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721B1 -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721B1
KR102580721B1 KR1020210171725A KR20210171725A KR102580721B1 KR 102580721 B1 KR102580721 B1 KR 102580721B1 KR 1020210171725 A KR1020210171725 A KR 1020210171725A KR 20210171725 A KR20210171725 A KR 20210171725A KR 102580721 B1 KR102580721 B1 KR 10258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re
parts
flame retardant
sp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356A (ko
Inventor
변병열
변덕우
Original Assignee
변병열
변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병열, 변덕우 filed Critical 변병열
Priority to KR102021017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08K5/541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C09D1/0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09J1/02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containing water-soluble alkali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방화문, 방화기구와 같은 화재위험구역에 접착되어 난연 및 준불연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ireproof sheet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본 발명은 건축물, 방화문, 방화기구와 같은 화재위험구역에 접착되어 난연 및 준불연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ㆍ외장재로 사용되는 소재는 우수한 단열성뿐만 아니라 화재에 대해 안정적이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내ㆍ외장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PUR)폼 단열재는 단열성능과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 최적의 소재로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화재에 대한 취약점은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ㆍ외의 상황을 보더라도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물질 배출저감의 대안으로 에너지절약이 중요한 해결방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단열성이 좋은 소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견해이다.
최근 들어 대규모 주상복합 아파트 및 빌딩 등의 내장재로 우레탄폼 단열재가 두드러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에 따른 화재사고로 인명과 재산피해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고층화된 건축물의 경우,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수많은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건축물을 이루는 단열재에서 유독가스를 배출되고, 또한 폴리우레탄폼 보드의 특성상 불에 취약한 가연성 재질로 화재 발생 시 외벽을 타고 불이 급속도로 번져 화재시 위험성이 높은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연성이 높은 폴리우레탄폼에 난연제를 도포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난연기능이 부여되면서 생산이 용이한 기술과 더불어 기존에 시공된 건축물에도 사용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65549호 (2001. 07. 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건축물, 방화문, 방화기구와 같은 화재위험구역에 접착될 수 있는 시트형태로 된 시트본체의 일면으로 난연성바인더 및 고효율의 난연 및 준불연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조성물이 포함되는 내화층을 형성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형태로 가공된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일면으로 도포되는 내화층;이 포함되며, 상기 내화층은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35 ~ 50중량%, 물 35 ~ 50중량%, 산화크로뮴(chromium oxide) 1 ~ 10중량%, 산화티탄 1 ~ 3중량%, 붕소 1~ 3중량%, 첨가제 1 ~ 2중량%가 혼합되는 난연성바인더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팽창흑연 30 ~ 70중량부, 탈크 5 ~ 10중량부, 발수제 3 ~ 7중량부, 방수제 1 ~ 3중량부, 분산제 1 ~ 2중량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층에 포함되는 난연성바인더로 하여금 시트본체와의 접착력 및 경화성을 극대화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내화층의 강도, 경도, 내열성 및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내화층에 난연성바인더의 소듐 실리케이트와 더불어 팽창흑연 및 탈크가 혼합됨으로써 고효율의 난연 및 준불연기능을 가지는 내화시트를 생산할 수 있어 건축물, 구조물, 기구와 같은 화재위험구역 어느 부위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재시 불길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의 확산을 지연 또는 차단하는 건축물, 구조물, 기구를 시공 또는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위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태로 가공된 시트본체(10)와 상기 시트본체(10)의 일면으로 도포되는 내화층(20);이 포함되어 시트본체(10)가 건축물, 방화문, 방화기구 등에 접착되어 난연 및 준불연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시트본체(10)는 합성수지, 섬유원단, 부직포, 시멘트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내화층(20)이 형성되면서도 건축물, 방화문, 방화기구 등에 접착될 수 있는 시트의 형태이면 재질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내화층(20)은 시트본체(10)가 접착되는 피접착 부위에 난연 및 준불연의 기능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내화층(20)은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35 ~ 50중량%, 물 35 ~ 50중량%, 산화크로뮴(chromium oxide) 1 ~ 10중량%, 산화티탄 1 ~ 3중량%, 붕소 1~ 3중량%, 첨가제 1 ~ 2중량%가 혼합되는 난연성바인더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팽창흑연 30 ~ 70중량부, 탈크 5 ~ 10중량부, 발수제 3 ~ 7중량부, 방수제 1 ~ 3중량부, 분산제 1 ~ 2중량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무기질 난연제로 물과 같이 혼합되었을 때 단열심재와 마감시트의 접착 용도 및 코팅제를 이루는 팽창흑연, 탈크, 발수제 및 방수제의 혼합물에 대한 점성과 가교의 역할을 담당하여 단열심재 외면에 견고한 접착 구조를 유도함으로써, 내화층(20)이 경화된 시트본체(10)의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내열성 및 난연성을 구비하게 한다.
