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146B1 -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146B1
KR102584146B1 KR1020230043580A KR20230043580A KR102584146B1 KR 102584146 B1 KR102584146 B1 KR 102584146B1 KR 1020230043580 A KR1020230043580 A KR 1020230043580A KR 20230043580 A KR20230043580 A KR 20230043580A KR 102584146 B1 KR102584146 B1 KR 10258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flange
steel pipe
fitting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세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인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인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43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co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 F16L43/006Bends; Siphons made of metal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 및 급수관용수, 공업용수가 공급되는 스테인리스 (stainless) 강관을 포함한 관의 이음부인 복수개 강관 플랜지에 설치된,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과 탄성이 향상된 강관 이음쇠에,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특히,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관에 연결된 밴딩연결구가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가능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Stainless steel pipe with improved sealing force and connection with easy angle adjustmen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본 발명은,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수도가 공급되는 스테인리스 (stainless) 강관을 포함한 관의 이음부인 복수개 강관 플랜지에 설치된,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과 탄성이 향상된 스테인리스 강관 이음쇠에,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스테인리스 강관의 연결 및 설치 작업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관 이음쇠에 의하여,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특히, 스테인리스 강관에 본 발명 구성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가능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시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강관을 포함한 관의 연결방법은, 그립형 장치를 이용한 방법, 홈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방법, 플랜지를 결합하여 연결하는 방법, 두 관의 접합부분을 용접하여 직접 연결하는 방법, 두 관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된 링에 조인트를 끼워 연결하는 방법 및 한쪽 관의 확관된 부위에 타측 관을 끼워넣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상수도 및 급수관용수,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강관을 포함한 관이음용 이음부는, 강관을 포함한 좌우 연결용 복수개의 관에 복수개의 관이음용 이음매가 위치,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특히, 두 관의 관이음용 이음매의 접합부가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강관을 포함한 관의 표면에 나사를 내거나 가공된 구조로 구성되어, 강관을 포함한 관의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복수개 관의 이음 사이에 패킹(가스켓)을 끼운 상태에서 조임 너트로 조임하면 누수방지용 패킹(가스켓)이 압착되어 중심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변형되어 유체압을 받으면 관의 누수 현상 및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좌우 연결용 복수개 관에 복수개의 관이음용 이음매를 설치하기가 불편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투하공수가 증가되며,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관 이음매로, 국내 공개특허 2010-0046104호(루즈 플랜지식 관 이음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공개특허 2010-0046104호 '루즈 플랜지식 관 이음매(1)'는,
금속 재질의 루즈 플랜지(2,2')의 평면이 대략 도너츠형이고, 접속해야 할 파이프(3, 3)와 별개로 형성하고, 파이프(3, 3)는 동일 또는 유사한 직경의 금속관이다.
플랜지(2)에는 원주방향으로 2개 이상의 볼트 설치구멍(5)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플랜지 내경은 접속 파이프(3)의 외경보다 크며, 각 설치구멍(5)의 안 둘레면을 통과하는 가상 원의 직경은, 파이프(3)의 플랜지부(7)의 외경 및 보강링(8)의 내경보다 크다.
플랜지(2)는 분할형의 루즈 플랜지(도시 생략) 관 끝단부를 확관(Flaring) 가공후에 파이프(3)에 각각 끼워 맞춘다.
양쪽의 파이프(3, 3)는, 보강링(8) 및 탄성 가스킷(10)을 사이에 두고 플랜지부(7)의 표면을 맞대고, 플랜지의 설치구멍(5) 및 보강링(8)의 관통구멍(미도시)에 볼트(14)를 통과시켜 너트(16)로 가고정한다.
보강링(8)은 2개의 관통구멍에 볼트(14)를 통과시키면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그 위치 결정 후에 4개의 볼트(14)를 너트(16)로 조이면 된다.
탄성 가스킷(10)은 탄성이 풍부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제이고, 그 횡단면은 대략 V자형 배치의 립부를 가지는 직사각형체이다. 탄성 가스킷(10)은, 그 외경은 보강링(8)의 내경과 대략 같고, 또한 그 내경은 접속 파이프(3)의 내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해당 내경보다 다소 커지도록 정한다.
탄성 가스킷(10)에서, 그 횡단면이 대략 V자형의 립부를 가지는 직사각형체이기 때문에, 해당 횡단면의 안둘레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져 있고, 이 오목부에 의해 파이프 내부의 압력으로 탄성 가스킷(10)의 측면이 파이프(3)의 플랜지부 표면에 미쳐 바깥 둘레면이 보강링(8)쪽으로 압착되기 쉬워진다. 가스킷(10)의 횡단면에서 립부가 비스듬하게 아래쪽을 향하여 외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양 립부의 선단사이의 간격은 가스킷(10)의 축방향 폭보다 큰 것에 의하여, 해당 가스킷(10)의 측면이 파이프(3)의 플랜지부 표면에 더욱 밀착되기 쉽다.
둥근 고리형상의 보강링(8)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보강링(8)은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또는 주물제이며, 탄소강 또는 주물제의 경우에는 아연도금이나 수지 코팅 등의 방식(防蝕) 표면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보강링(8)에는 직경방향에 관하여 반대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연장부를 연장 설치하고, 해당 연장부에 각각 볼트 설치구멍을 설치하고 있다.
