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936B1 -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936B1
KR102581936B1 KR1020220124840A KR20220124840A KR102581936B1 KR 102581936 B1 KR102581936 B1 KR 102581936B1 KR 1020220124840 A KR1020220124840 A KR 1020220124840A KR 20220124840 A KR20220124840 A KR 20220124840A KR 102581936 B1 KR102581936 B1 KR 10258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eb document
input
tex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시스템이,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단계; 시스템이,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하는 제2 단계; 및 시스템을 통해,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 필요한 다양한 종류 및 양식의 문서들을 쉽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어, 업무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web document by applying drag-and-drop input type}
본 발명은 웹 환경에서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웹 문서의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기업에서 특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업무를 각각의 단계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업무를 구성하는 각각의 작업 절차는,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 필요한 자료가 각 단계별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각각의 작업 절차에서 필요로 하는 문서의 종류나 양식이 달라질 수 있다.
기존에는 각각의 작업 절차에서 필요로 하는 문서의 종류나 양식에 따라 각각의 문서를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관리하였으나, 이는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시스템이,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단계; 시스템이,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하는 제2 단계; 및 시스템을 통해,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단계는,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를 분리하여 추출하며, 이때, 콘텐츠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계는,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는 경우,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 양식의 레이아웃이 자동 작성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작성된 레이아웃의 편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단계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에,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입력 가능한 데이터가 항목별로 분류되어 배치되는 데이터 영역과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이 표시되는 보고서 영역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각 항목별로 해당 항목에 입력 가능한 데이터 중 입력 빈도가 가장 높은 텍스트부터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특정 항목에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등록되면, 등록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입력 가능한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웹 문서는, 업무 프로세서 진행을 위한 워크 플로우 중 특정 작업 절차에 매칭될 수 있는 웹 문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시스템은,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하는 웹 문서 양식 편집부; 및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가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되어 웹 문서를 생성하는 웹 문서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 필요한 다양한 종류 및 양식의 문서들을 쉽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어, 업무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시스템의 구성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더욱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과 보고서 영역이 출력되는 화면이 예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시스템의 구성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시스템(이하에서는 '시스템'으로 총칭하기로 함)은, 통신부(100), 프로세서(200), 입력부(300), 출력부(400) 및 저장부(500)를 포함한다.
통신부(100)는, 시스템이 외부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고, 입력부(300)는, 마우스, 터치 인터페이스, 키보드, 스캐너 등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400)는, 프로세서(200)가 동작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고, 저장부(500)는, 프로세서(200)가 동작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이다.
프로세서(200)는, 시스템의 제반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00)는, 통신부(100) 또는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0)는, 입력부(300)를 이용하여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하여 웹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앤 드롭은, 파일이나 아이콘을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인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이동시킨(drag) 다음 마우스 버튼을 놓는 동작(drop)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드래그 앤 드롭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웹 문서는, 업무 프로세서 진행을 위한 워크 플로우를 구성하는 복수의 작업 절차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절차에 매칭될 수 있으며, 동시에, Web Office 상에서 각각의 고유한 양식에 따라 정형화된 영역을 기입하여 작성되는 웹 문서를 의미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더욱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411)과 보고서 영역(412)이 출력되는 화면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00)는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210),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하는 웹 문서 양식 편집부(220) 및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웹 문서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210)는,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를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추출부(210)는,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텍스트, 사진, 그림 등을 객체로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나누는 테두리(선)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아웃 데이터는, 문서 내 페이지의 콘텐츠 데이터가 기입되는 전체 콘텐츠 영역의 개수 및 각 콘텐츠 영역의 크기 및 위치(배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데이터는, 도형, 사진, 그림 등의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문서 양식 편집부(220)는,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는 경우,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 양식의 레이아웃이 자동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웹 문서 양식 편집부(220)는, 자동 작성된 웹 문서 양식의 레이아웃을 편집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작성된 레이아웃의 편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문서 양식 편집부(220)는, 추출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력된 문서 이미지와 콘텐츠 영역의 개수 및 각 콘텐츠 영역의 크기 및 위치(배치) 등이 가능한 유사하게 구현된 웹 문서 양식의 레이아웃을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웹 문서 양식의 레이아웃이 작성되면, 사용자는 웹 문서 양식 편집부(220)를 통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 작성된 웹 문서 양식에서 콘텐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거나, 특정 콘텐츠 영역의 크기, 위치 등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자동 작성된 레이아웃의 편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문서 양식 편집부(220)는, 웹 오피스 서비스(ex. Word, Excel, PowerPoint, 한컴 오피스 등)와 같이 웹 환경에서 웹 문서를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즉, 웹 문서 양식 편집부(220)는, 자동 작성된 웹 문서 양식에서 콘텐츠 영역의 개수를 조정하거나, 특정 콘텐츠 영역의 크기, 위치 등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자동 작성된 레이아웃의 편집할 수 있다.
웹 문서 생성부(230)는,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추출된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웹 문서 생성부(23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입력 가능한 데이터가 항목별로 분류되어 배치되는 데이터 영역(411)과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이 표시되는 보고서 영역(412)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웹 문서 생성부(230)는, 보고서 영역(412)에 배치되는 복수의 항목들을 개별적으로 삭제/추가/변경이 가능하고, 각 항목들의 배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웹 문서 생성부(230)는, 각 항목들에 입력 가능한 텍스트에 대한 조건을 설정하여, 특정 항목에 잘못된 텍스트가 기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문서 생성부(230)는, 데이터 영역(411)에 나열된 복수의 항목 중 특정 항목에 배치된 텍스트가 보고서 영역(412)에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되는 경우, 보고서 영역(412)에 배치되는 복수의 항목 중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항목에 해당 텍스트가 입력되지 못하고, 다른 항목에 입력되면, 입력된 텍스트의 입력이 제한되어, 해당 항목에 잘못된 텍스트가 기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문서 생성부(230)는, 데이터 영역(411)에 나열된 복수의 항목 중 사업자 등록번호 및 생년월일 항목은 입력 가능한 텍스트에 대한 조건으로 숫자만 기입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회사명 또는 대표자 (이름)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사업자 등록번호에 입력되면, 입력된 텍스트의 입력에 제한되고, 재차 텍스트 입력이 요청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가능한 텍스트에 대한 조건은, 단순히 숫자 기입 여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을 설정하여 보고서 영역(412)에 배치된 항목에 잘못된 텍스트가 기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웹 문서 생성부(230)는, 데이터 영역(411)에 나열된 각 항목들에 복수의 텍스트가 배치되는 경우,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텍스트가 우선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문서 생성부(230)는, 데이터 영역(411)에 나열된 각 항목들에 복수의 텍스트가 배치되는 경우, 각 항목별로 해당 항목에 입력 가능한 데이터 중 입력 빈도가 가장 높은 텍스트부터 우선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웹 문서 생성부(230)는, 데이터 영역(411)에 나열된 각 항목마다 자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즐겨찾기 키워드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각 항목마다 즐겨찾기 키워드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는, 입력 가능한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S410),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할 수 있다(S420).
그리고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하여 웹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S430).
이에 의해,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 필요한 다양한 종류 및 양식의 문서들을 쉽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어, 업무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통신부
200 : 프로세서
210 : 데이터 추출부
220 : 웹 문서 양식 편집부
230 : 웹 문서 생성부
300 : 입력부
400 : 출력부
500 : 저장부

