 KR102586615 B1 KR 102586615B1 KR 1020210010251 A KR1020210010251 A KR 1020210010251A KR 20210010251 A KR20210010251 A KR 20210010251A KR 102586615 B1 KR102586615 B1 KR 10258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measuring
gate
measuremen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526A (ko
Inventor
정현태
정환종
허해민
조현규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이앤씨 filed Critical (주)포스코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1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6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의 일방에 설치되어 측정부의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게이트부와, 측정부의 측정결과에 의거해서 게이트부(2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게이트부에서 측정부의 체온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마스크 미착용자나 비정상적으로 착용한자는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게 하여 출입하게 하고, 이상 고발열 체온자나 마스크 미착용자를 일정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거나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유도용 출입게이트를 개방하여 발열여부 및 마스크여부에 따라 건물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통제하여 건물내부의 진출입을 안전하게 유지하여 고발열 전염병 확산을 예방하고 사전에 격리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WITH MEASUREMENT FOR BODY HEAT}
본 발명은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등 고발열 전염병이 전세계적 대유행으로 WHO에서는 판데믹(Pandemic)을 선언하였으며,'20년 10월말 현재 전세계적으로 4,900만명이상이 감염되고, 124만명이상이 사망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 1년이상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제나 백신이 개발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처럼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않은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마스크 쓰기, 손 자주 씻기, 손 소독 하기, 사회적 거리 두기 등의 방법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고발열 전염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가장 최선의 방법은 사전에 위험 요인을 감지하고 신속히 격리 차단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 중의 하나가 체온을 측정하여 고발열 체온자를 검출하고, 곧바로 다른 사람들과 격리 차단하는 방법이다.
접촉식 체온 측정계는 사람이 직접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때문에 체온 측정은 정확하나 사람 상호간 전염 위험이 있고, 기기의 신체 접촉으로 비위생적으로 감염자 접촉 후 사용시 전염의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메르스나 신종플루나 코로나 등의 확산경험으로 인해 전염병에 대한 주의와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전염병 유행시 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출입되는 회사나 학교, 공항에서 출입자의 체열이 측정하고 있다. 종래에는 체온계로 출입하는 사람들의 체열을 일일이 측정하였지만, 최근에는 열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체온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열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체열을 측정하더라도 출입하는 사람마다 측정되는 온도를 주시하여 수치를 확인해야 하고, 또한 허용 체열 범위를 넘어서는 출입자를 일일이 선별하여 확인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7389호 (2015년07월1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1458호 (2020년04월2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6756호 (2019년02월1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게이트부에서 측정부의 체온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마스크 미착용자나 비정상적으로 착용한자는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게 하여 출입하게 하고, 이상 고발열 체온자나 마스크 미착용자를 일정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거나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유도용 출입게이트를 개방하여 발열여부 및 마스크여부에 따라 건물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통제하여 건물내부의 진출입을 안전하게 유지하여 고발열 전염병 확산을 예방하고 사전에 격리 차단할 수 있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부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체온의 정상여부와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함으로써, 건물의 입구에서 고발열 체온자의 출입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출입을 통제하는 동시에 고발열 체온자와 정상인을 격리 조치하도록 선별 분리할 수 있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제부로서 체온측정 모니터링 수단과 체온측정 통제수단과 마스크착용 통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체온이 비정상이고 마스크의 미착용인 경우에 출입을 통제하고 비정상 출입자의 정보를 알람이나 문자로 통지하여 격리조치할 수 있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부로서 정상출입용 제1 게이트와 비정상출입용 제2 게이트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비정상 체온의 출입자와 마스크 미착용 출입자를 용이하게 선별 분리하는 동시에 이들의 역주행을 방지하여 정상인과의 접촉없이 원활한 진입 및 진출을 유도할 수 있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인식 기술과 열화상 온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안면인식 기술과 열화상 카메라 온도 측정을 통해 코로나-19 등의 고발열 전염병의 유입과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로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측정부(10); 상기 측정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게이트부(20); 및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게이트부(2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30)에 접속되어, 상기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출입을 통제하고 비정상 출입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격리조치하는 통제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제부(40)는, 체온의 정상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체온측정 모니터링 수단; 체온의 정상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부(20)의 