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815B1 -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815B1
KR102580815B1 KR1020220100567A KR20220100567A KR102580815B1 KR 102580815 B1 KR102580815 B1 KR 102580815B1 KR 1020220100567 A KR1020220100567 A KR 1020220100567A KR 20220100567 A KR20220100567 A KR 20220100567A KR 102580815 B1 KR102580815 B1 KR 10258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gredient
blocking
arginine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수
조용훈
원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22010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핵심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액정유화를 가지며,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도록 한 세틸포스페이트 및 알지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Alpha-gel emulsion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unscreen ingredients}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핵심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액정유화를 가지며, 이를 통해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도록 한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외선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로써 발생 되는 피부노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피부노화 현상을 지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일차적으로는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하여 자외선의 피부 투과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자외선(특히, UV-A, B)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화장품 업계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 나뉠 수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표면에서만 작용하는 것으로 자외선을 반사하고 분산시키는 물리적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굴절률이 높아 자외선을 산란시키는 효과 및 피부 자극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백탁현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태양광선 에너지를 분자 내 잡아둠으로써 자외선을 흡수하여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말한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는 달리 백탁현상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사용감에 있어서 불편함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액정에멀젼은 피부의 라멜라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세포간지질에 효과적으로 융합되고 다중층 라멜라 구조를 갖고 있어 포접물질이 보다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액정에멀젼은 제형안정도, 효능물질의 피부 흡수 등에 있어 효과적인 화장품 제형이다. 따라서 액정에멀젼이 다양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거나 개선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액정유화법이란 액정(Liquid Crystal) 중에 분산상을 분산 유지시키며 그때의 계면장력의 저하와 계면활성제 분자의 효율적 배치로서 구조 계면막의 강도를 증대시켜 유화의 생성과 안정도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액정유화와 결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194호(2016.05.13.)에는 "마유 포접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 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게시되어 있는데, 이는, 마유가 포접된 리포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마유가 포접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 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전히 사용감이 끈적여 좋지 못하였으며, 이 외에도 시중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들은 사용감, 밀착력, 분산성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 등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부 성분을 조합해 액정유화를 갖도록 하여, 사용감을 개선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194호(2016.05.13.), "마유 포접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 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본 발명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핵심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액정유화를 가지며, 이를 통해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도록 한 세틸포스페이트 및 알지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혼합한 제1혼합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차단성분은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혼합성분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이 각각 0.01 ~ 99.98 : 0.01 ~ 99.98 : 0.01 ~ 99.98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혼합성분 외에, 수상점증제, 유상안정화제, 폴리올, 오일류, 중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혼합한 제1혼합성분을 포함하여 사용감 개선 효과, 발림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은, 세틸포스페이트 및 알지닌을 핵심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액정유화를 가지며, 이를 통해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21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감 개선 효과에 관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21에 따른 조성물의 밀착력 개선 효과에 관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21에 따른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기능 개선 효과에 관한 그래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각각 다른 제형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기존에 알려진 바로, 알킬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지방산 등의 조합을 통해 액정유화를 갖는 경우는 알려져있으나, 알킬포스페이트, 알지닌에 자외선차단성분 중 특정 성분을 통해 액정유화를 갖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알려져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킬포스페이트, 알지닌에 자외선차단성분 중 특정 성분을 조합함에 따라, 액정유화를 가짐을 발견하고,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 등이 증진됨을 확인하여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을 게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혼합한 제1혼합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혼합성분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은 각각 0.01 ~ 99.98 : 0.01 ~ 99.98 : 0.01 ~ 99.98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은 각각 0.01 ~ 20.0 : 0.01 ~ 20.0 : 0.01 ~ 30.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혼합성분에 있어서, 상기 세틸포스페이트(Cetyl Phosphate)는 포스포릭애씨드 및 세틸알코올의 에스터의 복합혼합물이다(CAS NO.3539-43-3, EC No 222-581-1). 상기 세틸포스페이트는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유화제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핵심성분 중 하나다. 상기 세틸포스페이트(Cetyl Phosphate)는 디세틸포스페이트, 트리세틸포스페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아연세틸포스페이트, 칼슘세틸포스페이트, 소듐아연세틸포스페이트 등으로 불리우는 상이한 성분들과는 상이한 것이며, 이들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상기 제1혼합성분에 있어서, 상기 알지닌(Arginine)은 아르기닌으로도 불리며,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아미노산의 일종이다(CAS 74-93-3(L-form), CAS 7200-25-1, EC No 200-811-1, EC No 230-571-3). 상기 알지닌은 아미노산 중에서 몸에서 합성이 가능한 단백질 구성성분이다. 상기 알지닌은 수분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고 촉촉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천연보습인자(NMF)물질 중 하나다. 한편, 상기 알지닌은 피부속에 콜라겐 호라동에 관연하기도 하여 강함 염기를 띄는바, 제형의 산도를 조절하는 천연 pH조절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혼합성분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성분은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혼합성분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성분은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혼합성분의 자외선차단성분은,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단일 성분일 수 있으며, 또는,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도 있다.
