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942B1 -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942B1
KR102582942B1 KR1020150127249A KR20150127249A KR102582942B1 KR 102582942 B1 KR102582942 B1 KR 102582942B1 KR 1020150127249 A KR1020150127249 A KR 1020150127249A KR 20150127249 A KR20150127249 A KR 20150127249A KR 102582942 B1 KR102582942 B1 KR 10258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ed
magnet
bobbin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984A (ko
Inventor
이준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2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942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9992 priority patent/WO2017043849A1/ko
Priority to CN201680052132.6A priority patent/CN108027493B/zh
Priority to CN202410129465.0A priority patent/CN117849979A/zh
Priority to CN202110837421.XA priority patent/CN113608323B/zh
Priority to CN202110838972.8A priority patent/CN113608324B/zh
Priority to US15/758,685 priority patent/US10509194B2/en
Publication of KR2017002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984A/ko
Priority to US16/685,286 priority patent/US11086098B2/en
Priority to US17/369,251 priority patent/US11662549B2/en
Priority to US18/303,207 priority patent/US20230251456A1/en
Priority to KR1020230125157A priority patent/KR2023014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그넷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그넷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렌즈 구동 유닛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제조인원 감소, 지그 비용 감소, 제품 단가 감소, 불량율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춘 카메라 모듈이 이용되고 있다. 언급한 오토 포커스 기능은 일례로서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되는데, 종래에는 렌즈가 고정된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마그넷을 고정하고, 탄성부재를 결합하는데 있어 이물질이 발생되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탄성부재를 결합하는 경우, 조립, 결합, 검사의 3단계 공정을 거치므로 제조비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 10-1366662 B1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마그넷을 하우징에 결합하는 힘에 의해 탄성부재가 고정되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 강화 구조를 적용한 렌즈 구동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은,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그넷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그넷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는 일면에서 상기 하우징과 면접촉하며, 타면에서 상기 마그넷과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와 상기 상측부, 또는 상기 외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외측부는, 상기 마그넷과 상기 상측부 사이에서 상기 마그넷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부는 4개의 코너부를 가지며,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기 상측부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4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와 이웃하고,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와 이웃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와 상기 제3 및 제4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마그넷이 위치하고, 상기 제2 및 제3지지부 사이와 상기 제4 및 제1지지부 사이에는 측방 플레이트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과 결합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외측단과, 상기 제2 및 제3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외측단과, 상기 제3 및 제4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외측단과, 상기 제4 및 제1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4외측단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는, 상기 제1외측단과 대향하는 제1내측단과, 상기 제2외측단과 대향하는 제2내측단과, 상기 제3외측단과 대향하는 제3내측단과, 상기 제4외측단과 대향하는 제4내측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내측단과 상기 제3내측단 사이 및 상기 제1외측단을연결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내측단과 상기 제4내측단 사이 및 상기 제2외측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외측단은 상기 하우징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외측단과 상기 제2내측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와, 상기 제1외측단과 상기 제4내측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외측단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측부와 상기 보빈은 적어도 일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보빈의 상면의 외주를 따라 빙 둘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측방 지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기 측방 지지부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측방 지지부와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측방 지지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장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측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코일에 연결되며, 한 쌍의 하측 탄성부재 각각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의 단자 수용부에 수용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방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및 제3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4 및 제1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기 마그넷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빈에는 상기 홀과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그넷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그넷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코일;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그넷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그넷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렌즈 구동 유닛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제조인원 감소, 지그 비용 감소, 제품 단가 감소, 불량율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유닛의 이물 발생 및 침투에 대한 이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변형례에 따른 상측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A1-A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상측 지지부재 및 제2구동부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구동 유닛에 결합된 상태의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며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갖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유닛(미도시), 렌즈 모듈(미도시),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이미지 센서(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렌즈 모듈은, 렌즈 구동 유닛에 결합되어 렌즈 구동 유닛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유닛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유닛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유닛과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일례로서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베이스(6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홀더 부재(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6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홀(611)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렌즈 구동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내측에는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외측에는 센서홀더(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센서홀더의 상측에는 렌즈 구동 유닛이 위치할 있다.