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036B1 -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036B1
KR102584036B1 KR1020200167111A KR20200167111A KR102584036B1 KR 102584036 B1 KR102584036 B1 KR 102584036B1 KR 1020200167111 A KR1020200167111 A KR 1020200167111A KR 20200167111 A KR20200167111 A KR 20200167111A KR 102584036 B1 KR102584036 B1 KR 10258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reduction
participants
report
carbon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032A (ko
Inventor
정은아
유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Priority to KR102020016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0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02P90/845Inventory and reporting systems for greenhouse gases [GH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을 통해 계약 내용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실적에 관한 보상을 지급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상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TRADING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폼을 통해 계약 내용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실적에 관한 보상을 지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탄소배출권은 일정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이다.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관한 교토의정서는 회원국에게 온실가스의 감축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의 기업에 대한 온실가능 배출량에 제약이 따르며, 탄소배출권을 보유하지 못한 기업은 여유가 있는 다른 기업이나 국가로부터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한다. 따라서, 탄소배출권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며, 종래 탄소배출권의 거래에 관한 기술(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4564호)은 탄소 배출 주체의 현황이나 추세를 분석하여 예상 배출량을 산정하고, 예상 부족분 또는 예상 잔여분을 거래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참여자와의 계약 시, 계약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며, 실적에 관한 보상을 자동으로 지급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배출권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탄소배출권의 신청부터 획득까지의 거래 과정을 관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감활동 보고서 작성 시,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이력에 따른 템플릿을 자동으로 적용하여 간편한 보고서 작성을 제공하며, 환경공단으로부터의 승인 확률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이 수행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에 있어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상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은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는 탄소저감량 산출부,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상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부,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탄소배출권 획득부 및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금액 지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참여자와의 계약시 계약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며, 실적에 관한 보상을 자동으로 지급할 수 있으며, 스마트 계약을 통해 계약관계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감활동 보고서 작성 시,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이력에 따른 템플릿을 자동으로 적용하여 보고서의 생성을 전부 또는 일부 자동화하며, 환경공단으로부터의 승인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저감활동을 하는 참여자를 그룹핑하여 탄소배출권을 획득함으로써 탄소배출권 획득을 위한 소요비용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탄소배출권의 수익을 최대화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 획득 과정에 필요한 승인 절차와 각종 보고서의 생성 등을 그룹단위로 진행하므로 탄소배출권에 대한 전체 업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참여자는 탄소배출권 획득을 위한 보고서 등을 직접 작성하거나 탄소배출권 획득을 위한 별도의 승인절차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탄소저감방법에 따라 플랫폼에서 요청하는 정보의 제공만으로 탄소배출권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한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저감방법별 탄소저감량 계산 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그룹핑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그룹핑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그룹핑 방법의 일 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생성을 위한 인공지능모델의 학습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신청에 대한 계약을 스마트 계약으로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한 탄소배출권 자동 거래 플랫폼을 통해 참여자와 수요자 그리고 환경공단 간의 계약 내용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실적에 관한 보상을 지급하는 활동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참여자에게 탄소배출권 실적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를 보고서화하여 환경공단 및 에너지공단에 제공하여 승인을 요청하여 탄소배출권으로 전환하고, 이러한 실적을 기반으로 수요자에게 탄소배출권을 판매하여 판매금액을 참여자에게 분배하는 모든 활동을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동작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한 탄소배출권 자동 거래 플랫폼을 통해 사업대상 방법론 선정, 외부사업 신청/승인, 상쇄등록부, 인증 갱신, 모니터링/검증, 감축량 인증, 인증실적 거래 및 인증실적 처분/상쇄배출권 전환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한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방법은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된다.
도 2에 대해 우선 설명하자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참여자(210), 환경공단(220) 및 수요자(230)와 각각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실제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은 참여자(210), 환경공단(220) 및 수요자(230)의 각 단말이나,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참여자(210), 환경공단(220) 및 수요자(230)라고 표시하고 설명한다.
