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024B1 -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024B1
KR102583024B1 KR1020230067203A KR20230067203A KR102583024B1 KR 102583024 B1 KR102583024 B1 KR 102583024B1 KR 1020230067203 A KR1020230067203 A KR 1020230067203A KR 20230067203 A KR20230067203 A KR 20230067203A KR 102583024 B1 KR102583024 B1 KR 10258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carrier
housing
lifting memb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성진
Original Assignee
함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성진 filed Critical 함성진
Priority to KR102023006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관으로 유입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을 기름통에 수용되도록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는, 일측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과; 일단을 통해 로스터 테이블의 공기를 흡입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공에 연결된 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이송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통과; 상기 캐리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메인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강부재에 의한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의 상승시 상기 기름통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 Oil trap device for restaurant roaster table }
본 발명은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입관으로 유입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을 기름통에 수용되도록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는 테이블 중앙에 숯이나 가스 또는 전기 등의 열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는 여러 대의 고기 구이기즉 로스터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로스터 테이블에서 고기나 생선 등을 구울 때에는 필연적으로 많은 연기와 기름 분자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연기나 기름분자 등은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인체에도 별로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실내의 각종 시설물에 흡착되므로 청결유지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또는 테이블에 흡입관(덕트 등)을 설치하고, 흡입관에서 유증기 즉 기름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때 기름은 흡입관 및 배출관의 내벽에 고착되어 배관이 막히거나 흡입력을 약하게 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흡입관에서 유입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을 수용하는 기름통을 별도로 구비하는 기술 및 제품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름통에 기름이 쌓여 기름통을 하우징에서 꺼내어 비우고자 할 경우에, 기름통을 하우징의 내부에서 꺼내게 되면 하우징의 내부에 기름통이 없게 되어 흡입관에서 이동하는 기름 등이 하우징의 바닥을 그대로 낙하되어 하우징의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04-0070124 등록실용신안 20-030997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름 등이 수용되는 기름통을 하우징의 외부로 꺼냈을 경우 흡입공을 통해 기름이 하우징의 바닥으로 그대로 낙하되어 하우징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는, 일측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과; 일단을 통해 로스터 테이블의 공기를 흡입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공에 연결된 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이송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통과; 상기 캐리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메인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강부재에 의한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의 상승시, 상기 기름통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이 상기 흡입공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는 제1서브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는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타단이 상기 흡입공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름통의 상단에 걸쳐지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승하면 상기 캐리어 또는 기름통은 상기 제1서브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켜 상기 제1서브커버가 상기 흡입공을 폐쇄하도록 하며,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최고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의 측면은 상기 제1서브커버가 상기 흡입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누른다.
상기 흡입공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1서브커버의 일단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는 상기 흡입공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하단이 상기 배출공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제2서브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커버는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타단이 상기 배출공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름통의 상단에 걸쳐지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승하면 상기 캐리어 또는 기름통은 상기 제2서브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켜 상기 제2서브커버가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도록 하며,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최고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의 측면은 상기 제2서브커버가 상기 배출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누른다.
상기 메인커버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상승하면 상기 기름통의 상단은 상기 메인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킨다.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어 상기 기름통의 하중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기름통의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의 상부에 상기 기름통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기름통의 안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기름통의 안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기름통의 안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킨다.
상기 메인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와; 상기 배출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센서에 의해 상기 메인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였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팬의 작동을 허가한다.
상기 하우징은 지면 아래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기름통의 상승시 상기 기름통의 상단은 지면보다 위로 돌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흡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기름통을 통해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통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상승할 경우에는 상기 제1서브커버가 상기 흡입공을 폐쇄하기 때문에 기름통이 없는 상태에서 흡입공을 통해 기름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통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상승할 경우에는 상기 제2서브커버가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기 때문에 다른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팬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장치가 설치된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기름통이 상승한 상태의 구조도.
본 발명의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는, 하우징(10)과, 흡입관(20)과, 배출관(30)과, 배출팬(미도시)과, 캐리어(40)와, 기름통(45)과, 승강부재(50)와, 메인커버(61)와, 제1서브커버(62)와, 제2서브커버(6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일측에 흡입공(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12)이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은 지면 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지면 아래에 삽입 설치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20)은 일단이 상기 로스터 테이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스터 테이블의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관(20)의 타단은 상기 흡입공(1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30)은 일단이 상기 배출공(1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출팬은 상기 배출관(30)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이송시킨다.
상기 캐리어(4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기름통(45)은 상기 흡입공(11)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즉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기름 등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캐리어(4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기름통(45)은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흡입공(11)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내부에 수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름통(45)의 상승시 상기 기름통(45)의 상단은 지면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50)는 상기 캐리어(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부재(50)는 실린더, 기어구조, LM가이드,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61)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한다.
