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908B1 - 유아 두상 측정 자 - Google Patents

유아 두상 측정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908B1
KR102585908B1 KR1020230096763A KR20230096763A KR102585908B1 KR 102585908 B1 KR102585908 B1 KR 102585908B1 KR 1020230096763 A KR1020230096763 A KR 1020230096763A KR 20230096763 A KR20230096763 A KR 20230096763A KR 102585908 B1 KR102585908 B1 KR 102585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body
measurement
head
p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3009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자 눈금이 새겨진 메인 측정 미터부(120);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 두상 측정 자{Infant head shape measurement metere}
본 발명은 유아 두상 측정 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머리(10) 둘레부에서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와 같이 유아 머리(10)의 교차되는 둘레부 길이 부분을 측정하고, 교차되는 둘레부의 길이 부분의 차이값을 통해 변형이 얼마나 심한지 구하는 유아 두상 측정 자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주기적으로 머리 둘레를 측정하고 성장곡선에 체크를 해주어야 하는데, 유아의 두상에 있어서 사두증과 같은 변형이 있는 경우에 조기발견을 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와 같이, LT와 RT의 차이는 비대칭 차이로서, LT-RT 값인 비대칭 차이 값이 정상 범위인 5mm를 초과하면 사두증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이유로 주기적으로 유아의 두상 변형을 측정하여 사두증을 조기 발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머리둘레를 측정할 때에는 줄자를 머리에 둘러 재고 있는데, 이때 줄자가 머리에 수평하게 안착하지 않아 실제 머리둘레보다 크게 측정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명의 머리둘레를 빠르게 측정해야하는 병원에서는 줄자를 머리에 두르고 줄자에 적힌 치수를 확인하는 것이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6613호(2018년09월03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8678호(2020년09월21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889240호(2009년03월10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980804호(2019년05월15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 두상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와 같이 유아 머리(10)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길이 부분을 측정하고, 유아 머리(10)의 교차되는 둘레부의 길이 차이값을 통해 변형이 얼마나 심한지를 구하는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 눈금이 새겨진 메인 측정 미터부(120);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두상 측정 자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는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터치 측정 기준편(130)은 양쪽 측면으로 관통된 슬라이드 슬릿(136)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슬릿(136)이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의 내측단과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의 내측단을 유아의 머리 둘레부에 접촉시켜서 한 쌍의 상기 터치 측정 기준편(130)이 가리키는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의 눈금을 확인하여 유아 머리(10)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 길이 부분을 측정하고, 유아 머리(10)의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의 길이 차이값을 확인하여 유아의 두상 변형을 판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아 두상 측정 자는 머리둘레를 측정할 때에 줄자를 머리에 둘러 재는 것이 아니라 메인 측정 미터부에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을 유아의 머리 둘레부에 대준 상태에서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를 측정하며, 이러한 길이 D1과 D2 길이의 편차를 확인하여 유아의 두상 판정, 다시 말해, D1과 도 D2의 측정 값의 차이값인 비대칭 차이값을 보고 사두증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실제 머리둘레보다 크게 측정되거나 적게 측정되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다수명의 머리둘레를 빠르게 측정해야하는 병원에서는 줄자를 머리에 두르고 줄자에 적힌 치수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경우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아 두상의 사두증 판정 기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전후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우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 및 주요부인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와 메인 서버 등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우 거리와 전후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 및 주요부인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와 메인 서버 등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와 터치 측정 기준편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와 터치 측정 기준편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전후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우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 및 주요부인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와 메인 서버 등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를 이용하여 유아 머리의 좌우 거리와 전후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 및 주요부인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와 메인 서버 등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아 두상 측정 자관한 것으로서, 자 눈금이 새겨진 메인 측정 미터부(120);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는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상기 터치 측정 기준편(130)은 일정한 길이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은 양쪽 측면으로 관통된 슬라이드 슬릿(136)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슬릿(136)이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와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은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의 내측단과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의 내측단을 유아의 머리 둘레부에 접촉시켜서 한 쌍의 상기 터치 측정 기준편(130)이 가리키는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의 눈금을 확인하여 유아 머리(10)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 길이 부분을 측정하고, 유아 머리(10)의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의 길이 차이값을 확인하여 유아의 두상 변형을 판정하게 된다.
