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964B1 -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964B1
KR102579964B1 KR1020230032645A KR20230032645A KR102579964B1 KR 102579964 B1 KR102579964 B1 KR 102579964B1 KR 1020230032645 A KR1020230032645 A KR 1020230032645A KR 20230032645 A KR20230032645 A KR 20230032645A KR 102579964 B1 KR102579964 B1 KR 10257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fire
flame
charging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신동혁
김기재
Original Assignee
(주)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바 filed Critical (주)에바
Priority to KR102023003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충전 모듈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은,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되며,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S IN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는 전 세계적인 녹색 성장 정책의 기조와 함께 각국 정부들 및 기업들의 관심과 투자를 받고 있는 미래형 융합기술이다. 이에 자동차 산업은 종래의 오일 기반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시장의 수요 중심축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COVID-19 팬데믹 여파로 자동차 시장이 침체한 상황에서도 전 세계 전기차 판매 규모가 전년 대비 45% 급증한 294만 3,172대에 달했고, 국내의 경우도 6만 1,193대의 전기차가 판매되면서 전년 대비 46.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앞서 딜로이트(Deloitte)는 2020년부터 2030년까지 10년 동안 전 세계 전기차 시장 성장률이 연평균(CAGR) 29%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최근, 전기차 기술의 발달로, 차량에는 고용량의 차량용 배터리가 포함되기 시작하고 있다. 특히, 차량용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복수 개의 배터리가 집약적 밀집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작동 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고, 고온의 열에 의해 화재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무서운 점은 크게 2가지이다. 첫 번째는 충돌과 동시에 불이 나면서 불길이 순식간에 차량 전체로 번질 만큼, 확산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고, 이는 배터리 열폭주 현상 때문이다. 또한, 두 번째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진화가 어렵다는 점이고, 이는 배터리 패키지가 철제로 덮여 있어 소화제가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배터리 열폭주가 발생하면, 차를 통째로 거대한 수조에 집어넣거나 차 주변에 가벽을 세워서 배터리 전체를 물로 감싸야 하는 등 진화에 어려움이 있는 바, 배터리 열폭주가 발생하기 전에 화재를 보다 빠르게 신고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주차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복수의 충전 모듈 내에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함으로써,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차 화재 발생을 자동적으로 신고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보다 빠른 대응을 가능케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충전 모듈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은,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되며,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충전 모듈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규모와 화재의 발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제1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1 센서와 제2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2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과 상기 제1 충전 모듈 사이의 각도,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과 상기 제2 충전 모듈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1 충전 모듈과 상기 제2 충전 모듈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법에 따라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및 상기 판단된 화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상기 특정 충전 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와 상기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119 안전신고센터 서버로 전기차 화재 발생을 자동적으로 신고 접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의 차주와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의 차주들에게 전기차 화재 발생을 안내하는 알림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배치된 충전 모듈의 충전 동작을 중단시키되,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충전 모듈 중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을 감지한 충전 모듈에 대한 충전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설치되며, 일측에 물 분사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주차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주차 스토퍼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 스토퍼에 포함된 물 분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되, 상기 물 분사 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 및 세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물 분사 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각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은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충전 모듈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가,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함에 따라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차면에 배치되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복수의 충전 모듈 내에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함으로써,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보다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차 화재 발생을 자동적으로 신고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보다 빠른 대응을 가능케 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충전 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주차 스토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주차 스토퍼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충전 모듈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주차 스토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주차 스토퍼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충전 모듈(100), 복수의 주차 스토퍼(200), 컴퓨팅 장치(300), 사용자 단말(400), 외부 서버(500) 및 네트워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소정의 공간(예컨대, 주차장)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되는 전기차(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기차(1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차(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원(20)은 복수의 충전 모듈(100)과 연결되어 복수의 충전 모듈(100)마다 각각 기 결정된 전력량에 따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원(20)은 분전함(21), 계량기(22) 및 전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원(20)은 분전함(21), 계량기(22) 및 전원부(23)를 거쳐 충전 모듈(100)과 연결되며, 전원부(23)와 연결된 충전 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분전함(21)은 전력원(20)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전원부(23)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고장과 같은 이상 발생 시 전력원(2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계량기(22)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 및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량기(22)는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 및 기록하는 계측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부(23)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과 직접 연결되어 전력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복수의 충전 모듈(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23)는 콘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력원(20)에서 공급하는 전력은 전원부(23) 없이 전선을 통해 직접 