연장부는 주변이 반원형인 텅(tongue) 형상의 평면형상을 가지고, 그 중심에 원형의 볼트 설치구멍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루즈 플랜지식 파이프 이음매는 플랜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절곡전에 삽입 후 파이프를 절곡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파이프의 플랜지과 플랜지, 볼트, 너트의 손상 및 부식이 발생되는 동시에 파이프의 기,수밀성이 저하되고, 유체의 누수에 의한 파이프의 부식이 발생되며;
파이프의 절곡 전 이음매를 삽입 후 절곡된 방식으로, 제조공장에서 표준화된 강관과 이음매인 플렌지가 복합된 제품으로 제조가 곤란하며;
이음매인 플렌지가 일반적인 플랜지 이음방식으로 많은 볼트작업이 필요하여 시공 및 가공시간이 연장되고, 시공비가 증가되며;
이음매인 플렌지의 해체 또는 재설치시에, 유지 관리가 불편하고,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투하공수가 증가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87172호(20031010)는,
일측 강관(2b)의 플랜지에 당접되게 구비되는 소경부(13)와 소경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캡 너트의 연벽부(16)와 계합하는 대경부(12)가 구비된 제2슬리브(11) 및 타측 강관(2a)의 플랜지에 당접되게 구비되며 외주에 공구 부착부(9)가 형성된 소경부(7)와 소경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 형성되고 캡 너트의 암나사부(15)에 나합하도록 외주에 수나사부(8)가 형성된 대경부(6)가 구비된 제1슬리브(5) 및,
제1,2슬리브의 외부에 구비되고, 제2슬리브의 대경부에 계합하는 연벽부
(16)와 제1슬리브의 수나사부에 나합하는 암나사부(15)를 포함하는 캡너트(14)와,
스테인리스 강관(2a,2b)의 플랜지(4) 사이에 장착되는 패킹(19)으로 구성된,
『 복수개 강관(2a,2b)의 이음부인 플랜지(4) 사이에 패킹(19)이 장착된 구성의, 배관 이음 장치로 구성 』되어 있으나;
공구 부착부(9)가 형성된 소경부(7)와 소경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 형성되고 캡 너트의 암나사부(15)에 나합하도록 외주에 수나사부(8)가 형성된 대경부(6)가 구비된 제1슬리브(5)와, 소경부(1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캡 너트(14)의 연벽부(16)와 계합하는 대경부(12)가 구비된 제2슬리브(11) 및 캡너트(14)로 구성 및, 복수개 강관(2a, 2b)의 이음부인 플렌지(4)의 사이에 패킹(19)이 장착되는 구성으로,
패킹(19)을 끼운 상태에서 캡너트(14)로 조임하면 플렌지(4)와 캡너트(14)사이에 공간이 미확보된 이음구조에 의하여;
패킹(19)이 플렌지(4)의 사이에서 조임 힘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유동되면서 압착되어, 중심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변형되어 유체압을 받으면 강관의 누수 현상 및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복수개 강관(2a, 2b)의 이음부인 플렌지(4)와 캡너트(14)의 사이에 패킹의연결면적에 비하여 더욱 넓은 연결면적의 공간이 미형성된 이음구조로서,
패킹(19)을 설치하기가 불편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투하공수가 증가되며,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종래기술에 해당된 배관 이음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1-004643호(20210114)는,
너트(130)의 제2둘레의 벽단부(132)가 슬리브(120)의 플랜지(124)에 결합되도록 슬리브의 외주면에 계단형 단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나사식 배관이음장치로서,
너트(130)를 조여 플랜지(124)의 사이에 삽입된 패킹이 압착되는 구성으로,
『 복수개관의 플랜지(124) 사이에 패킹이 장착되는 배관이음장치로 구성 』된 것으로서;
이 또한, 복수개 관의 플랜지(124) 사이에 패킹을 끼운 상태에서 너트(130)로 조임하면 복수개 관의 플랜지(124)와 너트(130)의 사이에 패킹의 연결면적에 비하여 넓은 연결면적의 공간이 미형성된 이음구조에 의하여,
패킹이 플렌지(124)와 너트(130)의 사이에서 조임 힘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유동되면서 압착되어 중심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변형되어 유체압을 받으면 관의 누수 현상 및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패킹을 설치하기가 불편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투하공수가 증가되며,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종래기술에 해당된 배관이음장치로 구성 』되어 있다.
특히, 상기 국내 공개특허 2010-0046104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87172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1-004643호를 포함한 종래기술의 '복수개 관 이음부(이음매) 및 그의 설치방법'은;
패킹이 중심위치에서 이탈하거나 변형 됨으로 인한 수밀성과 기밀성이 저하되어 유체압을 받으면 관의 누수 발생 및 수압에 취약하며, 진동이나 고온 유체의 수송에는 부적합한 문제점과;
관의 양측면에 플렌지부 가공에 의한 관의 표면 손상에 따른 내구성 저하 및 부식으로 인한 녹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가공 숙련정도에 따른 품질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시공현장에 가공설비를 별도로 설치,이동 및 가공설비가 별도로 설치 됨에 따라 전기를 포함한 동력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스테인리스 또는 금속재질의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연장을 위하여 다수개의 스테인리스 강관을 연결구로 연결 시공시에, 현장조건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관에 연결된 스테인리스 또는 금속재질의 연결구의 밴딩(BENDING)을 위하여 연결구를 밴딩설비인 압착기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밴딩(BENDING)을 함으로서,
스테인리스 강관 또는 스테인리스 강관에 연결된 연결구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가 곤란하고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투하공수 증가로 인한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테인리스 강관 이음쇠에 의하여,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과 탄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특히, 스테인리스 강관에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밴딩(BENDING)이 가능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 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한 구성의; '이음쇠와 밴딩연결구가 구비된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강관 이음쇠에 의하여,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특히, 스테인리스 강관에 본 발명 구성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가능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 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하고, 투하공수와 시공비가 절감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 포켓형 볼트(30) 및 조임가이드(40), 가스켓(6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원터치식으로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에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이 용이한 구성의 강관 이음쇠(100)의 표면에 코팅 또는 도포되어 피복된 복합폴리에틸렌 수지 재질의 수지피복층(20)이 구비된 강관 이음쇠(100)에 연결 설치된;
플랜지(240)가 구비된 직관형태의 강관 본체(210) 및, 강관 본체(210)의 중앙부위에 강관 본체(210)의 외경에 비하여 5 내지 30㎜ 높이로 강관 본체(21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와,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의 사이에 구비된 강관 본체(210)의 외경과 동일한 높이의 다수개의 밴딩요홈부(230)와, 강관 본체(210) 및 밴딩돌출부(220), 밴딩요홈부(230)의 표면에 코팅 또는 도포되어 피복된 복합폴리에틸렌 수지 재질의 수지피복층(20)이 구비된 밴딩연결구(200) 』로 구성된, 본 발명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과;
본 발명의 S1 내지 S6 단계의;
『 S1 단계: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가 각기 형성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 사이에 실링부인 가스켓이 삽입, 설치되는 단계:와,
S2 단계:
가스켓이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일측면에 스테인리스 또는 고무,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가 거치 및, 본체의 상,하부에 구비된 플랜지적층부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외부에 적층되고, 플랜지적층부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고정홀에 플랜지의 외면이 삽입 고정되어,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강관의 플랜지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계:와,
S3 단계: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외부에 이음쇠인 포켓형 볼트, 조임가이드, 잠김너트가 각기 설치되는 단계:와,
S4 단계:
