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335B1 -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335B1
KR102581335B1 KR1020227036555A KR20227036555A KR102581335B1 KR 102581335 B1 KR102581335 B1 KR 102581335B1 KR 1020227036555 A KR1020227036555 A KR 1020227036555A KR 20227036555 A KR20227036555 A KR 20227036555A KR 102581335 B1 KR102581335 B1 KR 10258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moment
monitoring
transmission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316A (ko
Inventor
웬푸 우
한 저우
한쳉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9/10024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34922A1/zh
Publication of KR2022014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04L43/0858One way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9Determining service level performance parameters or violations of service level contracts, e.g. violations of agreed response time 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04L43/0864Round trip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순간에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QUALITY-OF-SERVIC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본 출원은 2018년 8월 13일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인 중국특허출원 No. 201810918390.9 및 2019년 1월 11일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인 중국특허출원 No. 201910028864.7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두 문헌은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Quality of Service, QoS)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광대역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네트워크의 선두를 유지하기 위해 3GPP 표준화 조직은 2016년 말에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차세대 시스템)을 공식화하였는데, 이를 5세대(5th generation, 5G) 네트워크 아키텍처라고 한다.
5G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는 저 지연 및 고 신뢰성 연결을 필요로 하는 무인 운전 및 산업 자동화와 같은 서비스를 주로 포함하는 고 신뢰 저 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시나리오가 정의된다. 5G 네트워크에서 고급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과 최적화된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통해 앞서 언급한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그러나 5G 네트워크에서 하위 계층 링크와 상위 계층 라우팅 프로토콜 모두에 어느 정도의 불안정성이 존재한다. 또한 네트워크 구축의 관점에서 지연, 오류, 심지어 네트워크 장애도 불가피하지만, 전술한 시나리오 대부분은 사람들의 삶이나 생산 보안에 관한 서비스와 관련되어 오류는 용납되지 않는다. 따라서 5G 네트워크가 사람들의 삶이나 생산 보안과 관련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때 5G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을 제공해야 한다. 서비스 품질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조정 또는 보호 조치를 취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종래 기술에서는 각각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액세스 디바이스와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 간의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및 단말과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 사이의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단순화하여,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관련 솔루션이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솔루션이 사용된다:
제1 관점에 따라,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순간에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때,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 및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디바이스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존 방법을 단순화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순간에 상기 제3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과 상기 제2 순간, 또는 상기 제1 순간과 상기 제2 순간의 차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2 전송 지연 모니터링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메시지는 제2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1 모니터링 입도(monitoring granularity)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단말의 사용자 평면 GTP-U 터널에 대한 일반 패킷 무선 시스템(general packet radio system, GPRS) 터널링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IP 주소는 제1 모니터링 입도가 디바이스 입도임을 나타낸다. 단말의 IP 주소/단말의 GTP-U 터널에 대응하는 IP 주소 및 단말의 터널 종점 식별자(tunnel endpoint identifier, TEID)는 제1 모니터링 입도가 세션 입도임을 나타낸다. 단말의 IP 주소/단말의 GTP-U 터널에 대응하는 IP 주소, 단말의 TEID, 단말의 서비스 품질(QoS) 흐름 식별자(QFI)는 제1 모니터링 입도가 흐름 입도임을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 또는 제1 세그먼트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2 모니터링 입도를 더 포함한다. 제2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제1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3 순간에 상기 제3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과 상기 제3 순간, 또는 상기 제1 순간과 상기 제3 순간의 차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3 전송 지연 모니터링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메시지는 제3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3 모니터링 입도를 더 포함한다. 제3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제1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2 세그먼트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세그먼트 식별자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4 모니터링 입도를 더 포함한다. 제4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제1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순간에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순간에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제3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3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3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순간에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제4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4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순간에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제5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5 메시지는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디바이스에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이한 메시지가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to-be-monitored quality of service parameter)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디바이스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절차를 활성화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이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한 후, 제1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제3 디바이스는 측정을 통해 얻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에 들어가거나 세션이 해제되는 것; 또는 정기 보고(periodic reporting)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기 위해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제1 디바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는 유효한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전형적인 패킷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관점에 따라,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3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때,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 및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디바이스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존 방법을 단순화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과 제2 순간, 또는 상기 제1 순간과 상기 제2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순간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간이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2 전송 지연 모니터링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메시지는 제2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1 모니터링 입도를 더 포함한다. 제1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제1 관점의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지시 정보 또는 제1 세그먼트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 식별자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2 모니터링 입도를 더 포함한다. 제2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제1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과 제3 순간, 또는 상기 제1 순간과 제3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순간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간이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3 전송 지연 모니터링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메시지는 제3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3 모니터링 입도를 더 포함한다. 제3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제1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2 세그먼트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2 세그먼트 식별자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제4 모니터링 입도를 더 포함한다. 제4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관련 설명은 제1 모니터링 입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모두 제3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3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로부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4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5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메시지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디바이스에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이한 메시지가 사용된다.
제3 관점에 따르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 필요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해당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거나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제1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고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기간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벤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 단말이 유휴 모드에 들어가거나 세션이 해제되는 것; 또는 정기 보고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모니터링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는 보장된 흐름 비트 레이트(guaranteed flow bit rate, GFBR), 업링크/다운링크 최대 흐름 비트 레이트(maximum flow bit rate, MFBR), 액세스 포인트에서 패킷 지연 예산 내의 데이터 버스트 볼륨, 프레임 오류율(frame error rate, FER), 세그먼트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방향 전송 지연 또는 양방향 전송 지연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가 세그먼트 전송 지연을 포함하는 경우,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제1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 후, 제3 디바이스에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1 지시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이 솔루션을 기반으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한 후, 제1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측정을 통해 획득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를 더 포함한다.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에 대한 설명은 제1 관점의 설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에는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솔루션에 기초하여,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유형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솔루션에 기초하여,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관점, 제2 관점 또는 제3 관점을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이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이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제2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이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2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이다.
제4 관점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전송 디바이스는 제1 관점에서 방법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제5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디바이스가 실행되면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실행하므로 제1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의 모든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한다. 관점.
제6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에서 명령을 판독하고, 명령에 따라 제1 관점의 임의의 설계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7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명령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관점의 임의의 설계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8 관점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관점의 모든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9 관점에 따르면, 장치(예를 들어,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관점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1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관점 내지 제9 관점의 임의의 디자인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1 관점의 상이한 설계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0 관점에 따르면, 제3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여기서 제3 디바이스는 제2 관점에서 방법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제11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3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제3 디바이스가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실행하므로 제3 디바이스는 제2 관점의 모든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한다.
제12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3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서 명령을 판독하고, 명령에 따라 제2 관점의 임의의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3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명령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관점의 임의의 설계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4 관점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관점의 모든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5 관점에 따르면, 장치(예를 들어,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2 관점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단말을 위해 제3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제3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3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 관점 내지 제15 관점의 임의의 디자인이 가져 오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2 관점의 서로 다른 설계가 가져 오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6 관점에 따르면,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되고,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제3 관점의 방법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제17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실행하므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는 제3 관점의 모든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수행한다.
