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601B1 -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601B1
KR102584601B1 KR1020180111486A KR20180111486A KR102584601B1 KR 102584601 B1 KR102584601 B1 KR 102584601B1 KR 1020180111486 A KR1020180111486 A KR 1020180111486A KR 20180111486 A KR20180111486 A KR 20180111486A KR 102584601 B1 KR102584601 B1 KR 10258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prevention
secondary battery
prevention capsule
capsule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2447A (en
Inventor
김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1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601B1/en
Publication of KR2020003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4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이차전지의 발화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인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캔부재, 상기 캔부재의 개구부를 덮는 탑캡 조립체, 상기 탑캡 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사이를 절연하는 탑 인슐레이터 및 상기 탑 인슐레이터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난연재를 수용하고 있으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난연재를 상기 캔부재의 내부로 방출시키는 발화 방지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that improves safety by preventing ign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 can memb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therein, a top cap assembly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an member, a top insulator insulating between the top cap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top insulator It is locat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contains a flame retardant material therein, and includes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that releases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into the interior of the can member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차전지의 발화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인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condary batteries, and more specifically, to secondary batteries that improve safety by preventing ignition of secondary batteries.

물질의 물리적 반응이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시켜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지(cell, battery)는 각종 전기전자 기기로 둘러싸여 있는 생활환경에 따라, 건물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획득하지 못할 경우나 직류전원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게 된다.Batteries, which generate electrical energy through physical or chemical reactions of materials and supply power to the outside, may not be able to obtain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ied to the building, depending on the living environment surrounded by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t is used when direct current power is required.

이와 같은 전지 중에서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전지인 일차전지와 이차전지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일차전지는 건전지로 통칭되는 것으로 소모성 전지이다. 또한, 이차전지는 전류와 물질 사이의 산화환원과정이 다수 반복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재충전식 전지로서, 전류에 의해 소재에 대한 환원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충전되고, 소재에 대한 산화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방전되는데, 이와 같은 충전-방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전기가 생성되게 된다.Among such batteries, prim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chemical batteries that use chemical reactions, are generally used. Primary batterie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batteries and are consumable batteries.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batteries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in which the oxidation-reduction process between current and materials can be repeated multiple times. When a reduction reaction on materials is performed by current, the power is charged, and the oxidation reaction on materials occurs. When performed, the power is discharged, and electricity is generated as this charging and discharging is performed repeatedly.

한편, 이차 전지 중 리튬 이온 전지는 양극 도전 포일과 음극 도전 포일에 각각 활물질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고, 상기 양 도전 포일 사이에는 분리막이 개재되도록 하여 대략 젤리 롤(jelly roll) 내지는 원통 형태로 다수 회 권취하여 제작한 전극 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 캔, 파우치 등에 수납하고 이를 밀봉 처리하여 제작된다. On the other hand, among secondary batteries, lithium ion batteries coat the positive and negative conductive foils with an active material at a certain thickness, and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conductive foils, so that the batteries are formed multiple times in a jelly roll or cylindrical shape. It is manufactured by storing the coiled electrode assembly in a cylindrical or square can, pouch, etc. and sealing i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6327호에는 종래의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6327 discloses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현재 이차 전지의 안전성에 점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추세이다.Currentl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safety of secondary batteries.

그런데, 이차전지의 안정성 테스트(test) 진행 시 테스트(test) 조건에 따라 이차 전지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전지가 발화하거나 폭발하는 경우가 있다.However, when a stability test of a secondary battery is performed, heat is generat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depending on the test conditions, which may cause the battery to ignite or explode.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It is time to conduct research to prevent this phenomenon and strengthen the stability of secondary batteries.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 발열 이후 발화로 이어지는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that can prevent internal heat from progressing to ign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캔부재, 상기 캔부재의 개구부를 덮는 탑캡 조립체, 상기 탑캡 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사이를 절연하는 탑 인슐레이터 및 상기 탑 인슐레이터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난연재를 수용하고 있으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난연재를 상기 캔부재의 내부로 방출시키는 발화 방지 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a can member that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therein, a top cap assembly that covers the opening of the can member, and a top that insulates between the top cap assembly and the electrode assembly. It is located between the insulator and the top insulator and the electrode assembly, contains a flame retardant therein, and includes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that releases the flame retardant into the interior of the can member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일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b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는 상기 캔부재의 내측부 둘레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be equal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중앙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have a hole formed in the center.