조임가이드가 포켓형 볼트로 전진 이동 됨으로서, 원-터치식으로 포켓형 볼트의 내부에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가 삽입 설치 및 조임가이드의 밀착구가 포켓형 볼트의 조임가이드 밀착면에 밀착되어,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압착 설치되고, 가스켓이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압착 설치되는 단계;와,
S5 단계: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가 삽입 설치된 포켓형 볼트 및 조임가이드의 외부에, 잠김너트가 장착되어 잠김너트를 조여 잠김너트의 나사식 체결구가 포켓형 볼트의 나사식 체결구에 대응 체결되어,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수직방향으로 2차 압착되어, 이음쇠의 설치가 완료되는 단계;와,
S6 단계:
이음쇠에 설치된 스테인리스 강관 타측면 끝단부의 플랜지와, 밴딩연결구 일측면 끝단부의 플랜지의 외부에 이음쇠 2가 설치되는 단계; 』로, 구성된,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강관 이음쇠 및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특히, 스테인리스 강관에 본 발명 구성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가능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 작업이 더욱 용이한 효과와;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한 효과와;
투하공수가 절감되고, 시공비가 절감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루즈 플랜지식 관 이음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강관 이음쇠를 분해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강관을 분해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누수방지구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스테인리스 강관의 결합 및 설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이중잠김 이음쇠의 수압시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
도 9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강관 및 밴딩연결구의 설치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본 발명에 언급된 '강관 이음쇠'는,
본 출원인이 본 발명과 동일자로 별개의 특허인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으로 출원 되었으며;
본 발명은, 강관 이음쇠가 설치된 스테인리스 강관에 밴딩연결구가 설치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으로 구성 됨을 명백히 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의 해당 구성물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도 7 및 도 8의 공인기관 수압시험 시험성적서에 의하여 명확히 판명된바와 같이, 관의 이음부인 복수개 강관 플랜지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에 의하여 잠김너트를 조이면 실링부인 가스켓(패킹)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어,
관의 이음부인 복수개 강관 플랜지의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인 가스켓(Gasket: 패킹)의 이탈이 방지되고 밀폐력이 강화되는 동시에, 가스켓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어, 높은 유체압에도 불구하고 두 관의 이음부가 수압성과 기밀성이 강화되어 유체의 누수가 방지되고;
비파괴형 이음 구조로, 관의 끝단부가 플렌지(Flange)로 가공된 플레어 가공면인 이음부가 구비된 강관의 표면에 수지피복층이 피복되어, 이음부가 구비된 강관의 내구성이 더욱 강화되며;
탄성이 향상되고, 원터치식으로 이음작업이 단순화되어 숙련도에 따른 품질편차가 적고 표준화가 가능하고;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이 편이한 동시에,
특히, 스테인리스 강관에 본 발명 구성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가능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 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하고, 투하공수와 시공비가 절감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으로, 구성 됨을 명확히 하며;
이하 언급된 실시예는 바람직한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범주의 기술사상으로 구성된 '관이음용 이음부(이음매)와 연결구 및 그의 설치방법'은 본 권리에 포함 됨을 분명히 한다.
도 2는 본 발명 강관 이음쇠를 분해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강관을 분해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누수방지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스테인리스 강관의 결합 및 설치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이중잠김 이음쇠의 수압시험 공인기관 시험성적서이고,
도 9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강관 및 밴딩연결구의 설치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기재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은;
플랜지가 구비된 직관형태의 강관 본체 및, 밴딩연결구의 표면에 복합폴리에틸렌 수지 재질의 수지피복층(20)이 구비된 스테인리스 강관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수도가 공급되는 복수개 스테인리스 (stainless)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누수방지구: 도 5 참조)
포켓형 볼트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된 삽입부(32)인 포켓 내부에, 수지피복층(20)이 표면에 구비된 복수개 강관(10,10')과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및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사이에 구비된 실링부인 가스켓(패킹:60)이 삽입되고:
가스켓(패킹:60)이 삽입된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구비되며:
포켓형 볼트(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임가이드(40)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시에, 수평방향의 힘이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및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
(11,11')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60)과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전달되어,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고:
상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의 외부에 구비된 잠김너트(50)를 조일시에, 잠김너트 본체(51)의 내부에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수직방향으로 잠김 힘이 전달되어,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
(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의하여, 가스켓(60)이 수평, 수직방향의 양방향으로 압착되어 두 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사이에서 더욱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고:
상기 잠김너트(50)를 조이거나 풀을시에,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
(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조립 또는 해체되어,
포켓형 볼트(30) 및 조임가이드(40), 가스켓(6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
(70)가 원터치식으로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에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복합폴리에틸렌 수지 재질의 수지피복층(20)이 강관 이음쇠
(100)의 표면에 도포 또는 코팅되어 피복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 이음쇠(100)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강관 이음쇠(100)에 연결 설치된:
플랜지(240)가 구비된 직관형태의 강관 본체(210) 및, 강관 본체(210)의 중앙부위에 강관 본체(210)의 외경에 비하여 5 내지 30㎜ 높이로 강관 본체(21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와,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의 사이에 구비된 강관 본체(210)의 외경과 동일한 높이의 다수개의 밴딩요홈부(230)와, 강관 본체(210) 및 밴딩돌출부(220), 밴딩요홈부(230)로 구성된 밴딩연결구(200)의 표면에 코팅 또는 도포되어 피복된 복합폴리에틸렌 수지 재질의 수지피복층(20)이 구비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밴딩연결구(2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직관형태의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이음이음쇠(100)인 이음쇠 1(101)이 설치되고,
상기 직관형태의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직관형태의 강관 본체(210)의 중앙부위에 밴딩돌출부(220)와 밴딩요홈부(230)가 구비된 밴딩연결구(200)의 이음부인 플랜지 1(241)의 외부에 이음쇠 2(102)가 설치되며,
현장 조건에 따라 강관의 길이를 더욱 연장시는, 직관형태의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밴딩연결구(200)의 이음부인 플랜지 2(242)의 외부에 이음쇠 3(103)이 설치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밴딩연결구(200)는;(도 3, 도 4, 도 6 참조)
