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373B1 -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 Google Patents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373B1
KR102584373B1 KR1020190082556A KR20190082556A KR102584373B1 KR 102584373 B1 KR102584373 B1 KR 102584373B1 KR 1020190082556 A KR1020190082556 A KR 1020190082556A KR 20190082556 A KR20190082556 A KR 20190082556A KR 102584373 B1 KR102584373 B1 KR 10258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olley body
deck
trolle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665A (ko
Inventor
권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3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파이프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트롤리 본체, 트롤리 본체에 구비되고, 삽입부에 수용된 파이프의 상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이프 파지부재 및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롤리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A DECK TROLLEY FOR INSTALL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또는 FLNG(Floating LNG)와 같은 정유시설 등의 해양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FPSO나 FLNG 등의 해양구조물은 해양생산플랜트에서 뽑아낸 원유 또는 가스를 정제하고 이를 저장하여 기타 이송 장소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구조물의 상부 데크에는 각종 플랜트 설비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플랜트 설비들의 가동 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로서 해수를 공급하는 쿨링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쿨링 시스템은 수중펌프 및 수중펌프와 연결되는 흡입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수중펌프는 해양구조물의 하부 데크에 설치된 케이슨(caisson)에 탑재될 수 있고, 수중펌프와 연결되는 흡입 호스는 케이슨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흡입 호스는 케이슨을 통해 해수면으로부터 대략 150m ~ 200m의 깊이까지 설치되어 심층의 해수를 끌어올릴 수 있다.
한편, 케이슨에 흡입 호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해양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노레일 및 모노레일에 연결된 크레인(트롤리 호이스트 등)을 통해 흡입 호스를 케이슨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크레인(C1,C2)을 통해 케이슨(1)에 흡입 호스(H)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입 호스(H)를 케이슨(1)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해양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노레일(M)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크레인(C1)에 흡입 호스(H)를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크레인(C1)에 의해 이송되는 흡입 호스(H)를 해양구조물의 중간 데크에 구비된 하부 크레인(C2)에 인계하여, 하부 크레인(C2)을 통해 흡입 호스(H)를 케이슨(1) 쪽으로 이송하고, 이어서 흡입 호스(H)를 하강시켜 케이슨(1) 내측으로 삽입 및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흡입 호스(H)의 경우 통상 6 ~ 8m 정도로 길이가 길고, 무거운 하중을 가지고 있어, 크레인(C1,C2)에 로프를 통해 지지된 흡입 호스(H)를 수직하게 유지하여 케이슨(1) 내측에 삽입하기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더군다나, 해수면이 요동치는 해상 환경에서는 흡입 호스(H)를 수직하게 세운 상태로 케이슨(1) 내측에 삽입 설치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046810호(등록일: 2019.11.14) "해양시설 및 해양시설의 케이슨 내 흡입호스 설치방법"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구체적으로는 해수면이 요동치는 해상 환경에서도 흡입 호스 등의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케이슨(caisson)에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파이프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트롤리 본체, 트롤리 본체에 구비되고, 삽입부에 수용된 파이프의 상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이프 파지부재 및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롤리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부재는 트롤리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레일에 지지되어, 레일을 따라 트롤리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롤러 및 트롤리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레일의 양측면 및 하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롤러는 롤러 외주면이 레일의 양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트롤리 본체의 탈선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와, 롤러 외주면이 레일의 하면에 지지되어 트롤리 본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제3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한다.
또한, 파이프 파지부재는 트롤리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및 삽입부에 수용된 파이프를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도록 한 쌍의 클램프를 동작시키는 클램프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한다.
또한, 파이프 파지부재는 한 쌍의 클램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고, 클램프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하며, 한 쌍의 클램프에 의해 파지되는 파이프에 비해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한다.
