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350B1 -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350B1
KR102582350B1 KR1020230014252A KR20230014252A KR102582350B1 KR 102582350 B1 KR102582350 B1 KR 102582350B1 KR 1020230014252 A KR1020230014252 A KR 1020230014252A KR 20230014252 A KR20230014252 A KR 20230014252A KR 102582350 B1 KR102582350 B1 KR 10258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ne
visibility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교
이준명
Original Assignee
이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교 filed Critical 이용교
Priority to KR102023001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 50 내지 85 중량%,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 0.01 내지 20 중량% 및 물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는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 50 내지 80 중량부, 석고 30 내지 50 중량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 무기안료 1 내지 10 중량부, 아셀렌산 나트륨 0.0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섬유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내지 3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 0.01 내지 5 중량부,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 0.01 내지 5 중량부 및 폴리코사놀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이 뛰어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시인성을 제공하여, 차량의 마찰, 하중 및 충격에 의한 탈락과 균열 발생,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제설제 및 염해에 의한 화학적 부식,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저하와 같은 경시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Y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이다.

Description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LIFETIME EXTENSION TYPE TRAFFIC LANE PAINT COMPOSITION FOR PAINTING TRAFFIC LAN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VISIBILITY ON ROAD SURFA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ON ROAD SURF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이 뛰어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시인성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마찰, 하중 및 충격에 의한 탈락과 균열 발생,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제설제 및 염해에 의한 화학적 부식,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저하와 같은 경시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형성되어, 중앙선, 주행 차선 등을 운전자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을 말하는 것으로, 차선 뿐만 아니라, 중앙선, 횡단보도, 방향 표시선, 안전지대 표시선, 속도제한 표시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선은 황색, 백색 등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함유하는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바닥면에 도색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방지를 위하여 도색된 차선 위에 돌출차선을 형성하거나, 야간 및 우천시 차선의 식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라스 비드(Glass bead)를 살포하기도 한다.
종래의 차선 도색재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유성 타입, 수성 타입 또는 융착식 차선 도색재 조성물로 구별된다.
먼저, 유성 타입 차선 도색재 조성물은 융착식 차선 도색재 조성물에 비하여 시공두께가 얇아 마모층이 적거나 내구성이 떨어지고, 건조의 시간이 길어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일 경우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성 타입 차선 도색재 조성물은 수성에멀젼 수지에 물이나 안료 등을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수성 제품이라는 점에서 온도나 습도와 같은 시공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고, 도막의 두께가 얇아 내구성이 떨어지고,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으며, 건조 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차량의 원활한 소통에 지장을 주어 교통체증이 발생하는 시공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융착식 차선 도색재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에 안료나 글라스 비드 등을 혼합한 것으로서,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시공시 1차로 용해조에서 용해시킨 후 2차로 시공기에서 뿌려주면서 시공하는 방식으로, 시공은 주로 인력이나 소형 원동기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 방식은 도심지와 혼잡한 도로의 통행제한을 최소화하면서 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두께가 매우 얇고 미끄러워 도로면 보다 오히려 마찰계수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어 자동차의 미끄러짐을 유발하고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저해하며, 시공 후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차선 도색재 조성물은 모두 도로 표면의 요철, 골재분리, 콘크리트 포장의 타이닝 등에 의하여 포장의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일정 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어렵고 시인성 향상을 위한 글라스 비드의 고른 살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 등의 하중 및 충격에 의해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도로 표면과의 부착성 및 글라스 비드와의 부착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열적안정성이 낮아, 여름철, 겨울철의 온도 변화에 따라 기계적 물성의 저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도로 표면과 차선 도색재 조성물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균열이 쉽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제설제 및 염해에 의한 화학적 부식은 상기한 문제점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 저하와 같은 경시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시인성이 저하되었고, 특히 글라스 비드의 경우,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로 인해 쉽게 이탈되어 반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73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04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40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60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와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고, 시공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마찰, 하중 및 충격에 의한 탈락과 균열 발생,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제설제 및 염해에 의한 화학적 부식,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 50 내지 85 중량%,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 0.01 내지 20 중량% 및 물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는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 50 내지 80 중량부, 석고 30 내지 50 중량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 무기안료 1 내지 10 중량부, 아셀렌산 나트륨 0.0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섬유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내지 3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 0.01 내지 5 중량부,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 0.01 내지 5 중량부 및 폴리코사놀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Y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이다.
