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574B1 - 3차원 프린터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574B1
KR102585574B1 KR1020210192597A KR20210192597A KR102585574B1 KR 102585574 B1 KR102585574 B1 KR 102585574B1 KR 1020210192597 A KR1020210192597 A KR 1020210192597A KR 20210192597 A KR20210192597 A KR 20210192597A KR 102585574 B1 KR102585574 B1 KR 10258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management unit
terminal
management
desig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901A (ko
Inventor
이준호
이서진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쓰리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쓰리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쓰리디
Publication of KR2023005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관리 장치는 단말기의 제1 정보 및 3차원 프린터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획득 유니트;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를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3D printers}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제조 패러다임 변화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트렌드로 인하여, 제조업 분야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조 과정의 혁신과 이를 통한 생산 효율성 극대화가 시도되고 있다.
3D 프린터는 1970년대에 처음으로 고안되어 활용기간이 길었던 것에 비하여 효용성은 일반 사무용 프린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3D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3D 프린팅을 위해 3D 데이터를 3D 프린터에 별도로 저장해야 하고, 때로는 이를 위해 PC에 3D 데이터를 저장한 뒤에 USB 등의 별도의 저장장치를 통해 3D프린터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3D 프린터는 기본적으로 3D 설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3D 프린팅을 진행하는데, 설계 분야에서 협업을 통한 작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와 상이한 프로세스를 갖고 있다. 세계시장 최다점유율 3사 또한 지멘스 NX/UG의 Cloud PLM, 다쏘 CATIA의 ENOVIA PLM, 오토데스크 Inventor의 Vault PLM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3D 설계분야의 온라인 협업에 지원을 늘려 나가고 있으나, 3D 프린터 분야는 이와 같은 방향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용중인 재료의 잔량을 확인하거나 보충하기 위해서는 3D프린터가 위치한 장소에서 직접 재료를 확인하고, 별도의 장비 또는 수단으로 재료를 주문해야 한다. 이와 같은 3D 프린터 유지보수를 위한 종래 방식은 초연결 사회의 제조 프로세스에 병목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포털을 통해 3D 프린터의 문제를 검색하면 가장 많이 노출되는 항목은 광고를 제외하면 3D프린팅 실패 및 품질 문제를 다루는 게시물이 가장 많다. 3D 프린팅이 종료되고 작업 결과물을 확인할 때에 비로소 사용자는 3D 프린팅의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3D 프린팅 1회를 시행하는 데에는 최소 수 시간에서 최대 며칠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의 이용자는 3D 프린팅이 진행되는 동안 그 현장을 종종 비우게 된다. 도입을 원하는 수요사의 가장 큰 애로사항이 출력 속도라는 통계 조사가 이러한 상황을 뒷받침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171691호에는 3D프린터 각 부속의 객체 인식 기술과 3D 그래픽이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여 3D프린터의 사용방법과 문제가 발생했을 시 해결방법 등을 설명하는 증강현실 기반 3D프린터 유지보수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171691호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의 상태를 시간, 장소에 상관없이 확인할 수 있으며, 차원 프린팅의 소스가 되는 3차원 설계 데이터, 프린팅 재료를 원격에서 처리할 수 있는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단말기의 제1 정보 및 3차원 프린터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획득 유니트;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를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은 단말기의 제1 정보 및 3차원 프린터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를 관리하는 관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단계는 제1 관리 단계, 제2 관리 단계, 제3 관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리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작업 명령을 상기 프린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리 단계는 상기 프린터의 재료의 잔여량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관리 단계는 상기 프린터의 작업 상황을 상기 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3차원 프린터의 작업 명령을 언제 어디서든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프린팅 소재의 잔량이 언제 어디서든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프린터의 각종 이슈가 실시간으로 파악되고,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 또는 3차원 프린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프린터가 성형할 수 있는 최대 작업 영역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가 설계한 성형물의 성형 작업이 모의된 성형 영역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작업 공간과 성형 영역은 단말기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설계된 성형물이 작업 공간 범위 내에서 성형 작업이 가능한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가 촬영된 영상이 입력되면 재료의 잔여량을 추정하는 추정 모델을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하고, 카메라 및 추정 모델을 이용하여 재료의 잔여량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자동으로 파악된 재료의 잔여량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설계 데이터가 가상 공간에서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3차원 형상과 카메라로 촬영된 작업 영상에 포함된 물품 간의 비교를 통해 진행 상황이 자동으로 파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기본 이미지의 입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단말기로 제공되는 테스트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서로 통신하는 단말기(300), 3차원 프린터(500), 서버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관리 장치(100)는 서버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관리 장치(100)는 획득 유니트(110) 및 관리 유니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 