플랜지가 구비된 직관형태의 강관인 본체(210) 및, 상기 본체(210)의 중앙부위에 본체(210)의 외경에 비하여 5 내지 30㎜ 높이로 본체(21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와,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의 사이에 구비된 본체(210)의 외경과 동일한 높이의 다수개의 밴딩요홈부(230)가 구비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밴딩연결구(200)로서,
상기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는, 강관 본체(210)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0 내지 40도의 경사각도(기울기)로 구성되며, 5 내지 15도의 경사각도(기울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테인리스 강관(100)에 본 발명 구성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200)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200)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가능한 밴딩연결구(200)의 구성으로,
종래기술의, 스테인리스 또는 금속재질의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연장을 위하여 다수개의 스테인리스 강관을 연결구로 연결 시공시에, 현장조건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관에 연결된 스테인리스 또는 금속재질의 연결구의 밴딩(BENDING)을 위하여 연결구를 밴딩설비인 압착기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밴딩(BENDING)을 함으로서,
스테인리스 강관 또는 스테인리스 강관에 연결된 연결구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가 곤란하고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투하공수 증가로 인한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개선된 동시에,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밴딩설비인 압착기로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용이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하고, 투하공수와 시공비가 절감되며,
플랜지의 가공에 의한 관의 표면 손상과 이음부의 부식으로 인한 녹 발생이 방지되어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더욱 강화되고, 강관 본체(210) 및 밴딩돌출부(220), 밴딩요홈부(230)의 표면에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 수지피복층(20)이 코팅 또는 도포시에 접합력이 더욱 강화된 구성의; 밴딩연결구(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강관 이음쇠(100)의 강관(10,10')과 포켓형 볼트(30), 조임가이드(40), 잠김너트(50), 가스켓(패킹:6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는;(도 2 참조)
1) 복수개 관의 끝단부가 "L"형 플렌지(Flange)로 가공된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각기 형성된 강관(10,10')의 표면에,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가 코팅 또는 도포되어 수지피복층(20)이 피복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10,10')과;
2) 수지피복층(20)이 코팅 또는 도포되어 피복된 이음부인 플랜지(11, 11)의 외부에 구비된 소켓부인 포켓형 본체(31)와,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된 강관(10,
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및 가스켓(패킹:60)이 삽입되는 삽입부(32)와, 본체(31)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임가이드(40)가 이동시 조임가이드의 밀착구(42)가 이동 밀착되는 조임가이드 밀착면(33) 및 잠김너트(50)의 나사식체결구(52)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나사식체결구(34)가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와;
3) 포켓형 볼트(3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포켓형 볼트(30)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한 본체(41)와, 본체(41)의 타측면에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이동 밀착되는 밀착구(42)와, 본체(41)의 외부에 구비된 잠김너트(50)가 적층시 잠김너트(50)의 조임가이드 적층구(53)가 적층, 지지되는 잠김너트 지지구(43)가 구비된 조임가이드(40)와;
4)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의 외부에 구비되어 포켓형 볼트(30)
와 조임가이드(40)의 잠김,해체가 가능한 본체(51)와, 본체(51)의 내부에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의 나사식체결구(34)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나사식체결구(52)와, 나사식체결구(52)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임가이드(40)의 잠김너트 지지구(43)에 적층 지지되는 조임가이드 적층구(53)가 구비된 잠김너트(50)와;
5) 강관(10,10')의 이음부(11,11')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패킹:60)과;
6) 가스켓(패킹:60)이 삽입된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되어, 조임가이드(40)가 전진 이동시 조임가이드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되는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임가이드(40)가 전진 이동시 조임가이드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되어,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
(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의하여, 가스켓(패킹:60)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사이에서 더욱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고,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어, 실링부인 가스켓(60)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강관 이음쇠
(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강관(10,10')은;
복수개 관(10,10')의 끝단부가 "L"형 플렌지(Flange)로 가공된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각기 형성하되,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형성된 강관(10,10')과 플랜지(11,11')의 표면
에,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가 코팅 또는 도포되어 수지피복층(20)이 피복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10,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테인리스 재질 이외의 금속재질의 강관으로 구성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지피복층(20)은;
피복용 폴리에틸렌을 주체로 한 에틸렌 중합체의 합성수지 조성물로,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85 내지 95중량%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15중량%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로 조성되고, 윤활제와 산화 방지제, 내후성 향상 및 착색을 위한 카본블랙을 포함한 안료인 첨가제가 혼합되어 균일하게 분산 시킨 평균밀도 0.920 내지 0.950 g/㎤ 범위의 압출식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로 조성되어,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형성된 강관(10,10') 및 강관 이음쇠(100), 밴딩연결구(200)의 표면에,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가 코팅 또는 도포되어 피복된 수지피복층(20)으로서;
플랜지의 가공에 의한 관의 표면 손상과 이음부의 부식으로 인한 녹 발생이 방지되어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더욱 강화되고,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형성된 강관(10,10') 및 강관 이음쇠(100), 밴딩연결구(200)의 표면에 수지피복층(20)이 코팅 또는 도포시에 접합력이 더욱 강화된 수지피복층(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켓부인 포켓형 볼트(30)는;
상기 수지피복층(20)이 코팅 또는 도포된 강관의 플랜지(11, 11) 외부에 구비된 금속 재질의 원형 형태 소켓부인 포켓형 본체(31)와,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된 수지피복층(20)이 코팅 또는 도포된 플랜지(11,11')와 가스켓(패킹:60),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삽입되는 공간부인 삽입부(32)와, 본체(31)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임가이드(40)가 전진 이동시 조임가이드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밀착되는 평활면 형태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 및 잠김너트(50)의 나사식체결구(52)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나사식체결구(34)가 구비(예를 들어, 포켓형 볼트의 나사식체결구가 숫나사식, 잠김너트의 나사식체결구가 암나사식 또는 포켓형 볼트의 나사식체결구가 암나사식, 잠김너트의 나사식체결구가 숫나사식으로 구성된 포켓형 볼트(30)로 구성된다.