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외측에 렌즈 구동 유닛이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내측에 이미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 구동 유닛의 내측에 수용된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렌즈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에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일례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을 이루는 구성 각각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tilt) 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7은 변형례에 따른 상측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을 A1-A2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12는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변형례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상측 지지부재 및 제2구동부의 조립 과정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은, 커버 부재(100), 보빈(200), 제1구동부(300), 하우징(400), 제2구동부(500), 베이스(600) 및 지지부재(700, 8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100), 보빈(200), 제1구동부(300), 하우징(400), 제2구동부(500), 베이스(600) 및 지지부재(700, 8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렌즈 구동 유닛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커버 부재(10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부재(100)와 베이스(6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보빈(200), 제1구동부(300), 하우징(400), 제2구동부(500) 및 지지부재(700, 8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버 부재(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일례로서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커버 부재(100)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100)는, 커버 부재(1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커버 부재(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0)는, 커버 부재(100)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커버 부재(10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커버 부재(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부재(100)는, 상판(101), 외측판(102) 및 내측판(10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101)과,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판(102)과, 외측판(102)과 대향하며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판(10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상판(101)과, 상판(101)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외측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판(102)의 하단은 베이스(60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판(103)은, 상판(101)의 내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판(103)은, 보빈(200)의 내측판 수용홈(260)에 수용되어 보빈(200)이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측판 수용홈(260)을 형성하는 보빈(200)과 내측판(103)은, 보빈(200)이 회전하는 경우 걸리도록 형성되어 보빈(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내측판(103)은, 4개의 코너부 각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측판(103)의 폭은 내측판 수용홈(260)의 폭에 대응하거나 작을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상판(101)에 형성되어 렌즈 모듈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렌즈 모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의 크기는, 렌즈 모듈이 개구부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렌즈 모듈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광은 렌즈 모듈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로 전달될 수 있다.
보빈(200)은, 하우징(40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보빈(200)은, 하우징(400)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빈(200)은 제1구동부(300)의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베이스(600)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보빈(200)은 단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보빈(200)은 초기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측 지지부재(700) 및/또는 하측 지지부재(800)는 초기상태에서 보빈(200)을 베이스(600) 측으로 가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상측 지지부재(700) 및/또는 하측 지지부재(800)의 외측부(710, 810) 대비 내측부(720, 820) 간 간격을 오프셋(offset)을 주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보빈(200)은, 렌즈 결합부(210), 제1구동부 결합부(220), 상측 결합부(230), 하측 결합부(240), 단차부(250) 및 내측판 수용홈(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200)은, 렌즈 모듈이 결합되는 렌즈 결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210)에는 렌즈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결합부(210)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결합부(210)의 내주면에 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과 보빈(200) 사이에는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자외선(UV)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일 수 있다.
보빈(200)은, 제1구동부(300)가 결합되는 제1구동부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 결합부(220)에는, 제1구동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구동부 결합부(220)는, 보빈(200)의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 결합부(220)는, 보빈(2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부 결합부(220)는, 보빈(200)의 외측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00)은, 상측 지지부재(70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30)는, 상측 지지부재(700)의 내측부(72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230)의 돌기(미도시)는 내측부(720)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30)의 돌기가 내측부(720)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를 융착하여 또는 접착부재가 본딩되어 보빈(200)에 상측 지지부재(700)를 결합할 수 있다.
보빈(200)은, 하측 지지부재(80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결합부(240)는, 하측 지지부재(800)의 내측부(820)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240)의 돌기(미도시)는 내측부(820)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하측 결합부(240)의 돌기가 내측부(820)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를 융착하여 또는 접착부재가 본딩되어 보빈(200)에 하측 지지부재(800)를 결합할 수 있다.
보빈(20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단차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250)는 보빈(200)의 상면의 외주를 따라 빙 둘러 위치할 수 있다. 단차부(250)는, 보빈(200)이 광축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우징(400)의 상측부(410)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부(250)가, 보빈(200)의 상측으로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단차부(250)는 보빈(2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보빈(200)과 하우징(400)의 상측부(410)가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빈(200)과 하우징(400)의 상측부(410)가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에도 단차부(250)는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00)의 상측부(410)와 보빈(200)은 광축방향으로 최대한 많은 면적이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이 하우징(400)과 보빈(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이미지 센서에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상측부(410)와 보빈(200)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하우징(400)과 상측부(410) 사이의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오버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차부(250)에는 상측 지지부재(700)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부(250)가 구비되지 않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측 지지부재(700)가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측 지지부재(700)의 연결부(730)가 더 넓은 폭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탄성부재는 에칭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에칭 공차는 일례로서 ±0.007 mm정도이다. 또한, 유리 포토 마스크의 경우에는 ±0.003 mm 정도이다. 한편, 탄성부재의 폭이 넓을수록 탄성부재의 강성(stiffness)은 공차의 영향을 덜 받게되어 유리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면, 탄성부재의 폭을 1 mm 로 제조하는 경우 오차를 고려한 탄성부재의 폭은 1 ± 0.007 mm가 되지만, 탄성부재의 폭을 0.1 mm 로 제조하는 경우 오차를 고려한 탄성부재의 폭은 0.1 ± 0.007 mm가 되는 것이다. 즉, 탄성부재의 폭을 넓게 제조할수록 강성의 산포가 줄어들게 되며, 이 경우 단방향 구동 렌즈 구동 유닛의 작동 시작 전류(start current) 및 감도(sensitivity)의 산포 관리도 유리해진다.