상기 홀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의 통로가 될 수 있다.The hole may serve as a passage for th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상부 표면의 두께에 비해 하부의 표면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have a lower surface thickness that is thinner than the upper surface thickness.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하부가 열에 의해 먼저 용융되어 상기 난연재를 하측으로 방출 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first melt the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by heat to release the flame retardant downward.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도넛(donut)형 또는 너트(nut)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be shaped like a donut or a nut.

상기 난연재는 흑연 소재의 난연재 또는 브롬계 난연재(brominated flame retardants)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ame retardant may be made of graphite or brominated flame retardants.

상기 소정의 온도는 82℃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82°C.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상기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될 수 있다.The anti-ignition capsule may be melted a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단부 및 테두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라운딩(rounding) 처리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have one or more of its ends and edges rounded.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상기 전극조립체 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복수 개로 형성되며, 두께가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타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된 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부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난연재가 상기 음극으로 방출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ncludes a lower portion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to be concave inward, and includes an emission portion whose thickness i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The emitt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so that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emitted from the emitting portion can be discharged to the cathode.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하부는 단면이 요철형, 톱니형 및 물결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have a cross-section of at least one of a concavo-convex shape, a sawtooth shape, and a wavy shape.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와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측 둘레부의 둘레 길이는 상기 캔부재의 내측부의 둘레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the peripheral l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equal to the peripheral length of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내부에 상기 난연재와 공기를 수용하며, 상기 난연재는 상기 발화 방지 캡슐 내부 부피의 70% ~ 80%의 부피 비율로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ccommodates the flame retardant and air therein, and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t a volume ratio of 70% to 80%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상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됨에 따라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테두리부가 상기 캔부재의 내측부에 압착되며, 상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난연재를 상기 캔부재의 내부로 방출시 상기 공기의 내압에 의해 상기 난연재가 분출되게 할 수 있다.As the air expands by heat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ide of the can member, and when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is releas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n member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air The flame retardant may be ejected due to internal pressure.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테두리부로부터 하부까지와 상부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edge to the bottom and the top.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하부까지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b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from the edge to the bottom, and the top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고무 소재는 82℃ 이상에서 용융되고,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120℃이상에서 용융될 수 있다.The rubber material may melt at 82°C or higher, and the plastic material may melt at 120°C or higher.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은 상기 탑 인슐레이터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op insulator.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홀은 지름의 길이가 3mm ~ 4mm일 수 있다.The hol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have a diameter of 3 mm to 4 mm.

상기 발화 방지 캡슐의 지름의 길이가 5mm ~ 7mm일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ay be 5 mm to 7 mm.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내부에 발화 방지 캡슐을 설치하여 이차전지의 발열 이후 발화로 이어지는 진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gnition after heat gene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최외곽 소재를 탄성을 갖는 고무로 형성하여 작은 충격에 의해 캡슐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material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s made of elastic rubber,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psule from being destroyed by a small imp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의 길이와 캔부재의 내측부 둘레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발화 방지 캡슐이 캔부재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to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can member by mak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part of the can member the same.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중앙에 홀을 형성하여 전극조립체와 탑 인슐레이터의 사이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a hole in the center to facilitate installa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top insulator.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상부에 비해 하부의 표면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하부가 상부에 비해 더 빨리 용융되어 발화 방지 캡슐 내부의 난연재가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a thinner surface thickness at the bottom than the upper part, so that the lower part melts faster than the upper part, which has the effect of releasing the flame retardant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단부, 모서리부 및 테두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라운딩 처리 되어 캔부재의 내부에 스크래치 등과 같은 손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at least one of the ends, corners, and edges rounded,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such as scratches to the inside of the can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대응하게 방출부를 형성하여 발화의 원인인 충전된 음극을 향해 난연재가 방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forms an emiss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which has the effect of releasing the flame retardant toward the charged cathode, which is the cause of ign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하부의 단면이 요철형, 톱니형 및 물결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by having a lower cross s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concavo-convex shape, sawtooth shape, and wavy shape.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와 전극조립체의 외측 둘레부의 둘레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방출부와 전극조립체의 음극의 위치를 서로 대응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the positions of the emitting portion and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correspond to each other by making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same.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내부에 난연재와 공기를 수용하여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됨에 따라 발화 방지 캡슐의 용융 시 난연재가 분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me retardant and air are accommodated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as the air expands by heat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is ejected whe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elts.