제18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서 명령을 판독하고, 명령에 따라 제3 관점의 임의의 설계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9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명령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3 관점의 임의의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0 관점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3 관점의 모든 디자인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1 관점에 따르면, 장치(예를 들어,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3 관점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6 관점 내지 제21 관점의 임의의 디자인이 가져 오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3 관점의 서로 다른 설계가 가져 오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22 관점에 따르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술한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제1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23 관점에 따르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제2 패킷을 전송하는 순간임 - ;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솔루션에 기초하여, 단말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 제1 순간일 때, 단말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패킷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송될 때 단말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패킷에 대응하는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솔루션에 기초하여, 단말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또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1 패킷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순간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방법은: 단말이 제2 순간에 액세스 디바이스로 제1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1 패킷은 제1 지시 정보를 운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순간이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일 때, 단말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단말과 용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에 제2 패킷이 전송될 때, 단말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솔루션에 기초하여, 단말은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또는 제1 순간과 제3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순간은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3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고,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방법은: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이 제3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순간은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이 솔루션을 기반으로 단말은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가 보낸 제2 패킷을 수신한 순간을 파악한 후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패킷은 제1 순간을 운송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패킷을 사용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패킷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에 전송될 때 단말이 제2 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단말이 결정한 후, 방법은: 단말이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솔루션에 기초하여,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패킷은 제2 지시 정보를 운송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2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3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패킷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운송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패킷을 사용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여기서 RRC 시그널링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운송한다. 다시 말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24 관점에 따르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어 평면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솔루션을 기반으로 전송 지연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 중간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의 액세스 디바이스의 양면에 있는 장치와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액세스 디바이스와 장치 간의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직접 얻을 수 있고 그런 다음 지연을 보고한다. 이를 통해 양측 각각에 있는 장치가 해당 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세그먼트의 지연을 획득한 후에만 세그먼트 전송 지연 또는 엔드-투-엔드 전송 지연을 보고할 수 있는 경우를 방지하여 지연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단순화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액세스 장치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제2 패킷을 전송하는 순간임 - ; 및 상기 액세스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솔루션에 기초하여,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5 관점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제23 관점의 단말이거나 또는 단말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장치는 제24 관점의 액세스 디바이스이거나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모듈, 유닛 또는 수단(means)을 포함한다. 모듈, 유닛 또는 수단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26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가 명령을 실행할 때, 통신 장치는 전술한 관점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제23 관점의 단말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장치는 제24 관점의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액세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27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서 명령을 판독하고, 명령에 따라 전술한 관점들 중 어느 하나에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는 제23 관점의 단말 또는 단말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장치는 제24 관점의 액세스 디바이스이거나, 액세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28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을 저장하고, 명령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9 관점에 따르면,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30 관점에 따르면, 통신 장치(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칩 또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가 제공된다. 통신 장치는 전술한 관점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서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과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5 관점 내지 제30 관점의 임의의 디자인이 가져 오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23 관점 또는 제24 관점의 서로 다른 설계가 가져 오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러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은 다음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적인 제1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의 제2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적인 제3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의 제4 개략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 설명에서 "/"는 관련 개체 간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의 연관 관계만 설명하며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하고 A와 B가 모두 존재하며 B만 존재한다. 여기서 A와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복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다음 중 적어도 하나(1개)"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은 이들 항목의 임의의 조합을 말하며 단일 항목(개) 또는 복수 항목(개)의 임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조각)는 a, b, c, a와 b의 조합, a와 c의 조합, b와 c의 조합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a, b 및 c는 각각 단수 또는 복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과 목적을 갖는 동일한 항목 또는 유사한 항목을 구별한다. 당업자는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가 수량 또는 실행 순서를 제한하지 않으며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가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술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솔루션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진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가 등장함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솔루션이 유사한 기술 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0105] FIG. 1 shows a quality of service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is application. The quality of service monitoring system 10 includes a first device 101 and a third device 102.
[0106] The first device is configur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 first transmission delay for packet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for a terminal, send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ransmission delay to the third device, and send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moment to the third device.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제1 디바이스(101) 및 제3 디바이스(102)를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101) 및 제2 디바이스(102)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다른 장치에 의한 포워딩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때,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 및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디바이스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존 방법을 단순화한다.
선택적으로,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시스템(20)을 도시한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시스템(20)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 및 제1 디바이스(202)를 포함한다.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는: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고,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제1 디바이스(202)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 디바이스(202)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로부터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이 제1 디바이스(202)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202)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로부터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수신한 후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을 시작하여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제1 디바이스(202)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이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로부터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수신한 후, 제1 디바이스(202)는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에 대한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될 때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고, 제2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201) 및 제1 디바이스(202)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다른 장치에 의한 포워딩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 필요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이 해당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장치가 활성화될 수 있거나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도록 장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10)을 도시한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10)은 단말(1101) 및 액세스 디바이스(1102)를 포함한다.
액세스 디바이스(1102)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1102)가 단말(1101)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거나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1102)가 단말(1101)에 제2 패킷을 전송하는 순간이다.
단말(1101)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101)을 위해 단말(1101)과 액세스 디바이스(1102)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니터링은 대안으로 검출로 대체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검출은 또한 모니터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검출과 모니터링이 서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은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0), 도 2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시스템(20), 또는 도 1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10)은 현재의 5G 네트워크와 미래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0), 도 2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시스템(20), 또는 도 1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110)은 현재의 5G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엔티티는 5G 네트워크의 단말일 수 있고; 전술한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엔티티는 5G 네트워크의 액세스 디바이스일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엔티티는 5G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고; 그리고 전술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요소 또는 엔티티는 5G 네트워크에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네트워크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네트워크 요소,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네트워크 요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은 차세대(Next generation, 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줄여서 N1)을 사용하여 AMF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한다. 액세스 디바이스는 N 인터페이스 2(줄여서 N2)를 사용하여 AMF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하고 N 인터페이스 3(줄여서 N3)을 사용하여 UPF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한다. AMF 네트워크 요소는 N 인터페이스 11(줄여서 N11)을 사용하여 SMF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하고, N 인터페이스 15(줄여서 N15)를 사용하여 PCF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한다. SMF 네트워크 요소는 N 인터페이스 7(줄여서 N7)을 사용하여 PCF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하고 N 인터페이스 4(줄여서 N4)를 사용하여 UPF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한다.