상기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은 아연, 구리 및 아젤란산을 1: 1: 0.5 내지 1.5 몰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구리-아연 아젤레이트(azealate)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은 전복패각을 세척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기로 초미립화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분말 제조단계; 상기 전복패각 분말에 구연산(citric acid)을 첨가하여 산 반응 유도를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추출물의 상등액을 원심분리 후 펠렛을 제거하고 한외여과로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증발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코사놀은 테트라코사놀 및 도트리아콘타놀이 1: 1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으로서,
포장 도로면의 불순물 및 열화된 부분을 제거 및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초벌 도포하여 초벌 차선 도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초벌 차선 도색층 상부에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정벌 도포하여 차선 도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선도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경화시간이 빠르고, 내구성 및 시인성, 방오성 등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형성된 차선 도색층 상부에는 내구성 및 기능성 개선용 표면 마무리재를 도포 및 양생하여 표면 마무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의하면,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이 뛰어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차량의 마찰, 하중 및 충격에 의한 탈락과 균열 발생,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제설제 및 염해에 의한 화학적 부식,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저하와 같은 경시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수명이 연장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간 시인성이 우수함은 물론, 차량 불빛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도로 이용자의 안전운행을 유도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용이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며, 습기에 강하고 열적안정성이 우수하여 습도 및 온도와 같은 시공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이 짧아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므로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 50 내지 85 중량%,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 0.01 내지 20 중량% 및 물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는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 50 내지 80 중량부, 석고 30 내지 50 중량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 무기안료 1 내지 10 중량부, 아셀렌산 나트륨 0.0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섬유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내지 3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 0.01 내지 5 중량부,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 0.01 내지 5 중량부 및 폴리코사놀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Y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의하면,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이 뛰어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차량의 마찰, 하중 및 충격에 의한 탈락과 균열 발생,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제설제 및 염해에 의한 화학적 부식,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저하와 같은 경시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수명이 연장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간 시인성이 우수함은 물론, 차량 불빛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도로 이용자의 안전운행을 유도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용이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며, 습기에 강하고 열적안정성이 우수하여 습도 및 온도와 같은 시공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이 짧아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므로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은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 50 내지 85 중량%,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 0.01 내지 20 중량% 및 물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는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시인성 및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는 상기 개선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에 50 내지 8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는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 50 내지 80 중량부, 석고 30 내지 50 중량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 무기안료 1 내지 10 중량부, 아셀렌산 나트륨 0.0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섬유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백색 시멘트는 석회석, 납석, 형석, 석고 등을 원료로 하고, 공정관리항목으로 산화제이철(Fe2O3) 성분, 유리석회(Free CaO), 백색도 등을 중점적으로 관리하여 제조됨으로써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 백색도가 탁월하게 향상되고 선명한 유색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시인성을 매우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백색 시멘트는 KS L 5204(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규격에 적합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는 시멘트의 수화를 촉진시켜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내염해성, 내약품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을 개선하며,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용이하게 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구현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는 비정질 도데카칼슘 헵타알루미네이트(C12A7)를 75 내지 98 중량%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는 상기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칼슘알루미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고른 도막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석고는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용이하게 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석고는 알파반수석고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석고는 상기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고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석고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고른 도막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는 침상 구조를 갖는 결정체를 갖는 것으로서,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후성, 내구성, 시인성 및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유동성이 우수하여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용이하게 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는 상기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기계적 강도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원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시인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무기안료는 상기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안료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무기안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기계적 강도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셀렌산 나트륨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균열저항성, 내열성, 내구성, 시인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아셀렌산 나트륨은 상기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셀렌산 나트륨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아셀렌산 