또한, 트롤리 본체는 하부에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고, 파이프 파지부재가 설치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지지프레임 및 작업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는, 크레인 등에 의해 수직하게 지지되어 운반되는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고,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파이프를 케이슨(caisson) 쪽에 위치시킬 수 있어, 파이프를 케이슨 내측으로 삽입 설치하는 작업을 간소화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파이프를 파지할 수 있어, 각종 파이프를 설치하는 설치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의 상하부 및 좌우 측면부에 고정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해수면이 요동치는 해상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크레인을 통해 케이슨에 흡입 호스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통해 파이프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파지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를 통해 파이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파지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파지하는 상태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를 통해 파이프(P)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파지부재(12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13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는 대형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내에 설치되어, 크레인(C)을 통해 이송되는 흡입 호스 등의 파이프(P)를 케이슨(caisson, 1)에 삽입 및 설치하는 작업에 사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 편의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는 트롤리 본체(110), 파이프 파지부재(120) 및 이동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롤리 본체(110)는 흡입 호스 등의 파이프(P)를 수직하게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롤리 본체(110)는 크레인(C)에 의해 수직하게 지지된 파이프(P)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파이프(P)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일 측면에는 파이프(P)가 수용되는 삽입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롤리 본체(110)는 베이스 프레임(111)과,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12) 및 지지프레임(112)의 상부에 지지되는 작업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11)은 데크 상부에 배치되는데, 양측에 이동부재(130)가 구비되어, 이동부재(130)를 통해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작업대(11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12)이 구비되고, 지지프레임(112)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기둥프레임(112a)과, 기둥프레임(112a) 간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프레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12)의 상부에 지지되는 작업대(113)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발판부(113a)와, 발판부(113a)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핸드레일(113b)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작업대(113)에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트롤리 본체(110) 상부에 작업대(113)로 올라갈 수 있도록 계단 또는 사다리 등의 보조 기구(114)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작업대(113)에는 수직하게 배치된 파이프(P)의 상부를 파지하는 파이프 파지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트롤리 본체(110)의 일 측면 즉, 지지프레임(112)과 작업대(113)의 일 측면에는 수직하게 배치된 파이프(P)가 지지프레임(112) 및 작업대(11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112) 및 작업대(113)가 일 측면이 개방된 "ㄷ" 형태의 형성됨으로써, 지지프레임(112)과 작업대(113)가 일 측면에 개방된 삽입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롤리 본체(110)는 하부에 구비된 이동부재(130)를 통해 데크 상의 레일(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측면부에 형성된 삽입부(115)를 통해 크레인(C) 등에 의해 수직하게 지지된 파이프(P)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트롤리 본체(110)는 파이프(P)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8m 정도의 흡입 호스 등의 파이프(P)를 수용할 수 있도록 8m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파이프 파지부재(120)는 트롤리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삽입부(115)를 통해 트롤리 본체(110)에 수용되는 파이프(P)의 상부를 파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 파지부재(120)는 트롤리 본체(110)의 작업대(113)에 구비될 수 있는데, 작업대(113)에 형성된 삽입부(115)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121)와, 삽입부(115)에 수용된 파이프(P)를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하도록 한 쌍의 클램프(121)를 동작시키는 클램프 구동수단(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클램프(121)는 판체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부(115)에 수용되는 파이프(P)의 외주면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삽입부(115)를 향하는 선단부가 라운드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파이프(P)를 파지하는 클램프(121)의 선단부에는 파이프(P)와의 밀착력 및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합성수지가 코팅될 수 있고, 코팅되는 합성수지로는 내마모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polyamid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구동수단(122)은 한 쌍의 클램프(121)와 각각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미도시)와, 유압실린더(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유압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공급부(미도시)에서 한 쌍의 클램프(121)에 각각 연결된 유압실린더(미도시)로 유압을 제공하여 유압실린더(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이러한 유압실린더(미도시)를 통해 한 쌍의 클램프(121)를 동작시켜 작업대(113)의 삽입부(115)에 수용된 파이프(P)를 파지 또는 파지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구동수단(122)이 유압실린더(미도시) 및 유압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유압을 통해 한 쌍의 클램프(121)를 동작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클램프 구동수단이 전동모터 및 전동모터의 동력을 한 쌍의 클램프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전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한 쌍의 클램프를 동작시킬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파이프 파지부재(120)는, 한 쌍의 클램프(121)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작업대(113)의 삽입부(115)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 클램프(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클램프(123)는 클램프(121)의 상부에 구비되고, 클램프(121)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115)를 향하는 선단부가 라운드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클램프(123)의 라운드지게 함몰된 선단부는 