유니트(110)는 단말기(300)의 제1 정보 및 3차원 프린터(500)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획득 유니트(110)는 제1 정보를 단말기(3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획득 유니트(110)에는 단말기(300)와 유무선 통신하는 제1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정보는 설계 데이터 자체, 설계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 설계 데이터의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선택 신호, 3차원 프린터(500)를 타겟으로 설계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 프린터(500)를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 재료 사용량의 요청 신호, 재료의 구입 정보, 프린터(500)의 프린팅 진행 상황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 유니트(110)는 제2 정보를 3차원 프린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획득 유니트(110)에는 프린터(500)와 유무선 통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정보는 프린터(500)의 사양 정보, 설계 데이터의 물품에 대한 프린팅 가능 여부, 프린터(500) 자신을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 재료 사용량, 재료를 촬영한 재료 영상, 프린팅 진행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프린터(500)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유니트(130)는 제1 관리부(131), 제2 관리부(132), 제3 관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관리부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리부(131)는 사용자의 작업 명령을 프린터(5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프린팅 소재(재료)의 잔여량을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관리부(133)는 프린터(500)의 작업 상황, 오류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 제2 관리부(132), 제3 관리부(13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획득 유니트(110)는 단말기(300)로부터 설계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 퍼스널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단말기(300)의 요청 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설계 데이터의 리스트를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리스트의 전송을 위해 제1 관리부(131)에는 단말기(300)와 유무선으로 소통하는 제1 통신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제1 통신 수단은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로부터 리스트를 전달받은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309)에 해당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9)를 통해 표시된 리스트를 확인한 사용자는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설계 데이터 중에서 희망하는 특정 설계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기(300)는 특정 설계 데이터를 선택한 사실을 나타내는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획득 유니트(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획득 유니트(110)는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유니트(110)는 해당 선택 신호를 제1 관리부(131)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선택 신호가 가리키는 특정 설계 데이터를 저장부에서 추출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저장부로부터 추출된 특정 설계 데이터를 프린터(50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린터(500)를 대상으로 특정 설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1 관리부(131)에는 프린터(500)와 유무선 통신하는 제2 통신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통신 수단은 제1 통신 수단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통신 수단은 제1 통신 모듈 또는 제2 통신 모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설계 데이터를 전달받은 프린터(500)는 특정 설계 데이터에 따라 물품을 성형, 예를 들어 3D(3차원, Three Dimensions) 프린팅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단말기(300)는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설계 데이터 중 하나를 프린터(500)로 전송하고 있다. 다시 말해, 설계 데이터가 관리 장치(100)에 저장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설계 데이터는 관리 장치(100)를 통해서 단말기(300)로부터 프린터(5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프린터(500)의 불필요한 작업을 방지하거나, 프린터(500)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획득 유니트(110)를 통해, 단말기(300)로부터 프린터(500)를 타겟으로 특정 설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획득되면, 제1 관리부(131)는 특정 설계 데이터의 전송을 일단 보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리부(131)는 프린터(500)의 제2 정보 및 특정 설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프린터(500)가 특정 설계 데이터의 물품을 프린팅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검토 결과 해당 물품의 프린팅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면, 프린터(500)로 전송 보류 중이던 특정 설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검토 결과 해당 물품의 프린팅이 불가능한 것으로 파악되면, 단말기(300)로 해당 사실을 전송할 수 있다. 물품의 프린팅이 불가능한 것을 인지한 사용자는 현재의 특정 설계 데이터의 성형을 취소하고, 새로운 설계 데이터가 프린터(500)에 도달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한편, 어떤 사유로 특정 물품의 프린팅이 불가능한지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프린팅 불가 원인을 알면 새로운 설계 데이터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제1 관리부(131)는 프린팅의 불가능 원인을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리부(131)는 "물품의 특정 부분이 프린터(500)의 최대 작업 영역의 경계면 좌표(x, y, z)를 벗어난다"와 같은 수치적인 원인을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치적인 원인의 제공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되지 못하므로, "물품 사이즈가 허용 규격보다 크다" 정도의 막연한 문제점만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1 관리부(131)는 프린팅의 가능, 불가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기본 이미지의 입수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단말기(300)로 제공되는 테스트 이미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관리부(131)는 프린터(500)가 촬영된 기본 이미지를 입수할 수 있다.
