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035B1 -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035B1
KR102586035B1 KR1020200176969A KR20200176969A KR102586035B1 KR 102586035 B1 KR102586035 B1 KR 102586035B1 KR 1020200176969 A KR1020200176969 A KR 1020200176969A KR 20200176969 A KR20200176969 A KR 20200176969A KR 102586035 B1 KR102586035 B1 KR 10258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ck
rental
accident
shipp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829A (ko
Inventor
원종훈
Original Assignee
원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훈 filed Critical 원종훈
Priority to KR1020200176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으로 불가했던 화물차 임대를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해 화물차 사고 시 화주 및 차주에게 화물차 임대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랫폼화 하여 정해진 물품 조달에 따른 화주 및 차주의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기초로 식별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보험사 서버와; 상기 보험사 서버가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화물차 수리 기간에 따른 임대 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임대 관리서버와; 상기 보험사 서버에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임대 관리서버에서 산출된 임대 금액에 따른 화물차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화물차를 배차 받기 위한 화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LEASE CALCULATION PLATFORM SYSTEM THROUGH LINKAGE WITH INSURANCE COMPANY IN CASE OF TRUCK ACCIDENT}
본 발명은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으로 불가했던 화물차 임대를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해 화물차 사고 시 화주 및 차주에게 화물차 임대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랫폼화 하여 정해진 물품 조달에 따른 화주 및 차주의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일반 차량과 달리 화물차 물품 운송은 기본적으로 화물 차주들이 업무를 못할 경우 해당 화물 운송 수당을 받지 못하고 더 나아가 운송이 되지 않으면 이에 따른 페널티까지 부과되는 업계 관행으로 사고가 나더라도 화주 및 차주는 온전히 사고에 대한 고려 없이 수당뿐만 아니라 페널티까지 손해를 보고 있다.
또한,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따라 화물차 임대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사고에 의한 대체 가능한 화물차를 임대하기는 화주 및 차주로서 매우 어렵고, 현실적으로 상기 페널티를 받지 않고자 일반 차량을 임대 혹은 렌트하거나, 일반 차량을 구해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을 어기고 화물 운송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을 어기고 운송 업무를 하는 경우, 상대방 100% 과실로 사고가 발생되더라도 보험사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휴업 손실금에 대해서만 인정하고 페널티 및 기타 수리 비용에 대해서는 보장을 안 해주고 있어 현실적으로 화주 및 차주들이 사고가 나면 상기 문제점에 대한 방안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으로 불가했던 화물차 임대를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해 화물차 사고 시 화주 및 차주에게 화물차 임대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랫폼화 하여 정해진 물품 조달에 따른 화주 및 차주의 불이익을 해소하고 화물 업종에 대한 편의성 및 손해 방지에 대한 보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22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81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화물 차주들이 업무를 못할 경우 해당 화물 운송 수당을 받지 못하고 더 나아가 운송이 되지 않으면 이에 따른 페널티까지 부과되는 업계 관행 및 일반 차량을 구해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을 어기고 화물 운송 업무를 수행하는 환경을 벗어나,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으로 불가했던 화물차 임대를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해 화물차 사고 시 화주 및 차주에게 화물차 임대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랫폼화 하여 정해진 물품 조달에 따른 화주 및 차주의 불이익을 해소하고 화물 업종에 대한 편의성 및 손해 방지에 대한 보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기초로 식별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보험사 서버와; 상기 보험사 서버가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화물차 수리 기간에 따른 임대 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임대 관리서버와; 상기 보험사 서버에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임대 관리서버에서 산출된 임대 금액에 따른 화물차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화물차를 배차 받기 위한 화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화주 단말기를 통해 화주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화주를 특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화주정보 관리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화주 단말기가 재임대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화주 단말기에 배차된 화물차를 복수의 화주 단말기로 재임대 중계하기 위한 재임대 중계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재임대 중계모듈은 중계된 화주 단말기가 재임대에 따른 임대 금액 결제를 지원하고, 결제된 금액에 대해 상기 화주 단말기에 분배하여 지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산출된 임대 금액에 따라 배차된 화주 단말기가 임대 중단을 요청할 경우, 임대 기간, 현재 날짜 및 시간에 의한 잔여기간을 도출하고, 잔여기간에 따른 특가 금액을 결정하여 초기 산출된 금액에서 해당 특가 금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임대금액 산출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배차된 화물차 주행 중에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값을 