상기 에칠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은 자외선 차단제로 쓰이는 에테로사이클릭 유기화합물 성분이다(CAS No.88122-99-0). 자외선 B(UVB)를 막아주어 피부를 보호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성분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상기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은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의 일종으로, 자외선 차단을 도와 피부 보호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CAS No. 187393-00-6).
상기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는 실록산 폴리머 성분으로, 변색방지제로 사용되며, 화장품의 원료나 색상을 함유한 내용물의 변색을 자외선으로부터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CAS No. 207574-74-1). EU에서는 자외선 차단제 및 화장품에 사용하도록 승인된 바 있다.
상기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Terephthalylidene Dicamphor Sulfonic Acid)는 화학성 UVA 차단제의 일종이며 UC 320나노미터 범위의 광선을 차단 시켜준다고 알려져 있다(CAS No. 92761-26-7).
상기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Methylene Bis-Benzotriazolyl Tetramethylbutylphenol)은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의 일종으로 화학성 자외선차단제로 사용된다(CAS No. 103597-45-1).
상기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Diethylhexyl Butamido Triazone)은 변색방지제, 자외선차단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일종이다(CAS No. 154702-15-5).
상기 디에칠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는 변색방지제, 자외선차단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일종이다(CAS No. 302776-68-7).
상기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는 향료, 자외선차단(기능성화장품), 변색방지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일종이다(CAS No. 118-60-5)
상기 제1혼합성분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이 각각 0.01 ~ 99.98 : 0.01 ~ 99.98 : 0.01 ~ 99.98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혼합 중량비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1혼합성분 외에, 수상점증제, 유상안정화제, 폴리올, 오일류, 중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상점증제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릭애씨드/브이피크로스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스테아록시에터, 셀룰로오스 검, 잔탄검, 타라검, 스클레로튬검, 아라비아고무나무검, 젤란검, 구아검, 카르복시메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메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암모늄폴리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 카보머 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수상점증제의 종류를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수상점증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유상안정화제로는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외에,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C14-22알코올,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글루코오스, 아라키딜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폴리솔베이트60, 폴리솔베이트80, 폴리솔베이트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비즈왁스,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솔비탄올리에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세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아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유상안정화제의 종류를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유상안정화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폴리올로는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펜틸렌글라이콜, 메틸프로판다이올, 솔비톨, 다이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솔베스-5, 솔베스-6, 솔베스-20, 솔베스-30, 솔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 락티톨, 락토스, 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다이티아옥테인다이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틸글루카민, 글루코스, 1,6-헥산디올, 메틸글루세스-10, 메틸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틸올프로판, 자일리톨,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폴리올의 종류를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폴리올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오일류로는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아이소도데케인 외에,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헵타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페닐메치콘, 카프릴디메치콘, 디메치콘, 썬플라워씨드오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매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올리브오일,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쉐어버터, 디부틸아디페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다이에틸헥실카보네이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다이부틸아디페이트, C12-15알킬벤조에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오일류의 종류를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오일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중화제로는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메틸글루카민, 트리에탄올 아민, 트로메타민, L-알지닌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중화제의 종류를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중화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기타 첨가제로,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무화과추출물, 병풀추출물, 베타-글루칸, 글루코오스, 세라마이드엔피, 데실글루코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혼합한 제1혼합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을 추가할 때, 지방산의 종류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지방산은 가급적이면 세틸포스페이트와 탄소수가 3 이상 차이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물론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에 있어서의 참고적인 사항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혼합한 제1혼합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을 추가할 때, 지방산의 종류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알지닌과 지방산의 몰비가 1.0 : 11.0 ~ 1.0 : 99.0이 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에 있어서의 참고적인 사항일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을 혼합한 제1혼합성분을 포함하여 사용감 개선 효과, 발림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는다.
