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854B1 -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854B1
KR102580854B1 KR1020230055408A KR20230055408A KR102580854B1 KR 102580854 B1 KR102580854 B1 KR 102580854B1 KR 1020230055408 A KR1020230055408 A KR 1020230055408A KR 20230055408 A KR20230055408 A KR 20230055408A KR 102580854 B1 KR102580854 B1 KR 10258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footrest
notification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성화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화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성화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30055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8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8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02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only mechanical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무게감지센서가 내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발판;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an automated facility can be entered, and includes a footrest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weight sensor built into one side.

Description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notifying the possibility of entering automated equipment.

일반적으로 안전 발판은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조선소나 건축 공사 현장 등에서 임시로 가설된 비계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거나,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In general, safety scaffolding is installed on temporary scaffolding in shipyards or building construction sites that require work at high places and is used to allow workers to move safely or perform work easily.

안전 발판은 일정 면적의 발판 본체와, 발판 본체를 비계에 결합하는 발판결합부를 포함한다. 발판 본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에는 미끄럼방지용 천공 버어(bur)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서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The safety scaffold includes a scaffold body of a certain area and a scaffold coupling portion that couples the scaffold body to the scaffol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caffold body, and anti-slip burs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s to prevent the worker's feet from slipping and allow the worker to move or perform work while standing.

다만, 안전 발판을 넘어서 자동화 설비가 있는 경우, 자동화 설비의 작동이 멈춘 다음 발판을 통해 진입해야 하나, 시끄러운 현장의 경우, 자동화 설비의 작동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re is an automated facility beyond the safety scaffold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ed facility must stop before entering through the scaffolding. However, in noisy sit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us of the automated facility at a gla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화 설비의 진입로 입구에 알림 시스템을 도입하여 작업자에게 진입 가능 여부를 알려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a notification system at the entrance to the entrance to the automated facility to inform workers of whether entry is possible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은, 일측에 무게감지센서가 내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한다.A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an automated facility can be ent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weight sensor built into one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은, 상기 발판과 바닥면 사이에서 이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발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발판과 받침프레임을 감싸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보호프레임; 상기 보호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LED를 포함하는 제1 알림부; 및 바닥면에 설치되어 적색화면과 녹색화면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automated equipment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ootrest to support them between the footrest and the floor; A protective frame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footrest and support frame; A first notification unit including an LE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rame; and a second notif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floor and including a display that transmits a red screen and a green scree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은, 타측에 자동화 설비와 통신하며 상기 자동화 설비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알림부와 제2 알림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1 알림부와 제2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otrest communicates with the automation equipment on the other side, check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automation equipment,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not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and sends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not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알림부의 LED는, 상기 자동화 설비가 작동 중의 경우에는 적색으로 작동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D of the first notification unit may emit red when the automation equipment is in operation and green when the automation equipment is not in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프레임의 내부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통풍을 시키며, 살균등을 이용하여 소독 및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air spray unit that generates wind to provide ventilation and disinfects and sterilizes the frame using a sterilizing lamp.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판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판; 충격완화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면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탈방지부;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와 제2 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며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충격완화체; 상기 발판을 소독 및 살균처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살균등;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구동모터;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체에 연결 형성되는 축; 상기 축의 회전시 제자리에서 공회전하며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360°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축 상에 형성되는 바람분사팬;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jection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formed to support a loa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ootrest;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to support a loa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Separation prevention part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o prevent the shock absorber from separating; A shock absorber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o relieve impact and support the load; A sterilizing lamp formed to disinfect and sterilize the footrest; a drive moto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to rotate the axis; A shaft o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 rotating body that rotates in place when the shaft rotates an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wind blowing fan that rotates in a 360° direction when the drive motor is driven and is formed on the axi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be presen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동화 설비의 진입로 입구에 알림 시스템을 도입하여 작업자에게 진입 가능 여부를 알려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tification system for entering an automated facility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informing workers of whether entry is possible by introducing a notification system at the entryway entrance of the automated facilit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의 발판과 제2 알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의 바닥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의 공기분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entry into automated equipment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footrest and a second notification unit of an automated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floor support of the system for notifying the possibility of entering automate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injection unit of the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entry into automated equipment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as used herein, “part” for a componen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e “part” may perform a function or operation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The above-mentioned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bbreviated or omitted.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entry into automated equipment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의 발판과 제2 알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footrest and a second notification unit of an automated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의 바닥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floor support of the system for notifying the possibility of entering automated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의 공기분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injection unit of the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entry into automated equipment is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10)은, 발판(100), 받침프레임(200), 보호프레임(300), 제1 알림부(400) 및 제2 알림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ed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100, a support frame 200, a protection frame 300, a first notification unit 400, and a second notification unit ( 500).