수집하기 위한 사고 관리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사고 관리모듈은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으로 사고 영상 및 현재 화물차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고 관리모듈은 충격값이 수집되기 직전의 화물차 속도값 및 충격 후 화물차가 정지하는데 걸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주 단말기는 웨어러블 타입이고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생체신호 전극을 포함하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모듈 및 상기 심전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화물차 사고 발생시 화주 단말기를 통하여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응급의료 관제서버, 보험사 서버, 임대 관리서버, 119 긴급구조 요청 서버 및 112 신고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은 종래 화물 차주들이 업무를 못할 경우 해당 화물 운송 수당을 받지 못하고 더 나아가 운송이 되지 않으면 이에 따른 페널티까지 부과되는 업계 관행 및 일반 차량을 구해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을 어기고 화물 운송 업무를 수행하는 환경을 벗어나,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으로 불가했던 화물차 임대를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해 화물차 사고 시 화주 및 차주에게 화물차 임대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랫폼화 하여 정해진 물품 조달에 따른 화주 및 차주의 불이익을 해소하고 화물 업종에 대한 편의성 및 손해 방지에 대한 보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중 임대 관리서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보험사 서버, 임대 관리서버 및 화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예: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기초로 식별번호(예: 사고 접수번호 등)를 생성하기 위한 보험사 서버와, 상기 보험사 서버가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에 따른 해당 사고에 대한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를 기초로 화물차 수리 기간에 따른 임대 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임대 관리서버와, 상기 보험사 서버에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임대 관리서버에서 산출된 임대 금액에 따른 화물차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화물차를 배차 받기 위한 화주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주 단말기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보험사 서버 및 임대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예: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해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식별번호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 등), 보험사 서버가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에 따른 해당 사고에 대한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화물차 수리 기간에 따른 산출된 임대 금액 및 해당 금액에 대응되는 화물차 정보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POS(point of sales)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조사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험사 서버 및 임대 관리서버는 일종의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모바일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POS 등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주 단말기는 웨어러블 타입으로서,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생체신호 전극을 포함하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모듈 및 상기 심전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화물차 사고 발생시 화주 단말기를 통하여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응급의료 관제서버, 보험사 서버, 임대 관리서버, 119 긴급구조 요청서버 및 112 신고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버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화물차 운송 업무 중 화주 단말기는 화주의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 시 화주의 심전도에 나타나는 해당 화주의 심장의 수축에 따른 활동전류 곡선 기반의 바이오 데이터가 일반 사람의 활동전류 곡선에 벗어나는 활동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바이오 데이터로 측정이 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센싱하고, 센싱된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응급의료 관제서버, 보험사 서버, 임대 관리서버, 119 긴급구조 요청서버 및 112 신고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는 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 시 외에도 일례로, 사고 시 화재 발생이 없더라도 연기, 이산화탄소 농도 및 산소 농도에 의해 화주의 건강상태가 급성으로 맥박의 리듬이 빨라졌다가 늦어졌다가 하는 불규칙적인 상태의 바이오 데이터로 측정이 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센싱하고, 센싱된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응급의료 관제서버, 보험사 서버, 임대 관리서버, 119 긴급구조 요청서버 및 112 신고 서버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화주 단말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화주 단말기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입력 모듈
- 화주 단말기는 문자입력 방식, 터치입력 방식 및 음성입력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 방식을 통해 보험사 서버 및 임대 관리서버와 송수신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내용을 입력할 수도 있음
- 상기 입력 모듈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하고, 입력 모듈은 화주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화주 단말기로 전달할 수도 있음
-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및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
