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983B1 - 도수 보안경 - Google Patents

도수 보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983B1
KR102581983B1 KR1020210032974A KR20210032974A KR102581983B1 KR 102581983 B1 KR102581983 B1 KR 102581983B1 KR 1020210032974 A KR1020210032974 A KR 1020210032974A KR 20210032974 A KR20210032974 A KR 20210032974A KR 102581983 B1 KR102581983 B1 KR 102581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member
safety glasses
groove
adsorption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208A (ko
Inventor
허문영
허성원
Original Assignee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2009/021Goggles with prescription spectacle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lov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수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방독면이나 페이스 실드(Face Shield), 보안면 등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수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상물에 부착되는 흡착부재, 상기 흡착부재가 일측에서 결합되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이 구비되는 제1 바디, 상기 바디 프레임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 영역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는 안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수 보안경{Safety glasses}
본 발명은 도수 보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방독면이나 페이스 실드(Face Shield), 보안면 등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수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유기 화합물 취급업체, 반도체 관련 제조업체 및 화학 업체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다루는 산업현장이나 여러 파편이 비산할 수 있는 산업현장에서 근로하는 근로자들은 방독면이나 페이스 실드(Face shield), 보안면 등 인간의 안면이나 호흡기를 보호하는 장비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일반적인 방독면 등에는 도수 처리가 되어있지 아니하여, 시력이 약한 사람이 방독면을 착용하는 경우 앞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런 방독면 등은 그 구조상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착용하기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방독면을 착용한 경우 그 내부 공간에 안경이 들어갈 공간이 마련되지 아니하여 안경을 쓴 채로 방독면을 착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사람마다 시력의 교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도수가 다르므로, 방독면에 일괄적으로 도수 처리를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독면 등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수 클립 방식의 도수 보안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도수 보안경은 방독면의 모델에 따라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용하는 방독면마다 그에 호환되는 도수 보안경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수 보안경의 높이나 각도를 조절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존의 제품은 방독면 등에 겹합되고나면 더 이상 높이가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수 보안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898호에는 앞뒤, 상하 조절이 가능한 돗수용 클립 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방독면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도수 보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독면에 부착된 후 높이와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수 보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수 보안경은 대상물에 부착되는 흡착부재, 상기 흡착부재가 일측에서 결합되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이 구비되는 제1 바디, 상기 바디 프레임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 영역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는 안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의 일 영역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흡착부재 고정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바디의 몸체의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방독면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된 도수 보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력이나 체형에 적합하게 사용가능하도록 방독면에 부착된 후 높이와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수 보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 보안경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흡착부재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의 흡착부재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c)는 도 1의 흡착부재를 뒤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흡착부재 고정바디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바디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제2 바디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1의 제2 바디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c)는 도 1의 제2 바디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안경체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안경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안경체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 보안경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 보안경은 대상물에 부착되는 흡착부재(100), 상기 흡착부재(100)가 일측에서 결합되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350)이 구비되는 제1 바디(300), 상기 바디 프레임(350)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350)의 일 영역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바디(400) 및 상기 제2 바디(40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안경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수 보안경은 흡착부재(100)가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상물은 본 발명에 따른 도수 보안경이 사용되는 물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은 방독면, 페이스 실드(Face shield), 보안면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대상물은 고글, 보안경, 잠수 고글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흡착부재(100)가 부착될 수 있는 면을 포함하는 물건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도수 보안경이 사용되는 대상물에 포함될 수 있다.
흡착부재(100)는 도수 보안경이 대상물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대상물에 부착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재(100)의 일측은 대상물에 부착되고, 타측은 도수 보안경을 이루는 바디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을 원하는 대상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흡착부재(100)와 도수 보안경의 바디의 결합 방식 및 구조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흡착부재(100)를 바디에 견고하게 결합하고, 흡착부재(100)가 바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흡착부재(100)가 바디에 결합된 후,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더라도 흡착부재(100)가 바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로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일 영역에는 흡착부재(100)의 일 영역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도수 보안경의 바디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자세하게 후술한다.