일 실시예에서, 발판(100)은, 일측에 무게감지센서(110)가 내장되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안전 발판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100)은 자동화 설비에 진입하기 위한 진로 상에 위치한다.In one embodiment, the footrest 100 has a weight sensor 110 built into one side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can be formed from materials used as general safety scaffolding. Here, the footrest 100 is located on the path to enter the automated equipment.

또한, 발판(100)은, 타측에 자동화 설비와 통신하며 상기 자동화 설비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알림부(400)와 제2 알림부(500)에 송신하고 상기 제1 알림부(400)와 제2 알림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trest 100 communicates with the automation equipment on the other side, check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automation equipment,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notification unit 400 and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500, and sends the first notification unit 400 and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500.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120 that controls the unit 400 and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500.

일 실시예에서, 받침프레임(200)은, 상기 발판(100)과 바닥면 사이에서 이들을 지지하기 위해 발판(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2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otrest 100 to support it between the footrest 100 and the floor.

일 실시예에서, 보호프레임(300)은, 상기 발판(100)과 받침프레임(200)을 감싸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발판과 받침프레임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이들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인 프레임 재질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재질 등이 적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ective frame 300 may be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footrest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It fixes the footrest and support frame so that they do not move and combines them firmly. Aluminum materials, which are commonly used as frame materials, can be applied.

일 실시예에서, 제1 알림부(400)는, 상기 보호프레임(300)의 상면에 부착되고 LED를 포함하여 적색과 녹색으로 변하는 LED 색상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알림부(400)는 예를 들어, LED가 내장된 줄 형태로 형성되어 보호프레임(300)의 상면을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notification unit 40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rame 300 and can deliver notifications to workers through LED colors that include LEDs and change into red and green. For example, the first notification unit 4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tring with built-in LEDs and install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rame 300.

여기서, 제1 알림부(400)는, 상기 자동화 설비가 작동 중의 경우에는 적색으로 작동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notification unit 400 may emit red light when the automated equipment is in operation and green light when it is not in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제2 알림부(500)는, 상기 발판(100)의 좌측이나 우측 바닥면에 세로로 설치되어 적색화면과 녹색화면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D), 받침기둥(510) 및 바닥지지부(5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500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left or right floor of the footrest 100 and includes a display D that transmits a red screen and a green screen, a support pillar 510, and the floor. It may be formed including a support portion 520.

제2 알림부(500)는, 디스플레이 발판을 지지하는 받침기둥(510)과 상기 받침기둥(5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의 진동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바닥지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notification unit 500 includes a support pillar 510 that supports the display footrest and a floor support part 520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illar 510 to alleviate vibration from the floor and shock from the outside. can do.

일 실시예에서, 바닥지지부(520)는, 제1 끼움바(522), 제2 끼움바(523) 및 바닥프레임(521)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ttom support portion 520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bar 522, a second insertion bar 523, and a bottom frame 521.

바닥프레임(521)은 단면이 대체로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할 받침기둥(5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frame 521 may have a generally '∏' shape in cross section, and may be forme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illar 510 to be located at the top.

바닥프레임(521)은, 받침기둥(51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바닥프레임(521)은 받침기둥(510)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frame 52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column 510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the bottom frame 521 may be slidably moved whil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column 510. It is desirable that it can be configured.

이는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바닥프레임(521)의 내측 양단에는 받침기둥(510)이 상단에 위치한 채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재(528)를 포함할 수 있다.This is to enable easy adjustment of the position where the display will be mounted. To this end, both inner ends of the floor frame 521 may include buffer members 528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with the support pillar 510 positioned at the top.

