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265A -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265A
KR20100103265A KR1020090021806A KR20090021806A KR20100103265A KR 20100103265 A KR20100103265 A KR 20100103265A KR 1020090021806 A KR1020090021806 A KR 1020090021806A KR 20090021806 A KR20090021806 A KR 20090021806A KR 20100103265 A KR20100103265 A KR 2010010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er
greenhouse gas
amount
power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옴니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옴니패스 filed Critical (주)옴니패스
Priority to KR102009002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265A/ko
Publication of KR2010010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 Y02P90/845Inventory and reporting systems for greenhouse gases [GH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수신되는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 및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기초하여 인증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수요자에게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력, 온실 가스 배출권, 에너지, 거래, 보상

Description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TRADING AND COMPENSATING METHOD FOR SAVED ENERGY}
본 발명은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수용가에서 절감된 에너지를 계량화하여 판매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전력 수용가에서 절감된 에너지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보상하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사회로 접어들면서 에너지(특히, 화석 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온실 가스 배출량이 증가하고, 온실 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에 기인하여 각종 기상 이변, 해수면 상승, 사막화 등 각종 기후 변화(climate change)이 심각성이 국제적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에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992년 브라질 리우 환경 회의에서는 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이 체결되었다. 기후변화협약에는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하여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불화탄소(PFC), 수소화탄화불 소(HFC), 불화유황(SF6) 등의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과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으로 1997년에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가 채택되었다. 교토의정서에 따르면 선진국은 온실 가스 감축 목표치를 감축해야하며, 개발 도상국은 대해서는 자발적인 의부 부담을 진다.
교토의정서에 의하여 선진국들은 자국의 온실 가스 감축 이행에 따른 비용과 파급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교토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교토메커니즘에는 국제배출권거래제도(IET: International Emission Trading), 공동 이행 제도(JI: Joint Implementation),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및 공동삭감제 등의 제도가 포함되어 있다.
교토의정서의 제1차 이행 기간(2008년에서 2012년)에 대해 우리 나라는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되어 온실 가스 감축 의무 대상국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교토의정서의 제2차 이행 기간(2013년부터 2018년)에 대해서는 우리 나라도 온실 가스 감축 의무를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 온실 가스 배출권의 거래는 유럽 연합 시장, 시카고 시장, 호주 뉴사우스에일즈주 시장, 캐나다 시장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는 아직 온실 가스 배출권 거래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온실 가스 배출권 거래 제도의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현시점이 국가적 차원에서 온실 가스 배출 감축에 따른 온실 가스 배출권뿐만 아니라, 기업 또는 가정 등의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을 교토메커니즘에 의거한 따른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여 거래할 수 있는 거래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할 시점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교토의정서에 기초하여 이행되는 청정개발체제에 기초하여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여 거래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전력 수용가에게 보상해 주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로부터 수신되어 합산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용가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 상기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온실 가스 검증(verification)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기초하여 인증(certification)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온실 가스 배출권의 수요자들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요자들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는 전력에 대한 온실 가스 배출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상기 전 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실 가스 배출권은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불화탄소(PFC), 수소화탄화불소(HFC), 불화유황(SF6) 중 적어도 하나의 온실 가스에 대하여 계량화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하여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로부터 수신되어 합산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용가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환산된 금액을 검증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환산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금액을 상기 전력 수용가에게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하여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 각각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의 절감 전력량을 합산하며, 상기 합산된 절감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환산된 금액을 검증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환산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보상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보상 금액을 상기 전력 수용가들 각각의 절감 전력량에 비례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들 각각에게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기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은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여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전력 수용가에게 절감 전력량에 상응하는 금액을 보상할 수 방법을 제고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전력 수용가 내의 전자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은 중간 수집 장치(100) 및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를 포함한다.