개방여부를 통제하고 조치하는 체온측정 통제수단; 및 마스크의 착용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부(20)의 개방여부를 통제하고 조치하는 마스크착용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정부(10)는, 출입자의 체온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체온측정수단; 및 출입자의 안면에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측정하는 마스크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마스크 측정수단은, 안면인식 광학 카메라의 피사체의 안면인식 이미지 획득 시 햇빛의 역광을 해소하기 위해 블라인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체온측정수단은,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할 때는 한 지점 온도가 아니라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일정 면적의 온도를 측정해서 그 구간의 제일 높은 온도를 최종 온도로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게이트부(20)는,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게이트부(20)는,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개방되고 비정상인 경우에 폐쇄되는 제1 게이트; 및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폐쇄되고 비정상인 경우에 개방되는 제2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으로서,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마스크 착용여부와 체온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폐쇄하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비상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알림문자를 발송하는 단계; 및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대상자를 격리하고 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으로서,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마스크 착용여부와 체온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제2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비상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알림문자를 발송하는 단계; 및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대상자를 격리하고 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게이트부에서 측정부의 체온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마스크 미착용자나 비정상적으로 착용한자는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게 하여 출입하게 하고, 이상 고발열 체온자나 마스크 미착용자를 일정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거나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유도용 출입게이트를 개방하여 발열여부 및 마스크여부에 따라 건물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통제하여 건물내부의 진출입을 안전하게 유지하여 고발열 전염병 확산을 예방하고 사전에 격리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측정부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체온의 정상여부와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함으로써, 건물의 입구에서 고발열 체온자의 출입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출입을 통제하는 동시에 고발열 체온자와 정상인을 격리 조치하도록 선별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제부로서 체온측정 모니터링 수단과 체온측정 통제수단과 마스크착용 통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체온이 비정상이고 마스크의 미착용인 경우에 출입을 통제하고 비정상 출입자의 정보를 알람이나 문자로 통지하여 격리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게이트부로서 정상출입용 제1 게이트와 비정상출입용 제2 게이트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비정상 체온의 출입자와 마스크 미착용 출입자를 용이하게 선별 분리하는 동시에 이들의 역주행을 방지하여 정상인과의 접촉없이 원활한 진입 및 진출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안면인식 기술과 열화상 온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안면인식 기술과 열화상 카메라 온도 측정을 통해 코로나-19 등의 고발열 전염병의 유입과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일예의 게이트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다른예의 게이트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일예의 게이트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다른예의 게이트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는, 측정부(10), 게이트부(20), 제어부(30) 및 통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이다.
측정부(10)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출입자의 안면에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으로서, 체온측정수단(11)과 마스크 측정수단(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체온측정수단(11)은, 출입자의 체온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측정수단으로서,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로 이루어져, 출입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체온측정수단(11)은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할 때는 한 지점 온도가 아니라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일정 면적의 온도를 측정해서 그 구간의 제일 높은 온도를 최종 온도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측정수단(12)은, 출입자의 안면에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으로서,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안면 이미지로 등록된 출입자의 신원을 인식하는 판단수단으로 이루어져, 출원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마스크 착용여부를 측정하고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마스크 측정수단(12)은, 안면인식용 광학 카메라의 일방이나 둘레부위에는 피사체의 안면인식 이미지 획득시 햇빛의 역광을 해소하기 위해 블라인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게이트부(20)는, 측정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개폐수단으로서, 제1 게이트(11)로 이루어져 있거나 제1 게이트(21)와 제2 게이트(2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게이트(21)는,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게이트수단으로서,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개방하게 되고,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즉, 고열의 전염병 환자인 경우에 폐쇄하게 된다.