그런데, 탄성부재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폭이 좁은 경우와 비교하여 폭이 좁을 때와 동일한 강성을 얻기 위해 길이가 길어질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부(250)가 보빈(200)의 상면의 외주를 빙 둘러 위치함으로써 상측 지지부재(700)의 수용 가능 면적을 넓혔으며, 그 결과 상측 지지부재(700)를 보다 넓은 폭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지지부재(700)의 강성이 공차의 영향을 덜 받게된다. 이는 상측 지지부재(700)의 강성의 산포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살핀 바에 따라 작동 시작 전류 및 감도의 산포 관리도 유리해지는 것이다.
보빈(200)은, 커버 부재(100)의 내측판(10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내측판 수용홈(26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판 수용홈(260)은, 보빈(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내측판 수용홈(260)은, 보빈(200)의 상면의 일부가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판 수용홈(260)의 함몰된 깊이는, 단차부(250)가 함몰된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이때, 깊이는 보빈(20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의 길이로 정의한다. 또한, 내측판 수용홈(260)을 형성하는 보빈(200)의 상면은, 보빈(200)이 하우징(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단차부(250)를 형성하는 보빈(200)의 상면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내측판 수용홈(260)은, 단차부(250) 보다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내측판 수용홈(260)에는 커버 부재(100)의 내측판(103)이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된 내측판(103)은 내측판 수용홈(260)을 형성하는 보빈(200)에 걸려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내측판 수용홈(260)은, 일례로서 4개의 코너측 각각에 1개씩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구동부(300)는 보빈(20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구동부(300)는, 보빈(200)의 제1구동부 결합부(2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구동부 결합부(220)는 함몰된 부분의 상하측에 돌출된 부분이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구동부(300)의 코일은 제1구동부 결합부(220)에 직권선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제1구동부 결합부(220)는 함몰된 부분의 상측 또는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다른 측에 걸림부가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구동부(300)의 코일은 미리 권선된 상태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부(30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300)의 코일은, 제1구동부 결합부(220)에 가이드되어 보빈(200)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코일은 4 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2 개의 코일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보빈(20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구동부(300)는, 제2구동부(500)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구동부(300)는, 제2구동부(50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빈(200)을 하우징(400)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300)의 코일은, 한 쌍의 인출선(301, 30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인출선(301, 302)은, 한 쌍의 하측 지지부재(801, 8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구동부(300)의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2구동부(500)의 마그넷(501, 502)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구동부(300)가 이동하며 제1구동부(300)가 결합된 보빈(200)도 이동하게 된다.