중간 수집 장치(100)는 전력 측정/제어망을 통하여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자 장치들(미도시)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여 합산하며,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 및 합산된 전력 수용가(10) 전체의 전력 사용량을 인터넷 또는 전력 IT(Information Technology)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로 전송한다. 전력 수용가 내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측정 기기(미도시)에 의하여 측정되 어 중간 수집 장치(100)로 전송된다.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력 측정/제어망은 중간 수집 장치(100)와 유선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선 랜, 지그비 통신 기술 등의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간 수집 장치(100)와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또는 전력 IT 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수용가(10)는 도 1에서 하나의 전력 수용가로 도시되었으며, 일정량의 기준 전력 사용량을 할당받은 기업체, 공장, 건물, 가정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력 수용가(10)는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기업체, 공장, 건물, 가정 등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력 수용가(10)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을 수신하며,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절감 전력량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수요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판매할 수 있다. 도 1에서 전력 공급사(300)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에 접속하여 인증된 탄소 배출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자일 수 있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를 통한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의 판매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와 연결된 온실 가스 거래 서버(4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력 수용가(10) 내의 다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고, 수신된 다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의 좀더 구체적인 동작은 차후 도 3 및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수용가 내(10)의 전력 측정/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측정/제어 시스템은 전력 수용가(10) 내의 다수의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 및 중간 수집 장치(100), 및 디지털 계량기(100')를 포함한다.
전력 측정/제어 장치(20)는 전력 수용가(10) 내의 다수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간 수집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들은 가전 제품만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자 장치들은 공장에서 제품 생산에 이용되는 각종 설비, 측정 장비 등일 수도 있다.
중간 수집 장치(100)는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 각각으로부터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며, 수신된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합산하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 및 합산된 사용 전력 량을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로 전송한다.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 및 합산된 사용 전력량은 중간 수집 장치(100)에 연결되는 디지털 계량기(100')를 이용하여 전력 IT 망을 통하여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수집 장치(100)의 블락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간 수집 장치(100)는 내부망 정합 모듈(110), 외부망 정합 모듈(120), 디지털 계량기 정합 모듈(130), 통신 처리 모듈(140), 메시징 프로토콜 모듈(150),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16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70), 디스플레이 모듈(180), 및 데이터 베이스(19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중간 수집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내부망 정합 모듈(110)은 전력 수용가(10) 내의 다수의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내부망 정합 모듈(110)은 전력 측정/제어 장치(20)에 의하여 측정된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망 정합 모듈(120)은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외부망 정합 모듈(120)은 다수의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량과 합산된 전력 사용량을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계량기 정합 모듈(130)은 디지털 계량기(100')와 접속하기 위한 모듈이다. 외부망 정합 모듈(120)과 디지털 계량기 정합 모듈(130)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중간 수집 장치(100)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와 접속할 경우에는 외부망 정합 모듈(120)이 이용되며, 전력 IT 망을 통하여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와 접속할 경우에는 디지털 계량기 정합 모듈(130)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처리 모듈(140)은 다수의 정합 모듈들(110, 120, 및 130)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메시징 프로토콜 모듈(150)은 다수의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 및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에서의 보안 및 상호 연동을 담당한다.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160)은 다수의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합하고,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장치들의 전력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들을 다수의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모듈(170)을 통하여 다수의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160)의 전력량 관리 및 제어 결과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명령 수행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90)는 전력 측정/제어 장치들(20)에 의하여 측정된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 전력 수용가(10) 전체의 전력 사용량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의 블락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통신 처리 모듈(210), 메시징 프로토콜 모듈(220),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듈(240), 트랜잭션 처리 모듈(25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60), 거래 및 보상 처리 모듈(270), 및 데이터 베이스(28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동작을 살펴본다.
통신 처리 모듈(2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행되는 전력 수용가(10)의 중간 수집 장치(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메시징 프로토콜 모듈(220)은 전력 수용가(10)의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 및 보안 동작을 수행한다.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수용가(10) 전체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의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자 장치 제어 과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다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수용가(10)의 전체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제2 전력 사용량 정보 각각에는 다수의 전자 장치들 각각 및 상기 전력 수용에 대한 순간 전력 사용량 또는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된 전력 사용량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제2 사용량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280)에 저장될 수 있다.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제2 전력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전자 장치의 전력 사용량이 미리 정해진 사용량을 초과하면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특정 전자 장치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전력 수용가(10) 전체의 전력 사용량이 미리 정해진 사용량을 초과하면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전자 장치들 중 일부의 동작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 수용가(10)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이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는 기준은 전력 수용가(10)의 주간 평균 소비 전력량, 월평균 소비 전력량, 연평균 소비 전력량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듈(240)은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유효한 가치 값으로 계량화할 수 있다. 예컨대,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듈(240)은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거래 가능한 가치를 갖는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거나 금액으로 환산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듈(240)은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에 대한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의 계량화를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불화탄소(PFC), 수소화탄화불소(HFC), 불화유황(SF6) 중 적어도 하나의 온실 가스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듈(240)은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하여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듈(240)은 전력에 대한 온실 가스 배출 계수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에 대한 온실 가스 배출권은 상술한 온실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수학식 1은 절감 전력량에 대한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계량화하는 수식을 나타낸다.