도 3의 네트워크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 명칭은 단지 예일 뿐이며 인터페이스는 특정 구현에서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5G 네트워크에서 AMF 네트워크 요소, SMF 네트워크 요소 및 PCF 네트워크 요소와 같은 제어 평면 네트워크 요소는 대안으로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AMF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는 Namf일 수 있고, SMF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는 Nsmf일 수 있고, PCF 네트워크 요소가 제공하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는 Npcf일 수 있다. 관련 설명은 3GPP TS 23.501 표준의 5G 시스템 아키텍처(5G system architecture) 다이어그램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단말(terminal)은 다양한 핸드헬드 장치, 차량 탑재 장치, 웨어러블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휴대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데이터 카드, 개인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무선 모뎀(modem), 핸드헬드(handheld) 장치,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무선 전화기(cordless phone) 또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머신 유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단말, 사용자 기기(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중계 사용자 기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사용자 기기는 예를 들어 5G 주거용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 RG)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에서는 전술한 장치를 통칭하여 단말이라고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디바이스는 기지국, 광대역 네트워크 게이트웨이(broadband network gateway, BNG), 집성 스위치, non-3rd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액세스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스몰 셀이라고도 함),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 다양한 형태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1의 제1 디바이스 또는 제3 디바이스, 도 2의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또는 도 11의 단말 대안으로, 액세스 디바이스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해 공동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기능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기능은 하드웨어 장치의 네트워크 요소이거나 전용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이거나 플랫폼(예를 들어,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인스턴스화된 가상화 기능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1의 제1 디바이스 또는 제3 디바이스, 도 2의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또는 도 11의 단말 대안으로, 액세스 디바이스는 하나의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도 4의 통신 장치를 사용하여 공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400)는 프로세서(401), 통신 라인(402), 메모리(403)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도 4는 통신 장치(400)가 통신 인터페이스(404)를 포함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프로세서(401)는 범용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출원의 솔루션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통신 라인(402)은 전술한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04)는 송수신기와 같은 임의의 장치이며,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와 같은 다른 장치 또는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403)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정적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장치,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정보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콤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콤팩트 디스크 저장소, 광학 디스크 저장소(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등 포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통신 라인(402)을 사용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메모리는 대안으로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403)는 본 출원의 솔루션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401)는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의 실행을 제어한다.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실행하여 본 출원의 다음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01)는 하나 이상의 CPU, 예를 들어 도 4의 CPU 0 및 CPU 1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도 4의 프로세서(401) 및 프로세서(408)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로세서는 단일 코어(단일 CPU) 프로세서 또는 다중 코어(다중 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회로 및/또는 처리 코어(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일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400)는 출력 장치(405) 및 입력 장치(4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5)는 프로세서(401)와 통신하고 정보를 복수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40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장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장치, 프로젝터(projector) 등일 수 있다. 입력 장치(406)는 프로세서(4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406)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장치, 센서 장치 등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범용 장치 또는 전용 장치일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통신 장치(400)는 데스크톱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네트워크 서버, 팜탑 컴퓨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무선 단말 장치, 임베디드 장치, 또는 도 4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의 유형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은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메시지들의 이름들 또는 메시지들에서의 파라미터들의 이름들 등은 단지 예일 뿐이며, 특정 구현에서 다른 이름들이 있을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5G 네트워크에 적용되고;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제3 디바이스는 UPF 네트워크 요소이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는 UPF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501: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의 모니터링을 개시하고,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존 구현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전송 지연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uplink, UL) 또는 다운링크(downlink, DL) 단방향 지연(one way delay)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왕복 시간(round trip time, RTT)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가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2 디바이스가 단말인 시나리오에서,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은 다른 말로 무선 인터페이스 전송 지연 또는 Uu 인터페이스(Uu interface) 지연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다음 방식 1 내지 방식 4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 및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식 1: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502a 내지 단계 S504a를 더 포함한다.
S502a: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에 메시지 1을 전송하고, 제1 디바이스는 T2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1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은 예를 들어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loopback monitoring request 1)일 수 있다.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요청 패킷(monitoring request packet)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니터링 요청 패킷은 관련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SN)를 포함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은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대안으로, 메시지 1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이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메시지 1은 제2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입도 1(monitoring granularity 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단말의 사용자 평면에 대한 일반 패킷 무선 시스템(GPRS) 터널링 프로토콜(tunneling protocol for user plane, GTP- U)에 대응하는 IP 주소는 모니터링 입도 1이 장치 입도임을 나타낸다. 단말의 IP 주소/단말의 GTP-U 터널에 대응하는 IP 주소, 및 단말의 터널 종점 식별자(tunnel endpoint identifier, TEID)는 모니터링 입도 1이 세션 입도임을 나타낸다. 단말의 IP 주소/단말의 GTP-U 터널에 대응하는 IP 주소, 단말의 TEID, 및 단말의 서비스 흐름(QoS) 흐름 식별자(QoS flow identity, QFI)는 모니터링 입도 1이 흐름 입도이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메시지 1은 제3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입도 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입도 3의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입도 1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은 지시 정보 1 또는 세그먼트 식별자 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 정보 1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하고, 세그먼트 식별자 1은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식별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은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입도 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위 2에 대한 설명은 모니터링 단위 1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은 다음 4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 모니터링될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제2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 또는 제3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으며; 제3 디바이스가 획득하려고 요청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도 표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1 디바이스는 제3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1을 수신한 후 디폴트에 의해 또는 제1 디바이스의 로컬 정책에 따라 메시지 1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반환한다.
b. 모니터링될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제2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 또는 제3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으며; 그러나 제3 디바이스가 획득하려고 요청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1이 제1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에 설정된 경우, 제3 디바이스는 세그먼트 식별자 1에 대응하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메시지 1에 세그먼트 식별자 1을 추가할 수 있다.
c. 모니터링될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는 표시되지만 제3 디바이스가 획득하려고 요청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다. 제2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2 및/또는 제3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3이 제1 디바이스 및 제3 디바이스 각각에 구성되면, 제3 디바이스는 세그먼트 식별자 2에 대응하는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해 세그먼트 식별자 2를 메시지 1에 추가할 수 있거나, 세그먼트 식별자 3에 대응하는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해 세그먼트 식별자 3을 메시지 1에 추가할 수 있다.
d. 모니터링될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제3 디바이스가 획득하려고 요청한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도 표시된다. 모니터링될 세그먼트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 c를 참조한다. 획득하려고 요청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경우 b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501 및 단계 S502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퀀스는 없다. 단계 S501은 단계 S502a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502a는 단계 S501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디바이스로부터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을 수신한 후,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의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대안으로, 단계 S501 및 단계 S502a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503a.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1에 대응하는 메시지 2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2는 예를 들어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1일 수 있다.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1은 하나 이상의 측정 응답 패킷(measurement response packet)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측정 요청 패킷은 관련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502a의 모니터링 요청 패킷 및 단계 S503a의 측정 응답 패킷은 총괄적으로 모니터링 패킷(monitoring packet)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을 수신한 후,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1에 대응하는 메시지 2를 생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메시지 2에 추가할 수 있다.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1을 수신하는 순간 T2 및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2를 전송하는 순간 T5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2를 전송하는 순간 T5와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1을 수신하는 순간 T2 사이의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2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입도 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입도 4는 제1 전송 지연에 해당하고 메시지 1에 있는 모니터링 입도 2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고 제3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요청에 있는 모니터링 입도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고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응답에 있는 모니터링 입도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고 제3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요청에 있는 모니터링 입도는 장치 입도일 수 있으며,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고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응답에 있는 모니터링 입도는 흐름 입도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2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세그먼트 식별자 1은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504a: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2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2를 수신한다.
방식 2: 단계 S501 이후,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502b 및 S503b를 더 포함한다.
S502b: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3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3은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1일 수 있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1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요청 패킷(monitoring request packet)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요청 패킷 각각은 관련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메시지 3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후에 메시지 3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3에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3을 전송하는 순간 T5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3은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입도 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모니터링 입도 4에 대한 관련 설명은 모니터링 입도 1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3은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세그먼트 식별자 1은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503b: 제1 디바이스는 제3 디바이스에 메시지 3을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3을 수신한다.
방식 3: 단계 S501 이후,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502c 내지 단계 S505c를 더 포함한다.
