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951B1 -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951B1
KR102585951B1 KR1020210066703A KR20210066703A KR102585951B1 KR 102585951 B1 KR102585951 B1 KR 102585951B1 KR 1020210066703 A KR1020210066703 A KR 1020210066703A KR 20210066703 A KR20210066703 A KR 20210066703A KR 102585951 B1 KR102585951 B1 KR 10258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dental prosthesis
sterilization
unit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989A (ko
Inventor
노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클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클로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클로버
Priority to KR102021006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7Particle radiation, e.g. electron-beam, alpha or beta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면적의 살균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 공간 상에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살균부; 및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고,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완료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 공간 외측으로 반송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기 설정된 면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위에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거치부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된 이후에 상기 살균 공간에서 살균용 빛의 노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Device for sterilization of Dental prosthesis}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는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치아 보철물은 노화나 충치 등으로 부득이하게 치아의 제거하여 음식물 섭취가 불편한 경우, 인공적으로 치아의 일부 또는 모든 치아를 보충해주는 틀니, 치아가 삐뚤어져 치열이 고르지 못한 부정교합을 바로 잡아 주거나 개선하는 교정치료를 위한 교정기, 치아변색을 개선하기 위한 미백 트레이 등 치아의 건강을 위해 여러 가지 보정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치아 보철물 사용시, 치아 보철물의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해주지 않으면 잔재하는 세균들로 인해 충치를 유발시키거나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여, 치아건강을 위한 치아 보철물이 오히려 사용자의 치아뿐만 아니라 건강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치아 보철물의 세척과 보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그에 따라 여러 기능이 겸비된 세척제와 보관함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램프나 레이저를 많이 사용하는데,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살균방법은 자외선램프로부터 발산된 살균파장 253,7nm의 강력한 파장이 세균 및 바이러스의 DNA를 변성시켜 이들을 모두 사멸시키는 획기적인 살균법으로 세균류나 원생동물도 99,9%까지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8,000~10,000 시간으로 길고,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안전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전원부가 포함된 틀니보관함은 상측에 자외선램프를 하측으로 노출시켜 틀니를 보관하였을 때, 자외선램프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틀니를 살균시키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틀니보관함의 안쪽 상측과 하측에 반사경을 구비하여 자외선의 효율적인 분산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반사경의 금속 재질에 따라 적외선 반사율이 차이가 있지만 금속을 통해 반사된 자외선은 파장의 변화로 인해 자외선의 살균능력은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상측 중앙에 일자형 자외선램프를 구비하여 하측 방향으로 노출시키는데, 일자형인 자외선램프는 보편적으로 치아 배열을 따라 형성되는 U자 형태의 치아 보철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틀니보관함은 단면이 사각형의 일측이 곡선 형태로 구성되어 대체로 U자형 틀니를 보관하기 유리하지만, 틀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휴대과정에서 틀니가 금속재의 반사판에 접촉되어 부딪히면서 틀니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에 자외선램프가 노출되어 자외선램프에 틀니가 부딪히게 되면 자외선램프가 손상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틀니 보관함 뿐만 아니라 교정기 및 미백 트레이의 보관함 또한 교정기와 미백 트레이를 보관하기 용이하지만, 보관함 내부의 일면에 부딪혀 손상될 우려가 있고, 교정기 및 미백 트레이를 별도로 살균할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치과에 방문하여 소독하는 방식으로 살균하였기 때문에 매일 제때에 살균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기술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110299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틀니를 비롯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교정기, 치아 미백을 위한 미백 트레이 등 치아 보철물에 남아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하기 살균하고, 치아 보철물이 놓여지는 스탠드부에 자외선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반사 구조를 적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는,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면적의 살균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 공간 상에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살균부; 및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고,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완료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 공간 외측으로 반송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기 설정된 면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위에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거치부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된 이후에 상기 살균 공간에서 살균용 빛의 노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및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한 이상의 돌기는, 상기 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살균부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수평 길이를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수직 길이를 갖는 레그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지면 방향으로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통공된 다수개의 통풍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치아 보철물 남아있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제거하기 살균 동작을 수행하고, 치아 보철물이 놓여지는 스탠드부에 자외선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반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살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이 살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에 스탠드부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거치부의 돌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스탠브부에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b 및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보철물이 살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에 스탠드부가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는 살균부(100) 및 스탠드부(20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살균부(100)는 치아 보철물(10)을 살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면적의 살균 공간(115)을 구비하고, 살균 공간(115) 상에 살균용 빛, 즉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 살균 공간(115)은 스탠드부(115)의 베이스 부재(210)의 두께, 거치부(240)의 돌기(241)의 높이, 거치부(240) 상에 놓여지는 치아 보철물의 사이즈를 통합적으로 반영하여 수평 길이와 수직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스탠드부(200)는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지고, 사용자 또는 치과 관계자 등의 외력에 의해 살균부(100)의 살균 공간(115) 내측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완료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살균 공간(115) 외측으로 반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공간(115)은 스탠드부(20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이지만, 살균 공간(115) 내에 스탠드부(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스탠드부(200)의 차단부재(220)에 의해 일면이 차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살균부(100)는, 바디부(111), 레그부(112), 광원부(140), 전원부(120), 통풍구(130) 및 LED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디부(111)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수평 길이를 갖는다. 레그부(112)는 바디부(111)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수직 길이를 갖는다. 이때, 레그부(112)는 지면과 접촉되는 바닥면에 지면과 마찰되어 살균부(100)가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스티커 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바디부(111)와 레그부(1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 형태의 몸체(110)로 형성될 수 있고, 바디부(111)와 레그부(112)가 분리되어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부(111)의 수평 길이와 레그부(112)의 수직 길이를 이용해 살균부(100)는 살균 공간(115)을 형성하고, 레그부(112) 사이로 스탠드부(200)가 이송 또는 반송된다.