또한,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높은 투광성과 낮은 열전도를 특성으로 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인 단열기능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산화크로뮴(chromium oxide)은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와 함께 난연성바인더의 내화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팽창흑연은 100 ~ 300 mesh, 팽창율 250 ~ 300배 범위에서 서로 다른 사이즈 및 물성을 가진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팽창흑연은 열을 가하면 흑연 입자가 수백배 팽창함에 따라 층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므로, 코팅제 내에 분산된 팽창흑연은 화재로 인해 팽창된 탄화층을 형성하여 차열 및 차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화염이나 불꽃이 시트본체(10)가 접착되는 부위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팽창흑연은 30 ~ 70중량부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사이즈를 채택하여 화재시 팽창크기가 서로 달라져 더욱 균일하면서 고르게 내화층(20) 내부에서 팽창되는 것이다.
한편, 팽창흑연은 50 ~ 70℃ 온도의 물 88 ~ 90 중량%, 알긴산소다 8 ~ 10중량%, 제올라이트분말 0.5 ~ 2중량%, 실리카겔 0.5 ~ 1중량%, 수산화알루미늄분말 0.5 ~ 1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제로 코팅한 후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알긴산소다는 미역, 다시마, 감태와 같은 갈조류를 알칼리 추출한 후 산을 첨가하여 젤화한 것으로, 천연의 고분자 응집제로 불리울만큼 접착력이 뛰어나서 알긴산소다와 물이 혼합되어 제올라이트분말, 실리카겔, 수산화알루미늄분말 등이 화재시 팽창흑연의 팽창과정에서 팽창흑연 표면에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알긴산소다와 혼합되어 접착력을 가지는 물은 50 ~ 70℃의 온도인 온수를 사용하며, 분말형태인 알긴산소다는 온수와 혼합하게 되면 면 점성이 발생됨으로 제올라이트분말, 실리카겔, 수산화알루미늄분말 등의 고착력이 극대화되어 팽창흑연 외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제올라이트는 신생대 3기층의 화산재가 속성 작용을 받아 생성된 미세한 다공질로 물리적 흡착력과 화학적 양이온 치환작용이 뛰어나 수분 외 다른 물질, 즉 유해가스를 20배까지 흡수, 흡착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서서히 배출하는 특이한 기능이 있어 코팅층에 포함되는 원료로 사용될 경우 습도유지가 가능한 특수 기능성이 부과되고, 다공성에 의한 흡착제로써의 습도조절 능력 및 단열심재의 부패를 가속시키는 에틸렌 가스와 같은 물질의 포집, 형상선택성 촉매반응과 같은 특이한 구조에 의한 이온반응에 의한 항균작용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실리카겔은 알카리염 등의 유기화합물을 흡착시켜 산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산화 기능 효과가 있고 흡착력 및 방습력이 우수하여 수산화알루미늄과 함께 곰팡이균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악취 및 항균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음이온 화합물로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항균 및 항진균 효과와 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들이 코팅액의 원료가 되어 팽창흑연과 함께 내화층(20)의 구성요소가 됨으로써, 천연성분인 알긴산소다를 이용하여 제올라이트분말, 실리카겔 및 수산화알루미늄분말이 팽창흑연의 외면에 접착되어 화재시 팽창된 팽창흑연에 접착되어 그 형태를 온전히 유지시켜주면서도 팽창흑연과 함께 내화층(20)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팽창흑연을 통한 난연 및 준불연기능과 더불어 항균 및 곰팡이균의 생성 및 확산을 최소화하는 내화층(20)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팽창흑연에 코팅액이 코팅되는 상세한 형태를 살펴보면, 내부 하측에 스크류 형태의 교반기가 다수 설치되며, 상부에 다수의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에 상기 팽창흑연과 코팅액을 1 : 0.5 ~ 1.5의 중량비율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본체에 투입된 팽창흑연과 코팅액은 스크류 형태인 다수의 교반기의 구동으로 인해 본체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팽창흑연 외면에 코팅액이 코팅되면서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코팅액이 코팅된 팽창흑연은 코팅액의 점도로 서로 달라붙은 상태로 바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30 ~ 60분간 비교적 저온인 5 ~ 15℃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팽창흑연은 여전히 서로 달라붙은 상태이며, 이를 분리하기 위해 100 ~ 300mesh로 이루어지는 메쉬체에 건조된 팽창흑연을 걸러준 것을 사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준다.