- 일례로, 화주 단말기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키,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를 위한 전원 키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특히, 보험사 서버 및 임대 관리서버 접속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인증 정보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특정 샌드 박스 선택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콘텐츠의 색상, 투명도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보험사 서버 및 임대 관리서버에 전달할 수도 있음
* 단말기 제어모듈
- 화주 단말기의 전송받고자 하는 화물차 사고 기반 임대 플랫폼의 전반적인 동작 및 화주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
-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모듈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 및 화주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측정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중 임대 관리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임대 관리서버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임대 관리서버의 주요 구성요소, 기능 및 효과>
* 화주정보 관리모듈
- 화주 단말기를 통해 화주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화주를 특정하여 관리함으로써, 화주 개인별로의 관리가 직관적이도록 할 수 있음
- 일례로, 화주 단말기로부터 화주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특정된 화주 계정을 생성하고, 특정된 화주 계정을 기반으로 배차 정보, 사고 이력 정보, 임대 사용후기, 화물차 별점, 화물차 사용 평가점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로 관리함
- 상기 특정된 화주 계정을 통해 임대 의뢰된 이력을 수신하여 해당 화주 계정에 포인트가 적립될 수도 있음
- 누적된 계정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한 화주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해당 계정의 포인트를 현금 및 모바일 쿠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적립된 포인트를 다양하게 활용도록 할 수도 있음
- 일례로, 화주 단말기가 누적된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 요청하게 되면, 화주 단말기로부터 은행계좌를 수신한 다음으로 계정 인증과정을 거쳐 현금을 해당 계정에 의해 등록된 은행계좌로 송금하고 현금 전환 대비 누적 계정 포인트를 차감할 수도 있음
- 화주 단말기가 누적된 포인트 중 일부 포인트만을 현금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특정된 계정 외 타인으로 특정되는 계정이 의뢰 계정으로 생성되어 있는 경우, 타인의 계정 포인트를 선물 받아 타인의 화주 단말기를 통해 누적된 포인트를 모바일 쿠폰이나 현금으로 전환 요청하여 특정된 계정으로 수령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음
* 재임대 중계모듈
- 화주 단말기가 재임대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화주 단말기에 배차된 화물차를 복수의 화주 단말기로 재임대 중계함으로써, 배차된 화물차 운송 업무가 중단되지 않고 연속될 수 있도록 처음 배차를 받은 화주가 개인 사정이나 건강상의 이유로 손해가 없도록 할 수 있음
- 중계된 화주 단말기가 재임대에 따른 임대 금액 결제를 지원하고, 결제된 금액에 대해 상기 화주 단말기에 분배하여 지불함으로써, 화주 단말기가 재임대에 따른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함
- 일례로, 화물 운송업에 종사하는 제3자를 운송 공급자로 등록하기 위한 운송 공급자 등록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운송 공급자 등록 단말기가 미리 설정한 화물 운송 가능 조건에 대응한 화주 단말기를 운송 공급자 등록 단말기와 중계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중계되는 운송 공급자 등록 단말기는 잘못된 운송(예: 화물의 누락, 손상 등) 및 다수의 지연배송 경력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함
- 상기 제3자에 대한 운송 요건(예: 과거 절도죄 여부, 잘못된 운송 경력 여부, 지연운송 경력 여부, 본인의 과실에 의한 교통사고 여부 등)을 기반으로 운송 공급자로 등록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가 판단될 수도 있음
- 상기 운송 공급자 등록 단말기가 미리 설정한 운송 가능 조건이란, 발송지와 도착지 사이의 운송 가능 거리, 운송 업무가 수행 가능한 시간, 운송 가능한 물품의 중량 및 크기 또는 성질(예: 고체, 액체, 분말 등) 등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음
* 임대금액 산출모듈
- 산출된 임대 금액에 따라 배차된 화주 단말기가 임대 중단을 요청할 경우, 임대 기간, 현재 날짜 및 시간에 의한 잔여기간을 도출하고, 잔여기간에 따른 특가 금액을 결정하여 초기 산출된 금액에서 해당 특가 금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산출함으로써, 운송 업무가 임대 계약된 기간보다 빨리 종료된 경우 화주 및 차주의 불필요한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도 있음
- 일례로, 잔여기간에 따른 특가 금액 및 일반 임대 금액은 화물차 1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200,000원 이고, 화물차 2.5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400,000원 이고, 화물차 3.5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400,000원 이고, 화물차 4.5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630,000원 이고, 화물차 5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630,000원 이고, 화물차 5.5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680,000원 이고, 화물차 8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680,000원 이고, 화물차 8.5톤의 경우 하루 임대 금액이 680,000원 이며, 시간 당 임대 금액은 각 화물차 톤수에 따른 하루 임대료에 대해 도출될 수도 있음
- 또한, 일례로, 화주 단말기가 임대 계약된 기간 보다 일찍 임대 중단을 요청하면, 요청된 날짜 및 시간을 특정하고, 계약된 임대 기간에 따른 특정된 때를 제외한 남은 기간에 대해 특가 금액 혹은 일반 임대 금액을 기초로 최종 중단에 따른 배상 금액을 산출하고, 해당 금액을 화주 단말기로 지불할 수도 있음
* 사고 관리모듈
- 배차된 화물차 주행 중에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값을 수집함
-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으로 사고 영상 및 현재 화물차 위치정보를 수집함
- 충격값이 수집되기 직전의 화물차 속도값 및 충격 후 화물차가 정지하는데 걸린 시간을 산출함
- 일례로, 상기 수집되는 값 및 정보는 화물차 차량에 설치된 각 종 센서, 블랙박스 및 통신장치를 통해 사고 관리모듈에 수집되며, 상기 사고영상은 화물차에 충격이 감지된 시각을 기준으로 -10초 내지 +20초에 해당하는 촬영 영상인 것으로 할 수도 있음
- 또한, 상기 수집된 값 및 정보를 토대로 미리 저장된 고장진단 항목을 바탕으로 화물차의 고장여부를 검사 가능토록 지원될 수도 있으며, 해당 검사된 데이터는 임대 관리서버 및 화주 단말기로 확인 가능토록 할 수도 있음
