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297B1 - Moving Vehicle for Carry Workers and Equipments of Bridg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Moving Vehicle for Carry Workers and Equipments of Bridge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0297B1 KR102580297B1 KR1020230084006A KR20230084006A KR102580297B1 KR 102580297 B1 KR102580297 B1 KR 102580297B1 KR 1020230084006 A KR1020230084006 A KR 1020230084006A KR 20230084006 A KR20230084006 A KR 20230084006A KR 102580297 B1 KR102580297 B1 KR 1025802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work platform
- hanger member
- bridge
- ji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교(架橋)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교각 위에 교축방향으로 설치되는 주(主)거더(main girder)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고소(高所)에서의 각종 교량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교량 시공작업용 주행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되어 있고,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 및 자재를 실을 수 있는 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주거더 사이의 브레이싱(bracing) 설치작업을 비롯하여 고소(高所)에서 수행되는 교량 시공 관련 각종 작업("교량 시공작업")을 작업자가 안전하게 그리고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만드는 주행 대차에 관한 것이다. In the construction of various types of bridges, including bridges,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long the main girder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on the bridge piers and moves at a height with a worker on board. It relates to a traveling bogie for bridge construction work that can perform various bridge construction work in 所). Specifically, it is equipped with a work platform for workers to ride on, and a plate on which various equipment and materials necessary for work can be loaded. It is equipped and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allowing workers to perform various bridge construction-related work (“bridge construction work”) performed at high altitudes, including bracing installation work between main beams, safely and very efficiently. It's about a running bogie that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교각 위에 설치되는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더(주거더/main girder)를 설치하는 과정 및 설치된 이후에 수행되어야 하는 여러 가지 고소(高所)에서의 교량 시공작업들이 존재한다. 특히, 가교(假橋)를 시공할 때에는 주거더를 설치한 후에 또는 설치하면서 교축직각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주거더 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싱(bracing)을 설치하는 등의 여러 가지 교량 시공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브레이싱은 교축직각 방향으로 주거더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며, 이러한 브레이싱 설치위치로 작업자 접근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지상에서부터 연직상승하거나 또는 반대로 주거더의 상면에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방안을 이용하였다. 지상에 위치하는 승강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지상에서부터 상승하여 브레이싱 설치위치를 접근하는 방안의 경우, 승강기의 상승 과정 및 상승 후 작업 과정에서의 승강기 전도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함은 물론이고 지상 조건 및 브레이싱 설치위치의 높이로 인하여 승강기 활용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주거더가 하천을 가로질러 배치는 경우에는 지상에 승강기를 설치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며, 교각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지상의 승강기가 브레이싱 설치위치에 미치지 못하게 되거나, 설사 브레이싱 설치위치에 도달하더라도 높은 작업 위치로 인하여 매우 위험하여 작업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When constructing a bridge, there is a process of installing a girder (main girder)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installed on a pier and various bridge construction operations at a height that must be performed after installation. In particular, when constructing a bridge, various bridge construction work must be performed, such as installing bracing that connects adjacent main girder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after or while installing the main girders. do. The bracing is install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main beam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and in order to access the bracing installation location, workers have conventionally used a method of rising vertically from the ground or, conversely, moving downwards from the top of the main beam. In the case of a method in which a worker ascends from the ground using an elevator located on the ground to access the bracing installation lo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the elevator falling during the elevator rising process and the post-raising work process, as well as ground condition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the elevator itself is impossible due to the height of the bracing installation location. For example, if a main pier is placed across a river, it becomes impossible to install an elevator on the ground, and if the pier is very high, the elevator on the ground may not reach the location where the bracing is installed, or even if it does, it may not reach the location where the bracing is installed. Even if you reach it, it may be very dangerous and impossible to work due to the high working position.
한편, 작업자가 주거더의 상면에서부터 브레이싱 설치위치로 접근하는 방안의 경우, 작업발판을 교축직각방향으로 주거더 사이에 설쳐서 설치하고, 작업발판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야 하는데, 작업발판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작업자는 매우 불안정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a method in which the worker approaches the bracing installation loca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eam, the work platform must be installed between the main beam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and the worker must stand on the work platform, but the work platform is not properly fixed. In many cases, workers have to perform work in very unstable and dangerous situations.
또한 브레이싱 설치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자재와 도구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러한 자재 및 도구를 거치할만한 공간의 확보가 매우 어려웠다. In addition, various materials and tools are required to perform work such as bracing installation, but in the past, it was very difficult to secure a space to hold these materials and tools.
위에서는 교량의 시공에 있어서 주거더 설치위치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고소(高所)에서의 교량 시공작업의 일예로서 가교의 주거더 사이의 교축직각방향 간격에 브레이싱을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이외에도 주거더 간의 교축방향 연결작업 등도 이러한 고소에서의 교량 시공작업에 해당한다. 특히, 가교를 시공할 때 연직하게 설치되는 원형강관의 상부 두부(頭部)에 대한 점검 및 확인 작업, 차량이 이동 중인 교량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작업자가 이동하여 수행해야 하는 작업, 가교 시공시 낙하물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공 방지 작업, 방지망 설치작업, 자재나 작업공구의 운반 작업 등 역시 고소(高所)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교량 시공작업에 해당한다. Above, as an example of bridge construction work at a height that must be performed at the main beam installation location during bridge construction, installing bracing in the ga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between the main beams of the bridge was exemplified. Bridge construction work at such high altitudes also includes work to connect bridges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In particular, when constructing a bridge, inspection and confirmation work on the upper head of the circular steel pipe installed vertically, work that must be performed by workers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on a bridge on which a vehicle is moving, and falling objects during bridge construction. Work to prevent falling holes, installation of prevention nets, and transportation of materials or work tools also fall under bridge construction work that must be performed from a height.