기본 이미지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300)에서 촬영되고, 단말기(300)로부터 입수될 수 있다. 또는, 기본 이미지는 프린터(500)에 마련된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고 프린터(500)를 통해 입수될 수 있다. 또는, 기본 이미지는 별도의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고, 카메라(10)로부터 입수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프린터(500)의 최대 작업 영역 a를 파악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단말기(300)에 의해 선택된 설계 데이터의 물품이 프린터(500)에서 성형될 성형 영역 c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기본 이미지에 포함된 프린터(500)의 작업대(509) 상에 최대 작업 영역 a와 성형 영역 c가 도식적으로 표시된 테스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단말기(300)로 테스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테스트 이미지는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309)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면체로 형성된 최대 작업 영역 a 및 성형 영역 c가 입체적으로 표시된 테스트 이미지를 인지할 수 있다. 입체 형상으로 표현된 최대 작업 영역 a와 성형 영역 c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사용자가 프린팅 가능 여부, 프린팅 불가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작업대(509)의 일면에 최대 작업 영역 a의 바닥면(밑면) 및 성형 영역의 바닥면(밑면)을 배치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작업대(509)의 일면에 배치된 성형 영역 c가 최대 작업 영역 a의 외곽면을 뚫고 돌출되는 이상 상태를 자동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리부(131)는 최대 작업 영역 a의 경계면의 좌표와 성형 영역 c의 일부 좌표가 일치하면, 이상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제1 관리부(131)는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프린터(500)에 대한 설계 데이터의 전송을 보류하고 단말기(300)로 경고 메시지 m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300)를 통해 경고 메시지 m을 인지하고, 프린팅을 중지할지 지속할지 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경고 메시지 m이 발생되면, 사용자가 설계 데이터의 전송을 유지하고자 해도, 제1 관리부(131)에 의해 설계 데이터의 전송이 자동 중단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프린터(500)의 재료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재료 사용량을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단말기(300)로부터 재료의 구입 정보가 입수되면, 구입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각 재료의 구입처별로, 단말기(300) 또는 제2 관리부(132)에 결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재료를 구매할 때마다, 제2 관리부(132)는 해당 결제 정보를 상점의 포스기(Point of Sales device) 또는 단말기(300)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프린터(500)에 공급되는 재료가 실시간으로 촬영된 재료 영상을 입수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에는 재료의 잔여량을 추정하는 추정 모델이 탑재될 수 있다. 추정 모델은 재료 영상이 입력되면 잔여량을 추정하도록 기계 학습된 것일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추정 모델을 통해 추정된 잔여량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단말기(300)로 재료 보충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재료 보충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재료를 보충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에는 '재료 사용량 기록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해당 기록부에는 현재의 재료 사용량, 사용 누적량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프린터(500)는 설계 데이터를 받으면 설계 데이터의 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재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계산된 결과는 프린터(500)의 제조부(501)로 전송되는 동시에 제2 관리부(132)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프린터(500)로부터 전송된 재료 사용량을 기록부에 기록할 수 있다. 제2 관리부(132)는 재료 사용량의 로그를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재료 잔량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관리부(133)는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프린터(500)로부터 프린팅 진행 상황을 입수할 수 있다. 제3 관리부(133)는 단말기(300)에 프린팅 진행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관리부(133)는 설계 데이터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터(500)의 프린팅 과정이 촬영된 작업 영상을 입수할 수 있다. 작업 영상은 단말기(300), 관리 장치(100)에 마련된 카메라(10), 별도의 카메라(1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촬영된 것일 수 있다.