S502c: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4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4를 수신한다. 메시지 4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4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입도 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모니터링 입도 4에 대한 관련 설명은 모니터링 입도 1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4는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식별자 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세그먼트 식별자 1은 제1 전송 지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4는 제어 패킷 또는 모니터링 패킷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503c: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에 메시지 5를 전송하고, 제1 디바이스는 제3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5를 수신한다. 메시지 5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5는 예를 들어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2일 수 있다.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2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요청 패킷(monitoring request packet)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모니터링 요청 패킷은 관련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기존의 제3 전송 지연 모니터링 방식을 참조하고,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502c 및 단계 S503c 내지 S505c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퀀스는 없다. 단계 S502c는 단계 S503c 내지 S505c 중 하나 이상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503c 내지 단계 S505c 중 하나 이상이 단계 S502c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502c 및 단계 S503c 내지 S505c 중 하나 이상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504c.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5에 대응하는 메시지 6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6은 예를 들어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2일 수 있다.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2는 하나 이상의 측정 응답 패킷(measurement response packets)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측정 요청 패킷은 관련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5를 수신한 후,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5에 대응하는 메시지 6을 생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6에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5를 수신하는 순간 T2 및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6을 전송하는 순간 T5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6을 전송하는 순간 T5와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5를 수신하는 순간 T2 사이의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505c: 제1 디바이스는 제3 디바이스에 메시지 6을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6을 수신한다.
방법 4: 단계 S501 이후,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502d 내지 S504d를 더 포함한다.
S502d: 이 단계는 단계 S502c와 동일하다. 관련 설명은 단계 S502c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503d: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7을 생성한다. 메시지 7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7은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2일 수 있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2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요청 패킷(monitoring request packet)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요청 패킷은 관련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7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가 메시지 7을 전송하는 순간(T5)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설명은 기존의 제3 전송 지연 모니터링 방식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502d 및 단계 S503d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퀀스는 없다. 단계 S502d는 단계 S503d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503d는 S502d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S502d와 S503d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504d: 제1 디바이스는 메시지 7을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7을 수신한다.
제3 디바이스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506 및 단계 S507을 더 포함한다.
S506: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S507: 제3 디바이스는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RTT 1이고,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RTT 2이고, 그리고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는 RTT 3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방식 1 또는 방식 3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2를 전송하는 기록된 순간을 T1이라고 가정하고,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2를 수신하는 순간을 T6이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RRT 1 =(T6 - T1) -(T5 - T2); 및
RRT 3 = RRT 2 + RRT 1.
방식 2 또는 방식 4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2를 수신하는 순간이 T6이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RRT 1 = T6 - T5; 및
RRT 3 = RRT 2 + RRT 1.
대안으로, 예를 들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단방향 지연 1이고,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단방향 지연 2이고, 그리고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단방향 지연 3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방식 1 또는 방식 3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2를 전송하는 기록된 순간을 T1로 가정하고,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2를 수신하는 순간을 T6인 것으로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단방향 지연 1 = [(T6 - T1) -(T5 - T2)]/2; 및
단방향 지연 3 = 단방향 지연 2 + 단방향 지연 1.
방식 2 또는 방식 4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2를 수신하는 순간이 T6이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단방향 지연 1 =(T6 - T5)/2; 및
단방향 지연 3 = 단방향 지연 2 + 단방향 지연 1.
전술한 예는 동일한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지연과 다운링크 지연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단방향 지연은 UL 단방향 지연 또는 DL 단방향 지연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 및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디바이스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존 방법을 단순화한다.
단계 S501 내지 단계 S507에서 제1 디바이스 또는 제3 디바이스의 동작은 메모리(40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400)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5G 네트워크에 적용되고;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제2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3 디바이스는 UPF 네트워크 요소이거나; 또는 제1 디바이스는 UPF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3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601: 이 단계는 단계 S501과 유사하다. 자세한 내용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1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는 다음 방식 1 내지 방식 4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 및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식 1: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602a 내지 단계 S604a를 더 포함한다.
S602a: 제3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에 메시지 1을 전송하고, 제1 디바이스는 T2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1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1은 예를 들어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일 수 있다.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메시지 1의 다른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2a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가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제3 디바이스가 단말인 시나리오에서,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 전송 지연 또는 Uu 인터페이스 지연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에 전송될 때 메시지(단계 S602a에서 메시지 1, 하에서의 메시지 2, 메시지 3, 메시지 4, 메시지 5, 메시지 6 또는 메시지 7을 포함)는 단말의 세션에 대응하는 베어러를 사용하여 전송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액세스 디바이스와 UPF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서 전송될 때,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단말의 세션에 대응하는 GTP-U 터널을 통해 전송된다. 다시 말해, 메시지의 전송 채널을 전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기존 구현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601 및 단계 S602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퀀스가 없다. 단계 S601은 단계 S602a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602a는 단계 S601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디바이스로부터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을 수신한 후, 제1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의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대안으로, 단계 S601 및 단계 S602a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603a: 이 단계는 단계 S503a와 유사하다. 자세한 내용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3a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604a: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3 디바이스에 메시지 2를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2를 수신한다.
방식 2: 단계 S601 이후,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602b 및 단계 S603b를 더 포함한다.
S602b: 이 단계는 단계 S502b와 유사하다. 자세한 내용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2b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603b: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3 디바이스에 메시지 3을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3을 수신한다.
방식 3: 단계 S601 이후에,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602c 내지 단계 S605c를 더 포함한다.
S602c: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3 디바이스에 메시지 4를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4를 수신한다. 메시지 4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메시지 4의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2c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603c: 제3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에 메시지 5를 전송하고, 제1 디바이스는 제3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5를 수신한다. 메시지 5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메시지 5의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3c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602c 및 단계 S603c 내지 S605c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퀀스는 없다. 단계 S602c는 단계 S603c 내지 S605c 중 하나 이상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603c 내지 S605c 중 하나 이상이 단계 S602c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602c 및 단계 S603c 내지 S605c 중 하나 이상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604c: 이 단계는 단계 S504c와 유사하다. 자세한 내용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4c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605c: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3 디바이스에 메시지 6을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6을 수신한다.
방식 4: 단계 S601 이후,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602d 내지 단계 S604d를 더 포함한다.
S602d: 이 단계는 단계 S602c와 동일하다. 관련 설명은 단계 S602c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603d: 이 단계는 단계 S503d와 유사하다. 자세한 사항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3d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602d 및 S603d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퀀스는 없다. 단계 S602d는 단계 S603d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계 S603d는 단계 S602d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S602d와 S603d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604d: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통해 제3 디바이스에 메시지 7을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7을 수신한다.
제3 디바이스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606 및 단계 S607을 더 포함한다.
S606: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S607: 제3 디바이스는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RTT 1이고,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RRT 2이고, 그리고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는 RTT 3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방식 1 또는 방식 3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2를 전송하는 기록된 순간을 T1이고,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2를 수신하는 순간은 T6은 이다:
RRT 1 =(T6 - T1) -(T5 - T2); 및
RRT 3 = RRT 1 - RRT 2.
방식 2 또는 방식 4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2를 수신하는 순간이 T6이라고 가정한다:
RRT 1 = T6 - T5; 및
RRT 3 = RRT 1 - RRT 2.
대안으로, 예를 들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단방향 지연 1이고,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단방향 지연 2이고, 그리고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는 단방향 지연 3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방식 1 또는 방식 3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요청 2를 전송하는 기록된 순간이 T1이고, 제3 디바이스가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1 또는 루프백 모니터링 응답 2를 수신하는 순간이 T6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방향 지연 1 = [(T6 - T1) -(T5 - T2)]/2; 및
단방향 지연 3 = 단방향 지연 1 - 단방향 지연 2.
방식 2 또는 방식 4의 경우, 제3 디바이스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1 또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요청 2를 수신하는 순간이 T6이라고 가정한다:
단방향 지연 1 =(T6 - T5)/2; 및
단방향 지연 3 = 단방향 지연 1 - 단방향 지연 2.