또한 가교 등의 교량 시공에서 낙하물 방지공 내지 방지망 설치공의 작업을 수행할 때(특히, 작업위치 아래에 차량이 운행하는 상황에서 낙하물 방지공 등의 설치작업을 해야 할 때) 종래에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하여 작업자가 안전밸트를 착용하고 이를 구조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작업자의 이동 및 움직임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자 안전조치를 위한 추가 비용과 시간이 더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work of a falling object prevention hole or prevention net installation work in bridge construction such as a bridge (especially when installation work such as a falling object prevention hole etc. must be performed in a situation where a vehicle is driving below the work location), conventionally, the worker's fall is expected to occur. To prevent this, work was performed with the worker wearing a safety belt and fixing it to the structure. This not only made the worker's movement and movements uncomfortable, but also required additional costs and time for these worker safety measures, thus reducing work efficiency. There is a problem with this deterioration.
한편, 이러한 고소에서의 교량 시공작업 수행을 위하여 교축방향으로 주행하는 대차를 이용하는 방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4205호 등에 의해 제시되고 있지만, 종래의 이러한 주행 대차는 위에서 서술한 종래 기술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bridge construction work at such high altitudes, a method of using a bogie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is proposed b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4205, etc.;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raveling bogie has many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가교(架橋)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 및 자재를 실은 채로 주거더(main girder)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 및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발판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주거더 사이의 브레이싱(bracing) 설치작업을 비롯하여 주거더를 설치하는 과정 및 주거더가 설치된 이후에 수행되어야 하는 여러 가지 고소(高所)에서의 교량 시공작업들을 작업자가 안전하게 그리고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만드는 주행 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constructing various types of bridges, including bridges, the main girder is loaded with various equipment and materials required for the work.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and is equipped with a work platform for workers to ride on, so it is performed dur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main beam, including installation work of bracing between the main beam, and after the main beam is install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aveling bogie that allows workers to safely and very efficiently perform bridge construction work at various heights.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치되어 교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거더에 걸쳐서 설치되어 주거더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부 이동대차; 및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현수 작업대로서, 상부 이동대차에 매달려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현수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부 이동대차가 주거더 위에 설치되면 현수 작업대는 상기 한 쌍의 주거더 사이의 빈 공간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교량의 주거더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주행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작업자는 현수 작업대에 탑승하여 한 쌍의 주거더 사이의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주행 대차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ask,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across a pair of main beams that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so that they can be moved by running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along the main bridge. upper mobile bogie; and a suspension workbench on which a worker can ride, including a suspension workbench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while hanging from an upper mobile cart; When the upper mobile cart is installed on the main girder, the suspension workbench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pair of main girders, so that the worker can perform work by traveling in the bridge axis direction along the main girder of the bridge. A moving cart for work is provided, where the position can be changed and the worker can ride on a suspended workbench and perform work in the space between a pair of main beams.
이러한 본 발명의 주행 대차에 있어서, 상부 이동대차는, 2개 이상의 주거더의 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수평한 판재로 이루어진 수평상면판과, 주거더의 상면을 따라 수평상면판이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상면판에 구비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현수 작업대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이 상부 이동대차의 아래쪽에 매달려서 설치되게 만들도록 연직하게 연장되는 행어부재를 포함하고 있는데, 행어부재의 상단은 상부 이동대차에 결합되고 작업발판은 행어부재의 하단에 결합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때, 행어부재는 연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행어부재를 이루는 봉부재의 상단이 수평상면판을 관통하여 행어부재와 수평상면판이 결합되는데; 행어부재를 이루는 봉부재를 연직방향으로 움직여서 행어부재의 상단이 수평상면판과 결합되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작업발판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traveling bogi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oving bogie has a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made of a horizontal plate arranged to cover the top of two or more main beams, and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can move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eam. It includes a moving member provided o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so as to; The suspension workbench includes a work platform on which the worker stands and works, and a hanger member that extends vertically so that the work platform can be installed while hanging below the upper mobile cart. The upper end of the hanger member is attached to the upper mobile cart. The work platform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er member. In this case, the hanger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ly extending rod members; The upper end of the rod member forming the hanger member penetrates the horizontal top plate, and the hanger member and the horizontal top plate are coupled; By moving the rod member forming the hanger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hanger member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top plate, the work platform can be raised and lower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작업발판의 교축방향 길이가 평상면판의 교축방향 길이보다 더 길어서, 수평상면판에 의해 덮이지 않는 자유작업 평면부가 작업발판의 교축방향 전방 및 후방 상면에 각각 존재하는 구성을 가지거나, 또는 작업발판의 일부가 수평상면판보다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존재하도록 작업발판이 행어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수평상면판에 의해 덮이지 않는 자유작업 평면부가 작업발판의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 상면에 존재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주행 대차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the axial length of the work platform is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flat surface plate, so that the free working plane not covered by the horizontal surface plate is used to control the work platform. It has a configuration that exists on the front and rear upper surfaces, respectively, or the work scaffol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er member so that a part of the work scaffold protrudes further forward or rear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and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A traveling cart for work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working plane portion not covered by the work platform is located on the front or rear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in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주행 대차는 교량의 주거더에 설치되어, 주거더 사이의 간격에 작업발판이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탑승하여 주거더에 대한 필요한 교량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 고소에서도 작업자는 매우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교량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가교의 시공을 포함하여 각종 교량의 시공에 있어서는 가교의 주거더 사이의 교축직각방향 간격에 브레이싱을 설치하는 브레이싱 설치작업, 연직하게 설치되는 원형강관의 상부 두부(頭部)에 대한 점검 및 확인 작업, 차량이 이동 중인 교량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작업자가 이동하여 수행해야 하는 작업, 가교 시공시 낙하물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공 방지 작업, 방지망 설치작업, 자재나 작업공구의 운반 작업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고소(高所)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교량 시공작업이 존재하는 바, 본 발명의 주행 대차를 이용하면 위와 같은 고소에서의 다양한 교량 시공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traveling bog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main beam of a bridge, and a work platform is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 main beams. In this state, a worker can board and perform the necessary bridge construction work on the main beam. The advantage is that workers can perform bridge construction work very safely and stably. In particular, as mentioned earlier, in the construction of various bridg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bridges, bracing installation work involves installing bracing in the ga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between the bridge main beams, and the upper head of the circular steel pipe installed vertically. inspection and confirmation work, work that requires workers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on a bridge on which a vehicle is moving, work to prevent falling holes to prevent falling objects during bridge construction, work to install prevention nets, work to transport materials or work tools. There are various types of bridge construction work that must be performed at high altitudes, such as the above, and by using the traveling bogi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bridge construction works at high altitudes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very efficiently.