탈크는 활석광석을 미분쇄 또는 초미분쇄하여 제조된 입자 형상이 판상인 분말로서, 무기 광산물 중 가장 경도가 낮고,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단가가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물질이다.
즉, 내화층(20)에 탈크가 혼합되어 내화층(20)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방열의 기능을 구비하여 팽창흑연과 함께 탄화층을 형성하여 차열 및 차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발수제는 내화층(20)에 수분과 오염물의 침투를 지연시켜 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시트본체(10)가 건축물에 접착될 때 장마가 있는 여름철 장마로 인해 수분을 머금고 있는 건축물이 높은 온도로 가열됨에 따라 습기를 내뿜어 건축물이 축축해지거나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발수제는 내열성과 내연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발수성능을 발휘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시트본체(10) 및 내화층(20)의 기능과 수명을 더욱 향상시키게 한다.
방수제는 내화층(20)에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시트본체(10)의 균열 및 변형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분산제는 팽창흑연과 탈크가 내화층(20)의 재료로 혼합될 때 원활하게 분산시켜 팽창흑연과 탈크가 고르게 분산되어 내화층(20)에 균일하게 위치되어 난연 및 준불연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내화층(20)에 포함되는 난연성바인더로 하여금 시트본체(10)와의 접착력 및 경화성을 극대화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내화층(20)의 강도, 경도, 내열성 및 난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내화층(20)에 난연성바인더의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와 더불어 팽창흑연 및 탈크가 혼합됨으로써 고효율의 난연 및 준불연기능을 가지는 내화시트를 생산할 수 있어 건축물, 구조물, 기구와 같은 화재위험구역 어느 부위에 화재가 발생하여도 화재시 불길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의 확산을 지연 또는 차단하는 건축물, 구조물, 기구를 시공 또는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난연성바인더의 산화티탄은 백색분말로 자외선, 적외선 등을 반사시켜 내화층(20)에 온도를 높이지 않은 역할을 함으로써 시트본체(10)의 훼손 및 변형을 방지한다.
붕소는 화재시 고온으로 인해 내화층(20)이 열분해될 때 탄소성 탄화층을 형성할 수 있어 탄화층의 생성으로 인해 연소하는 분자의 표면에 두꺼운 장벽을 만들어 열을 차단함으로써 불이 꺼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티탄 및 붕소로 인하여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와 함께 상호 작용함으로써, 난연성바인더를 통하여 내화층(20)이 치밀하고 견고해지며 시트본체(10)의 표면에서 생성될 수 있는 가스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첨가제는 과산화나트륨(sodium peroxide), 나트륨아미드(sodium amide), 사에틸납(tetraethyl lead), 부타디엔(butadiene), 이소프렌(isoprene),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한편, 발수제는 물 40 ~ 50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20 ~ 30중량%,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메티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는 실리콘 오일 10 ~ 20중량%,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된 커플링제 1 ~ 10중량%,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가 혼합된 복합 난연제 1 ~ 8중량%, 석영분말 1 ~ 3중량%로 이루어진다.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발수제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점도는 40 ~ 90cps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점도에서 발수제의 침투성 및 발수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발수제에 폴리디메틸실록산 20 ~ 3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최적의 발수도 및 침투성을 구현하고 재료의 과다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발수제의 구성성분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발수제의 계면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발수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커플링제는 발수제를 이루는 혼합물의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커플링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커플링제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의 기능을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복합 난연제는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가 혼합된 것으로, 계면막이 형성되는 발수제에서도 난연기능을 발휘하게 되어 난연성바인더와 함께 내화층(20)의 난연 및 준불연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켜준다.
