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484B1 -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484B1
KR102581484B1 KR1020190137782A KR20190137782A KR102581484B1 KR 102581484 B1 KR102581484 B1 KR 102581484B1 KR 1020190137782 A KR1020190137782 A KR 1020190137782A KR 20190137782 A KR20190137782 A KR 20190137782A KR 102581484 B1 KR102581484 B1 KR 10258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ewable energy
terminal
energy resources
field
fiel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908A (ko
Inventor
한종훈
배효준
정진희
고영근
안해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3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4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02J3/38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distribution, e.g. centrally by trus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통합 서버에서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되던 에너지 자원 관리를 각 현장 단말에 분산시킴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증가에 따른 통합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합 서버는 각 현장 단말 사이에 직접 연결을 위한 초고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NEWABLE ENERGY IN HIGH SPEED COMMUNIC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은 초고속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고속 통신 환경을 이용하여 신재생 에너지자원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ESS(Energy Storage System), 연료 전지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 자원은 소규모로 전국 각지에 산재되어 있다. 이들 신재생 에너지 자원들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 통합 서버를 이용해 왔다. 그런데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개소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통합 서버에서 관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도 당연히 늘어나게 되었고, 따라서 통합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한계치에 다다르면 통합 서버를 증설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 자원들의 관리뿐 아니라 수집한 데이터들의 통계를 내고 이를 분석하는 작업들에도 물리적 서버, 데이터 저장소, 서버의 보관장소, 서버간 통신 관리 등 상당한 IT 자원이 추가로 필요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 자원이 계속 늘어날 때마다 통합 서버를 무작정 증설할 수도 없고, 단순히 서버를 증설하는 것 만으로는 늘어난 데이터나 연산량을 감당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통합 서버에서 중앙집중식으로 관리되던 신재생 에너지 자원들을 각 현장 단말에서 분산하여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현장 단말에서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분산 관리하기 위해 현장 단말들 사이 혹은 사용자 단말과 현장 단말 사이에 직접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은,
기상예보 및 예측정보를 기반으로 설비 별 가이드를 현장 단말에 전송하는 통합 서버; 신재생 에너지 자원 조회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각각의 관리를 위한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현장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현장 단말이 다른 현장 단말의 데이터 조회를 상기 통합 서버에 요청하면,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다른 현장 단말 사이 또는 상기 현장 단말과 다른 현장 단말 사이의 직접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통합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은,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운영을 위한 설비 별 가이드 정보를 현장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현장 단말이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운영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유사한 유형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관리하는 다른 현장 단말을 검색하여 상기 현장 단말과 상기 다른 현장 단말 사이의 직접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접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현장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다른 현장 단말에게 상기 현장 단말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현장 단말이 상기 수신한 데이터에 의해 이상 감지 로직을 실행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단말이 이상 감지 로직을 실행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이상 감지 로직 실행 결과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제어할 것을 상기 현장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현장 단말이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운영한 결과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가이드 정보에 의해 의해 상기 현장 단말이 이상을 감지한 경우에만 운영 결과를 수신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유사한 유형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관리하는 다른 현장 단말을 검색하는 것은, 상기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이 위치한 곳의 기상조건이 유사하거나, 상기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에 포함된 설비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기준으로 상기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현장 단말을 검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통합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현장 단말에 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현장 단말 사이에 직접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조회를 요청하면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현장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현장 단말의 상호 인증을 위한 인증용 키를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통합 서버에서 신재생 에너지 자원들을 집중관리하지 않고 각 현장단말에서 나누어 분산 처리하므로 통합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 현장단말들은 분산처리에 의해 통합 서버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 다른 현장단말과 직접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작업을 처리하므로 신재생 에너지 자원관리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버의 구조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감지 오차, 감지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이다.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은 통합 서버(10), 사용자 단말(40) 및 n개(n은 2이상의 정수)의 현장 단말(20, 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서버(10)의 좀 더 자세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통합 서버(10)는 통신 유닛(13), 프로세서 유닛(15), 메모리(17) 및 데이터베이스(11)를 포함한다.
통합 서버(10)는 곳곳에 흩어져 있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통합 관리한다. 이를 위해 통신 유닛(13)을 통해 사용자 단말(40) 또는 현장 단말(20, 30)들과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통신 유닛(13)은 유/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한 모듈일 수 있고, 특히 5G 초고속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5)은 현장 단말들(20, 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하고 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들의 통계를 작성한다.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난 데이터들은 압축하여 보관(아카이빙)한다.
메모리(17)는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체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세서 유닛(15)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프로세서 유닛(15)으로 하여금 신재생 에너지 자원들의 관리를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가 메모리(17)에 포함된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이동식 자기 디스크, 이동식 광 디스크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 예로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RAM, ROM 등을 포함한다.
통합 서버(10)는 현장 단말(20, 30)에서 보내는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는 통합 서버(11)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 서버에 포함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장 단말(20)은 통합 서버(10)와 마찬가지로 통신 유닛, 프로세서 유닛, 메모리 및 데이터베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단말(20)은 통신 유닛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합 서버(10) 또는 다른 현장 단말(30)과 통신할 수 있으며, 통신 유닛은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5G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은 신재생 에너지 자원(21, 31)을 관리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이상을 감지한다.