또한, 참여자(210), 환경공단(220) 및 수요자(230)는 단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보다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복수의 참여자(210) 및 복수의 수요자(230)와 환경공단 및 에너지공단(220)일 수 있다. 나아가, 참여자(210), 환경공단(220) 및 수요자(230)의 각 단말은 일반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소정의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기를 의미한다.
참여자(210)는 탄소 저감 활동을 수행하는 자로서 공공기관이나 기업 또는 개인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자로 될 수 있다. 환경공단(220)은 심사과정을 거쳐 탄소배출권을 승인하는 기관으로, 환경공단 외에 에너지공단일 수도 있다. 수요자(230)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자이다.
탄소배출권은 참여자(210)가 탄소 저감 활동을 한다고 하여 자동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조건에 따라 환경공단(220)에 신청하고 검증과정을 거쳐 승인된 탄소저감량에 따라 부여된다. 참여자(210)가 직접 사업계획서나 모니터링 보고서 등을 작성하여 환경공단(220)에 제출하는 등 탄소배출권 획득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나, 탄소저감량이 많지 않은 소규모의 기업은 탄소배출권을 획득하여 얻는 이익이 탄소배출권 획득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에 비해 그다지 크지 않거나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복수의 참여자를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복수의 참여자를 대신하여 그룹별 탄소배출권의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한 탄소배출권 자동 거래 플랫폼은 참여자와의 계약 시에 계약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며, 실적에 관한 보상을 자동으로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한 탄소배출권 자동 거래 플랫폼의 접근 방식으로 탈중앙신원인증(Decentralized ID, DID)을 기반으로 하며, 참여자는 플랫폼에 스마트 컨트랙트로 계약하면 개인키를 발급받고, 개인키로 접근해 인증 실적에 관한 보상 신청을 받을 수 있다.
계약내용은 개인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영지식증명알고리즘(Zero-knowledge proof, ZKP) 개념을 이용하여 계약내용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내용을 참여자와 계약 당사자의 개인키로 개별 암호화하여 해당 계약내용을 열람할 시에 계약 당사자 혹은 계약 당사자의 개인키로 복호화해야 열람이 가능하다.
또한, 문서 위변조는 원본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으로 기록하게 하여, 해시값으로 위변조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한 탄소배출권 자동 거래 플랫폼은 자동으로 지분을 배분하기 위한 기술이며, 계약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복호화가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계약 당사자의 개인키를 가지고 복호화하여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을 등록한다. 탄소저감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형광등을 LED로 교체하는 방법,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발생장치를 설치하거나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방법, 엘리베이터에 회생제동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만, 이 외에도 다양한 탄소저감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에 따른 탄소 저감을 발생하는 참여자를 모집한다. 탄소배출권 획득을 위한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개별 참여자별로 탄소배출권 획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참여자(210)를 묶어 탄소배출권 획득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을 등록 공고한 후 일정 기간 동안 복수의 참여자를 모집하거나, 복수의 참여자의 총 탄소저감량이 기 정의된 기준값에 도달할 때까지 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다. 참여자를 모집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모집한 참여자의 수가 많은 경우에 이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 탄소배출권 획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복수의 탄소저감방법을 등록 공고하고, 각 탄소저감방법별 참여자를 모집하여 그룹핑할 수 있다. 참여자를 그룹핑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2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한다(①데이터 전송).
탄소저감활동이력은 참여자의 일반정보(예를 들어, 기업명 및 주소 등)와 함께 탄소저감방법을 어떻게 실천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및 그 증빙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기기를 형광등에서 LED로 교체하는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참여자는 조명기기 사양서, 조명기기 사진, 공사 전 사진, 시설 배치도, 교체 견적서 및 계약서, 공사 후 사진 등을 탄소저감활동이력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탄소저감방법별 입력받는 탄소저감활동이력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각 탄소저감방법에 대하여 입력받을 탄소저감활동 내용의 포맷 등을 미리 정의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참여자에게 탄소저감방법별 탄소저감활동이력의 입력 포맷을 제시하고, 참여자는 자신이 적용하는 탄소저감방법에 해당하는 탄소저감활동이력의 입력 포맷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여 증빙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S120은 복수의 참여자를 탄소저감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으며, 그룹화된 참여자에 의해 단계 S130은 그룹별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며, 단계 S140은 그룹별로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고, 단계 S170은 그룹별로 탄소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한다(②정량계산).
