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467B1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467B1
KR102582467B1 KR1020170171048A KR20170171048A KR102582467B1 KR 102582467 B1 KR102582467 B1 KR 102582467B1 KR 1020170171048 A KR1020170171048 A KR 1020170171048A KR 20170171048 A KR20170171048 A KR 20170171048A KR 102582467 B1 KR102582467 B1 KR 10258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charge
straw
zip
discharge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3457A (en
Inventor
류지 우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942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24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273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26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1696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7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457A/en
Priority to KR102023012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6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4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7/00Straw conveyors for threshing machines or baling presses
    • A01F17/02Mechanical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0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또한,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 H1, H2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연결 기구(8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콤바인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기단측을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92)와,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100)가 구비되어 있다.
There is a need for a combine in which the top cover and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can be easily opened.
In a connected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chanism 87,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capable of swinging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In the disconnected state, only the upper frame 40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can be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Additionally,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in which the top cover and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can be easily opened.
In a combine,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can rise integrally up to the same ceiling height H1, and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have different ceiling heights H1 and H2. There is a connection mechanism 87 that switches to an ascendable state.
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d straw transport device in the lowered position.
The combine includes an inner locking mechanism 92 for positioning and holding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on the front-back frame 36R with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positioned in the lowered position, and a discharge straw frame 50 ) is provided with an outer locking mechanism 100 that holds the free end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to the rear frame 37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Figure R1020170171048
Figure R1020170171048

Description

콤바인{COMBINE}Combine {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ed chain for sandwiching and transporting harvested grain stems, a threshing device for threshing the harvested grain stem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and a threshing devic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performs threshing processing from the feed chain. It relates to a combine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receives the discharged straw and transports it backwards.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문헌에서는 「탈곡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문헌에서는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문헌에서는 「탈곡기」)와,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문헌에서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급동의 상방에는,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문헌에서는 「급동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커버는 급실의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는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개방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s the above-mentioned combine, for example, the combi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lready known. The combi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feed chain for sandwiching and transporting harvested grain stems (“threshing feed chain” in the document), and a threshing process for the harvested grain stem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by rapid movement (“rapid motion” in the document). A threshing device (“thresher” in the literature) and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n the literatur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ar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collect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and sandwich and convey it to the rear. 」) is provided. Above the barrel, an upper cover (“burst cover” in the literature) that covers the barrel from above is installed. The upper cover is configured to swing open and closed using one side of the feeding chamber as a support point.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y swinging up and down, using the rotation ax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a support poin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are opened by swinging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upward, respectively, so maintenanc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배출 짚 반송 장치에의 배출 짚 입력축의 도중부에 맞물림 갈고리 클러치가 설치되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상방으로 올린 때 갈고리 클러치가 오프로 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방으로 내린 때 갈고리 클러치가 온으로 된다. 구동측 클러치와 종동측 클러치의 동일한 축심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hook clutch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put shaft of the discharge straw to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When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is raised upward, the hook clutch is turned off, and when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is lowered downward, the hook clutch is turned on. It becomes. A locking device is provided to maintain the same axis state of the driving side clutch and the driven side clutch.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0339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2-50339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상부 커버와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개방하여야 하며, 그 개방을 수동으로 행해야 하여 수고스럽다.In the combi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must each be opened, and the opening must be performed manually, which is laborious.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상부 커버와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개방해야만 하여 수고스럽다.Additionally, in the combi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d straw transport device must be opened separately, which is inconvenient.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로크 장치가 맞물림 클러치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하는 점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mbin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lock device is for maintaining the engaged state of the engagement clutch, and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stably maintaining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n the lowered position.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in which the top cover and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can be easily opened.

또한,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 가능한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there is a demand for a combine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d straw transport device in the lowered position.

본 발명의 특징은,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A feed chain for inserting and transporting the harvesting grain stem,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alk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by barreling,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It is a combin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receives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and sandwiches and conveys it to the rear,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an upper cover covering the barrel from above,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An upper frame that supports the upper cover and can swing up and down around a swing axi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an actuator that swings the upper frame upward;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Supporting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over a lowering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conveys the discharge straw and an upward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does not convey the discharge straw. With a possible vented straw frame,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A connecting mechanism is provided to releasably connect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In a connected state where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mechanism,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capable of swinging upward by the actuator,

상기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상기 상부 프레임만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한 것에 있다.In the disconnected state, only the upper frame among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is capable of swinging upward by the actuator.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결 상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일체적으로 상방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해제 상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상부 프레임만을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배출 짚 반송 장치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 상부 커버를 개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만을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in the connected state,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are swung upward by the actuator, so that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are integrally swung upward,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t can be open. In addition, in the disconnected state, only the upper frame of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is swung upward by the actuator, so that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on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if there is no need to open the upper cover,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The bay can be open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forward-forward frame that is located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The anteroposterior frame extends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barrel,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 가능하면 적합하다.The connection mechanism is suitable if it can connect the forward-rear frame and an end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가,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에 있어서의 서로 연결되는 개소끼리가 근접하기 때문에, 연결 기구를 연결 거리가 짧은 콤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작업이나 연결 해제 작업을 행할 때, 연결 기구에 대하여 기체 외측으로부터 액세스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front-rear frame of the upper fram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nd the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zip frame on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chanism. As a result, since the point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are close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mechanism can be made compact with a short connecting distance. Additionally, when performing connection or disconnection work, it is easy to access the connection mechanism from the outside of the aircraf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요동 축심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프레임과, 상기 횡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이 구비되고,The discharge zip frame includes a transverse fram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swing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n outer si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 frame is provided,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강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고 있고,The outer frame extends along the front-to-back frame in the lowered position and is adjacent to the front-to-back frame,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 가능하면 적합하다.The connection mechanism is suitable if it can connect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outer fram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출 짚 프레임 중 전후 방향 프레임에 근접하는 외측 프레임이 연결 기구에 의하여 전후 방향 프레임과 연결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에 있어서의 서로 연결되는 개소끼리가 한층 더 근접하기 때문에, 연결 기구의 한층 더한 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outer fram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which is close to the front-to-back frame, is connected to the front-to-back frame by a connecting mechanism. As a result, the point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are closer together, making it possible to realize further compactness of the connection mechanism.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있으면 적합하다.The connection mechanism is suitable if it spans the upper part of the front-back frame and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통상, 배출 짚 반송 장치는,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에 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가령 연결 기구가 전후 방향 프레임의 하부와 배출 짚 프레임의 하부에 걸쳐 있는 경우, 연결 기구가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즉, 배출 짚 반송 장치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기구가 배출 짚 반송 장치에 의한 배출 짚의 반송을 저해할 것이 우려된다.Normally,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supported on the discharge straw frame in a state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straw frame. Here,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ng mechanism spans the lower part of the front-back frame and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since the connecting mechanism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i.e., on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side)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straw frame, the connecting mechanism There is concern that it will impede the transport of discharged straw by the straw transport device.

그러나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연결 기구가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하여 상측(즉, 배출 짚 반송 장치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 기구가 배출 짚 반송 장치에 의한 배출 짚의 반송을 저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연결 기구에 대하여 배출 짚 반송 장치와는 반대측으로 되는, 비교적 공간에 여유가 있는 상방으로부터 액세스하여, 연결 작업이나 연결 해제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since the connecting mechanism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straw frame (i.e.,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it is difficult for the connecting mechanism to impede the conveyance of the discharged straw by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Lose. Additionally, by accessing the connecting mechanism from above, which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where there is relatively more space,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much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면 적합하다.The connection mechanism is suitable if it can be disconnected for each of the anteroposterio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에 대한 연결 기구의 연결을 각각 해제함으로써,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상부 프레임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키거나, 또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 중 배출 짚 프레임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키거나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member to be rocked upward among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can be selected by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mechanisms to the front-rea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respectively. That is, only the upper frame among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may be rocked upward, or only the discharge straw frame among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may be rocked upwar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기체 후방측 상부에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이 구비되고,There is a rear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fuselage,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disconnectably connecte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하고,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강성이 높은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의 상방에의 요동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chanism, and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connected, so that the upper frame, the discharge zip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integrated, resulting in a structure with high rigidity. can be configured. Additionally, by disengag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rear frame, upward swing of the upper frame is not inhibit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후방부 프레임에,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구비되고,The rear frame is provided with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to-back fram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ront-to-back frame,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부분이 상하 방향에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과 접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in a state where the front-back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connected, the outer portion of the discharge zip fram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ircraf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이 후방부 프레임과 상하 방향에서 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이 후방부 프레임과 연결 기구 사이에 끼워 넣어지게 되어 연결 구조를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connected while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chanism, so that the discharge straw frame contacts the rear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is, the discharge zip frame is sandwiched between the rear frame and the connection mechanism, so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firmly construct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급동이 지지되고,The barrel is supported on the upper frame,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상기 급동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barrel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can swing upward by the actuator.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급동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quick-acting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본 발명의 특징은,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A feed chain for inserting and transporting the harvesting grain stem,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alk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by barreling,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It is a combin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receives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and sandwiches and conveys it to the rear,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an upper cover covering the barrel from above,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An upper frame that supports the upper cover and can swing up and down around a swing axi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Supporting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over a lowering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conveys the discharge straw and an upward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does not convey the discharge straw. With a possible vented straw frame,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A switching mechanism is provided to switch betwee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rise integrally to the same ceiling height, and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rise to a different ceiling height. .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전환 기구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커버와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개방하는 수고가 들지 않아,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전환 기구에 의하여,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 커버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각각 적합한 높이까지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are converted to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can be raised to the same lift limit height by the switching mechanism, so that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can be raised to the same height. It can be raised integrally to the limit height. As a result,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can be opened easily without the effort of opening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be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be raised to different ceiling heights by a switching mechanism, so that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be raised to different ceiling heights. By this, the upper cover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can each be opened to an appropriate heigh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a connecting mechanism that releasably connects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A first actuator that swings the upper frame upward,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a second actuator is provided to swing the discharge straw frame upwar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쪽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을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배출 짚 프레임을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의 연결의 유무에 의하여,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한쪽을 사용할지, 또는 양쪽을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when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chanism,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can be rocked upward by either the first actuator or the second actuator. Additionally, when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disconnected, the upper frame can be rocked upward by the first actuator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be rocked upward by the second actuato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use either the first actuator or the second actuator, or both, depending on whether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connect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lifting limit height of the upper frame by the first actuator is set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lifting limit height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by the second actuator.