메모리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21, 31) 관리를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체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에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21)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22)는 현장 단말(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외부 서버에 포함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현장 단말(20, 30)에 의해 관리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현장 단말(20)에 의해 관리되는 태양광 발전 설비(21)의 예이다.
태양광 발전 설비(21)는 전력 모듈(210)과 환경정보 계측 모듈(220)을 포함한다.
전력 모듈(210)은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된 전력을 모아서 인버터(216)에 전달하기 위한 접속반(218)과,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216), 변환된 교류 전력을 분배 혹은 전송하기 위한 고압반(212) 및 저압반(214)를 포함한다.
환경정보 계측 모듈(220)은 기상 모듈(222)을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설비(21)가 위치한 곳의 환경을 측정한다. 기상 모듈(222)는 외기온도, 모듈온도, 수평면 일사량, 경사면 일사량,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여 현장 단말(20)에 전달할 수 있다. 현장 단말(20)은 기상 모듈(222)에 의해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설비(21)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로직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40) 역시 통신 유닛, 프로세서 유닛,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유닛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합 서버(10) 또는 현장 단말들(20)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조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40)이 적절한 권한을 가지는 지 통합 서버(10)가 조회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현장 단말(30)에 의해 관리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31)의 한 예이다.
에너지 저장 장치(31)는 전력 모듈(310)과 환경정보 계측 모듈(320)을 포함한다.
전력 모듈(310)은 전력 배분을 위한 고압반(311), 저압반(313)과 전력 관리를 위한 PMS(Power Management System, 315), 배터리 관리를 위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17) 및 BRS(319)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정보 계측 모듈(320)은 온습도 모듈(322)을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31)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자원이 관리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통합 서버(10)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별로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전송한다(S400).
각 현장 단말들(20, 30, …90)은 통합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운영하고, 주기적으로 데이터들을 수집/분석(S410)하여 현재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주기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들은 필터링을 거쳐 정상 검침 데이터들은 각 현장 단말들과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데이터들은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하여 아카이빙 작업이 이루어진다.
현장 단말(20)은 데이터 분석 결과 이상이 감지된 경우 이를 통합 서버(10)에 통보하고(S420), 이상 분석을 위한 로직을 준비한다. 현장 단말(20)은 감지된 이상의 정도에 따라 경미(Minor), 중요(Major), 심각(Critical) 단계로 구분하여 통합 서버(10)에 통지한다.
종래기술은 통합 서버(10)에서 모든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해야 했다. 따라서 이상 감지가 집중되는 경우 통신과 데이터 처리에 대한 부하가 증가하여 통합 서버(10)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를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통합 서버(10)는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하여 직접 현장 단말들 사이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각 현장 단말은 다른 현장 단말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이상 감지 로직을 실행하므로 통합 서버(10)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 감지 보고를 받은 통합 서버(10)는 유사한 상황에 있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현장 단말들을 검색한다(S430). 예를 들어, 이상이 감지된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기상 상황이나 이력이 비슷하거나, 설비의 규모, 설비에 포함된 장비의 모델 등이 비슷한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검색하는 것이다.
유사한 자원이 검색되면 통합 서버(10)는 유사한 자원의 현장 단말(90)에 데이터 제공을 명령한다(S440).
이 때 데이터는 통합 서버(10)를 통해 다른 현장 단말(90)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단말들 간 직접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이를 위해 통합 서버(10)는 현장 단말(20)과 검색된 유사 자원의 현장 단말(90) 사이의 직접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을 생성한다(S450).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유사 자원의 현장 단말(90)은 필요한 데이터를 이상이 감지된 자원의 현장 단말(20)에 직접 전달하게 되고, 현장 단말(20)은 직접 이상 감지 로직을 실행하여(S470) 이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처럼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하여 현장 단말들 사이에 직접 통신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통합 서버를 거치지 않고 신속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고, 이상감지 또한 각 현장단말에서 직접 수행하므로,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관리가 현장 단말들에 의해 분산되어 통합 서버의 부하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통합 서버에 자원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40)은 필요한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조회를 위해 통합 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S500).
통합 서버(10)는 사용자 단말(40)이 요청한 자원을 조회할 권한이 있는지 검토한다(S520). 지역 안전관리자는 관리하는 지역 내의 모든 설비들에 대한 운전 현황 및 알람(앱 푸쉬 또는 문자서비스)을 조회하거나 수신할 수 있지만 특정 설비의 사업주는 해당 설비에 대한 데이터만 접근 가능할 것이므로 사용자 단말(40)에 따라 다른 권한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접근 권한이 확인되면 통합 서버(10)는 사용자 단말(40)과 현장 단말(90) 접속을 위한 인증용 키를 발급하여 각각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40)과 현장 단말(90)의 직접 연결을 위해 현장 단말(9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
통합 서버(10)는 이후 사용자 단말(40)과 현장 단말(90)의 직접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S220). 사용자 단말(40)이 통합 서버(10)를 통해 현장 단말(90)의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운영 현황을 조회하기 위함이다. 통신 채널은 5G 통신망을 사용하여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활용할 수 있다.