충전 모듈(100)과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환경 또는 충전 모듈(100)의 속성에 따라 전원부(23)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력원(20)은 공급 가능한 한계 전력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계전력은 전력원(20)이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건물을 기준으로, 한 건물에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최대 전력량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일측이 전원부(2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부(23)를 통해 전력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타측이 전기차(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원(2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전기차(10)에 공급함으로써, 전력원(2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10)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전기차(10)와 연결되는 커넥터(110), 충전 모듈(100)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전원부(23)와 연결되는 접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140)를 통해 소정의 영역 즉, 주차면 및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를 포함하는 소정의 크기의 영역을 스캔함에 따라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140)는 특정 대역 파장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불꽃이 만들어내는 파장이 대략 570nm 내지 750nm인 바, 센서(140)는 불꽃이 만들어내는 대역의 파장을 검출하는 불꽃 감지 센서(Flame Sens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14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내장 및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서(140)는 화재 감지를 위해 필요한 서로 다른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들(예컨대, 불꽃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유해가스 감지 센서 등)이 하나의 모듈로 패키징됨에 따라 독립적인 센서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독립적인 센서 모듈이 복수의 충전 모듈(100)과 각각 연결 및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차 스토퍼(200)는 주차면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이 구조물(예컨대, 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차 스토퍼(200) 각각은 일측에 물 분사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물 분사 모듈(210)은 후술되는 수도관(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120)의 제어명령(또는 컴퓨팅 장치(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수도관(3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물 분사 모듈(210)은 스프링클러(sprinkl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전기차 화재 감지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충전 모듈(100)의 외부에서 전기차 화재 감지 프로세스와 관련된 각종 연산 및 제어를 통합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의 내부에서 전기차 화재 감지 프로세스와 관련된 각종 연산 및 제어를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차(10)의 차주에게 전기차 화재 발생을 안내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전기차(10)의 차주의 사용자 단말(400)고 전기차(10)의 화재 발생에 대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400)은 컴퓨팅 장치(300)와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임의의 형태의 엔티티(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사용자 단말(4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에이전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플러그-인(Plug-in)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되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애플리케이션 소스 및/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네트워크(6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60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은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119 안전신고센터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119 안전신고센터 서버(500)로 전기차 화재 발생을 자동적으로 신고 접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복수의 센서 데이터가 수집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센서(140)를 통해 소정의 영역(예컨대,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이 배치된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을 스캔함에 따라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센서(140)를 동작시킴으로써,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별도의 제어명령이 없더라도 사전에 설정된 규칙(예컨대, 센서 데이터 수집 조건, 수집 주기 등)에 따라 자동적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전기차(10)와 전기적 연결 여부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모듈(100)이 전기차(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충전 모듈(100)이 전기차(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소정의 영역 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영역 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가 제1 대수 미만인 경우(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전기차(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차(10)의 수가 제1 대수 미만인 경우),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영역 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가 제1 대수 이상인 경우(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전기차(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차(10)의 수가 제1 대수 이상인 경우),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전기차(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센서(140)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되, 전기차(10)에 대한 충전 방식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모듈(100)의 전기차(10) 충전 방식이 저속 충전 방식인 경우,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충전 모듈(100)의 전기차(10) 충전 방식이 고속 충전 방식인 경우,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은 인접한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에 따라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충전 모듈(100) 주변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가 제1 대수 미만인 경우, 특정 충전 모듈(100)은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충전 모듈(100) 주변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가 제1 대수 이상인 경우, 특정 충전 모듈(100)은 센서(140)를 통해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복수의 충전 모듈(100)과 각각 연결된 전기차(10)의 온도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모듈(100)은 열 감지 센서(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 모듈(100)과 연결되어 충전 모듈(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전기차(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차(10)의 온도가 임계 온도 미만인 경우 제1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전기차(10)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마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충전 모듈(100)은 복수의 충전 모듈(100)과 각각 연결된 전기차(10)의 속성(예컨대, 차종, 연식, 주행거리 등)에 기초하여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모듈(100)은 전기차(10)의 주행거리가 길거나 연식이 오래될수록 센서 데이터 수집 주기를 짧게 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120 단계에서, S110 단계를 거쳐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기차(10) 화재 발생이 감지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주차면이 기 설정된 화재 발생 기준이 충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화재 발생 기준은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불꽃의 세기에 대한 기준 세기 값과 불꽃의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 시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라이터 불꽃과 같이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이 아닌 