하우징(400)은 보빈(2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보빈(200)을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내주면은 보빈(20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일례로서 베이스(6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서 하우징(400)은, 측방 탄성부재를 통해 베이스(6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상측부(410), 측방 지지부(420) 및 측방 플레이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제2구동부(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측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부(410)는, 하우징(400)의 상면을 형성하며 제2구동부(50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측부(410)는, 내측에 관통홀(411)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411)을 통해 입사된 광은 렌즈 모듈로 입사될 수 있다. 상측부(410)는, 보빈(200)과 적어도 일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측부(410)는, 하우징(400)의 내측면과 보빈(200)의 외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이 하우징(400)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 보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400)과 보빈(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이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측부(410)는, 보빈(200)에 대하여 기계적인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측부(410)는, 보빈(200)의 오토 포커스 기능에 의한 이동 중에는 보빈(200)과 접촉하지 않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보빈(200)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보빈(20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 상한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상측부(410)는, 보빈(200)의 오토 포커스 기능에 의한 이동 중에 보빈(200)과 접촉하는 스토퍼기능을 할 수도 있다. 다만, 상측부(410)가 보빈(200)에 대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신뢰성 실험시 갈려서 이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커버 부재(100)의 내측판(103)과 보빈(200) 사이에 스토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보빈(200)의 내측판 수용홈(260)의 일부가 커버 부재(100)의 내측판(103)의 단부에 접촉됨으로써 스토퍼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측부(410)는, 일례로서 4개의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측부(410)의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상측부(410)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방 지지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00)은, 상측부(4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2구동부(5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지지부(420)는, 상측부(410)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지지부(421, 422, 423, 4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421)는 제4지지부(424) 및 제2지지부(422)와 이웃하고, 제3지지부(423)는 제2지지부(422)와 제4지지부(424)와 이웃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421) 내지 제4지지부(424)는 시계 방향 내지 반시계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421) 및 제2지지부(422) 사이와 제3지지부(423) 및 제4지지부(424) 사이에는 제2구동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부(422) 및 제3지지부(423) 사이와 제4지지부(424) 및 제1지지부(421) 사이에는 측방 플레이트(43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2개의 제2구동부(500)와 2개의 측방 플레이트(430)가 측방 지지부(4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2구동부(500)는 상호간 대향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측방 플레이트(430)도 상호간 대향할 수 있다.
측방 지지부(420)는,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6)에는, 베이스(600)의 연장부(620)가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426)는, 연장부(6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방 지지부(420)는, 적어도 일부에서 베이스(600)의 연장부(62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방 지지부(420)는, 함몰부(426)와 연장부(620)의 결합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함몰부(426)가 측방 지지부(42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연장부(620)가 함몰부(426)에 수용되면 연장부(620)가 측방 지지부(420)의 외측을 지지하는 결과가 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하우징(400)이 외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을 아래에서 볼 때, 하우징(400)의 함몰부(426)와 제1마그넷(501) 사이에는 하우징(400)의 측방 지지부(42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426)는 '홈부'일 수 있다.
측방 지지부(420)는,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42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427)는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427)는, 베이스(600)의 결합홈(630)에 수용될 수 있다. 결합돌기(427)에는, 하측 지지부재(800)의 외측부(810)에 형성되는 홈이 체결될 수 있다.
측방 지지부(420)는 제2구동부(500)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단(42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단(425)은 제2구동부(500)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제2구동부(500)가 내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단(425)은 제2구동부(50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오픈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제2구동부(500)와 제1구동부(3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방 플레이트(430)는, 제2지지부(422) 및 제3지지부(42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431), 및 제4지지부(424) 및 제1지지부(4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43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 플레이트(430)는, 측방 지지부(42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400)의 측방으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변형례로서 제2구동부(500)가 4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측방 플레이트(430)가 생략될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제1구동부(300)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제1구동부(30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1구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일례로서 2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넷(501)과 제2마그넷(5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마그넷(501)과 제2마그넷(502)은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그넷이 2개로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400)의 4개의 측면 중 2면은 측방 플레이트(430)를 배치하여 하우징(400)의 측방으로 이물이 침투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변형례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마그넷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2개의 마그넷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하우징(40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4개의 마그넷은 하우징(400)의 4개의 측면 각각에 배치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하우징(20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구동부(500)는 하우징(4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2구동부(500)의 상면은 하우징(400)의 상측부(410)에 지지되고 측면은 하우징(400)의 측방 지지부(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500)의 하면은 베이스(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구동부(500)와 상측부(410) 사이에는 상측 지지부재(700)가 개재될 수 있다. 