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588B1 -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588B1
KR102585588B1 KR1020220110583A KR20220110583A KR102585588B1 KR 102585588 B1 KR102585588 B1 KR 102585588B1 KR 1020220110583 A KR1020220110583 A KR 1020220110583A KR 20220110583 A KR20220110583 A KR 20220110583A KR 102585588 B1 KR102585588 B1 KR 10258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sulation
curtain wall
window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박명규
안상민
최소라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한국환경건축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한국환경건축연구원 filed Critical 사단법인한국환경건축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1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커튼월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다중 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어 다중 창을 고정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고정하는 볼트의 기밀을 유지하는 단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Curtain wall window frame for preventing condensation}
본 발명은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열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은 건물의 외기와 접하는 부분에 지지 구조물에 고정되고, 수평 및 수직 프로파일로 구성된 금속제 프레임과 유리 부재, 고정 및 개방 가능한 부위를 포함하는 건물 외피를 의미한다.
등록특허 10-2209026호(2021년 1월 22일 등록, 커튼월 창호 프레임)에는 T자형 촉단열재, 아존단열재 등의 단열재를 프레임 내에 삽입 설치하여 단열성을 높이는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분할된 프레임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조립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프레임에 통공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통공부에 대한 단열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열 성능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을 위해 이중의 창을 사용하고, 이중의 창 사이에도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이중의 창 사이에 대한 단열 요소가 제한적이어서 단열 효과 증가를 위하여 보다 개선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개선 요구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통공에 대한 단열 대책을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중 창의 사이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튼월 창호 프레임은, 커튼월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다중 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어 다중 창을 고정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고정하는 볼트의 기밀을 유지하는 단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단열가이드가 안착 및 고정되는 안착면과,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단열가이드는, 상기 제2프레임에 끼움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헤드부와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가이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단열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체결프레임과, 상기 체결프레임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다중 개폐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개폐부는, 제1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개폐창의 일단을 고정하는 가동프레임과, 양단이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프레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동작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다중 창 또는 다중 개폐창은,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창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창 사이에 위치하는 갭단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갭단열부는, 실링에 의해 창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단열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창 사이에 충진되는 마감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조립할 때 발생하는 통공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방지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창 사이의 단열을 보강하여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일실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단열 가이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갭단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프레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커튼월 창호 프레임은, 커튼월 프레임(1)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10)과, 상기 제1프레임(10)에 제2볼트(62)에 의해 결합되는 단열 가이드(20)와, 단열 가이드(20)를 관통하는 제1볼트(61)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30)과, 상기 단열 가이드(20)의 측면측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창(40)과, 한 쌍의 상기 창(40) 사이에 위치하여 창(40) 사이를 단열하는 갭단열부(50)와, 상기 창(40)과 제1프레임(10) 및 제2프레임(30)의 사이 공간의 기밀을 유지함과 아울러 단열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3단열재(63, 64, 65)와, 상기 제2프레임(30)과 제1프레임(10)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4단열재(66) 및 제5단열재(67)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70은 마감재이다.
도 1에서 예시한 본 발명의 구조는 일측으로만 창(40)이 결합된 창호의 예이며, 양측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창(4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감부(70)는 제거되며 도 1에 도시한 창(40)과 대칭 구조로 창(40) 및 창(40) 사이에 위치하는 갭단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창(40)이 대칭형으로 결합된 예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프레임(10)은 커튼월 프레임(1)의 일부를 수용하여 결합되어, 창(40)을 커튼월 프레임(1)에 창(4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제1프레임(10)은 상기 단열 가이드(20)의 일단 둘레측이 안착되는 안착면(12)을 가지고 있으며, 안착면(12)에 비하여 커튼월 프레임(1)에 더 가깝도록 절곡된 수용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12)의 일측에서 커튼월 프레임(1)의 반대 방향측으로 돌출되며, 제1볼트(61)가 결합되는 체결 가이드(1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가이드(13)는 단열 가이드(20)에 삽입된다.
도 2는 단열 가이드(20)의 상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열 가이드(20)는 제2프레임(30)의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헤드부(21)와, 상기 헤드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 가이드(13)가 삽입되는 삽입홈(26)이 형성된 바디부(22)와, 상기 바디부(22)의 끝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안착면(12)에 안착되는 안착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21)와 바디부(22)는 제1볼트(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중공부(24)를 포함한다.
또한 바디부(22)와 안착부(23)의 경계 부분에도 제2중공부(25)가 형성된다.