경우,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 대비 그 세기가 매우 약하고 일시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불꽃이 감지될 때마다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119에 화재 발생 신고가 잘못 접수되거나 차주에게 잘못된 알림을 제공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컴퓨팅 장치(300)는 일정 수준의 세기의 불꽃이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즉, 명백하게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만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화재 발생 기준이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화재 발생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주차면 중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위치하는 주차면의 경우에는 지나가는 사람들에 의해 화재가 비교적 쉽게 인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빠른 대응이 가능한데 반해,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에 위치하는 주차면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화재에 대한 인지가 어렵고 늦을 가능성이 높은 바, 복수의 주차면 중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화재 발생 기준(불꽃의 세기 값이 크고 지속 시간 값이 긴 화재 발생 기준)을 적용할 수 있고,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화재 발생 기준(불꽃의 세기 값이 낮고, 지속 시간 값이 짧은 화재 발생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이 조금 더 민감하게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주차면 중 인접한 지역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가 적은 주차면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화재 발생 기준(불꽃의 세기 값이 크고 지속 시간 값이 긴 화재 발생 기준)을 적용할 수 있고, 인접한 지역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가 많은 주차면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화재 발생 기준(불꽃의 세기 값이 낮고, 지속 시간 값이 짧은 화재 발생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주변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수가 많을수록 조금 더 민감하게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은 컴퓨팅 장치(3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차(10)에 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동작은 충전 모듈(100)(또는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제어부(12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제어부(120)는 센서(140)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한 화재 발생을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120)를 통해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300)가 특정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제어부(120)는 센서(140)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한 화재 발생을 2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포함된 제어부(120)를 통해 1차적으로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한 화재 발생을 개별적으로 판단하고,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이 개별적으로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컴퓨팅 장치(300)가 2차적으로 화재 발생을 판단하되,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100)을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300)는 별도의 화재 발생 감지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응 프로세스(예컨대, 119 자동 신고 및/또는 차주 알림)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지점인 특정 주차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100)을 통해 불꽃이 감지된 경우에만 특정 주차면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특정 충전 모듈(100)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소정의 영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된 경우, 소정의 영역 내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300)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화재가 발생된 지점 즉, 화재가 발생된 전기차(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소정의 영역 내에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규모와 화재의 발생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300)는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제1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1 센서와 제2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2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과 제1 충전 모듈 사이의 각도,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과 제2 충전 모듈 사이의 각도 및 제1 충전 모듈과 제2 충전 모듈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법에 따라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300)는 제1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1 센서와 제2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2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충전 모듈을 중심으로 소정의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제1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충전 모듈을 중심으로 소정의 크기의 반경을 가지는 제2 영역을 설정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중첩되는 지역을 화재의 위치로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셋 이상의 충전 모듈(100)로부터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셋 이상의 충전 모듈(100) 중 감지된 불꽃의 세기가 가장 큰 충전 모듈(100)부터 순차적으로 2개의 충전 모듈(100)을 이용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300)는 제1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1 센서와 제2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2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술된 방법에 따라 판단된 화재의 위치와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및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화재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상술된 방법에 따라 판단된 화재의 위치에 기초하여 화재의 위치와 충전 모듈(100)(제1 충전 모듈 또는 제2 충전 모듈)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화재의 위치와 충전 모듈(1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화재 규모 판단 기준(화재 규모별 불꽃의 세기)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화재 규모 판단 기준과 충전 모듈(100)을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화재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셋 이상의 충전 모듈(100)로부터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셋 이상의 충전 모듈(100) 중 감지된 불꽃의 세기가 가장 큰 충전 모듈(100)부터 순차적으로 2개의 충전 모듈(100)을 이용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규모를 특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소정의 지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위치와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소정의 지역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을 평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전기차(10)에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대한 감지 기준(예컨대,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어느정도 세기의 불꽃을 감지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대한 감지 기준과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실제로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300)는 감지 기준과 실제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대한 신뢰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각각에 대하여 0점 내지 100점 범위의 신뢰도 점수를 부여하되, 감지 기준과 실제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에 소정의 비율로 반비례한 신뢰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300)는 감지 기준과 실제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가 클수록 낮은 신뢰도 점수를 부여하고, 감지 기준과 실제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가 작을수록 높은 신뢰도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다.