본 발명의 주행 대차에서는 상부 이동대차의 상면에 교량 시공작업에 필요한 각종 자재 내지 공구들을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부 이동대차의 상면에 비치된 자재 내지 공구들을 편리하게 이용하여 필요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the traveling bogi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aterials and tools required for bridge construction work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bile bogie, so workers can conveniently use the materials and tool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bile bogie to efficiently perform the necessary work.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perform are demonstrated.
특히, 주거더가 하천을 가로질러 배치는 경우와 같이 주거더 아래의 지상 조건이 불리하여 승강기를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고소의 교량 시공작업 위치까지의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일지라도 본 발명의 주행 대차를 이용하게 되면 작업자는 고소의 교량 시공작업 위치까지 안전하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교량 시공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particular, even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access the high-altitude bridge construction work location from the ground using an elevator due to unfavorable ground conditions under the main girder, such as when the main girder is placed across a river, the traveling bogi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used, workers can safely and easily access high-altitude bridge construction work locations, thereby enabling bridge construction work to be performed very efficiently.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가교의 시공과 낙하물 방지공 내지 방지망 설치공의 작업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가교 설치 속도가 빨라지며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위치 아래에 차량이 운행하는 상황 등과 같이 고소(高所) 위치나 기타 위험한 위치에서도, 안전하게 낙하물 방지공과 방지망 설치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전에 요구되었던 작업자에 대한 별도의 안전조치(안전밸트를 착용하고 이를 고정물에 연결하는 등의 조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증가되고 안전조치를 위해 소요되던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시공경제성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of bridge construction and falling object prevention work or prevention net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together, so the bridge installation speed is increased and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falling object prevention work and prevention net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safely even in high places or other dangerous locations, such as in situations where a vehicle is driving below the work location, and thus separate safety for workers that was previously required is achieved. Measures (such as wearing a safety belt and connecting it to a fixture) can be omitted, which greatly increases the efficiency of work and reduces the costs incurred for safety measures, thereby increas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construction. The effect is achieve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행 대차에 대한 연직하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대차가 가교에서 주거더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로 표시된 교축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화살표 B-B에 따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작업발판의 높이가 변화되어 있는 주행 대차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작업발판이 수평상면판보다 교축방향 후방으로 더 치우쳐 설치됨으로써 자유작업 평면부가 교축방향 후방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각각 작업발판이 수평상면판보다 교축방향 전방으로 더 치우쳐 설치됨으로써 자유작업 평면부가 교축방향 전방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작업발판이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행어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의 현수 작업대만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서 작업발판과 행어부재 하단의 결합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하여 작업발판에 대한 도 10의 화살표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대차가 가교에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주행 대차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교축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도 6에 대응되는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작업발판이 삽입되어 있던 위치를 교축직각방향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교축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를 이용하여 작업발판에 작업자 낙하 방지 용도의 네트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 1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를 작업발판에 고정 설치하고 그 사이에 네트를 설치한 형태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raveling bogie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traveling bogie of FIG. 1 taken vertically downward.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is installed between main beams on a bridge.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in FIG. 4.
Figure 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along arrow BB in Figure 4.
Figures 7 (a) and (b)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corresponding to Figure 1, respectively, showing the state of the traveling bogie with the height of the work platform chang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ure 1.
Figures 8 (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traveling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ork platform is installed more skewed rear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top plate, so that the free working plane portion is located rear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and schematic floor plan.
Figures 9 (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traveling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ork platform is installed more biased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top plate, so that the free working plane por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axial direc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and schematic floor plan.
Figure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suspension work platform of the traveling bogi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which the work platform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er member so that it can slide and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rrow DD of FIG. 10 of the work platform to show in detail the joined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work platform and the hanger member in the embodiment of FIG. 10.
Figure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4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veling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ridge and a worker is riding on the traveling bogie.
Figure 13 is a schematic side view in the throttl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Figure 5 for the state shown in Figure 12.
FIG. 1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corresponding to FIG. 6 for the state shown in FIG. 12.
Figure 1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corresponding to Figure 5 show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sition where the work footrest was inser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12 showing a net installed on a work platform to prevent workers from falling using a vertical support jig member.
Figure 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vertical support jig member.