전술한 예는 동일한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업링크 지연과 다운링크 지연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 단방향 지연은 UL 단방향 지연 또는 DL 단방향 지연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제3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 및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디바이스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디바이스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절차에서 복수의 세그먼트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세그먼트 전송 지연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존 방법을 단순화한다.
단계 S601 내지 단계 S607에서 제1 디바이스 또는 제3 디바이스의 동작은 메모리(40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400)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도 2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5G 네트워크에 적용되고,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 또는 UPF 네트워크 요소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나타낸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에는 다음 단계가 포함된다.
S701: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네트워크 요소는 메시지 1을 PC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고 PCF 네트워크 요소는 A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1을 수신한다. 메시지 1은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될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메시지 1은 예를 들어 정책 승인 생성/업데이트 요청(policy authorization create/update request)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AF 네트워크 요소는 메시지 1을 PCF 네트워크 요소에 직접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메시지 1을 PC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될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모니터링 보고서가 SMF 네트워크 요소에 보고되어야 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에서,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는 보장된 흐름 비트 레이트(guaranteed flow bit rate, GFBR), 업링크/다운링크 최대 흐름 비트 레이트(uplink/downlink maximum flow bit rate, MFBR), 액세스 포인트에서 패킷 지연 예산(packet delay budget) 내의 데이터 버스트 볼륨, 프레임 오류율(frame error rate, FER), 세그먼트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예를 들어 단방향 지연 또는 루프백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방향 전송 지연 또는 양방향 전송 지연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에서, 모니터링 보고가 SMF 네트워크 요소에 보고되어야 하는 이벤트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예를 들어, 패킷 손실률이 0.5%를 초과하는 것); 단말이 유휴 모드에 들어가거나 세션이 해제되는 것; 또는 정기 보고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될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예를 들어, 패킷을 폐기하거나 단말에 패킷을 전송하는 것과 같은 타임아웃 패킷의 처리 규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될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 또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기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는 유효한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전형적인 패킷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될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후속적으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사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02: PC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에 메시지 2를 전송하고, SMF 네트워크 요소는 PC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2를 수신한다. 메시지 2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이 포함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2는 세션 관리 정책 수정 요청(session management policy modification request) 1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PCF 네트워크 요소는 가입 정보 또는 A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1에 기초하여 메시지 2를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03: SMF 네트워크 요소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결정한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의 관련 설명은 S701 단계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현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에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 경우, SMF 네트워크 요소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SMF 네트워크 요소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결정한다. 예에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디바이스의 식별자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의 IP 주소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현에서,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은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을 포함한다. 이 경우, SMF 네트워크 요소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SMF 네트워크 요소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의 파라미터 유형에 기초하여,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유형은 Uu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 속도, 데이터 버스트 볼륨 유형, FER,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요소는 파라미터 유형이 Uu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 속도, 버스트 데이터 볼륨 유형, FER,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이 세그먼트 전송 지연을 포함할 때,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제3 디바이스는 UPF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제2 디바이스는 UPF 네트워크 요소이고,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704: SMF 네트워크 요소는 AMF 네트워크 요소에 메시지 3을 전송하고, AM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3을 수신한다. 메시지 3은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포함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3은 N1N2 메시지 전송 요청(N1N2 message transfer request)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05: AMF 네트워크 요소는 메시지 4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액세스 디바이스는 AM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4를 수신한다. 메시지 4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포함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4는 N2 세션 요청(N2 session request)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MF 네트워크 요소는 AMF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액세스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제3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 후,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할 것을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제1 전송 지연이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인 경우, 여기서 제3 디바이스는 UPF 네트워크 요소이다. 제1 전송 지연이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UPF 네트워크 요소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인 경우, 여기서 제3 디바이스는 단말이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706: 액세스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에 따라 단말과 상호 작용할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에 따라 단말과의 파라미터 협상 또는 구성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연 검출 기간 및 통계 초기화를 협상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과 상호 작용하기로 결정한 후, 액세스 디바이스는 도 7a 및 도 7b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상호 작용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07: 액세스 디바이스는 AMF 네트워크 요소에 메시지 5를 전송하고, AMF 네트워크 요소는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5를 수신한다. 메시지 5는 액세스 디바이스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수락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5는 N2 세션 응답(N2 session response)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08: AM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에 메시지 6을 전송하고, SMF 네트워크 요소는 AM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6을 수신한다. 메시지 6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수락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6은 업데이트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 컨텍스트 요청(update SM context request)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09: SMF 네트워크 요소는 AMF 네트워크 요소에 메시지 7을 전송하고 AM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7을 수신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7은 업데이트 SM 컨텍스트 응답(update SM context response)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10: SMF 네트워크 요소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결정한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의 관련 설명은 단계 S70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현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UPF 네트워크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SMF 네트워크 요소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SMF 네트워크 요소는 UPF 네트워크 요소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결정한다. 예에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UPF 네트워크 요소에 관한 정보는 UPF 네트워크 요소의 식별자 또는 UPF 네트워크 요소의 IP 주소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현에서,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는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2를 포함한다. 이 경우, SMF 네트워크 요소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결정하는 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SMF 네트워크 요소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2의 파라미터 유형에 기초하여,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2를 결정한다. 예에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파라미터 유형은 Uu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 속도, 데이터 버스트 볼륨 유형, FER,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요소는 파라미터 유형이 Uu 인터페이스 및/또는 N3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 속도, 버스트 데이터 볼륨 유형, FER,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2를 UP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2가 세그먼트 전송 지연을 포함하는 경우,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UPF 네트워크 요소와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을 위해 UPF 네트워크 요소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일 수 있다.
S711: SMF 네트워크 요소는 메시지 8을 UP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고 UP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8을 수신한다. 메시지 8은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포함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8은 N4 세션 수정 요청(N4 session modification request)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12: UPF 네트워크 요소는 메시지 9를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고 SMF 네트워크 요소는 UP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9를 수신한다. 메시지 9는 UPF 네트워크 요소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수락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 9는 N4 세션 수정 응답(N4 Session modification response)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703 내지 단계 S712에서는 SMF 네트워크 요소가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UP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이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확실히,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MF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UP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식을 참조하면, SMF 네트워크 요소는 또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단말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3을 결정한 후 단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3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획득한 후, 액세스 디바이스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식을 참조하여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에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이 포함되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은 세그먼트 전송 지연을 포함하고,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이다. 이 경우,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대안으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은 액세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을 포함하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1에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이 포함되며,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UPF 네트워크 요소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이다. 이 경우,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UPF 네트워크 요소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획득한 후, UPF 네트워크 요소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식을 참조하여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에는 UPF 네트워크 요소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2가 포함되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2에는 세그먼트 전송 지연이 포함되며,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UPF 네트워크 요소와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이다. 이 경우, UPF 네트워크 요소는 UPF 네트워크 요소와 단말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특히, 단말은 단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3을 획득한 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식을 참조하여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3은 단말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3을 포함하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3은 세그먼트 전송 지연을 포함하고,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이다. 이 경우, 단말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713: SMF 네트워크 요소는 메시지 10을 PC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고 PC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10을 수신한다. 메시지 10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의 구성 또는 배치 결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SMF 네트워크 요소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 또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성공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파라미터 유형의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가 성공적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시지(10)는 세션 관리 정책 수정 요청(session management policy modification request)(2)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14: 선택적으로, PCF 네트워크 요소는 메시지 11을 A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고 AF 네트워크 요소는 PC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메시지 11을 수신한다. 메시지 11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실행한 결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디바이스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1을 수락하고, 및/또는 UPF 네트워크 요소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2를 수락한다.