바디는 제1 바디(300)와 제2 바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바디(300)는 흡착부재(100)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바디(400)는 안경체(500)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제1 바디(300)와 제2 바디(400)는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바디(300)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결국 제1 바디(300)와 제2 바디(400)는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바디(400)는 제1 바디(300)와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안경체(500)는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체(500)는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렌즈(520)를 포함할 수 있고,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교정된 시력으로 대상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 보안경의 각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흡착부재(1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의 흡착부재(100)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c)는 도 1의 흡착부재(100)를 뒤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착부재(100)는 대상물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흡착부(110), 상기 흡착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20), 상기 연장부(12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확장되는 확장부(130) 및 상기 확장부(130)의 일 면으로부터 연장부(120)의 적어도 일부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110)는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110)는 넓이를 갖도록 판상으로 형성된 흡착판 일 수 있다.
흡착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눌림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110)는 외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접시 형상일 수 있고, 사용자는 흡착부(110)가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흡착부(110)를 대상물을 향한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에 있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흡착부(110)를 대상물의 표면에 강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흡착부(110)는 대상물에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110)는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110)는 사용자의 부착 행위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대상물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착부(110)를 포함하는 부착 방식을 택함으로써 흡착부재(100)는 다양한 대상물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나아가 도수 보안경은 다양한 방독면 등에 호환될 수 있어, 규격에 상관 없이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흡착부(110)는 흡착부(110)가 부착될 수 있는 면을 포함하는 물건이라면 그 물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도수 보안경을 대상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수 보안경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을 대상물로부터 분리시켜 도수 보안경의 수리나 교체를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이 필요가 없는 경우 도수 보안경을 흔적 없이 용이하게 분리하여 대상물 만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흡착부(110)의 일 측에는 연장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흡착부(110)의 일 측으로부터 제1 바디(300)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부(120)는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각을 갖는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에 형성된 관통홈(210)에 수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흡착부재(100)는 제1 바디(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제1 바디(300)로부터 예기치 않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연장부(120)의 타측에는 연장부(12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확장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연장부(120)의 일측에는 흡착부(110)가 배치되되, 흡착부(110)는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0)의 타측에는 확장부(130)가 배치되되, 확장부(130)는 연장부(12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120)가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관통홈(210)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제1 바디(300)와 결합하게 되면, 제1 바디(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흡착부재(100)에 힘을 가하더라도 흡착부재(100)는 제1 바디(300)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확장부(130)의 직경이 연장부(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확장부(130)는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관통홈(2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흡착부재(100)는 흡착부재 고정바디(200) 및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확장부(130)의 일 측에는 삽입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구(140)는 확장부(130)로부터 연장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40)에는 후술하는 제1 바디(300)에 형성된 돌출부(31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100)는 제1 바디(30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서 제1 바디(30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흡착부재(100)를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몸체에 관통홈(210)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210)은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관통홈(210)이 형성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몸체에는 관통홈(210)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흡착부재(100)의 일 영역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홈(210)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바디(300)에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홈(210)에는 흡착부재(1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재(100)의 연장부(120)가 삽입될 수 있다.