급동에 대해서는, 상부 커버를 가능한 한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편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쉽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승 한계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요동되기 때문에, 급동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를 가능한 한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For rapid operation, it is easier to perform maintenance work if the upper cover is raised to the highest possible position. 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since the upper frame is swung upward by the first actuator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elevation limit height by the second actuator, the upper cover is positioned as high as possible to facilitate rapid maintenance work. It can be raised up to.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가스 댐퍼에 의하여 구성되고,The second actuator is composed of a gas damper,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the discharge straw frame from abov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이 하강할 때, 압박부가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함으로써, 가스 댐퍼를 자동적으로 압축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when the upper frame is lowered, the pressing portion presses the discharge straw frame from above, so that the gas damper can be automatically compress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가스 댐퍼 중 상기 배출 짚 프레임측의 단부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가스 댐퍼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discharge zip frame is mounted on the end portion of the gas damper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so as to be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as damper.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이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 경우, 배출 짚 프레임이 가스 댐퍼의 최대 신장 길이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배출 짚 프레임이 가스 댐퍼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이 가스 댐퍼의 최대 신장 길이를 초과하여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부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하더라도 가스 댐퍼가 손괴되는 일이 없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when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rocked upward by the first actuator while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chanism, the discharge zip frame exceeds the maximum extension length of the gas damper. As it rises, the discharge zip frame is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as damper. Due to this, even if the discharge zip frame exceeds the maximum extension length of the gas damper and rises to the upper frame's lifting limit height by the first actuator, the gas damper is not damaged.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In addition,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A feed chain for inserting and transporting the harvesting grain stem,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alk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by barreling,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It is a combin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receives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and sandwiches and conveys it to the rear,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중앙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centered on a support axis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aircraf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a lowering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ransfers the discharge straw,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positioned at A discharge zip frame capable of swinging up and down over a raised position that does not perform conveyance,

상기 탈곡 장치의 좌우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됨과 함께,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과,A side frame tha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eshing device and extends to a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와,An inner locking mechanism for positioning and holding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to a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aircraf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aircraft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s while the discharge zip frame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있다.An external lock mechanism is provided to position the free end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zip frame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on a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aircraf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s. It's in the thing.

측부 프레임은 탈곡 장치의 측부를 구성하는, 강성이 높은 부재이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출 짚 프레임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에 있어서의 기단측 및 유단측을 각각, 내측 로크 기구 및 외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강성이 높은 측부 프레임에 확실히 위치 유지할 수 있다. 즉,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유지할 수 있다.The side frame is a highly rigid member that constitutes the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when the discharge straw frame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the proximal end side and the free end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can be reliably maintained in the position of the highly rigid side frame by the inner lock mechanism and the outer lock mechanism, respectively. You can. In other words,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lower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하면 적합하다.The inner locking mechanism locks with a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aircraft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toward the lowered position, and further follows the swinging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toward the raised position to lock the gas in the aircraft. It is suitable if the locking connection to the side frame located on the inside is released.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내측 로크 기구를 조작하는 수고가 들지 않는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operate the inner locking mechanism.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은 프레임형이고,The discharge zip frame is a frame type,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단 프레임이 구비되고,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se frame to the discharge zip frame, connected to a front part of the base frame and extending from the support shaft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 front frame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base frame and a rear frame extending from the support shaft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nd a rear frame install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 raised frame is provided,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고,A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고,The inner locking mechanism positions and holds a rear portion of the base frame on a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body,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유단 프레임을,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for the outer locking mechanism to position and hold the stepped frame in a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을 지지축에 지지시키면서, 배출 짚 프레임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내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확실히 위치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유단 프레임을, 외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확실히 위치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frame is held in the lowered position by an inner lock mechanism,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be reliably positioned on the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fuselage, the stepped frame can be reliably positioned and held in the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fuselage by the external locking mechanism.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후방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전방부가 상기 유단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if the rear part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aircraft among the rear frames, and the front part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supported by the stepped frame.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배출 짚을 기체 후방부로부터 기체 좌우 폭 내의 포장(기예초지)로 낙하시키기 위해, 배출 짚 반송 장치를,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in order to drop the discharged straw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aircraft onto the field (technical grassland) within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craft, it is easier to install the discharged straw transport device in an inclined state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aircraft toward the rea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an upper cover covering the barrel from above,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고,An upper frame is provided that supports the upper cover and can be swung up and down around a oscillating axi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forward-forward frame that is located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과 연결되고,The anteroposterior frame extends to a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traw frame,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면 적합하다.It is suitable for the outer locking mechanism to position and hold the rear portion of the fram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a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body.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하고,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의 후방부를, 외측 로크 기구에 의하여,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배출 짚 프레임과 후방부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강성이 높은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configuration, the anteroposterior frame and the discharge zipper frame are connected, and the rear portion of the anteroposterior frame is held in position on the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fuselage by an external lock mechanism, so that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per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ar frame is integrated,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structure with high rigidity.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상부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6은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배후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배후의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의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의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의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상부 프레임, 배출 짚 프레임 및 후방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연결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걸림 결합 상태의 내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내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걸림 결합 상태의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걸림 결합 해제 상태의 외측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승강 조작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을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상부 프레임을 상승시키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을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후방부 및 배출 짚 반송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후방측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24는 후방측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의 상승 한계 높이 및 요동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1 다른 예에 관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1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1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2 다른 예에 관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2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2 다른 예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외측 로크 기구이며, 걸림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외측 로크 기구이며, 걸림 결합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배출 짚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elf-contained combine.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elf-contained combine.
Figure 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threshing device.
Figure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threshing device with the upper frame lowered.
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threshing device with the upper frame raised.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Fig. 7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are lowered.
Fig. 8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behind the threshing device with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lowered.
Fig. 9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behind the threshing device with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raised.
Fig. 10 is a rear view showing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with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lowered.
Fig. 11 is a rear view showing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with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raised.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oximal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Fig. 13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oximal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frame, discharge straw frame and rear frame.
Fig. 15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mechanism.
Fig. 16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ner lock mechanism in an engaged state.
Fig. 17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ner lock mechanism in an unlocked state.
Fig. 18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er lock mechanism in an engaged state.
Fig. 19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er lock mechanism in an unlocked state.
Fig. 20 is a diagram showing a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unit.
Fig. 2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are raised.
Fig. 22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threshing device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is raised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is lowered.
Fig. 23 is a lef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ar side upper cover.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upper cover.
Figure 2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pective rising limit heights and swing angles of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zip frame.
Fig. 26 is a diagram showing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other example.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have risen to the same elevation limit height in the first other example.
Fig. 2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have risen to different lifting limit heights, in the first other example.
Fig. 29 is a diagram showing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upper frame and discharge straw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other example.
FIG. 3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have risen to the same elevation limit height in a second other example.
Fig. 3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have risen to different elevation limit heights, in a second other example.
Fig. 32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locked state.
Fig. 33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ernal lock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n unlocked state.
Figure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straw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콤바인의 전체 구성〕〔Overall composition of the combine〕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운전 캐빈(3)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부(4)와, 운전부(4)를 덮는 캐빈(5)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부(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Figures 1 and 2 show a self-contained combine. This combine is equipped with a body frame 1 and a traveling device 2 that supports the body frame 1. The driving cabin 3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aircraft. The driving cabin 3 has a driving unit 4 in which the driver rides, and a cabin 5 that covers the driving unit 4. An engine (not shown) is installed below the operating unit 4.

운전 캐빈(3)의 전방에는 포장의 작물을 수확하는 수확부(6)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설치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좌측 방향에는 탈곡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는 피드 체인(9)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11)에 의하여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10)의 후방측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피드 체인(9)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한다.In front of the driving cabin 3, a harvesting unit 6 is installed to harvest field crops. A grain storage tank 7 for storing grain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operating cabin 3. A grain discharge device 8 that discharges the grains in the grain storage tank 7 is installed. A feed chain 9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aircraft to support and transport the harvested grain stem. A threshing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grain storage tank 7. The threshing device 10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em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9 using the barrel 11.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10,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installed continuously. The discharged straw transport device 12 receives the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9 and supports and conveys it backwards.

〔수확부〕〔Harvest Department〕

수확부(6)는 복수 예취 사양(예를 들어 6조 예취 사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확부(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세움 장치(14)와, 절단 장치(15)와, 반송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3)는 포장의 작물을 분초한다. 세움 장치(14)는 분초된 작물을 일으킨다. 절단 장치(15)는 세워진 작물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6)는 예취된 작물을 탈곡 장치(1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반송한다.The harvesting unit 6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harvesting specifications (for example, a 6-row harvesting specification). The harvesting unit 6 includes a plurality of (e.g. seven) splitting holes 13, a plurality of (e.g. six) erection devices 14, a cutting device 15, and a conveyance device 16. ) is provided. The splitting port 13 splits the crops in the field. The erection device 14 raises the seeded crops. The cutting device 15 cuts the erected crops. The conveyance device 16 conveys the harvested crops backward toward the threshing device 10.

〔탈곡 장치 등〕[Threshing device, etc.]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상부에는 급실(17)이 형성되어 있다. 급실(17)에는 급동(11)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심 Y1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급동(11)의 하방에는 수망(18)이 설치되어 있다. 급실(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9)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 processing chamber 17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threshing device 10. A barrel 11 is installed in the quick chamber 17. The barrel 11 can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Y1, which extend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aircraft. A water net 18 is installed below the barrel 11. An exhaust fan 19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eeding chamber 17 to discharge dust to the outside.

탈곡 장치(10)의 하부에는, 선별 대상물을 기체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체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20), 요동 선별 장치(20)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1), 1번물의 곡립(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 회수부(22), 2번물의 곡립(지경이 붙은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 회수부(23) 등이 설치되어 있다.At the lower part of the threshing device 10, there is a shaking sorting device 20 that sieves the sorting object while transporting it to the rear of the aircraft, a tuyere 21 that blows a sorting wind to the shaking sorting device 20, and grains (single grains) of the No. 1 product. A No. 1 recovery unit (22) for recovering No. 2 grains (e.g., coarse grains, etc.) and a No. 2 recovery unit (23) for recovering No. 2 grains (such as grains with sesame seeds) are installed.

1번 회수부(22)에는, 1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1번 스크루(24)가 설치되어 있다. 1번 스크루(24)의 우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7)에 양곡 반송하는 양곡장치(25)이 연동 연결되어 있다.The No. 1 screw 24 is installed in the No. 1 recovery unit 22 to convey the grains of the No. 1 product in the right direction. At the right end of the No. 1 screw 24, a grain grain device 25 that transports the grains of the No. 1 product to the grain storage tank 7 is linked.