상기 메인커버(61)는 다양한 구조로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커버(61)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50)가 상기 캐리어(40) 및 기름통(45)을 상승시키면, 상기 기름통(45)의 상단은 상기 메인커버(61)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메인커버(61)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메인커버(61)의 일단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61)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폐쇄하는 회전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 없이 상기 메인커버(61)의 자중 등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메인커버(61)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해 상기 캐리어(4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45)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11) 및 배출공(12)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해 상기 캐리어(4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45)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11) 및 배출공(12)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한 상기 캐리어(40) 및 기름통(45)의 상승시, 상기 기름통(45)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기름통(45)이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었다는 것을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름통(45)의 외면에 시인성이 높은 색상, 무늬 등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서브커버(62)는 하단이 상기 흡입공(1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흡입공(11)을 개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해 상기 캐리어(40)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62)는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타단이 상기 흡입공(11)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름통(45)의 상단에 경사지게 걸쳐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흡입공(11)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등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제1서브커버(62)를 통해 상기 기름통(45)으로 보다 쉽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해 상기 캐리어(40)가 상승하면 상기 캐리어(40) 또는 기름통(45)은 상기 제1서브커버(62)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켜 상기 제1서브커버(62)가 상기 흡입공(11)을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40) 및 기름통(45)이 최고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40)의 측면은 상기 제1서브커버(62)가 상기 흡입공(11)을 폐쇄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누르고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기름통(45)이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62)가 상기 흡입공(11)을 폐쇄함으로서, 상기 흡입공(11)을 통해 이동하는 기름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으로 그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입공(11)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1서브커버(62)의 일단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62)는 상기 흡입공(1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 없이 상기 제1서브커버(62)의 자중 또는 경사각도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62)는 상기 흡입공(1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서브커버(63)는 하단이 상기 배출공(1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배출공(12)을 개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해 상기 캐리어(40)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커버(63)는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타단이 상기 배출공(12)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름통(45)의 상단에 경사지게 걸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해 상기 캐리어(40)가 상승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40) 또는 기름통(45)은 상기 제2서브커버(63)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켜 상기 제2서브커버(63)가 상기 배출공(12)을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40) 및 기름통(45)이 최고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40)의 측면은 상기 제2서브커버(63)가 상기 배출공(12) 폐쇄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누르고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기름통(45)이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커버(63)가 상기 배출공(12)을 폐쇄함으로서, 상기 배출팬이 작동되어도 상기 하우징(10) 내부 및 외부의 공기가 불필요하게 배출관(30)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팬과 연결된 다른 배출관(30)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12)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2서브커버(63)의 일단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커버(63)는 상기 배출공(1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 없이 상기 제2서브커버(63)의 자중 또는 경사각도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커버(63)는 상기 배출공(12)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센서(71), 제2센서(72),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센서(71)는 상기 캐리어(40)에 장착되어 상기 기름통(45)의 하중을 측정한다.
상기 제2센서(72)는 상기 캐리어(40)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40)의 상부에 상기 기름통(45)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재(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1센서(71)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45)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재(50)를 작동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40) 및 기름통(45)이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기름통(45)의 상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센서(71)와 함께 상기 제2센서(72)가 추가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72)에 의해 상기 기름통(45)의 안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71)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45)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승강부재(5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72)에 의해 상기 기름통(45)의 안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센서(71)에서 측정된 하중과 상관없이 상기 승강부재(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2센서(72)에 의해 상기 기름통(45)의 안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71)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45)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승강부재(50)를 자동으로 하강시킨다.