탄소저감방법마다 탄소저감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미리 정의되어 있으며, 그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명기기 교체의 탄소저감방법에서는 기존 형광등의 전력 사용량, 예상 점등시간에 기 정의된 전력탄소배출계수(전력생산 시에 발생하는 예상 탄소배출량)를 곱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LED로 교체하였을 때 LED의 전력 사용량, 예상 점등시간에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LED의 탄소배출량과 형광등의 탄소배출량의 차이가 해당 탄소저감방법에 의한 탄소저감량이 된다. 예를 들면, 형광등 탄소배출량에 LED 탄소배출량을 차감하면, 차감되고 남은 값이 탄소배출절감량이 된다.
이러한 탄소저감량산출을 위하여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조명기기 교체의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한 참여자로부터 기존 형광의 전력 사용량과 예상 점등시간, LED로 교체되는 형광등의 개수 등을 탄소저감활동이력의 일부로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한다(③보고서 생성).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동일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의 총량이 기 설정된 기준에 도달하면 사업계획서의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복수의 참여자가 동일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므로 복수의 참여자를 그룹으로 하는 하나의 사업계획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는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에 대한 내용과 총 탄소저감량, 탄소 저감 활동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미리 등록된 사업계획서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이력을 반영하여 사업계획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별 공통내용영역 또는 참여자영역을 라벨링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키고, 학습 완료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의 참여자영역을 식별하며, 참여자영역을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이력으로 입력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 일 예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저감활동 보고서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을 미리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값, 변동값 및 선택값의 데이터 항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은 수동 템플릿 또는 자동 템플릿으로 형성되며, 저감활동 보고서는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문서가 변경되어도 고정되는 값인 고정값과, 문서마다 변경되는 값(예를 들면, 사업장 위치 및 탄소절감활동량 등)인 변동값과 방법론마다 입력되는 선택항목인 선택값의 세가지 데이터 항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수동 템플릿은 관리자가 수기로 입력한 것으로, 사람이 직접 템플릿을 만든 것이고, 자동 템플릿은 기계학습으로 형성된 것으로, 기존 문서의 고정값 부분을 학습해 표준으로 만든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저감활동 보고서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서, 참여자가 변동값 및 선택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기존에 형성된 포맷에 따라 고정값을 입력하여 참여자에 대한 저감활동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단계 S150 및 단계 S16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220)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을 받으면 일정 기간 동안의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④승인요청 및 ⑤배출권승인).
예를 들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저감활동 보고서에 기재된 수행 기간 동안의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 보고서는 저감활동 보고서의 내용으로 참여자가 탄소저감활동을 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보고서로 실제로 절감된 탄소배출량을 포함한다. 일 예로, 조명만을 대상으로 한 전력사용량에 관해 산출이 가능하면, 조명전력실제사용량과 LED조명 실제 사용량을 기반으로 탄소배출량을 산출한 뒤, 탄소저감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명만을 대상으로 한 전력사용량 산출이 불가능하면, 저감활동 보고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점등시간을 기술해 탄소배출량을 구하고, 형광등과 LED를 차감해 탄소저감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산출된 탄소저감량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링 보고서는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에 대한 현장 실사를 기초로 작성될 수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미리 등록된 모니터링 보고서 포맷을 기초로 현장 실사 결과 내용으로 모니터링 보고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모니터링 보고서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 또한 수동 템플릿 또는 자동 템플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한다. 단계 S170은 단계 S16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보고서를 기초로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은 복수의 참여자를 포함하는 그룹 단위의 총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일 수 있다.
단계 S18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배출권을 복수의 수요자(230)에게 판매할 수 있다(⑥배출권 판매). 예를 들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한 탄소배출권 자동 거래 플랫폼에 탄소배출권 및 탄소배출권 사용에 대한 정보를 공시하며, 이를 접한 복수의 수요자(230)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거래 모드로 복수의 수요자(230)에게 탄소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다. 이에, 수요자는 탄소배출권 사용에 대한 사용 금액을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에 지불하게 된다(⑦금액 지불).