제2 게이트(22)는,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게이트수단으로서,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폐쇄하게 되고,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즉, 고열의 전염병 환자인 경우에 개방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게이트로서 5개, 4개, 3개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치하여 두고, 가운데 게이트는 출입구, 양쪽 사이드의 게이트는 만일의 고발열자가 게이트를 통과했을 경우 정상 체온자와 접촉을 최대한 피하기 위한 출구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30)는,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의거해서 게이트부(2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측정부(10)에서 측정된 피사체의 온도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을 결정하도록 연산하여 체온의 정상여부를 결정하여 게이트부(2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30)는, 측정부(10) 및 게이트부(20)와 연동하여 이상 고발열 체온자나 마스크 미착용자의 검출시 출입게이트가 열리지 않도록 게이트부(20)를 폐쇄하게 되거나, 마스크 미착용자나 비정상적으로 착용한자는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게 하여 출입하게 하고, 이상 고발열 체온자나 마스크 미착용자를 일정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거나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유도용 출입게이트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30)는, 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안면인식과 열화상 카메라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신원과 체온, 출입 시간 등의 데이터가 저장하고, 관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통제부(40)는, 제어부(30)에 접속되어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출입을 통제하고 비정상 출입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격리조치하는 통제수단으로서, 체온측정 모니터링 수단(41), 체온측정 통제수단(42) 및 마스크착용 통제수단(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체온측정 모니터링 수단(41)은, 체온의 정상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통제수단으로서, 피사체의 체온에 의거해서 출입을 통제하는 프로그램과, 피사체의 마스크 착용 유무를 결정하는 판단 프로그램과, 피사체가 출입하는 게이트와 연동하는 프로그램과,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와 온도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게이트부(20)와 제어부(30)를 관리하고 출입자를 통제하게 된다.
체온측정 통제수단(42)은, 체온의 정상여부에 따라 게이트부(20)의 개방여부를 통제하고 조치하는 통제수단으로서,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게이트부(20)를 개방하여 건물의 내부로 진입시키게 되고,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즉, 고열의 전염병 환자인 경우에 게이트부(20)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고열의 전염병 환자인 경우에는 의료를 위해 별도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거나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는 동시에 건물의 관리자에게 비상알람을 제공하고 알림문자를 제공하게 된다.
마스크착용 통제수단(43)은, 마스크의 착용여부에 따라 게이트부(20)의 개방여부를 통제하고 조치하는 통제수단으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에 게이트부(20)를 개방하여 건물의 내부로 진입시키게 되고, 마스크를 미착용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착용한 경우에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게 하여 출입하게 하고 마스크를 미착용한 경우에 게이트부(20)를 폐쇄하거나 별도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일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일예는, 안면인식단계(S110), 체온측정단계(S120), 정상판단단계(S130), 제1 게이트 개방단계(S140), 내부진입단계(S150), 제1 게이트 폐쇄단계(S160), 비상알람 동작단계(S170), 알림문자 발송단계(S180) 및 격리 및 조치 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이다.
안면인식단계(S110)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로서, 측정부(10)의 마스크 측정수단(12)을 사용하여 출입자의 안면에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안면인식단계(S110)에서는,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안면 이미지로 등록된 출입자의 신원을 인식하는 판단수단을 사용하여, 출원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마스크 착용여부를 측정하고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게 된다.
체온측정단계(S120)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측정부(10)의 체온측정수단(11)을 사용하여 출입자의 안부면부위에 대한 체온를 비접촉으로 측정하게 된다.
또한, 체온측정단계(S120)에서는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출입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
정상판단단계(S130)는, 마스크 착용여부와 체온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에 의해 측정부(10)에서 측정된 피사체의 온도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을 결정하도록 연산하여 체온의 정상여부을 결정하여 게이트부(2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제1 게이트 개방단계(S14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게이트부(20)를 개방하게 된다.
내부진입단계(S150)는, 제1 게이트 개방단계(S140)에서 개방된 출입게이트를 동해서 체온이 정상인 출입자를 건물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유도하여 체온이 비정상인 고열환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거나 회피하게 된다.
제1 게이트 폐쇄단계(S16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폐쇄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게이트부(20)를 폐쇄하거나 별도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게 된다.
비상알람 동작단계(S17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비상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건물의 관리자에게 비상알람을 제공하여 체온이 비정상인 고발열 체온자의 발생을 통지하게 된다.
알림문자 발송단계(S18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알림문자를 발송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건물의 관리자에게 알림문자를 발송하여 체온이 비정상인 고발열 체온자의 발생을 통지하게 된다.
격리 및 조치 단계(S19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대상자를 격리하고 조치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경고를 받은 건물의 관리자가 격리 대상자를 별도의 조치공간이나 격리공간으로 유도해서 의료진에게 정밀검사를 받거나 진료를 받도록 조치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다른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의 다른예는, 안면인식단계(S210), 체온측정단계(S220), 정상판단단계(S230), 제1 게이트 개방단계(S240), 내부진입단계(S250), 제2 게이트 개방단계(S260), 비상알람 동작단계(S270), 알림문자 발송단계(S280) 및 격리 및 조치 단계(S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이다.