Figure 18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jig member of Figure 17 fixed to a work platform and a net installed between the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100)를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의 주행 대차(100)에 대한 연직하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대차(100)가 가교(假橋)(200)에서 주거더(20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화살표 A로 표시된 교축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의 화살표 B-B에 따른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and 2 respectively show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traveling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대차(100)는 교량의 주거더(201)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주행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주거더(201)에 걸쳐서 주거더의 상면에 놓여서 주거더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이동대차(1)와, 상기 상부 이동대차(1)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교축직각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주거더(201)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현수(懸垂) 작업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raveling
구체적으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상부 이동대차(1)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주거더(201)의 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수평한 판재로 이루어진 수평상면판(10)과, 주거더(201)의 상면을 따라 수평상면판(10)이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상면판(10)에 구비되는 이동부재(1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동부재(11)는 교축직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구름바퀴(wheel)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구름바퀴는 교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름바퀴는 각각 주거더(201)의 상면에 밀착하게 놓이고 구름바퀴가 굴러가면서 수평상면판(10)이 이동하게 되어 주행 대차(100)가 교축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구름바퀴가 교축직각방향으로 밀려가서 주거더(201)의 상면 즉, 주거더(201)를 이루는 상부플랜지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상부 이동대차(1)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름바퀴에서 교축직각방향의 외측에 구름바퀴의 원주를 따라 바퀴돌기(12)를 형성하여 바퀴돌기(12)가 주거더(201)의 상부플랜지 외측면(교축직각방향 측면)에 밀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13은 구름바퀴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1)에서 교축직각방향으로 연장된 구름바퀴 회전축(13)을 나타내며, 부재번호 14는 구름바퀴 회전축(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수평상면판(10)에 구비되는 회전축 지지부재(14)를 나타낸다. 구름바퀴는 모터 등의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주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터 등의 동력장치는 수평상면판(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편의상 도면에서는 주행 대차(100)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 및 이러한 동력 전달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주행 대차(100)가 주행할 수 있게 만드는 구성 즉, 수평상면판(10)이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드는 이동부재(11)는 상기한 구름바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다른 예로서 이동부재(11)는 주거더(201)의 상면에 밀착하게 되어 슬라이딩(sliding)되어 미끄러지면서 움직이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주거더(201)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만드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upper
현수 작업대(2)는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는 부재로서, 구체적으로 현수 작업대(2)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발판(20)과, 상기 작업발판(20)이 상부 이동대차(1)의 아래쪽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게 만드는 행어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현수 작업대(2)는 상부 이동대차(1)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데, 이 때 작업발판(20)가 승하강하여 그 높이가 연직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현수 작업대(2)가 상부 이동대차(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spension workbench (2) is a member on which the worker rides. Specifically, the suspension workbench (2) includes a work platform (20) on which the worker stands and works, and the work platform (20) is an upper mobile cart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작업발판(20)은 평평한 상면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어부재(21)는 연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승하강 봉(棒)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봉부재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행어부재(21)의 하단에 작업발판(20)이 결합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행어부재(21) 각각은 그 상단이 상부 이동대차(1)의 수평상면판(10)을 관통한 상태로 수평상면판(10)과 결합되어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행어부재(21)가 강체(剛體)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승하강 봉(棒)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행어부재(21)를 이루는 일부의 봉부재를 케이블, 로프 등과 같이 그 직선형상을 유지하지 못하지만 길게 연장되는 부재로 대체하여 봉 부재와 함께 행어부재(21)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 to 6, the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는 작업발판(20)이 위치하게 되는 연직높이를 필요에 맞춰 변화시킬 수 있도록 작업발판(20)이 승하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행어부재(21)의 상단이 수평상면판(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행어부재(21)에는 수평방향의 삽입공(22)을 연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관통 형성해두고, 행어부재(21)의 상단이 수평상면판(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수평상면판(10)의 상면 위치와 하면 위치 각각에서 행어부재(21)의 삽입공(22)에 각각 삽입고정핀(pin)(23)을 끼우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위의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행어부재(21)의 상단이 수평상면판(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수평상면판(10)의 상면 위치와 하면 위치 각각에서 삽입고정핀(23)이 행어부재(21)의 삽입공(22)에 끼워져 있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행어부재(21)가 수평상면판(10)을 관통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어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된 작업발판(20)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로 상부 이동대차(1)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The traveling
필요에 따라서는 행어부재(21)를 연직방향으로 움직여서 행어부재(21)의 상단이 수평상면판(10)과 결합되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고정핀(23)을 행어부재(21)로부터 뽑은 상태에서 행어부재(21)를 연직방향으로 움직인 후 다시 삽입고정핀(23)을 수평상면판(10)의 상면 위치와 하면 위치 각각에서 행어부재(21)의 삽입공(22)에 끼움으로써, 행어부재(21)의 상단에서 수평상면판(10)과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시키고 그에 따라 작업발판(20)을 연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킨 후 그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7의 (a) 및 (b)에는 각각 도 1에 대응되는 주행 대차(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의 (a)에는 작업발판(20)이 상승하여 행어부재(21)의 상단이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수평상면판(10) 위로 더 많이 돌출되게 만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의 (b)에는 작업발판(20)을 하강시켜서 행어부재(21)의 상단이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만든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If necessar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행어부재(21)를 이용하여 작업발판(20)을 수평상면판(10)의 아래쪽에 매달아서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발판(20)이 승하강하여 그 설치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구성은 위에서 예시한 삽입공(22)과 삽입고정핀(23)을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행어부재(21)와 수평상면판(10)이 결합되는 부분에 래크와 피니언(rack and pinon) 구성을 설치하여 전동모터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행어부재(21)를 연직방향으로 움직여서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킬 수도 있다. 