단계 S190에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한다(⑧수익배분).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각 참여자의 배분을 산출하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30 저감하였고, B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70 저감한 경우, A 사업장에는 3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하고, B 사업장에는 7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할 수 있다.
나아가,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한 참여자의 계약 및 판매금액의 배분을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스마트 계약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참여자와의 스마트 계약을 기초로 탄소배출권의 기여율에 따라 전자화폐를 각 참여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는 도 10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단계 S140에서,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할 때, 저감활동 보고서에 대한 환경공단의 승인 확률 및 합격선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생성된 저감활동 보고서가 환경공단(220)으로부터 승인될 확률을 미리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저감활동 보고서에 입력되는 참여자의 탄소저감방법에 의한 탄소저감활동이력에 따라 각기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고, 앞선 유사 보고서의 승인 확률 또는 해당 참여자의 승인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단계 S190에서,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따라 탄소배출권 판매금액을 배분할 때, 상기 승인 확률에 대한 수치값을 가중치로 반영함으로써, 판매금액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30 저감하였고, B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70 저감하였으나, A 사업장의 승인 확률이 높았고, B 사업장의 승인 확률이 낮았으면 A 사업장에 가중치를 더욱 부가하여 A 사업장에는 30원 내지 5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하고, B사업장에는 50원 내지 7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저감방법별 탄소저감량 계산 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300, 310, 320)과 맵핑하여 탄소저감량 계산 방법을 미리 등록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탄소저감방법(300, 310, 320)과 맵핑하여 참여자로부터 입력받을 탄소저감활동 내용의 포맷 또한 미리 등록받아 저장할 수 있다. 각 탄소저감방법(300, 310, 320)에 대하여 입력받을 탄소저감활동이력에는 해당 탄소저감방법의 탄소저감량 계산 방법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그룹핑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소저감방법을 등록 공고하고, 각 탄소저감방법에 대한 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참여자(400), 제3 참여자(404) 및 제4 참여자(406)가 제1 탄소저감방법을 신청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제1 참여자(400), 제3 참여자(404) 및 제4 참여자(406)로 구성된 제1 그룹(450)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참여자(402), 제5 참여자(408) 및 제N 참여자(410)가 제2 탄소저감방법을 신청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제2 참여자(402), 제5 참여자(408) 및 제N 참여자(410)로 구성된 제2 그룹(460)을 생성할 수 있다. 어느 한 참여자가 제1 탄소저감방법과 제2 탄소저감방법을 동시에 적용한다면 해당 참여자는 제1 탄소저감방법의 제1 그룹(450)과 제2 탄소저감방법의 제2 그룹(460)에 모두 참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의 탄소저감방법의 등록 공고 유무와 관계없이 복수의 참여자가 자신이 적용하기를 원하는 탄소저감방법을 선택하여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에 탄소배출권 획득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동일한 탄소저감방법을 신청한 참여자의 규모가 일정 이상이면 이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그룹핑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동일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한 복수의 참여자(500~508)를 복수의 그룹(510, 520)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N 참여자(500~508)가 모두 제1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각 그룹(510, 520)별 총 탄소저감량(예를 들어, 500톤)이 일정 규모가 되도록 복수의 참여자(500~508)를 복수의 그룹(510, 520)으로 나눌 수 있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각 그룹(510, 520)에 대하여 각각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1 그룹(510)을 위한 저감활동 보고서와 제2 그룹(520)을 위한 저감활동 보고서가 각각 생성되고, 제1 그룹(510)과 제2 그룹(520)의 탄소배출권이 각각 획득된다.