안면인식단계(S210)는,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로서, 측정부(10)의 마스크 측정수단(12)을 사용하여 출입자의 안면에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또한, 안면인식단계(S210)에서는,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안면 이미지로 등록된 출입자의 신원을 인식하는 판단수단을 사용하여, 출원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마스크 착용여부를 측정하고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게 된다.
체온측정단계(S220)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측정부(10)의 체온측정수단(11)을 사용하여 출입자의 안부면부위에 대한 체온를 비접촉으로 측정하게 된다.
또한, 체온측정단계(S220)에서는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출입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
정상판단단계(S230)는, 마스크 착용여부와 체온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에 의해 측정부(10)에서 측정된 피사체의 온도를 바탕으로 출입자의 체온을 결정하도록 연산하여 체온의 정상여부을 결정하여 게이트부(2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제1 게이트 개방단계(S24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제1 게이트(21)를 개방하고 제2 게이트(22)를 폐쇄하게 된다.
내부진입단계(S250)는, 제1 게이트 개방단계(S240)에서 개방된 출입게이트를 동해서 체온이 정상인 출입자를 건물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유도하여 체온이 비정상인 고발열 체온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거나 회피하게 된다.
제1 게이트 폐쇄단계(S26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폐쇄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제1 게이트(21)를 폐쇄하고 제2 게이트(22)를 개방하여 체온이 비정상인 고발열 체온자를 별도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게 된다.
비상알람 동작단계(S27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비상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건물의 관리자에게 비상알람을 제공하여 체온이 비정상인 고발열 체온자의 발생을 통지하게 된다.
알림문자 발송단계(S28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알림문자를 발송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건물의 관리자에게 알림문자를 발송하여 체온이 비정상인 고발열 체온자의 발생을 통지하게 된다.
격리 및 조치 단계(S290)는,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대상자를 격리하고 조치하는 단계로서, 제어부(30)와 통제부(40)에서 출입자의 체온이 비정상범위에 해당한다고 경고를 받은 건물의 관리자가 격리 대상자를 별도의 조치공간이나 격리공간으로 유도해서 의료진에게 정밀검사를 받거나 진료를 받도록 조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부에서 측정부의 체온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마스크 미착용자나 비정상적으로 착용한자는 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게 하여 출입하게 하고, 이상 고발열 체온자나 마스크 미착용자를 일정의 조치공간으로 유도하거나 건물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유도용 출입게이트를 개방하여 발열여부 및 마스크여부에 따라 건물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통제하여 건물내부의 진출입을 안전하게 유지하여 고발열 전염병 확산을 예방하고 사전에 격리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측정부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체온의 정상여부와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함으로써, 건물의 입구에서 고발열 체온자의 출입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출입을 통제하는 동시에 고발열 체온자와 정상인을 격리 조치하도록 선별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제부로서 체온측정 모니터링 수단과 체온측정 통제수단과 마스크착용 통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체온이 비정상이고 마스크의 미착용인 경우에 출입을 통제하고 비정상 출입자의 정보를 알람이나 문자로 통지하여 격리조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게이트부로서 정상출입용 제1 게이트와 비정상출입용 제2 게이트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비정상 체온의 출입자와 마스크 미착용 출입자를 용이하게 선별 분리하는 동시에 이들의 역주행을 방지하여 정상인과의 접촉없이 원활한 진입 및 진출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안면인식 기술과 열화상 온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안면인식 기술과 열화상 카메라 온도 측정을 통해 코로나-19 등의 고발열 전염병의 유입과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측정부
20: 게이트부
30: 제어부
40: 통제부

Claims (10)

  1.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로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측정부(10);
    상기 측정부(10)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게이트부(20);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게이트부(20)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 및
    상기 제어부(30)에 접속되어, 상기 측정부(10)에서 측정한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출입을 통제하고 비정상 출입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격리조치하는 통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부(20)는,
    출입구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개방되고 비정상인 경우에 폐쇄되는 제1 게이트; 및
    출입구의 타방에 설치되되 상기 제1 게이트의 사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10)의 측정결과에 따라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폐쇄되고 비정상인 경우에 개방되어, 정상 체온자와 접촉을 피하기 위한 출구로 사용하도록 하는 제2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10)는,
    출입자의 체온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체온측정수단; 및
    출입자의 안면에 마스크의 착용여부를 측정하는 마스크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온측정수단은,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로 이루어져, 출입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마스크 측정수단은,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피사체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는 광학 카메라와, 안면 이미지로 등록된 출입자의 신원을 인식하는 판단수단으로 이루어져, 출원자와의 일정 거리에서 출입자의 안면부위에 대한 마스크 착용여부를 측정하고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게 되고,