즉,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가 혼합된 복합 난연제를 통해 내화층(20)에 산소의 차단과 불꽃의 확대를 저지하고, 특히 화재시 불연성 가스를 발생시켜 내화층(20)에 공급되는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를 억제시켜 내화층(20)의 난연 및 준불연의 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또한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는 브롬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이를 사용하는 내화층(20)에 친환경적인 이점이 가져오게 한다.
석영분말은 복합 난연제과 함께 발수제에 난연기능을 구비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의 함량범위로 사용되며 이를 초과하면 난연물질이 과다하게 사용되어 발수기능을 저하시키고 함량범위가 이보다 미만이면 난연성을 보조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이때, 석영분말은 크기는 분산성을 고려하여 100 ~ 300㎛인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 강도가 우수한 특징에 의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코팅제를 통하여 발생되는 내화층(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 흡수율이 낮아 시트본체(10)가 접착되는 부위의 번식으로부터 안전하게 하는 물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내화층(20)이 형성되는 시트본체(10)의 반대면에는 물유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3 ~ 8중량부, 은행나무껍질분말 1 ~ 3중량부, 편백나무분말 1 ~ 3중량부, 벤조페논 1 ~ 3중량부가 혼합되는 접착층(30)이 형성된다.
여기서, 파라핀은 석유 중에 존재하는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는 것은 물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이다.
은행나무는 살균, 살충 성분이 있어 갖가지 벌레의 유충과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편백나무는 노송나무, 회목(檜木)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인 측백나무과(側柏―科 Cupressaceae)에 속하는 상록비늘잎교목으로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의 유충에 대해 생장 억제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편백나무는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며, 특히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지는 장점이 있다.
즉, 은행나무, 편백나무는 모두 독성이 전혀 없어 인체에 무해하며, 파라핀은 무색, 무취의 반투명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은행나무, 편백나무의 특유의 냄새 및 색을 중화시켜주게 된다.
벤조페논은 자외선차단제 및 변색방지제에 주로 사용되는 물질로서, 코팅층을 자외선에서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접착층(30)은 일면에 내화층(20)이 형성되는 시트본체(10)를 용이하게 피접착 부위에 접착이 가능하면서도 접착층(30)에 포함되는 기능성 조성물에 의해 해충 퇴치, 항균작용 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을 구비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인 내화시트의 제조방법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35 ~ 50중량%, 물 35 ~ 50중량%, 산화크로뮴(chromium oxide) 1 ~ 10중량%, 산화티탄 1 ~ 3중량%, 붕소 1~ 3중량%, 과산화나트륨(sodium peroxide), 나트륨아미드(sodium amide), 사에틸납(tetraethyl lead), 부타디엔(butadiene), 이소프렌(isoprene),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첨가제 1 ~ 2중량%가 혼합되는 난연성바인더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팽창흑연 30 ~ 70중량부, 탈크 5 ~ 10중량부, 발수제 3 ~ 7중량부, 방수제 1 ~ 3중량부, 분산제 1 ~ 2중량부가 포함된 조성물을 준비하되, 상기 발수제는 물 40 ~ 50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20 ~ 30중량%,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메티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는 실리콘 오일 10 ~ 20중량%,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된 커플링제 1 ~ 10중량%,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가 혼합된 복합 난연제 1 ~ 8중량%, 석영분말 1 ~ 3중량%로 이루어진 내화층(20) 조성물을 5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기에서 교반한다.
물유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3 ~ 8중량부, 은행나무껍질분말 1 ~ 3중량부, 편백나무분말 1 ~ 3중량부, 벤조페논 1 ~ 3중량부가 혼합되는 접착층(30) 조성물을 5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기에서 교반한다.
유연성을 가지도록 두께 1.5㎝, 가로세로 30㎝×10㎝로 된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본체(10)의 일면에 내화층(20) 조성물을 도포하고 10분의 경화시간 후 시트본체(10)의 반대면에 접착층(30) 조성물을 도포하여 내화시트를 완성하였다.