본 발명에 따르면, 테두리부로부터 하부까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캔부재 외측으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면서 하부가 상부보다 낮은 열에의해 용융되게 하여 난연재가 전극조립체 측으로 방출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from the edge to the bottom, and the upper part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o cushion the impact from the outside of the can member and melt the lower part by lower heat than the upper part so that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can be release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이 탑 인슐레이터의 저면에 부착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위치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op insulator and has the effect of fixing it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external shock.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크기가 전극조립체와 탑 인슐레이터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최적화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s optimiz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top insula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차전지를 일부 절개하고, 그 이차전지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이 설치된 것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C-C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 5와 같은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과 전극조립체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B-B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5에서 D부분을 절단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partially cut away and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secondary battery.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cut along the AA cutting line.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cut along the CC lin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cross-section as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cut along the BB cutting line.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part D in Figure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may be used to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complete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determined that specific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차전지를 일부 절개하고, 그 이차전지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이 설치된 것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partially cut away, and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secondary battery.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ed part, an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cut along the line A-A.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7), 상기 전극조립체(7)와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캔부재(3), 상기 캔부재(3)의 개구부(5)를 덮는 탑캡 조립체(10), 상기 탑캡 조립체(10)와 상기 전극조립체(7)의 사이를 절연하는 탑 인슐레이터(20) 및 상기 탑 인슐레이터(20)와 상기 전극조립체(7)의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난연재(f)를 수용하고 있으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난연재(f)를 상기 캔부재(3)의 내부로 방출시키는 발화 방지 캡슐(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7), a can member (3)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7)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therein, and the can. A top cap assembly 10 covering the opening 5 of the member 3, a top insulator 20 insulating between the top cap assembly 10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and the top insulator 20 and the electrode. It is located between the assemblies 7, contains a flame retardant material f therein, and includes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hat releases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into the inside of the can member 3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o.

전극조립체(7)는 양극(7c)과 분리막(7d) 및 음극(7b)을 적층한 적층체를 젤리 롤 형태로 권취하여 제작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7 can be manufactured by winding a laminate of the anode 7c, the separator 7d, and the cathode 7b in a jelly roll shape.

캔부재(3)는 원형 리튬이온 2차 전지에서 대략 위쪽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가볍고 부식에 대처가 용이한 알루미늄(Al) 또는 스틸(steel)에 니켈(Ni)을 도금한 소재일 수 있다. The can member (3) is a metal container with a roughly open top in a circula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is made of aluminum (Al) or steel, which is light and resistant to corrosion, and is plated with nickel (Ni). It could be one material.

캔부재(3)는 전극조립체(7)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조립체(7)가 캔부재(3)의 개방된 상단, 즉 상단의 개구부(5)를 통해 캔부재(3)에 삽입된 뒤 캔부재(3) 상단의 개구부(5)는 탑캡 조립체(10)에 의해 봉해진다.The can member 3 becomes a container for the electrode assembly 7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is inserted into the can member 3 through the open top of the can member 3, that is, the opening 5 at the top. After this, the opening 5 at the top of the can member 3 is sealed by the top cap assembly 10.

탑캡 조립체(10)는 외측에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탑캡(11)이 형성되고, 탑캡(11)의 하측에 안전벤트(17)가 형성되고, 탑캡(11)과 안전벤트(17)의 사이에 전류 차단용 안전소자(PTC)(13)가 형성되고, 안전벤트(17)의 하측에 전류차단장치(CID)(1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탑캡 조립체(10)는 절연을 위한 가스켓(15)을 사이에 두고 캔부재(3)와 캔부재(3)의 개구부(5)를 절곡하는 크림핑(crimping) 결합할 수 있다.The top cap assembly 10 has a top cap 11 formed on the outsid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outside, a safety vent 17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p cap 11, and a safety vent 17 between the top cap 11 and the safety vent 17. A current blocking safety element (PTC) 13 may be formed therebetween, and a current blocking device (CID) 19 may be formed below the safety vent 17. In addition, the top cap assembly 10 can be joined to the can member 3 by bending and crimping the opening 5 of the can member 3 with the gasket 15 for insulation interposed therebetween.

탑 인슐레이터(20)는 캔부재(3)의 상부 내부측에 설치되어 탑캡 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7)의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또는 캔부재(3) 및 전극조립체(7)를 절연할 수 있다.The top insulator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can member 3 to insulate between the top cap assembly 10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Alternatively, the can member 3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can be insulated.

탑 인슐레이터(20)는 전극조립체(7)의 전극탭(7a)이 탑캡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극탭(7a)이 통과할 수 있게 중앙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top insulator 20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er so that the electrode tab 7a of the electrode assembly 7 can pass through so that the electrode tab 7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ap assembly 10.

도 2를 참조하여, 발화 방지 캡슐(30)은 종래의 이차전지에서 탑 인슐레이터(20)와 전극조립체(7)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아 중간 화살표 아래 이차전지에 발화 방지 캡슐(30)을 설치한 것을 일부 확대하여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 상기 중간 화살표 위 이차전지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top insulator 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in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2 , the main part of the secondary battery below the middle arrow with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nstalled may be partially enlarged to show the secondary battery above the middle arrow.