도 4의 예가 탄소저감방법별로 복수의 참여자를 그룹핑하는 반면, 도 5의 실시 예는 동일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한 복수의 참여자를 그룹핑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의 실시 예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 그룹핑 방법의 일 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참여자로부터 탄소배출권 획득 신청을 등록받는다(S600). 참여자는 탄소배출권 획득 신청시 자신이 적용할 탄소저감방법을 선택한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별 참여자들의 총 탄소저감량을 산출한다(S610). 예를 들어, 제1 탄소저감방법을 신청한 참여자의 수가 10개이면 이들 10개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을 합산하여 총 탄소저감량을 구하고, 제2 탄소저감방법을 신청한 참여자의 수가 12개이면, 이들 12개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을 합산하여 총 탄소저감량을 구한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별 총 탄소저감량이 기 정의된 기준값 이상이 되면(S620), 해당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한 복수의 참여자를 그룹으로 그룹화한다(S630). 위 예에서, 제1 탄소저감방법을 신청한 10개의 참여자의 총 탄소저감량이 기준값 미만이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참여자가 더 모일 때까지 대기한다. 이후 새로운 참여자가 제1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하여 총 탄소저감량이 기준값 이상이 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총 11개의 참여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다. 이후 다시 참여자가 제1 탄소저감방법을 신청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일정 이상의 총 탄소저감량이 될 때까지 다른 참여자의 등록을 기다린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생성을 위한 인공지능모델의 학습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저감활동 보고서 및 모니터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을 각기 형성하며,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은 수동 템플릿 또는 자동 템플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저감활동 보고서 및 모니터링 보고서는 수동 템플릿 또는 자동 템플릿으로 형성된 포맷이 존재하며, 고정값, 변동값 및 선택값의 데이터 항목으로 정의되며, 참여자에 의해 변동값 및 선택값의 참여자영역이 입력되면, 인공지능모델이 고정값의 공통내용영역을 채워 보고서를 생성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수동 템플릿은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의 관리자에 의해 수기로 입력된 것으로, 고정값을 사람이 직접 템플릿마다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템플릿은 인공지능모델이 기존 문서의 고정값부분을 학습해 표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은 저감활동 보고서와 모니터링 보고서의 보고서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으며, 수동으로 구성, 자동으로 구성 또는 기계학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자동 생성은 탄소저감활동이력을 기반으로 표준 보고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PDF 형태의 파일로 저감활동 보고서 및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제출양식과 같은 포맷의 웹으로 변형한 다음, 이를 PDF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생성된 자동 템플릿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저감활동 보고서 및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사업계획서의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모니터링 보고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7을 참조하면, 각종 보고서의 자동 생성을 위하여 먼저 인공지능 모델(700)의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인공지능모델(700)은 딥러닝 또는 머신러닝 등을 통한 학습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모델이며, 해당 인공지능모델(700)의 학습데이터는 라벨링된 각종 보고서이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참여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어 그룹에 대한 하나의 저감활동 보고서와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한다. 따라서, 저감활동 보고서와 모니터링 보고서에는 각 참여자에게 공통인 내용과 각 참여자별 탄소저감활동이력에 따라 기재되어야 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학습 데이터는 기존에 이미 만들어진 복수의 저감활동 보고서 또는 모니터링 보고서에서 공통내용영역 및/또는 참여자영역으로 라벨링하여 만들 수 있다. 이때, 공통내용영역은 고정값일 수 있으며, 참여자영역은 변동값 및 선택값일 수 있다.
인공지능모델(700)은 라벨링된 저감활동 보고서(또는 모니터링 보고서)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공통내용영역과 참여자영역을 구별하도록 학습된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모델(700)은 학습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그 학습 데이터에서 공통내용영역 또는 참여자영역을 예측한 결과를 출력하고, 그 예측 결과를 학습 데이터와 비교하여 파라메타 등을 조정하는 학습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탄소저감방법마다 보고서 포맷이 다르다면, 탄소저감방법마다 각각의 인공지능모델이 학습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저감활동 보고서는 제목과 내용으로 구성되므로, 인공지능모델(700)은 각 제목별로 공통내용영역과 참여자영역을 구별하도록 학습되고 또한 각 제목에 입력되는 공통내용영역과 참여자영역이 어떤 내용인지도 함께 학습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지능모델은 보고서의 공통내용영역과 참여자영역을 구분하고 해당 영역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채울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학습 완료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저감활동 보고서 포맷의 공통내용영역 및/또는 참여자영역을 식별한다(S800).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참여자영역을 각 참여자가 입력한 저감활동이력을 기초로 자동으로 채운다(S810). 예를 들어, 저감활동 보고서 포맷이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학습 완료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각 제목별 참여자영역을 구분하고, 해당 참여자정보에 입력할 내용을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이력에서 추출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채울 수 있다. 다른 예로, 저감활동 보고서 포맷이 현재 생성하고자 하는 저감활동 보고서의 탄소저감방법과 동일한 탄소저감방법에 관한 가장 최근의 사업계획서이고, 공통내용영역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가장 최근의 저감활동 보고서의 공통내용영역을 그대로 두고 참여자에 따라 내용이 바뀌는 참여자영역의 내용만 바꾸어 저감활동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인공지능모델(920)을 이용하여 저감활동 보고서 포맷의 공통내용영역과 참여자영역을 모두 자동으로 채울 수 있다.