상기 조임가이드(40)는;
상기 포켓형 볼트(3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포켓형 볼트(30)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한 원형 형태의 금속재질 본체(41)와, 본체(41)의 타측면에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전진 이동되어 밀착되는 평활면 형태의 밀착구(42)와, 본체(41)의 외부에 구비된 잠김너트(50)가 적층시 잠김너트(50)의 조임가이드 적층구(53)가 적층, 지지되는 평활면 형태의 잠김너트 지지구(43)가 구비된 조임가이드(4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는;
특히, 포켓형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된 삽입부(32)인 포켓 내부에,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및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패킹:60)과,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삽입되고,
조임가이드(40)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시에, 수평방향의 힘이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및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60)과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전달되어,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고:
원-터치식으로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11,11') 및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11,11')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패킹:60), 플랜지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에 의하여 가스켓(패킹:60)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11,11')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어, 높은 유체압에도 불구하고 두 관의 이음부(11,11')가 수압과 기밀성이 강화되어 유체의 누수가 방지되는 동시에 강관의 부식이 방지된 구성의,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로 구성된다.
상기 잠김너트(50)는;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의 외부에 구비되어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의 잠김,해체가 가능한 원형 형태의 금속재질 본체(51)와, 본체(51)의 내부에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의 나사식체결구(34)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나사식체결구(52)와, 나사식체결구(52)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임가이드(40)의 잠김너트 지지구(43)에 적층 지지되는 톱니 또는 평활면 형태의 조임가이드 적층구(53)가 구비된 잠김너트(50)로 구성된다.
따라서, 잠김너트(50)를 조일시에, 잠김너트 본체(51)의 내부에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가스켓(60), 누수방지구(70)에 잠김 힘이 수직방향으로 전달되어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가스켓(60), 누수방지구(70)가 용이하게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에 고정되고,
또한, 포켓형 볼트(30)의 나사식체결구(34)와 대응되어 체결되는 나사식체결구(52)와, 나사식체결구(52)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임가이드(40)의 잠김너트 지지구
(43)에 적층 지지되는 조임가이드 적층구(53)에 의하여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가스켓(60), 누수방지구(70)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되며;
잠김너트(50)를 풀을시에,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가스켓(60), 누수방지구(70)가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에서 용이하게 해체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가스켓(60), 누수방지구(70)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더욱 용이한 구성의, 잠김너트(50)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60)은;
상기 강관(10,10')의 이음부(11,11') 사이에 구비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형 형태의 가스켓(패킹:60)으로, 구성되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의하여 가스켓(패킹:60)이 수평, 수직방향의 양방향으로 압착되어, 두 관의 이음부(11,
11')의 사이에서 더욱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고 외부이탈이 방지되어, 높은 유체압에도 불구하고 두 관의 이음부(11,11')가 수압과 기밀성이 강화되어 유체의 누수가 방지되는 동시에 강관의 부식이 방지된 구성의, 가스켓(패킹:60)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임가이드(40)가 전진 이동시 조임가이드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되어,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
(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의하여, 가스켓(패킹:60)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사이에서 더욱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고,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어, 실링부인 가스켓(60)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강관 이음쇠
(10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는;(도 5 참조)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1‘)의 일측면에 거치되는 본체(71), 본체(71)는 스테인리스 또는 고무,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고,
본체(71)의 상,하부에 구비된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적층되는 플랜지적층부(72)와, 플랜지적층부(72)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11,11')의 외면(상,하부면)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인 플랜지고정홀(73)로 구성된다.
따라서, 조임가이드(40)가 전진 이동시 조임가이드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되어,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의하여, 가스켓(패킹:60)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사이에서 더욱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고,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어, 실링부인 가스켓(60)의 외부 이탈이 방지되고 밀폐력이 더욱 향상된 구성의,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로 구성된다.
또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는 'ㄱ' 또는 'ㄷ' 형상으로 포켓형 볼트의 내부에 삽입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와 조임가이드에 삽입된 타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의 외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은;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상세 구성도: 도 2 내지 도 5 참조)
포켓형 볼트 본체(31)의 내부에 구비된 삽입부(32)인 포켓 내부에, 수지피복층(20)이 표면에 구비된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및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사이에 구비된 실링부인 가스켓(패킹:60)이 삽입되고,
가스켓(패킹:60)이 삽입된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구비되며,
포켓형 볼트(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조임가이드(40)가 전진 이동시 조임가이드의 밀착구(42)가 전진 이동되어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되어, 원-터치식으로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및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패킹:60)과,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에 압착, 고정되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구비된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의하여 가스켓(패킹:60)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사이에서 더욱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고,
상기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의 외부에 구비된 잠김너트(50)를 조일시에, 잠김너트 본체(51)의 내부에 구비된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에 잠김 힘이 전달되어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일체로 고정되며, 잠김너트(50)를 풀을시에, 포켓형 볼트(30)와 조임가이드(4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해체되어,
포켓형 볼트(30) 및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 조임가이드(40), 복수개 강관(10,10')의 이음부(11,11') 사이에 구비된 가스켓(패킹:
60),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원터치식으로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한 구성으로;
특히, 관의 이음부인 복수개 강관 플랜지의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인 가스켓(Gasket: 패킹)의 이탈이 방지되고 밀폐력이 강화되어, 가스켓이 압착시에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되어, 높은 유체압에도 불구하고 두 관의 이음부가 수압성과 기밀성이 강화되어 유체의 누수가 방지된 기술구성과;
비파괴형 이음 구조로, 관의 끝단부가 플렌지(Flange)로 가공된 플레어 가공면인 이음부가 구비된 강관의 표면에 수지피복층이 피복되어, 이음부가 구비된 강관의 내구성이 더욱 강화된 기술구성과;
밀폐력이 향상되고, 원터치식으로 이음작업이 단순화되어 숙련도에 따른 품질편차가 적고 표준화가 가능한 기술구성과;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이 편이한 강관 이음쇠(100)로, 구성되고;
상기 구성의 강관 이음쇠(100)에 연결 설치된,
플랜지(240)가 구비된 직관형태의 강관 본체(210) 및, 강관 본체(210)의 중앙부위에 강관 본체(210)의 외경에 비하여 5 내지 30㎜ 높이로 강관 본체(21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와, 다수개의 밴딩돌출부(220)의 사이에 구비된 강관 본체(210)의 외경과 동일한 높이의 다수개의 밴딩요홈부(230)가 구비된 밴딩연결구(2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개 직관형태의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이음쇠(100)인 이음쇠 1(101)이 설치되고,
상기 직관형태의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직관형태의 강관 본체(210)의 중앙부위에 밴딩돌출부(220)와 밴딩요홈부(230)가 구비된 밴딩연결구(200)의 이음부인 플랜지 1(241)의 외부에 이음쇠 2(102)가 설치되며,
현장 조건에 따라 강관의 길이를 더욱 연장시는, 직관형태의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밴딩연결구(200)의 이음부인 플랜지 2(242)의 외부에 이음쇠 3(103)이 설치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으로 구성된다.
