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932B1 -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932B1
KR102579932B1 KR1020210008977A KR20210008977A KR102579932B1 KR 102579932 B1 KR102579932 B1 KR 102579932B1 KR 1020210008977 A KR1020210008977 A KR 1020210008977A KR 20210008977 A KR20210008977 A KR 20210008977A KR 102579932 B1 KR102579932 B1 KR 102579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air
connecting member
coupling
stai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970A (ko
Inventor
백승우
안정원
손바다
이정미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맞춤형 계단 조립체는, 내부공간이 개폐되도록 구비되고, 양측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대각선 상 제1 결합부 쌍과, 타측면에는 상기 대각선에 교차하는 직선상 제2 결합부 쌍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계단블록; 및 하나의 상기 계단블록의 일측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계단블록의 타측면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2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1, 2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계단블록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재단되거나, 다수개의 기본조각이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CUSTOMIZED STAIRCASE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각각의 계단블록을 설치되는 곳의 필요나 용도에 따라 설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조립식 계단은 상하 통행공간으로 수직방향으로 공간을 연결하도록 정형화된 다수개의 블록 등이 연결(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계단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구성되어, 도 9의 (b)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방식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 및 콘크리트 타설 장비 등이 요구되어 시공성, 경제성, 작업성, 실용적 특성을 개선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조립식 계단은, 도 9의 (d)와 같이,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현장에서 용도가 다른 기본 블록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고정을 통해 단단한 구조체의 연결성과 시공성을 얻어 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조립식 계단은 조명부가 없기 때문에 야간이나 실내가 어두운 곳에서는 식별 가능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 기술은 열선, 및 유도등이 없기 때문에 야간 산행 시와 겨울철 산행 시 결빙방지를 통해 조립식 계단의 사용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833호(공개일: 2017.08.09.)에는 조립식 계단용 기본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고, 하단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하나의 중앙 결합홈을 구비한 세로부, 그리고 상기 세로부와 연결되어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결합홈과 상기 복수의 결합홈 각각의 내부에 상기 하나의 중앙 결합홈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복수의 중앙 결합 돌기를 구비한 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식 계단용 기본 블록이 다른 조립식 계단용 기본 블록과 조립될 때, 상기 조립식 계단용 기본 블록에 형성된 상기 세로부는 상기 다른 조립식 계단용 기본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 중 하나와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기본 계단블록형이 'ㄱ'자 또는 'ㄴ'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계단블록과 계단 골조 사이에 공간이 있는 상태이기에 하중에 의한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내구성은 증가시키되 설치되는 위치가 법면 위이든, 산길이든, 건물에 인접한 곳이든 시공이 용이하고 계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와 용도에 맞는 조립식 계단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833호(공개일: 2017.08.09.)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하는 각각의 계단블록을 설치되는 곳의 필요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공간이 개폐되도록 구비되고, 양측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대각선 상 제1 결합부 쌍과, 타측면에는 상기 대각선에 교차하는 직선상 제2 결합부 쌍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계단블록; 및 하나의 상기 계단블록의 일측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계단블록의 타측면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2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1, 2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계단블록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재단되거나, 다수개의 기본조각이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계단블록은,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계단블록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에는 투명창으로 커버되는 태양광모듈이 구비되는 제1 블록; 및 전원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블록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조명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계단블록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에는 투명창 또는 반투명장으로 마련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제2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계단블록은, 상기 계단블록의 상면이 개방되거나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배양토와 식물이 마련되고, 일측 하단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제3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블록은, 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상기 제3 블록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공 쪽으로 하방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전달수단은, 상기 발전부와 상기 조명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상기 계단블록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 시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에서 홈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끼움홈, 및 상기 안내부재에 홈으로 형성되는 제2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으로, 상기 맞춤형 계단 조립체를 시공할 위치를 선정하는, 위치 선정 단계; 사용자의 요구 또는 선정된 상기 위치의 환경에 따라 상기 계단블록의 종류와 다단 모양을 설계하는, 계단블록 맞춤형 설계 단계;