일 예에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메시지 11은 정책 승인 생성/업데이트 응답(policy authorization create/update response)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단계 S713은 단계 S701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수행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715. 선택적으로, 액세스 디바이스가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의 조건이 충족되면, 액세스 디바이스는 모니터링 보고서 1을 생성하고 서비스 품질 보고 제어 절차를 통해 모니터링 보고서 1을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며; SMF 네트워크 요소는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모니터링 보고서 1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보고서 1은 이벤트 타임스탬프, 모니터링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식별자, 모니터링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모니터링된 값, 단말의 식별자 세션 식별자 또는 QoS 흐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16. 선택적으로 UP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의 조건이 충족되면 UPF 네트워크 요소는 모니터링 보고서 2를 생성하고 N4 세션보고 절차를 통해 모니터링 보고서 2를 SM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며; SMF 네트워크 요소는 UP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 보고서 2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보고서 2는 이벤트 타임스탬프, 모니터링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식별자, 모니터링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모니터링된 값, 단말의 식별자, 세션 식별자 또는 QoS 흐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17: 선택적으로, SMF 네트워크 요소는 PCF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전송하고 PC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 보고서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MF 네트워크 요소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1을 수신한 후 모니터링 보고서 1을 PC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할 수 있고, UP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2를 수신한 후 PCF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 2를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SMF 네트워크 요소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1 및 UP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2를 수신한 후 모니터링 보고서 1 및 모니터링 보고서 2를 PC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718: 선택적으로, PCF 네트워크 요소는 모니터링 보고서를 A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고, AF 네트워크 요소는 PCF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 보고서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PCF 네트워크 요소는 SM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1을 수신한 후 AF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 1을 전송하고, SM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2를 수신한 후 모니터링 보고서 2를 AF 네트워크 요소에 보낼 수 있다. 대안으로, PCF 네트워크 요소는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1 및 UP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보고된 모니터링 보고서 2를 수신한 후 모니터링 보고서 1 및 모니터링 보고서 2를 AF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계 S717은 단계 S701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선택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 필요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해당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장치가 활성화될 수 있거나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도록 장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단계 S701 내지 단계 S718에서 SMF 네트워크 요소의 동작은 메모리(40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400)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5G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에 수행되는 업링크 지연 모니터링 및 다운링크 지연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업링크 지연 모니터링은 단계 S1201 내지 단계 S1203을 포함한다.
S1201: 단말은 제1 패킷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한 순간에 하나의 패킷을 액세스 디바이스로 보낼 수 있거나, 또는 한 순간에 복수의 패킷을 액세스 디바이스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킷은 한 순간에 전송되는 별도의 패킷이거나 한 순간에 전송되는 복수의 패킷 중 하나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패킷은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패킷은 제1 지시 정보를 운송하고, 제1 지시 정보는 제1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1 패킷을 수신한 후,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패킷은 제1 지시 정보를 운송하지 않지만,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는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패킷의 특징, 예를 들어 패킷의 시퀀스 번호 규칙을 미리 협상, 동의, 수신 또는 구성한다. 그런 다음, 제1 패킷을 수신한 후,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1 패킷의 특징, 예를 들어, 제1 패킷의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사전에 협의되거나 합의된 규칙과 조합하여 제1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실히, 액세스 디바이스는 지연 모니터링을 위해 독립적으로 패킷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세스 디바이스는 다른 방식으로 수신된 업링크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결정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1202: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예를 들어 제1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 사이의 차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1 패킷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순간이다.
예를 들어,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스케줄링할 때, 액세스 디바이스는 단말의 업링크 프레임이 전송되는 순간(예를 들어, 제1 패킷에 대응하는 제2 순간을 포함한다)을 나타낸다. 이 경우, 액세스 디바이스는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제1 패킷을 수신할 때,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한 순간(즉, 제1 순간)과 제2 순간을 기준으로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다. 차이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에 전송된다. 제1 순간을 t1, 제2 순간을 t2라고 가정하면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는 (t1 - t2)로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다운링크 패킷에 추가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타임스탬프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1203: 단말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제1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예를 들어 제1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단말과 제1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1 패킷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순간이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가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고,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1 패킷을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순간이다. 이 경우, 단말은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단말과 제1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와 제1 패킷의 UPF 네트워크 요소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고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UPF 네트워크 요소와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 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지연 모니터링은 단계 S1204a 내지 단계 S1206a를 포함한다.
S1204a: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제2 패킷을 전송하고, 단말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한다. 제2 패킷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운송하고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한 순간에 하나의 패킷을 단말에 보낼 수 있거나, 또는 한 순간에 복수의 패킷을 단말에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제2 패킷은 한 순간에 전송되는 별도의 패킷일 수 있거나, 제2 패킷은 한 순간에 전송되는 복수의 패킷 중 하나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패킷은 지연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패킷은 제2 지시 정보를 운송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2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2 패킷을 수신한 후 단말은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패킷은 제2 지시 정보를 운송하지 않지만,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는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패킷의 특징, 예를 들어 패킷의 시퀀스 번호 규칙을 미리 협상, 동의, 수신 또는 구성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제2 패킷을 수신한 후, 제2 패킷의 특징, 예를 들어, 제2 패킷의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사전에 협의 또는 합의된 규칙과 결합하여 제2 패킷의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확실히, 단말은 수신된 다운링크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다른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예를 들어 제1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S1205a: 단말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제2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예를 들어 제1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단말과 제2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S1206a: 선택적으로, 단말은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2 순간, 예를 들어, 제2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 사이의 차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단말은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업링크 패킷에 추가하여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타임스탬프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지연 모니터링은 단계 S1204b 내지 단계 S1207b를 포함한다.
S1204b: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제2 패킷을 전송하고, 단말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한다.
단계 S1204b의 관련 설명은 단계 S1204a의 설명과 유사하며, 예를 들어 단계 S1204b의 제2 패킷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운송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다른 관련 설명은 단계 S1204a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1205b: 단말은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2 순간, 예를 들어, 제2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단말은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업링크 패킷에 추가하여 제2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타임스탬프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1206b: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 사이의 차이를 포함한다. 제2 순간은 단말이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고,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다운링크 패킷에 추가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타임스탬프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1207b: 단말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제2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고,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이다. 이 경우, 단말은 제2 패킷의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으로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다운링크 지연 모니터링은 단계 S1204c 내지 단계 S1206c를 포함한다.
S1204c: 이 단계는 단계 S1204b와 동일하다. 관련 설명은 S1204b 단계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1205c: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예를 들어 제1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다운링크 패킷에 추가하여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타임스탬프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1206c: 단말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제2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 예를 들어 제1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제2 패킷의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순간은 단말이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201 내지 단계 S1206a, 단계 S1201 내지 단계 S1207b, 또는 단계 S1201 내지 단계 S1206c에서 단말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의 동작은 메모리(40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400)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으로, 업링크 지연 모니터링은 도 12에 도시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서 다운링크 지연 모니터링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다.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은 단계 S1301 내지 단계 S1303을 포함한다.