도 3을 참조하여, 발화 방지 캡슐(30)은, 탑 인슐레이터(20)와 전극조립체(7)의 사이에서 위치가 고정되기 위해,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h)가 캔부재(3)의 내측부 둘레 길이(e)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발화 방지 캡슐(30)의 외측 테두리부가 캔부재(3)의 내측부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ord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between the top insulator 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the circumferential length h of the outer edge portion is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3. It may be equal to the perimeter length (e). That is,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3.

또는, 발화 방지 캡슐(30)은 탑 인슐레이터(20)의 저면에 부착되어 탑 인슐레이터(20)와 전극조립체(7)의 사이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화 방지 캡슐(30)을 탑 인슐레이터(20)의 저면에 부착한다면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lternative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op insulator 20 and fixed in position between the top insulator 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In this way, attaching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o the bottom of the top insulator 20 has the advantage of easy assembly.

발화 방지 캡슐(30)은 소정의 온도인 82℃에서 용융되어 내부에 수용된 난연재(f)를 캔부재(3)의 내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mel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f 82° C. and can release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contained therein into the interior of the can member 3.

원통형 이차전지는 60℃ ~ 72℃에서 고온 평가를 하는데, 이차전지가 90℃ 이상의 온도에서 발열에 의한 발화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Cylindrical secondary batteries are evaluated at high temperatures between 60℃ and 72℃, and there may be a possibility of secondary batteries igniting due to heat generation at temperatures above 9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화 방지 캡슐(30)을 82℃이상에서 용융되게 하여 캔부재(3)의 내부에 난연재(f)를 방출함에 따라 발열에 의한 발화를 방지하고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melted above 82°C to release the flame retardant (f) inside the can member 3, thereby preventing ignition due to heat generation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

난연재(f)는 소화기용(Lith-X) 난연재인 흑연 소재의 난연재 또는 브롬계 난연재(brominated flame retardants)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for the flame retardant (f), stability can be ensured by using graphite-based flame retardants or brominated flame retardants, which are flame retardants for fire extinguishers (Lith-X).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C-C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Figure 4 cut along the C-C cutting lin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발화 방지 캡슐(30)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발화 방지 캡슐(30)이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면 발화 방지 캡슐(30)은 이차전지의 외부 충격을 흡수 할 수 있어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 발화 방지 캡슐(30)이 파손되어 내부의 난연재가 발화 방지 캡슐(3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formed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can absorb the external shock of the secondary battery, so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damaged by a small external impact and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inside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발화 방지 캡슐(30)의 지름(t1)은 5mm ~ 7mm 일 수 있다. 발화 방지 캡슐(30)의 지름(t1)이 5mm 미만이면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연재(f)의 양이 부족하여 이차전지의 발화를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발화 방지 캡슐(30)의 지름(t1)이 7mm를 초과하면 발화 방지 캡슐(30)의 크기가 일반적인 캔부재(3)의 내부 공간에 비해 너무 커서 설치를 못할 수 있다.The diameter (t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5 mm to 7 mm. If the diameter t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less than 5 mm, it may be difficult to prevent ign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due to the insufficient amount of flame retardant (f) contained withi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n addition, if the diameter t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exceeds 7 mm, the siz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too large compar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general can member 3 and may not be installed.

바람직하게 발화 방지 캡슐(30)의 지름(t1)은 5.5mm ~ 6.5mm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ameter (t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5.5 mm to 6.5 mm.

발화 방지 캡슐(30)은 중앙에 홀(31)을 형성할 수 있다.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은 전극조립체(7)의 전극탭(7a)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극탭(7a)은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을 통과하여 탑캡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form a hole 31 in the center. 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intended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electrode tab 7a of the electrode assembly 7. The electrode tab 7a may pass through 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n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ap assembly 10.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은 3mm ~ 4mm의 지름(t2)을 형성할 수 있다.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 지름(t2)이 3mm 미만이면 전극조립체(7)의 전극탭(7a)이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을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 지름(t2)이 4mm 초과이면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 수용 공간이 작아져 내부에 수용되는 내연재(f)의 양이 부족하여 이차전지의 발화를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have a diameter t2 of 3 mm to 4 mm. If the diameter t2 of 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less than 3 mm, it may be difficult for the electrode tab 7a of the electrode assembly 7 to pass through 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n addition, if the diameter (t2) of 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exceeds 4 mm,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becomes small, and the amount of flame retardant (f) contained therein is insufficient, resulting in secondary battery It may be difficult to prevent ignition.