1 kW = 0.43 * CO2 [kg]
여기서, 0.43은 1 kW의 전력에 대한 이산화탄소 배출 계수를 나타낸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 및 환산된 금액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검증 기관 또는 인증 기관으로 전송하며, 전송된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 및 환산된 금액에 대하여 검증 기관 또는 인증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 금액을 수신한다.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에 대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 및 금액은 데이터 베이스(280)에 저장된다.
현재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다. CDM(Clean Development Mechamism) 등록 사업자가 절감 전력에 대하여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데이터를 검증(verification) 기관으로 보내면, 검증 기관은 그 데이터에 대한 실사를 수행한 다음 그 실사 결과를 인증(certification) 기관인 유엔기구변화협약 산하 CDM 집행위원회(excutive board)에 보낸다.
그러면 CDM 집행위원회는 검증 기관의 실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CER: Certified Emisson Reduction)을 CDM 등록 사업자에게 송부한다. 전력 수용가(10)의 CER 수령 및 관리 위임에 의하여 CDM 집행위원회는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로 송부할 수 있다. 검증 기관의 실사를 제외한 이상의 절차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실사를 수행하는 검증 기관은 UN(United Nation)이 승인한 기관으로 국내에서는 에너지관리공단, 한국품질재단, 한국표준협회, 환경관리공단 등이 있다. 현재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인증은 CDM 집행위원회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으나, 차후 CDM 집행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다른 인증 기관이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절감 전력량에 대한 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다. CDM 등록 사업자가 절감 전력에 대하여 환산된 금액에 대한 데이터를 검증 기관으로 보내면, 검증 기관을 그 데이터에 대한 실사를 수행한 다음 그 실사 결과에 기초하여 환산된 금액에 대하여 인증된 금액을 CDM 사업자에게 보상한다. 인증된 금액에 대한 보상은 CDM 사 업자에게 이루어지나, 전력 수용가(10)의 인증된 금액의 수령 및 관리 위임에 의하여 검증 기관은 인증된 금액에 보상을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CDM 등록 사업자에 대한 온실 가스 배출권 인증이 CDM 집행위원회의 관리 하에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절감 전력량에 대한 보상은 산업자원부와 에너지 관리 공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현재, 국내에서 에너지 관리 회사 등의 CDM 등록 사업자의 절감 전력량에 대한 보상은 상술한 UN의 승인을 받은 기관 외에 한국가스안전공사, 로이드인증원, SGS인증원 등에 의해서도 수행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절감 전력에 대한 온실 가스 배출권 인증 및 금액으로의 보상은 등록 사업자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은 차후 그 범위는 각 가정, 건물, 공장 또는 그들의 그룹을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트랜잭션 처리 모듈(250)은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에 접속된 다수의 전력 수용가(10)들에 대한 데이터 처리 절차를 제어한다. 서버 관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60)을 통하여 명령 입력, 서버 환경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 및 보상 처리 모듈(270)은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의 거래를 수행하며, 환산된 금액에 기초하여 인증된 금액에 대한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80)에는 거래 및 보상 처리 모듈(270)에 의하여 수행된 CER 거래 내역 및 인증된 금액 보상 내역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의 구성 요소들 각각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의 구성 요소들 각각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을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를 중심으로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전력 거래 방법을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통신 처리 모듈(210)을 통하여 전력 수용가(10)의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자 장치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 및 전력 수용가(10) 전체의 전력 사용량을 수신한다(S50). 이때, 메시징 프로토콜 모듈(220)은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 및 보안 동작을 수행한다.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수신된 전력 수용가(10)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며,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듈(240)은 산출된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 한다(S51).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통신 처리 모듈(210)을 통하여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온실 가스 검증 기관으로 전송하고,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기초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수신한다(S52). 그러면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전력 수용가(10)에 대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80)에 저장한다.