즉, 수평상면판(10) 위로 돌출되어 있는 행어부재(21)의 돌출상부 또는 수평상면판(10)을 관통하기 직전에 수평상면판(10)의 하면 부근의 행어부재(21)의 상부에 래크(rack)를 설치하고,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pinon)을 수평상면판(10)에 설치하여 피니언의 회전운동을 래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행어부재(21)를 연직방향으로 움직이고, 그에 따라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예시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행어부재(21)의 상단에서 수평상면판(10)과 결합되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타 다른 구성을 이용하거나 또는 행어부재(21)의 하단에서 작업발판(20)이 결합되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타 다른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작업발판(20)을 필요한 연직위치로 승하강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한편, 본 발명에서 현수 작업대(2)의 작업발판(20)을 상부 이동대차(1)의 수평상면판(10)의 아래에 매달아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발판(20)과 수평상면판(10) 사이의 연직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자가 작업발판(20) 위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20)은 연직방향의 평면형상으로 볼 때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를 연직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았을 때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으로 더 연장되어서 수평상면판(10)에 의해 덮이지 않는 부분 즉, "자유작업 평면부(W)"가 작업발판(20)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3 참조).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work platform (20) of the suspended work platform (2) by hanging it below the horizontal top plate (10) of the upper mobile cart (1), the work platform (20) and the horizontal top plate (10) In order for the worker to work conveniently on the
이러한 자유작업 평면부(W)를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첫째 방안으로는 도 1 내지 도 7에 예시된 실시예처럼 작업발판(20)의 교축방향 길이를 수평상면판(10)의 교축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발판(20)이 수평상면판(10)보다 더 긴 교축방향 길이를 가지게 되면 작업발판(20)에는 교축방향 전,후방에 각각 자유작업 평면부(W)가 존재하게 되며, 작업자가 이러한 자유작업 평면부(W)에 올라섰을 때 작업자의 머리 위에는 수평상면판(1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작업발판(20)과 수평상면판(10) 사이의 연직 간격이 좁은 상태일지라도 작업자는 자유작업 평면부(W)에서 서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자유작업 평면부(W)에 탑승한 작업자는 수평상면판(10)의 존재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필요한 작업을 작업발판(20)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a specific first method for securing this free working plane portion (W), as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to 7, the length of the
자유작업 평면부(W)를 확보하기 위한 또다른 방안으로는 작업발판(20)의 일부가 연직방향의 평면으로 볼 때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존재하도록 작업발판(20)을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함으로써, 작업발판(20)을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치우친 상태로 위치하게 만들어서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곳에 자유작업 평면부(W)를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도 8의 (a) 및 (b)에는 각각 작업발판(20)이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 후방으로 더 치우쳐 설치됨으로써 자유작업 평면부(W)가 교축방향 후방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a) 및 (b)에는 각각 작업발판(20)이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 전방으로 더 치우쳐 설치됨으로써 자유작업 평면부(W)가 교축방향 전방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발판(20)이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 전방이나 후방으로 더 치우쳐 설치됨으로써 작업발판(20)에서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에 자유작업 평면부(W)가 존재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수평상면판(10)의 존재에 구애받지 않고 즉, 작업발판(20)과 수평상면판(10) 사이의 연직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작업 평면부(W)에 올라서서 자유롭게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nother method for securing the free working plane part (W) is to make a part of the work platform (20) protrude further forward or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10) when viewed in a vertical plane. By coupling the
위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켜서 그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 및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발판(20)을 교축방향 일측에 치우져서 설치하여서 자유작업 평면부(W)를 확보하는 것은 지상에서의 조립 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상에서 행어부재(21)를 수평상면판(10)에 관통시켜서 결합하고 작업발판(20)을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하여 주행 대차(100)를 작업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조립 완성할 때, 행어부재(21)가 수평상면판(10)의 위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결합하고 행어부재(21)의 하단이 작업발판(20)의 교축방향 일측에 치우져서 결합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주행 대차(100)가 주거더(201)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발판(20)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동력을 이용하여 행어부재(21)를 연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지상에서의 작업이 아니라 주행 대차(100)가 주거더(201)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Raising and lowering the
또한 자유작업 평면부(W)를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발판(20)이 교축방향 일측에 치우져서 위치하게 만드는 작업 역시 지상에서의 작업이 아니라 주행 대차(100)가 주거더(201)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행되게 만들 수도 있다. 즉, 작업발판(20)이 동력이나 작업자의 가력에 의해 교축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20)을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함으로써, 주행 대차(100)를 지상으로 내리지 않고서도 고소(高所)에 위치한 상태에서 위와 같이 작업발판(20)이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치우쳐 위치하게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작업발판(20)과 행어부재(21)의 하단을 결합함에 있어서, 작업발판(20)이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에는 작업발판(20)이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100)에 구비된 현수(懸垂) 작업대(2)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실시예에서 작업발판(20)과 행어부재(21) 하단의 결합 부분을 상세히 보여주기 위하여 작업발판(20)에 대한 도 10의 화살표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예시된 것처럼 작업발판(20)의 상면에 오목한 레일홈(28)을 가지는 레일(27)을 설치하고 행어부재(21)의 하단에는 레일홈(28)에 끼워져 구름운동하되 연직방향으로는 뽑히지 않는 바퀴(wheel) 부재(29)를 설치하는 구성을 통해서 작업발판(20)이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바퀴 부재(29)와 레일 홈(28)을 이용하는 것은 작업발판(20)이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의 일예이며, 본 발명에서는 기타 다른 형태로 작업발판(20)의 교축방향 전,후방 이동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주행 대차(100)를 지상으로 내린 후 지상에서의 작업에 의해 작업발판(20)을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교축방향으로 치우치게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하고 다시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주행 대차(100)를 주거더 위에 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free working plane part (W), the work of positioning the work platform (20) off to one side of the axis direction is not a work on the ground, but rather is done with the traveling cart (100) installed on the main body (201). You can make it progress. That is, the working
다음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대차(100)를 설치하여 고소에서의 필요한 교량 시공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대차(100)가 가교(假橋)(200)에서 주거더(201)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주행 대차(100)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도 5에 대응되는 교축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도 6에 대응되는 교축직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각각 도 1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100)를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대차(100)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it will be described how to install the traveling