관통홈(210)은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를 이루는 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몸체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홈(210)의 내경은 흡착부재(100)의 연장부(120)의 외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착부재(100)의 연장부(120)가 관통홈(210)에 삽입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관통홈(210)이 형성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몸체는 관통홈(210)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일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착부재(100)의 연장부(120)는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관통홈(2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흡착부재(100)의 연장부(120)가 관통홈(210)에 삽입되도록 흡착부재(100)를 개방된 영역을 통해 관통홈(210)의 내부로 끼워넣을 수 있다. 이 경우, 흡착부재(100)는 개구부를 통해서는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지만, 관통홈(210)의 형성 방향, 즉 도 4를 기준으로 앞이나 뒷 방향으로는 삽입 및 이탈되지 않으므로, 흡착부재(100)가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몸체로부터 제1 바디(30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제1 바디(30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20)는 후술하는 제1 바디(300)에 형성된 제1 고정부(32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흡착부재(100)가 관통홈(21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바디(300)에 결합되므로, 흡착부재(100)는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도수 보안경의 사용 도중 흡착부재(100)가 제1 바디(30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20)의 일단에는 제1 걸림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결합부(220)에 형성된 제1 걸림턱(221)이 제1 바디(300)에 형성된 제1 고정부(320)를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경우, 제1 걸림턱(221)은 제1 고정부(320)에 걸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따라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제1 바디(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결합부(220)의 연장되는 부분은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턱(221)은 제1 고정부(32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걸림턱(221)은 제1 고정부(3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20)의 연장되는 부분은 휘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 결합부(220)를 일 방향으로 밀면서 제1 걸림턱(221)을 제1 고정부(32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제1 결합부(220)를 제1 고정부(32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몸체로부터 제1 바디(30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30)는 후술하는 제1 바디(300)에 형성된 제2 고정부(33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흡착부재(100)가 관통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바디(300)에 결합되므로, 흡착부재(100)는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사용 도중 흡착부재(100)가 제1 바디(30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30)의 일단에는 제2 걸림턱(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결합부(230)에 형성된 제2 걸림턱(231)이 제1 바디(300)에 형성된 제2 고정부(330)를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경우, 제2 걸림턱(231)은 제2 고정부(330)에 걸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따라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제1 바디(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결합부(230)의 연장되는 몸체 부분은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턱(231)은 제2 고정부(33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걸림턱(231)은 제2 고정부(3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230)의 연장되는 부분은 휘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2 결합부(230)를 일 방향으로 밀면서 제2 걸림턱(231)을 제2 고정부(3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제2 결합부(230)를 제2 고정부(3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결합부(220)는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몸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결합부(230)는 흡착부재 고정바디(200)의 몸체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복수의 결합부를 통해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제1 바디(3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제1 바디(300)는 흡착부재(100)가 일측에서 결합되고, 제2 바디(400)가 타측에서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바디(300)는 몸체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10),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340) 및, 몸체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0)는 제1 바디(300)의 몸체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10)는 흡착부재(1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0)는 흡착부재(100)에 형성된 삽입구(14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100)는 제1 바디(300)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310)의 외경은 삽입구(140)의 내경과 같게 형성되어 흡착부재(100)는 제1 바디(3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는 전술한 결합부가 고정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턱은 고정부를 통과한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는 제1 바디(30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300)에는 제1 고정부(320)와 제2 고정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20)는 제1 결합부(22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제2 고정부(330)는 제2 결합부(23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부(320)는 제1 결합부(220)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제1 바디(3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정부(330)는 제2 결합부(230)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제1 바디(300)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 고정바디(200)는 복수의 결합부를 통해 제1 바디(3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340)는 제1 바디(30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30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40)는 제1 바디(3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341)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341)의 적어도 일 영역을 커버하는 팁(3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프레임(341)은 제1 바디(300)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영역과 옆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팁(342)은 옆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41)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팁(342)은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프레임(341)은 스틸(steel), 