나트륨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보강섬유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보강섬유는 강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PVA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PET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섬유는 단면의 직경이 50 내지 250 nm이고 길이가 1 내지 50 μm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는 상기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섬유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보강섬유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작업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시인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게 하며, 습기에 강하고,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상기 개선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에 0.01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 0.01 내지 5 중량부,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 0.01 내지 5 중량부 및 폴리코사놀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은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습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내충격성, 내수성, 내습성, 내구성 및 시인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에틸렌계 반복단위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되, 25 내지 55 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용융지수(190℃, 2.16kg)가 10 내지 100 g/10min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내충격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지연되거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은 안료의 색발현 성능을 향상시켜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내염해성, 내약품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은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경도, 내마모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내오염성, 내후성,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은 아연, 구리 및 아젤란산을 1: 1: 0.5 내지 1.5 몰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구리-아연 아젤레이트(azealate)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우수한 균열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성능 개선효과는 기대하기 어렵고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은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내충격성, 동결융해저항성, 내후성, 내구성, 내습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은 전복패각을 세척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기로 초미립화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분말 제조단계; 상기 전복패각 분말에 구연산(citric acid)을 첨가하여 산 반응 유도를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추출물의 상등액을 원심분리 후 펠렛을 제거하고 한외여과로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증발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코사놀은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우수한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폴리코사놀은 테트라코사놀, 펜타코사놀, 헥사코사놀, 헵타코사놀, 옥타코사놀, 노나코사놀, 트리아콘타놀, 도트리아콘타놀, 테트라트리아콘타놀, 헥사트리아콘타놀, 옥타트리아콘타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상기 폴리코사놀은 테트라코사놀 및 도트리아콘타놀이 1: 1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특히, 내염해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코사놀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코사놀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폴리코사놀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티로솔 0.01 내지 5 중량부를 더욱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염해성, 내약품성, 내후성,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으로서,
포장 도로면의 불순물 및 열화된 부분을 제거 및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초벌 도포하여 초벌 차선 도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초벌 차선 도색층 상부에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정벌 도포하여 차선 도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선도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포장 도로면의 불순물 및 열화된 부분은 평삭기, 연마기, 핸드 치핑기등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벌 차선 도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이물질 침투방지, 부착성 개선 및 구체 표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경화시간이 빠르고, 내구성 및 시인성, 방오성 등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형성된 차선 도색층 상부에는 내구성 및 기능성 개선용 표면 마무리재를 도포 및 양생하여 표면 마무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구성 및 기능성 개선용 표면 마무리재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면 마무리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내구성 및 기능성 개선용 표면 마무리재의 비제한적인 예를들면, 실리카졸-실란 및 무기 혼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마무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시인성 및 미끄럼 저항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글라스 비드를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에 의하면,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글라스 비드와의 접착성능이 뛰어나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염해성, 내약품성, 동결융해저항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 및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차량의 마찰, 하중 및 충격에 의한 탈락과 균열 발생,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저하, 자동차 배기가스, 산성비, 제설제 및 염해에 의한 화학적 부식,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과 광택저하와 같은 경시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구수명이 연장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간 시인성이 우수함은 물론, 차량 불빛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도로 이용자의 안전운행을 유도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두께 이상의 두께확보가 용이하고 고른 도막형성이 가능하며, 습기에 강하고 열적안정성이 우수하여 습도 및 온도와 같은 시공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경화되는 시간이 짧아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므로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1]
구리-아연 폴리아크릴산의 제조
증류수에 수산화 구리(copper hydroxide), 아연 카보네이트(3Zn(OH)2·2ZnCO3) 및 폴리아크릴산을 상기 아연, 구리 및 폴리아크릴산의 몰비율이 1: 1: 3이 되도록 혼합하여, 약 30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구리-아연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구리-아연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혼합물을 필터로 여과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80 ℃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구리-아연 폴리아크릴산을 제조하였다.
[제조예2]
구리-아연 아젤레이트의 제조
증류수에 수산화 구리(copper hydroxide), 아연 카보네이트(3Zn(OH)2·2ZnCO3) 및 아젤란산을 상기 아연, 구리 및 아젤란산의 몰비율이 1: 1: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약 30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구리-아연 아젤레이트 수용액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구리-아연 아젤레이트 수용액 혼합물을 필터로 여과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80 ℃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구리-아연 아젤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3]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의 준비
완도산 전복을 구매하여 전복 알맹이와 내장은 제거하고 패각은 물로 세척하여 염분을 제거한 후 열풍건조기로 65 ℃에서 12시간 건조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초미립화 분쇄를 수행하였다.