또한, 플랜지의 가공에 의한 관의 표면 손상과 이음부의 부식으로 인한 녹 발생이 방지되어,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더욱 강화되고, 강관 본체(210) 및 밴딩돌출부(220), 밴딩요홈부(230)의 표면에 수지피복층(20)이 코팅 또는 도포시에 접합력이 강화된 구성의; 밴딩연결구(200)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플랜지(11,11')의 상부면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인 플랜지고정홀(73)이 미구비된 본체 및 플랜지적층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ㄱ' 또는 'ㄷ' 형태가 아닌, 타형태의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
(11,11')의 외부에 구비된 누수방지구(70)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강관(10,10')이 스테인리스 재질이 아닌 금속 재질의 강관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지피복층(20)이;
피복용 폴리에틸렌을 주체로 한 에틸렌 중합체의 합성수지 조성물로,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를 기준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85 내지 95중량%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15중량%의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로 조성되고, 윤활제와 산화 방지제, 내후성 향상 및 착색을 위한 카본블랙을 포함한 안료인 첨가제가 혼합되어 균일하게 분산 시킨 평균밀도 0.920 내지 0.950 g/㎤ 범위의 압출식 복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튜브 형태로 성형된 수지피복층(20)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의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시험성적서에 게재된바와 같이;
KS D 3595: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11.7항 수압시험 및, KS B 1533: 나사식 강관제 관 이음쇠 5.4항 내압시험 방법으로 시험 하였을때:
본 발명의 밴딩연결구(200)와 수지피복층(20)이 구비된 스테인리스 강관
(1000)은,
압력게이지를 사용하여 4.5 MPa 1분동안 유지 후 누수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이상 없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더구나, 압력게이지를 사용하여 5.0 MPa로 압력을 상승시켜 1분동안 유지 후 누수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이상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강관 이음쇠(100)와 수지피복층(20)이 구비된 스테인리스 강관(1000)은,
압력게이지를 사용하여 4.5 MPa 1분동안 유지 후 누수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이상 없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더구나, 4.5 MPa로 압력에서 2분동안 유지 후 누수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이상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스텐리스 원관의 수압 충족기준: 3.5 MPa의 수압으로 1분간 유지 및 이음쇠의 내압 충족기준: 2.5 MPa의 수압으로 5초간 유지)에 비하여:
이음쇠가 구비된 피복 스테인리스 강관의 시험결과치가 5.0 MPa로 압력을 상승시켜 1분동안 유지후 누수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이상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스테인리스 강관 이음쇠의 시험결과치가 4.5 MPa의 압력에서 2분동안 유지후 누수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이상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수압성 및 내압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은,
종래기술의 스텐리스 원관 및 이음쇠에 비하여 수밀성이 월등히 우수 함이 판명되었으며, 수밀성이 우수함에 따라 기밀성 또한 월등히 우수 함이 입증되었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관에 본 발명 구성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가능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시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이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시험방법
1. 스텐레스 원관의 시험기준(KS D 3595 :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11.7항 수압시험:
관에 수압을 가하여 3.5 MPa로 1분간 유지시켰을 때 여기에 견디며 누설이 생겼는지의 여부를 검사 하여야 한다.
또한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합의에 의해 3.5 MPa을 초과하는 수압 시험도 할 수 있다.
2. 이음쇠 시험기준 (KS B 1533 : 나사식 강관제 관 이음쇠)
5.4항 내압시험:
이음쇠는 2.5 MPa의 수압으로 시험을 하였을 때 파괴, 기타의 이상이 없어야 한다.(시간은 KSD 3583: 탄소강 강관 규격에 의거, 2.5 MPa의 수압으로 5초간 시험하였을때 파괴, 기타의 이상이 없어야 한다.)
3. 작업성:
스테인리스 강관에 설치된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밴딩연결구에 의하여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
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방법' 에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물품구성 및 설치 구성도: 도 2 내지 도 6 참조);
상수도가 공급되는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사이에 설치된, 본 발명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6 단계로 구성된다.
S1 단계: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가 각기 형성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 사이에 실링부인 가스켓이 삽입, 설치되는 단계: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끝단부가 "L"형 플렌지로 가공된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각기 형성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플랜지(11,11') 사이에, 실링부인 가스켓(60)이 삽입 설치된다)
S2 단계:
가스켓이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일측면에 스테인리스 또는 고무,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가 거치 및, 본체의 상,하부에 구비된 플랜지적층부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외부에 적층되고, 플랜지적층부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고정홀에 플랜지의 외면이 삽입 고정되어,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강관의 플랜지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계:
(가스켓(60)이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일측면에 스테인리스 또는 고무,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71)가 거치 및, 본체(71)의 상,하부에 구비된 플랜지적층부(72)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적층되고, 플랜지적층부(72)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고정홀(73)에 플랜지(11,11')의 외면(상,하부면)이 삽입 고정되어,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복수개 강관(10,10')의 플랜지(11,11') 외부에 설치된다.)