바람직하게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은 3.1mm ~ 3.9mm일 수 있다.Preferably, 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3.1 mm to 3.9 mm.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 5와 같은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cross-section as Figure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상부(34) 표면의 두께와 하부(33) 표면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upper (34) surface and the lower (33) surfac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상부(34) 표면의 두께에 비해 하부(33) 표면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lower surface 33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34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30)은 소정의 온도에서 상부(34)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하부(33)가 먼저 용융되어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에 수용된 난연재(f)가 하측의 전극조립체(7) 측으로 방출되게 할 수 있다.I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33, which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upper part 34, melts firs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reby forming the insid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contained in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lower electrode assembly (7).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화 방지 캡슐(30)은 도넛(donut)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ped like a donut.

발화 방지 캡슐(30)이 도넛형으로 이루어지면 발화 방지 캡슐(30)의 단부, 모서리부 및 테두리부를 라운딩 처리할 수 있다.I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shaped like a donut, the ends, corners, and edges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rounded.

이와 같이 발화 방지 캡슐(30)의 단부(37) 및 테두리부(35)를 라운딩 처리하게 되면 캔부재(3)의 내부에 설치된 발화 방지 캡슐(30)과 캔부재(30)의 내부와의 충돌이 일어나도 발화 방지 캡슐(30)에 의해 캔부재(30)의 내부에 스크래치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end 37 and the edge 35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re rounded in this way, there is a collision betwee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nstalled inside the can member 3 and the inside of the can member 30. Even if this occurs, damage such as scratches may not occur on the inside of the can member 30 due to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특히, 캔부재(3)의 내측부가 발화 방지 캡슐(30)의 외측 테두리부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로 발화 방지 캡슐(30)을 캔부재의 내부에 설치한다면 발화 방지 캡슐(30)의 단부, 모서리부 및 테두리부를 라운딩 처리하여 캔부재와의 마찰부위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installed inside the can member with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3 applying pressure to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he ends and corners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By rounding the part and edge, damage to the friction area with the can member can be preven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화 방지 캡슐(30)은 너트(nut)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nut shape.

발화 방지 캡슐(30)이 너트형으로 이루어지면 발화 방지 캡슐(30)의 테두리부(35)는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거리인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formed in a nut shape, the edge portion 35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can secure a sufficient height, which is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to the top.

즉, 발화 방지 캡슐(30)의 테두리부(35)의 상기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면 캔부재의 내부에 발화 방지 캡슐(30)을 설치할 시 발화 방지 캡슐(30)의 테두리부(35)와 원형 캔부재의 내부와의 마찰부위를 극대화하여 발화 방지 캡슐(30)과 원형 캔부재의 내부와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That is, if the height of the edge portion 35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sufficiently secured, when installing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nside the can member, the edge portion 35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nd the circular can By maximizing the friction area with the inside of the member,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nd the inside of the circular can member can be increased.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발화 방지 캡슐(30)은 테두리부로부터 하부(33)까지와 상부(34)가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edge to the lower part 33 and the upper part 34.

즉, 발화 방지 캡슐(30)은 테두리부로부터 하부(33)까지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부(34)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from the edge to the lower part 33, and the upper part 34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이러한 테두리부로부터 하부(33)의 고무 소재는 82℃ 이상에서 용융되고, 상부(34)의 플라스틱 소재는 120℃ 이상에서 용융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부(33)가 상부(34)에 비해 먼저 용융되기 때문에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에 수용된 난연재(f)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하측에 위치한 전극조립체(7)를 향해 방출 될 수 있다.From this edge portion, the rubber material of the lower portion 33 can be melted at a temperature of 82°C or higher, and the plastic material of the upper portion 34 can be melted at a temperature of 120°C or higher. As a result, since the lower portion 33 melts earlier than the upper portion 34,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contained withi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release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7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t can be.

또한, 발화 방지 캡슐(30)은 상부(34)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고, 테두리부로부터 하부(33)를 고무로 형성하여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can be easily joined by having the upper part 34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lower part 33 from the edge made of rubber.

더불어 발화 방지 캡슐(30)은 테두리부로부터 하부(33)까지 고무 소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고무 소재의 탄성에 의해 이차전지의 외부 충격 발생 시 발화 방지 캡슐(30)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from the edge to the lower part 33,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material can buffer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to the secondary battery. .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과 전극조립체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B-B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electrode assembly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Figure 10 cut along the line B-B.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발화 방지 캡슐(30)에 발화 방지 캡슐(30)의 타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방출부(b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0 and 11,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mission portion (b1) formed i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o be thinner than other parts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include.