Claims (8)

  1. 시스템이,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 단계;
    시스템이,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하는 제2 단계; 및
    시스템을 통해,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단계는,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를 분리하여 추출하며,
    콘텐츠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2 단계는,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는 경우,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 양식의 레이아웃이 자동 작성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작성된 레이아웃의 편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3 단계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에,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입력 가능한 데이터가 항목별로 분류되어 배치되는 데이터 영역과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이 표시되는 보고서 영역이 함께 출력되며,
    데이터 영역은,
    각 항목별로 해당 항목에 입력 가능한 데이터 중 입력 빈도가 가장 높은 텍스트부터 우선적으로 배치되고,
    데이터 영역은,
    특정 항목에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등록되면, 등록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입력 가능한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되며,
    제3 단계는,
    해당 항목에 잘못된 텍스트가 기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영역에 나열된 복수의 항목 중 특정 항목에 배치된 텍스트가 보고서 영역의 다른 항목에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의 입력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생성되는 웹 문서는,
    업무 프로세서 진행을 위한 워크 플로우 중 특정 작업 절차에 매칭될 수 있는 웹 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8.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추출된 데이터를 반영하여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웹 문서 양식을 불러내어 편집하는 웹 문서 양식 편집부; 및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에 추출된 데이터가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되어 웹 문서를 생성하는 웹 문서 생성부;를 포함하고,