S3 단계: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외부에 이음쇠인 포켓형 볼트, 조임가이드, 잠김너트가 각기 설치되는 단계:
(가스켓(패킹:60)과 누수방지구(70)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외부
에, 이음쇠인 포켓형 볼트(30), 조임가이드(40), 잠김너트(50)가 각기 설치된다)
S4 단계: 조임가이드가 포켓형 볼트로 전진 이동 됨으로서, 원-터치식으로 포켓형 볼트의 내부에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가 삽입 설치 및 조임가이드의 밀착구가 포켓형 볼트의 조임가이드 밀착면에 밀착되어,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압착 설치되고, 가스켓이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압착 설치되는 단계;
(조임가이드(40)가 포켓형 볼트(30)로 전진 이동 됨으로서, 원-터치식으로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인 삽입부(32)에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삽입 설치 및 조임가이드(40)의 밀착구(42)가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 됨으로서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플랜지(11,11')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1차 압착 설치되고, 가스켓이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1차 압착 설치된다)
S5 단계: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가 삽입 설치된 포켓형 볼트 및 조임가이드의 외부에, 잠김너트가 장착되어 잠김너트를 조여 잠김너트의 나사식 체결구가 포켓형 볼트의 나사식 체결구에 대응 체결되어,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수직방향으로 2차 압착되어, 이음쇠의 설치가 완료되는 단계;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11,11')가 삽입 설치된 포켓형 볼트(30)의 외부 및 조임가이드(40)의 잠김너트 지지구(43) 외부에, 잠김너트(50)가 장착되어 잠김너트(50)를 조임으로서 잠김너트(50)의 나사식 체결구(52)가 포켓형 볼트(30)의 나사식 체결구(34)에 대응 체결되어,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수직방향으로 2차 압착되어, 이음쇠의 설치가 완료된다.)
S6 단계: 이음쇠에 설치된 스테인리스 강관 타측면 끝단부의 플렌지와, 밴딩연결구 일측면 끝단부의 플렌지의 외부에 이음쇠 2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S5 단계로 이음쇠에 설치된 스테인리스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밴딩연결구(200)의 일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 1(241)의 외부에 이음쇠 2(102)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200)가 이음쇠 2(102)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과 탄성이 향상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밴딩연결구(200)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현장 조건에 따라 강관의 길이를 더욱 연장시는;
상기 S5 단계로, 이음쇠에 설치된 직관형태의 스테인리스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밴딩연결구(200)의 일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 2(242)의 외부에 이음쇠 3(103)이 설치된 구성의,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방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S1 내지 S6 단계로 구성된‘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방법'은;
S1 단계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끝단부가 "L"형 플렌지로 가공된 이음부인 플랜지
(11,11')가 각기 형성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플랜지(11,11') 사이에, 실링부인 가스켓
(60)이 삽입 설치된 설치방법과;
S2 단계로, 가스켓(60)이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일측면에 스테인리스 또는 고무,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71)가 거치 및, 본체(71)의 상,하부에 구비된 플렌지적층부(72)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적층되고, 플랜지적층부(72)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고정홀(73)에 플랜지(11,11')의 외면(상,하부면)이 삽입 고정되어,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70)가 복수개 강관(10,10')의 플랜지(11,11') 외부에 설치된 설치방법과;
S3 단계로, 가스켓(패킹:60)과 누수방지구(70)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
10')의 외부에, 이음쇠인 포켓형 볼트(30), 조임가이드(40), 잠김너트(50)가 각기 설치된 설치방법과;
S4 단계로, 조임가이드(40)가 포켓형 볼트(30)로 전진 이동 됨으로서, 원-터치식으로 포켓형 볼트(30)의 내부인 삽입부(32)에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가 삽입 설치 및 조임가이드(40)의 밀착구(42)가 포켓형 볼트(30)의 조임가이드 밀착면(33)에 밀착 됨으로서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플랜지(11,11')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1차 압착 설치되고, 가스켓이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1차 압착 설치된 설치방법과;
S5 단계로,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11,11')가 삽입 설치된 포켓형 볼트(30)의 외부 및 조임가이드(40)의 잠김너트 지지구(43) 외부에, 잠김너트(50)가 장착되어 잠김너트(50)를 조임으로서 잠김너트(50)의 나사식 체결구(52)가 포켓형 볼트(30)의 나사식 체결구(34)에 대응 체결되어, 가스켓(60)과 누수방지구(70)가 수직방향으로 2차 압착되어, 이음쇠의 설치가 완료된, 스테인리스 강관 이음쇠(100)의 설치방법과;
S6 단계로, 상기 S5 단계로 이음쇠에 설치된 스테인리스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밴딩연결구(200)의 일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 1(241)의 외부에 이음쇠 2(102)가 설치되어, 밴딩연결구(200)가 이음쇠 2(102)에 설치된,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 방법'으로;
스테인리스 강관 이음부가 원터치식으로 이음작업이 단순화되어 숙련도에 따른 품질편차가 적고 표준화가 가능한 설치방법과;
복수개 강관의 이음부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사용이 편이한 설치방법과;
누수방지구(70)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의 외부에 수평, 수직방향으로 1,2차 압착 설치되고, 가스켓이 두 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사이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1,2차 압착 설치되어 가스켓의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로 압착 설치되어 높은 유체압에도 불구하고 두 관의 이음부가 수압성과 기밀성이 강화되어 유체의 누수가 방지된 설치방법의, 강관 이음쇠(100)의 설치방법'과;
특히, 복수개 직관형태의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11')의 외부에 이음쇠(100)인 이음쇠 1(101)이 설치되고,
상기 직관형태의 스테인리스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직관형태의 스테인리스 강관 본체(210)의 중앙부위에 밴딩돌출부(220)와 밴딩요홈부(230)가 구비된 밴딩연결구(200)의 이음부인 플랜지 1(241)의 외부에 이음쇠 2(102)가 설치되며,
현장 조건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를 더욱 연장시는, 직관형태의 스테인리스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밴딩연결구(200)의 이음부인 플랜지 2(242)의 외부에 이음쇠 3(103)이 설치된 설치방법과;