2번 회수부(23)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2번 스크루(26)가 설치되어 있다. 2번 스크루(26)의 우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27)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The No. 2 screw 26 is installed in the No. 2 recovery unit 23 to convey the grains of No. 2 product to the right. At the right end of the No. 2 screw 26, the No. 2 reduction device 27, which reduces the grains of the No. 2 product with the shaking separator 20, is linked and connected.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하방에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의하여 반송된 배출 짚을 절단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짚 절단 장치(28)를 덮는 커버(29)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29) 중, 배출 짚 절단 장치(28)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전환판(29a)이 설치되어 있다. 전환판(29a)은,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승측의 절단 위치와 하강측의 비절단 위치에 걸쳐 요동 개폐 가능하다. 전환판(29a)이 개방된 상태(절단 위치의 상태)에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의하여 반송된 배출 짚이 배출 짚 절단 장치(28)에 투입된다. 전환판(29a)이 폐쇄된 상태(비절단 위치의 상태)에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의하여 반송된 배출 짚이 전환판(29a)의 상면을 미끄러져 지면에 낙하한다.Below the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12, a discharged straw cutting device 28 is installed to cut the discharged straw conveyed by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12. A cover 29 covering the discharge straw cutting device 28 is installed. A switching plate 29a is installed on the cover 29 located above the discharge straw cutting device 28. The switching plate 29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swinging between a cut position on the rising side and a non-cutting position on the lowering side around the swing axi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ircraft. With the switching plate 29a open (state in the cutting position), the discharged straw conveyed by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12 is fed into the discharged straw cutting device 28. In a state where the switching plate 29a is closed (state of non-cutting position), the discharged straw conveyed by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12 sli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ing plate 29a and falls to the ground.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7)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벽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벽부(30)는 급실(17)의 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측의 벽부(30)는 급실(17)의 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벽부(30)는 가동 벽(31)과 고정 벽(32)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벽(31)에는, 급동(11)이 급동축(11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벽(31)과 고정 벽(32)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아암(33)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벽(31)은, 연결 아암(33)을 통하여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고정 벽(32)에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의 고정 벽(32)과 후방측의 고정 벽(32)에 걸쳐, 상기 엔진의 동력이 전달되는 전동축(34)이 설치되어 있다.3 to 7, wall portions 30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rocessing chamber 17, respectively. The front wall portion 30 constitutes the front wall portion of the feeding chamber 17. The rear wall portion 30 constitutes the rear wall portion of the feeding chamber 17. The wall portion 30 has a movable wall 31 and a fixed wall 32. The barrel 11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movable wall 31 via the barrel shaft 11a. A connecting arm 33 is installed across the movable wall 31 and the fixed wall 32 to connect them. The movable wall 31 is supported on the fixed wall 32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Y2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through the connecting arm 33. A transmission shaft 34 through which the power of the engine is transmitted is installed across the front fixed wall 32 and the rear fixed wall 32.

탈곡 장치(10)에 우측부는 우측 벽(3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 벽(35)은 기체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 벽(35)은 경사부(35a)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부(35a)는, 후방측의 벽부(30)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The right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10 is comprised of a right wall 35. The right wall 35 extends to the rear end of the fuselage. The right wall 35 has an inclined portion 35a. The inclined portion 35a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wall portion 30 on the rear side, and is inclined so as to be loc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uselage as it goes toward the rear.

탈곡 장치(10)의 좌우 양 측부에는 각각,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36L·36R)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은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은, 단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인 각형 파이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전방측의 고정 벽(32), 후방측의 고정 벽(32) 및 우측 벽(35)을 지지하고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횡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인 각형 파이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Front and rear frames 36L·36R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eshing device 10. The left anteroposterior frame 36L extends further rear than the rear end of the barrel 11. The front-back frame 36L on the left is made of a square pipe with a substantially square cross-sectional shape. The front-right frame 36R on the right side extends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11. The front-right frame 36R on the right side supports the front fixed wall 32, the rear fixed wall 32, and the right wall 35. The front-back frame 36R on the right side is made of a square pipe with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substantially long horizontally rectangular shape).

〔후방부 프레임〕[Rear frame]

기체 후방측 상부에 후방부 프레임(37)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37)은, 탈곡 장치(10)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부 프레임(37)은, 측면에서 보아, 탈곡 장치(10)의 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부 프레임(37)은 환형 파이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A rear frame 37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rear side of the fuselage. The rear frame 37 is located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reshing device 10. The rear frame 37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tha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part of the threshing device 10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rear frame 37 is made up of annular pipes.

〔상부 커버〕[Upper Cover]

급동(11)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38)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커버(38)는,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부 커버(38)의 우측 인근에는 우측 상부 커버(39)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상부 커버(39)는, 급동(11)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 상부 커버(39)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지지되어 있다.An upper cover 38 is provided to cover the barrel 11 from above. The upper cover 38 is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11 and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A right upper cover 39 is installed near the right side of the upper cover 38. The right upper cover 39 is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ucket 11 and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The right upper cover 39 is supported on the right front-back frame 36R so that it can swing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dy.

〔상부 프레임〕[Upper frame]

상부 커버(38)는 상부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40)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동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40)은, 전동축(34)을 통하여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전방측의 벽부(30) 및 후방측의 벽부(30)에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40)은, 전후 1쌍의 가동 벽(31)과,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은, 상부 프레임(40)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The upper cover 38 is supported on the upper frame 40. The upper frame 40 is capable of swinging up and down around the transmission shaft 34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The upper frame 40 is supported on the front wall 30 and the rear wall 30 so as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Y2 via the transmission shaft 34. The upper frame 4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movable walls 31 and a front and rear frame 36L on the left side. The left anteroposterior frame 36L is located outside the upper frame 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부 프레임(4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유압 실린더(41)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41)는 후방측의 가동 벽(31)과 후방측의 고정 벽(3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41)는, 예를 들어 복동식의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유압 실린더(41)가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A hydraulic cylinder 41 is installed to swing the upper frame 40 upward. The hydraulic cylinder 41 is installed across the movable wall 31 on the rear side and the fixed wall 32 on the rear side. The hydraulic cylinder 41 is configured as a 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 for example. However, the hydraulic cylinder 41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acting hydraulic cylinder.

〔급동 로크 기구〕[Quad-acting locking mechanism]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급동(11)을,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하는 급동 로크 기구(42)가 설치되어 있다. 급동 로크 기구(42)는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와 전후 1쌍의 급동 훅 핀(44)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벽부(30) 및 후방측의 벽부(30)의 각각에, 훅 플레이트(43)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요동 축심 Y3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훅 플레이트(43)의 선단부에는, 급동 훅 핀(44)에 걸림 결합 가능한 훅부(43a)가 설치되어 있다. 훅부(43a)가 급동 훅 핀(44)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급동(11)이 탈곡 처리 위치에 위치 유지된다. 급동 훅 핀(44)에 대한 훅부(43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한다.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를 요동 구동하는 모터 M이 후방측의 벽부(30)의 후방면에 지지되어 있다. 모터 M에 의하여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가 걸림 결합측 및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The barrel 11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40 can be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A barrel lock mechanism 42 is provided to position and hold the barrel 11 at the threshing processing position where the threshing processing is performed. The quick-acting lock mechanism 42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hook plates 43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quick-acting hook pins 44. A hook plate 43 is supported on each of the front wall 30 and the rear wall 30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the swing axis Y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body. At the distal end of the hook plate 43, a hook portion 43a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quick-acting hook pin 44 is provided. By engaging the hook portion 43a with the barrel hook pin 44, the barrel 11 is positioned and held at the threshing processing position. As the engagement of the hook portion 43a with respect to the rapid hook pin 44 is released, the barrel 11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40 swings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A motor M that swings and drives the pair of front and rear hook plates 43 is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30 on the rear side. The motor M swings the front and rear pair of hook plates 43 toward the engaging side and the disengaging side.

〔배출 짚 반송 장치〕[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후방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배출 짚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45)와, 배출 짚의 이삭 끝측을 걸림 지지 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 장치(46)를 구비하고 있다. 밑동 반송 장치(45)는, 돌기(47a)를 갖는 배출 짚 체인(47)과, 배출 짚 레일(48)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짚 레일(48)은, 배출 짚 체인(47)의 하방에 있어서, 배출 짚 체인(47)의 하측 경로에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삭 끝 반송 장치(46)는, 날(49a)을 갖는 배출 짚 이삭 끝 체인(49)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so that it is loc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craft toward the rear.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12 includes a stem conveying device 45 that pinches and conveys the base side of the discharged straw, and an ear end conveying device 46 that clamps and conveys the ear end side of the discharged straw. The bottom conveying device 45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hain 47 having a projection 47a and an discharge zip rail 48. The discharge zip rail 48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zip chain 47 so as to face the lower path of the discharge zip chain 47 . The ear tip conveyance device 46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straw ear tip chain 49 having blades 49a.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배출 짚 프레임(50)에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배출 짚 프레임(50)으로부터 떼어냄 가능하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전방 스테이(51) 및 후방 스테이(52)를 통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에 현수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전방 스테이(51)에 떼어냄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는 후방 스테이(52)에 떼어냄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12 is supported on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removable from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12 is suspended and supported on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through the front stay 51 and the rear stay 52.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removably bolted to the front stay 51.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removably bolted to the rear stay 52.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배출 짚 반송 공간 S가 후방측의 벽부(3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공간 S는,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배출 짚 프레임(50)에 걸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공간 S는, 평면에서 보아, 배출 짚 반송 공간 S의 전후 중도부{경사부(35a)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반송 방향 하류측일수록 기체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넓혀져 있다.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space S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formed behind the wall portion 30 on the rear side.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space S is formed to span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space S is widened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aircraft as it goes downstream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the front and rear mid-section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space 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portion 35a) when viewed from the top. .

〔벨트 전동 기구〕[Belt transmission mechanism]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34)과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걸쳐, 전동축(34)의 동력을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전달하는 벨트 전동 기구(53)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 전동 기구(53)는 구동 풀리(54)와 종동 풀리(55)와 전동 벨트(56)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풀리(54)는, 전동축(34) 중 후방측의 고정 벽(32)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종동 풀리(55)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입력축(도시 생략)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벨트(56)는 구동 풀리(54) 및 종동 풀리(55)에 권회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6, 8, and 9, a belt transmission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transmission shaft 34 to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across the transmission shaft 34 and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A mechanism 53 is installed.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53 includes a drive pulley 54, a driven pulley 55, and a transmission belt 56. The drive pulley 54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shaft 34 that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fixed wall 32. The driven pulley 55 is fixed to the input shaft (not shown)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12. The transmission belt 56 is wound around a drive pulley 54 and a driven pulley 55.

〔텐션 클러치 기구〕[Tension clutch mechanism]

벨트 전동 기구(53)를,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의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텐션 클러치 기구(57)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 클러치 기구(57)는 제1 텐션 아암(58)과 제1 텐션 롤러(59)와 제2 텐션 아암(60)과 제2 텐션 롤러(61)와 텐션 스프링(6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텐션 아암(58)은 전동축(3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텐션 아암(58)의 선단부에는 제1 텐션 롤러(5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텐션 롤러(59)는, 전동 벨트(56) 중 하측 경로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제1 텐션 아암(58)의 기단부에는, 텐션 스프링(62)이 설치되는 설치부(63)가 설치되어 있다.A tension clutch mechanism (57) switches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53) between a transmission state that transmits power to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and a blocking state that blocks transmission of power to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It is installed. The tension clutch mechanism 57 includes a first tension arm 58, a first tension roller 59, a second tension arm 60, a second tension roller 61, and a tension spring 62. The first tension arm 58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transmission shaft 34. A first tension roller 59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tension arm 58. The first tension roller 59 is in contact with the portion of the transmission belt 56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th from above. At the base end of the first tension arm 58, an installation portion 63 where the tension spring 62 is installed is provided.