작업 영상을 이용하여 프린팅의 진행 상황을 자동으로 판별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관리부(133)는 설계 데이터의 완성품을 가상 공간에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실제의 사물을 3차원 가상 공간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또는 3차원 시뮬레이션에 해당될 수 있다.
제3 관리부(133)는 가상 공간에 형성된 완성품과 작업 영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관리부(133)는 완성품을 기준으로, 작업 영상에 포함된 물품의 생성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단말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3 관리부(133)는 완성품과 작업 영상 각각을 단말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3 관리부(133)는 완성품과 작업 영상을 한 화면에서 모두 볼 수 있는 비교 메뉴를 추가로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스로 작업의 진행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의 관리 방법은 도 1의 관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관리 방법은 획득 단계(S 510), 관리 단계(S 52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단계(S 510)는 단말기(300)의 제1 정보 및 3차원 프린터(500)의 제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단계(S 510)는 획득 유니트(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관리 단계(S 520)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프린터(500)를 관리할 수 있다. 관리 단계(S 520)는 관리 유니트(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관리 단계(S 520)는 제1 관리 단계, 제2 관리 단계, 제3 관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 단계는 단말기(300)의 작업 명령을 프린터(500)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 단계는 제1 관리부(13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관리 단계는 프린터(500)의 재료의 잔여량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리 단계는 제2 관리부(1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3 관리 단계는 프린터(500)의 작업 상황을 단말기(300)에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관리 단계는 제3 관리부(13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시뮬레이션 장치 등) 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카메라 100...관리 장치
110...획득 유니트 130...관리 유니트
131...제1 관리부 132...제2 관리부
133...제3 관리부 300...단말기
309...디스플레이 500...프린터
501...제조부 509...작업대

Claims (10)

  1. 3차원 프린터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유니트;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를 관리하는 관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터가 촬영된 기본 이미지를 입수하는 제1 관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의 최대 작업 영역을 파악하며,
    상기 제1 관리부는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설계 데이터의 물품이 상기 프린터에서 성형될 성형 영역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기본 이미지에 포함된 프린터의 작업대 상에 상기 최대 작업 영역과 상기 성형 영역이 도식적으로 표시된 테스트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테스트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작업대의 일면에 상기 최대 작업 영역의 바닥면 및 상기 성형 영역의 바닥면을 배치하고,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최대 작업 영역의 경계면의 좌표와 상기 성형 영역의 일부 좌표가 일치하면, 상기 작업대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성형 영역이 상기 최대 작업 영역의 외곽면을 뚫고 돌출되는 이상 상태로 판별하며,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프린터에 대한 상기 설계 데이터의 전송을 보류하고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니트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설계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설계 데이터의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획득 유니트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선택 신호가 가리키는 특정 설계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제1 관리부는 상기 특정 설계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로 전달하는 관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의 재료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제2 관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료 사용량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2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재료의 구입 정보가 입수되면, 상기 구입 정보를 보관하는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에 공급되는 재료가 실시간으로 촬영된 재료 영상을 입수하는 제2 관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관리부에는 상기 재료의 잔여량을 추정하는 추정 모델이 탑재되며,
    상기 추정 모델은 상기 재료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잔여량을 추정하도록 기계 학습된 것이고,
    상기 제2 관리부는 상기 추정 모델을 통해 추정된 잔여량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상기 단말기로 재료 보충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린터로부터 프린팅 진행 상황을 입수하는 제3 관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프린팅 진행 상황을 전달하는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설계 데이터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프린터의 프린팅 과정이 촬영된 작업 영상을 입수하는 제3 관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관리부는 상기 설계 데이터의 완성품을 가상 공간에 형성하며,
    상기 제3 관리부는 상기 가상 공간에 형성된 완성품과 상기 작업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제3 관리부는 비교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관리 장치.