이에,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실시예 1.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 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자외선차단성분에 일부 성분이 결여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1.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 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 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 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 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 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단일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3-1.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에칠헥실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폴리실리콘 -15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폴리실리콘-15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7.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8.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과 ,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1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알지닌 5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만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2-1.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 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미도 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에칠헥실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3.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4.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폴리실리콘 -15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폴리실리콘-15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5.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6.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7.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8.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9.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3-1.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 씨드,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 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와,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2.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에칠헥실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3.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4.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폴리실리콘 -15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폴리실리콘-15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5.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6.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7.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8.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9.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알지닌 5 중량%,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세틸포스페이트 ,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 중 하나만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4-1. 세틸포스페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10): 세틸포스페이트 10 중량%와,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2. 알지닌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10): 알지닌 5 중량%와,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3. 자외선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 ,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폴리실리콘 -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을 동량혼합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4.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5.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비스 - 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6. 자외선차단성분으로, 폴리실리콘 -15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폴리실리콘-15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7. 자외선차단성분으로,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8.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메칠렌비스 - 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9.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을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오일류로써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20 중량%로 성분들을 용해하고, 유상안정화제로써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10 중량%를 추가하였으며,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11.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만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시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 자외선차단성분으로,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를 100중량%로 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을 준비하였다.
혼합성분 제조단계(S20): 상기 자외선 차단성분 제조단계(S10)에서 준비된 자외선 차단성분을 10 중량%, 그 외에 잔량으로 정제수를 혼합하여 시험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를 정리하여, 상기 실시예 1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으로써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실시예 2는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으로써 일부 성분이 결여된 조성물이며, 실시예 3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으로써 단일 성분을 사용한 조성물이다.
또한, 비교예 1은 세틸포스페이트 및 알지닌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비교예 2는 세틸포스페이트 및 자외선 차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비교예 3은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만을 포함하는 조성물, 비교예 4는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차단성분 중 하나만 포함되는 조성물이다.
실험예 1. 사용감 개선 효과
20 내지 30대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보습감과 끈적임, 산뜻함 등 사용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흔들어 섞어 피부에 도포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5점 척도법으로 관능평가를 수행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은 5점 매우 우수, 4점 우수,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매우 나쁨으로, 끈적임 평가의 경우는 끈적이지 않을수록 5점으로 끈적일수록 1점이 되도록 평가하였다. 산뜻함은 산뜻하게 느껴질수록 5점, 산뜻함이 적게 느껴질수록 1점이 되도록 평가하였다.