상기 계단블록 맞춤형 설계 단계에서 설계된 일렬의 상기 계단블록 측면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성형하는, 연결부재 재단 단계; 및 상기 계단블록 일측면의 제1 결합부들을 상기 연결부재 타측면의 제1 결합공들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부재 일측면의 제2 결합공들에 상기 계단블록 타측면의 제2 결합부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계단블록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기능을 하는 계단블록형의 형태를 설치되는 위치, 목적, 요구에 따라 각각 설계하여 실용적이고, 용이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계단이 설치되는 곳이 법면이든, 산길이든, 건물과 인접한 곳이든, 실내이든, 계단의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설계)하여 계단블록들을 연결부재로 고정시켜 설치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블록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계단블록 내부에 LED를 구비하여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고, 계단블록 내부에 열선 등을 마련하여 결빙 방지를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블록에 식물을 심어 심미관을 향상시키는 계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계단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에 비해, 계단블록과 연결부재의 결합방향은 바닥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하므로 계단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전달수단에 의해 계단블록들과 연결부재들 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지 않고 필요한 곳에 전원을 공급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식물이 자라는 제3 블록에 열선을 깔아 겨울철에도 식물들이 얼어죽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 설치된 계단을 다시 계획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기 설치된 계단의 양 끝단부에 제1, 2, 3 블록을 적절하게 위치 및 결합시켜 난간이나 옹벽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명이 없는 외부 공영계단 등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구성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기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제1 블록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c)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제2 블록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제3 블록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된 영역 '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부재에서 제2 끼움홈을 나타내기 위한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의 (a) 내지 (d)는 종래의 조립형 계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 및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구성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의 (a)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기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의 (b)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제1 블록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의 (c)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제2 블록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계단블록의 제3 블록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 사용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6은 도 5의 표시된 영역 '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연결부재에서 제2 끼움홈을 나타내기 위한 연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개략적인 라인으로 나타내거나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X, Y, Z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계단의 좌, 우방향(화살표 쪽)을 지시하고 행렬의 가로 줄인 행을 뜻하고, Y축은 전(앞, 화살표 쪽), 후(뒤)방향을 지시하고 화살표쪽으로 내려오는 방향이며, Z축은 상(위, 화살표 쪽), 하(아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하나의 계단블록(100)의 도면상 우측면을 일측면, 도면상 좌측면을 타측면, 계단의 디딤판인 윗면을 상면, 아랫면을 저면, -Y축으로 바라보는 면을 정면, 정면과 마주보는 외부쪽 면을 배면, 내부공간(130)의 바닥을 바닥면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1)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각각의 계단블록(100)을 설치되는 곳의 필요에 따라 설계하고, 용이한 시공을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맞춤형 계단 조립체(1)가 설치되는 일례로 법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1)는, 다수개의 계단블록(100) 및 연결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단블록(100) 하나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1)를 이루는 기본 단위이고, 내부공간(130)이 개폐되도록 구비되되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공간(130)이 개폐되는 방법으로 끼움 결합이든 나사 결합이든,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계단블록(100)의 양측면(우측면, 좌측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대각선 '/'상 제1 결합부(110) 쌍과, 타측면에는 대각선에 교차하는 직선 '\'상 제2 결합부(120) 쌍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렇게만 형성된 계단블록(100)은 '기본블록(100)'이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설명하겠다.
제1, 2 결합부(110, 120)는 연결부재(200)의 두께만큼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200)는, 계단블록(100)을 X축의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계단블록(100)의 일측면(우측면)과 X축 방향의 다른 하나의 계단블록(100)의 타측면(타측면) 사이에 결합되도록 제1, 2 결합부(110, 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된 제1, 2 결합공(210, 220)이 형성되고, 제1, 2 결합부(110, 120)가 돌출된 길이만큼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부재(200)는, Y축 방향, 행렬의 세로 줄인 열로 배열 및 다단을 이루는 다수개의 계단블록(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재단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계단블록(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형상으로 기본조각(도 2의 확대도)이 각각 연결되도록, 돌출부(230) 및 홈부(240)가 퍼즐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미관을 위한 계단의 마무리 가공으로, 돌출부(230')를 잘라내거나 홈부(240')를 퍼티 등으로 메꿀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조립식 계단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계단블록(100)과 연결부재(200)의 결합방향은 바닥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하므로 계단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조립식 계단은, 중력의 방향(↓)과 각 단위블록의 결합 방향(↓)이 같아 땅 등으로 지지되지 않는 이상 철제 프레임 등으로 지지되는 등의 공간이 생기면 힘의 방향이 같으므로 힘의 크기도 세져 반복하중을 가하면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맞춤형 계단 조립체(1)는, 중력의 방향 (↓)과 계단블록(100)의 결합 방향(→, ←)이 달라 종래의 조립식 계단보다 응력집중이 덜 되어 계단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계단블록(100)의 재질로, 폐타이어, 폐비닐 또는 폐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성형될 수 있다. 이는, 폐타이어, 폐비닐 또는 폐합성수지재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높은 강도를 구현하여 생산성과 내구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블록(100)은, 외형은 기본블록(100)과 비슷한 형상을 취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제1, 2, 3 블록(101, 102, 1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블록(101)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내부공간(130)에 발전부(미도시)가 구비되고, 계단블록(100)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도면상에서는 상면과 정면)에는 투명창으로 커버되는 태양광모듈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으로 태양광모듈이 커버되는 이유는 태양광모듈의 보호는 물론 기본블록(100) 상면의 표면과 동일선상의 면을 갖기 위함이다.