유아 머리(10)에서 측정 위치는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이다. 본 발명에서 유아 머리(10)의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의 길이라 함은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를 의미한다.
상기 길이 D1과 D2 길이의 편차인 비대창 차이값을 확인하여 유아의 두상 판정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비대칭 차이 값이 정상 범위인 5mm를 초과하면 사두증으로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아 두상 측정 자는 머리둘레를 측정할 때에 줄자를 머리에 둘러 재는 것이 아니라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을 유아의 머리 둘레부에 대준 상태에서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를 측정하며, 이러한 길이 D1과 D2 길이의 편차를 확인하여 유아의 두상 판정, 다시 말해, D1과 도 D2의 측정 값의 차이값인 비대칭 차이값을 보고 사두증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실제 머리둘레보다 크게 측정되거나 적게 측정되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다수명의 머리둘레를 빠르게 측정해야하는 병원에서는 줄자를 머리에 두르고 줄자에 적힌 치수를 확인하는 것과 같은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경우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두증의 경우 [두상 양옆 길이(ML)/두상 앞뒤 길이(AP)]*100의 값을 구하여 수치화하도록 구성되며, 단두증의 경우도 신속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단두증의 경우, 유아 머리(10)의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의 길이라 함은 두상 양옆 길이(ML)와 두상 앞뒤 길이(AP)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는 유무선 통신망(146)을 통해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에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고, 유아 머리(10)에서 측정 위치는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이고, 상기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는 단두증의 경우 [두상 양옆 길이(ML)/두상 앞뒤 길이 (AP)]*100의 값을 구하여 수치화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와 상기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는 메인 서버(154)에 의해 네트워크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두증을 판정할 경우에는 두상 양옆 길이(ML)/두상 앞뒤 길이(AP)]*100의 값을 구하여 수치화하여 기준 편차값 이내에 상기 수치화 값이 들어가면 단두증으로 판정하고 기준 편차값을 넘어가는 범위에 상기 수치화 값이 들어가면 단두증이 아닌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상기 터치 측정 기준편(130)은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과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이고,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에 구비된 거리 측정 센서(142); 상기 제1미터 터치편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거리 측정값 송신부(144); 상기 거리 측정값 송신부(144)에 유무선 통신망(146)을 매개로 연결된 거리 측정값 수신부(148); 상기 거리 측정값 수신부(1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 상기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거리 측정값 수신부(148)에서 수신한 거리 측정값에 따라 측정 대상 유아의 두상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52); 상기 거리 측정값 수신부(148)와 상기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에 유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연결된 메인 서버(1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는 라이다 센서와 같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
유아 머리(10)에서 측정 위치는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인데,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의 내측단과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의 내측단을 유아 머리(10)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 방향을 재기 위한 위한 유아 머리(10)의 둘레부에 대주면,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에 구비된 거리 측정 센서(142)의 센싱광이 상기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에 접촉되어 상기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1)를 측정하고,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의 내측단과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의 내측단을 유아 머리(10)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 방향을 재기 위한 위한 유아 머리(10)의 둘레부에 대주면,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에 구비된 거리 측정 센서(142)의 센싱광이 상기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에 접촉되어 상기 우측 30도 대각선 길어(D2)를 측정하고, 상기 D1 거리와 D2 거리의 편차를 상기 거리 측정값 송신부(144)와 거리 측정값 수신부(148)와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 및 메인 서버(154)의 연계 작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2)에 표시하여 유아 두상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서버(154)에서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52)를 통해 상기 D1 거리와 D2 거리의 편차를 수치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아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좌측 30도 대각선 길이(D1)와 우측 30도 대각선 길이(D2)를 자동화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측정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유아 두상의 측정시 작업이 순조롭고 신속하며 정확도도 확실히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단두증의 경우 유아 머리(10)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유아 머리(10)의 양옆 길이(ML)를 재도록 유아 머리(10)의 좌우 양쪽 둘레부에 각각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의 내측단과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의 내측단을 대주면,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에 구비된 거리 측정 센서(142)의 센싱광이 상기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에 접촉되어 유아 머리(10)의 양옆 길이(ML)를 측정하고,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의 내측단과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의 내측단을 유아 머리(10)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유아 머리(10)의 앞뒤 