추후, 컴퓨팅 장치(30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수집되는 둘 이상의 센서 데이터를 취합하는 과정에서, 충전 모듈별로 신뢰도 점수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신뢰도 점수가 높은 충전 모듈(100)을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보다 더 비중 있게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셋 이상의 충전 모듈(100)을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신뢰도 점수가 높은 충전 모듈(100)을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화재의 위치 및 규모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신뢰도 점수가 기준 점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충전 모듈(100)이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해당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에 대한 점검 완료 피드백을 획득하기 전까지는 해당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로부터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를 화재 감지 동작에서 제외하거나, 해당 센서(140)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되, 특정 주차면과 인접한 주차면에 배치되는 충전 모듈(100)들을 통해 불꽃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 주차면에 대한 화재 발생을 검증할 수 있다.
먼저,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특정 충전 모듈(10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컴퓨팅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고,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와 특정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특정 주차면에 베치된 충전 모듈(100)뿐만 아니라 특정 주차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을 통해서도 불꽃이 감지되어야 하며, 충전 모듈(100)들이 상호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호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들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감지되는 불꽃의 세기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즉, 컴퓨팅 장치(300)는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여,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인접한 충전 모듈(100)을 통해서도 불꽃이 감지되는지, 감지된 불꽃의 세기가 유사한지를 비교함으로써,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화재 발생을 검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119 안전신고센터 서버(500)로 전기차(10)에 대한 화재 발생을 자동적으로 신고 접수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300)는 전기차(10)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를 보다 빠르게 진압할 수 있도록, 119 안전신고센터 서버(500)로 전기차 화재 발생에 관한 안내 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된 위치 및 화재의 규모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차주와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차주들에게 전기차 화재 발생을 안내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범위는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1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전기차(10)의 차주에게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2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전기차(10) 및 해당 전기차(10)와 인접한 위치에 주차된 전기차(10)들의 차주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3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전기차(10) 및 해당 전기차(10)와 동일한 공간에 주차된 모든 전기차(10)들의 차주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차(10)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충전 모듈(100)을 통해 차주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바, 이러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기차(10)와 차주에 관한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추후,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전기차(10)의 차주를 특정하고, 특정된 전기차(10)의 차주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의 충전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범위는 상술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1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의 동작만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2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 및 특정 주차면과 인접한 위치의 주차면들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3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든 충전 모듈(10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100)로 충전 중단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충전 모듈(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들에게 전달함으로써, 특정 충전 모듈(10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충전 모듈(100)들도 충전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충전 모듈(100) 중 둘 이상의 충전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40)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둘 이상의 충전 모듈(100) 중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을 감지한 충전 모듈(100)에 대한 충전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복수의 주차 스토퍼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 스토퍼(200)에 포함된 물 분사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300)는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물 분사 모듈(21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 및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300)는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의 종류에 기초하여 물 분사 모듈(21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 및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전기차(10)에 발생되는 화재는 전기차(10) 내부 배터리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기차(10) 배터리 방향 즉, 전기차(10)의 하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이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주차장 내에 구비되는 화재 진압용 스프링클러는 주차장 천장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차(10)에 발생된 화재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술된 바와 같이 물 분사 모듈(210)이 결합된 주차 스토퍼(200)를 주차면마다 각각 설치해두고,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물 분사 모듈(210)을 통해 전기차(10)의 하부 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화재 발생 시 효과적으로 초기 진화를 할 수 있고, 배터리 과열로 인한 열폭주를 방지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 발생에 따른 대응 프로세스를 수행하되,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따라 서로 다른 대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1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한 충전을 중단시키고, 화재 발생에 대한 119 신고 및 차주 알림을 제1 주기마다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2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와 해당 전기차(10) 인근에 위치하는 전기차(10)에 대한 충전을 중단시키고, 화재 발생에 대한 119 신고 및 차주 알림을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마다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대하여 제3 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전기차(10)에 대한 충전을 중단시키고, 화재 발생에 대한 119 신고 및 차주 알림을 제2 주기보다 짧은 제3 주기마다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10)에 구비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과 연동되어, 전기차(10)에 대한 화재 발생을 크로스 체크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300)와 전기차(10)에 구비되는 화재 감지 시스템 모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전기차(10)에 대한 화재 발생을 최종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시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거나, 일부 블록이 삭제 또는 변경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3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 포함된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310), 프로세서(3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3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320), 버스(330), 통신 인터페이스(340) 및 컴퓨터 프로그램(3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컴퓨팅 장치(3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0)는 프로세서(3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3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3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3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320)에 컴퓨터 프로그램(3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310)는 컴퓨터 프로그램(3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330)는 컴퓨팅 장치(3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3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40)는 컴퓨팅 장치(3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3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350)는 컴퓨터 프로그램(3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300)를 통해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350)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3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351)은 메모리(320)에 로드될 때 프로세서(3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351)은 복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가,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함에 따라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컴퓨팅 장치가, 수집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충전 모듈