제2구동부(500)와 하우징(400) 및/또는 베이스(60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변형례로서 제1구동부(300)가 마그넷을 포함하고, 제2구동부(500)가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00)는, 하우징(400)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600)는, 하우징(40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600)는, 커버 부재(100)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600)는, 커버 부재(100)의 외측판(102)과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60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부재(100)의 외측판(102)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베이스(60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커버 부재(100)의 외측판(102)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600)는, 하측부(610), 연장부(620) 및 결합홈(6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00)는, 하우징(400)을 지지하는 하측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부(610)는, 하우징(400)의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하측부(610)는 내측에 관통홀(61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611)을 통해,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베이스(6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에 도달할 수 있다. 하측부(610)는, 하우징(400)의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분에 결합홈(6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에는 결합홈(63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27)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427)에는 하측 지지부재(800)의 외측부(810)에 형성된 홀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600)의 하측부(610)와 하우징(400)의 측방 지지부(420) 사이에는 하측 지지부재(800)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하측 지지부재(800)는, 하측부(610)의 결합홈(630)에 삽입되는 측장 지지부(420)의 결합돌기(427)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측부(610)는, 측면 상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단자 수용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612)는, 하측 지지부재(800)의 단자부(811)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600)는 측방 지지부(420)와 대응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620)는 하측부(6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620)는 하측부(610)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620)는, 측방 지지부(420)의 함몰부(426)에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함몰부(426)는 측방 지지부(420)의 외측에 형성되며, 이 경우 연장부(620)는 함몰부(426) 삽입되어 측방 지지부(420)의 외측을 지지함으로써 하우징(400)이 베이스(6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600)는, 측방 지지부(420)의 결합돌기(427)가 수용되는 결합홈(6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630)은 결합돌기(42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돌기(427)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결합홈(630)도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홈(630)은, 베이스(600)의 하측부(610)와 하우징(400)의 층방 지지부(420)가 접촉하는 영역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600)에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에 결합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하우징(400)의 상측부(410)와 제2구동부(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일부가 하우징(400)에 결합되는 제2구동부(500)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재(700)의 일부는, 하우징(400) 및/또는 제2구동부(50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측 지지부재(70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지지부재(700)는, 상측 탄성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일례로서 판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측 지지부재(700)의 적어도 일부는, 측방 지지부(4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를 통해, 상측 지지부(700)가 측방 지지부(4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측 지지부(7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측 지지부(700)가 측방 지지부(420)에 걸려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외측부(710), 내측부(720) 및 연결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하우징(400)에 지지되는 외측부(710)와, 보빈(200)과 결합하는 내측부(720)와, 외측부(710)와 내측부(720)를 연결하는 연결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부재(700)의 연결부(73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측 지지부재(700) 전체가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부(410)와 제2구동부(500)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710)는, 적어도 일부가 상측부(410)와 제2구동부(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부(710)는 일면에서 하우징(400)과 면접촉하며, 타면에서 제2구동부(500)와 면접촉할 수 있다. 외측부(710)는, 제2구동부(500)와 상측부(410) 사이에서 제2구동부(500)가 하우징(400)에 결합되는 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외측부(710)는, 제1지지부(421) 및 제2지지부(422) 사이에 위치하는 제1외측단(711)과, 제2지지부(422) 및 제3지지부(423) 사이에 위치하는 제2외측단(712)과, 제3지지부(423) 및 제4지지부(424) 사이에 위치하는 제3외측단(713)과, 제4지지부(424) 및 제1지지부(421) 사이에 위치하는 제4외측단(7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700)는, 보빈(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측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720)는 보빈(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720)에는 홀이 형성되며, 보빈(200)에는 상기 홀과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720)의 홀에 보빈(200)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융착되어 내측부(720)가 보빈(20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720)는, 연결부(730)를 통해 외측부(710)와 연결될 수 있다.