완충부재(528)의 중앙에는 기둥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기둥(미도시)에는 완충부재(528)의 기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A pillar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ffer member 528, and a rotating part (not shown) that rotates the pillar of the buffer member 528 about its central axis may be inserted through the pillar (not shown).

즉, 완충부재(528)는 중앙에 위치한 기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를 통하여 바닥면과 접촉되더라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buffer member 528 may be configured to slide and move even if it contacts the floor surface through a rotating part (not shown) that rotates around a centrally located pillar.

그리고, 완충부재(528)는 바닥프레임(521)의 양단 내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볼트(529)에 의해 바닥프레임(5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uffer member 528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both ends of the floor frame 521 and then fixedly coupled to the floor frame 521 from the outside using bolts 529.

이러한 완충부재(528)에 의해, 바닥프레임(521)이 받침기둥(51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By using this buffer member 528, the floor frame 521 can slide smoothly along the floor surface while being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pillar 510.

바닥프레임(521)의 상부 표면에는 거치되는 받침기둥(510)을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1 끼움바(522)와 제2 끼움바(523)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521, a first insertion bar 522 and a second insertion bar 523, which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o block and support the supporting pillar 510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It can be.

제1 끼움바(522)와 제2 끼움바(523)는 바닥프레임(521) 상부 표면에 용접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bar 522 and the second insertion bar 523 may be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521, or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한편, 제1 끼움바(522)와 제2 끼움바(523)는 상단부에 거치되는 받침기둥(51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insertion bar 522 and the second insertion bar 523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n adjustable spacing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upport pillar 510 mounted on the upper end.

즉, 제1 끼움바(522)와 제2 끼움바(523) 중 최소한 어느 하나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fitting bar 522 and the second fitting bar 523 is configured to slide and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프레임(521)은 수평끼움바(524), 조정부(525) 및 이탈방지부(5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loor frame 52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an adjustment part 525,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526.

수평끼움바(524)는 제2 끼움바(523)의 수평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바닥프레임(521)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되어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바닥프레임(521)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바닥프레임(521)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The horizontal insert bar 524 may refer to a means for guiding the horizontal slide movement of the second insert bar 523 an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521, with both ends bent downward. By being fixedly coupled to the floor frame 521 by fasten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lts, the portion excluding both ends can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floor frame 521.

그리고, 수평끼움바(524)의 둘레에는 수평끼움바(5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조정부(52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adjusting portion 525 that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

조정부(525)는 내측에 수평끼움바(524)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구비된 납작한 블록 형상이거나, 수평끼움바(524)의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금속 판 또는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justing unit 525 may be shaped like a flat block with a through groove inside into which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is inserted, or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or strip bent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조정부(525)는 수평끼움바(524)를 둘러싸고, 수평끼움바(524)와 바닥프레임(52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끼움바(524)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The adjustment unit 525 surrounds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and sinc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and the bottom frame 521, it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You can.

조정부(525)의 상부 표면에는 제2 끼움바(523)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끼움바(523)는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조정부(525)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간격 조절 후 위치가 정해지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526)에 의해 조정부(525)와 함께 수평끼움바(524)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A second fitting bar 52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unit 525. The second fitting bar 523 may be fixedly coupled with its lower end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adjustment unit 525, and may be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en the position is determined after adjusting the gap,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526 )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together with the adjustment unit 525.

이탈방지부(526)는 제2 끼움바(523)와 조정부(525)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 및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526 is preferably made of nuts and bolts so that the second insertion bar 523 and the adjustment part 525 can b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조정부(525)와 제2 끼움바(523)의 하부 수평 절곡 부분에 각각 이탈방지부(526)가 관통 가능한 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각 관통홈(미도시)에 이탈방지부(526)가 관통하여 너트 및 볼트가 서로 맞물려 조여져, 제2 끼움바(523)와 조정부(525)가 수평끼움바(524)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rough grooves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526 can penetrate may be formed in the lower horizontal bent portions of the adjustment portion 525 and the second fitting bar 523, respectively, and each through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526 penetrates through the nuts and bolts, the second insertion bar 523 and the adjustment portion 525 can be integrally fixed and installed on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한편, 제2 끼움바(523)의 이동시에는 결합볼트를 약간 풀어 조정부(525)와 수평끼움바(524)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 후 조정부(525)를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동후에는 다시 볼트를 조여 조정부(525) 및 제2 끼움바(523)를 수평끼움바(524)에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moving the second fitting bar 523, the coupling bolt is slightly loosened to separate the adjusting unit 525 and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from each other, and then the adjusting unit 525 is pushed and slid. After moving, the adjusting part 525 and the second fitting bar 523 can be fixed to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by tightening the bolt again.