제2 텐션 아암(60)은 제1 텐션 아암(58)과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텐션 아암(58)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텐션 아암(60)의 선단부에는 제2 텐션 롤러(6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텐션 롤러(61)는, 전동 벨트(56) 중 상측 경로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The second tension arm 60 is fixed to the first tension arm 58 so as to be rotatable integrally with the first tension arm 58 . A second tension roller 61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tension arm 60. The second tension roller 61 is in contact with the portion of the transmission belt 56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th from above.

텐션 스프링(62)은 제1 텐션 아암(58) 및 제2 텐션 아암(60)을,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텐션 부여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고 있다. 텐션 스프링(62) 중 설치부(63)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로드(64)에 설치되어 있다. 로드(64)는 스테이(65)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65)는 배출 짚 프레임(50){전방 프레임(67)}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65)에 대한 로드(64)의 위치 조정에 의하여 텐션 스프링(62)의 가압력이 변화된다.The tension spring 62 presses the first tension arm 58 and the second tension arm 60 to swing in the tension application direction around the swing axis Y2. The end of the tension spring 62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portion 63 is installed on the rod 64. The rod 64 is supported on the stay 65 so that its position can be adjusted. The stay 65 is fixed (for example, welded) to the discharge zip frame 50 (front frame 67). The press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62 changes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d 64 with respect to the stay 65.

〔배출 짚 프레임〕〔Exhaust zip frame〕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은 전방 스테이(51) 및 후방 스테이(52)를 통하여, 배출 짚 반송 장치(12)에 있어서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지지하고 있다. 배출 짚 프레임(50)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프레임(50)은 기단 프레임(66)과 전방 프레임(67)과 후방 프레임(68)과 유단 프레임(69)을 구비하고 있다. 1개의 환형 파이프가 꺾여 구부러져 전방 프레임(67), 후방 프레임(68) 및 유단 프레임(69)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전방부가 전방 스테이(51)를 통하여 유단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가 후방 스테이(52)를 통하여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어 있다.6 to 11,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supports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through the front stay 51 and the rear stay 52. .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formed in a frame shape.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provided with a base frame 66, a front frame 67, a rear frame 68, and a stepped frame 69. One ring-shaped pipe is bent to form a front frame 67, a rear frame 68, and a stepped frame 69. The front part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supported on the stepped frame 69 through the front stay 51. The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s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uselage among the rear frame 68 via the rear stay 52.

배출 짚 프레임(50)은,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요동 축심 Y2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다. 배출 짚 프레임(50)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7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다.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전후 1쌍의 가스 댐퍼(71)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댐퍼(71)는 배출 짚 프레임(50){전방 프레임(67)}과 하측 스테이(7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67)에는, 가스 댐퍼(71)가 연결되는 상측 스테이(73)가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positioned around the oscillation axis Y2 over a lowered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transports the discharge straw and an upward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does not transport the discharge straw. Up and down movement is possible.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capable of swinging up and down around the support shaft 7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aircraft. A pair of front and rear gas dampers 71 are installed to swing the discharge zip frame 50 upward. The gas damper 71 is installed across the discharge zip frame 50 (front frame 67) and the lower stay 72. To the front frame 67, the upper stay 73 to which the gas damper 71 is connected is fixed (for example, fixed by welding).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 프레임(66)은, 배출 짚 프레임(50)의 기단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 프레임(66)은, 전방부측을 구성하는 전방부측 프레임부(74)와, 후방부측을 구성하는 후방부측 프레임부(75)와, 전방부측 프레임부(74)와 후방부측 프레임부(75)에 걸친 연결 프레임부(76)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전방부측 프레임부(74)}이 전후 1쌍의 스테이(77)을 통하여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base frame 66 is install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and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The base frame 66 includes a front side frame portion 74 that constitutes the front side, a rear side frame portion 75 that constitutes the rear side, a front side frame portion 74, and a rear side frame portion 75.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frame portion 76 spanning.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66 (front portion 74)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70 via a pair of front and rear stays 77.

기단 프레임(66) 중 연결 프레임부(76)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하방으로 푹 꺼진 단차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부(76)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홈형판(78)과, 연결판(79)을 구비하고 있다. 홈형판(78)은 전방부측 프레임부(74)의 하면과 후방부측 프레임부(75)의 하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홈형판(78)의 내부에는, 홈형판(78)에 있어서의 좌측 벽과 우측 벽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판(79)이 설치되어 있다.At a location of the base frame 66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76, a stepped portion 66a that is sunk downward is formed.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76 is provided with a groove template 78 opening downward and a connecting plate 79. The groove template 78 is installed across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portion 7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frame portion 75. Inside the groove template 78, a connecting plate 79 is provided across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groove template 78 to connect them.

전방 프레임(67)은 기단 프레임(66)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지지축(70)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68)은 기단 프레임(66)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지지축(70)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The front frame 67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66 and extends from the support shaft 70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The rear frame 68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base frame 66 and extends from the support shaft 70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유단 프레임(69)은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단 프레임(69)은, 전방 프레임(67)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 및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유단 프레임(69)은, 하강 위치에 있어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우측 인근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인접하고 있다.The step frame 69 is installed on the step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and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The stepped frame 69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ront frame 67 outside the body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dy and to an end of the rear frame 68 outside the body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ody. The stepped frame 69 extends along the left anteroposterior frame 36L in the lowered position, and is located near the right side of the left anteroposterior frame 36L, and is positioned near the left anteroposterior frame 36L. It is adjacent to.

지지축(70)은 전동축(34)과는 다른 축이며, 또한 전동축(34)을 지지하는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지지되어 있다. 전동축(34)과 지지축(70)은 동일한 축심(요동 축심 Y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축(70)은 배출 짚 반송 공간 S의 전후 중도부{경사부(35a)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개소}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은 지지축(70)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지지축(70)은 전후 1쌍의 스테이(80)를 통하여 브래킷(81)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81)은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의 하면에 현수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80)는 브래킷(81)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의 스테이(80)에는 하측 스테이(72)가 지지되어 있다.The support shaft 70 is a different shaft from the transmission shaft 34, and is supported on the right front-back frame 36R that supports the transmission shaft 34. The transmission shaft 34 and the support shaft 70 are arranged on the same axis (rocking axis Y2). The support shaft 7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and rear midway portions of the discharged straw transport space 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portion 35a). The front-to-back frame 36R on the right side extends rearward of the support shaft 70. The support shaft 70 is supported on the bracket 81 through a pair of front and rear stays 80. The bracket 81 is suspen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ight front-back frame 36R. The stay 80 is bolted to the bracket 81. The lower stay 72 is supported on the front stay 80.

〔위치 결정 기구〕[Positioning mechanism]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이 위치 어긋남(기체 전후 방향 등으로 위치 어긋남)되지 않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유단 프레임(69)}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82)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82)는, 갈고리부(83)와, 갈고리부(83)가 삽입되는 피삽입부(84)를 구비하고 있다. 갈고리부(83)는 스테이(85)를 통하여 유단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갈고리부(83)는 스테이(85)에, 볼트(86)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삽입부(84)는 후방부 프레임(37)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갈고리부(83)가 피삽입부(84)에 삽입됨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이 위치 어긋남(기체 전후 방향 등으로 위치 어긋남)되지 않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유단 프레임(69)}이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결정된다.As shown in FIG. 14,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positioned so that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not misaligned (displac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aircraft, etc.). A positioning mechanism 82 is provided for positioning the stepped end side (stepped frame 69) on the rear frame 37. The positioning mechanism 82 includes a hook portion 83 and an insertion target portion 84 into which the hook portion 83 is inserted. The hook portion 83 is supported on the stepped frame 69 through the stay 85. The hook portion 83 is removably fixed to the stay 85 with a bolt 86. The inserted portion 84 is fixed (for example, welded) to the rear frame 37. By inserting the hook portion 83 into the inserted portion 84,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prevented from being misaligned (displaced in the forward/rear direction of the aircraft, etc.) when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positioned in the lowered position. , the stepped end side (stepped frame 69)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positioned on the rear frame 37.

〔연결 기구〕[Connection mechanism]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배출 짚 프레임(50){유단 프레임(69)}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87)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기구(87)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배출 짚 프레임(50)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유단 프레임(69)}를 연결 가능하다. 연결 기구(87)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상부와 유단 프레임(69)의 상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연결 기구(87)는 상부측 고정 브래킷(88)과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과 연결 브래킷(90)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측 고정 브래킷(88)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은 유단 프레임(69)의 전방부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90)은 상부측 고정 브래킷(88)의 상면과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의 상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90)은 상부측 고정 브래킷(88) 및 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의 각각에 대하여, 볼트(91)에 의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 기구(87)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및 유단 프레임(69)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re is a connection mechanism ( 87) is installed. The connecting mechanism 87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front-back frame 36L on the left and the outer end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stepped frame 69). The connecting mechanism 87 is installed over the upper part of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upper part of the stepped frame 69. The connection mechanism 87 includes an upper side fixing bracket 88, a discharge straw side fixing bracket 89, and a connecting bracket 90. The upper fixing bracket 88 is fixed (for example, welded) to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The discharge straw side fixing bracket 89 is fixed (for example, welded) to the front part of the stepped frame 69. The connection bracket 90 is install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ide fixing bracket 8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straw side fixing bracket 89. The connection bracket 90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side fixing bracket 88 and the discharge straw side fixing bracket 89 by a bolt 91. That is, the connecting mechanism 87 can be disconnected from each of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stepped frame 69.

〔내측 로크 기구〕[Inside locking mechanism]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기단측{기단 프레임(66)}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92)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로크 기구(92)는,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한다. 내측 로크 기구(92)는 내측 훅(93)과 내측 훅 핀(94)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with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positioned in the lowered position, the proximal end side (proximal frame 66)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aligned with the front-back frame 36R on the right. An inner locking mechanism 92 is provided to maintain the position. The inner locking mechanism 92 positions and holds the rear portion of the proximal frame 66 in the right front-back direction frame 36R. The inner lock mechanism 92 is provided with an inner hook 93 and an inner hook pin 94.

내측 훅(93)은, 기단 프레임(66) 중 연결 프레임부(76){홈형판(78)}의 우측 벽에, 볼트(95)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내측 훅(93)은 전후 1쌍의 훅부(93a)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훅부(93a)와 후방측의 훅부(93a)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판(93b)이 설치되어 있다.The inner hook 93 is removably fixed to the right wall of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76 (groove template 78) of the base frame 66 with a bolt 95. The inner hook 93 has a pair of front and rear hook portions 93a. A connecting plate 93b is provided across the front hook 93a and the rear hook 93a to connect them.