제 2 블록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전달수단에 의해 제1 블록(10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조명부(미도시)가 내부공간(130)에 구비되고, 계단블록(100)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도면상에서는 상면과 정면)은 투명창 또는 반투명장으로 마련되어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켜 조명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
이때, 조명부는 LED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전달수단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101)의 발전부와 제2 블록(102)의 조명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계단블록(100)과 연결부재(200)가 결합할 때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제1 결합부(110) 또는 제2 결합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116)을 관통하여 관통공(116)에서 홈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끼움홈(118), 및 안내부재에 홈으로 형성되는 제2 끼움홈(250)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1 끼움홈(118)은 사방으로 형성되고, 제2 끼움홈(250)은 대각선의 방향에 인접하게 위치한 계단블록(100)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도록, 혹은 수평 방향으로, 혹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이 되도록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참조)
이러한 제1, 2 끼움홈(118, 250)의 기능을 하는 구성은 제2 결합부(120)에도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3 블록(10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미감을 감득하기 위해, 계단블록(100)의 상면이 개방되거나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130)에는 배양토와 식물이 마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블록(103)의 일측 하단부에는 빗물 등의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용이한 배수를 위해 제3 블록(103) 내부공간(130)의 바닥면은 배수공 쪽으로 하방 경사진 경사면(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1)의 시공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계단 조립체(1)를 시공할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밑에 지지하는 땅이 있는지 등을 고려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위치를 선정하는, 위치 선정 단계가 선행되고, 사용자의 요구 또는 선정된 위치의 환경에 따라 상기 계단블록(100)의 종류(필요에 따라 기본블록(100) 및 제1, 2, 3 블록(101, 102, 103) 배치)와 다단 모양(경사진 땅이 지지하는지, 없으면 땅과 닿아 지지하도록 계단블록(100) 및 연결부재(200)를 배치)을 설계하는, 계단블록(100) 맞춤형 설계 단계를 거친다.
후에 계단블록(100) 맞춤형 설계 단계에서 설계된 일렬의 계단블록(100) 측면의 형상으로 연결부재(200)를 일체로 성형할지, 조각단위로 연결하여 사용할지 결정하여 연결부재(200)를 사용 적합하게 준비하는 연결부재(200) 재단 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조각단위'는 계단블록(100) 하나의 측면 넓이와 같은 넓이를 갖는 결부재(200)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계단블록(100) 일측면의 제1 결합부(110)들을 연결부재(200) 타측면의 제1 결합공(210)들에 결합시키고, 결부재 일측면의 제2 결합공(220)들에 다른 계단블록(100) 타측면의 제2 결합부(120)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계단을 조립하는 계단블록(100) 조립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1)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1)의 시공방법은, 다양한 기능을 하는 계단블록(100)형의 형태를 설치되는 위치, 목적, 요구에 따라 각각 설계하여 실용적이고, 용이한 시공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계단이 설치되는 곳이 법면이든, 산길이든, 건물과 인접한 곳이든, 실내이든, 계단의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설계)하여 계단블록(100)들을 연결부재(200)로 고정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블록(10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계단블록(100) 내부에 LED를 구비하여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고, 계단블록(100) 내부에 열선 등을 마련하여 결빙 방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블록(103)에 식물을 심어 심미관을 향상시키는 계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계단이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에 비해, 계단블록(100)과 연결부재(200)의 결합방향은 바닥에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하므로 계단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원전달수단에 의해 계단블록(100)들과 연결부재(200)들 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지 않고 필요한 곳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식물이 자라는 제3 블록(103)에 열선을 깔아 겨울철에도 식물들이 얼어죽지 않고, 밤에는 식물들을 환하게 비출 수 있게 된다.