제2 끼움바(523)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제1 끼움바(522)는 수평끼움바(524)에 용접 기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도 있고, 제2 끼움바(523)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When the second fitting bar 523 is configured to be slideable, the first fitting bar 52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by welding or other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fitting bar 523 Similarly,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slide movement.

제1 끼움바(522) 및 제2 끼움바(523)는 받침기둥(51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장착되어 받침기둥(510)의 양단을 수용한 채로 디스플레이(D)를 거치하며, 바닥프레임(521)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528)에 의해 바닥프레임(521) 자체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끼움바(523)가 수평끼움바(524)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받침기둥(51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bar 522 and the second insertion bar 523 are respectively moun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upport pillar 510 and hold the display D while accommoda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pillar 510, and hold the display D on the bottom. Not only can the bottom frame 521 itself sl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djust its position by the buffer member 528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521, but also the second insertion bar 523 is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It can be slid to adjust the accommodation space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support pillar 510.

한편, 수평끼움바(524)를 바닥프레임(521)과 고정 결합하지 않고, 수평끼움바(524)가 바닥프레임(5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끼움바(524)와 바닥프레임(521)을 경첩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and the floor frame 521 are installed so that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frame 521 without fixedly combining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with the floor frame 521. It can be formed by combining with a hinge.

또한, 수평끼움바(524)를 바닥프레임(521) 상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평끼움바(524)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체(52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is mounted on the floor frame 521 and used,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ture 527 to secure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고정체(527)는 바닥프레임(521)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체결부(5271)와, 수평끼움바(524)에 천공된 체결홈(527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xture 527 may be formed to include a fastening portion 5271 fixed to one side of the floor frame 521 and a fastening groove 5272 drilled in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이에 따라 수평끼움바(524)를 바닥프레임(521) 상에 장착하는 경우에 체결부(5271)가 체결홈(5272)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할 수 있고, 수평끼움바(524)를 회동시켜 바닥프레임(521)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체결부(5271)를 체결홈(5272)으로부터 분리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is mounted on the floor frame 521, the fastening portion 5271 can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5272 and be caught, and the horizontal fitting bar 524 can be rotated to When separating from the bottom frame 521, the fastening part 5271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5272.

이를 위하여, 체결부(5271)는 체결홈(5272)에 억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되, 체결홈(527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astening portion 5271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comfortably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5272,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5272.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거치가 필요 하지 않은 경우 고정체(527)를 회동시킴으로써 받침기둥(510)을 바닥지지부(52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position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display is required, the display can be mounted and used, and when mounting of the display is not necessary, the support pillar 510 can be attached to the floor support 520 by rotating the fixture 527. You can make it possible to remove it from .

여기서는, 고정체(527)로 체결부 결합 수단을 예로 들었으나, 수평끼움바(524)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채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Here, the fastening unit coupling means is used as the fixture 527 as an example, but any means capable of fixing the horizontal insertion bar 524 can be employ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는 완충부재(600)의 내측면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 제1 커버(680) 및 제2 커버(670)를 포함할 수 있다.A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610, 620, 630, 640, 650, 660) prov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600), a first cover (680), and a first cover (680). 2 May include a cover 670.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는 둥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완충부재(60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와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의 사이에는 각각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스펀지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buffer member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600, which is formed in a rounded rectangular shape, and the buffer members 610, 620, A device such as a spong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uffers 630, 640, 650, and 660 and the buffer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respectively, to relieve shock from the outside.