여기서 S52 단계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수행된다. 온실 가스 검증 기관은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실사를 수행하고 그 실사 결과를 온실 가스 인증 기관으로 전송하며(S52'), 온실 가스 인증 기관은 계량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실사 결과를 심사하여(S52"),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수신한다(S52). 현재는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검증 기관과 인증 기관이 분리되어 있으나, 차후 두 기관이 통합될 여지도 있다. 그러면 S52 단계는 하나의 기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수요자 단말기로부터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대한 수요자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며, 수신된 수요자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수요자에 판매한다(S53).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를 통한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판매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거래 공간에서 전력 수용가(10)와 수요자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수용가(10)와 수요자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가 제공하는 채팅방을 이용하여 흥정 할 수 있으며, 거래가 성사된 경우 전력 수용가(10)와 수요자 사이의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 및 금액 송수신은 거래 및 보상 처리 모듈(27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를 통한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판매는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 판매를 위임받은 대리인(예컨대, 온실 가스 배출권 판매 회사)이 운영하는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대리인이 운영하는 서버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며,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 판매 결과를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온실 가스 배출권 판매액을 전력 수용가(10)로 송금할 수 있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전력 수용가(10)의 전력 사용량에 따른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자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여 그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전력 수용가(10) 내의 전자 장치들 각각에 대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전력 수용가(10) 전체에 대한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를 추출한다(S54). 그러면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제2 전력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S55).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는 통신 처리 모듈(210)을 통하여 전력 수용가(10)의 중간 수집 장치(100)로 전송된다(S56). 그러면 중간 수집 장치(100)은 수신된 제어 신호를 다수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상응하 는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응하는 전자 장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5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에서 발생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는 전력 수용가(10)의 단말기(예컨대, PC, 노트북, 이동 통신 단말기 등)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력 수용가(10)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전력 수용가(10)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응답하여 다수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전력 수용가(10)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자 장치들 중에서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중간 수집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그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통신 처리 모듈(210)을 통하여 전력 수용가(10)의 중간 수집 장치(100)로부터 전력 수용가(10)의 전력 사용량을 수신한다(S60). 이때, 메시징 프로토콜 모듈(220)은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 및 보안 동작을 수행한다.
전력량 관리 및 제어 모듈(230)은 수신된 전력 수용가(10)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며, 에너지 절감량 계량화 모 듈(240)은 산출된 전력 수용가(10)의 절감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한다(S61).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통신 처리 모듈(210)을 통하여 환산된 금액을 검증 기관으로 전송하고(S62), 환산된 금액에 기초하여 인증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63). 그러면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전력 수용가(10)에 대하여 인증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80)에 저장한다.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는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에 대한 인증된 금액을 전력 수용가(10)에게 보상해 준다(S74). 예컨대, 전력 수용가(10)에 대한 보상은 인증된 금액을 전력 수용가(10)의 계좌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전력 수용가(10)를 단위로 하여 절감 전력량에 대한 보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나 절감 전력량에 대한 보상은 전력 공급 회사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전력 공급 회사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의 전력 수용가(10)들 전체의 절감 전력량을 합산하여, 다수의 전력 수용가(10)들의 합산 전력 절감량에 대한 전력 공급 회사의 이익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 공급 회사의 이익액에 기초하여 검증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금액 보상 금액을 다수의 전력 수용가(10)들 각각의 절감 전력량에 비례하여 보상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 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수용가 내의 전력 측정/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수집 장치의 블락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의 블락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을 절감 에너지 거래 및 보상 서버(200)를 중심으로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로부터 수신되어 합산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용가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
    상기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온실 가스 검증(verification)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계량화된 온실 가스 배출권에 기초하여 인증(certification)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온실 가스 배출권의 수요자들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요자들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된 온실 가스 배출권을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는
    전력에 대한 온실 가스 배출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가스 배출권은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불화탄소(PFC), 수소화탄화불소(HFC), 불화유황(SF6) 중 적어도 하나의 온실 가스에 대하여 계량화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하여 온실 가스 배출권으로 계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전력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량 정보를 전력 수용가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 수용가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전력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 및 상기 전력 수용가 각각에 대한 순간 전력 사용량 또는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된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9.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로부터 수신되어 합산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력 수용가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환산된 금액을 검증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환산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금액을 상기 전력 수용가에게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절감 전력량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하여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전력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 각각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사용량 정보를 전력 수용가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 수용가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수용가의 전력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사용량 정보 및 상기 제2 전력 사용량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측정/제어 기기 및 상기 전력 수용가 각각에 대한 순간 전력 사용량 또는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누적된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5.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 각각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 각각에 대한 기준 전력 사용량 및 상기 수신된 전력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 각각의 절감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다수의 전력 수용가들의 절감 전력량을 합산하며, 상기 합산된 절감 전력량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환산된 금액을 검증 기관으로 전송하고, 상기 환산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검증 기관에 의하여 인증된 보상 금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보상 금액을 상기 전력 수용가들 각각의 절감 전력량에 비례하여 상기 전력 수용가들 각각에게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감 에너지 보상 방법.