길이(AP)를 재도록 유아 머리(10)의 전후 둘레부에 각각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의 내측단과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의 내측단을 대주면, 상기 제1터치 측정 기준편(132)에 구비된 거리 측정 센서(142)의 센싱광이 상기 제2터치 측정 기준편(134)에 접촉되어 유아 머리(10)의 전후 길이(AP)를 측정하고,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는 [두상 양옆 길이(ML)/두상 앞뒤 길이 (AP)]*100의 값을 구하여 수치화함으로써, 상기 거리 ML과 AP 거리의 편차를 상기 거리 측정값 송신부(144)와 거리 측정값 수신부(148)와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 및 메인 서버(154)의 연계 작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52)에 표시하여 유아 두상의 단두증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서버(154)에서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15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52)를 통해 [두상 양옆 길이(ML)/두상 앞뒤 길이 (AP)]*100의 값을 구하여 수치화한 판정 값을 수치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두증의 경우 유아 두상의 Mid Sagittal 기준으로 유아 머리(10)의 양옆 길이(ML)와 전후 길이(ML)를 자동화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측정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유아 두상의 단두증 측정 작업시에도 순조롭고 신속하며 정확도도 확실히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의 서포트 미터 바디부와 측정 미터 바디부의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와 터치 측정 기준편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 두상 측정 자의 주요부인 메인 측정 미터부와 터치 측정 기준편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는, 기역자 형상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를 구비한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한 쌍의 상기 결합 지지부(123)에 걸려지는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을 구비하며 상면에는 측정용 수치 표시 눈금이 구비된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지지부(123)는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구비된다. 결합 지지부(123)는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연결되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상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 결합편(123A)과, 상기 연결 결합편(123A)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상면과 나란한 결합 지지편(123B)으로 구성되어, 결합 지지부(123)가 기역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기역자 형상의 결합 지지부(123)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상면 사이에 인서트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결합 돌편(125)은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쪽 단부에서 인서트 공간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만나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밀어 넣으면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삽입된다.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이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위쪽으로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메인 측정 미터부(120)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와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수치 측정용 눈금이 마모되는 것과 같은 소손이 발생한 경우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만 갈아 끼워주면 되므로, 사용 수명을 늘리고 비용 절감 등의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 쌍의 상기 결합 지지부(123)의 안쪽면에 구비된 한 쌍의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한 쌍의 상기 결합 지지부(123)에 구비된 결합 록킹홈(16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는 브이자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끝단에는 각각 하나씩 연결편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편이 접착제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 지지부(123)의 연결 결합편(123A)의 안쪽면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는 스프링강과 같이 자체 탄성력이 있는 탄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는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 내부의 복수 개소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가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 내부의 두 개 위치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위에서 볼 때에 전후 좌우 네 군데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 록킹홈(164)은 브이자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결합 록킹홈(164)은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의 복수 개소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결합 록킹홈(164)이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의 두 개 위치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결합 록킹홈(164)이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위에서 볼 때에 전후 좌우 네 군데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쪽 단부에서 인서트 공간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만나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밀어 넣으면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삽입되고,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이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위쪽으로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동시에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에 구비된 결합 록킹홈(164)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쐐기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위쪽으로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동시에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구비된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고정되도록 잡아주고 있게 되면서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길이 