사용감 평가지표
(평균 점수)
보습감 끈적임 산뜻함
실시예1 (모두 포함) 4.8 4.8 4.9
실시예2-1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6 4.6 4.7
실시예2-2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5 4.5 4.7
실시예2-3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6 4.6 4.7
실시예2-4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5 4.6 4.6
실시예2-5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6 4.7 4.7
실시예2-6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5 4.6 4.6
실시예2-7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5 4.7 4.7
실시예2-8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일부결여) 4.6 4.5 4.6
실시예3-1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3 4.3 4.5
실시예3-2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3 4.4 4.4
실시예3-3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4 4.3 4.5
실시예3-4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4 4.4 4.4
실시예3-5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3 4.3 4.4
실시예3-6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3 4.4 4.4
실시예3-7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3 4.3 4.3
실시예3-8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4.4 4.3 4.3
사용감 평가지표
(평균 점수)
보습감 끈적임 산뜻함
비교예1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3.7 3.6 3.7
비교예2-1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모두)) 3.6 3.6 3.7
비교예2-2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4 3.3 3.4
비교예2-3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3 3.3 3.4
비교예2-4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5 3.4 3.5
비교예2-5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4 3.4 3.3
비교예2-6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5 3.3 3.4
비교예2-7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4 3.4 3.3
비교예2-8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5 3.5 3.4
비교예2-9 (세틸포스테이트,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4 3.4 3.3
비교예3-1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모두)) 3.7 3.6 3.7
비교예3-2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5 3.4 3.3
비교예3-3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3 3.4 3.5
비교예3-4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3 3.5 3.4
비교예3-5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5 3.4 3.5
비교예3-6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5 3.4 3.5
비교예3-7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4 3.5 3.3
비교예3-8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3 3.4 3.4
비교예3-9 (알지닌,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3.5 3.4 3.3
비교예4-1 (세틸포스페이트) 2.7 2.6 2.6
비교예4-2 (알지닌) 2.7 2.7 2.6
비교예4-3 (자외선 차단성분(모두)) 2.7 2.6 2.7
비교예4-4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3 2.2 2.2
비교예4-5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3 2.2 2.1
비교예4-6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1 2.3 2.2
비교예4-7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3 2.2 2.3
비교예4-8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2 2.2 2.2
비교예4-9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2 2.1 2.3
비교예4-10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3 2.1 2.2
비교예4-11 (자외선 차단성분(단일)) 2.2 2.2 2.1
그 결과,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이 동시에 포함될 때, 보습감과 끈적임, 산뜻함 등 사용감에 대한 평가지표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을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밀착력 확인
Bio skin plate의 3cm×3cm 면적,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각각 0.1g씩 도포하고 10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Bio skin plate를 물티슈로 닦아내어 화장 밀착력을 비교하였다.
물티슈로 닦아내기 전과 후, Bio skin plate에 도포한 화장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냈다.
초기무게(g) 물티슈로 닦아낸 후의 잔여 무게(g)
실시예1 0.1g 0.28
실시예2-1 0.1g 0.25
실시예2-2 0.1g 0.26
실시예2-3 0.1g 0.24
실시예2-4 0.1g 0.24
실시예2-5 0.1g 0.25
실시예2-6 0.1g 0.25
실시예2-7 0.1g 0.24
실시예2-8 0.1g 0.25
실시예3-1 0.1g 0.25
실시예3-2 0.1g 0.25
실시예3-3 0.1g 0.24
실시예3-4 0.1g 0.25
실시예3-5 0.1g 0.24
실시예3-6 0.1g 0.25
실시예3-7 0.1g 0.24
실시예3-8 0.1g 0.25