알루미늄,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스테인리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팁(342)은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예를 들면 NBR(Nitrile-Butadiene Rubber)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340)를 이루는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수 보안경이 가이드부(34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을 대상물에 편리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가이드부(340)를 대상물의 일 면에 고정한 후, 흡착부(110)를 대상물에 부착함으로써 도수 보안경을 대상물에 편리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341)은 길이를 가지므로 사용자는 가이드 프레임(341)을 통해 도수 보안경이 대상물에 올바른 방향과 위치에 배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300)에 가이드부(340)가 형성됨으로써, 도수 보안경이 대상물에 부착된 경우 가이드부(340)는 대상물의 접촉면에 적어도 일부가 맞닿게 되어 사용자가 대상물을 사용하는 때에 도수 보안경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팁(342)은 연성재질로 형성되고, 팁(342)이 대상물의 접촉면에 직접 맞닿게 되어 대상물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50)은 제1 바디(300)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바디 프레임(350)은 제1 바디(300)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바디 프레임(350)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고, 제1 바디(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바디 프레임(350)은 제1 바디(300)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디 프레임(3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바디(4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바디(300)와 제2 바디(400)는 상대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도수 보안경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바디 프레임(350)은 제1 바디(300)와 연결되고, 제1 바디(3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영역(351), 제1 영역(351)과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 영역(352), 제2 영역(352)과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3 영역(3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351)은 제1 바디(300)로부터 제2 바디(400)가 연결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 프레임(35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영역(35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은 제1 바디(300)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35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바디(40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바디(400)는 제1 영역(351)을 따라 제1 바디(30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수 보안경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영역(352)은 제1 영역(351)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역(352)은 제1 영역(351)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제1 영역(351)과 다른 방향을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352)은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영역(352)은 제1 바디(300)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열된 제1 영역(351)과 대응되도록 각각의 제1 영역(351)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352)은 도 5를 기준으로 제1 영역(351)으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않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수 보안경을 착용한 경우 제2 영역(352)이 안면에 접촉하는 등의 불편함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바디 프레임(350)에 제2 영역(352)이 형성됨으로써,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바디(400)가 제1 영역(351)을 따라 제1 바디(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영역(352)은 제1 영역(351)과 굴곡지게 형성되어 제2 바디(400)의 이동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352)은 제2 바디(400)의 이동 한계점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영역(353)은 제2 영역(352)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영역(353)은 제2 영역(352)의 일단과 연결되되,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영역(352)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영역(353)은 제2 영역(352)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제2 영역(352)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디 프레임(350)은 안정적으로 제1 바디(300)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바디(400)가 바디 프레임(35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디 프레임(350)이 독립적으로 흔들거리거나 회전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a)는 도 1의 제2 바디(4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1의 제2 바디(4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c)는 도 1의 제2 바디(400)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바디 프레임(350)의 일 영역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바디 프레임(350)의 일 영역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바디(400)는 제2 바디(400)의 전체적 형상을 이루는 제2 바디 몸체(410), 후술하는 안경체(500)의 결합핀(530)이 삽입되는 핀 홈(421), 핀 홈(4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 연장부(422) 및 바디 프레임(3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 몸체(410)는 제2 바디(4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바디(400)는 블록 형상일 수 있다.
제2 바디 몸체(410)의 일측에는 안경체(500)에 형성된 결합핀(530)이 삽입되는 핀 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 홈(421)은 제2 바디 몸체(410)의 일면으로부터 제2 바디(400)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 홈(421)은 안경체(500)에 형성된 결합핀(530)의 개수 및 배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경체(500)는 제2 바디(400)에 결합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바디(400)가 바디 프레임(35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안경체(50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는 결국 도수 보안경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40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350)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안경체(50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는 결국 도수 보안경을 편의에 따라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바디(400)는 핀 홈(4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홈 연장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 및 (c)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핀 홈(421)은 제2 바디 몸체(410)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홈 연장부(422)는 핀 홈(421)이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제2 바디 몸체(4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 연장부(422)의 일단은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경체(500)에 