- 또한, 화물차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 블랙박스 및 통신장치를 통해 화물차의 주행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 가능할 수도 있으며, 해당 수집된 정보를 화주 단말기가 설정한 주기에 따라 확인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도 있음
- 또한, 상기 충격값 및 속도값은 측정되는 충격/속도에 대한 물리적인 단위로 기록되며, 미리 사고 관리모듈에 설정되어 물리적인 단위에 대응되는 값이 도출되도록 할 수도 있음
- 일례로, 물리적인 단위에 대응되는 값이란 속도의 단위가 km/s 이고, 충격량의 단위가 N/s 인 경우이며, 각 물리적인 단위값에 대응하여, 별도로 -1/0/+2/+3 등과 같이 직관적으로 속도값과 충격값에서 대해서 파악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음
- 또한, 일례로, 상기 물리적인 단위에 대응되는 값은 사전에 사고 관리모듈에 설정되며, 해당 대응되는 값은 화물차 사고에 대한 논문을 기초로 할 수도 있음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임대 관리서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임대 관리서버가 수행하는 마이닝 분석은 시계열적으로 단기 관점의 분석, 즉 실시간성 데이터 분석 개념은 물론, 관리되는 각각의 방역 데이터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데이터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닝 분석모듈이 마이닝 분석의 사전단계로써 수행되는 데이터 전처리란, 임대 관리서버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예: 사고 관리모듈에 의해 수집된 충격값 정보,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으로 수집된 사고 영상 정보,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의 화물차 위치 정보, 충격값이 수집되기 직전의 화물차 속도값 정보 및 충격 후 화물차가 정지하는데 걸린 시간 정보,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예: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해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식별번호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 등), 보험사 서버가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에 따른 해당 사고에 대한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화물차 수리 기간에 따른 산출된 임대 금액 및 해당 금액에 대응되는 화물차 정보 등)를 가공하여, 분석에 더 도움이 되는 정보를 이끌어내고,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향성 및 변화 추이 반영, 주기함수의 결합 변환을 통한 연속적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전처리 모듈이 수행하는 데이터 전처리는 임대 관리서버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예: 사고 관리모듈에 의해 수집된 충격값 정보,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으로 수집된 사고 영상 정보,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의 화물차 위치 정보, 충격값이 수집되기 직전의 화물차 속도값 정보 및 충격 후 화물차가 정지하는데 걸린 시간 정보,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예: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해당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식별번호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 등), 보험사 서버가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에 따른 해당 사고에 대한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화물차 수리 기간에 따른 산출된 임대 금액 및 해당 금액에 대응되는 화물차 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알고리즘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 변환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평활화(Smoothing), 해당 데이터를 더 작은 범위에 들어가게 하기 위해 다듬는 정규화(Normalization), 해당 데이터 값을 다른 범위나 상위 레벨의 개념으로 대체하는 이산화(Discretization)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행하여 지는 마이닝 분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처리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지역별, 온도별, 습도별, 시간별 등과 같은 환경적 요소로 분류된 화물차 사고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전처리된 데이터 및 획득된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통해 단일 분석 알고리즘인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기반으로 화물차에 따른 사고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모델 및 데이터에서 평가나 감정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관련된 주제에 대한 의견 분포를 군집화 하거나 평가 등을 수치화 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모델을 구성한 다음, 상이한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병렬로 배치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의 결합/조합 형태인 부스팅(Boosting) 기법을 활용하여, 부스티드 트리(Boosted Tree) 형태로 분석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더욱이, 단일 분석 알고리즘 중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이 반복되어 발생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복수의 단일 분석 알고리즘 형태로 분석 모델 업데이트 시 불량 단일 분석 알고리즘을 제외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닝 분석모듈에서 행하여 지는 마이닝을 살펴보면, 임대 관리서버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 중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예: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및 보험사 서버가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예: 사고 접수번호에 따른 해당 사고에 대한 화물차종, 화물차 소유주, 사고 영상, 사고 경위, 보험사에서 분석한 과실 자료 등) 등은 일반적으로 텍스트(text)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고, 단순한 텍스트 데이터는 구조화되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는 자동화된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된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형화(전처리)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텍스트에서 