특히 방출부(b1)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하부(33)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요철형상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출부(b1)는 전극조립체(7)의 음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화 방지 캡슐(30)의 저면도상에서 방출부(b1)는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ions b1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33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n an inwardly concave and convex shape. And the emitting portion (b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7). In this case, in the bottom view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he discharge portion b1 may have a circular shape.

방출부(b1)가 전극조립체(7)의 음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도록 발화 방지 캡슐(30)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h)를 전극조립체(7)의 외측 둘레 길이(j)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adjus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j) of the electrode assembly (7) so that the emitting portion (b1) can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7). You can do the same as

발화 방지 캡슐(30)의 타부위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방출부(b1)는 소정의 온도에서 발화 방지 캡슐(30)의 타부위에 비해 먼저 용융될 수 있다. 그리고 방출부(b1)는 하측의 음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음극에 난연재(f)를 집중적으로 방출하게 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ion (b1), which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melt earli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ddition, the emission portion (b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cathode to intensively emit the flame retardant (f) to the cathode.

즉, 이차전지의 내부 발화의 원인이 주로 전극조립체(7)의 충전된 음극(LiC6)에 있기 때문에 방출부(b1)는 전극조립체(7)의 음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난연재(f)를 음극에 집중적으로 방출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이차전지의 발화를 최단 시간에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cause of internal ign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s mainly the charged cathode (LiC6) of the electrode assembly (7), the emitting portion (b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7) and is formed using the flame retardant (f). can be released intensively at the cathode. This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blocking ign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하부(33)에 방출부(b1)가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ion b1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at the lower portion 33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톱니형의 방출부(b1)는 방출부(b1)를 통해 방출되는 난연재(f)가 방출부(b1)의 경사면을 따라 퍼지며 방출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 sawtooth-shaped discharge portion (b1) has the advantage that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b1) can be released while sprea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b1).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하부(33)에 방출부(b1)가 물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ion b1 may be formed in a wave shape at the lower portion 33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물결형의 방출부(b1)는 방출부(b1)의 라운드 처리가 가능하고, 방출부(b1)의 출구측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방출되는 난연재(f)가 넓은 범위로 방출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wave-shaped discharge portion (b1) allows the discharge portion (b1) to be rounded, and the outlet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b1) can be made large in size, allowing the emitted flame retardant (f) to be discharged over a wide range.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도 14는 도 5에서 D부분을 절단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발화 방지 캡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part D in Figure 5.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에 난연재(f)와 공기(g)를 수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a flame retardant (f) and air (g)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발화 방지 캡슐(30)에 수용된 난연재(f)는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 부피의 70%~80%의 부피 비율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에 난연재(f)를 수용하고 남은 20% ~ 30%는 공기(g)를 수용할 수 있다.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accommodated i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accommodated in a volume ratio of 70% to 80%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n addition,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is accommodated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nd the remaining 20% to 30% can accommodate air (g).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발화 방지 캡슐(30)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의 길이(h)와 전극조립체(7)의 외측 둘레부의 둘레 길이(j)는 캔부재(3)의 내측부의 둘레 길이(e)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An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ircumferential length (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j)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7 are the circumferential length (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3. ) can be done in the same way.

이때,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에 난연재(f)와 공기(g)를 수용하게되면,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면 발화 방지 캡슐(30)의 테두리부가 캔부재(30)의 내측부에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온도에서 발화 방지 캡슐(30)이 용융되어 난연재(f)를 캔부재(3)의 내부로 방출 시 팽창된 공기의 내압에 의해 난연재(f)가 분출 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and air (g) are accommodated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he air may expand by heat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n the air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expands, the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ay be pressed against the inner part of the can member 30. And, whe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el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releases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into the interior of the can member 3,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may be eject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panded air.