S1301: 이 단계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1201과 동일하다. 관련 설명은 단계 S1201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S1302: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제2 패킷을 전송하고, 단말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한다. 제2 패킷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송하고,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송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패킷은 지연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패킷은 제2 지시 정보를 운송하고, 제2 지시 정보는 제2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2 패킷을 수신한 후 단말은 제2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패킷은 제2 지시 정보를 운송하지 않지만,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는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패킷의 특징, 예를 들어 패킷의 시퀀스 번호 규칙을 미리 협상, 동의, 수신 또는 구성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제2 패킷을 수신한 후, 제2 패킷의 특징, 예를 들어, 제2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사전에 협의 또는 합의된 규칙과 결합하여 제2 패킷의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실히, 단말은 수신된 다운링크 패킷이 지연 모니터링에 사용된다는 것을 다른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2 패킷 대신에 RRC 시그널링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S1303: 단말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와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제2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 및 단말과 제1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패킷이 전송되는 순간 및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제1 패킷의 액세스 장치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단말은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 및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제2 패킷을 전송하는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제2 패킷의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 및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 후, 단말은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더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액세스 디바이스는 제어 평면 네트워크 요소에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은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301 내지 단계 S1303에서 단말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의 동작은 메모리(403)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400)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5a 및 도 5b 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식을 참조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 또는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어 평면 네트워크 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12 또는 도 13을 참조한다.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 또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솔루션을 기반으로 전송 지연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 중간 디바이스로서 액세스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의 액세스 디바이스 양측에 있는 액세스 디바이스와 장치 간의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여 그 지연을 보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측 각각에 있는 장치가 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세그먼트의 지연을 획득한 후에만 세그먼트 전송 지연 또는 엔드-투-엔드 전송 지연을 보고할 수 있는 경우를 방지하여 지연 모니터링 메커니즘을 단순화한다.
전술한 내용은 주로 네트워크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솔루션을 설명한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술한 제1 디바이스, 제3 디바이스,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또는 단말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하드웨어 또는 본 출원에서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해야 한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 솔루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제3 디바이스,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 또는 단말은 전술한 방법 예에 기초하여 기능 모듈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능 모듈은 해당 기능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획득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프로세싱 모듈에 통합할 수 있다.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모듈 분할은 예로서 사용되며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을 통해 통합된 기능 모듈을 획득하면, 도 8은 제1 디바이스(8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제1 디바이스(80)는 프로세싱 모듈(801) 및 송수신기 모듈(80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801)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80)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802)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제2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2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 또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제2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메시지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80)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3 순간 또는 제1 순간과 제3 순간의 차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802)이 제1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1 순간에 제3 메시지를 제3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802)이 제1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3 디바이스에 제4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제4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및 제1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 제5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5 메시지는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는 제1 전송 지연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801)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80)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 후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제1 디바이스(80)에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를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이벤트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 단말이 유휴 모드에 들어가거나 세션이 해제되는 것; 또는 정기 보고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802)은 또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를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의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80)는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된 기능 모듈의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특정 ASIC, 회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는 제1 디바이스(80)가 도 4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할 수 있으므로, 제1 디바이스(8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의 송수신기 모듈(802) 및 프로세싱 모듈(801)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8의 프로세싱 모듈(801)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8의 송수신기 모듈(802)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4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1 디바이스(80)는 전술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80)가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예를 들어,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장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때, 예를 들어,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때 제1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1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확실히, 메모리는 대안으로 장치에 없을 수 있다.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기능 모듈이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되는 경우, 도 9는 제3 디바이스(9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제3 디바이스(90)는 송수신기 모듈(902) 및 프로세싱 모듈(901)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902)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902)은 또한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901)은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90)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902)은 또한 제1 메시지를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한다.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 또는 제1 순간과 제2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며, 제2 순간은 제1 디바이스가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902)은 제1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2 메시지는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90)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한다.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3 순간, 또는 제1 순간과 제3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며, 제3 순간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902)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902)이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902)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902)이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는 것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4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제4 메시지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5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메시지는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의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3 디바이스(90)는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된 기능 모듈의 형태로 제시된다. 여기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특정 ASIC, 회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는 제3 디바이스(90)가 도 4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할 수 있으므로, 제3 디바이스(9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의 송수신기 모듈(902) 및 프로세싱 모듈(901)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9의 프로세싱 모듈(901)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9의 송수신기 모듈(902)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4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제3 디바이스(90)는 전술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디바이스(90)가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를 더 제공한다(예를 들어,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이 장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때, 예를 들어,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제2 디바이스와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때 제3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제3 디바이스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확실히, 메모리는 대안으로 장치에 없을 수 있다.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기능 모듈이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되는 경우, 도 10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는 프로세싱 모듈(1001) 및 송수신기 모듈(1002)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1002)은 정책 제어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모듈(1001)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1002)은 또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제1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또는 제1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에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고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벤트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 단말이 유휴 모드에 들어가거나 세션이 해제되는 것; 또는 정기 보고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는 GFBR, MFBR, 액세스 포인트에서 패킷 지연 예산 내의 데이터 버스트 볼륨, FER, 세그먼트 전송 지연 또는 패킷 손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가 세그먼트 전송 지연을 포함하는 경우, 세그먼트 전송 지연은 단말을 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1002)은 제1 디바이스에 제3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3 지시 정보는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 후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제3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제1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모니터링 패킷의 길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에는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프로세싱 모듈(1001)이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의 정책 중에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은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모듈(1001)이 하나 이상의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유형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될 제1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의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는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된 기능 모듈의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특정 ASIC, 회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가 도 4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할 수 있고, 따라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송수신기 모듈(1002) 및 프로세싱 모듈(1001)의 기능/실행 프로세서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10의 프로세싱 모듈(1001)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0의 송수신기 모듈(1002)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4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는 전술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100)가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예를 들어,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장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활성화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 중에서 제1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서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확실히, 메모리는 대안으로 장치에 없을 수 있다.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할을 통해 통합된 기능 모듈을 획득하면, 도 14는 단말(14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단말(140)은 프로세싱 모듈(1401) 및 송수신기 모듈(1402)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1402)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순간은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거나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제2 패킷을 전송하는 순간이다. 프로세싱 모듈(1401)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액세스 디바이스와 단말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순간이 액세스 디바이스가 단말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일 때, 프로세싱 모듈(1401)은 구체적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에 제1 패킷이 전송될 때 제1 패킷에 대응하는 업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선택적으로, 제1 순간이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2 패킷을 단말에 전송하는 순간일 때, 프로세싱 모듈(1401)은 구체적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패킷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사이에 전송될 때 제2 패킷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과 제3 순간의 차이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순간은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송수신기 모듈(1402)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 모듈은 또한 제3 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3 순간은 단말이 액세스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순간이다.