클램프(121)의 선단부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클램프(121)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파이프(P)에 비해 작은 직경의 파이프(P)나 그 외의 파이프 형태의 장비 등을 파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보조 클램프(123)의 선단부에도 파이프(P)와의 밀착력 및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합성수지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클램프(123)는 클램프 구동수단(122)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동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파지부재(120)는 한 쌍의 클램프(121)와 한 쌍의 보조 클램프(123)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파이프(P)를 파지할 수 있어, 각종 파이프(P)를 설치하는 설치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130)는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10)을 따라 트롤리 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130)는 트롤리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트롤리 본체(110)의 베이스 프레임(111) 양측에 한 쌍씩 구비되어,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30)는 데크 상의 레일(10)을 따라 트롤리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트롤리 본체(110)를 레일(10)에 공고히 고정함으로써, 트롤리 본체(110)가 이동 중에 기울어지거나 레일(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재(130)는 트롤리 본체(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10)에 지지되어, 레일(10)을 따라 트롤리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주행롤러(131)와, 트롤리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행롤러(131)를 회전시키는 주행구동부(미도시) 및 트롤리 본체(1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레일(10)의 양측면 및 하면에 지지되어 트롤리 본체(110)의 탈선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32,13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롤러(131)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측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10)에 지지될 수 있고, 주행구동부(미도시)는 주행롤러(131)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주행롤러(131)를 회전시킴으로써, 주행롤러(131)를 통해 레일(10)을 따라 트롤리 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각 코너 부분에 구비된 복수개의 주행롤러(131)를 통해 트롤리 본체(110)를 레일(10)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주행구동부(미도시)는 주행롤러(131)와 연결되어 주행롤러(1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롤러(132,133,134)는 주행롤러(131)와 인접하여 베이스 프레임(111)의 측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롤러 외주면이 레일(10)의 양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트롤리 본체(110)의 탈선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132,133)와, 롤러 외주면이 레일(10)의 하면에 지지되어 트롤리 본체(1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제3 가이드롤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일(10)의 상면에 주행롤러(131)가 지지되고, 레일(10)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132,133)가 지지되며, 레일(10)의 하면에 제3 가이드롤러(134)가 지지됨으로써, 주행롤러(131) 및 복수의 가이드롤러(132,133,134)가 레일(10)의 상하좌우 4면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일(10) 상에서 소정 높이로 배치된 트롤리 본체(110)가 레일(10)에 공고히 고정된 상태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롤러(131) 및 복수의 가이드롤러(132,133,134)가 지지되는 레일(10)이 I-빔 형태의 레일프레임(10a) 상부에 일체로 구비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고, 이에 따라 레일(10)의 상면에 주행롤러(131)가 지지되고, 레일(10)의 양측면에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132,133)가 지지되며, 레일(10)의 하부 쪽인 레일프레임(10a)의 상판 하면에 제3 가이드롤러(134)가 지지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동부재(130)에는 주행롤러(131)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더불어 트롤리 본체(110)에는 작업자가 주행구동부(미도시)와 제동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콘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는, 흡입 호스 등의 파이프(P)를 케이슨(caisson, 1) 내측으로 삽입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크레인(C) 등에 의해 수직하게 지지되어 운반되는 파이프(P)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고,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여, 파지된 파이프(P)를 케이슨(1) 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파이프(P)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P)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파이프 파지부재(1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클램프(121)와 한 쌍의 보조 클램프(123)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파이프(P)를 파지할 수 있어, 각종 파이프(P)나 파이프 형태의 장비를 설치하는 설치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는,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트롤리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된 주행롤러(131) 및 복수의 가이드롤러(132,133,134)를 통해 레일(10)의 상하좌우 4면에 고정된 상태로 레일(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8미터 이상의 높이를 갖는 트롤리 본체(110)가 해수면이 요동치는 해상 환경에서도 레일(10)에서 이탈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작업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를 이용하여 파이프(P)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를 통해 파이프(P)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또는 FLNG(Floating LNG)와 같은 정유시설 등의 해양구조물에는 장비의 원활한 운전을 위해 쿨링 시스템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쿨링 시스템은 150m ~ 200m의 깊이로 복수의 파이프(P)를 수직하게 연결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파이프(P)를 통해 해수를 빨아들여 냉각수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해양구조물 하부의 케이슨(caisson, 1) 내측으로 파이프(P)를 삽입하여 연결 설치하는 과정에서, 데크 트롤리(100)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파이프(P)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해양구조물 하부의 케이슨(1) 내측으로 파이프(P)를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해양구조물의 상부 데크에 배치되는 파이프(P)를 하부 데크 쪽으로 운반해야하는데, 해양구조물의 상부 데크에 설치되는 모노레일(M) 및 크레인(C)을 이용하여 파이프(P)를 수직으로 세워 하부 데크 쪽으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데크 트롤리(100)는 하부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하부 데크 상에는 파이프(P)를 삽입하기 위한 케이슨(1)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C)에 의해 파이프(P)는 하부 데크 쪽으로 하강하여 데크 트롤리(100) 쪽으로 운반될 수 있고, 이때 데크 트롤리(100)가 파이프(P)를 삽입부(115) 내측으로 수용하여 파이프 파지부재(120)를 통해 파이프(P)의 상부를 파지할 수 있다.