광원부(140)는 바디부(111)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램프가 설치되고, 지면 방향으로 살균용 빛을 조사한다. 자외선램프는 250~275nm의 자외선이 갖는 살균 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자외선의 파장 및 조사량(방사 강도×조사 시간)에 관계되며, 균의 생존율은 조사량에 대해 거의 지수 관계수적으로 감소하고, 균종에 따라서 거의 동일하며, 치아 보철물의 표면 살균에 이용된다.
전원부(120)는 바디부(111)의 상부면에 설치된 전원버튼과 연결되어 전원 버튼에 따라 광원부(140)에 전원 공급을 결정한다. LED들은 바디부(111)의 일측면이나 상부면에 전원 버튼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광원부(1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바디부(111)의 상부면은 터치 패널로 구현되거나, 다수의 동작버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1)의 내부에는 살균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되어, 제어부는 터치 패널이나 동작 버튼과 연동하여 전원부(120)의 동작에 따라 광원부(140) 및 LED들을 제어하고,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경과되면 광원부(140)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수개의 통풍구(130)는 외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바디부(11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통공되어 있다. 이러한 통풍구(130)는 외부에서 찬공기가 유입되어 바디부(111)를 경유하여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바디부(111)의 하부면에 설치된 광원부(140)에서 발생된 열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통신모듈(미도시)을 내장할 수 있고, 통신 모듈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나 치아 보철물(10)을 관리하는 치과의 제어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이나 제어 단말에 치아 보철물의 살균 시작/완료 상태, 살균 횟수, 치아 보철물의 사용 기간 등을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및 제어 단말은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및 기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살균부(100)는 바디부(111), 레그부(112), 광원부(140), 전원부(120), LED들 외에도, 살균 시작/완료 상태, 비정상 상황(전원 공급 중지, 살균 동작 중 스탠드부의 강제 반송 등)을 알려주는 경고음 발생수단, 살균시간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수단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거치부의 돌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스탠드부에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탠드부(200)는 베이스 부재(210), 거치부(240), 손잡이(230), 차단부재(22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베이스 부재(210)는 기 설정된 면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데,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210)는 살균 공간(115)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살균 공간보다 적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거치부(240)는 100mm×130nm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살균 공간의 수평 길이는 130mm 이상이 될 수 있다.
거치부(240)는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41)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41) 위에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지게 된다. 이때, 거치부(240)의 돌기(241)는 상부로 갈수록 경사면이 좁아지는 경사면(241a)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241)의 상부는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져 파손되지 않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거나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 및 거치부(240)는 반사 재질로 형성된다.
거치부(240)는 치아 보철물(10)이 올려진 후에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이격 거리(d1)를 갖도록 돌기(241)는 지면에 대해 일정 범위(5 mm ~ 20 mm)의 수직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치아 보철물(10)이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과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살균용 빛이 돌기(241)의 경사면(241a)이나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서 반사되어 치아 보철물(10)에 조사되도록 하여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원뿔 형태로 형성된 돌기(241)는 하부에 오목 홈(241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오목 홈(241b)은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지면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살균용 빛이 오목 홈(241b)에 의해 굴절되어 상방, 즉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살균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230)는 베이스 부재(2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 또는 치과 관계자에 의해 파지되어 살균부(100)의 살균 공간(115)으로 이송 또는 반송될 수 있도록 한다.