분출된 난연재(f)에 의해 캔부재(3) 내부의 곳곳으로 빠르게 난연재(f)를 분사하여 신속하게 발화를 차단할 수 있다.The ejected flame retardant (f) can quickly spray the flame retardant (f) to various parts of the inside of the can member (3) to quickly block ign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내부에 발화 방지 캡슐을 설치하여 이차전지의 발열 이후 발화로 이어지는 진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gnition after heat genera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최외곽 소재를 탄성을 갖는 고무로 형성하여 작은 충격에 의해 캡슐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most material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s made of elastic rubber,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psule from being destroyed by a small imp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의 길이와 캔부재의 내측부 둘레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발화 방지 캡슐이 캔부재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to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can member by mak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part of the can member the same.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중앙에 홀을 형성하여 전극조립체와 탑 인슐레이터의 사이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a hole in the center to facilitate installation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top insulator.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상부에 비해 하부의 표면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하부가 상부에 비해 더 빨리 용융되어 발화 방지 캡슐 내부의 난연재가 전극조립체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a thinner surface thickness at the bottom than the upper part, so that the lower part melts faster than the upper part, which has the effect of releasing the flame retardant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단부, 모서리부 및 테두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라운딩 처리 되어 캔부재의 내부에 스크래치 등과 같은 손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at least one of the ends, corners, and edges rounded,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such as scratches to the inside of the can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전극조립체의 음극과 대응하게 방출부를 형성하여 발화의 원인인 충전된 음극을 향해 난연재가 방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forms an emiss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which has the effect of releasing the flame retardant toward the charged cathode, which is the cause of ign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은 하부의 단면이 요철형, 톱니형 및 물결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by having a lower cross s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concavo-convex shape, sawtooth shape, and wavy shape.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와 전극조립체의 외측 둘레부의 둘레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방출부와 전극조립체의 음극의 위치를 서로 대응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the positions of the emitting portion and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correspond to each other by making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same.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내부에 난연재와 공기를 수용하여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됨에 따라 발화 방지 캡슐의 용융 시 난연재가 분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ame retardant and air are accommodated inside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and as the air expands by heat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is ejected whe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melts.

본 발명에 따르면, 테두리부로부터 하부까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 캔부재 외측으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면서 하부가 상부보다 낮은 열에의해 용융되게 하여 난연재가 전극조립체 측으로 방출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from the edge to the bottom, and the upper part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to cushion the impact from the outside of the can member and melt the lower part by lower heat than the upper part so that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can be released toward the electrode assembly.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이 탑 인슐레이터의 저면에 부착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위치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op insulator and has the effect of fixing it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external shock.

본 발명에 따르면, 발화 방지 캡슐의 크기가 전극조립체와 탑 인슐레이터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최적화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is optimiz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top insulato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3: 캔부재
5: 개구부
7: 전극조립체
7b: 음극
7c: 양극
7d: 분리막
10: 탑캡 조립체
11: 탑캡
13: 전류 차단용 안전소자
15: 가스켓
17: 안전벤트
19: 전류차단장치
20: 탑 인슐레이터
30: 발화 방지 캡슐
31: 홀
33: 상부
34: 하부
35: 테두리부
b1: 방출부
h: 발화 방지 캡슐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의 길이
b1: 방출부
j: 전극조립체의 외측 둘레 길이
e: 캔부재의 내측부의 둘레 길이
f: 난연재
g: 공기
3: Can member
5: opening
7: Electrode assembly
7b: cathode
7c: anode
7d: Separator
10: Top cap assembly
11: Top cap
13: Safety element for current blocking
15: gasket
17: Safety vent
19: Current blocking device
20: Top insulator
30: Anti-ignition capsule
31: Hall
33: upper part
34: lower part
35: Edge part
b1: emission part
h: Peripheral lengt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b1: emission part
j: Outer circumference length of electrode assembly
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ner part of the can member
f: flame retardant
g: air

Claims (23)