선택적으로,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제1 순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1402)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패킷은 제1 순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운송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1402)은 다운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1402)이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제3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제3 패킷은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운송함 - ; 또는 액세스 디바이스로부터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RRC 시그널링은 제1 순간과 관련된 형성을 전달함 - 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의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140)은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된 기능 모듈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특정 ASIC, 회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는 단말(140)이 도 4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하므로 단말(140)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송수신기 모듈(1402) 및 프로세싱 모듈(1401)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14의 프로세싱 모듈(1401)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메모리(40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형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도 4의 프로세서(4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도 14의 송수신기 모듈(1402)의 기능/실행 프로세스는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4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140)은 전술한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40)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를 더 제공한다(예를 들어, 장치는 칩 시스템일 수 있다). 이 장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할 때, 예를 들어,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을 위해 단말과 액세스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때 단말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는 단말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확실히, 메모리는 대안으로 장치에 없을 수 있다. 장치가 칩 시스템인 경우,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칩 및 다른 개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이용해서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예를 실행하는 사용될 때,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 상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로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이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은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으로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으로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는 컴퓨터 또는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한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보호를 주장하는 본 출원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당업자는 첨부된 도면, 개시된 내용 및 첨부된 청구 범위를 보고 그 개시된 실시예의 다른 변형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 청구 범위에서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다른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a" 또는 "하나"는 복수의 의미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은 청구 범위에 열거된 여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측정은 서로 다른 종속 클레임에 기록되지만 이러한 측정을 결합하여 더 나은 효과를 낼 수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은 특정 특징 및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분명하다. 따라서,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출원의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또는 모든 수정, 변형, 조합 또는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확실히, 당업자는 본 출원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수정 및 변형이 다음의 청구 범위 및 그와 동등한 기술에 의해 정의된 보호 범위 내에 있으면 본 출원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가 제2 순간에 제3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순간에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 및 상기 제2 순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대한 모니터링 입도(monitoring granularity)가 디바이스 입도(device granularity) 또는 흐름 입도(flow granularity)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거나 상기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to-be-monitored quality of service parameter)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모니터링될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세션 관리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모니터링 보고를 보고하기 위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 상기 단말이 유휴 모드에 들어가거나 세션이 해제되는 것; 또는 정기 보고(periodic reporting)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7.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제3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과 제2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순간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간이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대한 모니터링 입도(monitoring granularity)가 디바이스 입도(device granularity) 또는 흐름 입도(flow granularity)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함 - ; 및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거나 상기 제3 전송 지연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액세스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단말이고, 상기 제3 디바이스는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3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는 단방향 지연 1이고,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는 단방향 지연 2이고,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는 단방향 지연 3이며,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록된 순간은 T1이고,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간은 T6이고, 상기 제2 순간은 T2이며, 상기 제1 순간은 T5이며:
    단방향 지연 1 = [(T6 - T1) -(T5 - T2)]/2; 및
    단방향 지연 3 = 단방향 지연 2 + 단방향 지연 1인,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12.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3. 장치로서,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3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4.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디바이스 및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3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15.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제3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2 순간에 상기 제3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순간에 상기 제3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 및 상기 제2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대한 모니터링 입도(monitoring granularity)가 디바이스 입도(device granularity) 또는 흐름 입도(flow granularity)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함 - ;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순간과 제2 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순간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순간임 - ; 및
    상기 제3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순간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3 디바이스 간의 패킷 전송을 위한 제2 전송 지연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KR1020227036555A 2018-08-13 2019-08-12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KR102581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18390 2018-08-13
CN201810918390.9 2018-08-13
CN201910028864.7 2019-01-11
CN201910028864.7A CN110831033B (zh) 2018-08-13 2019-01-11 服务质量监测方法、设备及系统
PCT/CN2019/100242 WO2020034922A1 (zh) 2018-08-13 2019-08-12 服务质量监测方法、设备及系统
KR1020217000085A KR20210010629A (ko) 2018-08-13 2019-08-12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085A Division KR20210010629A (ko) 2018-08-13 2019-08-12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16A KR20220148316A (ko) 2022-11-04
KR102581335B1 true KR102581335B1 (ko) 2023-09-20

Family

ID=695475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085A KR20210010629A (ko) 2018-08-13 2019-08-12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KR1020227036555A KR102581335B1 (ko) 2018-08-13 2019-08-12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085A KR20210010629A (ko) 2018-08-13 2019-08-12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19896A1 (ko)
EP (1) EP3806524B1 (ko)
JP (2) JP2021532641A (ko)
KR (2) KR20210010629A (ko)
CN (2) CN110831033B (ko)
AU (1) AU2019323009B2 (ko)
BR (1) BR1120200266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5428B (zh) * 2020-08-28 2024-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空口时延的方法及装置
CN114258059A (zh) * 2020-09-22 2022-03-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延测量方法及其装置、网络通信设备、存储介质
CN114650592B (zh) * 2020-12-21 2024-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时延处理方法、系统以及接入服务器
CN114928561A (zh) * 2021-02-03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丢包率的检测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13099477B (zh) * 2021-03-24 2022-1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时延信息处理方法及相关装置
CN116801297A (zh) * 2022-03-15 2023-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3174198A1 (zh) * 2022-03-16 2023-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延控制方法、应用服务器及通信系统
WO2023193203A1 (zh) * 2022-04-07 2023-10-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时延控制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6980062A (zh) * 2022-04-24 2023-10-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延补偿方法以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6000B2 (en) * 2001-04-17 2008-06-10 Nokia Corporatio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CN101296404B (zh) * 2007-04-28 2012-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下一代移动通信网络架构下接入组播业务的系统和方法
CN101304544B (zh) * 2008-06-10 201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保持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CN101925126B (zh) * 2009-06-10 2013-08-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包发送的方法、系统和装置
CN103298028B (zh) * 2012-03-02 2016-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包处理方法及设备
EP3032874B1 (en) * 2013-08-07 2023-03-08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5072629B (zh) * 2015-06-30 2019-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终端上运行的业务的质量的方法、设备及系统
US10721151B2 (en) * 2015-10-15 2020-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locating a bottleneck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3375139B1 (en) * 2015-11-12 2021-03-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 (gtp) probing
US10849186B2 (en) * 2017-01-09 2020-11-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session management
CN108632904B (zh) * 2017-03-24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通信方法及设备
US10469367B2 (en) * 2017-10-04 2019-11-05 Cisco Technology, Inc. Segment routing network processing of packets including operations signaling and processing of packets in manners providing processing and/or memory efficiencies
US10973040B2 (en) * 2017-11-20 2021-04-06 Ofinno, Llc Data notification during a service request proced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869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1033B (zh) 2021-08-20
AU2019323009A1 (en) 2021-01-14
AU2019323009B2 (en) 2022-02-10
CN113630796A (zh) 2021-11-09
CN110831033A (zh) 2020-02-21
CN113630796B (zh) 2023-08-22
KR20220148316A (ko) 2022-11-04
JP2022191337A (ja) 2022-12-27
EP3806524B1 (en) 2023-05-24
KR20210010629A (ko) 2021-01-27
US20210119896A1 (en) 2021-04-22
EP3806524A4 (en) 2021-08-25
EP3806524A1 (en) 2021-04-14
BR112020026699A2 (pt) 2021-03-30
JP2021532641A (ja)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335B1 (ko) 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및 디바이스
US20210014157A1 (en) Quality-of-Servic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11606726B2 (en) Detecting quality of service (QoS) of a service
KR20220034855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관련된 장치
WO2021032131A1 (zh) 一种用户面信息上报方法及装置
WO2021031672A1 (zh) 通知服务质量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JP7118173B2 (ja) サービス品質監視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装置
US11824783B2 (en) Maximum data burst volume (MDBV) determin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2004045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quality of service of service, and device
WO2022047803A1 (zh) 通信方法及装置
RU2785330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WO2020034922A1 (zh) 服务质量监测方法、设备及系统
US20230379233A1 (en) Packet Loss Rate Detec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2267683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2193127A1 (zh) 业务调度方法、装置及系统
CN116436862A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