내측 훅 핀(94)은 제1 스테이(96) 및 제2 스테이(97)를 통하여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스테이(96)는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제2 스테이(97)는 제1 스테이(96)에, 볼트(98)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내측 훅 핀(94)은 제2 스테이(97)에 있어서의 전방벽부와 후방벽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The inner hook pin 94 is supported on the front-back direction frame 36R on the right side through the first stay 96 and the second stay 97. The first stay 96 is fixed (for example, welded) to the front-back frame 36R on the right side. The second stay 97 is removably fixed to the first stay 96 with a bolt 98. The inner hook pin 94 is provided across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second stay 97.

〔내측 로크 기구의 동작〕[Operation of the inner locking mechanism]

내측 로크 기구(92)는,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한다.The inner locking mechanism 92 is engaged with the front-right frame 36R on the right side in response to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swinging toward the lowered position, and also locks with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swinging toward the raised position. Follow along to release the lock on the front-to-back frame (36R) on the right.

상세히 설명하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93)이 내측 훅 핀(94)에 걸림 결합한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 핀(94)에 대한 내측 훅(9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여기서,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할 때 내측 훅 핀(94)이 단차부(66a) 내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하 요동할 때 기단 프레임(66)이 내측 훅 핀(94)과 간섭하는 일이 없다.In detail, the inner hook 93 is engaged with the inner hook pin 94 as the discharge zip frame 50 swings toward the lowered position. Then, the locking engagement of the inner hook 93 with respect to the inner hook pin 94 is released as the discharge zip frame 50 follows the swing toward the raised position. Here, when the discharge zip frame 50 swings from the lowered position toward the raised position, the inner hook pin 94 enters the step portion 66a. As a result, the base frame 66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ner hook pin 94 when the discharge zip frame 50 swings up and down.

〔외측 로크 기구〕[Outside locking mechanism]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배출 짚 프레임(50)의 유단측{유단 프레임(69)}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로크 기구(100)는 외측 훅(101)과 외측 훅 핀(102)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훅(101)은 기초부(101a)와 훅부(101b)를 구비하고 있다. 훅부(101b)는 기초부(101a)에, 볼트(103)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free end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the free end frame 69) is positioned on the rear frame 37 while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An external locking mechanism 100 is provided to hold it. The outer lock mechanism 100 is provided with an outer hook 101 and an outer hook pin 102. The outer hook 101 has a base portion 101a and a hook portion 101b. The hook portion 101b is removably fixed to the base portion 101a with a bolt 103.

외측 훅 핀(102)은, 후방부 프레임(37)의 좌측 인근에 있어서, 후방부 프레임(37)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훅 핀(102)은 제1 스테이(104) 및 제2 스테이(105)(도 14 참조)를 통하여 후방부 프레임(37)에 지지되어 있다.The outer hook pin 102 is located near the left side of the rear frame 37 at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rear frame 37. The outer hook pin 102 is supported on the rear frame 37 through the first stay 104 and the second stay 105 (see FIG. 14).

외측 로크 기구(100)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후방부를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한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부 프레임(37)이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우측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즉, 후방부 프레임(37)에,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연결된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인접하는 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유단 프레임(69)이 상하 방향에서 후방부 프레임(37)과 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후방부 프레임(37)이 외측 로크 기구(10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유단 프레임(69)이 후방부 프레임(37)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후방부 프레임(37)과 접하고 있다. 즉, 유단 프레임(69)이 후방부 프레임(37)과 연결 기구(87){배출 짚측 고정 브래킷(89)}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져 있다(샌드위치 구조).The outer lock mechanism 100 positions and holds the rear portion of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in the rear frame 37. The front-to-back frame 36L on the left and the rear frame 37 are disconnectably connected by an outer lock mechanism 100. In a state where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rear frame 37 are connected by the outer lock mechanism 100, the rear frame 37 is located near the right side of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That is, the rear frame 37 is provided with a portion adjacent to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by the outer lock mechanism 100. In a state where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rear frame 37 are connected by the outer lock mechanism 100, the stepped frame 69 is in contact with the rear frame 37 in the vertical direction. 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front-to-back frame 36L on the left and the rear frame 37 are connected by the outer lock mechanism 100, the stepped frame 69 is positioned against the rear frame 37 from above. It is in contact with (37). That is, the stepped frame 69 is sandwiched between the rear frame 37 and the connecting mechanism 87 (discharge straw side fixing bracket 89) in the vertical direction (sandwich structure).

〔링크 기구〕[Link mechanism]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 로크 기구(42){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와 외측 로크 기구(100){외측 훅(101)}를 연동 연결하는 링크 기구(106)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106)는 제1 링크 아암(107)과 제2 링크 아암(108)과 링크 로드(10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아암(107)은 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의 기단부에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 아암(107)과 제2 링크 아암(108)은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6 to 9, a link mechanism 106 interlocks and connects the quick action lock mechanism 42 (rear hook plate 43) and the outer lock mechanism 100 (outer hook 101). is installed. The link mechanism 106 includes a first link arm 107, a second link arm 108, and a link rod 109. The first link arm 107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hook plate 43 on the rear side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The first link arm 107 and the second link arm 108 are connected to enable relative rotation.

링크 로드(109)는 전방 스테이(110) 및 후방 스테이(111)를 통하여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 로드(109)는 전방 스테이(110) 및 후방 스테이(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 로드(109)의 전단부에는 제2 링크 아암(108)이 상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 로드(109)의 후단부에는 외측 훅(101)이 상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link rod 109 is supported on the left front-rear frame 36L through the front stay 110 and the rear stay 111. The link rod 109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front stay 110 and the rear stay 111. A second link arm 108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ink rod 109 so as to be incapable of relative rotation. An outer hook 10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ink rod 109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not possible.

〔승강 조작부〕[elevating control unit]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조작용의 승강 조작부(112)가 운전부(4)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 조작부(112)는 전원 스위치(113)와 상승 스위치(114)와 하강 스위치(115)를 구비하고 있다. 상승 조작할 때는, 상승 스위치(114)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한다. 상승 스위치(114)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상승 조작이 행해진다. 하강 조작할 때는 하강 스위치(115)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한다. 하강 스위치(115)와 전원 스위치(113)를 동시에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하강 조작이 행해진다. 승강 조작부(112)가 운전부(4)에 추가하여{또는 운전부(4) 대신}, 작업자가 기기 외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탈곡 장치(10)의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20, a lifting operation unit 112 for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is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4. The lifting operation unit 112 is equipped with a power switch 113, an up switch 114, and a down switch 115. When performing an upward operation, the elevation switch 114 and the power switch 113 are pressed simultaneously. The rais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ile the raising switch 114 and the power switch 113 are pressed simultaneously. When lowering, press the lowering switch 115 and the power switch 113 at the same time. The lower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ile the lowering switch 115 and the power switch 113 are pressed simultaneously. The lifting operation unit 112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unit 4 (or instead of the operation unit 4), for example, on the left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10 so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it from outside the device.

〔후방측 상부 커버〕[Rear side upper cover]

도 2, 도 6,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짚 반송 장치(12)를 후방측 상방으로부터 덮는 후방측 상부 커버(116)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상부 커버(116)는 본체부(117)와 상방 부분(118)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2, 6, 23, and 24, a rear upper cover 116 is provided to cover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from the rear upper side. The rear upper cover 116 has a main body 117 and an upper portion 118.

본체부(117)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절결부(117a)를 갖고 있다. 절결부(117a)는, 평면에서 보아, 횡으로 긴 대략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17a)의 전방측 에지의 길이(기체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절결부(117a)의 후방측 에지의 길이(기체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The main body 117 has a notch 117a that opens forward. The cutout portion 117a is formed in a horizontally long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in plan view. The length of the front edge of the cutout 117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ircraf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ear edge of the cutout 117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ircraft).

상방 부분(118)은, 후방측 상부 커버(116) 중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방 부분(118)은, 평면에서 보아,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와 중복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은, 절결부(117a)를 막도록 절결부(117a)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은, 상방 부분(118)의 후방부측에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19)을 통하여 본체부(117)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은, 상방 부분(118)의 후방부측에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19)을 중심으로 하여, 배출 짚 반송 공간 S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배출 짚 반송 공간 S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하다.The upper portion 118 is located above the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of the rear upper cover 116. The upper portion 118 overlaps the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12 in plan view. The upper portion 118 is provided within the notch 117a so as to block the notch 117a. The upper part 118 is supported to be able to swing up and down on the main body 117 through a support shaft 119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from the rear side of the upper part 118. The upper part 118 is centered on a support shaft 119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ircraft from the rear side of the upper part 118, and has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space S and an open position to open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space S. It is capable of swinging up and down throughout the open position.

〔연동 기구〕[Interlocking mechanism]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방 부분(118)을 개방 위치측으로 요동시키는 연동 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 기구(120)는 아암(121)과 롤러(122)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121)은 배출 짚 프레임(50){후방 프레임(68)}으로부터 상방 부분(118)의 하방 개소까지 연장되어 있다. 아암(121)의 선단부에, 접촉부(126c)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롤러(122)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122)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아암(121)은 아암 스테이(123)에, 볼트(124)에 의하여 떼어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아암 스테이(123)는 후방 프레임(68)에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An interlocking mechanism 120 is provided that swings the upper portion 118 toward the open position in response to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swinging toward the raised position. The interlocking mechanism 120 includes an arm 121 and a roller 122. The arm 121 extends from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rear frame 68)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18. A roller 122 that can be contacted from below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126c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arm 121. The roller 122 can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body. The arm 121 is removably fixed to the arm stay 123 with a bolt 124. The arm stay 123 is fixed (for example, fixed by welding) to the rear frame 68.

본체부(117)의 내면부에는 본체부 스테이(125)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의 내면부에는 상방 부분 스테이(126)가 고정(예를 들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본체부 스테이(125)와 상방 부분 스테이(126)에 걸쳐 지지축(119)이 설치되어 있다. 상방 부분 스테이(126)는, 지지축(119)을 지지하는 좌우 1쌍의 지지부(126a)와, 스프링(127)이 설치되는 설치부(126b)와, 롤러(122)가 접촉 가능한 접촉부(126c)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126c)는, 상방 부분(118)의 내면을 따라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stay 125 is bol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7. The upper part stay 126 is fixed (for example,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118. A support shaft 119 is installed across the main body stay 125 and the upper portion stay 126. The upper portion stay 126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portions 126a that support the support shaft 119, an installation portion 126b where the spring 127 is installed, and a contact portion 126c to which the roller 122 can contact. ) is provided. The contact portion 126c is comprised of a plate-shaped por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18.