상기 초미립화된 분말에 0.5M 구연산을 10배 중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산 반응을 유도하였고 종료된 시점에서 방치 후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이후, 상기 회수한 상등액을 원심분리(4℃, 8,000 rpm x 20분)한 후 가라앉은 펠렛(pellet)을 제거하였고, 상등액을 막 여과 시스템(membrane filtration, pore size 1μm 이하)으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한외여과장치(Quixstan TM Benchtop System, GE Healthcare, Sweden)를 사용하여 3 kDa이상의 단백질을 회수하였고 상기 회수된 전복패각 단백질 추출물은 회전진공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45℃에서 농축하고 동결건조함으로써,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준비된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비교용 도색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12 12 12 12 12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 73 73 73 73 73
(중량부) 백색 시멘트 100 100 100 100 100
칼슘알루미네이트 (1) 67 67 67 - 32
알파반수석고 38 38 38 - 38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7 7 7 - -
무기안료 6 6 6 6 6
아셀렌산 나트륨 3.5 3.5 3.5 - -
PVA 보강섬유 (2) 3.5 3.5 3.5 - 3.5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 15 15 15 15 15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 100 100 100 100 100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3) 21 21 21 - 21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8 18 18 - 18
벤조티아졸 화합물[화학식1-1] 8 8 8 - -
구리-아연
폴리아크릴산
[제조예1]
4 2 - - -
구리-아연
아젤레이트
[제조예2]
- 2 4 - -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
[제조예3]
3.5 3.5 3.5 - -
테트라코사놀 - 3 1.5 - -
옥타코사놀 3 - - - -
도트리아콘타놀 - - 1.5
티로솔 - - 2 - -
(1) 칼슘알루미네이트: 비정질 도데카칼슘 헵타알루미네이트(C12A7)를 93.5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함.

(2) PVA 보강섬유: 단면의 평균직경이 약 105 nm이고 평균길이가 약 12 μm인 것을 사용함.

(3)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48 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

[화학식 1-1]

상기 식에서,
X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Y는 수소이다.
아래의 시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2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기계적 강도 평가
상기와 같이 준비된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비교용 도색재 조성물을 반죽하여 원주형상으로 제작하여 양생시켰으며, 이에 대한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의 시험을 각각 5회씩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평균내어,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험방법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압축강도(N/㎟) KS L 5104 55.7 56.8 57.4 35.2 43.5
인장강도(N/㎟) KS L 5104 4.3 4.5 4.6 2.8 3.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험체는 비교예 1 및 2에 따른 비교용 도색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험체와 비교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선 도료로서의 물성평가
상기와 같이 준비된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비교용 도색재 조성물을 도포두께 1.5 mm로 도포 및 코팅하여, 차선 도료로서의 물성(KS M 6080), 내충격성시험(KS F 2221) 및 촉진내후성시험(KS F 2274)을 실시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용기 내 상태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불점착 건조성 묻지않음 묻지않음 묻지않음 묻어남 묻지않음
도막겉모양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45°및 0°확산반사율 (%,흰색) 96 97 99 72 79
은폐율(%) 흰색 97 98 99 74 84
휘도율-UV노화전(β) 0.85 0.88 0.89 0.79 0.81
휘도율-UV노화후(△β) 0.04 0.03 0.01 0.12 0.10
색도좌표(초기)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블리딩성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내마모도시험(50만회) 135 128 117 159 146
재귀반사도 성능(건조한 노면 조건)
(mcd/(㎡·lx))
345 355 365 285 305
재귀빈사도 성능(젖은 노면 조건)
(mcd/(㎡·lx))
95 97 100 85 89
내수성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부풀음 변화없음
내알칼리성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부풀음 부풀음
내산성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부풀음 부풀음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 (coulombs) 25 19 12 52 47
내충격성(크랙현상)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없음 크랙발생 크랙발생
촉진내후성시험
(WS, 500시간) 후 색차(E*)
0.4 0.3 0.2 1.5 0.9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험체는 비교예 1 및 2에 따른 비교용 도색재 조성물을 이용한 시험체와 비교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 50 내지 85 중량%,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 0.01 내지 20 중량% 및 물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내구수명 연장형 결합재는 백색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알루미네이트 50 내지 80 중량부, 석고 30 내지 50 중량부,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1 내지 10 중량부, 무기안료 1 내지 10 중량부, 아셀렌산 나트륨 0.0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섬유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성능개선 폴리머 혼화제는 스티렌-부타디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10 내지 30 중량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티아졸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 0.01 내지 5 중량부,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 0.01 내지 5 중량부 및 폴리코사놀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고,
    Y는 수소 또는 메톡시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아연 카르복실산 염은 아연, 구리 및 아젤란산을 1: 1: 0.5 내지 1.5 몰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구리-아연 아젤레이트(azea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패각(abalone shell) 단백질은 전복패각을 세척하고 열풍건조기로 건조한 후 분쇄기로 초미립화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분말 제조단계; 상기 전복패각 분말에 구연산(citric acid)을 첨가하여 산 반응 유도를 통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추출물의 상등액을 원심분리 후 펠렛을 제거하고 한외여과로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증발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코사놀은 테트라코사놀 및 도트리아콘타놀이 1: 1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따른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으로서,