  10.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3차원 프린터의 제2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를 관리하는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프린터가 촬영된 기본 이미지를 입수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린터의 최대 작업 영역을 파악하며,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설계 데이터의 물품이 상기 프린터에서 성형될 성형 영역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기본 이미지에 포함된 프린터의 작업대 상에 상기 최대 작업 영역과 상기 성형 영역이 도식적으로 표시된 테스트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단말기로 상기 테스트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작업대의 일면에 상기 최대 작업 영역의 바닥면 및 상기 성형 영역의 바닥면을 배치하며,
    상기 최대 작업 영역의 경계면의 좌표와 상기 성형 영역의 일부 좌표가 일치하면, 상기 작업대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성형 영역이 상기 최대 작업 영역의 외곽면을 뚫고 돌출되는 이상 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프린터에 대한 상기 설계 데이터의 전송을 보류하고 상기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방법.
KR1020210192597A 2021-10-19 2021-12-30 3차원 프린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85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39716 2021-10-19
KR1020210139716 2021-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901A KR20230055901A (ko) 2023-04-26
KR102585574B1 true KR102585574B1 (ko) 2023-10-06

Family

ID=8609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597A KR102585574B1 (ko) 2021-10-19 2021-12-30 3차원 프린터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5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339B1 (ko) * 2017-08-25 2018-04-20 주식회사 팀사이언스 3d 프린터 출력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23280B1 (ko) * 2014-07-1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490A (ko) * 2015-03-11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3d 프린터
KR102177884B1 (ko) * 2018-04-27 2020-11-12 주식회사 디오 치아모델 저장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치아모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KR102171691B1 (ko) 2019-03-04 2020-10-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3d 프린터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280B1 (ko) * 2014-07-1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50339B1 (ko) * 2017-08-25 2018-04-20 주식회사 팀사이언스 3d 프린터 출력물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901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256B2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TWI718348B (zh) 基於擴增實境的線下互動方法及裝置
US94547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ingerprint and identifying a three-dimensional model
TWI671649B (zh) 資訊處理裝置及程式
CN104346834A (zh) 信息处理设备和位置指定方法
CN104808956A (zh) 用于控制显示的系统和方法
CA2830916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roduct selection
CN107004207A (zh) 用于使用对象测量结果估计搬家的系统和方法
KR101813394B1 (ko) 하우스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111812A (zh) 显示控制方法和装置
US20190026395A1 (en) Highly Custom and Scalable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Articles of Manufacture
WO2018099400A1 (zh) 基于增强现实的家居设计系统和方法
JP7058798B2 (ja) 保守支援システム、保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63150B2 (en) System for designing and configuring a home improvement installation
KR102372283B1 (ko)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US20170330035A1 (en) Installation of a physical element
US10846943B2 (en) Optimizing viewing assets
CN106327300A (zh) 在虚拟现实环境中的商品定制方法及装置
KR102585574B1 (ko) 3차원 프린터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286605B1 (en) Identifiable information for three-dimensional items
JP6932479B2 (ja) 情報処理端末、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
WO2018096690A1 (ja) 情報処理装置
US20230303288A1 (en) Packaging box bod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12381929A (zh) 一种三维电力设备模型建模方法
KR20230118453A (ko) 3d 프린팅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