상방 부분(118)을 폐쇄 위치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27)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7)은 상방 부분(118)과 본체부(117)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7) 중 상방 부분(118)측의 단부는 설치부(126b)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17)에는, 스프링(127)이 설치되는 설치부(128)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27) 중 본체부(117)측의 단부는 설치부(128)에 설치되어 있다.A spring 127 is provided to urge the upper portion 118 to swing toward the closed position. The spring 127 is installed across the upper portion 118 and the main body portion 117. The end of the spring 127 on the upper portion 118 side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126b. The main body portion 117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ortion 128 on which the spring 127 is installed. The end of the spring 127 on the main body 117 side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portion 128.

상방 부분(118)은, 평면에서 보아, 절결부(117a)보다도 약간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방 부분(118)의 테두리부가, 본체부(117) 중 절결부(117a)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상방 부분(118)이 폐쇄 위치보다도 하측으로 요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즉, 상방 부분(118)의 테두리부와, 본체부(117) 중 절결부(117a)에 대응하는 테두리부로, 상방 부분(118)을 폐쇄 위치보다도 하측으로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부(129)가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118 is formed in a shape slightly larger than the notch 117a in plan view.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18 contacts the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tch 117a in the main body portion 117 from above,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portion 118 from swinging downward from the closed position. That is,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18 and the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otch portion 117a in the main body portion 117 include a blocking portion 129 that prevents the upper portion 118 from swinging downward from the closed position. is composed.

〔상부 프레임 및 배출 짚 프레임의 승강 동작〕〔Lifting operation of upper frame and discharge zip frame〕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상승 조작을 행하면, 모터 M에 의하여,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가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급동 훅 핀(44)에 대한 훅 플레이트(43){훅부(43a)}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의 걸림 결합 해제측에의 요동에 연동하여 외측 훅(101)이 걸림 결합 해제측으로 요동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the operator performs a lifting operation using the lifting operation unit 112, the pair of front and rear hook plates 43 are rocked to the locking release side by the motor M. This releases the hook plate 43 (hook portion 43a) from the quick acting hook pin 44. Then, the outer hook 101 swings toward the disengaging side in conjunction with the swing of the hook plate 43 on the rear side toward the disengaging side.

그리고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는, 도 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훅 핀(102)에 대한 외측 훅(101)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그때,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과 함께 급동(11)이나 벨트 전동 기구(53), 텐션 클러치 기구(57)도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따라서 벨트 전동 기구(53)에 있어서의 풀리{구동 풀리(54), 종동 풀리(55)}의 위치 관계가 변화되는 일이 없다.And in the connected state where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chanism 87, as shown in FIGS. 9 and 21, the outer hook 101 with respect to the outer hook pin 102 When the locking combination is released,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are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At that time, the barrel 11, belt transmission mechanism 53, and tension clutch mechanism 57 along with the upper frame 40 and discharge frame 50 are also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Therefor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ulleys (drive pulley 54, driven pulley 55) in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53 does not change.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 핀(94)에 대한 내측 훅(9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이렇게 하여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한다.Then, the locking engagement of the inner hook 93 with respect to the inner hook pin 94 is released as the discharge zip frame 50 follows the swing toward the raised position. In this way,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rise integrally to the same elevation limit height.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면,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아암(121)이 롤러(122)을 통하여 상방 부분(118)을 밀어올린다. 이렇게 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상방 부분(118)이 개방 위치측으로 요동한다.Additionally, when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swings toward the raised position, the arm 121 pushes up the upper portion 118 through the roller 122 in conjunction with the swing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toward the raised position. In this way, the upper portion 118 swings toward the open pos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swinging toward the raised position.

그리고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하강 조작을 행하면, 유압 실린더(41)의 압축 동작에 수반하여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방으로 요동된다.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내측 훅(93)이 내측 훅 핀(94)에 걸림 결합한다.When the operator performs a lowering operation using the lifting operation unit 112,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are rocke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Then, the inner hook 93 is engaged with the inner hook pin 94 as the discharge zip frame 50 swings toward the lowered position.

그리고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면, 모터 M에 의하여 전후 1쌍의 훅 플레이트(43)가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훅 플레이트(43){훅부(43a)}가 급동 훅 핀(44)에 걸림 결합한다. 그리고 후방측의 훅 플레이트(43)의 걸림 결합측에의 요동에 연동하여 외측 훅(101)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된다.And when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a pair of front and rear hook plates 43 are rocked toward the engaging side by the motor M. As a result, the hook plate 43 (hook portion 43a) is engaged with the quick acting hook pin 44. Then, the outer hook 101 swings toward the engaging sid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hook plate 43 on the rear side toward the engaging side.

한편,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연결 해제 상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훅 핀(102)에 대한 외측 훅(101)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그때,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나 텐션 클러치 기구(57)도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경우에는, 미리 전동 벨트(56)를 구동 풀리(54)로부터 떼어내어 둘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 중 상부 프레임(40)만이 상기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disconnected (disconnected state), as shown in FIG. 22, the outer hook 101 with respect to the outer hook pin 102 When the locking coupling is released, only the upper frame 40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At that time,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40, the barrel 11 and the tension clutch mechanism 57 are also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In addition, when only the upper frame 40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rocked upward, the transmission belt 56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drive pulley 54 in advance. In this way, among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only the upper frame 40 rises to the above limit height.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을 가스 댐퍼(7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기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짚 반송 장치(12)가 배출 짚 프레임(50)으로부터 떼어냄 가능한바, 배출 짚 반송 장치(12)를 배출 짚 반송 장치(12)로부터 떼어내면, 배출 짚 프레임(50)만을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Then, by swinging the discharge zip frame 50 upward by the gas damper 71, the discharge zip frame 50 rises to the above-mentioned elevation limit height.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12 can be removed from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When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12 is removed from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12,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 can only be rocked upward.

다음으로,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이하, 「제1 모드」라 함)와,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이하, 「제2 모드」라 함)로 전환 가능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can be raised integrally to the same elevation limit h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mode”), and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 50) An embodiment that can be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ascend to a different ceiling h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mode”)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25 to 31.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는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40)의 요동 각도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요동 각도는 동일한 요동 각도 α로 설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5, in the first mode, the ceiling height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ceiling height of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set to the same ceiling height H1. Additionally, the rocking angle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swinging angl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are set to the same rocking angle α.

제2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승 한계 높이 H1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승 한계 높이 H1보다도 낮은 위치(상승 한계 높이 H2)로 설정되어 있다. 즉, 유압 실린더(41)에 의한 상부 프레임(40)의 상승 한계 높이 H1은, 가스 댐퍼(71)에 의한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승 한계 높이 H2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In the second mode, the ceiling height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ceiling height of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set to different ceiling heights. Specifically, the lift limit height of the upper frame 40 is set to the lift limit height H1, and the lift limit height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set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lift limit height H1 (lift limit height H2). . That is, the ceiling height H1 of the upper frame 40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is set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ceiling height H2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by the gas damper 71.

또한 상부 프레임(40)의 요동 각도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요동 각도는 상이한 요동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프레임(40)의 요동 각도는 요동 각도 α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의 요동 각도는 요동 각도 α보다도 작은 각도(요동 각도 β)로 설정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swing angle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swing angl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are set to different swing angles. Specifically, the swing angle of the upper frame 40 is set to the rocking angle α, and the swing angl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set to an angle (rocking angle β) smaller than the rocking angle α.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의 승강 기구로서, 상부 프레임(4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유압 실린더(41)와,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가스 댐퍼(71)와,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87)가 구비되어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26에는,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26 to 28,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41 that swings the upper frame 40 upward, and a discharge straw frame 50. ) is provided with a gas damper 71 that swings upward, and a connection mechanism 87 that releasably connects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26 to 28, the connecting mechanism 87 functions as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Figure 26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연결 상태). 이 연결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일체적으로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As shown in Fig. 27, in the first mode,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chanism 87 (connected state). In this connected state,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per frame 50 are rais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so that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per frame 50 rise integrally to the same lifting limit height H1. is shaken to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미리 가스 댐퍼(71)와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을 해제해 둠으로써,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의 최대 신장 길이(상승 한계 높이 H2에 대응)를 넘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더라도 가스 댐퍼(71)가 손괴되는 일이 없다.Also, in this case, by disconnecting the gas damper 71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in advance, the discharge zip frame 50 corresponds to the maximum extension length (lift limit height H2) of the gas damper 71. ), the gas damper 71 is not damaged even if it rises beyond the ceiling height H1.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다(연결 해제 상태). 이 연결 해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As shown in Fig. 28, in the second mo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disconnected (disconnected state). In this disconnected state, the upper frame 40 is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so that the upper frame 40 rises to the lifting limit height H1.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까지 상승하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을 가스 댐퍼(7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charge zip frame 50 may be rocked upward by the gas damper 71 so that the discharge zip frame 50 rises to the ceiling height H2.

또한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0)에,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40a)가 구비되고, 가스 댐퍼(71) 중 배출 짚 프레임(50)측의 단부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에 대하여 상방에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어도 된다.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하는 예에서도, 연결 기구(87)가,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29에는,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9 to 31, the upper frame 4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40a that presses the discharge zip frame 50 from abov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mong the gas dampers 71 At the end on the ) side,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may be placed upwardly and spaced apart from the gas damper 71. Also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29 to 31, the connecting mechanism 87 functions as a switching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Figure 29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연결 기구(8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연결 상태). 이 연결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일체적으로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As shown in Fig. 30, in the first mode,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chanism 87 (connected state). In this connected state,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per frame 50 are rais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so that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per frame 50 rise integrally to the same lifting limit height H1. is shaken to

그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댐퍼(71) 중 배출 짚 프레임(50)측의 단부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에 대하여 상방에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의 최대 신장 길이(상승 한계 높이 H2에 대응)를 넘어 상승하면,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것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이 가스 댐퍼(71)의 최대 신장 길이(상승 한계 높이 H2에 대응)를 넘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더라도 가스 댐퍼(71)가 손괴되는 일이 없다.At that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gas damper 71 on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side so as to be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as damper 71, the discharge straw When the frame 50 rises beyond the maximum extension length of the gas damper 71 (corresponding to the rising limit height H2),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as damper 71. Due to this, even if the discharge zip frame 50 exceeds the maximum extension length of the gas damper 71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height H2) and rises to the ceiling height H1, the gas damper 71 is not damaged.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배출 짚 프레임(50)의 연결이 해제되어 있다(연결 해제 상태). 이 연결 해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하도록 상부 프레임(40)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된다.As shown in FIG. 31, in the second mo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disconnected (disconnected state). In this disconnected state, the upper frame 40 is rocked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so that the upper frame 40 rises to the lifting limit height H1.

그리고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까지 상승하도록 배출 짚 프레임(50)을 가스 댐퍼(7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charge zip frame 50 may be rocked upward by the gas damper 71 so that the discharge zip frame 50 rises to the ceiling height H2.