공통내용영역에 들어가는 각종 정보는 공통내용데이터베이스(900)에 존재한다. 공통내용데이터베이스(900)는 각 탄소저감방법마다 저감활동 보고서에 존재하는 공통내용영역의 각종 정보를 문장 단위 또는 단락 단위, 표, 그림, 숫자 등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학습 완료된 인공지능모델(920)은 저감활동 보고서 포맷에서 제목별 공통내용영역을 구분하고, 해당 공통내용영역에 들어갈 정보를 공통내용데이터베이스(900)에서 검색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모델(920)은 각 참여자가 입력한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참여자데이터베이스(910)에서 검색하여 저감활동 보고서의 각 제목별 참여자영역을 채울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주로 저감활동 보고서를 위주로 설명하나, 모니터링 보고서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전체 또는 일부를 자동으로 채울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신청에 대한 계약을 스마트 계약으로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저감방법에 대한 각 참여자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한다(S1000). 스마트 계약은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따라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배출권 판매가 이루어지면(S1010), 자동으로 스마트 계약에 따라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비례하여 판매금액을 배분한다(S1020). 다른 실시 예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탄소배출권이 판매되면, 스마트 계약에 따라 실제 화폐가 아니라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화폐를 각 참여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은 플랫폼을 통해 계약 내용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실적에 관한 보상을 지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수신부(1110), 탄소저감량 산출부(1120), 보고서 생성부(1130), 탄소배출권 획득부(1140) 및 금액 지급부(1150)를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한다.
탄소저감활동이력은 참여자의 일반정보(예를 들어, 기업명 및 주소 등)와 함께 탄소저감방법을 어떻게 실천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및 그 증빙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기기를 형광등에서 LED로 교체하는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참여자는 조명기기 사양서, 조명기기 사진, 공사 전 사진, 시설 배치도, 교체 견적서 및 계약서, 공사 후 사진 등을 탄소저감활동이력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탄소저감방법별 입력받는 탄소저감활동이력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각 탄소저감방법에 대하여 입력받을 탄소저감활동 내용의 포맷 등을 미리 정의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참여자에게 탄소저감방법별 탄소저감활동이력의 입력 포맷을 제시하고, 참여자는 자신이 적용하는 탄소저감방법에 해당하는 탄소저감활동내역의 입력 포맷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여 증빙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
탄소저감량 산출부(1120)는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탄소저감량 산출부(1120)는 조명기기 교체의 탄소저감방법에서는 기존 형광등의 전력 사용량, 예상 점등시간에 기 정의된 전력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LED로 교체하였을 때 LED의 전력 사용량, 예상 점등시간에 탄소배출계수를 곱하여 탄소배출량을 산출한다. LED의 탄소배출량과 형광등의 탄소배출량의 차이가 해당 탄소저감방법에 의한 탄소저감량이 된다. 탄소저감량산출을 위하여 탄소저감량 산출부(1120)는 조명기기 교체의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한 참여자로부터 기존 형광의 전력 사용량과 예상 점등시간, LED로 교체되는 형광등의 개수 등을 탄소저감활동이력의 일부로 입력받을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1130)는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한다.