200 : 주차 스토퍼
300 : 컴퓨팅 장치
400 : 사용자 단말
500 : 119 안전신고센터 서버
600 : 네트워크

Claims (13)

  1. 복수의 충전 모듈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은,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되며,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충전 모듈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불꽃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규모와 화재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제1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1 센서와 제2 충전 모듈에 포함된 제2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과 상기 제1 충전 모듈 사이의 각도,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과 상기 제2 충전 모듈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1 충전 모듈과 상기 제2 충전 모듈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법에 따라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및 상기 판단된 화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 발생된 화재의 규모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6. 복수의 충전 모듈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은,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되며,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상기 특정 충전 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와 상기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119 안전신고센터 서버로 전기차 화재 발생을 자동적으로 신고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의 차주와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의 차주들에게 전기차 화재 발생을 안내하는 알림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배치된 충전 모듈의 충전 동작을 중단시키되,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충전 모듈 중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을 감지한 충전 모듈에 대한 충전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설치되며, 일측에 물 분사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주차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주차 스토퍼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 스토퍼에 포함된 물 분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되,
    상기 물 분사 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양 및 세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된 화재의 규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물 분사 모듈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각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
  12.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충전 모듈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가,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함에 따라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불꽃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충전 모듈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13.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충전 모듈 및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가, 소정의 영역 내에 발생되는 불꽃을 감지함에 따라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주차면 각각에 주차된 전기차에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는,
    특정 주차면에 배치된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상기 특정 주차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 상기 특정 충전 모듈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불꽃이 감지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와 상기 특정 충전 모듈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불꽃의 세기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특정 주차면에 주차된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KR1020230032645A 2023-03-13 2023-03-13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KR10257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645A KR102579964B1 (ko) 2023-03-13 2023-03-13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645A KR102579964B1 (ko) 2023-03-13 2023-03-13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964B1 true KR102579964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645A KR102579964B1 (ko) 2023-03-13 2023-03-13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529A (ja) * 2010-04-05 2013-06-17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火災及び煙の自動検知、遮断、及び火災及び煙からの自動復旧
KR20220031315A (ko) * 2020-09-04 2022-03-11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KR20230016108A (ko) * 2021-07-23 2023-02-01 (주)에이콤 친환경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충전소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529A (ja) * 2010-04-05 2013-06-17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火災及び煙の自動検知、遮断、及び火災及び煙からの自動復旧
KR20220031315A (ko) * 2020-09-04 2022-03-11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차단기능을 포함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전기 안전 장치 의 동작 방법
KR20230016108A (ko) * 2021-07-23 2023-02-01 (주)에이콤 친환경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충전소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8389B (zh) 电动车用动力电池组安全防控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97669A (zh) 安全充电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US20160157179A1 (en) Telematics terminal and telematics center for preventing vehicle dischar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97507A1 (zh) 电池的安全预警方法及装置
KR102579964B1 (ko)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발생 감지 방법
CN109658646A (zh) 消防信息指示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CN113787914A (zh) 动力电池的监控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5799690B (zh) 一种储能设备的运行方法及系统
CN109785553A (zh) 指示灯控制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210542971U (zh) 耦合bms的新能源大巴电池自动灭火装置
WO2023178555A1 (zh) 电池失效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750489A (zh) 机组调试方法、调试装置及机组
CN116077861A (zh) 储能电站消防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131158A (zh) 一种井下可燃气体抑爆控制方法及系统
WO2017134995A1 (ja) 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サーバ装置
CN111105582B (zh) 森林防火监测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597990A (zh) 电池系统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398743B (zh) 新能源汽车的整车高压回路绝缘检测方法及装置
CN103723051B (zh) 一种分布式电池管理系统的状态同步及跟踪方法
CN114643891A (zh) 充电桩安全防护方法和系统
CN116672636A (zh) 用电安全监控系统及方法
KR102416362B1 (ko) 낙뢰 피격 및 지락 사고 철탑 표시 기능을 갖는 항공장애등의 제어 방법
CN113804855B (zh) 一种电池爆炸冲击波超压测量方法及系统
CN110633503A (zh) 一种基于bim的pdca循环闭合式安全管理系统
CN10948433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汽车安全自动监控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