형성되는 결합핀(530)은 핀 홈(421)으로 삽입되어 제2 바디 몸체(410)를 관통하고, 홈 연장부(422)의 폐쇄된 면까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핀 홈(421)은 홈 연장부(422)까지만 삽입될 수 있고, 홈 연장부(422)를 통과하여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바디(400)에는 바디 프레임(350)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홈은 제2 바디 몸체(4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가이드 홈은 제2 바디 몸체(4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432), 제2 가이드 홈(432)과 연결되되, 제2 바디 몸체(4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431) 및 제2 가이드 홈(432)과 연결되되, 제2 바디 몸체(4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 홈(4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432)은 제2 바디(400)가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을 수용하고, 제1 영역(35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바디 몸체(410)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400)는 제1 바디(300)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바디(400)에는 제2 가이드 홈(432)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c)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2 가이드 홈(432)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50)은 개방된 영역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 내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디 프레임(350)이나 제2 바디(400) 등 도수 보안경을 이루는 일부 구성이 파손된 경우 그 구성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431)은 제2 가이드 홈(432)과 연결되어 형성되되, 제2 바디 몸체(410)의 상면에 안경체(50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 홈(433)은 제2 가이드 홈(432)과 연결되어 형성되되, 제2 바디 몸체(410)의 하면에 안경체(500)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2 바디(400)에 바디 프레임(350)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2 바디(40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회전에 의해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이 수용될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바디(400)가 회전하는 경우,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은 제2 가이드 홈(432)로부터 각각 제1 가이드 홈(431)과 제3 가이드 홈(433)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2 바디(400)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1의 안경체(500)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안경체(500)는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안경체(500)는 사용자의 코에 걸쳐지는 코받침(510),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렌즈(520), 제2 바디(40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핀(530) 및 안경체(500)의 외형을 이루는 안경 프레임(540)을 포함할 수 있다.
코받침(510)은 안경체(500)를 사용자의 안면에 거치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받침(510)은 양 렌즈(520) 또는 안경 프레임(540)의 양 렌즈(520) 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경체(500)를 착용하는 경우, 양 렌즈(520) 또는 안경 프레임(540)의 양 렌즈(520) 부분 사이에 연결된 코받침(510)은 사용자의 콧등에 걸쳐지게 되어, 결국 안경체(500)는 사용자의 안면에 거치될 수 있다.
렌즈(520)는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520)는 도수를 가짐으로써 빛의 굴절률을 교정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렌즈(520)는 통상의 렌즈(520)일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서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520)는 산업 현장에서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거나, 파손되더라도 파편이 사용자의 눈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핀(530)은 안경체(500)가 제2 바디(400)에 결합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핀(530)은 코받침(510)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결합핀(530)은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핀(530)이 제2 바디(400)에 형성된 핀 홈(421)에 삽입되는 경우 흔들거리거나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결합핀(530)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선택적 실시예로서 홈 연장부(422)까지 삽입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핀(530)이 제2 바디(400)에 삽입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안경체(500)는 제2 바디(4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안경 프레임(540)은 안경체(500)의 전체 외형을 이루는 수단일 수 있다. 안경 프레임(540)은 렌즈(520)가 결합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안경 프레임(540)은 렌즈(520)를 둘러싸도록 폐곡면을 이루는 두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영역에는 렌즈(5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안경 프레임(540)은 렌즈(520)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한 상태로 접착 내지 나사 결합되어 렌즈(520)를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렌즈(520)가 안경 프레임(540)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안경체(50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1의 안경체(5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은 제2 바디(40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432)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432)은 제2 바디 몸체(4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은 제2 가이드 홈(432)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432)의 내경은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의 외경과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을 따라 의도치 않게 미끄러져 하강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바디(400)를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도수 보안경의 높이를 편의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을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자유롭게 높이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안경체(5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이 제2 가이드 홈(43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 바디(400)는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4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영역(351)의 일부는 제1 가이드 홈(431)에 수용되고, 제1 영역(351)의 다른 일부 영역은 제3 가이드 홈(433)에 수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가이드 홈(431)은 제2 가이드 홈(4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제2 바디 몸체(4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3 가이드 홈(433)은 제2 가이드 홈(4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제2 바디 몸체(4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홈(432)에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2 바디(400)가 회전하는 경우, 제1 영역(351)의 수용된 부분 중 상부와 하부는 제2 가이드 홈(432)으로부터 이탈되고, 이탈된 부분은 각각 제1 가이드 홈(431)과 제3 가이드 홈(433)에 수용될 수 있다.