위와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 기름통(45)에 기름이 미리 설정된 정도가 차이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50)는 자동으로 상승하여 상기 기름통(45)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쉽게 상기 기름통(45)의 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가 기름통(45)을 비고 다시 상기 캐리어(40)에 올려 놓으면 상기 승강부재(50)에 의해 상기 기름통(45)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커버(61)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7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팬의 작동을 추가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3센서(73)에 의해 상기 메인커버(61)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을 폐쇄하였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팬의 작동을 허가한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커버(61)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을 덜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팬이 작동되어, 로스터 테이블 상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흡입될 때 상기 흡입관(20)을 통한 공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흡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기름통(45)을 통해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상기 기름통(45)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상승할 경우에는 상기 제1서브커버(62)가 상기 흡입공(11)을 폐쇄하기 때문에 기름통(45)이 없는 상태에서 흡입공(11)을 통해 기름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10)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통(45)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상승할 경우에는 상기 제2서브커버(63)가 상기 배출공(12)을 폐쇄하기 때문에 다른 배출관(30)과 연결된 배출팬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흡입공, 12 : 배출공,
20 : 흡입관,
30 : 배출관,
40 : 캐리어, 45 : 기름통,
50 : 승강부재,
61 : 메인커버, 62 : 제1서브커버, 63 : 제2서브커버
71 : 제1센서, 72 : 제2센서, 73 : 제3센서,

Claims (9)

  1. 일측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과;
    일단을 통해 로스터 테이블의 공기를 흡입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공에 연결된 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이송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기름통과;
    상기 캐리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메인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기름통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강부재에 의한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의 상승시, 상기 기름통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우징은 지면 아래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기름통의 상승시 상기 기름통의 상단은 지면보다 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흡입공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는 제1서브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는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타단이 상기 흡입공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름통의 상단에 걸쳐지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승하면 상기 캐리어 또는 기름통은 상기 제1서브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켜 상기 제1서브커버가 상기 흡입공을 폐쇄하도록 하며,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최고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의 측면은 상기 제1서브커버가 상기 흡입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1서브커버의 일단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서브커버는 상기 흡입공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4. 청구항2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배출공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제2서브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서브커버는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타단이 상기 배출공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기름통의 상단에 걸쳐지고,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가 상승하면 상기 캐리어 또는 기름통은 상기 제2서브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켜 상기 제2서브커버가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도록 하며,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최고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의 측면은 상기 제2서브커버가 상기 배출공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버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상승하면 상기 기름통의 상단은 상기 메인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어 상기 기름통의 하중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캐리어 및 기름통이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기름통의 상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의 상부에 상기 기름통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기름통의 안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기름통의 안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상기 기름통의 안착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기름통의 하중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3센서와;
    상기 배출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3센서에 의해 상기 메인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폐쇄하였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팬의 작동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9. 삭제
KR1020230067203A 2023-05-24 2023-05-24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KR10258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203A KR102583024B1 (ko) 2023-05-24 2023-05-24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203A KR102583024B1 (ko) 2023-05-24 2023-05-24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024B1 true KR102583024B1 (ko) 2023-09-26

Family

ID=8819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203A KR102583024B1 (ko) 2023-05-24 2023-05-24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0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144Y1 (ko) * 2002-01-23 2002-04-09 조금석 음식점 설비용 배기장치
KR200309976Y1 (ko) 2003-01-06 2003-04-11 김종목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20040070124A (ko) 2004-06-25 2004-08-06 김현동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KR20090003969U (ko) * 2007-10-24 2009-04-29 박찬무 구조개선된 고기 구이판용 기름 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144Y1 (ko) * 2002-01-23 2002-04-09 조금석 음식점 설비용 배기장치
KR200309976Y1 (ko) 2003-01-06 2003-04-11 김종목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20040070124A (ko) 2004-06-25 2004-08-06 김현동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KR20090003969U (ko) * 2007-10-24 2009-04-29 박찬무 구조개선된 고기 구이판용 기름 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6423C (en) Roof mounted kitchen hood exhaust blowers
CA1279541C (en) Barbeque cooking and smoking apparatus
US5299553A (en) Kettle grill and ash-catcher assembly therefor
AU2018232901B2 (en) Incineration toilet
WO2021184864A1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US4059857A (en) Free standing toilet stool ventilating device
US20060260599A1 (en) Barbecue grill with fuel storage bin
KR101698180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바베큐그릴
KR102583024B1 (ko)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승강형 기름받이장치
KR100858443B1 (ko) 숯불 발화기용 분진 집진장치
KR200422737Y1 (ko) 이동이 가능한 조리용 냄새 및 연기 배출장치
US4879990A (en) Discharge collection system
KR102583023B1 (ko) 음식점용 로스터 테이블의 수평 이동형 기름받이장치
US20200107677A1 (en) Hood device for grill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EP0730427B1 (fr) Installation de cuisson et panier pour une telle installation
KR20210123815A (ko) 하향식 로스터가 구비되는 테이블의 연기 정화시스템
CN211876110U (zh) 自动烹饪设备
KR200331304Y1 (ko) 숯불통이 승강하는 숯불구이기
CN101813333A (zh) 一种升降式透明吸油烟罩脱排油烟机
KR101461027B1 (ko) 튀김기
CN220186878U (zh) 一种柴火灶
CN110999887A (zh) 一种具有焚烧功能的蟑螂捕捉设备
GB2422292A (en) Deep fat fryer with means for emptying oil
CN2430095Y (zh) 自动锅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