내측부(720)는, 제1외측단(711)과 대향하는 제1내측단(721)과, 제2외측단(712)과 대향하는 제2내측단(722)과, 제3외측단(713)과 대향하는 제3내측단(723)과, 제4외측단(714)과 대향하는 제4내측단(7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내측부(720)는, 제1지지부(421) 및 제2지지부(422) 사이에 대응하는 제1내측단(721)과, 제2지지부(422) 및 제3지지부(423) 사이에 대응하는 제2내측단(722)과, 제3지지부(423) 및 제4지지부(424) 사이에 대응하는 제3내측단(723)과, 제4지지부(424) 및 제1지지부(421) 사이에 대응하는 제4내측단(72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730)는,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측단(722)과 제3내측단(723) 사이 및 제1외측단(711)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73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730)는, 제3내측단(723)과 제4내측단(724) 사이 및 제2외측단(712)을 연결하는 제2연결체(73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외측단(712)은 하우징(40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제1연결체(731a)와 제2연결체(732a)는 변형례인 도 11의 제1연결체(731b)와 제2연결체(732b)와 비교하여 길이가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0의 제1연결체(731a)와 제2연결체(732a)는, 변형례인 도 11의 제1연결체(731b)와 제2연결체(732b)와 동일한 강성을 내기 위해 변형례 보다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10의 실시예에서 제작 오차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결부(730)는, 변형례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측단(711)과 제2내측단(722)을 연결하는 제1연결체(731b)와, 제1외측단(711)과 제4내측단(724)을 연결하는 제2연결체(7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730)는, 제2외측단(722)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변형례는 도 10의 일례와 비교하여 제2외측단(712)과 제4외측단(714)을 접착제로 하우징(400)에 고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접착제(미도시)는, 외측부(710)와 상측부(4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는, 접착제는, 외측부(710)와 제2구동부(5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외측부(710)와 상측부(410), 또는 외측부(710)와 제2구동부(500)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일부가 하우징(400) 또는 베이스(500)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보빈(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의 일부는 하우징(400)의 측방 지지부(42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돌기(42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의 일부는 하우징(400)의 측방 지지부(420)와 베이스(6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하우징(400) 및/또는 베이스(500)에 대하여 보빈(20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제1구동부(30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보빈(200)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재(700)는, 제1구동부(30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보빈(200)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빈(200)은 초기상태에서 베이스(60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단방향 구동을 통해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한 쌍의 하측 지지부재(801, 802)로 구비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이 제1구동부(300)의 코일에 연결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일례로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측 지지부재(80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하측 지지부재(800)는, 하측 탄성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일례로서 판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외측부(810), 내측부(820) 및 연결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하우징(400) 및 베이스(6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외측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810)는, 하우징(400) 및 베이스(6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외측부(810)는, 측방 지지부(420)의 결합돌기(42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외측부(810)는, 측방 지지부(420)의 결합돌기(427)에 삽입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하측 지지부재(801, 802) 각각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베이스(600)의 단자 수용부(612)에 수용되는 단자부(8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811)는 외측부(8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811)는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600)의 단자 수용부(612)에 수용될 수 있다. 단자부(811)는, 밴딩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밴딩 스프링(banding spring) 단자가 적용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보빈(200)에 결합되는 내측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820)는, 보빈(200)에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820)는 홀을 포함하고, 보빈(200)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부(820)의 홀에 보빈(200)의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내측부(820)의 홀에 보빈(200)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열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내측부(820)가 보빈(20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800)는, 외측부(810)와 내측부(820)를 연결하는 연결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830)는, 외측부(810)와 내측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83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외측부(810), 내측부(820) 및 연결부(830) 모두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변형례는, 도 13의 (a)와 같이 커버 부재(100)를 안착하고 커버 부재(100)의 내부에 하우징(400)을 위치시킨 후, (b)와 같이 하우징(400)에 상측 지지부재(700)를 안착시킨 후, (c)와 같이 제2구동부(500)의 마그넷을 체결하여 하우징 어셈블리의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상측 지지부재(700)를 하우징(400)에 고정하기 위한 융착 공정과 같은 고정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넷을 하우징(400)의 상하방향으로 조립하므로 하우징(400)의 측방에서 조립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하우징(400)의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에만 마그넷을 위치시키고 나머지 2개의 측면에는 측방 플레이트(430)를 위치시킴으로써 하우징(400)의 측방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이물 리스크(risk)가 감소된다.
한편, 일례로서 도 10과 같은 상측 지지부재(7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측 지지부재(700)의 길이를 연장하고 폭을 넓게 쓸 수 있어 제작공차에 따른 강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변형례로서 도 11과 같은 상측 지지부재(7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부(83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외측부(810)를 하우징(400)에 별도로 본딩작업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200)의 외경 보다 하우징(400)의 내경을 작게 만들어 상측에서 이물이 침투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조인원이 6명으로 감소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 안착에 1명, 하우징(400) 안착에 1명, 상측 지지부재(700) 안착에 1명, 본드 도포에 1명, 마그넷 조립에 1명, 및 추가 본드 도포에 1명으로 총 6명만으로 하우징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 대비 지그 비용 감소, 하우징(400) 및 마그넷 제품 단가 감소, 및 서브 어셈블리 불량 손실 감소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 부재 200: 보빈
300: 제1구동부 400: 하우징
500: 제2구동부 600: 베이스
700: 상측 지지부재 800: 하측 지지부재

Claims (20)

  1. 베이스;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
    상기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외측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상판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방 지지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4개의 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4개의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4개의 측방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내측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고정되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는 상기 하우징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외측판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방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4개의 측방 지지부는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와 제3지지부와,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와 제4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넷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과,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사이에는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의 제1면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은 상기 마그넷과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 사이에는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서 접착 고정되는 렌즈 구동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하우징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렌즈 구동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아래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의 상기 연장부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방 지지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연장부가 배치되는 제1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아래에서 볼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1마그넷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지지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을 상기 베이스 측으로 가압하는 렌즈 구동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측방 지지부에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렌즈 구동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방 지지부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외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측 탄성부재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구동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내측부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외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외측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렌즈 구동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단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의 상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단자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기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유닛.