결국, 제2 바디(400)는 바디 프레임(350)의 제1 영역(351)을 수용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바디(400)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수 보안경의 각도를 편의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수 보안경을 부착할 렌즈의 각도와 사용자의 시야 각도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흡착부재 342: 팁
110: 흡착부 350: 바디 프레임
120: 연장부 351: 제1 영역
130: 확장부 352: 제2 영역
140: 삽입구 353: 제3 영역
200: 흡착부재 고정바디 400: 제2 바디
210: 관통홈 410: 제2 바디 몸체
220: 제1 결합부 421: 핀 홈
221: 제1 걸림턱 422: 홈 연장부
230: 제2 결합부 431: 제1 가이드 홈
231: 제2 걸림턱 432: 제2 가이드 홈
300: 제1 바디 433: 제3 가이드 홈
310: 돌출부 500: 안경체
320: 제1 고정부 510: 코받침
330: 제2 고정부 520: 렌즈
340: 가이드부 530: 결합핀
341: 가이드 프레임 540: 안경 프레임

Claims (5)

  1. 대상물에 부착되는 흡착부재;
    상기 흡착부재가 전면에 결합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는 안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아래 방향을 향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굴곡지고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영역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도수 보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대상물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제1 바디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재와 상기 제1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흡착부재 고정바디;를 더 포함하는, 도수 보안경.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바디의 몸체의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도수 보안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핀 홈이 형성되는, 도수 보안경.
KR1020210032974A 2021-03-12 2021-03-12 도수 보안경 KR102581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74A KR102581983B1 (ko) 2021-03-12 2021-03-12 도수 보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74A KR102581983B1 (ko) 2021-03-12 2021-03-12 도수 보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08A KR20220128208A (ko) 2022-09-20
KR102581983B1 true KR102581983B1 (ko) 2023-09-25

Family

ID=8344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974A KR102581983B1 (ko) 2021-03-12 2021-03-12 도수 보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344A (ko) * 2001-10-31 2003-05-09 김의남 방독면용 안경테
KR200459491Y1 (ko) * 2010-06-18 2012-03-27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고글렌즈(내면)에 부착 및 조절 할수있는 돗수용 클립 안경
JP3203761U (ja) * 2016-02-04 2016-04-14 由 武藤 眼鏡用保持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0376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08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8158T3 (es) Gafas con elementos de fijación tipo máscara
US8365732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JPS6470048A (en) Protection spectacles equipped with removable nose piece and correction glasses
JPH10239642A (ja) 着脱可能な保護シールドを有する眼鏡
US7494218B1 (en) Adjustable spectacle kit
KR102581983B1 (ko) 도수 보안경
US6789271B2 (en) Eye protection
US6988798B1 (en) Flexible eyeglass side shield
CN108292052B (zh) 用于可佩带设备的佩戴工具
BRPI0712849A2 (pt) àculos de seguranÇa incluindo um acessàrio de cabo flexÍvel
KR101436374B1 (ko) 헬멧 쉴드용 렌즈 조립체
KR20160003557U (ko) 안경테
RU183085U1 (ru) Очки с комплектом насадок
KR200435376Y1 (ko) 안경테의 렌즈 고정장치
US20130120709A1 (en) Safety, sport or recreational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optical prescription pvc foil insert
US20110001920A1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KR200487261Y1 (ko) 안경 보조 도구
US9151966B1 (en) Prescription eyewear assembly
KR20180000582U (ko) 기능성 선그라스
BRPI0712545A2 (pt) àculos de seguranÇa
KR101701794B1 (ko) 안경을 장착할 수 있는 보안경
JPH08286158A (ja) 簡易眼鏡の視力矯正用レンズの位置決め具および簡易眼鏡の視力矯正用レンズの位置決め方法
JP4168964B2 (ja) 全面マスク用眼鏡
JP2015187740A (ja) 保護眼鏡
CN112716690A (zh) 多功能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