전극조립체(7)
상기 전극조립체(7)와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캔부재(3);
상기 캔부재(3)의 개구부(5)를 덮는 탑캡 조립체(10);
상기 탑캡 조립체(10)와 상기 전극조립체(7)의 사이를 절연하는 탑 인슐레이터(20); 및
상기 탑 인슐레이터(20)와 상기 전극조립체(7)의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에 난연재(f)를 수용하고 있으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난연재(f)를 상기 캔부재(3)의 내부로 방출시키는 발화 방지 캡슐(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상기 전극조립체(7) 측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된 하부(b)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b)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복수 개로 형성되며, 두께가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타부위에 비해 얇게 형성된 방출부(b1)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부(b1)는 상기 전극조립체(7)의 음극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부(b1)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난연재(f)가 상기 음극으로 방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Electrode assembly (7)
A can member (3)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7) and the electrolyte solution therein;
A top cap assembly (10) covering the opening (5) of the can member (3);
A top insulator (20) that insulates between the top cap assembly (10)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top insulator 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7, contains a flame retardant material f therein, and releases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into the inside of the can member 3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ti-ignition capsule (30);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It includes a lower portion (b)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7),
The lower part (b) is formed in a plurality to be concave inward and includes a discharge part (b1) whos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at of other parts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ission part (b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7) and allows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emitted from the emission part (b1) to be discharged to the cath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는 상기 캔부재(3)의 내측부 둘레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A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equal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중앙에 홀(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or claim 3,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has a hole (31) formed in the cent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31)은 상기 전극조립체(7)의 전극 탭(7a)의 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4,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31) serves as a passage for the electrode tab (7a) of the electrode assembly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상부(a) 표면의 두께에 비해 하부(b)의 표면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has a lower (b) surface thickness thinner than the upper (a) surface thicknes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하부(b)가 열에 의해 먼저 용융되어 상기 난연재(f)를 하측으로 방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6,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b)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first melted by heat to release the flame retardant (f) downwar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도넛(donut)형 또는 너트(nut)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or claim 3,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made of a donut shape or a nut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재(f)는 흑연 소재의 난연재 또는 브롬계 난연재(brominated flame retardant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flame retardant (f) is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graphite flame retardant or a brominated flame retarda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온도는 8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82°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상기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melts a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단부(37) 및 테두리부(3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라운딩(rounding) 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end portion 37 and the edge portion 35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round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하부(b)는 단면이 요철형, 톱니형 및 물결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A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lower part (b)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has a cross-section of at least one of a concave-convex shape, a sawtooth shape, and a wavy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외측 테두리부의 둘레 길이(h)와 상기 전극조립체(7)의 외측 둘레부의 둘레 길이(j)는 상기 캔부재(3)의 내측부의 둘레 길이(e)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circumferential length (h) of the outer edg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nd the circumferential length (j) of the outer edge of the electrode assembly (7) are equal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can member (3). Characteristic secondary batter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내부에 상기 난연재(f)와 공기(g)를 수용하며, 상기 난연재(f)는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 내부 부피의 70% ~ 80%의 부피 비율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2,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ccommodates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and air (g) inside, and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is contained in a volume ratio of 70% to 80%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side an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됨에 따라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테두리부가 상기 캔부재(3)의 내측부에 압착되며,
상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 상기 난연재(f)를 상기 캔부재(3)의 내부로 방출시 상기 공기(g)의 내압에 의해 상기 난연재(f)가 분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6,
As the air expands due to heat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edge portion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ide of the can member 3,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is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n member (3)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f) is eject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 (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테두리부로부터 하부(b)까지와 상부(a)가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edge to the lower part (b) and the upper part (a).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하부(b)까지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a)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8,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from the edge to the lower part (b), and the upper part (a)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고무 소재는 82℃ 이상에서 용융되고,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120℃이상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9,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material melts at 82°C or higher, and the plastic material melts at 120°C or hig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은 상기 탑 인슐레이터(2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op insulator (2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홀(31)은 지름의 길이가 3mm ~ 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4,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31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has a diameter of 3 mm to 4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화 방지 캡슐(30)의 지름의 길이가 5mm ~ 7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In claim 1,
A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ignition prevention capsule (30) is 5 mm to 7 mm.
KR1020180111486A 2018-09-18 2018-09-18 Secondary battery KR102584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86A KR102584601B1 (en) 2018-09-18 2018-09-18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86A KR102584601B1 (en) 2018-09-18 2018-09-18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47A KR20200032447A (en) 2020-03-26
KR102584601B1 true KR102584601B1 (en) 2023-10-05

Family

ID=6995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486A KR102584601B1 (en) 2018-09-18 2018-09-18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6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4510B (en) * 2021-05-31 2022-04-19 浙江南都电源动力股份有限公司 Temperature protection structure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s and protection method
KR102657741B1 (en) 2023-09-19 2024-04-16 주식회사 피씨에스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metal can with flame-retardant coat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618B1 (en) * 2006-01-04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Meddle or Large-sized Battery System Having Safety Device
KR102088700B1 (en) * 2015-10-21 2020-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ube-Typed Member Containing Extinguishing Agents
KR102127307B1 (en) * 2016-10-31 2020-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47A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3254B2 (en) Cell with an outer layer of intumescent material
KR102258179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US7820319B2 (en) Cell thermal runaway propagation resistant battery pack
EP2626925B1 (en) Cap assembly and second battery using same
EP2323192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161629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667966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618120B1 (en) Secondary battery
JP2009245650A (en) Sealed battery
KR102584601B1 (en) Secondary battery
EP2822056B1 (en) Secondary Battery
KR20160019016A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US20140199571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093401B1 (en) Cap Up Plate and Cylinder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60043725A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omprise notch
KR20160085063A (en) Secondary battery
KR101764466B1 (en) Secondary battery
US8709625B2 (en) Cylindr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ontoured center pin
JP7448117B2 (en) secondary battery
KR102351247B1 (en) Secondary battery
KR100778978B1 (en) Can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2245120B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060086022A (en) Secondary battery
KR102294857B1 (en) Secondary battery
KR102161027B1 (en) Cap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