차단부재(220)는 거치부(240)와 손잡이(230) 사이에 형성되어, 스탠드부(200)가 살균 공간(115) 내측에 수용된 이후에 살균 공간(115)에서 살균용 빛(자외선)의 노출을 차단하고, 거치부(240)가 살균 공간(115)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부재(220)는 살균 공간(115)의 횡단면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투명필름 또는 반투명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차단부재(220)는 자외선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면서, 치아 보철물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을 최소화하고, 외부에서 자외선램프의 동작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9b 및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거치부(240)의 돌기 형태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거치부(240)의 돌기(241)가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원뿔의 상부면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거치부(240)의 돌기(241)가 사각뿔(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형성되고, 사각뿔(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상부면이 모따기 가공으로 평면 형태로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거치부(24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41)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구강 구조인 하악과 상악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돌기(241)는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와 '∪' 형태로만 돌출 형성되어 틀니 등의 치아 보철물이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40)와 손잡이(230)의 사이에는 차단부재(220)가 끼워지는 끼움홈(220a)이 형성된다. 차단부재(220)는 끼움홈(220a)에 끼워져 자외선 차단 역할을 수행하지만, 사용자는 차단부재(220)의 세척이나 파손시 끼움홈(220a)에서 차단부재(220)를 꺼내어 세척이나 교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a)와, 거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b)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거치부(240)의 돌기 형태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거치부(240)의 돌기(241)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각 돌기(241)의 하부에는 적어도 일면에 복수 개의 반사홈(242)을 형성하여 반사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반사홈(242)은 일자('ㅣ')형태나 직각('┘')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살균용 빛이 반사되어 상방, 즉 치아 보철물이 놓여진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반사홈(242)은 'U'자 형태로 될 수 있다.
거치부(240)의 돌기(241)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이, 원뿔, 사각뿔,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 외에도 원기둥, 삼각기둥, 육각 기둥 등의 각기둥이나 깍뿔, 원뿔 등의 다양한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살균부
111 : 바디부
112 : 레그부
120 : 전원부
130 : 통풍구
140 : 광원부
200 : 스탠드부
210 : 베이스 부재
220 : 차단부재
230 : 손잡이
240 : 거치부

Claims (5)

  1. 치아 보철물을 살균하기 위해 기 설정된 면적의 살균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 공간 상에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살균부; 및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지고,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부의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되며, 기 설정된 살균 시간이 완료된 이후에 외력에 의해 상기 살균 공간 외측으로 반송되는 스탠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는,
    기 설정된 면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 위에 상기 치아 보철물을 올리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손잡이; 및
    상기 거치부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살균 공간 내측에 수용된 이후에 상기 살균 공간에서 살균용 빛의 노출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상부는 치아 보철물이 올려져 파손되지 않도록 라운드 또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후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과 상기 치아 보철물이 접촉되지 않고 기 설정된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돌기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지면에 대해 기 설정된 범위의 수직길이를 갖고,
    상기 돌기는 하부에 오목홈을 포함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지면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살균용 빛이 자신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치아 보철물이 올려진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 및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반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 설정된 수평 길이를 갖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수직 길이를 갖는 레그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지면 방향으로 살균용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 전원 공급을 결정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통공된 다수개의 통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KR1020210066703A 2021-05-25 2021-05-25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KR10258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03A KR102585951B1 (ko) 2021-05-25 2021-05-25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03A KR102585951B1 (ko) 2021-05-25 2021-05-25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89A KR20220158989A (ko) 2022-12-02
KR102585951B1 true KR102585951B1 (ko) 2023-10-11

Family

ID=8441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703A KR102585951B1 (ko) 2021-05-25 2021-05-25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658Y1 (ko)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지피코 진공포장기구를 구비한 치과용 자외선 살균기
KR101102993B1 (ko) *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516185B1 (ko) *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5473B2 (ja) * 2011-01-31 2014-09-1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用紫外線照射装置
KR20170015583A (ko) * 2015-07-29 2017-02-09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을 이용한 기자재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658Y1 (ko) 2006-09-29 2006-12-13 주식회사 지피코 진공포장기구를 구비한 치과용 자외선 살균기
KR101102993B1 (ko) *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516185B1 (ko) *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89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5478B2 (ja) 殺菌装置
US9974630B2 (en) Laser orthodontic devices
US9623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e decontamination
BR112020016812B1 (pt) Dispositivo de mão portátil para a desinfecção de uma superfície ou do ar em torno de uma superfície
US20130004367A1 (en) Sani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70274879A1 (en) Uv sterilizer
JP7325839B2 (ja) 紫外線屈曲型殺菌機
KR20150028162A (ko)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KR20110099351A (ko) 젖병 살균기
CN111514333A (zh) 出入口消毒装置
US20160175467A1 (en) Heating apparatus with a disinfection device
EP1849497A1 (en) Tanning apparatus
ES2869893T3 (es) Espejos de tocador desinfectantes sin riesgos
KR102585951B1 (ko) 치아 보철물의 살균 장치
KR102404234B1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JP2021104302A (ja) 口腔内光照射装置
JP4448071B2 (ja) 無影灯
CN216394804U (zh) 紫外线杀菌装置
TWI728785B (zh) 牙刷滅菌盒
JP2022082987A (ja) 殺菌装置
JP2000107263A (ja) 紫外線殺菌装置
CN212593162U (zh) 出入口消毒装置
CN215900453U (zh) 灭菌或消毒系统
KR20140140385A (ko) 치과용 유니트 살균기
JP2022146003A (ja) 紫外線照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