지상에서의 작업에 의해 행어부재(21)의 하단에는 작업발판(20)이 결합되어 있고, 행어부재(21)의 상단은 수평상면판(10)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주행 대차(100)를 준비한다. 이렇게 준비된 주행 대차(100)를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인양하여 주거더(201)의 상면에 올려 놓는다. 이 때, 상부 이동대차(1)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상부 이동대차(1)에 매달린 행어부재(21)와 작업발판(20)은 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주거더(201) 사이의 간격에 연직방향 하향으로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고, 상부 이동대차(1)에 구비된 이동부재(11)는 주거더(201)의 상면에 놓이게 되어 상부 이동대차(1)는 주거더(201) 위에 걸쳐진 채로 설치된다. 즉, 작업발판(20)은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고 행어부재(21)의 상단은 상부 이동대차(1)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이동대차(1)는 2개 이상의 주거더(201)의 위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발판(20)은 낙하의 위험 없이 매우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상부 이동대차(1)의 아래쪽에 매달린 형태로 주거더(201)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A
이렇게 주행 대차(100)가 주거더(201)에 설치되어 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주거더(201) 사이의 간격에 작업발판(20)이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업발판(20)의 자유작업 평면부(W)에 탑승한 후, 마주하게 되는 주거더(201)의 교축직각방향 측면에 대하여 필요한 작업을 매우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연직방향의 평면형상으로 볼 때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있는 작업발판(20)의 자유작업 평면부(W)에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수평상면판(10)으로 인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 즉, 수평상면판(10)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작업 평면부(W)에서 필요한 작업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작업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traveling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에서 상부 이동대차(1)의 상면에는 교량 시공작업에 필요한 각종 자재 내지 공구들을 올려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 이동대차(1)의 상면에 비치된 자재 내지 공구들을 편리하게 이용하여 필요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e traveling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는 상부 이동대차(1)가 주거더(201)에 놓이 상태로 주거더(201)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주행 대차(100)의 이동에 따라 교축방향으로 필요한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가교를 설치할 때 주거더(21) 사이를 연결하는 브레이싱은 교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위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발판(20)에 탑승한 채로 주행 대차(100)가 교축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브레이싱 설치 위치에 도달한 후, 작업자는 상부 이동대차(1)의 상면에 실려 있던 자재 및 공구를 이용하여 자유작업 평면부(W)에서 브레이싱을 설치하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traveling
특히, 주거더가 하천을 가로질러 배치는 경우와 같이 주거더 아래의 지상 조건이 불리한 경우에도, 교축방향 양단의 지상 위치에 인양장비를 설치하고 이러한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주행 대차(100)를 주거더 위에 설치한 후 주행 대차(100)를 교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주행 대차(100)를 교량 시공작업이 필요한 위치까지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주거더의 아래쪽 공간과 무관하게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에 쉽게 접근하여 필요한 교량 시공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even when the ground conditions under the main body are unfavorable, such as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across a river, lifting equipment is installed at ground positions at both ends of the main axis direction and the travel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 즉, 교각이 매우 높아서 승강기를 이용하여 지상에서부터 작업자가 교량 시공작업 위치에 접근하기 어렵게 되거나 또는 주거더 아래의 상태가 승강기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지역에 해당하여 승강기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모두 해소된다. 또한 상부 이동대차(1)의 상면을 자재 내지 공구의 탑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더욱 효율적으로 교량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is that the bridge piers are very high, making it difficult for workers to access the bridge construction work location from the ground using an elevator, or the condition under the main bridge is in an area where elevator installation is impossible or difficult. All problems that make it impossible to use the elevator are resolved.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bile cart (1) can be used as a loading space for materials or tools, allowing workers to perform bridge construction work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를 이용하여 브레이싱 설치 등과 같은 각종 교량 시공작업을 고소에서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켜서 그 설치 위치를 조절하거나 또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자유작업 평면부(W)의 교축방향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하차한 상태에서 주행 대차(100)를 인양장비로 지상으로 내린 후 이러한 작업발판(20)의 연직위치 내지 자유작업 평면부(W)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주행 대차(100)를 인양하여 주거더 위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예시한 실시예처럼 동력에 의해 또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작업발판(20)을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주행 대차(100)를 지상으로 내리지 않고 고소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발판(20)의 연직위치 내지 자유작업 평면부(W)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작업을 수행한 후 작업자가 다시 탑승하여 필요한 위치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When performing various bridge construction work such as bracing installation at a high place using the traveling
작업발판(20)이 삽입되어 있던 위치를 교축직각방향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주행 대차(100)를 들어 올린 후 교축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주거더 사이에 작업발판(20)을 삽입 설치하면 된다. 도 15에는 작업발판(20)이 삽입되어 있던 위치를 교축직각방향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교축방향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5에 예시된 것처럼 교축직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한 쌍의 주거더(E, F) 사이에 작업발판(20)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도 15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에서, 또다른 한 쌍의 주거더(P, Q) 사이에 작업발판(20)이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작업발판(20)의 삽입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주행 대차(100)를 들어 올린 후 교축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원하는 주거더 사이에 작업발판(20)을 삽입 설치하면 된다.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work scaffold (20) was inser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lift the traveling cart (100) using lifting equipment and then move i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to place the work scaffold (20) between the desired main bases. )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Figure 15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corresponding to Figure 5 show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sition where the
필요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작업발판(20)으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발판(20)의 작업 공간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네트, 가로 막대 등의 난간부재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6에는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를 이용하여 작업발판(20) 위쪽의 작업 공간의 외곽을 감싸도록 작업자 낙하 방지 용도의 네트(36)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 1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네트(36)의 설치를 위하여 작업발판(20)에 분해가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의 일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도 17의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를 작업발판(20)에 고정 설치하고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 사이에 네트(36)를 설치한 형태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If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from the
도 17에 예시된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는 연직하게 세워진 막대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되 하단에는 작업발판(20)을 물어서 체결할 수 있는 지그부분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서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의 지그부분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되 연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는 상,하부 지그연장부(350a, 350b)와, 상부 지그연장부(350a)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연직이동하는 나사 가압부(35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The vertical