의미뿐만 아니라 기록화된 텍스트(text)에 대한 감정 정보를 알아내는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과정이 있고, 오피니언 마이닝은 어떠한 대상에 대해 텍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에서 평가나 감정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관련된 주제에 대한 의견 분포를 군집화 하거나 평가 등을 수치화 하여 통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이닝 분석모듈에 오피니언 마이닝을 도입하면 지역별, 온도별, 습도별, 시간별 등과 같은 환경적 요소로 분류된 화물차 사고 통계 데이터에 대한 정보, 화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 전반적인 임대 관리서버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해 어떠한 평가나 감정(예: 각각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와의 연관성 등)을 가지고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정보 데이터에 대해 평균적으로 어떠한 평가(예: 모든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와의 연관성 등)를 내리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관련된 알고리즘을 통한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전처리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지역별, 온도별, 습도별, 시간별 등과 같은 환경적 요소로 분류되어 획득된 화물차 사고 통계 데이터에 대해 어떠한 평가(예: 지역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온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습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시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등)를 가지고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통계화된 전체 데이터가 해당 분류별에 대해 어떠한 평가(예: 지역/온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습도/온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지역/온도/습도/시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등)를 내리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분류되어 통계화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마이닝 분석된 데이터에 근거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식을 이용하여 화물차에 따른 사고 패턴을 도출하고, 해당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사고 패턴 분석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사고 패턴 분석모듈은 지역/온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습도/온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지역/온도/습도/시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지역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온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습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시간에 따른 화물차 사고 연관성 등과 같은 마이닝 분석에 의해 도출된 데이터에 근거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고 관리모듈에 의해 수집된 충격값 정보,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으로 수집된 사고 영상 정보,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의 화물차 위치 정보, 충격값이 수집되기 직전의 화물차 속도값 정보 및 충격 후 화물차가 정지하는데 걸린 시간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추가로 하여 화물차에 따른 사고가 발생되는 유형 및 상황/환경에 따른 사고 패턴이 도출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사고 패턴 분석모듈은 마이닝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및 전처리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방식 중 하나인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이용하여 화물차에 따른 사고 패턴을 도출하고, 해당 패턴을 분석하는데, 머신러닝은 기본적으로 에이전트가 어떤 행위를 선택하여 얻게 되는 시행착오를 통해 주어진 환경(state)을 학습하고, 정해진 정책에 따라 행동(action)을 결정하고 실행하여 행동에 따라 얻게 되는 보상(reward)을 기초로 행동정책을 수정해가면서 학습하는 기계학습의 일종이다.
구체적으로, 경사 하강법에 대해 살펴보면 경사 하강법은 우선적으로 머신러닝 회귀 분석은 주어진 데이터가 어떤 함수로부터 생성되었는가를 알아보는 '함수 관계'를 추측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서 데이터 세트(x, y)로부터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설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설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예측 값 데이터를 얻고, 이러한 가설에 해당하는 식이 어떤 방정식인지, 계수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회귀 분석에서 방정식의 계수가 선형인 경우 선형 회귀 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이라 하고, 방정식의 계수가 여러 개이면 다중 선형 회귀 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이라 하며, 테스트 데이터는 y=x 그래프에 약간의 오차를 섞어 만든 데이터로 학습을 통해 데이터에 맞는 가중치 값(w)과 편향 값(b)을 찾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어 y = wx + b 과 같은 정의에 따라 결과값과의 오차를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통해 알맞은 함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가설을 학습할 때 그려진 선과 각 데이터의 분포의 차이를 계산하여 차이가 가장 적은 것이 이 모델에 적합한 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비용함수(Cost Function)라 하며,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실제 세운 가설과 나타내는 값이 얼마나 다른 지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용함수(오차함수)는 두 개의 매개변수(w, b) 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2차원 공간에 표현할 수 있음에 따라, 각 점에서 오차함수의 높이는 직선에 대한 오차이고, 어떤 직선들은 다른 직선들보다 더 작은 오차를 가지게 되며, 가령 텐서 플로우에서 경사 하강법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이 평면의 한 지점에서 시작하여 더 작은 오차를 갖는 직선을 찾아 이동해 나간다.