초기무게(g) 물티슈로 닦아낸 후의 잔여 무게(g)
비교예1 0.1g 0.19
비교예2-1 0.1g 0.17
비교예2-2 0.1g 0.16
비교예2-3 0.1g 0.15
비교예2-4 0.1g 0.15
비교예2-5 0.1g 0.17
비교예2-6 0.1g 0.15
비교예2-7 0.1g 0.16
비교예2-8 0.1g 0.15
비교예2-9 0.1g 0.17
비교예3-1 0.1g 0.16
비교예3-2 0.1g 0.19
비교예3-3 0.1g 0.18
비교예3-4 0.1g 0.17
비교예3-5 0.1g 0.16
비교예3-6 0.1g 0.16
비교예3-7 0.1g 0.17
비교예3-8 0.1g 0.13
비교예3-9 0.1g 0.14
비교예4-1 0.1g 0.08
비교예4-2 0.1g 0.06
비교예4-3 0.1g 0.07
비교예4-4 0.1g 0.06
비교예4-5 0.1g 0.08
비교예4-6 0.1g 0.07
비교예4-7 0.1g 0.08
비교예4-8 0.1g 0.07
비교예4-9 0.1g 0.07
비교예4-10 0.1g 0.06
비교예4-11 0.1g 0.07
그 결과,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이 동시에 포함될 때, 밀착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을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자외선 차단 기능 개선 효과
자외선 차단 지수의 측정 방법은 우선 25cm2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판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각 1.3mg/cm2양으로 도포하였다.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PMMA 판을 참고(reference)로 하였다. 15분 후, 자외선 차단 지수 측정 장치(SPF-290S)로 각 시료의 SPF(Sun protection factor)와 PA(Protection factor of UV-A)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시질(substrate) - PMMA
SPF PA
실시예1 26.75 8.46
실시예2-1 25.84 7.98
실시예2-2 25.47 7.87
실시예2-3 25.53 7.86
실시예2-4 25.13 7.94
실시예2-5 25.36 7.88
실시예2-6 25.44 7.93
실시예2-7 25.52 7.94
실시예2-8 25.63 7.85
실시예3-1 24.47 7.63
실시예3-2 24.23 7.56
실시예3-3 24.33 7.61
실시예3-4 24.63 7.62
실시예3-5 24.05 7.58
실시예3-6 24.16 7.62
실시예3-7 24.08 7.66
실시예3-8 24.32 7.54
시질(substrate) - PMMA
SPF PA
비교예1 2.53 1.63
비교예2-1 22.85 6.74
비교예2-2 22.49 6.42
비교예2-3 22.43 6.51
비교예2-4 22.35 6.52
비교예2-5 22.21 6.43
비교예2-6 22.39 6.55
비교예2-7 22.87 6.83
비교예2-8 22.38 6.53
비교예2-9 22.55 6.41
비교예3-1 22.34 6.56
비교예3-2 22.43 6.53
비교예3-3 22.38 6.54
비교예3-4 22.35 6.41
비교예3-5 22.46 6.53
비교예3-6 22.33 6.62
비교예3-7 22.46 6.54
비교예3-8 22.43 6.49
비교예3-9 22.31 6.67
비교예4-1 2.25 1.12
비교예4-2 2.12 1.24
비교예4-3 18.93 5.28
비교예4-4 17.34 5.35
비교예4-5 17.25 5.24
비교예4-6 16.32 5.39
비교예4-7 18.49 5.44
비교예4-8 17.58 5.22
비교예4-9 18.67 5.34
비교예4-10 17.56 5.22
비교예4-11 17.69 5.34
그 결과,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이 동시에 포함될 때,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외선 차단성분에 세틸포스테이트 및 알지닌이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액정유화 형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대해 액정유화 형성 확인 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 중, 실시예 3-1, 3-2를 선정하여, 편광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보았다. 그 결과, 도 4(실시예 3-1) 및 도 5(실시예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입자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 1, 비교예 2-1, 비교예 3-1, 비교예 4-1, 비교예 4-2의 조성물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결과를 각각 도 6(실시예 1), 도 7(비교예 1), 도 8(비교예 2-1), 도 9(비교예 3-1), 도 10(비교예 4-1), 도 11(비교예 4-1)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액정입자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 비교예 2-1, 비교예 3-1, 비교예 4-1, 비교예 4-2의 경우에는 액정입자가 형성되지 않고 일반입자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을 혼합함에 따라 액정입자가 나타났으며, 이 중 일부가 결여되면 액정입자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4,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실험예 1 내지 6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예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은 보습감과 끈적임 및 산뜻함을 포함하는 사용감에서 높은 평가점수를 받았으며 이를 통해, 사용감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을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은 밀착력에서 우수한 지표를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밀착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틸포스테이트, 알지닌 및 자외선 차단성분을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은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외선 차단성분에 세틸포스테이트 및 알지닌이 혼합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일부가 결여되면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은,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특정 자외선차단성분만으로 액정유화를 형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성분에,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를 추가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의 조합에 따라 액정입자가 형성되었으며, 이들의 조합에 따른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세틸포스페이트 및 알지닌을 핵심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도록 한 세틸포스페이트 및 알지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5)