    포장 도로면의 불순물 및 열화된 부분을 제거 및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정리된 바탕면에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초벌 도포하여 초벌 차선 도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초벌 차선 도색층 상부에 상기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을 정벌 도포하여 차선 도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0230014252A 2023-02-02 2023-02-02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58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252A KR102582350B1 (ko) 2023-02-02 2023-02-02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252A KR102582350B1 (ko) 2023-02-02 2023-02-02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350B1 true KR102582350B1 (ko) 2023-09-25

Family

ID=8819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252A KR102582350B1 (ko) 2023-02-02 2023-02-02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35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380A (ja) * 1992-03-03 1993-09-17 Toyokichi Omori 道路標識用塗料及び路面標示の形成方法
KR101311704B1 (ko) * 2013-06-20 2013-09-26 대천진흥건설(주)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327331B1 (ko) 2013-08-21 2013-11-08 (주) 시그마Sti 내구성 및 우천 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도로용 차선 및 이의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노면 표시 조성물
KR101672714B1 (ko) * 2016-05-02 2016-11-07 주식회사 청호 자기 치유성,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방법
KR101690472B1 (ko) 2016-10-19 2016-12-28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KR101734086B1 (ko) 2017-01-10 2017-05-11 정태진 기능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 급속 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071326B1 (ko) * 2012-08-16 2020-01-30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착색제 조성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가소제
KR102325181B1 (ko) * 2021-06-01 2021-11-10 김부덕 패각을 이용한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2356065B1 (ko) 2021-06-18 2022-02-09 (주)에코트랙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 노면 표시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380A (ja) * 1992-03-03 1993-09-17 Toyokichi Omori 道路標識用塗料及び路面標示の形成方法
KR102071326B1 (ko) * 2012-08-16 2020-01-30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착색제 조성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가소제
KR101311704B1 (ko) * 2013-06-20 2013-09-26 대천진흥건설(주)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327331B1 (ko) 2013-08-21 2013-11-08 (주) 시그마Sti 내구성 및 우천 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도로용 차선 및 이의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노면 표시 조성물
KR101672714B1 (ko) * 2016-05-02 2016-11-07 주식회사 청호 자기 치유성, 내구성 및 강도가 향상된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방법
KR101690472B1 (ko) 2016-10-19 2016-12-28 주식회사 씨씨티연구소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KR101734086B1 (ko) 2017-01-10 2017-05-11 정태진 기능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 급속 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325181B1 (ko) * 2021-06-01 2021-11-10 김부덕 패각을 이용한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2356065B1 (ko) 2021-06-18 2022-02-09 (주)에코트랙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 노면 표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704B1 (ko)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773920B1 (ko) 고등급 방수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
CN109021830B (zh) 突起型热熔道路标线涂料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101734086B1 (ko) 기능성 및 시인성이 우수한 상온 급속 경화형 차선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2213066B1 (ko) 고인장강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균열저감형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방법
KR101835081B1 (ko)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25181B1 (ko) 패각을 이용한 융착식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형성방법.
TW201000572A (en) Titanium dioxide
CN108659686B (zh) 热熔反光型道路标线涂料
KR100832922B1 (ko)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KR101663584B1 (ko) 해조류를 이용한 내구성이 향상된 일반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61565B1 (ko) 미끄럼 방지용 친환경 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4236B1 (ko) 친환경 도로 미끄럼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23230A (ko) 도로 노면 미끄럼방지 친환경 포장재 조성물, 도로 노면 미끄럼방지 친환경 포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미끄럼방지 도로 노면 시공방법
KR100526416B1 (ko) 칼라 논슬립 바닥 포장재 시공방법
KR101176043B1 (ko) 혼합 비드를 함유하는 도로의 차선용 액상 도료 조성물
KR102582350B1 (ko) 뛰어난 내구성 및 시인성을 갖는 차선도색을 위한 내구수명 연장형 차선 도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0941284B1 (ko) 미끄럼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KR100526414B1 (ko) 칼라 논슬립 바닥 포장재
US20060240183A1 (en) Asphalt surface treatment
KR102173222B1 (ko) 제강슬래그 및 mma 수지 활용 고내구성 미끄럼 방지용 포장재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그루빙 시공방법
KR101236779B1 (ko) 안전보행을 위한 미끄럼 방지용 친환경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52951B1 (ko) 콘크리트 및 강구조물의 표면보호용 고시인성 마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구조물의 표면보호 마감 시공방법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2331985B1 (ko)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미립도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