방향으로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인출되어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와 측정 미터 바디부(124) 사이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서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인출하여 빼내고자 하면,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서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당겨주면, 상기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에서 결합 록킹홈(164)이 빠지게 되므로, 원하는 경우에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서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인출하여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측정 미터 바디부(124)만을 교체 설치하는 과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내부에 구비된 록킹 지지 볼하우징(172); 상기 록킹 지지 볼하우징(172)의 내부에 구비된 록킹 지지볼(174); 상기 록킹 지지 볼하우징(17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 지지볼(174)의 일부를 상기 록킹 지지 볼하우징(172)의 선단부쪽 볼출몰홀로 탄성적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록킹 지지볼(174)의 일부가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록킹 지지 탄성체(176);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 지지볼(174)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록킹 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록킹 지지 볼하우징(172)과 록킹 지지볼(174)과 록킹 지지 탄성체(176)는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복수 개소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네 군데 위치에 록킹 지지 볼하우징(172)과 록킹 지지볼(174)과 록킹 지지 탄성체(17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록킹 지지홈도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저면에 복수 개소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저면의 네 군데 위치에 록킹 지지홈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쪽 단부에서 인서트 공간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만나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저면에 의해 상기 록킹 지지볼(174)이 눌려지고 상기 록킹 지지 탄성체(176)도 눌려져서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다가 상기 록킹 지지홈이 록킹 지지볼(174)과 위아래에서 만나게 되면, 상기 록킹 지지 탄성체(176)가 눌려 있다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록킹 지지볼(174)의 일부가 상기 록킹 지지홈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구비된 록킹 지지볼(174)이 측정 미터 바디부(124)에 구비된 록킹 지지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 지지볼(174)이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고정되도록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서 의도적으로 힘을 주어서 인출하려 하지 않는 이상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0. 메인 측정 미터부 122. 서포트 미터 바디부
123. 결합 지지부 123A. 연결 결합편
123B. 결합 지지편 124. 측정 미터 바디부
125. 결합 돌편 130. 터치 측정 기준편
132. 제1터치 측정 기준편 134. 제2터치 측정 기준편
136. 슬라이드 슬릿 142. 거리 측정 센서
144. 거리 측정값 송신부 146. 유뮤선 통신망
148. 거리 측정값 수신부 150. 유아 두상 판정 수치화 장치
152. 디스플레이 장치 154. 메인 서버
162. 탄성 결합 록킹부재 164. 결합 록킹홈
172. 록킹 지지 볼하우징 174. 록킹 지지볼
176. 록킹 지지 탄성체

Claims (3)

  1. 자 눈금이 새겨진 메인 측정 미터부(120);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는 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터치 측정 기준편(130)은 양쪽 측면으로 관통된 슬라이드 슬릿(136)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슬릿(136)이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의 내측단과 한 쌍의 터치 측정 기준편(130)의 내측단을 유아의 머리 둘레부에 접촉시켜서 한 쌍의 상기 터치 측정 기준편(130)이 가리키는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의 눈금을 확인하여 유아 머리(10)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 길이 부분을 측정하고, 유아 머리(10)의 둘레부에서 교차되는 둘레부의 길이 차이값을 확인하여 유아의 두상 변형을 판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측정 미터부(120)는, 기역자 형상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를 구비한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한 쌍의 상기 결합 지지부(123)에 걸려지는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을 구비하며 상면에는 측정용 수치 표시 눈금이 구비된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쪽 단부에서 인서트 공간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만나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밀어 넣으면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삽입되고,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이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위쪽으로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 쌍의 상기 결합 지지부(123)의 안쪽면에 구비된 한 쌍의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의 한 쌍의 상기 결합 지지부(123)에 구비된 결합 록킹홈(16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한쪽 단부에서 인서트 공간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만나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를 밀어 넣으면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삽입되고,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 내부의 인서트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 돌편(125)이 한 쌍의 결합 지지부(123)에 걸려지게 되므로,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의 위쪽으로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되고, 동시에 상기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에 상기 측정 미터 바디부(124)에 구비된 결합 록킹홈(164)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결합 록킹부재(162)가 서포트 미터 바디부(122)에 측정 미터 바디부(124)가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쐐기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두상 측정 자.