직접 연결 채널이 형성되고 나면 사용자 단말(40)은 운영 현황에 관한 데이터 조회를 요청하고(S530), 운영 데이터는 직접 연결 채널을 통해 현장 단말(90)에서 사용자 단말(40)로 직접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40)은 종래 기술과 같이 통합 서버(1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요청하지만 분산된 현장 단말(20 …90)들과의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통합 서버(10)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9)

  1.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
    상기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각각을 관리하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현장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 서버는,
    제1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유사한 상황에 있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로부터 운영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도록 상기 제1 현장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 사이에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는,
    이상이 감지된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기상 상황이나 이력이 유사하거나, 설비의 규모, 설비에 포함된 장비의 모델이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3. 복수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가 제1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에 대한 운영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합 서버가 복수의 현장 단말 중에서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유사한 유형의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현장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 사이의 직접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통합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에게 상기 제1 현장 단말로 상기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서버가 상기 제1 현장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상 감지 로직을 실행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감지 로직을 실행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통합 서버가 상기 이상 감지 로직의 실행 결과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제어할 것을 상기 제1 현장 단말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장 단말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에 대한 운영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이상을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운영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이 위치한 곳의 기상조건이 유사하거나,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에 포함된 설비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현장 단말이 관리하는 신재생 에너지 자원과 다른 신재생 에너지 자원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현장 단말을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
  8.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를 위해 통합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단말에 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 단말 사이에 직접 연결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조회를 요청하면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 권한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장 단말의 상호 인증을 위한 인증용 키를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방법.
KR1020190137782A 2019-10-31 2019-10-31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82A KR102581484B1 (ko) 2019-10-31 2019-10-31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82A KR102581484B1 (ko) 2019-10-31 2019-10-31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08A KR20210051908A (ko) 2021-05-10
KR102581484B1 true KR102581484B1 (ko) 2023-09-27

Family

ID=7591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82A KR102581484B1 (ko) 2019-10-31 2019-10-31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4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6859A (ja) * 2012-09-11 2014-03-27 Nec Corp 太陽電池故障診断装置、太陽電池故障診断方法、太陽電池故障診断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184580A (ja) * 2016-03-31 2017-10-05 太陽誘電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用いるストリング監視装置の配置を確認するシステム、ストリング監視装置、検査用無線通信装置、及び配置確認方法
KR101942543B1 (ko) * 2018-08-07 2019-01-28 주식회사 텔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기반 분산 자원의 p2p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850A (ko) * 2013-10-25 2015-05-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 발전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896442B1 (ko) * 2016-06-29 2018-09-1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Ict 융합형 풍력 발전 단지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6859A (ja) * 2012-09-11 2014-03-27 Nec Corp 太陽電池故障診断装置、太陽電池故障診断方法、太陽電池故障診断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184580A (ja) * 2016-03-31 2017-10-05 太陽誘電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用いるストリング監視装置の配置を確認するシステム、ストリング監視装置、検査用無線通信装置、及び配置確認方法
KR101942543B1 (ko) * 2018-08-07 2019-01-28 주식회사 텔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 기반 분산 자원의 p2p 전력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08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 et al. Big data analytics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CN101149416B (zh) 电力电缆绝缘状态监测与寿命管理系统
CN105426980B (zh) 一种配电网健康指数评估工程应用系统
CN100412993C (zh) 基于状态监测的核电厂智能维护系统
KR102544181B1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분산 자원 및 전력 계통 운영 계획 시스템 및 운영 계획 방법
CN101465544B (zh) 一种用于发电侧控制性能标准考核的实时采集与监控系统
CN106357414A (zh) 用于基站发电管理的信息交互方法和系统
KR20190076688A (ko) 분산 자원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091240A (zh) 一种公共机构电力能效监测系统及服务方法
CN103617447A (zh) 智能变电站的评价系统及评价方法
CN108418302A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配电网平台
CN104240319A (zh) 电力设备智能巡检系统
CN107885156A (zh) 用于精益监测电站设备的智能前端多媒体信息采集系统
KR102581484B1 (ko) 초고속 통신 환경에서의 신재생 에너지 자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Zhou et al. Design and application of condition monitoring for power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equipment based on smart grid dispatching control system
CN109241154A (zh) 一种分布式数据库监控分析方法及系统
CN117097026A (zh) 一种基于源网荷储新型电力系统运维监控平台的操作方法
Kireev et al. Predictive repair and support of engineering systems based on distributed data processing model within an IoT concept
CN114997574A (zh) 一种基于业务中台的配电台区弹性资源管理方法及装置
CN112199347B (zh) 一种供电服务知识共享平台系统
Yang et al. On‐Line Fault Diagnosis Model of Distribution Transformer Based on Parallel Big Data Stream and Transfer Learning
Mao et al. Elevator fault diagnosis and maintenance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04468699A (zh) 电力系统信息状态服务系统及核心交换机
CN117806912B (zh) 一种服务器异常监测方法及系统
CN109450934A (zh) 终端接入数据异常检测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