    데이터 추출부는,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레이아웃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를 분리하여 추출하며,
    콘텐츠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웹 문서 양식 편집부는,
    새로 웹 문서 양식을 작성하는 경우,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문서 양식의 레이아웃이 자동 작성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 작성된 레이아웃의 편집이 수행되도록 하며
    웹 문서 생성부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에, 입력된 문서 이미지에서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입력 가능한 데이터가 항목별로 분류되어 배치되는 데이터 영역과 작성되거나 편집된 웹 문서 양식이 표시되는 보고서 영역이 함께 출력되도록 하며,
    데이터 영역은,
    각 항목별로 해당 항목에 입력 가능한 데이터 중 입력 빈도가 가장 높은 텍스트부터 우선적으로 배치되고,
    데이터 영역은,
    특정 항목에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등록되면, 등록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입력 가능한 다른 데이터보다 우선적으로 배치되며,
    웹 문서 생성부는,
    해당 항목에 잘못된 텍스트가 기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영역에 나열된 복수의 항목 중 특정 항목에 배치된 텍스트가 보고서 영역의 다른 항목에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입력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의 입력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시스템.
KR1020220124840A 2022-09-30 2022-09-30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8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40A KR102581936B1 (ko) 2022-09-30 2022-09-30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40A KR102581936B1 (ko) 2022-09-30 2022-09-30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936B1 true KR102581936B1 (ko) 2023-09-21

Family

ID=8818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840A KR102581936B1 (ko) 2022-09-30 2022-09-30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866A (ko) * 2003-04-18 2004-10-27 (주)아이펜텍 폼을 이용하는 xml 문서 편집기 및 xml 문서편집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109734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 프로세스과정에서 생성되는 문서를 관리 및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14391B1 (ko) * 2020-12-30 2022-06-29 추철민 과거이력 기반 실시간 문서작성 추천 시스템
KR102435844B1 (ko) * 2021-12-02 2022-08-24 (주)아데나 이미지 데이터 추출 기반의 템플릿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866A (ko) * 2003-04-18 2004-10-27 (주)아이펜텍 폼을 이용하는 xml 문서 편집기 및 xml 문서편집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10109734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피앤피소프트 업무 프로세스과정에서 생성되는 문서를 관리 및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14391B1 (ko) * 2020-12-30 2022-06-29 추철민 과거이력 기반 실시간 문서작성 추천 시스템
KR102435844B1 (ko) * 2021-12-02 2022-08-24 (주)아데나 이미지 데이터 추출 기반의 템플릿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4650B2 (en) Slide tagging and filtering
EP2286340B1 (en) Content managing device and content managing method
Strauss et a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JP5266384B2 (ja) ドキュメントエディタにおける、インスペース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とアウトスペース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間の通信
US9098473B2 (en) Accessing an out-space user interface for a document editor program
Edhlund Nvivo 9 essentials
Edhlund et al. Nvivo 11 essentials
US7379950B2 (en) Document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ocument file in pages
US20060028659A1 (en) Layout adjustment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the same
JP200309140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6107142A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方法
US201601801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reviewing document integration and updates
US20080155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ising an Electronic Draft
JP495950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81936B1 (ko)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웹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804235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23310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Hart-Davis Teach Yourself VISUALLY Google Workspace
JP4845287B2 (ja) フォーム編集装置及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
JP6457249B2 (ja) 電子ドキュメント管理装置、電子ドキュメ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子ドキュメント管理用プログラム
JPH0711461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の入力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の入力方法
KR102572130B1 (ko) 문서 이미지에서 문서 양식을 추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35747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740494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209195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