  2. 삭제
  3. 삭제
KR1020230096763A 2023-07-25 2023-07-25 유아 두상 측정 자 KR102585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763A KR102585908B1 (ko) 2023-07-25 2023-07-25 유아 두상 측정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763A KR102585908B1 (ko) 2023-07-25 2023-07-25 유아 두상 측정 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908B1 true KR102585908B1 (ko) 2023-10-06

Family

ID=8829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763A KR102585908B1 (ko) 2023-07-25 2023-07-25 유아 두상 측정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9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40B1 (ko) 2008-02-28 2009-03-16 (주)지오크리에이티브 맞춤형 두상 교정모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10007A1 (en) * 2014-10-22 2017-04-20 Mitutoyo Corporation Battery-less data transmission module accessory for portable and handheld metrology devices
KR101896613B1 (ko) 2015-08-18 2018-10-18 최유정 머리둘레 측정장치
KR101980804B1 (ko) 2017-02-14 2019-05-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개인 맞춤형 최적 두상 구현 시스템
KR20200108678A (ko) 2019-03-11 2020-09-21 주식회사 시안 비전기술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ai 두상 측정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40B1 (ko) 2008-02-28 2009-03-16 (주)지오크리에이티브 맞춤형 두상 교정모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10007A1 (en) * 2014-10-22 2017-04-20 Mitutoyo Corporation Battery-less data transmission module accessory for portable and handheld metrology devices
KR101896613B1 (ko) 2015-08-18 2018-10-18 최유정 머리둘레 측정장치
KR101980804B1 (ko) 2017-02-14 2019-05-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개인 맞춤형 최적 두상 구현 시스템
KR20200108678A (ko) 2019-03-11 2020-09-21 주식회사 시안 비전기술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ai 두상 측정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9026B2 (en) Targeted artifacts and methods for evaluating 3-D coordinate system measurement accuracy of optical 3-D measuring systems using such targeted artifacts
CN102494595A (zh) 同轴度检测装置
JP3474511B2 (ja) 幾何要素測定装置及び方法
CN103776396A (zh) 平面度检测装置
KR102585908B1 (ko) 유아 두상 측정 자
JP4323267B2 (ja)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形状解析装置、形状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408657B2 (en) Spacer to keep a distance between a bar-shaped inner conductor and an outer conductor of a filling level measuring probe
KR200207112Y1 (ko) 휴대용 감리 수평수직 검측 자
CN101476854A (zh) 一种链板孔垂直度检测量规
JP2005221320A (ja) 測定ヘッド及びプローブ
CN109341481A (zh) 一种花键轴叉相位专用检具
KR20140114513A (ko) 사진 계측 장치 및 방법
KR101961992B1 (ko) 구조물 직경 측정 장치 및 그의 구조물 직경 측정 방법
KR101654469B1 (ko) 마이크로미터
CN110411500B (zh) 恒温恒湿试验箱校准用传感器布置装置及布置方法
CN114623793B (zh) 一种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05483360U (zh) 一种推拉力计
CN212482356U (zh) 一种内沟槽检具
CN108895941B (zh) 内挡块类零件测量方法及其测量装置
CN216845985U (zh) 一种床垫尺寸测量装置
CN208505197U (zh) 测孔装置
CN212844071U (zh) 温度测量设备
CN216159883U (zh) 一种测量工具
CN211060800U (zh) 一种检测机构
CN212871150U (zh) 车用空调压缩机支架的检测量具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