다음, 파이프(P)를 파지한 데크 트롤리(100)는 이동부재(130)를 통해 하부 데크 상에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여 파이프(P)를 케이슨(1)의 입구에 배치시킬 수 있고, 파이프 파지부재(120)를 해제함으로써 크레인(C)에 지지된 파이프(P)를 케이슨(1) 내측으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데크 트롤리(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30)는 레일(10)의 상하면 및 좌우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레일(10)일 따라 이동함으로써, 해수면이 요동치는 해상 환경에서도 데크 트롤리(1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데크 트롤리(100)에 구비되는 파이프 파지부재(120)는 한 쌍의 클램프(121)와 한 쌍의 보조 클램프(123)를 이용하여 직경이 다른 파이프(P)나, 그 외의 파이프 형태의 장비 등을 파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파지부재(120)를 이용하여 파이프(P)를 파지하는 상태를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예로써, 파이프 파지부재(120)에 구비된 한 쌍의 클램프(121)를 이용하여 에어 호스 등의 파이프(P)나 동일한 직경의 다른 파이프(P) 장비를 파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보조 클램프(123)를 통해서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종류의 파이프 형태의 장비(T)를 파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100)는, 크레인(C) 등에 의해 수직하게 지지되어 운반되는 파이프(P)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고,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여 파이프(P)를 케이슨(caisson, 1) 쪽에 위치시킬 수 있어, 파이프(P)를 케이슨(1) 내측으로 삽입 설치하는 작업을 간소화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파이프(P)를 파지할 수 있어, 각종 파이프(P)를 설치하는 설치 작업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10)의 상하부 및 좌우 측면부에 고정된 상태로 레일(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해수면이 요동치는 해상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파이프(P)를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110 : 트롤리 본체
120 : 파이프 파지부재 121 : 클램프
122 : 클램프 구동수단 123 : 보조 클램프
130 : 이동부재 131 : 주행롤러
132,133,134 : 가이드롤러

Claims (6)

  1. 일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파이프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트롤리 본체;
    상기 트롤리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에 수용된 파이프의 상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이프 파지부재; 및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롤리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파지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클램프에 의해 파지되는 파이프에 비해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클램프; 및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또는 상기 한 쌍의 보조 클램프를 동작시키는 클램프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트롤리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트롤리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롤러; 및
    상기 트롤리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레일의 양측면 및 하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는,
    롤러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양측면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트롤리 본체의 탈선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롤러; 및
    롤러 외주면이 상기 레일의 하면에 지지되어 상기 트롤리 본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제3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4. 삭제
  5. 삭제
  6. 일 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파이프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트롤리 본체;
    상기 트롤리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에 수용된 파이프의 상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이프 파지부재; 및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롤리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 본체는,
    하부에 상기 이동부재가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 파지부재가 설치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작업대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KR1020190082556A 2019-07-09 2019-07-09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KR10258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556A KR102584373B1 (ko) 2019-07-09 2019-07-09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556A KR102584373B1 (ko) 2019-07-09 2019-07-09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65A KR20210006665A (ko) 2021-01-19
KR102584373B1 true KR102584373B1 (ko) 2023-09-27

Family

ID=7423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556A KR102584373B1 (ko) 2019-07-09 2019-07-09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3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512A (ja) * 1999-12-16 2001-06-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296U (ko) * 2012-06-13 2013-12-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베벨링 작업용 파이프 받침장치
KR20140004732U (ko) * 2013-02-13 2014-08-21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장 작업용 대차
KR102046810B1 (ko) 2013-08-30 2019-1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시설 및 해양시설의 케이슨 내 흡입호스 설치방법
US9926753B2 (en) * 2014-05-16 2018-03-27 Nabors Industries, Inc. Parking system for a pipe racker on a drilling ri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512A (ja) * 1999-12-16 2001-06-26 Murata Mach Ltd 有軌道台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65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4166B (zh) 海中管道安装系统和方法
EP1740866B1 (en) Marine pipelay system and method
EP2667070B1 (en) Marine pipelin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CN104956133B (zh) 海洋管线的安装系统和方法
WO2004068012A2 (en) Pipelaying vessel
US8783478B2 (en) Hoisting crane and offshore vessel
US6926259B1 (en) Hoist system
CN107667243B (zh) 海上船、海下管道安装系统和方法
NO821053L (no) Roerleggingskip
KR101647386B1 (ko) 듀얼 탑드라이브를 가지는 데릭
US2006027510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aying of elongate articles from a vessel
US3877583A (en) Pipe racking system
KR102584373B1 (ko) 파이프 설치용 데크 트롤리
US4082193A (en) Pipe handling apparatus
JP4981754B2 (ja) 荷吊り装置
EP2646724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aying offshore pipelines
CN107002909B (zh) 用于升降海底管道及其所包括的一个或更多个附件的海洋管道铺设系统及方法
GB2547418A (en) Friction grip lay system
CN111059357A (zh) 海管维修作业支持平台
KR20130036406A (ko) 시추선의 스파이더 앤드 짐벌 이송 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N104832710A (zh) 海中管道安装系统和方法
EP3485188B1 (en) Installation pallet
US20090200529A1 (en) Multi-use hoist system
KR101475404B1 (ko) 곡선체결부를 이용한 폐 파이프라인 회수 방법
JP2021095683A (ja) セグメントの搬入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