그 후, 상부 프레임(40)이 하강할 때, 압박부(40a)가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함으로써, 가스 댐퍼(71)가 자동적으로 압축 동작하는 것에 수반하여,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배출 짚 프레임(50)이 하강한다.Thereafter, when the upper frame 40 descends, the pressing unit 40a presses the discharge zip frame 50 from above, causing the gas damper 71 to automatically perform a compression operation, thereby causing the upper frame 40 )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descends.

또한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하는 예나, 도 29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배출 짚 프레임(50)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하는 로크 기구(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이 상승하더라도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하여 배출 짚 프레임(50)을 후방부 프레임(37)에 위치 유지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26 to 28 and the examples shown in FIGS. 29 to 30, even if a locking mechanism (not shown) is provided to hol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n position on the rear frame 37, do. Accordingly, in the second mode, the discharge zip frame 50 is maintained on the rear frame 37 by the lock mechanism so that the discharge zip frame 50 does not rise even when the upper frame 40 is raised. You can.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유압 실린더(41) 대신, 상부 프레임(40)을 상하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전동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를 채용하고, 또한 가스 댐퍼(71) 대신, 배출 짚 프레임(50)을 상하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전동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를 채용해도 된다. 전동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 및 전동 실린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이 구비되게 된다.Also, although not shown, instead of the hydraulic cylinder 41, an electric actuator (not shown) is used as an actuator to move the upper frame 40 up and down, and instead of the gas damper 71,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used to move the upper frame 40 up and down. An electric actuator (not shown) may be employed as the actuator. The electric actuator may be either an electric motor or an electric cylinder. In this example,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at controls the electric actuator is provided with a function to switch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이 예에서는, 제2 모드에 있어서,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상승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까지 상승하면,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 한계 높이 H2에서 일단 정지한다. 그 후, 다시 작업자가 승강 조작부(112)에 의하여 상승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부 프레임(40)만이 상승 한계 높이 H1까지 상승한다.In this exampl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rise to the upper limit height H2 by the operator performing a lifting operation by the lifting operation unit 112, the upper frame 40 )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once stops at the rising limit height H2. After that, the operator again performs a lifting operation using the lifting operation unit 112, so that only the upper frame 40 rises to the lifting limit height H1.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승강 조작부(112)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1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 및 배출 짚 프레임(50)을 승강 조작하는 승강 조작부(상승 스위치, 하강 스위치)와, 제2 모드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40)을 승강 조작하는 승강 조작부(상승 스위치, 하강 스위치)와, 제2 모드에 있어서, 배출 짚 프레임(50)을 승강 조작하는 승강 조작부(상승 스위치, 하강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Additionally, in this example, the lifting operation unit 112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That is, in the first mode, a lifting operation unit (raising switch, lowering switch)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frame 40 and the discharge zip frame 50, and a lifting operation uni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upper frame 40 in the second mode. A lifting operation unit (raising switch, lowering switch) and a raising/lowering operation unit (raising switch, lowering switch)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n the second mode may be provided.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로크 기구(100)가 채용되어 있다. 그 대신 외측 로크 기구(200)가 채용되어 있어도 된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uter lock mechanism 100 is adopted. Instead, the outer locking mechanism 200 may be employed.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로크 기구(200)는 외측 훅(201)과 외측 훅 아암(202)과 외측 훅 스프링(203)과 외측 훅 핀(102)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훅(201)은 지지축(204)을 통하여 후방 스테이(111)의 후방면부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측 훅(201)과 후방 스테이(111)의 후방면부에 걸쳐, 외측 훅(201)을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하도록 가압하는 외측 훅 스프링(203)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 훅 아암(202)은 링크 로드(109)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외측 훅(201)에는 개구부(201a)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훅 아암(202)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핀(202a)이 설치되어 있다. 핀(202a)은 개구부(201a)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측 훅 아암(202)이 핀(202a)을 통하여 개구부(201a)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외측 훅 핀(102)이 걸림 결합측으로 요동한다. 그때, 외측 훅 스프링(203)의 가압력에 의하여, 외측 훅 핀(102)에 대한 외측 훅(201)의 걸림 결합을 재빨리 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2 and 33, the outer lock mechanism 200 includes an outer hook 201, an outer hook arm 202, an outer hook spring 203, and an outer hook pin 102. The outer hook 201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tay 111 via the support shaft 204. An outer hook spring 203 is installed across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hook 201 and the rear stay 111 to urge the outer hook 201 to swing toward the engaging side. The outer hook arm 202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link rod 109. An opening 201a is formed in the outer hook 201. A pin 202a protruding rearward is provided on the outer hook arm 202. The pin 202a is located within the opening 201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uter hook arm 202 is engaged with the opening 201a through the pin 202a, so that the outer hook pin 102 swings toward the engaging side. At that time, the outer hook 201 can be quickly engaged with the outer hook pin 102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outer hook spring 203.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 프레임(66)에 단차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 프레임(66)에, 단차부(66a)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내측 훅(93)의 상하 위치가 상기 실시 형태보다도 높아지기 때문에, 내측 훅 핀(94)의 상하 위치를 상기 실시 형태보다도 높게 하면 된다.(2) In the above embodiment, a step portion 66a is formed in the base frame 66. However, as shown in FIG. 34,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tep portion 66a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the base frame 66. In this case, sinc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inner hook 93 is higher tha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inner hook pin 94 can be made higher than that in the above embodiment.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환판(29a)이 개방된 상태(절단 위치의 상태)이면, 전환판(29a)이 폐쇄된 상태(비절단 위치의 상태)로 전환된 후,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배출 짚 프레임(50)이 상승해 있는 상태에서는, 전환판(29a)이 개방된 상태(절단 위치의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해도 된다.(3) In the above embodiment, if the switching plate 29a is in an open state (state in the cutting position), after the switching plate 29a is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state in the non-cutting position), the discharge zip frame You can let (50) rise. Additionally, when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s raised, the switching plate 29a may not be switched to the open state (state at the cutting position).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상부와 유단 프레임(69)의 상부에 걸쳐 있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의 하부와 유단 프레임(69)의 하부에 걸쳐 있어도 된다.(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chanism 87 spans the upper part of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upper part of the stepped frame 69. However, instead, the connecting mechanism 87 may span the lower part of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lower part of the stepped frame 69.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및 유단 프레임(69)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하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및 유단 프레임(69)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해도 된다.(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chanism 87 is capable of disconnecting from each of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stepped frame 69. However, instead, the connecting mechanism 87 may be disconnectable from either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or the stepped frame 69.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과 유단 프레임(69)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상부 프레임(40) 중 좌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L) 이외의 부분과, 배출 짚 프레임(50) 중 유단 프레임(69) 이외의 부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해도 된다.(6)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ng mechanism 87 disconnectably connects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and the stepped frame 69. However, instead, the connecting mechanism 87 disconnectably connects the parts other than the left front-back frame 36L of the upper frame 40 and the part other than the step frame 69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It's okay too.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프레임(40)과 함께 급동(11)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다. 그러나 그 대신, 상부 프레임(40)만이 유압 실린더(41)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해도 된다.(7) In the above embodiment, the barrel 11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40 can be swung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However, instead, only the upper frame 40 may be capable of swinging upward by the hydraulic cylinder 41.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볼트식{볼트(91)}의 연결 구조이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레버 등에 의한 원터치식의 연결 구조여도 된다.(8)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on mechanism 87 has a bolt-type (bolt 91) connection structure. However, instead, the connecting mechanism 87 may be a one-touch type connecting structure using a lever or the like.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실린더(41) 및 가스 댐퍼(71)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유압 실린더(41)만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9) In the above embodiment, a hydraulic cylinder 41 and a gas damper 71 are provided. However, instead, only the hydraulic cylinder 41 may be provided.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기구(87)가 볼트식{볼트(91)}의 연결 구조이다. 그러나 그 대신, 연결 기구(87)가 레버 등에 의한 원터치식의 연결 구조여도 된다.(10)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nection mechanism 87 has a bolt-type (bolt 91) connection structure. However, instead, the connecting mechanism 87 may be a one-touch type connecting structure using a lever or the like.

(1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이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이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후 중앙부가 지지축(70)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1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66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70. However, instead,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frame 66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70. Additionally, the front and rear central portions of the base frame 66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70.

(1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로크 기구(92)가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한다. 그러나 그 대신, 내측 로크 기구(92)가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을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해도 된다. 또한 내측 로크 기구(92)가 기단 프레임(66)에 있어서의 전후 중앙부를 우측의 전후 방향 프레임(36R)에 위치 유지해도 된다.(1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ner locking mechanism 92 positions and holds the rear portion of the proximal frame 66 in the right front-back direction frame 36R. However, instead, the inner locking mechanism 92 may position and hold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base frame 66 in the right front-back direction frame 36R. Additionally, the inner locking mechanism 92 may position and hold the front-back center portion of the base frame 66 on the front-back frame 36R on the right side.

(1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로크 기구(92)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하 요동에 추종하여 걸림 결합 및 걸림 결합 해제를 행한다. 그러나 그 대신, 내측 로크 기구(93)가 배출 짚 프레임(50)의 상하 요동과는 별도로 걸림 결합 및 걸림 결합 해제를 행해도 된다.(1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ner locking mechanism 92 follow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to engage and disengage. However, instead, the inner locking mechanism 93 may engage and disengage independently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ischarge zip frame 50.

(1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가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전방부가 유단 프레임(69)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신,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후방부가, 배출 짚 프레임(50)에 있어서의 후방 프레임(68)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 이외의 부분에 지지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2)의 전방부가, 배출 짚 프레임(50)에 있어서의 유단 프레임(69) 이외의 부분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1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is support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aircraft among the rear frame 68,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is supported on the stepped frame 69. It is supported. However, instead, the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is supported on a portion of the rear frame 68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other than the portion on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aircraft, and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12 The front portion of may be support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stepped frame 69 in the discharge straw frame 50.

본 발명은, 캐빈을 갖는 콤바인 외에, 캐빈이 없는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a combine having a cabin, but also for a combine without a cabin.