또한, 오차함수의 기울기를 계산하기 위하여 오차함수를 미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직선을 찾아가는 과정의 반복이 있을 때마다 움직일 방향을 알아가기 위해 w와 b에 대한 편미분 방정식 계산이 필요하다.
다중 회귀 분석은 단일 회귀 분석에서 쓰였던 입력 데이터 x가 2개 이상이 되고, 일례로 두 개의 변수(x1, x2)를 갖는 다중 회귀 분석의 경우 y = w1*x1 + x2*x2 + b 와 같이 정의하고 학습을 통해 데이터에 맞는 평면을 찾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단일,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데이터가 존재하면 그 데이터를 표현하는 함수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사 하강법은 cost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최적화란 여러 가지 허용되는 값들 중에서 주어진 기준을 가장 잘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고, 해당 함수의 최소값 위치를 찾기 위해 비용함수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 스텝 사이즈(Step Size)를 가지고 조금씩 움직이면서 최적의 파라미터를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간략하게는 기울기로 함수의 최소값을 찾는 방법이다.
추가적으로, 임대 관리서버는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사고 패턴 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 마이닝 분석된 데이터 및 전처리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근거한 딥 러닝(Deep Learning)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화물차에 대한 사고를 예측하고, 해당 사고 예측이 반영된 화물차에 대한 추후 임대 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사고 예측모듈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딥 러닝 방식의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면, 딥러닝 알고리즘 중 일부는 컨벌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컨벌루션 신경망 알고리즘은 하나 이상의 컨벌루션 레이어, 하나 이상의 활성 함수, 및 하나 이상의 풀링(pooling) 레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각각의 컨벌루션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컨벌루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벌루션 신경망의 구조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험사 연계를 통한 화물차 사고 기반 임대 방법은 기본적으로 사고 접수번호 등록단계, 사고 정보 및 접수번호 제출단계, 임대 금액 산출단계, 전자 계약서 생성단계, 전자 계약서 서명단계 및 화물차 배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보험사 서버가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기초로 식별번호인 사고 접수번호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사고 접수번호 등록단계와, 상기 화주 단말기가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사고에 대한 사고 접수번호를 제출하는 사고 정보 및 접수번호 제출단계와, 상기 보험사 서버가 등록한 사고 접수번호와 화주 단말기가 제출한 접수번호가 동일할 시 화물차 임대를 위한 차량 수리 기간에 따른 임대 금액을 산출하는 임대 금액 산출단계와, 상기 산출된 임대 금액과 함께 임대에 대한 전자 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계약서 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된 전자 계약서를 화주 단말기를 통해 서명하기 위한 전자 계약서 서명단계와, 상기 서명된 계약서에 따른 화물차를 배차하는 화물차 배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기초로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보험사 서버;
    상기 생성한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화물차 수리 기간에 따른 임대 금액을 산출하는 임대 관리서버; 및
    상기 보험사 서버에 화물차 사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임대 관리서버에서 산출한 임대 금액에 따른 화물차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화물차를 배차받기 위한 화주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패턴을 분석하는 전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물차 사고 통계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화물차 사고 통계 데이터에 머신러닝 방식을 적용하여 화물차에 따른 사고 패턴을 도출하며,
    상기 도출한 화물차에 따른 사고 패턴을 해당 화물차의 사고 예측에 반영하여 상기 임대 금액을 산출하는데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기를 통해 화주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화주를 특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화주정보 관리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상기 화주 단말기가 재임대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화주 단말기에 배차된 화물차를 복수의 화주 단말기로 재임대 중계하기 위한 재임대 중계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재임대 중계모듈은, 중계된 화주 단말기가 재임대에 따른 임대 금액 결제를 지원하고, 결제된 금액에 대해 상기 화주 단말기에 분배하여 지불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산출된 임대 금액에 따라 배차된 화주 단말기가 임대 중단을 요청할 경우, 임대 기간, 현재 날짜 및 시간에 의한 잔여기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한 잔여기간에 따른 특가 금액을 결정하여 초기 산출된 금액에서 해당 특가 금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산출하기 위한 임대금액 산출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대 관리서버는,
    배차된 화물차 주행 중에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값을 수집하기 위한 사고 관리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사고 관리모듈은, 상기 충격값이 수집된 시각을 기준으로 사고 영상 및 현재 화물차 위치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충격값이 수집되기 직전의 화물차 속도값 및 충격 후 화물차가 정지하는데 걸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주 단말기는,
    웨어러블 타입이고,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생체신호 전극을 포함하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모듈; 및