제2중공부(25)는 안착부(23)에 일부 탄성을 제공하여 안착부(23)가 안착면(12)측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헤드부(21)는 상기 제2프레임(30)에 끼움 결합되어 접하는 면의 중앙에 탄성홈(27)이 형성된다.
탄성홈(27)에 의하여 헤드부(21)의 가장자리는 끼움결합시 중앙측으로 쉽게 오므라질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 가이드(20)는 제1볼트(61)의 외면을 감싸게 되며, 제1볼트(61)의 결합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는 경우, 그 통공에 의한 단열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부(23)는 제2볼트(62)에 의해 제1프레임(10)에 결합된다.
위에서 설명한 구조의 단열 가이드(20)는 PVC 또는 비닐 리지드(Vinyl rigid)를 사용할 수 있다.
단열 가이드(20)를 사용하여 창(4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제1볼트(61)에 의해 결합되는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의 결합공인 통공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프레임(30)은 상기 제1볼트(61)에 의해 제1프레임(1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프레임(31)과, 상기 체결프레임(31)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프레임(32)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프레임(31)에는 상기 헤드부(21)가 끼워지는 삽입부(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커버프레임(32)의 가장자리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체결프레임(31) 가장자리의 홈에 삽입되는 끼움결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프레임(32)은 미관을 위한 것이며, 단열성 보완을 위하여 제4단열재(66)가 일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프레임(31)의 결합에 의하여 한 쌍의 창(40)은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창(40) 사이에는 갭단열부(50)가 배치되어 창(40) 사이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갭단열부(50)의 상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갭단열부(50)는, 중앙에 슬릿형 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이 중공된 단열부재(51)와, 상기 단열부재(51)의 중공부에 충진되는 충진재(52)와, 단열부재(51)의 슬릿형 통공에 끼움 결합되는 중앙단열재(53)와, 상기 단열부재(51)와 창(40)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55)과, 상기 단열부재(51), 중앙단열재(53) 및 실링(55)이 노출되지 않도록 창(40) 사이에 충진되는 마감 단열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갭단열부(50)의 단열부재(51)는 시공의 편의성과 항상성을 위하여 PVC 등의 소재를 사용한 구조물이다.
단열부재(51)는 길이 방향 중앙에 슬릿형 통공이 형성된 바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단열부재(51)는 한 쌍의 창(40) 사이에 끼워질 때 탄성에 의해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단열부재(51)는 단열성 향상을 위하여 중공부가 단열재인 충진재(52)에 의해 충진된 것으로 한다.
시공시 유리재인 창(40)과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상기 단열부재(51)의 외측은 실링(55)이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며, 결합 후 창(40)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단열부재(51)와 실링(55)을 창(40) 사이에 결합한 후, 중앙단열재(53)를 슬릿형 통공에 삽입하여 완전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단열부재(5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감단열재(54)를 창(40) 사이에 충진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유리재인 한 쌍의 창(40) 사이를 갭단열부(50)를 이용하여 완전히 기밀 및 단열 시킴으로써, 외부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창(40)과 제1프레임(10) 및 창(40)과 제2프레임(30)의 사이에는 다양한 재질의 단열재 및 실링재에 의해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단열성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양측으로 각각 한 쌍의 창(40)을 고정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 마감부(70)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창(40)을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의 결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각각 일측 방향의 창(40)이 단열을 위한 이중의 유리 창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3중 창을 이루는 등 형태는 충분히 변형 가능하다.
3중 이상의 다중 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갭단열부(50)를 다수로 하여 각 창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부 창(40)을 개폐창(41)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개폐창(41)은 개폐부(8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개폐부(80)는 제1프레임(10)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개폐부(80)가 결합되는 면에는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 사이에 마감부(7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개폐부(80)는 상기 제1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81)과, 상기 개폐창(41)을 고정하는 가동프레임(82)과, 상기 고정프레임(81)과 가동프레임(82)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가동부재(83)와, 상기 고정프레임(81)과 가동프레임(82)의 접촉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기밀부재(84)와, 다수의 단열재 및 실링(8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81)은 체결수단에 의해 제1프레임(10)의 일측면에 고정결합된다.
고정프레임(81)에는 가동부재(83)의 일단이 결합된다. 가동부재(83)는 외력에 의해 동작하는 힌지이며, 캐비닛 힌지, 실린더 힌지 등의 다양한 힌지가 적용될 수 있다.