    상기 통제부(40)는,
    상기 체온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의한 체온의 정상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체온측정 모니터링 수단;
    상기 체온측정수단의 측정결과에 의한 체온의 정상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부(20)의 개방여부를 통제하고 조치하는 체온측정 통제수단; 및
    상기 마스크 측정수단에 의한 마스크의 착용여부에 따라 상기 게이트부(20)의 개방여부를 통제하고 조치하는 마스크착용 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측정수단은, 안면인식 광학 카메라의 피사체의 안면인식 이미지 획득 시 햇빛의 역광을 해소하기 위해 블라인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측정수단은, 피사체의 온도를 측정할 때는 한 지점 온도가 아니라 보다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일정 면적의 온도를 측정해서 그 구간의 제일 높은 온도를 최종 온도로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를 이용해서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으로서,
    출입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단계;
    마스크 착용여부와 체온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 제1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제2 게이트를 개방하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비상알람을 동작시키는 단계;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알림문자를 발송하는 단계; 및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에 대상자를 격리하고 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측정식 출입통제방법.
KR1020210010251A 2021-01-25 2021-01-25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 KR10258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51A KR102586615B1 (ko) 2021-01-25 2021-01-25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51A KR102586615B1 (ko) 2021-01-25 2021-01-25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26A KR20220107526A (ko) 2022-08-02
KR102586615B1 true KR102586615B1 (ko) 2023-10-06

Family

ID=8284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251A KR102586615B1 (ko) 2021-01-25 2021-01-25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6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657B1 (ko) * 2015-08-24 2016-04-08 (주)금성보안 출입통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출입통제 및 방역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231B1 (ko) * 2020-03-26 2020-08-10 주식회사 동진에스앤디 얼굴 감시 및 열화상 감시를 이용한 건강 이상 감지방법, 건강 이상 감지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89B1 (ko) 2014-05-30 2015-07-17 주식회사 신영이엔티 출입 통제 및 출입 감시 통합 시스템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101946756B1 (ko) 2018-06-11 2019-02-11 주식회사 에버정보기술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이원화 출입보안 시스템
KR20200041458A (ko)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657B1 (ko) * 2015-08-24 2016-04-08 (주)금성보안 출입통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공간정보 출입통제 및 방역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231B1 (ko) * 2020-03-26 2020-08-10 주식회사 동진에스앤디 얼굴 감시 및 열화상 감시를 이용한 건강 이상 감지방법, 건강 이상 감지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26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41B1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1912390B1 (ko)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KR20200041458A (ko)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KR102135633B1 (ko)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444277B1 (ko) 얼굴 감시 및 열화상 감시를 이용한 건강 이상 감지방법, 건강 이상 감지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7111427B2 (ja) 生体情報管理装置、生体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68675B2 (ja) 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CN111369728A (zh) 基于人脸识别和体温测量的通行检测系统、方法以及终端
US20230154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ntry management system
CN111486963A (zh) 智能型测温消毒舱及检疫方法
KR102494866B1 (ko) Ict기반 감염병 자가격리자 원격 감시시스템
KR102586615B1 (ko) 체온측정식 출입통제장치 및 출입통제방법
KR102222765B1 (ko)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TWM601428U (zh) 消毒門禁管理系統
KR102285619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발열체크 시스템
US20230404408A1 (en) Mirror system and aircraft lavatory unit
Siah et al. Using infrared imaging and deep learning in fit‐checking of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s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WO2022153472A1 (ja) 入場制御装置、入場制御システム、入場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543963B1 (ko) 감염병 예방을 위한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220101223A (ko) 바이러스 및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비대면 스마트 출입 제어 시스템
KR102478398B1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산 방지용 이중 인터로킹 출입문 도어 시스템
US202300504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urate detection of febrile conditions with varying baseline temperatures
Sharm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s for Combating COVID-19
KR102457305B1 (ko) 산업재해예방시스템 및 방법
WO2022181078A1 (ja) 感染リスク対策効果度算出システム及び感染リスク対策提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