10 : 시트본체 20: 내화층
30 : 접착층

Claims (4)

  1. 시트형태로 가공된 시트본체(10);
    상기 시트본체의 일면으로 도포되는 내화층(20);이 포함되며,
    상기 내화층(20)은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35 ~ 50중량%, 물 35 ~ 50중량%, 산화크로뮴(chromium oxide) 1 ~ 10중량%, 산화티탄 1 ~ 3중량%, 붕소 1~ 3중량%, 첨가제 1 ~ 2중량%가 혼합되는 난연성바인더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팽창흑연 30 ~ 70중량부, 탈크 5 ~ 10중량부, 발수제 3 ~ 7중량부, 방수제 1 ~ 3중량부, 분산제 1 ~ 2중량부가 포함되고,
    상기 발수제는 물 40 ~ 50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20 ~ 30중량%,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메티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는 실리콘 오일 10 ~ 20중량%,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된 커플링제 1 ~ 10중량%,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와 멜라민계 난연제가 혼합된 복합 난연제 1 ~ 8중량%, 석영분말 1 ~ 3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바인더의 첨가제는 과산화나트륨(sodium peroxide), 나트륨아미드(sodium amide), 사에틸납(tetraethyl lead), 부타디엔(butadiene), 이소프렌(isoprene), 메타크릴산메틸(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층(20)이 형성되는 시트본체(10)의 반대면에는 물유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3 ~ 8중량부, 은행나무껍질분말 1 ~ 3중량부, 편백나무분말 1 ~ 3중량부, 벤조페논 1 ~ 3중량부가 혼합되는 접착층(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10171725A 2021-12-03 2021-12-03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KR10258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25A KR102580721B1 (ko) 2021-12-03 2021-12-03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725A KR102580721B1 (ko) 2021-12-03 2021-12-03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356A KR20230084356A (ko) 2023-06-13
KR102580721B1 true KR102580721B1 (ko) 2023-09-22

Family

ID=8676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725A KR102580721B1 (ko) 2021-12-03 2021-12-03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7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4397A (ja) * 2012-01-13 2013-07-25 Toyokoh Co Ltd 耐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火用組成物
JP2014227690A (ja) * 2013-05-21 2014-12-08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不燃化コーティング材、不燃性断熱材、及び不燃性断熱材の構築方法
JP2021518860A (ja) * 2018-02-01 2021-08-05 ダウ シリコーン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組成物、それを用いて形成されるポリマー複合体物品、およびその調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549A (ko) 1999-12-29 2001-07-11 정상옥 유연성 내화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4397A (ja) * 2012-01-13 2013-07-25 Toyokoh Co Ltd 耐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火用組成物
JP2014227690A (ja) * 2013-05-21 2014-12-08 太平洋マテリアル株式会社 不燃化コーティング材、不燃性断熱材、及び不燃性断熱材の構築方法
JP2021518860A (ja) * 2018-02-01 2021-08-05 ダウ シリコーン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組成物、それを用いて形成されるポリマー複合体物品、およびその調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356A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443B1 (ko) 방화벽재
KR102113031B1 (ko) 에어로겔이 포함된 무기질 결로 방지 불연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로겔이 포함된 무기질 결로 방지 불연 도료 조성물
JP2008013734A (ja) 空気活性用の炭素系塗料
KR20160124728A (ko) 목재의 난연 방수 처리방법
KR100727623B1 (ko) 기능성 수성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0721B1 (ko)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내화시트의 제조방법
KR100760149B1 (ko)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1448253B1 (ko) 발포성 탄화층 구조의 내화피복재 조성물
KR101175703B1 (ko) 편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2391996B1 (ko) 건축물용 판넬의 제조방법
KR102342759B1 (ko)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건축용 단열재의 코팅제 제조방법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20230149375A (ko) 건축물용 판넬의 제조방법
CN205663127U (zh) 一种防火墙纸
KR100736277B1 (ko)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RU617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незащиты строитель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деревя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123111B1 (ko) 화재시 세라믹층을 갖는 연기 저감형 속건성 친환경 수성 난연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86447B1 (ko)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 충전재, 이를 이용한 불연성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1577526B1 (ko) 천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솔잎 도료 및 마감재와 그 제조방법
KR102630097B1 (ko) 수분산성을 갖는 개질된 에어로겔 복합체를 함유하는 다기능성 도료 조성물
KR20040052778A (ko) 경량 판재 제조 방법 및 그 경량 판재
KR102499280B1 (ko) 난연, 단열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고, 광촉매가 코팅된 다기능성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ES2329464T3 (es) Procedimientos y composiciones de inhibicion de microbios y retardado res de llama.
KR100485138B1 (ko) 난연성 섬유판재
KR20240067551A (ko) 건축물 내외부 인조석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