다수 개의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의 내부에는 각각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외부의 충격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며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610, 620, 630, 640, 650, 660) may be equipped with a device that contracts or relaxes according to external shock, such as a cylinder or spring, and can relieve external shock. .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충격이 가해져 바닥지지부(520)에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부재(6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의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 가 수축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디스플레이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display and an impact is also applied to the floor support 520, the cylinders of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provided inside the buffer member 600. Alternatively, a device such as a spring can contract to absorb shock from the outside and prevent shock from being applied to the display.

한편 다수 개의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의 사이마다 마련되어 있는 스펀지 등의 장치가 완충부재(600)에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다.Meanwhile, a device such as a spong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can absorb shock applied from the side to the buffer member 600.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는 개별로 각각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으나, 하나의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수축 또는 이완하는 경우 구비되어 있는 모든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함께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Devices such as cylinders or springs provided inside the shock absorbers (610, 620, 630, 640, 650, 660) can individually contract or relax, but only one device such as a cylinder or spring can contract or relax. In this case, all the provided devices such as cylinders or springs can contract or relax together.

여기서,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장치로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흡수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devices such as cylinders or springs are used as examples of devices provided inside the shock absorber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but any device that can move to absorb or absorb shock from the outside can be used as an example. All can be included regardless of name.

제1 커버(680) 및 제2 커버(670)는 다수 개의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의 상부 및 하부에 위 치하며 완충체(610, 620, 630, 640, 650, 660)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680 and the second cover 670 ar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plurality of buffers 610, 620, 630, 640, 650, and 660, and 650, 660) can be fixedly installed to protect.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내부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통풍을 시키며, 살균등을 이용하여 소독 및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분사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ir spray unit 700 that generates wind inside the support frame 200 to provide ventilation and disinfects and sterilizes the frame 200 using a sterilizing lamp. You can.

상기 공기분사부(700)는 제1 지지판(710), 제2 지지판(720), 이탈방지부(730), 충격완화체(740), 살균등(750), 구동모터(760), 축(770), 회전체(780), 바람분사팬(79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ir injection unit 700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710, a second support plate 720,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730, a shock absorber 740, a sterilizing lamp 750, a drive motor 760, and a shaft ( 770), a rotating body 780, and a wind blowing fan 790.

상기 제1 지지판(710)은 발판(100) 하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pport plate 710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ootrest 100 to support a load.

상기 제2 지지판(720)은 제1 지지판(7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판 상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pport plate 720 is formed to support a loa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710.

상기 이탈방지부(730)는 충격완화체(7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부(730)는 제1 지지판(710) 하면과 제2 지지판(720)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730 is formed to prevent the shock absorber 740 from being separate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7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7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720,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 충격완화체(740)는 제1 지지판(710) 하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730)와 제2 지지판(720) 상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73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충격완화체(740)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ck absorber 740 is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73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71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7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720, and provides shock relief. The body 7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alleviate impact and support a load.

상기 살균등(750)은 발판(100)과 바닥판을 소독 및 살균처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등(750)은 제1 지지판(710) 하면 일측과 제1 지지판(710) 상면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rilizing light 750 is formed to disinfect and sterilize the footrest 100 and the floor plate. The sterilizing light 7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710 an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710. Each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상기 구동모터(760)는 축(770)을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760)는 제1 지지판(710)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motor 760 is formed to rotate the shaft 770, and the drive motor 76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710.

상기 축(770)은 구동모터(76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770)은 일측이 구동모터(760)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체(780)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ft 770 is formed to be rotated by a drive motor 760. One side of the shaft 770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76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780.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회전체(780)는 축(770)의 회전시 제자리에서 공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780)는 제2 지지판(720)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body 780 is formed to idle in place when the shaft 770 rotates, and the rotating body 78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720.