따라서 상,하부 지그연장부(350a, 350b) 사이의 연직간격에 작업발판(20)의 전부 내지 일부가 삽입되고 나사 가압부(351)가 연직이동하여 작업발판(20)을 가압함으로써,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의 하단에 형성된 지그부분이 작업발판(20)을 물어주게 되면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가 연직하게 세워지고 분해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작업발판(20)에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를 설치하고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 사이에 네트(그물)(36)을 설치하여 작업발판(20)에 올라서는 작업자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다. 물론 네트 대신에 수평하게 연장된 가로 막대 등과 같이 또다른 형태의 다양한 난간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Therefore, all or part of the
위에서는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교량의 일예로서 가교(假橋)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가 사용될 수 있는 장소는 이러한 가교를 포함한 다양한 교량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주행 대차(100)은 주거더가 길게 연장된 장소라면 어디든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Above, in explaining the traveling
1: 상부 이동대차
2: 현수 작업대
10: 수평상면판
11: 이동부재
12: 바퀴돌기
20: 작업발판
21: 행어부재
22: 삽입공
23: 삽입고정핀
100: 주행 대차
200: 가교
201: 주거더1: Upper mobile truck
2: Suspension workbench
10: Horizontal top plate
11: Moving member
12: wheel turning
20: Work platform
21: Hanger member
22: Insertion hole
23: Insertion fixing pin
100: Traveling bogie
200: crosslinking
201: JujuMore
Claims (5)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현수 작업대(2)로서, 상부 이동대차(1)에 매달려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현수 작업대(2)를 포함하며;
상부 이동대차(1)는, 2개 이상의 주거더(201)의 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수평상면판(10)과, 주거더(201)의 상면을 따라 수평상면판(10)이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상면판(10)에 구비되는 이동부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현수 작업대(2)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발판(20)과, 연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부 이동대차(1)에 결합되고 하단은 작업발판(20)에 결합되는 행어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부 이동대차(1)가 주거더(201)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면, 행어부재(21)에 의해 작업발판(20)이 상부 이동대차(1)의 아래쪽에 매달린 상태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현수 작업대(2)가 한 쌍의 주거더(201)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빈 공간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되며;
행어부재(21)는 연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행어부재(21)를 이루는 봉부재의 상단이 수평상면판(10)을 관통하여 행어부재(21)와 수평상면판(10)이 결합되는데, 행어부재(21)를 이루는 봉부재를 연직방향으로 움직여서 행어부재(21)의 상단이 수평상면판(10)과 결합되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작업발판(20)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교량의 주거더(201)를 따라 교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작업자는 현수 작업대(2)에 탑승하여 한 쌍의 주거더(201) 사이의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연직하게 세워진 막대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가 복수개로 설치되고, 복수개의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 사이에 네트(36)가 설치되어 작업발판(20)에 올라서는 작업자의 추락을 예방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의 하단에는 지그부분이 구비되어 있되,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의 지그부분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되 연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하는 상,하부 지그연장부(350a, 350b)와, 상부 지그연장부(350a)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연직이동하는 나사 가압부(35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하부 지그연장부(350a, 350b) 사이의 연직간격에 작업발판(20)의 전부 내지 일부가 삽입되고 나사 가압부(351)가 연직이동하여 작업발판(20)을 가압함으로써,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의 하단에 형성된 지그부분이 작업발판(20)을 물어주게 되면 연직 지주형 지그부재(35)가 연직하게 세워지고 분해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작업발판(20)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며;
작업발판(20)의 상면에는 오목한 레일홈(28)을 가지는 레일(27)이 설치되고, 행어부재(21)의 하단에는 레일홈(28)에 끼워져 구름운동하되 연직방향으로는 뽑히지 않는 바퀴(wheel) 부재(29)가 구비되어 작업발판(20)이 행어부재(21)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어서, 작업발판(20)이 교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치우친 상태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작업발판(20)의 일부가 수평상면판(10)보다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존재하게 되어, 수평상면판(1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자유작업 평면부(W)가 작업발판(20)의 교축방향 전방 또는 후방 상면에 존재하고, 작업자는 자유작업 평면부(W)에 탑승하게 되고, 작업자는 수평상면판(10)으로 인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상부 이동대차(1)의 상면을 물품 비치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작업용 주행 대차. An upper mobile bogie (1) installed across a pair of main beams (201) extending in the axis direction and capable of moving in the axis direction along the main pillars (201); and
A suspension workbench (2) on which a worker can ride, comprising a suspension workbench (2) installed to extend downward while hanging from an upper mobile carriage (1);
The upper mobile cart (1) includes a horizontal top plate (10) disposed to cover the top of two or more main bases (201), and a horizontal top plate (10) arrang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ase (20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ving member (11) provided o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10) so that it can be moved;
The suspension workbench (2) has a work platform (20) on which the worker stands and works, and a hanger member ( 21) and consists of;
When the upper mobile trolley (1) is installed so as to span the main frame (201), the work platform (20) is positioned in a state hanging below the upper mobile trolley (1) by the hanger member (21), thereby forming a suspended workbench ( 2)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empty space existing between the pair of main bases 201;
The hanger member 2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ly extending rod members, and the upper end of the rod member forming the hanger member 21 penetrates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10 to connect the hanger member 21 and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10) is coupled, by moving the rod member forming the hanger member 21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hange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hanger member 21 is coupled with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10, thereby lifting the work platform 20. It ha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it to be lowered,
The position to perform work can be chang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xis along the bridge's main deck (201), and workers can board the suspension workbench (2) and perform work in the space between a pair of main decks (201). becomes possible;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type jig members 35 made of vertically standing rod-shaped members are installed, and a net 36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type jig members 35, so that when standing on the work platform 20, a net 36 is installed. It has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workers from falling;