보고서 생성부(1130)는 동일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의 총량이 기 설정된 기준에 도달하면 사업계획서의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1130)는 복수의 참여자가 동일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므로 복수의 참여자를 그룹으로 하는 하나의 사업계획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는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에 대한 내용과 총 탄소저감량, 탄소 저감 활동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1130)는 미리 등록된 사업계획서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이력을 반영하여 사업계획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고서 생성부(1130)는 탄소저감방법별 공통내용영역 또는 참여자영역을 라벨링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키고, 학습완료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의 참여자영역을 식별하며, 참여자영역을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이력으로 입력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보고서 생성부(1130)는 저감활동 보고서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을 미리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값, 변동값 및 선택값의 데이터 항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은 수동 템플릿 또는 자동 템플릿으로 형성되며, 저감활동 보고서는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문서가 변경되어도 고정되는 값인 고정값과, 문서마다 변경되는 값(예를 들면, 사업장 위치 및 탄소절감활동량 등)인 변동값과 방법론마다 입력되는 선택항목인 선택값의 세가지 데이터 항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수동 템플릿은 관리자가 수기로 입력한 것으로, 사람이 직접 템플릿을 만든 것이고, 자동 템플릿은 기계학습으로 형성된 것으로, 기존 문서의 고정값 부분을 학습해 표준으로 만든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저감활동 보고서의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서, 참여자가 변동값 및 선택값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면, 보고서 생성부(1130)는 기존에 형성된 포맷에 따라 고정값을 입력하여 참여자에 대한 저감활동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탄소배출권 획득부(1140)는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에 따라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한다.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220)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을 받으면 일정 기간 동안의 참여자의 탄소저감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 획득부(1140)는 생성된 모니터링 보고서를 기초로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은 복수의 참여자를 포함하는 그룹 단위의 총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일 수 있다.
금액 지급부(1150)는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한다.
금액 지급부(1150)는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각 참여자의 배분을 산출하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30 저감하였고, B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70 저감한 경우, 금액 지급부(1150)는 A 사업장에는 3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하고, B사업장에는 7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할 수 있다.
나아가, 금액 지급부(1150)는 탄소저감방법에 참여한 참여자의 계약 및 판매금액의 배분을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스마트 계약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참여자와의 스마트 계약을 기초로 탄소배출권의 기여율에 따라 전자화폐를 각 참여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보고서 생성부(1130)를 통해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할 때, 저감활동 보고서에 대한 환경공단의 승인 확률 및 합격선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생성된 저감활동 보고서가 환경공단(220)으로부터 승인될 확률을 미리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저감활동 보고서에 입력되는 참여자의 탄소저감방법에 의한 탄소저감활동이력에 따라 각기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고, 앞선 유사 보고서의 승인 확률 또는 해당 참여자의 승인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200)은 단계 S190에서, 각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따라 탄소배출권 판매금액을 배분할 때, 상기 승인 확률에 대한 수치값을 가중치로 반영함으로써, 판매금액을 세부적으로 조정하여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30 저감하였고, B 사업장은 탄소배출을 70 저감하였으나, A 사업장의 승인 확률이 높았고, B 사업장의 승인 확률이 낮았으면 A 사업장에 가중치를 더욱 부가하여 A 사업장에는 30원 내지 5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하고, B사업장에는 50원 내지 70원의 판매금액을 배분할 수 있다.