  1. 세틸포스페이트; 알지닌; 및, 에칠헥실트리아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폴리실리콘-15,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각각 0.01 ~ 20.0 : 0.01 ~ 20.0 : 0.01 ~ 30.0의 중량비로 혼합한 제1혼합성분을 포함하며,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사용감 개선 효과, 밀착력 개선 효과, 분산성 개선 효과 및 자외선 차단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성분과, 세테아릴에틸헥사노에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외에, 수상점증제, 폴리올, 중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220100567A 2022-08-11 2022-08-11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580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567A KR102580815B1 (ko) 2022-08-11 2022-08-11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567A KR102580815B1 (ko) 2022-08-11 2022-08-11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815B1 true KR102580815B1 (ko) 2023-09-20

Family

ID=8819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567A KR102580815B1 (ko) 2022-08-11 2022-08-11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8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194B1 (ko) 2014-06-27 2016-05-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포접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 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90098977A (ko) * 2016-12-20 2019-08-23 샤넬 파르퓜 보트 습윤 효과를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30989B1 (ko) * 2019-12-17 2020-07-08 한국콜마주식회사 마크로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194B1 (ko) 2014-06-27 2016-05-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포접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 또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90098977A (ko) * 2016-12-20 2019-08-23 샤넬 파르퓜 보트 습윤 효과를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30989B1 (ko) * 2019-12-17 2020-07-08 한국콜마주식회사 마크로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9665C (en) Dihydroxyacetone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enhanced delivery
ES2538010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de protección solar de tipo emulsión de agua en aceite
JP7224367B2 (ja) 酸化防止剤を使用するuva光保護を強化するための方法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576847B1 (en) Sunscreen compositions with natural waxes for improved water resistance
US6858200B2 (en) Sunscreen formulations
JP4866066B2 (ja) 化粧料
EP1541126B2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e Kombination aus grünem Farbstoff und antiinflammatorischem Wirkstoff
KR20000070292A (ko) 외용 조성물
EP2777690B1 (en) Oil-in-water type emulsified sunscreen cosmetic
EP1430882B1 (de) Antioxidans-Kombinationen mit 6,7-disubstituierten 2,2-Dialkylchromanen oder -chromenen
KR102451738B1 (ko)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050957A (ko)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I4025178T3 (fi) Uusi rasvaliukoisia orgaanisia aurinkosuodattimia solubilisoiva järjestelmä
KR102580815B1 (ko) 자외선차단성분이 함유된 Alpha-gel 유화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1349A (ko) 화장료 썬스크린 조성물
WO2016076202A1 (ja) 水中油型紫外線防御化粧料
LU102317B1 (en) Sun protection topical compositions
TW202245731A (zh) 水中油型乳化化妝料
KR102342903B1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9238A (ko) 액정 에멀전 기반의 저점도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20170304171A1 (en) Alcohol-free emulsion based on nonionic surfactants, on an anionic amphiphilic lipid and on liposoluble organic uv-screening agents
JP2010030933A (ja) 皮膚外用剤
KR100438402B1 (ko)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비타민 이를 이용한저점도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CN117320687A (zh) 包含贝莫三嗪醇的防晒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