A jig par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support jig member 35. The jig part of the vertical support jig member 35 extends horizontally, and the upper and lower jigs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extension parts (350a, 350b) and a screw pressing part (351) that is screwed through the upper jig extension part (350a) and moves vertically by rotation;
All or part of the work platform 2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ig extension parts 350a and 350b, and the screw pressurizing part 351 moves vertically to press the work platform 20, thereby creating a vertical support type. When the jig pa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jig member 35 touches the work platform 20, the vertical support-type jig member 35 is erected vertically and is fixed to the work platform 20 in a form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has;
A rail 27 having a concave rail groove 2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20, and a wheel (27)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28 and rolls but is not pulled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hanger member 21. wheel) member 29 is provided so that the work platform 2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ger member 21 and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axis direction, so that the work platform 20 moves in the axis direction. As a result, it is positioned in a state more biased forward or rear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10, so that a part of the work platform 20 protrudes further forward or rear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plate 10. , a free work plane portion (W) not covered by the horizontal top plate 10 is present on the front or rear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20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worker rides on the free work plane portion (W), Due to the horizontal top plate (10), the worker can perform work without bending the waist or 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bile cart (1) as a storage space for goods. Bogi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4006A KR102580297B1 (en) | 2023-06-29 | 2023-06-29 | Moving Vehicle for Carry Workers and Equipments of Bridge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4006A KR102580297B1 (en) | 2023-06-29 | 2023-06-29 | Moving Vehicle for Carry Workers and Equipments of Bridge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0297B1 true KR102580297B1 (en) | 2023-09-20 |
Family
ID=8819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4006A KR102580297B1 (en) | 2023-06-29 | 2023-06-29 | Moving Vehicle for Carry Workers and Equipments of Bridge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0297B1 (en)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70405A (en) * | 1985-05-22 | 1986-11-29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
KR200233184Y1 (en) * | 2001-02-14 | 2001-09-29 | (주)신성엔지니어링 | Bridge Inspection Stand |
KR200397441Y1 (en) * | 2005-07-19 | 2005-10-04 | 마스타케미칼 주식회사 | Transferring vehicle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bridge |
KR200428875Y1 (en) * | 2006-08-01 | 2006-10-16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Folding type inspection station |
KR20070010522A (en) * | 2005-07-19 | 2007-01-24 | 마스타케미칼 주식회사 | Transferring vehicle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bridge |
KR20140060645A (en) * | 2012-11-12 | 2014-05-21 |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 Carriage for repairing bridge |
KR20160109081A (en) * | 2015-03-09 | 2016-09-2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arriage for Bridge |
KR20160109080A (en) * | 2015-03-09 | 2016-09-2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arriage for Bridge |
KR101794205B1 (en) | 2015-03-09 | 2017-12-0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arriage for Bridge |
KR102328063B1 (en) * | 2021-05-17 | 2021-11-17 | (주)유진건철 | Portable workstation |
-
2023
- 2023-06-29 KR KR1020230084006A patent/KR10258029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70405A (en) * | 1985-05-22 | 1986-11-29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Bridge maintenance apparatus |
KR200233184Y1 (en) * | 2001-02-14 | 2001-09-29 | (주)신성엔지니어링 | Bridge Inspection Stand |
KR200397441Y1 (en) * | 2005-07-19 | 2005-10-04 | 마스타케미칼 주식회사 | Transferring vehicle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bridge |
KR20070010522A (en) * | 2005-07-19 | 2007-01-24 | 마스타케미칼 주식회사 | Transferring vehicle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bridge |
KR200428875Y1 (en) * | 2006-08-01 | 2006-10-16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Folding type inspection station |
KR20140060645A (en) * | 2012-11-12 | 2014-05-21 |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 Carriage for repairing bridge |
KR20160109081A (en) * | 2015-03-09 | 2016-09-2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arriage for Bridge |
KR20160109080A (en) * | 2015-03-09 | 2016-09-2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arriage for Bridge |
KR101794205B1 (en) | 2015-03-09 | 2017-12-01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arriage for Bridge |
KR102328063B1 (en) * | 2021-05-17 | 2021-11-17 | (주)유진건철 | Portable workst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59094B2 (en) | Moving scaffold | |
CN103342318A (en) | Lifting device for steel truss inspection trolley working platfor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CN109573851B (en) | Arc-shaped roof internode steel truss hanging and installing integrated device and butt-joint hanging method | |
JP5769961B2 (en) | Construction method and removal method of structure | |
JP6270692B2 (en) |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 |
JP6167025B2 (en) | Stair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heavy objects | |
CN110562856B (en) | Hoisting device for heavy object and hoisting and carrying method | |
EP0082290A2 (en) | Crane with a movable work platform | |
KR101028631B1 (en) | Movable bridge inspection equipment | |
KR102580297B1 (en) | Moving Vehicle for Carry Workers and Equipments of Bridge Construction | |
KR102225739B1 (en) | Carrying device for exchanging festoon hanger rail of crane and exchanging method using it | |
JP6873435B2 (en) | Suspended scaffolding and its erection method | |
JP5356091B2 (en) | Crane girder exchanging method and crane girder exchanging apparatus | |
JP4694859B2 (en) | Inclined passenger conveyor equipment,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nd delivery method thereof | |
JP4330141B2 (en) | Precast concrete floor laying equipment | |
CN112681144B (en) | Self-climbing installation method of steel cable tower | |
CN215055466U (en) | Discharging platform for high-rise building | |
JP2017071488A (en) | Device and method for stair lifting of heavy load | |
CN110273370B (en) | Method for installing beam guide machine on beam erecting station | |
CN108821082B (en) | Steel structure derrick for mining | |
KR100377529B1 (en) | Working platform for bridge construction | |
KR20210000005A (en) | Lift Worktable For Railway | |
CN220224960U (en) | Construction platform | |
JPH0328066Y2 (en) | ||
JP6970552B2 (en) | Work prot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