비록, 도 11의 시스템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이 수행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에 있어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상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를 탄소저감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며,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그룹별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며,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는 그룹별로 생성되고,
    상기 탄소배출권은 그룹별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2. 삭제
  3.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이 수행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에 있어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상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의 총량이 기 설정된 기준에 도달하면 사업계획서의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4. 탄소배출권 거래 시스템이 수행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에 있어서,
    탄소저감방법을 적용하는 복수의 참여자로부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탄소저감방법마다 기 정의된 탄소저감량 산출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탄소저감량의 총량을 산출하는 단계;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에 맞춰 상기 탄소저감활동이력을 자동화하여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탄소배출권에 대한 사업승인을 요청하며, 승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배분에 따라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탄소저감방법별 공통내용영역 또는 참여자영역을 라벨링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
    학습완료된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의 참여자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영역을 각 참여자의 상기 탄소저감활동이력으로 입력하여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표준 양식 템플릿은
    기 설정된 수동 템플릿, 또는 기계학습으로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설정된 자동 템플릿으로 형성되며, 고정값, 변동값 및 선택값의 데이터 항목으로 정의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기초로 환경공단으로부터 사업승인을 받은 후, 일정 기간 동안의 탄소저감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보고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에 대한 상기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는
    거래 모드로 복수의 수요자에게 상기 탄소배출권을 판매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요자로부터 상기 탄소배출권 사용에 대한 판매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의한 각 참여자의 배분을 산출하며,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배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와의 스마트 계약을 기초로 상기 탄소배출권의 기여율에 따라 전자화폐를 각 참여자에게 지급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감활동 보고서에 대한 환경공단의 승인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배출권의 판매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는
    참여자의 탄소저감량 및 지분률에 따른 배분 계산 시, 상기 승인 확률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67111A 2020-12-03 2020-12-03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8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11A KR102584036B1 (ko) 2020-12-03 2020-12-03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111A KR102584036B1 (ko) 2020-12-03 2020-12-03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32A KR20220078032A (ko) 2022-06-10
KR102584036B1 true KR102584036B1 (ko) 2023-10-06

Family

ID=8198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111A KR102584036B1 (ko) 2020-12-03 2020-12-03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599B1 (ko) * 2022-08-26 2022-11-17 주식회사 내일의쓰임 탄소배출량 측정 및 상쇄에 기반하는 탄소중립 지원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18503B1 (ko) * 2022-11-11 2023-04-04 채재훈 폐원료 거래 플랫폼 제공방법
KR102568799B1 (ko) * 2023-01-13 2023-08-22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주행 정보 기반 탄소 절감량의 차등 보상 책정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62115B1 (ko) * 2023-08-12 2024-04-30 (주)리빗 템플릿 적용 방식을 통한 대상시스템의 탄소배출량 관련정보 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821B1 (ko) * 2017-04-10 2018-02-01 (재)한국에너지재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택의 에너지 효율 개선 시공에 대한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265A (ko) * 2009-03-13 2010-09-27 (주)옴니패스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821B1 (ko) * 2017-04-10 2018-02-01 (재)한국에너지재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택의 에너지 효율 개선 시공에 대한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32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036B1 (ko)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Eboreime et al. Access to routine immuniz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supply-side disparities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Nigeria
CN112633780B (zh) 基于气候链处理碳资源的方法、相关装置及存储介质
US69934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market demand based on consumer contributions
KR102476181B1 (ko) 탄소배출권 문서 자동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41433A (ko) 탄소배출권관리방법 및 그 장치
Junaidi et al. Blockchain-based management of demand response in electric energy grids: A systematic review
Yaser Alraei et al. Application of Strateg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MIS) in the Ministry of Interior, UAE: Issues and Challenges
CN107392736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Bhamidipati et al. Local value capture from the energy transition: insights from the Solar PV industry in Kenya
Delporte-Vermeiren et al. In Search of Margin for Business Networks:: The European Patent Office
CN107464161A (zh) 一种船舶供应链管理系统及方法
KR20040107971A (ko) 기술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Hernandez et al. Agent Networks at the Last Mile
US20230267518A1 (en) Intelligently managing invoice processing using blockchain and mixed reality applications
Bauer et al. Value Capturing from Tokenized Asset Histories
Humann eTendering in Austria
Shen et al. Application of Hyperledger Blockchain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ies in the Used Car Market
US20230135611A1 (en) Online Platform for Carbon Offsetting with Automatically Identified Impacting Measures
KR102286051B1 (ko) 태양광 사업개발 비즈니스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Lara de Arruda et al. The Payment System Used by Auxilio Emergencial: Introduction of the Digital Social Account, and the Banking of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in 9 Months
Zvereva et al. Improving client-oriented approach in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in the context of digitalization
Langaliya et al. Implementation of a Novel, Secure Module-Based Architecture for Blockchain-Based Real Estate Transaction Processing
Wei et al. Evaluation, Comparison, and Improvement Recommendations for Caltrans Financial Programming Processes and Tools
CN111967775A (zh) 一种基于智能终端设备互联网多元化融合的营销商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