시공현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밴딩설비인 압착기로 5 내지 130도 범위의 밴딩각도로 밴딩(BENDING)이 용이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스테인리스 강관의 설치 및 연결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 설치방법과;
사용이 편이하고, 투하공수와 시공비가 절감된, 밴딩연결구(200)의 설치방법으로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0: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100 : 강관 이음쇠(이음쇠)
101,102,103: 제 1,2,3 이음쇠
10,10': 강관(관)
11,11',12,12': 플랜지(이음부)
20: 수지피복층
30: 포켓형 볼트(소켓부)
31: 본체 (포켓형 본체) 32: 삽입부
33: 조임가이드 밀착면 34: 나사식체결구
40: 조임가이드
41: 본체 42: 밀착구
43: 잠김너트 지지구
50: 잠김너트
51: 본체 52: 나사식체결구
53: 조임가이드 적층구
60: 가스켓(패킹)
70: 누수방지구(탄성가압체)
71: 본체 72: 플랜지적층부
73: 플랜지고정홀
200: 밴딩연결구(연결구)
210: 본체 220: 밴딩돌출부
230: 밴딩요홈부
240: 플랜지
241, 242: 플랜지 1,2
1: 종래기술 루즈 플랜지식 관 이음매
2,2': 루즈 플랜지파이 3,3: 파이프
5: 설치구멍 7: 플랜지부
8: 보강링 10: 탄성 가스킷
14: 볼트 16: 너트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수도가 공급되는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10,10')의 이음부인 플랜지(11,
    11')의 사이에 설치된,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방법이;

    S1 단계: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가 각기 형성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 사이에 실링부인 가스켓이 삽입, 설치되는 단계:와,
    S2 단계:
    가스켓이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일측면에 스테인리스 또는 고무, 합성수지 재질의 본체가 거치 및, 본체의 상,하부에 구비된 플랜지적층부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인 플랜지의 외부에 적층되고, 플랜지적층부의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고정홀에 플랜지의 외면이 삽입 고정되어, 탄성가압체인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강관의 플랜지의 외부에 설치되는 단계:와,
    S3 단계: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외부에 이음쇠인 포켓형 볼트, 조임가이드, 잠김너트가 각기 설치되는 단계:와,
    S4 단계:
    조임가이드가 포켓형 볼트로 전진 이동 됨으로서, 원-터치식으로 포켓형 볼트의 내부에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가 삽입 설치 및 조임가이드의 밀착구가 포켓형 볼트의 조임가이드 밀착면에 밀착되어, 누수방지구가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플랜지의 외부에 수평방향으로 압착 설치되고, 가스켓이 두 관의 이음부의 사이에서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압착 설치되는 단계;와,
    S5 단계: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설치된 복수개 스테인리스 강관의 이음부가 삽입 설치된 포켓형 볼트 및 조임가이드의 외부에, 잠김너트가 장착되어 잠김너트를 조여 잠김너트의 나사식 체결구가 포켓형 볼트의 나사식 체결구에 대응 체결되어, 가스켓과 누수방지구가 수직방향으로 2차 압착되어, 이음쇠의 설치가 완료되는 단계;와,
    S6 단계:
    이음쇠에 설치된 스테인리스 강관 타측면 끝단부의 플렌지와, 밴딩연결구 일측면 끝단부의 플렌지의 외부에 이음쇠 2가 설치되는 단계;로,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로 이음쇠에 설치된 직관형태의 스테인리스 강관(10')의 타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12')와 밴딩연결구(200)의 일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이음부인 플랜지 2(242)의 외부에 이음쇠 3(103)이 설치되어 길이가 더욱 연장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1000)의 설치방법.
KR1020230043580A 2023-04-03 2023-04-03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58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580A KR102584146B1 (ko) 2023-04-03 2023-04-03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580A KR102584146B1 (ko) 2023-04-03 2023-04-03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146B1 true KR102584146B1 (ko) 2023-10-05

Family

ID=8829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580A KR102584146B1 (ko) 2023-04-03 2023-04-03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1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681A (ja) * 1995-05-09 1996-11-22 Sekisui Chem Co Ltd 給湯用複合管
JPH1047540A (ja) * 1996-08-03 1998-02-20 Showa Rasenkan Seisakusho:Kk ユニット配管方法、及び、配管用のステンレス鋼管
JP2004092915A (ja) * 2002-03-20 2004-03-25 Tokyo Electron Ltd 管継手
JP2007278341A (ja) * 2006-04-04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管接続具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20130107048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배관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681A (ja) * 1995-05-09 1996-11-22 Sekisui Chem Co Ltd 給湯用複合管
JPH1047540A (ja) * 1996-08-03 1998-02-20 Showa Rasenkan Seisakusho:Kk ユニット配管方法、及び、配管用のステンレス鋼管
JP2004092915A (ja) * 2002-03-20 2004-03-25 Tokyo Electron Ltd 管継手
JP2007278341A (ja) * 2006-04-04 2007-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管接続具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20130107048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밸브 배관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6049C2 (ru) Прокладка
KR20100046104A (ko) 루즈 플랜지식 관 이음매
AU2010203317A1 (en) Seal with rigid stop ring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KR102584146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584144B1 (ko) 실링부의 이탈 방지 및 밀폐력이 향상된 이음쇠가 구비된 피복 코팅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의 설치방법
JP5616715B2 (ja) 配管の施工確認方法
CN213040030U (zh) 一种便于管道安装的法兰
US4909548A (en) Compound-taper flange assembly
CN211599920U (zh) 一种内衬管连接接头
JP2019120379A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CN111520562A (zh) 改善复合管结构稳定性的法兰连接装置
CN2888234Y (zh) 连接玻璃钢管道和异型管材的承插管接头
CN216009955U (zh) 一种高密度聚乙烯管道接头密封装置
CN219933260U (zh) 一种沟槽式法兰转换接头
JP7372804B2 (ja) 管継手構造
CN110792877A (zh) 一种防漏法兰罩及其使用方法
CN201277409Y (zh) 一种用于塑料管道的对接头
KR200228224Y1 (ko)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CN220016448U (zh) 一种活法兰管链接装置
CN213954634U (zh) 一种能够转动调整管路角度的活套法兰
CN219242950U (zh) 一种可形变塑料复合管端口与转接头的连接结构
CN220582683U (zh) 空气处理机组的空气处理通道结构
CN216201472U (zh) 一种易于装拆、气密性好的液压管道连接组件
CN215258523U (zh) 一种市政给水管道防渗漏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