KR1020090021806A 2009-03-13 2009-03-13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KR20100103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06A KR20100103265A (ko) 2009-03-13 2009-03-13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06A KR20100103265A (ko) 2009-03-13 2009-03-13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65A true KR20100103265A (ko) 2010-09-27

Family

ID=4300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806A KR20100103265A (ko) 2009-03-13 2009-03-13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326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481A1 (ko) * 2010-11-02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소배출권 관리시스템 및 탄소배출권 관리방법
WO2012096422A1 (ko) * 2011-01-14 201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판매대금 과금방법 및 과금 시스템
KR101419049B1 (ko) * 2014-01-20 2014-07-14 (주)뉴월드마리타임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을 이용한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방법, 그리고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520218B1 (ko) * 2014-01-08 2015-05-13 인천국제공항공사 통합계량기, 통합계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3455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통신 기기 및 서버,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KR20180003516A (ko) * 2015-06-05 2018-01-0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통신 기기 및 서버,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KR20220078032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128001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KR102646327B1 (ko) * 2022-11-02 2024-03-12 (주)띵스파이어 에너지 거래 vup플랫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481A1 (ko) * 2010-11-02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소배출권 관리시스템 및 탄소배출권 관리방법
WO2012096422A1 (ko) * 2011-01-14 201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판매대금 과금방법 및 과금 시스템
KR101520218B1 (ko) * 2014-01-08 2015-05-13 인천국제공항공사 통합계량기, 통합계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9049B1 (ko) * 2014-01-20 2014-07-14 (주)뉴월드마리타임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을 이용한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방법, 그리고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43455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통신 기기 및 서버,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KR20180003516A (ko) * 2015-06-05 2018-01-09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전력 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통신 기기 및 서버,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KR20220078032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3128001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테라플랫폼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위한 중개시스템
KR102646327B1 (ko) * 2022-11-02 2024-03-12 (주)띵스파이어 에너지 거래 vup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265A (ko)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보상 방법
KR20130082925A (ko) 발전원에 따른 차등적 탄소배출권을 이용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20100057582A1 (en)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accumulating, distributing, and market making
US2009019289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naging green micro credits
US20090132360A1 (en) Platform / method for evaluating, aggregating and placing of renewable energy generating assets
US20100324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energy credits derived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le maintaining green certificateion
KR20210012579A (ko) 소규모 분산자원 거래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60104138A1 (en) Direct provision of photovoltaic instruments associated with aggregated photovoltaic installations
Han et al. Low‐carbon energy policy analysis based on power energy system modeling
KR101823821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주택의 에너지 효율 개선 시공에 대한 탄소배출권 거래 방법
JP2005339187A (ja) 二酸化炭素排出削減量を特定するための情報処理方法
Strategy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WO2020202587A1 (ja) 排出権管理システム
JP2021135833A (ja) 電力取引システム
Productivity Commission The private cost effectiveness of improving energy efficiency
KR20210085548A (ko) 실시간 에너지 비용을 반영한 수요와 공급자 협상기반의 양방향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86027A (ja) 二酸化炭素排出権取引システム及び二酸化炭素排出権取引方法
Kurnik et al. Peak Demand and Time-Differentiated Energy Savings Cross-Cutting Protocol. The Uniform Methods Project: Methods for Determining Energy Efficiency Savings for Specific Measures
Sutter et al. Applying Non-Energy Impacts from Other Jurisdictions in Cost-Benefit Analyses of Energy Efficiency Programs: Resources for States for Utility Customer-Funded Programs
KR101419049B1 (ko)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시스템을 이용한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방법, 그리고 절감 연료유 거래 및 보상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Brown et al. AMI system security requirements
TW201123052A (en) Set up E-Commerce system for house renovation and related appliance purchasing.
JP6625298B1 (ja) 排出権管理システム
Sutherland Climate change: the contribution of telecommunications
Working Digitalisation for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