9: 피드 체인
10: 탈곡 장치
11: 급동
12: 배출 짚 반송 장치
36L: 전후 방향 프레임
36R: 전후 방향 프레임(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
37: 후방부 프레임(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
38: 상부 커버
40: 상부 프레임
40a: 압박부
41: 유압 실린더(액추에이터)
50: 배출 짚 프레임
66: 기단 프레임
67: 전방 프레임(횡 프레임)
68: 후방 프레임(횡 프레임)
69: 유단 프레임(외측 프레임)
70: 지지축
71: 가스 댐퍼(제2 액추에이터)
87: 연결 기구(전환 기구, 연결 기구)
92: 내측 로크 기구
100: 외측 로크 기구
H1: 상승 한계 높이
H2: 상승 한계 높이
Y2: 요동 축심
9: Feed chain
10: threshing device
11: sudden action
12: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36L: Front-to-rear frame
36R: Front-to-rear frame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fuselage)
37: Rear frame (side fram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uselage)
38: Top cover
40: upper frame
40a: compression unit
41: Hydraulic cylinder (actuator)
50: discharge straw frame
66: Base frame
67: Front frame (transverse frame)
68: Rear frame (transverse frame)
69: Stepped frame (outer frame)
70: support axis
71: Gas damper (second actuator)
87: Connection mechanism (transition mechanism, connection mechanism)
92: inner lock mechanism
100: External locking mechanism
H1: Climb limit height
H2: Climb limit height
Y2: Oscillating axis

Claims (18)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연결 상태가 해제된 연결 해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상기 상부 프레임만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있는, 콤바인.
A feed chain for inserting and transporting the harvesting grain stem,
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alk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by barreling,
It is a combin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receives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and sandwiches and conveys it to the rear,
an upper cover covering the barrel from above,
An upper frame that supports the upper cover and can swing up and down around a swing axi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an actuator that swings the upper frame upward;
Supporting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over a lowering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conveys the discharge straw and an upward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does not convey the discharge straw. With a possible vented straw frame,
A connecting mechanism is provided to releasably connect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In a connected state where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mechanism,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re capable of swinging upward by the actuator,
In the disconnected state, only the upper frame among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be rocked upward by the actuator,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forward-forward frame that is located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dy,
The anteroposterior frame extends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barrel,
The connection mechanism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anteroposterior frame and an end of the discharge zip frame on the outer side of the aircraf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mbine, wherein the connection mechanism spans the top of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top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요동 축심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횡 프레임과, 상기 횡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하강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을 연결 가능한, 콤바인.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charge zip frame includes a transverse fram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swing ax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n outer si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 frame is provided,
The outer frame extends along the front-to-back frame in the lowered position and is adjacent to the front-to-back frame,
The connection mechanism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front-to-rear frame and the outer fram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 및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 해제 가능한, 콤바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combine is wherein the connection mechanism is disconnectable for each of the anteroposterior frame and the discharge straw fram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기체 후방측 상부에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re is a rear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fuselage,
A combine in which the front-to-back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disconnectably conne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에,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인접하는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후방부 프레임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부분이 상하 방향에서 상기 후방부 프레임과 접하고 있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use 6,
The rear frame is provided with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to-back fram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ront-to-back frame,
A combine wherein, in a state where the front-back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connected, a portion of the discharge zip frame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in contact with the rear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급동이 지지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상기 급동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방으로 요동 가능한, 콤바인.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barrel is supported on the upper frame,
A combine in which the barrel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is capable of swinging upward by the actuator.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기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동일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일체적으로 상승 가능한 상태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이한 상승 한계 높이까지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외측의 단부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부에 걸쳐 있는, 콤바인.
A feed chain for inserting and transporting the harvesting grain stem,
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alk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by barreling,
It is a combin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receives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and sandwiches and conveys it to the rear,
an upper cover covering the barrel from above,
An upper frame that supports the upper cover and can swing up and down around a swing axi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Supporting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swing axis center over a lowering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conveys the discharge straw and an upward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conveyance device does not convey the discharge straw. With a possible vented straw frame,
A switching mechanism is provided to switch betwee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rise integrally to the same ceiling height, and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can rise to a different ceiling height,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forward-forward frame that is located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dy,
The anteroposterior frame extends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barrel,
The switching mechanism is capable of connecting the anteroposterior frame and an end of the discharge zip frame outside the fuselag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uselage,
The combine, wherein the switching mechanism spans an upper part of the anteroposterior frame and an upper part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연결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 요동시키는 제2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use 9,
a connecting mechanism that releasably connects the upper frame and the discharge zip frame;
A first actuator that swings the upper frame upward,
A combine provided with a second actuator that swings the discharge straw frame upw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상승 한계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mbine wherein the limit height of the upper frame by the first actuator is set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limit height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by the second actua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가스 댐퍼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을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압박부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use 11,
The second actuator is composed of a gas damper,
A combine in which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the discharge straw frame from abov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댐퍼 중 상기 배출 짚 프레임측의 단부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가스 댐퍼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use 12,
A combine in which the discharge zip frame is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the gas damper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so as to be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gas damper.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하여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급동에 의하여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측에 연속 설치됨과 함께, 상기 피드 체인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좌우 중앙측에서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가 배출 짚의 반송을 행하지 않는 상승 위치에 걸쳐 상하 요동 가능한 배출 짚 프레임과,
상기 탈곡 장치의 좌우 양 측부에 각각 설치됨과 함께,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는 측부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내측 로크 기구와,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을, 좌우의 상기 측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외측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A feed chain for inserting and transporting the harvesting grain stem,
A threshing device that threshes the harvested grain stalks transported by the feed chain by barreling,
It is a combine that is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device and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at receives discharged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feed chain and sandwiches and conveys it to the rear,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centered on a support axis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aircraf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a lowering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transfers the discharge straw, and the discharge straw transport device is positioned at A discharge zip frame capable of swinging up and down over a raised position that does not perform conveyance,
A side frame tha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eshing device and extends to a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An inner locking mechanism for positioning and holding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to a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aircraf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aircraft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s while the discharge zip frame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An external lock mechanism is provided to position the free end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zip frame is located in the lowered position on a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aircraf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s. , combin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하강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이 상기 상승 위치측으로 요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대한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use 14,
The inner locking mechanism locks with a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aircraft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toward the lowered position, and further follows the swinging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toward the raised position to lock the gas in the aircraft. A combine that releases the lock on the side frame located on the inside.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은 프레임형이고,
상기 배출 짚 프레임에,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기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단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기단 프레임의 후방부에 연결됨과 함께 기체 좌우 방향에서 상기 지지축측으로부터 기체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배출 짚 프레임의 유단측에 설치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단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부분이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고,
상기 내측 로크 기구는 상기 기단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의 부분을, 상기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유단 프레임을,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im 14 or 15,
The discharge zip frame is a frame type,
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discharge zip frame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se frame to the discharge zip frame, connected to a front part of the base frame and extending from the support shaft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 front frame connected to the rear part of the base frame and a rear frame extending from the support shaft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and a rear frame install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discharge straw frame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A stepped frame is provided,
A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is supported on the support shaft,
The inner locking mechanism positions and holds a rear portion of the base frame on a side frame located inside the body,
The combine wherein the outer locking mechanism holds the stepped frame in a position on a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bod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후방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 중 기체 좌우 중앙측의 부분에 지지되고,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의 전방부가 상기 유단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use 16,
A combine wherein the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is supported by a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body among the rear frames,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discharged straw conveying device is supported by the step frame.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지지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심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한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 중 기체 좌우 방향에서 기체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은 상기 급동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측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배출 짚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외측 로크 기구는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의 후방부를, 상기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측부 프레임에 위치 유지하는, 콤바인.
According to claim 14 or 15,
an upper cover covering the barrel from above,
An upper frame is provided that supports the upper cover and can be swung up and down around a oscillating axis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ircraft,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forward-forward frame that is located outside the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upper frame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dy,
The anteroposterior frame extends to a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traw frame,
The combine wherein the outer lock mechanism positions and holds the rear portion of the fram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a side frame located outside the body.
KR1020170171048A 2016-12-22 2017-12-13 Combine KR1025824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439A KR20230141677A (en) 2016-12-22 2023-09-20 Com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9927A JP6849427B2 (en) 2016-12-22 2016-12-22 combine
JP2016249924A JP6612731B2 (en) 2016-12-22 2016-12-22 Combine
JP2016249926A JP6611696B2 (en) 2016-12-22 2016-12-22 Combine
JPJP-P-2016-249927 2016-12-22
JPJP-P-2016-249926 2016-12-22
JPJP-P-2016-249924 2016-12-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439A Division KR20230141677A (en) 2016-12-22 2023-09-20 Com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57A KR20180073457A (en) 2018-07-02
KR102582467B1 true KR102582467B1 (en) 2023-09-26

Family

ID=626525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048A KR102582467B1 (en) 2016-12-22 2017-12-13 Combine
KR1020230125439A KR20230141677A (en) 2016-12-22 2023-09-20 Combi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439A KR20230141677A (en) 2016-12-22 2023-09-20 Comb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82467B1 (en)
CN (1) CN10820728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567A (en) * 2018-09-21 2020-03-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Combi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013Y2 (en) * 1981-05-30 1989-03-30
JPH0239823A (en) * 1988-07-28 1990-02-08 Iseki & Co Ltd Straw rack for combine
JPH09117218A (en) * 1996-09-13 1997-05-06 Iseki & Co Ltd Waste straw-treating apparatus in combine harvester
JP2000316365A (en) * 1999-05-17 2000-11-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Combine harvester
JP2008000025A (en)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Combine harvester
CN201069915Y (en) * 2006-12-04 2008-06-11 谢下福 Multifunctional combine-harvester
JP5200445B2 (en) * 2007-07-31 2013-06-05 井関農機株式会社 Combine
JP5724252B2 (en) 2010-08-31 2015-05-27 井関農機株式会社 Thresher
JP2012065597A (en) * 2010-09-24 2012-04-05 Iseki & Co Ltd Combine harvester
CN102172122B (en) * 2011-02-24 2012-12-19 何嘉俊 Combine harvesting machine
JP2012231713A (en) * 2011-04-28 2012-11-29 Kubota Corp Waste straw treatment part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JP5984619B2 (en) * 2012-10-18 2016-09-06 株式会社クボタ Combined hydraulic cylinder connection structure
JP2015181389A (en)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クボタ corn harvester
CN110226415B (en) * 2014-08-05 2021-08-24 株式会社久保田 Combine harvester and threshing device mounted on the combine harv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57A (en) 2018-07-02
CN108207288A (en) 2018-06-29
CN108207288B (en) 2022-07-12
KR20230141677A (en)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731B2 (en) Combine
KR20230141677A (en) Combine
JP7203134B2 (en) combine
JP6611696B2 (en) Combine
JP6693862B2 (en) Combine
JP6922029B2 (en) combine
JP6914310B2 (en) combine
KR102557624B1 (en) Combine
JP2014018164A (en) Combine harvester
KR102593807B1 (en) Combine
JP6833624B2 (en) combine
JP6615084B2 (en) Combine
KR102524801B1 (en) Combine
JP2021090473A (en) combine
JP2021164489A (en) Combine harvester
JP2021090473A5 (en)
JP7069250B2 (en) combine
JP6858651B2 (en) combine
JP7026733B2 (en) combine
JP2021065241A (en) Combine harvester
JP6847025B2 (en) combine
JP6721540B2 (en) combine
KR20200034567A (en) Combine
JP2020156509A5 (en)
JP2020146068A5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