  14. 베이스;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
    상기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보빈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외측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넷; 및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상판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복수의 측방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외측부는 상기 하우징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외측판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방 지지부 사이에 삽입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측방 지지부는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와 제3지지부와,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와 제4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과, 상기 제3지지부와 상기 제4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 사이에는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제3지지부를 연결하는 제1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측부와 상기 마그넷 사이에 고정되는 렌즈 구동 유닛.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의 제1면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상기 외측부의 상기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은 상기 마그넷과 결합되는 렌즈 구동 유닛.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하우징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렌즈 구동 유닛.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아래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의 상기 연장부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방 지지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19.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 구동 유닛; 및
    상기 렌즈 구동 유닛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0.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제19항의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사진 및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0150127249A 2015-09-08 2015-09-08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82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49A KR102582942B1 (ko) 2015-09-08 2015-09-08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201680052132.6A CN108027493B (zh) 2015-09-08 2016-09-07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CN202410129465.0A CN117849979A (zh) 2015-09-08 2016-09-07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CN202110837421.XA CN113608323B (zh) 2015-09-08 2016-09-07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PCT/KR2016/009992 WO2017043849A1 (ko) 2015-09-08 2016-09-07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202110838972.8A CN113608324B (zh) 2015-09-08 2016-09-07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US15/758,685 US10509194B2 (en) 2015-09-08 2016-09-07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a magnet disposed between two coils
US16/685,286 US11086098B2 (en) 2015-09-08 2019-11-15 Lens driving device with a magnet adhered to an elastic member
US17/369,251 US11662549B2 (en) 2015-09-08 2021-07-07 Lens driving device with a magnet adhered to an elastic member
US18/303,207 US20230251456A1 (en) 2015-09-08 2023-04-19 Lens driving device with a magnet adhered to an elastic member
KR1020230125157A KR20230144490A (ko) 2015-09-08 2023-09-19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249A KR102582942B1 (ko) 2015-09-08 2015-09-08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157A Division KR20230144490A (ko) 2015-09-08 2023-09-19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984A KR20170029984A (ko) 2017-03-16
KR102582942B1 true KR102582942B1 (ko) 2023-09-26

Family

ID=584977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249A KR102582942B1 (ko) 2015-09-08 2015-09-08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0230125157A KR20230144490A (ko) 2015-09-08 2023-09-19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157A KR20230144490A (ko) 2015-09-08 2023-09-19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2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1645B2 (en) * 2016-07-01 2020-02-25 Tdk Taiwan Corp. Multiple-lens camera system
KR102407884B1 (ko) * 2017-08-31 2022-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3633447B1 (en) 2017-05-22 2023-08-0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417261B1 (ko) * 2017-06-30 2022-07-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99B1 (ko) 2012-01-09 2013-10-28 자화전자(주)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366662B1 (ko) * 2012-03-29 2014-02-27 자화전자(주)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561422B1 (ko) 2013-12-27 2015-10-19 (주)옵티스 렌즈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89B1 (ko) * 2009-11-20 2013-03-25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99B1 (ko) 2012-01-09 2013-10-28 자화전자(주)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366662B1 (ko) * 2012-03-29 2014-02-27 자화전자(주)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561422B1 (ko) 2013-12-27 2015-10-19 (주)옵티스 렌즈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984A (ko) 2017-03-16
KR20230144490A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3465B2 (ja) レンズ駆動ユニット
US11086098B2 (en) Lens driving device with a magnet adhered to an elastic member
KR2023014449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69642B1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4143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180329277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3011371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20152381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8375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106547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33012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2024004440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42687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20104133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9504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5605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512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7728B1 (ko) 카메라 모듈
KR102480924B1 (ko) 카메라 모듈
KR102506545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19129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5481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901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46370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