가동부재(83)의 타단은 가동프레임(82)에 고정된다.
가동부재(83)는 가동프레임(82)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 의해 확장된 상태(개폐창의 오픈 상태) 또는 축소된 상태(개폐창의 닫힌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가동프레임(82)은 적어도 개폐창(41)의 일면에 접촉되어 개폐창(41)을 실링(85)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실링(85)은 개폐창(41)의 고정 및 단열을 위한 것으로 다수가 중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창(41) 역시 앞서 설명한 창(40)과 동일하게 이중의 구조이며, 한 쌍의 개폐창(41) 사이에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갭단열부(50)가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개폐창(41)의 특징은 창(40)과 다르게 단부가 프레임이 정의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개폐를 위하여 단부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공간이 좁아 단열에 불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폐창(41)의 사이에 갭단열부(50)를 적용하여 단열성을 높임으로써, 개폐창(41)을 포함하는 커튼월의 단열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커튼월 프레임 10:제1프레임
11:수용부 12:안착면
13:체결가이드 20:단열가이드
21:헤드부 22:바디부
23:안착부 24:제1중공부
25:제2중공부 26:삽입홈
27:탄성홈 30:제2프레임
31:체결프레임 32:커버프레임
33:삽입부 34:끼움결합부
40:창 41:개폐창
50:갭단열부 51:단열부재
52:충진재 53:중앙단열재
54:마감단열재 55:실링
61:제1볼트 62:제2볼트
80:개폐부 81:고정프레임
82:가동프레임 83:가동부재
84:기밀부재

Claims (9)

  1. 커튼월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
    다중 창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어 다중 창을 고정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제2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고정하는 볼트의 기밀을 유지하는 단열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단열가이드가 안착 및 고정되는 안착면과,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체결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가이드는 제2프레임의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 가이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끝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는 제1볼트가 삽입되는 제1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안착부 사이의 경계 부분에 안착부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안착부가 안착면 측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끼움 결합되어 접하는 면의 중앙에 탄성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홈에 의하여 상기 헤드부의 가장자리는 끼움결합시 중앙측으로 쉽게 수축되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단열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체결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는 다중 개폐창을 더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제1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개폐창의 일단을 고정하는 가동프레임; 및
    양단이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프레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동작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창 또는 다중 개폐창은,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창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창 사이에 위치하는 갭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갭단열부는,
    실링에 의해 창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창 사이에 충진되는 마감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커튼월 창호 프레임.
KR1020220110583A 2022-09-01 2022-09-01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 KR10258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583A KR102585588B1 (ko) 2022-09-01 2022-09-01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583A KR102585588B1 (ko) 2022-09-01 2022-09-01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588B1 true KR102585588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583A KR102585588B1 (ko) 2022-09-01 2022-09-01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5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168A (en) * 1974-09-14 1976-03-22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Horiuretanfuoomu no bunkaihoho
KR20150092554A (ko) * 2014-02-05 2015-08-13 주식회사 용진 커튼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168A (en) * 1974-09-14 1976-03-22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Horiuretanfuoomu no bunkaihoho
KR20150092554A (ko) * 2014-02-05 2015-08-13 주식회사 용진 커튼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US4344254A (en) Thermally insulated aluminum door or window frame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844029B1 (ko) 기밀성, 수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된 단열창호
KR20140146703A (ko) 열교 차단용 단열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시스템
KR102423581B1 (ko)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KR20070077305A (ko)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102585588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커튼월 창호 프레임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JP7229039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下端の断熱構造
KR100890036B1 (ko) 이중창호 시스템
JP2000120349A (ja) 上げ下げ窓および上げ下げ窓付ドア
KR101763158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2506892B1 (ko)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102347365B1 (ko) 2중 단열 커튼월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KR20220054012A (ko) 슬라이딩 창호
KR200443009Y1 (ko) 창호의 기밀구조
US20220341251A1 (en) Insulating and glass panel supporting structure of window frame sash in center bar portion at which two-side supporting frame window sashes of sliding window overlap
KR102607360B1 (ko) 창짝 조립체들 사이의 단열성 및 방풍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2075961B1 (ko) 폴딩도어용 창
KR101562332B1 (ko) 방풍성 및 단열성이 강화된 강화유리 안전 쌍도어
KR102369286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커튼월
KR20180065305A (ko) 창호
JP3977358B2 (ja) 交換用ドア枠およびドアの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