상기 바람분사팬(790)은 발판(100)과 바닥판 사이에서 바람을 분사하기 위해 구동모터(760)의 구동시 360°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람분사팬(790)은 축(77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 spray fan 790 is formed to be rotated in a 360° direction when the drive motor 760 is driven to spray wind between the footrest 100 and the floor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axis 77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10. Notification system for possible entry into automated equipment

Claims (3)

일측에 무게감지센서가 내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과 바닥면 사이에서 이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발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발판과 받침프레임을 감싸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보호프레임;
상기 보호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LED를 포함하는 제1 알림부; 및
바닥면에 설치되어 적색화면과 녹색화면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타측에 자동화 설비와 통신하며 상기 자동화 설비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알림부와 제2 알림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1 알림부와 제2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림부의 LED는,
상기 자동화 설비가 작동 중의 경우에는 적색으로 작동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녹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프레임의 내부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통풍을 시키며, 살균등을 이용하여 소독 및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발판의 하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판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판;
충격완화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면과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탈방지부;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와 제2 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며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충격완화체;
상기 발판을 소독 및 살균처리하기 위해 형성되는 살균등;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구동모터;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체에 연결 형성되는 축;
상기 축의 회전시 제자리에서 공회전하며 상기 제2 지지판의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및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360°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축 상에 형성되는 바람분사팬;을 포함하는, 자동화 설비 진입 가능여부 알림 시스템.
It includes a footrest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weight sensor built into one side,
A support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otrest to support it between the footrest and the floor surface;
A protective frame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footrest and support frame;
A first notification unit including an LE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rame;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notif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floor and including a display that transmits a red screen and a green screen,
The scaffolding is,
A control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automation equipment on the other side, check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automation equipment,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not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and controls the first notification unit and the second notification unit; ,
The LED of the first notification unit is,
When the automated equipment is in operation, it emits red light, and when it is not in operation, it emits green light,
It further includes an air spray unit that generates wind inside the support frame to provide ventilation, and to disinfect and sterilize using a sterilizing light,
The air injection unit,
a first support plat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ootrest and support a load;
a second support plate formed to support a loa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Separation prevention part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o prevent the shock absorber from separating;
A shock absorber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to relieve impact and support the load;
A sterilizing lamp formed to disinfect and sterilize the footrest;
a drive motor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to rotate the axis;
A shaft o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 rotating body that rotates in place when the shaft rotates an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A wind injection fan that rotates in a 360° direction when the drive motor is driven and is formed on the axis. A system for notifying whether an automated facility can be entered, includ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55408A 2023-04-27 2023-04-27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KR102580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408A KR102580854B1 (en) 2023-04-27 2023-04-27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408A KR102580854B1 (en) 2023-04-27 2023-04-27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854B1 true KR102580854B1 (en) 2023-09-20

Family

ID=8819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408A KR102580854B1 (en) 2023-04-27 2023-04-27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8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562A (en) * 2016-07-08 2018-01-18 원유석 pedestrians and drivers atten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200036436A (en)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Safe device for wor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562A (en) * 2016-07-08 2018-01-18 원유석 pedestrians and drivers atten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200036436A (en)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Safe device for wor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9278T3 (en) Cockpit
ES2523388T3 (en) Support frame with damping elements to accommodate an elevator car
ES2636621T3 (en) Installation procedure for an elevator
EP1151955A1 (en) Elevator device
KR102580854B1 (en) Automation facility entry possibility notification system
US10112657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cabin of a mining vehicle
AU2017202673B2 (en) Unit attaching device and indoor unit
US20090212188A1 (en) Suspension system for a ceiling mount of a surgical microscope
CA2974267A1 (en) Mounting bracket for fall arrest device
ES2949509T3 (en) Elevator cabins with camera support
JP4813498B2 (en) Elevator car with folding shock-absorbing legs and corresponding elevator
ES2757059T3 (en) Elevator system
KR200466360Y1 (en) The Safety Ring for Climbing of Gang Form
KR101732696B1 (en) Lifter Support fixture for rescue of building fire disaster
JP6988942B2 (en) Elevator safety fence unit and elevator safety fence
JP2011153012A (en) Elevator pit apparatus
KR102155130B1 (en) Working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active part structure of power transformer
KR101576020B1 (en) Support apparatus for safety guard chair
US9688521B2 (en) Industrial truck with an overhead guard
KR102536587B1 (en) Warning apparatus for aerial work platform
KR200496549Y1 (en) Warning apparatus for aerial work platform
KR200492628Y1 (en) Duct for wiring and lighting structure assembly using thereof and catenary structure equipment combining the same
KR20100065108A (en) Safety cover
EP3306026A1 (en) Roll door
ES1075485U (en) Work equipment with a drive motor and an anti-vibration element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