    상기 심전도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화물차 사고 발생시 화주 단말기를 통하여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한 화주의 바이오 데이터를 응급의료 관제서버, 보험사 서버, 임대 관리서버, 119 긴급구조 요청 서버 및 112 신고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176969A 2020-12-17 2020-12-17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KR10258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69A KR102586035B1 (ko) 2020-12-17 2020-12-17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969A KR102586035B1 (ko) 2020-12-17 2020-12-17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29A KR20220086829A (ko) 2022-06-24
KR102586035B1 true KR102586035B1 (ko) 2023-10-06

Family

ID=8221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969A KR102586035B1 (ko) 2020-12-17 2020-12-17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0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741B1 (ko) * 2015-06-11 2016-06-07 양선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제어 및 응급상황 보조장치
KR101721011B1 (ko) * 2016-06-02 2017-03-29 렌카 주식회사 보험사 연계형 렌터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01814B1 (ko) * 2020-01-03 2020-04-17 정만호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15B1 (ko) * 2011-09-05 2013-10-22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정보 접수 방법
KR101982250B1 (ko) 2017-12-28 2019-08-28 (주)와이오엘 선박화물 운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o2o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441A (ko) * 2018-10-12 2020-04-22 문석효 배달,운송에 대한 보험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200088182A (ko) 2019-01-14 2020-07-22 이근영 화물 운송 중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741B1 (ko) * 2015-06-11 2016-06-07 양선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자동차의 원격제어 및 응급상황 보조장치
KR101721011B1 (ko) * 2016-06-02 2017-03-29 렌카 주식회사 보험사 연계형 렌터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01814B1 (ko) * 2020-01-03 2020-04-17 정만호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29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2567A1 (en) Automobil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Loss Reserving and Financial Reporting
US20210042708A1 (en) Securitized and encrypted data for vehicle service concierge (sc) devices and systems that provide and predict improved operations and outcomes
US11580474B2 (en) Automated, telematics-based system with score-driven triggering and operation of automated sharing economy risk-transfer systems and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US20220005121A1 (en)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emerging trends
CN102574528B (zh) 可与车队管理系统一起使用的撞击感应
Heilig et al. From digitalization to data-driven decision making in container terminals
US114037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jury segment determination
CN110992072A (zh) 异常订单预测方法和系统
US20210312560A1 (en) Machin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elasticity analysis
Loske et al. Intelligent and efficient? An empirical analysis of human–AI collaboration for truck drivers in retail logistics
KR102445842B1 (ko) IoT 기반의 ERP 플랫폼을 이용한 생산공정 통합 관리 시스템
CN110827088A (zh) 基于大数据的用车成本预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Awaysheh et al. To err is human: Exploratory multilevel analysis of supply chain delivery delays
CN115018513A (zh) 数据巡检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Miller et al. How does electronic monitoring affect hours-of-service compliance?
KR102586035B1 (ko) 화물차 사고시 보험사 연계를 통한 임대 산출 플랫폼 시스템
Mete et al. Comparative study of predictive analysis methods to estimate bridge response
CN114971839A (zh) 适用于车辆的质押监管方法
Reiman et al. Delivery truck drivers’ work outside their cabs: ergonomic video analyses supplemented with national accident statistics
Basir et al. Modern Customs Risk Management Framework: Improvement towards Institutional Reform
Nicoletti et al. Platforms for insurance 4.0
CN108320232A (zh) 行车保险项目生成系统及方法
US20220188927A1 (en) Transportable, extendable, self-contained natural capital management facility and method of use of same to procure, assess, manage, and trade natural capital
US869434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evaluate application data
Alsobhi Fleet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business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