또한, 기 설치된 계단을 다시 계획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기 설치된 계단의 양 끝단부에 제1, 2, 3 블록(101, 102, 103)을 적절하게 위치 및 결합시켜 난간이나 옹벽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명이 없는 외부 공영계단 등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1)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1)의 시공방법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맞춤형 계단 조립체
100 계단블록
101 제1 블록
102 제2 블록
103 제3 블록
110 제1 결합부
116 관통공
118 제1 끼움홈
120 제2 결합부
130 내부공간
140 경사면
200 연결부재
210 제1 결합공
220 제2 결합공
230 돌출부
240 홈부
250 제2 끼움홈

Claims (5)

  1.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양측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대각선 상 제1 결합부 쌍과, 타측면에는 상기 대각선에 교차하는 직선상 제2 결합부 쌍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계단블록; 및
    하나의 상기 계단블록의 일측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계단블록의 타측면 사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2 결합부에 대응되는 제1, 2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계단블록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재단되거나, 다수개의 기본조각이 각각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계단블록은,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계단블록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에는 투명창으로 커버되는 태양광모듈이 구비되는 제1 블록; 및
    전원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블록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조명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계단블록의 적어도 일면 이상의 면에는 투명창 또는 반투명장으로 마련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전달수단은,
    상기 발전부와 상기 조명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상기 계단블록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 시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제2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에서 홈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끼움홈, 및 상기 연결부재에 홈으로 형성되는 제2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블록은,
    상기 계단블록의 상면이 개방되거나 투명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배양토와 식물이 마련되고, 일측 하단부에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블록은,
    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상기 제3 블록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공 쪽으로 하방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따른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으로,
    상기 맞춤형 계단 조립체를 시공할 위치를 선정하는, 위치 선정 단계;
    사용자의 요구 또는 선정된 상기 위치의 환경에 따라 상기 계단블록의 종류와 다단 모양을 설계하는, 계단블록 맞춤형 설계 단계;
    상기 계단블록 맞춤형 설계 단계에서 설계된 일렬의 상기 계단블록 측면의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성형하는 연결부재 재단 단계; 및
    상기 계단블록 일측면의 제1 결합부들을 상기 연결부재 타측면의 제1 결합공들에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부재 일측면의 제2 결합공들에 상기 계단블록 타측면의 제2 결합부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계단블록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0210008977A 2021-01-21 2021-01-21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579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77A KR102579932B1 (ko) 2021-01-21 2021-01-21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77A KR102579932B1 (ko) 2021-01-21 2021-01-21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70A KR20220105970A (ko) 2022-07-28
KR102579932B1 true KR102579932B1 (ko) 2023-09-15

Family

ID=8260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977A KR102579932B1 (ko) 2021-01-21 2021-01-21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354B1 (ko) * 2006-09-28 2007-08-14 박영조 조립식 계단석
JP2007222075A (ja) * 2006-02-23 2007-09-06 Koiwa Kanaami Co Ltd 階段構造物
KR101790674B1 (ko) * 2016-05-30 2017-10-27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태양광 led 발광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33U (ko) 2016-02-01 2017-08-09 장순범 조립식 계단용 기본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2075A (ja) * 2006-02-23 2007-09-06 Koiwa Kanaami Co Ltd 階段構造物
KR100749354B1 (ko) * 2006-09-28 2007-08-14 박영조 조립식 계단석
KR101790674B1 (ko) * 2016-05-30 2017-10-27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태양광 led 발광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70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7481U (ja) 緑化壁構造体
JP7012848B2 (ja) 家屋建物構造
KR101271859B1 (ko)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휀스
CN101298810A (zh) 空中花园建筑
KR102579932B1 (ko) 맞춤형 계단 조립체 및 맞춤형 계단 조립체의 시공방법
CN205476156U (zh) 一种预制楼梯
CN1811084A (zh) 一种人造空中建设场地
KR102207434B1 (ko) 조립성이 향상되고 차별화된 퍼걸러기둥 조립체
US11746477B2 (en) Modular section for tracks, in particular cycle tracks
KR20130015926A (ko) 평판형 원형 수로관
KR101765854B1 (ko) 파고라용 지붕 결합구조
KR200449175Y1 (ko) 체스블럭용 격자틀 및 이를 구비한 보도블럭 세트
KR100862323B1 (ko) 사이버 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05688583U (zh) 建筑单元的支撑骨架结构、基本建筑单元、建筑单元及应用其的产品化建筑
JP2016186152A (ja) ユニット式建物
CN111425017B (zh) 一种装配式多功能造型亭的施工方法
CN212078811U (zh) 一种庭院装配式造型亭
KR102126430B1 (ko) 조립식 텐트 프레임 착탈 설치용 장식 패널조립체
KR20110107047A (ko) 조립식 주택
TW202018146A (zh) 網連式排水鋪面裝置
KR101147454B1 (ko) 십육각형 목조주택
CN219586890U (zh) 一种中式特色长廊结构
CN213523169U (zh) 一种改进的花箱式栏杆
KR101610249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친환경 주차장 시공 방법
KR102583015B1 (ko) 식물을 모방한 인공 차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